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7452B1 -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7452B1
KR101427452B1 KR1020110076470A KR20110076470A KR101427452B1 KR 101427452 B1 KR101427452 B1 KR 101427452B1 KR 1020110076470 A KR1020110076470 A KR 1020110076470A KR 20110076470 A KR20110076470 A KR 20110076470A KR 101427452 B1 KR101427452 B1 KR 101427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lactic acid
weight
resin
acrylate
m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6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4797A (ko
Inventor
이경우
나상욱
김지선
최기대
김호동
이미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10076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7452B1/ko
Publication of KR20130014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4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4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a) 폴리락트산, (b) ABS 수지 및 (c) SAN 수지를 함유하는 혼합물; (B)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및 (C) 충격보강제를 포함하는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용성 및 외관 특성이 우수하고, 가공성이 뛰어나며, 폐기 시 분해 능력이 우수하여, 전자제품, 자동차 내장재 및 사무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Polylactic acid resin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상용성 및 외관특성이 뛰어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제품은 뛰어난 물성과 저렴한 가격으로 생활용품, 전기전자 및 자동차 등의 많은 산업분야에서 사용되지만, 짧게는 일, 이년 정도 사용되다 폐기되는 경우가 많고, 폐기되는 플라스틱 제품은 매립 또는 소각 시 환경오염의 주요한 원인이 된다.
최근 지구 온난화, 석유자원의 고갈 및 폐기물에 의한 환경오염 문제 등이 전세계적으로 부각되면서, 환경오염 등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는 기존의 플라스틱을 대체할 수 있는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게 되었다.
초기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에 관한 연구는 일회용품, 쓰레기 봉투 및 포장용기 등과 같이 사용기간이 짧은 제품에 적용될 수 있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개발에 집중되어, 어떻게 하면 더 빠른 분해특성을 갖게 할 수 있는가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그러나 교토 의정서에 도입된 온실가스 감축 협정에 의한 온실가스의 총량 규제로 핸드폰, 자동차 내장제 및 노트북 등의 분야에서도 석유화학으로 제조되는 플라스틱을 대신할 수 있는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에 관한 관심 및 연구개발이 가속화되었다.
상기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으로는 폴리글리콜산, 폴리락트산, 폴리카프로락톤 및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등이 알려져 있는데, 이중 폴리락트산은 옥수수 전분의 발효로 얻어진 포도당을 거쳐 생성된 락트산을 탈수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락트산의 광학이성질체의 함량에 따라 결정성 혹은 비결정성의 폴리락트산이 제조된다.
상기 폴리락트산은 기존의 다른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에 비하여 저렴한 가격과 우수한 물성으로 전체 바이오플라스틱의 20%를 차지할 정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PP, PE 및 PVC 등 범용 플라스틱에 비해 기계적 강성 및 내열성이 부족하여 시트(sheet) 및 박막제품에서 쉽게 파손될 수 있으며, 낮은 내열성으로 인하여 성형제품의 변형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폴리락트산은 PP, PC 및 ABS 등 다른 고분자와 얼로이(합금)할 경우, 상용성이 부족하여 기계적 강도 및 외관특성이 나빠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78875 및 제10-2009-0084372에는 ABS 수지 및 SAN 수지와의 얼로이를 통해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의 상용성, 충격강도 및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핸드폰, TV 및 정수기 등 가정용 전자제품이나 데스크탑 및 노트북 같은 사무기기의 경우 원가 절감 및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하여 도장 공정을 배제한 플라스틱 소재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러나, 폴리락트산의 경우 내스크래치성이 없고, 충격강도가 낮으며, 가수분해성이 취약한 약점이 있으므로, 가전제품이나 사무기기에 적용 하기에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78875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84372
상용성 및 외관 특성이 우수하고, 가공성이 뛰어나며, 폐기 시 분해 능력이 우수하여, 전자제품, 자동차 내장재 및 사무기기 등에 적용 가능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A) (a) 폴리락트산, (b)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수지 및 (c)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 수지를 함유하는 혼합물; (B)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및
