KR101622151B1 - 판재용 포장기계장치 - Google Patents

판재용 포장기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2151B1
KR101622151B1 KR1020140159828A KR20140159828A KR101622151B1 KR 101622151 B1 KR101622151 B1 KR 101622151B1 KR 1020140159828 A KR1020140159828 A KR 1020140159828A KR 20140159828 A KR20140159828 A KR 20140159828A KR 101622151 B1 KR101622151 B1 KR 101622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wrapped
plate
roll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9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노근
Original Assignee
곽노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노근 filed Critical 곽노근
Priority to KR1020140159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21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4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securing together articles or webs, e.g. by adhesive, stitching or sta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재용 포장기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판재의 스크래치 및 흠집을 방지하기 위해 필름을 외주연에 포장 및 코팅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포장대상판재의 양면에 연속적으로 필름의 포장 및 코팅이 가능토록 하면서, 포장대상판재의 두께에 맞춰, 포장대상판재에 필름을 압착하여 접착하는 압착롤러와의 위치를 연동시켜 조절함으로서, 포장대상판재와 압착롤러 상호간의 이격거리를 항시 일정하게 유지시켜 균일하게 포장 및 코팅이 가능해지도록 한 판재용 포장기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판재용 포장기계장치{PACKING MACHINE FOR PLATE}
본 발명은 다양한 포장대상판재에 스크래치 등의 흠집이 발생되지 않도록, 용이하게 필름을 포장 및 코팅할 수 있도록 한 판재용 포장기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비닐, 리놀륨(linoleum), 목재, 콘크리트, 대리석, 테라조(terrazzo), 세라믹 등 바닥 기재의 외관을 보호하고 강화하기 위해 바닥재 관리 프로그램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바닥재 재료는 보행자 등의 통행 또는 차량 통행으로 인해 마모되거나 퇴화되기 쉽다. 물리적 마모, 긁힘, 얼룩짐 및 화학적 손상으로부터 바닥재 재료를 보호하기 위해서 종종 희생 코팅(sacrificial coating)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코팅은, 다수의 상이한 종류의 제품을 포함할 수 있는 바닥재 관리 프로그램의 일부이지만, 일반적으로는 바닥 기재의 표면에 적용되는 마감(finish) 및/또는 베이스(base)의 사용을 수반한다. 이 후, 이러한 마감은 세제(cleaner)와 도구들을 사용함으로써 유지되는데,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버프 연마(buffing) 기계 혹은 버니싱(burnishing) 기계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매우 효과적이지만, 고객의 입장에서는 상당한 비용적 요소로서 고려되고 있다.
또한, 표면이 마모되거나 혹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만족스럽지 못한 품질을 가지게 되는 경우, 통상 스트립퍼(stripper)라고 알려져 있는 다양한 화학 조성물을 사용하여 바닥 마감재 또는 밀봉재(sealer)를 전부 제거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화학적 스트립핑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노동 집약적인 작업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바닥재 뿐만 아니라, 다양한 포장대상판재에 스크래치 및 흠집을 방지할 수 있는 필름의 코팅 및 포장이 용이하고 손쉬운 장치의 개발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포장대상판재의 연속적인 포장 및 코팅이 가능토록, 필름롤의 연속적인 공급이 가능토록 하고, 제공되는 필름을 포장대상판재의 일면에 압착하여 접착될 수 있도록 하되, 포장대상판재에 필름의 코팅여부를 확인하여 코팅완료 시 필름의 컷팅이 바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포장 및 코팅의 대상이 되는 포장대상판재의 두께가 다양하게 달라져도, 상기 포장대상판재의 상면에 필름을 압착하는 롤러와의 간격을 항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포장 및 코팅의 효율을 상승시키는 판재용 포장기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공급받은 필름롤(R)을 거치대(10)의 작업위치에 장착하는 필름롤 장착부(20); 상기 거치대(10)에 승하강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포장대상판재(P)의 상면을 향해 필름롤(R)의 필름(F)을 가이드하여, 필름(F)이 판재(P)상면에 접착되도록 하는 필름 접착부(30); 공급되는 포장대상판재(P)와, 필름 컷팅부(60)에서 포장대상판재(P)에 필름(F)을 압착하는 압착롤러(35)와의 간격(D)이 항시 일정하도록, 포장대상판재(P)의 두께에 대응되는 두께로, 필름 접착부(30)의 승하강 이동라인내에 삽입 및 탈거되어, 필름 접착부(30)의 위치를 제어하는 간격 조절부(40); 상기 필름 접착부(30)의 일측에 설치되어. 