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0135B1 - 환경친화성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환경친화성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0135B1
KR101620135B1 KR1020130042058A KR20130042058A KR101620135B1 KR 101620135 B1 KR101620135 B1 KR 101620135B1 KR 1020130042058 A KR1020130042058 A KR 1020130042058A KR 20130042058 A KR20130042058 A KR 20130042058A KR 101620135 B1 KR101620135 B1 KR 101620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tyrene
polystyrene
polylactic acid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2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4491A (ko
Inventor
김지선
나상욱
최기대
김호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30042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135B1/ko
Publication of KR20140124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4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유산 수지 9 내지 90중량%, 폴리스티렌 수지 9 내지 90중량% 및 상용화제 1 내지 3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용화제는 무수말레인산 변성 폴리스티렌계 반응성 상용화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폴리유산과 폴리스티렌의 상용성을 향상시키고 분자량을 높여줌으로써 우수한 시트 압출성을 가지는 폴리유산-폴리스티렌 수지 얼로이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환경친화성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Environment―friendly polylactic acid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폴리유산-폴리스티렌 수지 얼로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유산 수지 9 내지 90중량%, 폴리스티렌 수지 9 내지 90중량% 및 상용화제 1 내지 3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용화제는 무수말레인산 변성 폴리스티렌계 반응성 상용화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폴리유산과 폴리스티렌의 상용성을 향상시키고 분자량을 높여줌으로써 우수한 시트 압출성을 가지는 폴리유산-폴리스티렌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오염으로 인한 기상 이변에 따라 세계 각지에서의 자연재해가 발생하여 피해가 매년 커지고 있어 각 나라에서는 이를 줄이기 위하여 노력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과 산업 전반에서 사용되고 있는 플라스틱의 친환경화에 대한 관심 또한 커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난할로겐 난연 플라스틱, 천연섬유 보강 플라스틱, 식물에서 추출한 원료로 만들어진 바이오 플라스틱 등의 개발 등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 석유화학을 원료로 하는 범용 및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우수한 물성과 저렴한 가격으로 생활용품, 전기 전자, 자동차 등의 많은 산업분야에서 사용되어 왔으며, 현대 생활에서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이렇게 생활 및 산업전반에서 다량 사용되고 있는 플라스틱들은 1회 용품을 비롯하여 내구성을 요구하는 부품 등에까지 사용되면서 폐기시, 매립 또는 소각해오고 있다.
기존 석유계 플라스틱의 경우, 석유로부터 원료를 추출하고 제조되어 소비자에게 간 다음 사용된 후의 폐기까지의 과정에서 많은 양의 CO2를 비롯한 온실가스를 방출하며, 폐기시 썩지 않는 성질 때문에 처리에도 곤란한 문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최근 지구 온난화, 석유자원 고갈, 폐기물 문제 등 많은 문제를 안고 있는 석유계 플라스틱을 대체할 수 있는 식물 또는 천연계 물질을 원료로 하는 플라스틱 개발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친환경 플라스틱으로 생분해성 플라스틱과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으로 구분되는데, 이중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은 바이오플라스틱의 낮은 내열성 및 내구성을 보완하기 위해 석유계 플라스틱과 바이오플라스틱을 블랜드한 것을 말한다.
이들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에 사용될 수 있는 바이오플라스틱으로는 폴리글리콜산, 폴리유산, 폴리카프로락톤,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등이 알려져 있다. 이 중 폴리유산은 식물계 원료로 유산으로부터의 중합체이며, 이 때 유산의 광학이성질체의 함량에 따라 결정성 혹은 비결정성의 폴리유산이 제조된다.
폴리유산은 기존의 다른 바이오 플라스틱에 비하여 저렴한 가격과 우수한 물성으로 전체 바이오 플라스틱의 20%를 차지할 정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유산은 강도나 강성은 강하지만, 인성, 열변형온도, 외관이 좋지 못하여 그 단독으로는 생활용품, 전기전자 및 자동차 부품류 등에 적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고자 폴리유산과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등을 블렌딩한 시도가 있어왔다.