(C) 충격보강제를 포함하는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은 (A) (a) 폴리락트산, (b) ABS 수지 및 (c) SAN 수지를 함유하는 혼합물; (B)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및 (C) 충격보강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A) 혼합물에 포함되는 (a) 폴리락트산은 중량평균 분자량이 160,000 내지 350,000일 수 있다. 상기 중량평균 분자량이 350,000을 초과하면, 점도가 너무 높아져 압출 및 사출가공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160,000 미만이면, 내열성 및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a) 폴리락트산으로는 폴리 L-락트산, 폴리 D-락트산 및 폴리 L,D-락트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a) 폴리락트산은 (A) 혼합물에 10 내지 6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친환경 소재의 이미지가 저해될 우려가 있으며, 60 중량부를 초과하면, 기계적 물성 및 내열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A) 혼합물에 포함되는 (b) ABS 수지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40,000 내지 120,000일 수 있다. 상기 중량평균 분자량이 40,000 미만이면, 제조되는 폴리락트산 수지가 충분한 내열성을 가지지 못할 우려가 있으며, 120,000을 초과하면, 가공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b) ABS 수지로는 i) 부타디엔형 고무, 이소프렌형 고무, 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및 알킬아크릴레이트 고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과 ii) 스티렌계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 및 무수말레익산 단량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량체와의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b) ABS 수지는 상기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i) 화합물을 10 내지 70 중량부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ii) 단량체를 30 내지 9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b) ABS 수지로는 무수말레익산과 공중합된 ABS-무수말레익산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무수말레익산의 함량은 (b) ABS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20 중량%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A) 혼합물에 포함되는 (c) SAN 수지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100,000 내지 350,000일 수 있다. 중량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제조되는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의 강도가 저하되어 잘 부서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c) SAN 수지로는 SAN 수지, SAN-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MA) 공중합체 및 SAN-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GMA)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SAN-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GMA)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SAN-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GMA) 공중합체를 사용할 경우, 강도(특히, 충격강도)가 매우 우수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SAN 수지 중에서 아크릴로니트릴의 함량은 15 내지 4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의 강도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SAN-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MA) 공중합체 중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은 40 내지 80 중량%일 수 있으며, SAN-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GMA) 공중합체 중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은 2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폴리락트산 수지의 강도가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 (A) 혼합물에 포함되는 (b) ABS 수지 및 (c) SAN 수지의 중량비는 1 : 9 내지 9 : 1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우수한 내열성을 지닐 수 있다.
또한, (b) ABS 수지 및 (c) SAN 수지는 (A) 혼합물에 40 내지 9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B)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하고 있는 수지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B)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로, 예를 들어, 폴리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스티렌-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스티렌-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메타아크릴릭산 공중합체, 스티렌-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무수말레익산 공중합체 및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MABS)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B)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230℃ 및 3.8 Kg 하중에서 측정한 유동지수가 1 내지 30 g/10 min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g/10 min일 수 있다. 상기 유동지수가 1 g/10 min 미만이면, 흐름성이 좋지않아 다른 성분들과 잘 섞이지 않을 우려가 있으며, 30 g/10min을 초과하면, 흐름성이 너무 좋아 상용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B)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의 제조방법은 통상의 방법인 경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수지의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랜덤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또는 그라프트 공중합체일 수 있고, 그 형태도 제한되지 않으며, 미세분산 형태, 코아-쉘 형태 등일 수 있으며, 또한, 개질 또는 변성된 형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B)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의 함량은 (A)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70 중량부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외관특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70 중량부를 초과하면, 내열성 저하 및 환경 친화적 소재 개발이라는 소기 목적을 달성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C) 충격보강제는 (a) 폴리락트산 및 (b) ABS 