포장대상판재(P)에 필름(F) 접착이 완료시, 공급되는 필름(F)을 컷팅하는 필름 컷팅부(6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포장대상판재에 손쉽고 용이하면서 자동적으로 필름을 코팅 및 포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장대상판재의 양면에 필름을 연속적으로 코팅 및 포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장대상판재의 두께에 맞춰, 필름을 포장대상판재에 압착하는 압착롤러의 위치를 조절하여, 포장대상판재와 압착롤러 상호간의 이격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코팅 및 포장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리석 등 다양한 종류의 판재에 스크래치 및 손상방지용 필름을 포장 및 코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기계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정면 내부도.
도 2는 도 1의 'A'부분(필름 접착부) 작동도.
도 3은 도 1의 'B'부분(간격 조절부) 작동도.
도 4는 도 1의 'C'부분(필름롤 장착부)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컷팅부의 작동을 나타낸 일실시에의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롤이 롤장착부에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에의 개념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공급받은 필름롤(R)을 거치대(10)의 작업위치에 장착하는 필름롤 장착부(20); 상기 거치대(10)에 승하강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포장대상판재(P)의 상면을 향해 필름롤(R)의 필름(F)을 가이드하여, 필름(F)이 판재(P)상면에 접착되도록 하는 필름 접착부(30); 공급되는 포장대상판재(P)와, 필름 컷팅부(60)에서 포장대상판재(P)에 필름(F)을 압착하는 압착롤러(35)와의 간격(D)이 항시 일정하도록, 포장대상판재(P)의 두께에 대응되는 두께로, 필름 접착부(30)의 승하강 이동라인내에 삽입 및 탈거되어, 필름 접착부(30)의 위치를 제어하는 간격 조절부(40); 상기 필름 접착부(30)의 일측에 설치되어. 포장대상판재(P)에 필름(F) 접착이 완료시, 공급되는 필름(F)을 컷팅하는 필름 컷팅부(6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름롤 장착부(20)는 상기 거치대(10)의 일측 저장공간(21)에서 다수의 필름롤(R) 중 하나가 이송위치되되,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관부(23); 상기 보관부(23)를 승강시켜, 보관부(23) 상면에 위치된 필름롤(R)이 거치대(10)의 롤장착부(25)에 장착되도록 하는 필름롤 상승부(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름 접착부(30)는 포장대상판재(P)의 상면으로 필름(F)을 가이드하도록, 상호간 이격되어 연결설치되는 복수개의 롤부재(33); 상기 복수개의 롤부재(33) 사이에 위치되어, 필름(F)이 원활히 이송되도록 필름(F)을 흡착하는 흡착부(34); 상기 복수개의 롤부재(33) 중 하나에 해당되어, 필름(F)을 포장대상판재(P)의 일면에 압착시키며 회전됨으로써, 필름(F)이 포장대상판재(P)에 접착되도록 하는 압착롤러(35);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름 컷팅부(60)는 상기 필름 접착부(30)의 일측에 설치되는 컷팅날(61); 상기 필름 접착부(30) 전단에 설치되어, 포장대상판재(P)의 공급이 감지될시, 필름 접착부(30)가 작동되도록 하는 제 1감지부(62); 상기 필름 접착부(30) 후단에 설치되어, 필름(F)접착 완료된 포장대상판재(P)가 소정위치에 도달하면, 포장대상판재(P) 일측에서 컷팅날(61)이 작동되어 필름(F)을 컷팅시키도록 하는 제 2감지부(6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면에 필름(F) 접착이 완료된 포장대상판재(P)는, 상기 필름 컷팅부(60)의 일측에 설치된 반전장치(70)를 통해 뒤집어진 후, 필름 접착부(30) 전단으로 이송되어 타면에도 필름(F)이 접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판재용 포장기계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판재용 포장기계장치는 필름롤 장착부(20), 필름 접착부(30), 간격 조절부(40), 필름 컷팅부(60)를 포함한다.