또한 그 외에도 범용 플라스틱인 폴리스티렌과도 블렌딩하여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도 있었다. 폴리스티렌은 성형가공성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생활용품, 일회용품, 전기 전자 제품, 포장재, 건축자재 등 각종 산업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폴리스티렌의 친환경화하면, 적용범위는 매우 넓은 것으로 기대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목적은 내충격성과 시트 압출성이 향상되고, 물성 균형이 우수한 환경친화적인 폴리유산-폴리 스티렌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i) 폴리유산 수지 9 내지 90중량%; ii) 폴리스티렌 수지 9 내지 90중량%; 및 iii) 상용화제 1 내지 3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유산-폴리스티렌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폴리유산-폴리스티렌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충격보강제 1 내지 30중량%를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충격보강제는 스티렌계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i) 폴리유산 수지 9 내지 90중량%; ii) 폴리스티렌 수지 9 내지 90중량%; iii) 폴리유산과 폴리스티렌과의 상용성 향상을 위한 변성 폴리스티렌 공중합체 1 내지 30중량%; 및 iv) 내충격성 향상을 위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1 내지 30중량% 및 시트 압출성 향상을 위한 사슬확장제 0.01 내지 5중량%, 기타 첨가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 외에 부가적으로 반응형 화합물, 난연제, 윤활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반응촉매, 이형제, 안료, 염료, 대전 방지제, 전도성 부여제, EMI 차폐제, 자성부여제, 가교제, 항균제, 가공조제, 금속 불활성화제, 억연제, 불소계 적하방지제, 무기 충진제, 유리섬유, 내마찰 내마모제 및 커플링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유산-폴리스티렌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성형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폴리유산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 이상인 폴리 L-유산, 폴리 D-유산, 폴리 L, D-유산으로, 이들 폴리유산은 단독 혹은 둘 이상의 혼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유산은 유산의 광학순도가 높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즉, L-유산 또는 D-유산 중 한 이성질체가 85% 이상 포함되며, 95% 이상 포함될 시 내열성 및 결정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더 바람직하다.
한편, 국내에서는 식물기반 폴리유산을 비롯한 바이오 플라스틱의 최소 사용량에 대한 규정 및 환경마크 제조 등이 아직 구비되어 있지 못하여 부득이 일본 플라스틱 협회 (JBPA, Japan BioPlastics Association)의 바이오매스플라(biomasspla) 인증기준을 따르고자 한다. 이럴 경우 폴리유산 함유량은 전체 수지 조성물 중 최소 25중량% 이상 이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에 이용한 상기 폴리유산 수지의 함량은 얼로이 수지 조성물 100중량%를 기준할 때 9 내지 90중량%이며, 구체적으로는 25 내지 90중량%이다. 25중량% 미만에서는 바이오매스 총량에 따른 바이오매스플라 인증기준인 25중량%에 미달하여 인증 및 식물계 수지 사용 효과가 적으며 90중량% 초과에서는 가공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스티렌 수지의 특성이 감소하고 폴리유산의 특징이 우선적으로 나타나게 되어 신율, 내충격성, 가공성 등 전반적인 물성 저하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의 폴리스티렌 수지는 범용 폴리스티렌 또는 고무 변성 내충격성 폴리 스티렌(high-impact polystyrene)이 사용될 수 있는데, 범용 폴리스티렌은 투명성을 가지고 높은 강성을 가지나, 낮은 충격 특성을 가지는 한편, 고무 변성 내충격성 폴리스티렌은 높은 내충격성을 가진다.
고무변성 내충격성 폴리스티렌은 고무상 중합체 존재하에 스티렌 단량체 또는 그 외의 단량체, 1종 또는 2종 이상의 단량체를 여러 가지 방법에 따라 중합해 얻을 수 있다. 고무변성 내충격성 폴리스티렌의 스티렌 단량체는 스티렌, α-에틸스티렌, α-메틸스티렌과, o-t-부틸스티렌, t-메틸스티렌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무상은 부타디엔계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폴리 부타디엔(polybutadiene) 고무를 스티렌(styrene)에 용해해 이것을 벌크 중합(bulk polymerization) 또는 현탁 중합(suspension polymerization)하는 것으로 고무변성 내충격성 폴리스티렌을 제조 할 수 있다.