수지/(c) SAN 수지 사이의 상용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C) 충격보강제의 종류로는 올레핀계 충격보강제,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MBS)계 충격보강제,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계 충격보강제, 실리콘계 충격보강제 및 폴리에스터계 엘라스토머 충격보강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올레핀계 충격보강제로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충격보강제는 하드 세그먼트인 폴리부틸테레프탈레이트 및 소프트 세그먼트인 폴리테트라메틸렌옥사이드글리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C) 충격보강제의 함량은 (A)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에서 제조되는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이 충분한 충격강도 및 내열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은 전술한 폴리락트산, ABS 수지 및 SAN 수지를 함유하는 혼합물, 폴리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충격보강제 외에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이형제, 가소제, 항균제, 안료 및 가교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앞에서 전술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을 혼합 및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성형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은 (A) (a) 폴리락트산, (b) ABS 수지 및 (c) SAN 수지를 함유하는 혼합물; (B)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및 (C) 충격보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a) 폴리락트산, (b) ABS 수지 및 (c) SAN 수지를 함유하는 혼합물; (B)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및 (C) 충격보강제의 종류 및 함량은 앞에서 전술한 종류 및 함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의 혼합 및 압출은 압출기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압출기의 종류는 이 분야에서 사용되는 압출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축 압출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압출기의 배럴 온도는 170 내지 240℃일 있다. 상기 온도 범위에서 수지의 양산이 용이하고, 외관이 우수한 생분해성 폴리락트산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핸드폰, 노트북 등의 전자제품, 자동차 내장재 및 사무기기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상용성 및 외관 특성이 우수하고, 가공성이 뛰어나며, 폐기 시 분해 능력이 우수하여, 전자제품, 자동차 내장재 및 사무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 및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중량평균 분자량이 230,000인 폴리락트산(4032D, Nature works사) 30 중량부, 중량평균 분자량이 50,000 내지 80,000인 ABS 수지(LG화학, ABS MA201) (ABS-1) 18 중량부, 중량평균 분자량이 150,000 내지 300,000인 SAN 수지(LG화학, SAN 80HF)(SAN-1) 37 중량부, 유동지수가 11 g/10 min(230℃ 및 3.8 kg 하중에서 측정)인 PMMA(PMMA-1) 10 중량부 및 실리콘계 충격보강제(LG화학, SIM100) 5 중량부를 압출기를 이용하여 배럴온도 230℃의 조건에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을 펠렛 형태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펠렛을 충분히 제습 건조한 다음 사출기를 이용하여 물성 측정을 위한 시편을 얻었다.
실시예 2
유동지수가 2.2 g/10 min(230℃, 3.8 kg)인 PMMA(PMMA-2) 10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시편을 얻었다.
실시예 3
무수말레익산 10 내지 12 중량%가 공중합된 ABS 수지(ABS-2) 18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시편을 얻었다.
실시예 4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75 중량%가 공중합된 SAN 수지(SAN-2) 37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시편을 얻었다.
실시예 5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가 공중합된 SAN 수지(LG화학, SAN XT580)(SAN-3) 37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시편을 얻었다.
실시예 6
폴리락트산 40 중량부, ABS 수지(ABS-1) 14 중량부 및 SAN 수지(SAN-1) 31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시편을 얻었다.
실시예 7
폴리락트산 50 중량부, ABS 수지(ABS-1) 9 중량부 및 SAN 수지(SAN-1) 26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시편을 얻었다.
비교예 1
PMMA 및 충격보강제를 사용하지 않고, 폴리락트산 30 중량부, ABS 수지(ABS-1) 25 중량부 및 SAN 수지(SAN-1) 45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시편을 얻었다.
비교예 2
PMMA 및 충격보강제를 사용하지 않고, 폴리락트산 50 중량부, ABS 수지(ABS-1) 15 중량부 및 SAN 수지(SAN-1) 35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시편을 얻었다.
비교예 3
충격보강제를 사용하지 않고, 폴리락트산 30 중량부, ABS 수지 20 중량부(ABS-1), SAN 수지(SAN-1) 40 중량부 및 PMMA(PMMA-1) 10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시편을 얻었다.
비교예 4
PMMA를 사용하지 않고 폴리락트산 30 중량부, ABS 수지(ABS-1) 20 중량부, SAN 수지(SAN-1) 40 중량부 및 충격보강제 10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시편을 얻었다.
비교예 5
ABS 수지 및 SAN 수지를 사용하지 않고, 폴리락트산 30 중량부, PMMA(PMMA-1) 60 중량부 및 충격보강제 10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시편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펠렛을 80℃에서 4 시간 동안 건조한 후, 75 ton의 사출능력을 가지는 사출성형기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230℃, 금형온도 60℃로 하여 물성시편을 제조하였다. 상기 물성시편의 내열도, 기계적 강도, 외관특성 및 weld line은 하기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냈다.