상기 필름롤 장착부(20)는 필름(F)이 권취되어 있는 필름롤(R)이 소정의 저장공간(21) 내에 수직으로 세워져 보관되어 있고, 이러한 저장공간(21)의 출구에서부터 다수의 필름롤(R) 중 하나가 수평으로 눕혀져 길이방향으로 이송된 후, 곧이어 폭방향으로 연속 이송되어 거치대(10) 상측부분에 설치된 필름롤 장착부(20)에 대응 위치된다.
이러한 필름롤(R) 이송은 컨베이어 등 다양한 이송수단(22)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할게 이동된 필름롤(R)은 거치대(10) 상부 일측에 인접설치되어 있는 보관부(23)까지 이송되어, 보관부(23)의 상부에 필름롤(R)이 올려져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거치대(10)는 지면에 직립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상부에는 필름롤 장착부(20)가 설치되어 있고, 중단에는 포장대상판재(P)가 일방향을 향해 수평이동되는 이동컨베이어(5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이동컨베이어(50)의 일정부분 상면에 위치되도록 거치대(10)의 중단에는 간격 조절부(40) 및 필름 컷팅부(6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관부(23) 내에 올려진 필름롤(R)은 사용자가(또는 자동으로) 거치대(10)측 롤장착부(25) 하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오도록 일정거리 전진시키는 것이며(보관부(23) 내부 저면 중, 롤장착부(25)의 하단과 대응되는 보관부(23) 내부 저면은, 중앙이 원호형태로 함몰된 형태를 가짐으로써, 원통의 형상을 가진 필름롤(R)이 보관부(23) 일측 저면(롤장착부(25)의 하단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흔들리지 않고 부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보관부(23)내에서 롤장착부(25) 하단까지 필름롤(R)이 대응위치되면, 상기 보관부(23) 상부에 설치된 필름롤 상승부(24)의 피스톤 로드가 상승하면서 보관부(23) 전체를 상승시켜, 보관부(23)에 올려져 있는 필름롤(R)이 거치대(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는 롤장착부(25)(장착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형태가 되도록 한다.(필름롤(R)이 원통형 형태이고, 이에, 이를 들어올리는 보관부(23)의 길이도 필름롤(R)의 길이만큼 긴 길이를 가지기에, 이러한 보관부(23)를 들어올리는 피스톤 로드는 보관부(23)의 저면에서 보관부(23)의 길이방향을 향해 다수개가 상호간 이격배치되어, 긴 길이의 보관부(23)를 들어올리기 위해 동시작동되는 형태가 될 수 있음이다.)
상기 거치대(10)의 상측에는 상승되어 올라온 필름롤(R)의 양단부 중앙을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척(11)이 돌출되어 있어, 필름롤(R)이 롤장착부(25)(장착위치)에서 장착된 상태로 회전되면서 권취되어 있는 필름(F)이 풀릴 수 있도록, 척(11)에 회전가능하면서 위치고정되는 형태로 척킹되도록 하는 것이다.