고무변성 내충격성 폴리스티렌 중의 고무상 중합체는 폴리스티렌 수지를 가공할 때 좀 더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얻을 수 있는 성형품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고 기계적 강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고무변성 내충격성 폴리스티렌에 함유되어 있는 부타디엔계 고무상의 함량은 구체적으로는 3-12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5-11중량%이 적합하다.
상기 폴리스티렌 수지 함량은 전체 수지 조성물의 9 내지 90중량%이며,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80중량%이다. 9중량% 미만에서는 폴리유산과의 상용성 저하, 가공성, 충격성의 저하가 있으며, 폴리스티렌 90중량% 초과한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폴리유산 함량이 25중량% 미만으로 일본 친환경, 바이오매스플라(biomasspla) 인증 기준에 부합되지 않아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또한 상기 고무변성 내충격성 폴리스티렌 수지의 용융지수(melt flow index)는 ASTM-D1238에 따라 200℃, 5kg 하중에서 측정한 값으로,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시트 압출성을 위해서는 1 내지 10g/10분인 고무변성 내충격성 폴리스티렌이 적합하다. 구체적으로는 2 내지 5g/10분이다.
상기 폴리유산과 폴리스티렌 수지와의 얼로이시 반응성 상용화제 또는 분산제를 첨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데, 반응성 상용화제를 통하여 폴리유산을 폴리스티렌 매트릭스(matrix) 내 미세 분산하는 기술이 이 반응성 상용화제의 주요 역할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반응성 상용화제로는 수산기(hydroxyl group), 카복실산(carboxylic acid) 또는 카복실레이트(carboxylate group), 아미노기(amino group), 설폰산(sulfonic acid) 또는 설포네이트(sulphonate group), 각종 염류(salts), 비닐 피롤리돈(vinyl pyrrolidone) 등의 반응성기를 포함하는 변성 스티렌계 공중합체가 사용 가능하다.
상기 반응성 상용화제는 폴리 유산과 폴리스티렌 얼로이 수지 조성물(100중량%)의 1 내지 30중량%이며, 구체적으로는 2 내지 20중량%를 포함한다.
이 함량 범위 내에서 제조되는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물성을 가지며, 시트 가공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1중량% 미만에서는 폴리유산과 폴리스티렌간의 상용성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여 시트 가공성 및 물성이 좋지 못하며, 30중량% 초과한 경우 기계적 강성이 저하되고, 시트 성형품 표면이 매끄럽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 변성 폴리 스티렌계 공중합체로는 구체적으로 무수 말레인산 변성 폴리 스티렌 공중합체(styrenic-maleic anhydride, SMA), 무수 말레인산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maleated styrene-acrylonitrile, MA-SAN) 공중합체, 무수 말레인산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maleated 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 MA-SEBS), 스티렌-메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Styrene-methyl methacrylate, SMMA)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는 랜덤, 블록, 그라프트 중 어느 공중합체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무수 말레인산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의 공중합체나, 무수 말레인산 변성 폴리스티렌 공중합체 등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공중합체들은 폴리 스티렌과의 상용성이 있는 분자구조인 스티렌 구조를 가지고 있고, 폴리유산과의 상용성 및 반응성이 있는 무수말레인산 그룹을 가지고 있는 변성 폴리 스티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의 사용량은 수지 전체대비 1 내지 30중량%를 사용하며, 구체적으로는 2 내지 20중량% 이다. 1중량% 미만에서는 폴리유산과 폴리스티렌간의 상용성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여 시트 가공성 및 기계적 물성이 좋지 못하고, 30중량% 초과한 경우에는 기계적 강성이 저하 성형품 표면이 매끄럽지 못한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충격보강제로는 올레핀계 충격보강제,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tyrene-butadiene-styrene, SBS) 충격보강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methylmethacrylate-butadiene-styrene, MBS) 충격보강제 및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충격보강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충격보강제 중 폴리스티렌과의 상용성, 내충격성, 비용적인 면을 고려할 때 스티렌계 충격보강제가 가장 적합하며, 스티렌계 충격보강제는 디엔계 단량체를 포함하며, 디엔계 단량체로는 부타디엔(Butadiene), 클로로프렌(Chloroprene), 이소프렌(Isoprene) 등의 단량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들 단량체를 포함하는 스티렌계 공중합체 중에서 가격이 저렴하고 고무 탄성이 뛰어난 부타디엔 단량체를 포함하는 스티렌계 공중합체가 적합하며 특히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삼블록 공중합체가 가장 적합하다.