(1) 내열도
* ASTM D648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2) 기계적 강도
* 굴곡강도 - ASTM D790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 굴곡탄성율 - ASTM D790<59>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 인장강도 - ASTM D638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 충격강도(Izod notched 충격강도) - ASTM D256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3) 외관특성 및 weld line
* Flow mark, 광택 등 외관특성을 잘 나타낼 수 있도록 특수 제작한 금형으로 시편을 사출하여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 : 우수, ○ : 양호, △ : 보통, X : 나쁨)
* weld line이 잘 만들어지도록 제작한 금형으로 시편을 사출하여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유/무)
구분 실시예
1 2 3 4 5 6 7
조성 PLA 30 30 30 30 30 40 50
ABS1 18 18 18 18 14 9
ABS2 18
SAN1 37 37 37 31 26
SAN2 37
SAN3 37
PMMA1 10 10 10 10 10 10
PMMA2 10
충격보강제 5 5 5 5 5 5 5
물성 HDT(℃) 92 91.5 92 89 90 85 81
인장강도(Kg/cm2) 525 535 510 500 450 450 410
충격강도(Kgcm/cm) 21 20 19 25 29 17 12
굴곡강도(Kg/cm2) 814 824 815 790 700 780 800
굴곡탄성율(Kg/cm2) 26000 26000 25500 24000 21000 24000 25000
외관
Weld line
구분 비교예
1 2 3 4 5
조성 PLA 30 50 30 30 30
ABS1 25 15 20 20
ABS2
SAN1 45 35 40 40
SAN2
SAN3
PMMA1 10 60
PMMA2
충격보강제 10 10
물성 HDT(℃) 83 78 92 90 75
인장강도(Kg/cm2) 350 340 400 450 520
충격강도(Kgcm/cm) 5 3 5 9 15
굴곡강도(Kg/cm2) 820 780 750 780 800
굴곡탄성율(Kg/cm2) 25000 24000 23000 24000 23000
외관 X X
Weld line
상기 표 1 및 표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은 상용성이 개선되어 우수한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를 가지며, 외관특성도 비교적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폴리락트산의 함량을 30 중량부로 유지한 실시예 1 내지 5의 내열성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특히, SAN 수지에 MMA가 공중합된 수지를 사용한 실시예 5의 경우, 충격강도가 매우 우수했으며, 외관특성도 우수하게 나타났다.
비교예 1 및 2에서와 같이 PMMA 및 충격보강제를 사용하지 않은 수지 조성물의 경우, 상용성의 저하에 따른 기계적 물성과 외관특성이 저하되었으며, 폴리락트산의 함량이 높은 비교예 2의 내열성이 낮게 측정되었다.
PMMA 또는 충격보강제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3 및 4에서는 외관특성은 양호하지만 충격강도 등 기계적 강도가 실시예에 비해 현저히 감소했다.
또한, ABS 수지 및 SAN 수지를 사용하지 않고, PMMA 및 충격보강제만을 사용한 경우 weld line이 없어지며, 외관특성이 매우 좋아짐을 알 수 있는데 이는 폴리락트산과 PMMA의 상용성이 좋기 때문이다. 하지만 핸드폰, 노트북 등 가전제품이나 사무기기에 사용하기는 내열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Claims (22)

  1. (A) (a) 폴리락트산, (b)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수지 및 (c) SAN 수지, SAN-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MA) 공중합체 및 SAN-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GMA)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 수지를 함유하는 혼합물;
    (B)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및
    (C) 충격보강제를 포함하는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a) 폴리락트산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160,000 내지 350,000인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a) 폴리락트산은 폴리 L-락트산, 폴리 D-락트산 및 폴리 L,D-락트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b) ABS 수지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40,000 내지 120,000인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b) ABS 수지는 i) 부타디엔형 고무, 이소프렌형 고무, 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및 알킬아크릴레이트 고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과 ii) 스티렌계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계 단량체 및 무수말레익산 단량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량체가 공중합된 것인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b) ABS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i) 화합물 10 내지 70 중량부 및 ii) 단량체 30 내지 90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c) SAN 수지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100,000 내지 350,000인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SAN 수지 중 아크릴로니트릴의 함량은 15 내지 40 중량%인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SAN-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MA) 공중합체 중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은 40 내지 80 중량%이며, SAN-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GMA) 공중합체 중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은 2 내지 10 중량%인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b) ABS 수지 및 (c) SAN 수지의 중량비는 1 : 9 내지 9 : 1인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A) 혼합물은 (a) 폴리락트산 10 내지 60 중량부; 및
    (b) ABS 수지 및 (c) SAN 수지 40 내지 90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13. 제 1 항에 있어서,
    (B)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폴리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티렌-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스티렌-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메타아크릴릭산 공중합체, 스티렌-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무수말레익산 공중합체 및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14. 제 1 항에 있어서,
    (B) 폴리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의 함량은 (A)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70 중량부인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15. 제 1 항에 있어서,