최초, 사용자는 이렇게 필름롤 장착부(20)의 롤장착부(25)(장착위치)에 장착된 필름롤(R)의 필름(F)을 일방향으로 잡아당겨, 후술될 필름 접착부(30)까지 연결시켜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필름 접착부(30)는 전술된 거치대(10)에 장착되되, 전술된 필름롤 장착부(20)의 하단에 위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필름 접착부(30)는 거치대(10)에서 LM 가이드 등의 승강장치(31)를 통해 상,하로 승강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롤부재(33), 흡착부(34), 압착롤러(35)를 포함한다.
상기 롤부재(33)는 복수개의 롤러가 상호간 동력전달수단(체인, 벨트 등)에 의해 동력전달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복수개의 롤러가 상호간 소정간격 이격되되 동시에 회전되는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개의 롤러가 '/'와 같이 하단을 향해 소정각도 기울어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며, 이때, 하단에 위치되는 후술될 압착롤러(35)의 경우에는, 롤부재(33)의 하단부에서 이동컨베이어(50)에 의해 일방향으로 수평이송되고 있는 포장대상판재(P)의 상면에 대응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흡착부(34)는 전술된 롤부재(33)의 외주연 하단측 중단(롤부재(33)에 필름(F)이 접촉되는 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롤부재(33)의 회전에 의해 필름(F)이 포장대상판재(P)의 상면으로 가이드되며 이송시, 경사지게 설치된 롤부재(33)에 의해 포장대상판재(P)가 팽팽함으로 유지하지 못하고 하단으로 쳐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롤부재(33)의 중단에 위치되는 필름(P)부분을 흡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필름롤(R)에서 권취되어 있는 필름(F)은 일면(ex: 하면)에 접착성분이 형성되어 있어, 포장대상판재(P)의 일면에 대응접착되어 일체를 이루게 되는데, 이에, 상기 흡착부(34)는 필름(F)의 접착성분이 존재하지 않는 상면 부분을 흡착하면서 이송시켜, 필름(F)에 접착성분이 형성된 부분이 롤부재나 흡착부에 달라붙지 않도록 한다.
상기 압착롤러(35)는 전술된 롤부재(33)를 이루는 복수개의 롤러 중, 포장대상판재(P)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하단측 롤러를 의미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롤부재(33)에 의해 포장대상판재(P)측으로 이송된 필름(F)을 포장대상판재(P)의 일면(상면)에 대응시켜 소정의 압력으로 누르며 회전되는 것으로, 이에 필름(F)이 포장대상판재(P)에 접착되면서 코팅 및 포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간격 조절부(40)는 전술된 필름 접착부(30)의 상, 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필름 접착부(30)는 거치대(10)의 중단에서 상, 하로 승하강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필름 접착부(30)는 중단에 삽입홀(32)을 형성하는 형태를 가진다.
이에, 상기 간격 조절부(40)는 한쌍으로 이루어져, 거치대(10)에 상호간 대향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거치대(10)에 고정되는 고정부(41), 고정부(41)에 삽입되거나 외부로 토출되는 피스톤 로드(42), 상기 피스톤 로드(42) 단부에 설치되는 높이조절블럭(43)으로 구성된다.
즉, 포장 및 코팅을 하기 위한 포장대상판재(P)의 두께가 두꺼우면 두꺼울 수록, 이러한 포장대상판재(P)의 상면에 대응되어 필름(F)을 압착시켜 접착하는 압착롤러(35) 또한 그 위치가 포장대상판재(P)의 두께만큼 상승되어 있는 위치에 있어야, 필름(F)의 포장 및 코팅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됨은 당연하다.