상기 충격보강제는 디엔계 단량체를 30중량% 내지 80중량% 포함하는 스티렌계 공중합체가 적합하며, 디엔계 30중량% 미만에서는 스티렌 함량이 상대적으로 많아 탄성 성질보다는 좀 더 단단한 성질을 가지게 되어 충격보강제 역할을 충분히 하지 못하고 80중량% 초과일 경우, 스티렌 함량이 적어 메트릭스를 이루고 있는 폴리스티렌과의 상용성이 저하되고, 내열성, 강성 등이 저하된다.
상기 충격보강제는 폴리 유산과 폴리스티렌 얼로이 수지 조성물(100중량%)의 1 내지 30중량%를 사용하며, 구체적으로는 2 내지 20중량%이다.
이 함량 범위 내에서 제조되는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이 충분한 충격강도 및 신율을 가질 수 있다. 1중량% 미만에서는 내충격성이 충분치 않고 30중량% 초과한 경우 내충격성, 신율은 좋으나 폴리유산, 폴리스티렌과의 상용성 및 기계적 강성 저하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유산과 폴리스티렌 얼로이 수지 조성물의 시트 압출성을 향상시키고자 사슬확장제를 사용할 수 있다.
사슬확장제는 폴리유산의 하이드록시 또는 카복실 말단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가지고 있어 폴리유산의 분자량을 조절할 수 있어, 수지 조성물의 시트 압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폴리유산과 폴리스티렌 얼로이 조성물에서 폴리스티렌 매트릭스(matrix)에서 폴리유산 분산상의 분산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사슬확장제는 에폭시 관능기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공중합체로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 시안화 비닐 단량체, 실록산(siloxane),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등의 단량체 조합으로 이루어진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스티렌, 할로겐으로 치환된 스티렌이 사용 가능하고, 시안화 비닐 단량체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이 사용가능하고, 폴리에스테르 단량체로는 아크릴레이트가 사용 가능하다. 상기 사슬확장제는 폴리유산과 폴리스티렌 얼로이 수지 조성물(폴리유산+폴리스티렌+상용화제+충격보강제+사슬확장제=100중량%)의 0.01 내지 5중량%인 것이 기계적 강도 및 시트압출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폴리유산-폴리스티렌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UV 안정제, 활제, 가수분해 안정제, 금속 불활성제, 안료, 착색제, 대전방지제, 전도성 부여제, EMI 차폐제, 자성 부여제, 가교제, 항균제, 가공조제, 내마찰 마모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 조합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각종 첨가제는 본 발명에 따른 물리적 성질에 큰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한 내충격성 및 시트 압출성을 가지고, 물성 균형이 우수한 환경친화적인 폴리유산-폴리스티렌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6의 SEM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6의 시트압출한 시트이다.
도 3은 비교예 2의 SEM 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 6 및 비교예 2에 따른 시트의 점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7
본 발명의 조성물들을 상기와 같은 첨가제와 함께 슈퍼 믹서에서 일차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인 이축 압출기(twin-screw extruder), 일축 압출기(single-screw extruder), 200~230℃ 온도 구간에서 용융 혼련하여 압출가공을 하였다. 최종 펠렛화한 다음 80℃에서 4시간 이상 건조한 후 사출 성형하여 상온에서 1일 방치한 후, 시편들에 대한 물성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내지 5
하기 표 2의 조성에 따라 시편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시편을 제조한 후 그 물성을 측정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물성 평가>
* 인장강도 및 신율: ASTM D638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 굴곡 탄성율: ASTM D790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 노치 아이조드(Notched Izod): 충격강도: ASTM D256 방법에 의거하여 1/8inch 두께 시편에 노치 후 상온(23℃)에서 측정하였다.