    (C) 충격보강제는 올레핀계 충격보강제,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충격보강제,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계 충격보강제, 실리콘계 충격보강제 및 폴리에스터계 엘라스토머 충격보강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16. 제 15 항에 있어서,
    올레핀계 충격보강제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17. 제 15 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계 엘라스토머 충격보강제는 하드 세그먼트인 폴리부틸테레프탈레이트 및 소프트 세그먼트인 폴리테트라메틸렌옥사이드글리콜을 포함하는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18. 제 1 항에 있어서,
    (C) 충격보강제의 함량은 (A)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부인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19.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이형제, 가소제, 항균제, 안료 및 가교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20. 제 1 항에 따른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을 혼합 및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락트산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혼합 및 압출은 압출기를 통해 이루어지며, 압출기의 배럴온도는 170 내지 240℃인 폴리락트산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
  22. 제 1 항의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성형품.
KR1020110076470A 2011-08-01 2011-08-01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427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470A KR101427452B1 (ko) 2011-08-01 2011-08-01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470A KR101427452B1 (ko) 2011-08-01 2011-08-01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797A KR20130014797A (ko) 2013-02-12
KR101427452B1 true KR101427452B1 (ko) 2014-08-08

Family

ID=47894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6470A KR101427452B1 (ko) 2011-08-01 2011-08-01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74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35673B (zh) * 2018-10-22 2021-05-25 诺思贝瑞新材料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耐热抗冲高透明聚乳酸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1688A (ja) 2005-12-22 2007-08-02 Toray Ind Inc 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KR20080025072A (ko) * 2005-07-08 2008-03-19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수지 조성물 및 이것으로 이루어진 성형품
KR20090078875A (ko) * 2008-01-16 2009-07-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열도가 개선된 생분해성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20100078850A (ko) * 2008-12-30 2010-07-08 제일모직주식회사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5072A (ko) * 2005-07-08 2008-03-19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수지 조성물 및 이것으로 이루어진 성형품
JP2007191688A (ja) 2005-12-22 2007-08-02 Toray Ind Inc 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KR20090078875A (ko) * 2008-01-16 2009-07-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열도가 개선된 생분해성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20100078850A (ko) * 2008-12-30 2010-07-08 제일모직주식회사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797A (ko) 2013-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6469B2 (en) Glass fiber-reinforc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using the same
KR101922246B1 (ko) 내충격성 또는 내열성이 우수한 고분자 수지 조성물
JP4054042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ならびにその成形品
JP6667253B2 (ja) センターフェイシア用耐薬品性高分子樹脂組成物
EP3042931B1 (en) Polymer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thereof
JP2012131905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該熱可塑性樹脂組成物からなる成形体
KR101234496B1 (ko) 내열도 및 충격강도가 개선된 생분해성 폴리락트산 수지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5017818B2 (ja) ポリ乳酸系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JP5107163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射出成形品
KR101427452B1 (ko)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949377B1 (ko)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JP2010037485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KR101505742B1 (ko) 내열성 및 내습성이 우수한 폴리유산-열가소성 수지 얼로이 조성물
JP2015063583A (ja) ポリ乳酸系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KR101620135B1 (ko) 환경친화성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KR20190076480A (ko) 기계적 물성이 개선된 바이오 플라스틱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필터 하우징
JP2015025119A (ja) ポリ乳酸系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成形体
JP2011099048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KR20190035780A (ko) 에폭시 변성 비닐계 공중합체, 그것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품
JP2008214575A (ja) 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KR101233371B1 (ko)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JP2008222883A (ja) ポリ乳酸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13223A (ko) 결정화도 및 내열성 개선 생분해성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EP2202272B1 (en) Polyhydroxy alkano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made using the same
JP2012087296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