이에, 사용자는 포장 및 코팅의 대상이 되는 포장대상판재(P)의 두께에 연동되어, 포장대상판재(P)의 두께에 비례하게 높이조절블럭(43)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다양한 두께의 높이조절블럭(43)을 구비하고 있다가, 포장대상판재(P)의 두께에 맞춰 높이조절블럭(43)을 그에 맞는 것으로 교체장착하는 것이다.), 상기 필름 접착부(30)의 상, 하 위치를 조절하기 것이다. 다시말해, 필름 접착부(30)가 승강장치(31)를 통해 승하강하되, 필름 접착부(30)의 개구된 중단부 삽입홀(32) 내로 복수개의 간격 조절부(40)(더욱 자세히는 높이조절블럭(43))가 삽입되게 되면, 필름 접착부(30) 중단의 삽입홀(32)에 높이조절블럭(43)이 끼워져, 필름 접착부(30)가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고 걸쳐지는 형태가 되는 것이다.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블럭(43)은 저면에 다수의 바퀴(44)를 형성하여, 삽입홀(32) 내부로의 삽입 및 토출이 용이토록 할 수 있음이다.)
이에, 포장대상판재(P)의 두께가 일정하다 가정했을시, 당연히 이렇게 끼워지는 높이조절블럭(43)의 두께가 두꺼우면 두꺼울수록, 필름 접착부(30)와 포장대상판재(P) 사이의 이격거리는 벌어지게 되므로,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포장대상판재(P)의 두께에 맞춰 높이조절블럭(43)의 두께 또한 조절하여 장착함으로써, 압착롤러(35)이 포장대상판재(P)에 필름(F)을 용이하게 압착시키며 접착시킬 수 있는 정도가 될 정도의 이격거리를 가지도록(포장대상판재(P)와 압착롤러(35)와의 간격(D)이 포장대상판재(P)의 두께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포장대상판재(P)의 두께는 계속 두꺼운것으로 공급됨에 반해, 필름 접착부(30)의 위치(더욱 자세히는 압착롤러(35)의 위치)는 항상 일정하게 되면, 포장대상판재(P)가 압착롤러(35)에 의해 뭉게지게나, 압착롤러(35)가 포장대상판재(P)에 의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필름 컷팅부(60)는 전술된 필름 접착부(3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필름 접착부(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어, 필름 접착부(30)가 승, 하강시 이러한 필름 컷팅부(60) 또한 동시작동되는 것으로, 컷팅날(61), 제 1감지부(62), 제 2감지부(63)를 포함한다.
상기 컷팅날(61)은 상, 하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며, 제 1감지부(62)는 포장대상판재(P)를 이송하는 이동컨베이어(50)에 인접설치되되, 전술된 필름 접착부(30)의 전단(포장대상판재(P)가 필름 접착부(30)에 진입하기 전)에 설치되어, 포장대상판재(P)의 공급을 감지하는 것으로, 이렇게 포장대상판재(P)의 공급이 감지되면, 이러한 제 1감지부(62)의 신호에 의해 상기 필름 접착부(30)는 작동 및 가동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 제 2감지부(63)는 제 1감지부(62)와 마찬가지로 이동컨베이어(50)에 인접설치되되, 필름 접착부(30)의 후단(포장대상판재(P)에 필름(F) 부착이 완료된 상태)에 설치되어, 작업이 완료된 포장대상판재(P)를 감지하다가, 포장대상판재(P)가 소정위치에 도달하면(ex: 필름 접착부(30)를 포장대상판재(P)가 완전히 벗어난 경우 등, 포장대상판재(P)에 필름(F)이 일면에 모두 접착완료된 상태에서 컷팅날(61)을 작동시키는 경우라면, 제 2감지부(63)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가능할 것이다.) 전술된 컷팅날(61)을 작동시켜, 컷팅날(61)에 의해 포장대상판재(P)의 일측에 연장되어 있는 필름(F)을 컷팅하는 작업을 하는 것이다.