* 시트압출성: 45Φ 일축 압출기(single extruder)를 이용하여 50cm 폭의 시트 성형을 하여 압출성 및 외관을 평가하였다.
* 점도: ASTM D3835 방법에 의거하여 Capillary die의 직경이 1mm이고 L/D가 30인 Capillary Rheometer를 이용하였으며, 온도는 230℃일 때 측정하였다.
<시트 압출성 평가>
* 압출성형시, 압출 성형성 및 성형된 시트를 육안으로 보아 판단하였으며 ◎ (성형성 및 시트외관 아주 우수), ○ (성형성 및 시트외관 우수), △ (성형성 양호), X (성형성 나쁨)로 평가하였다.
<재료>
A. 폴리유산 (PLA 4032D, Natureworks)
B-1. 고무변성 내충격성 폴리스티렌 수지: ALPHALAC SH860, LG화학
B-2. 고무변성 내충격성 폴리스티렌 수지: HIPS 651HB, LG화학
B-3. 고무변성 내충격성 폴리스티렌 수지: ALPHALAC SG910, LG화학
B-4. 폴리스티렌 수지: GPPS 25SPI, LG화학
C-1. 무수말레산 변성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Kraton
C-2. 무수말레산 변성 그라프트된 스티렌 공중합체, Nova Chemicals
C-3.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변성 그라프트된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MODIPER A4400, NOF corporation
D.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공중합체, LG604, LG화학
E. 사슬확장제: 에폭시 관능기를 가진 스티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Joncryl ADR4300, BASF
구분 실시예
1 2 3 4 5 6 7

폴리유산 A 30 30 30 30 30 30 40
폴리스티렌 B-1 60 60 - - - - -
B-2 - - 60 - 50 48 38
B-3 - - - 60 - - -
상용화제 C-1 10 - 10 10 10 10 10
C-2 - 10 - - - - -
C-3 - - - - - - -
충격보강제 D - - - - 10 10 10
사슬확장제 E - - - - - 2 2

인장강도(kgf/cm2) 270 280 290 300 250 280 290
인장신율(%) 80 70 80 90 100 100 90
굴곡탄성율(kgf/cm2) 18000 19000 19500 20000 17000 18000 19000
충격강도(kgfcm/cm) 10 9 8 9 10 12 8
시트 압출성
구분 비교예
1 2 3 4 5

폴리유산 A 30 30 30 30 30
폴리스티렌 B-2 70 - 60 - 60
B-4 - 70 - 50 -
상용화제 C-1 - - - - -
C-2 - - - - -
C-3 - - - - 10
충격보강제 D - - 10 10 -

인장강도(kgf/cm2) 300 450 280 400 350
인장신율(%) 10 7 18 13 6
굴곡탄성율(kgf/cm2) 22000 30000 21000 28000 24000
충격강도(kgfcm/cm) 2 1 3 2 2
시트 압출성 X X X X X
상기 표 1 및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유산-폴리스티렌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실시예 1 내지 7)은 무수말레인산 변성 폴리스티렌계 공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비교예 1, 2 및 5) 및 충격보강제인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만을 같이 포함하는 경우(비교예 4)에 비하여 인장강도, 골곡탄성율 등의 기계적 강도가 만족할 만한 수준이며, 중요한 인자인 신율, 충격강도 및 시트 압출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1과 도 2는 실시예 6의 SEM 사진과 시트압출한 시트이고, 도 3은 비교예 2의 SEM 사진이다.