더불어, 전술된 바와 같이 필름 컷팅부(60)까지 거쳐 일면에 필름(F)이 포장 및 코팅된 포장대상판재(P)는, 사용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동컨베이어(50)에 인접설치된 반전장치(70)를 통해 포장대상판재(P)를 뒤집은 후, 이를 별도의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상기의 필름 접착부(30) 전단측에 다시 재공급하여, 포장대상판재(P)의 타면(나머지 면) 또한 필름(F)이 포장 및 코팅될 수 있음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거치대 20: 필름롤 장착부
21: 저장공간 22: 이송수단
23: 보관부 24: 필름롤 상승부
25: 롤장착부 30: 필름 접착부
31: 승강장치 32: 삽입홀
33: 롤부재 34: 흡착부
35: 압착롤러 40: 간격 조절부
41: 고정부 42: 피스톤 로드
43: 높이조절블럭 44: 바퀴
50: 이동컨베이어 60: 필름 컷팅부
61: 컷팅날 62: 제 1감지부
63: 제 2감지부 70: 반전장치
D: 간격 F: 필름
P: 포장대상판재 R: 필름롤

Claims (5)

  1. 공급받은 필름롤(R)을 거치대(10)의 작업위치에 장착하는 필름롤 장착부(20);
    상기 거치대(10)에 승하강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포장대상판재(P)의 상면을 향해 필름롤(R)의 필름(F)을 가이드하여, 필름(F)이 판재(P)상면에 접착되도록 하는 필름 접착부(30);
    공급되는 포장대상판재(P)와, 필름 컷팅부(60)에서 포장대상판재(P)에 필름(F)을 압착하는 압착롤러(35)와의 간격(D)이 항시 일정하도록, 포장대상판재(P)의 두께에 대응되는 두께로, 필름 접착부(30)의 승하강 이동라인내에 삽입 및 탈거되어, 필름 접착부(30)의 위치를 제어하는 간격 조절부(40);
    상기 필름 접착부(30)의 일측에 설치되어. 포장대상판재(P)에 필름(F) 접착이 완료시, 공급되는 필름(F)을 컷팅하는 필름 컷팅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필름롤 장착부(20)는 거치대(10)의 일측 저장공간(21)에서 다수의 필름롤(R) 중 하나가 이송위치되되,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관부(23)와, 상기 보관부(23)를 승강시켜, 보관부(23) 상면에 위치된 필름롤(R)이 거치대(10)의 롤장착부(25)에 장착되도록 하는 필름롤 상승부(24)로 이루어지며,
    상기 거치대(10)의 상측에는 상승되어 올라온 필름롤(R)의 양단부 중앙을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척(11)이 돌출되어 있어, 필름롤(R)이 롤장착부(25)에서 장착된 상태로 회전되면서 권취되어 있는 필름(F)이 풀릴 수 있도록, 척(11)에 회전가능하면서 위치고정되는 형태로 척킹되도록 하며,
    상기 간격 조절부(40)는 한쌍으로 이루어져, 거치대(10)에 상호간 대향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거치대(10)에 고정되는 고정부(41), 고정부(41)에 삽입되거나 외부로 토출되는 피스톤 로드(42), 상기 피스톤 로드(42) 단부에 설치되는 높이조절블럭(43)으로 구성되어, 포장 및 코팅의 대상이 되는 포장대상판재(P)의 두께에 연동되어, 포장대상판재(P)의 두께에 맞춰 높이조절블럭(43)을 그에 맞는 것으로 교체장착하여, 압착롤러(35)가 포장대상판재(P)에 필름(F)을 용이하게 압착시키며 접착시킬 수 있는 정도가 될 정도의 이격거리를 가지도록, 상기 필름 접착부(30)의 상, 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용 포장기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접착부(30)는
    포장대상판재(P)의 상면으로 필름(F)을 가이드하도록, 상호간 이격되어 연결설치되는 복수개의 롤부재(33);
    상기 복수개의 롤부재(33) 사이에 위치되어, 필름(F)이 원활히 이송되도록 필름(F)을 흡착하는 흡착부(34);
    상기 복수개의 롤부재(33) 중 하나에 해당되어, 필름(F)을 포장대상판재(P)의 일면에 압착시키며 회전됨으로써, 필름(F)이 포장대상판재(P)에 접착되도록 하는 압착롤러(35);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용 포장기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컷팅부(60)는
    상기 필름 접착부(30)의 일측에 설치되는 컷팅날(61);
    상기 필름 접착부(30) 전단에 설치되어, 포장대상판재(P)의 공급이 감지될시, 필름 접착부(30)가 작동되도록 하는 제 1감지부(62);
    상기 필름 접착부(30) 후단에 설치되어, 필름(F)접착 완료된 포장대상판재(P)가 소정위치에 도달하면, 포장대상판재(P) 일측에서 컷팅날(61)이 작동되어 필름(F)을 컷팅시키도록 하는 제 2감지부(6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용 포장기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일면에 필름(F) 접착이 완료된 포장대상판재(P)는, 상기 필름 컷팅부(60)의 일측에 설치된 반전장치(70)를 통해 뒤집어진 후, 필름 접착부(30) 전단으로 이송되어 타면에도 필름(F)이 접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용 포장기계장치.