도 3에서 보면, 폴리유산 분산상이 크고 불규칙한 모양을 나타내어, 폴리유산과 폴리스티렌의 상용성이 없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그에 비해 도 1은 폴리유산 분산상이 작고 고르게 분산되어 있고, 도 2와 같이 시트압출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에서 보면, 전단속도 전 범위에서 비교예 2의 점도가 실시예 6의 점도에 비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실시예 6의 시트 압출성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Claims (9)

  1. i) 폴리유산 수지 30 내지 42 중량%;
    ii) HIPS (고무 변성 내충격성 폴리스티렌 수지) 38 내지 60 중량%,
    iii) 무수 말레인산 변성 폴리 스티렌 공중합체(styrenic-maleic anhydride, SMA), 무수 말레인산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maleated styrene-acrylonitrile, MA-SAN) 공중합체, 및 무수 말레인산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maleated 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 MA-SEBS)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반응성 스티렌계 상용화제 2 내지 10 중량%,
    iv) 충격보강제로서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 2 내지 10 중량%, 및
    v) 에폭시계 관능기를 가지는 반응성 스티렌계 사슬확장제 0.01 내지 2 중량%를 포함하는 폴리유산-폴리스티렌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v)의 충격보강제는 디엔계 고무성분을 30 내지 80중량% 포함하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삼중블록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유산-폴리스티렌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i)의 HIPS (디엔 변성 내충격 폴리스티렌 수지)는 부타디엔계 고무성분을 3 내지 12중량% 포함하고 ASTM-D1238에 따라 200℃, 5kg 하중에서 측정한 용융지수가 2 내지 5g/10분인 고충격 폴리스티렌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유산-폴리스티렌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항, 제 3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유산-폴리스티렌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시트 압출 성형품.
KR1020130042058A 2013-04-17 2013-04-17 환경친화성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KR101620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058A KR101620135B1 (ko) 2013-04-17 2013-04-17 환경친화성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058A KR101620135B1 (ko) 2013-04-17 2013-04-17 환경친화성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491A KR20140124491A (ko) 2014-10-27
KR101620135B1 true KR101620135B1 (ko) 2016-05-12

Family

ID=51994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2058A KR101620135B1 (ko) 2013-04-17 2013-04-17 환경친화성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01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01404A (zh) * 2020-06-12 2021-12-17 汉达精密电子(昆山)有限公司 一种耐弯折pla/ps合金材料及其制品
CN116554608A (zh) * 2023-05-04 2023-08-08 博特尔包装(江苏)有限公司 一种可降解聚苯乙烯包装材料的制备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491A (ko) 2014-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2246B1 (ko) 내충격성 또는 내열성이 우수한 고분자 수지 조성물
US8546469B2 (en) Glass fiber-reinforc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using the same
JP4570533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廃材の再資源化方法、プラスチック組成物原料の製造方法、プラスチック組成物原料、プラスチック部材の製造方法、及びプラスチック部材
CN101215409A (zh) 一种pbt/abs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JP7260301B2 (ja) ブロー成形用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から成形される成形品
KR101263983B1 (ko) 블로우 성형성, 내충격성이 우수한 생활 용기용 폴리유산 함유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
JP5737359B2 (ja) ポリ乳酸系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KR101023650B1 (ko) 재생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이용한 친환경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620135B1 (ko) 환경친화성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JP2013163757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JP5017818B2 (ja) ポリ乳酸系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KR101505742B1 (ko) 내열성 및 내습성이 우수한 폴리유산-열가소성 수지 얼로이 조성물
JP2014031409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KR20100079518A (ko) 폴리락트산 함유 고분자 복합 재료
JP2009126916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熱可塑性樹脂原料または熱可塑性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ならびに熱可塑性樹脂原料または熱可塑性樹脂成形体
JP5718756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JP4615937B2 (ja) 熱可塑性樹脂成形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熱可塑性樹脂の再資源化方法
KR101388402B1 (ko) 폴리유산-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JP5625720B2 (ja) 複合ポリ乳酸系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KR101427452B1 (ko)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2011099048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KR101184735B1 (ko) 광택도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H04213351A (ja) 重合体ブレンド組成物
JP4824808B2 (ja) 熱可塑性樹脂成形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熱可塑性樹脂の再資源化方法
JP4616240B2 (ja) 熱可塑性樹脂成形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熱可塑性樹脂の再資源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