  5. 삭제
KR1020140159828A 2014-11-17 2014-11-17 판재용 포장기계장치 KR101622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9828A KR101622151B1 (ko) 2014-11-17 2014-11-17 판재용 포장기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9828A KR101622151B1 (ko) 2014-11-17 2014-11-17 판재용 포장기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2151B1 true KR101622151B1 (ko) 2016-05-19

Family

ID=56103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9828A KR101622151B1 (ko) 2014-11-17 2014-11-17 판재용 포장기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21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14120A (zh) * 2022-07-28 2022-10-21 重庆瑞玛仕家具有限公司 一种家具加工过程中板件的覆膜装置
KR102488204B1 (ko) * 2022-05-31 2023-01-13 (주) 탑프라 코킹재 카트리지의 밀봉장치 제어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49151A (ja) * 2012-05-30 2013-12-12 Oki Data Corp 媒体搬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49151A (ja) * 2012-05-30 2013-12-12 Oki Data Corp 媒体搬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204B1 (ko) * 2022-05-31 2023-01-13 (주) 탑프라 코킹재 카트리지의 밀봉장치 제어방법
CN115214120A (zh) * 2022-07-28 2022-10-21 重庆瑞玛仕家具有限公司 一种家具加工过程中板件的覆膜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44762B (zh) 一种全型号铝材自动包装机
EP2780234A1 (en) Machine for composite package, packaging method and winding means
KR101622151B1 (ko) 판재용 포장기계장치
CN110053808B (zh) 一种组合烟花顶招底招的自动包覆装置
US20190047036A1 (en) Metal sheet storage device and metal sheet processing device comprising a metal sheet processing machine and a metal sheet storage device of this type
KR101599766B1 (ko) 알루미늄호일 절단기
JP4762116B2 (ja) シート供給装置
KR102139957B1 (ko) 묶음체 포장물 비닐포장기
KR101748427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보관 필름 부착 장치
CN208022355U (zh) 一种饲料包装袋高效码垛输送线
JP7117730B2 (ja) 包装袋供給システム及び当該包装袋供給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200475721Y1 (ko) 자동차용 유리의 포장 장치
US74616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rially applying an adhesive onto members of one or more wood stacks
JP2010222851A (ja) カーペットタイル剥取り収納装置
KR101650403B1 (ko) 가구용 합판 도료장치
KR101225512B1 (ko) 인테리어용 패널의 코팅장치 및 코팅방법
CN211870972U (zh) 包装板贴膜防翘边装置
JPH0385214A (ja) タイル梱包装置
CN208021890U (zh) 一种粉料包装后运输码垛设备
KR100830983B1 (ko) 자동포장장치
ITTO20080411A1 (it) Unita' di controllo del flusso di sbozzati per un dispositivo mettifoglio di una macchina piegatrice-incollatrice
CN206358482U (zh) 一种全自动筒状体包装机
CN217046799U (zh) 木板涂胶设备
JP6561513B2 (ja) 用紙発行装置、及び用紙発行装置を有する貼付装置
CN209972872U (zh) 一种包装机械成品输送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