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8924B1 - 인쇄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인쇄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8924B1
KR101618924B1 KR1020130087815A KR20130087815A KR101618924B1 KR 101618924 B1 KR101618924 B1 KR 101618924B1 KR 1020130087815 A KR1020130087815 A KR 1020130087815A KR 20130087815 A KR20130087815 A KR 20130087815A KR 101618924 B1 KR101618924 B1 KR 101618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power supply
printing device
value
controll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7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3992A (ko
Inventor
겐스케 가와지리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13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 디바이스가 턴 오프되기 전에, 인쇄 디바이스의 상태에 따라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유닛과, 인쇄 디바이스가 턴 온된 후에, 인쇄 디바이스를 저장 유닛에 저장된 정보에 따른 상태로 이행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인쇄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쇄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PRIN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인쇄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인쇄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인쇄 장치는 전력이 공급될 때 대기 상태(스탠바이 상태)로 이행하도록 제어되며, 대기 상태는 인쇄 장치가 사용자가 전원 스위치를 누르는 것을 대기하는 상태이다. 또한, 인쇄 장치는 사용자가 전원 스위치를 누를 때 ON 상태로 이행하도록 제어된다. 이러한 인쇄 장치에서, 일반적으로, 전력이 공급되기 전에 전원 스위치가 눌러져 있는지 여부에 따라 인쇄 장치가 ON 상태로 이행되는 제어가 또한 공지되어 있다. 이 경우에, 인쇄 장치는 사용자에 의한 전원 스위치의 누름 없이 ON 상태로 이행된다(일본 특허 공개 제2011-160526호 참조).
그러나, 종래의 인쇄 디바이스는 인쇄 장치를 ON 상태로 이행해야 하는지 여부만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쇄 장치는 인쇄 장치가 ON 상태에 추가하여 슬립 상태를 포함하는 각각의 다른 상태로 유지될 수 있더라도 다른 상태로 이행될 수 없다.
또한, 인쇄 장치가 전원 공급을 받기 전에 ON 상태에 있으면, 종래의 인쇄 디바이스는 전원 공급을 받은 후에 ON 상태로 항상 이행하도록 인쇄 장치를 간단히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인쇄 장치는 ON 상태가 요구되지 않을 때에도, 예를 들어 인쇄 장치가 전원 공급을 받기 전에 ON 상태에 있고 디바이스가 고장났을 때에도, ON 상태로 이행된다.
본 발명은 인쇄 장치로의 전원 공급이 정지되고 이어서 재개된 후에, 인쇄 장치의 전원 공급 상태가 전원 공급이 정지되기 전의 전원 공급 상태에 적응하는 전원 공급 상태로 자동으로 이행되는 구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인쇄 디바이스는, 인쇄 디바이스가 턴 오프되기 전에, 인쇄 디바이스의 상태에 따라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유닛과, 인쇄 디바이스가 턴 온된 후에, 인쇄 디바이스를 저장 유닛에 저장된 정보에 따른 상태로 이행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양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인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쇄 장치의 제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프린터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인쇄 장치에 의해 취해진 가능한 스테이터스(status)의 리스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인쇄 디바이스를 위한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6은 인쇄 디바이스를 위한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7은 인쇄 디바이스를 위한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본 발명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 특징 및 양태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시스템 구성
제1 예시적인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인쇄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인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에서, 스캐너(711)는 화상 신호를 광학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레이저 출력 유닛(도시되지 않음), 다각형 미러(712), 다각형 미러(712)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도시되지 않음) 및 f/θ 렌즈(713)를 포함한다. 다각형 미러(712)는 다면체, 예를 들어 8면체이다. 레이저 출력 유닛으로부터 방출된 레이저광은 다각형 미러(712)의 일 표면에 의해 반사되고, f/θ 렌즈(713) 및 반사 미러(714)를 통과한다. 반사 미러(714)를 통과한 후에, 레이저광은 도 1에 도시된 화살표에 의해 나타내진 방향으로 회전하는 감광 드럼(715)의 표면을 선형 래스터-스캔(raster-scan)한다.
이에 따라, 문서 상의 화상에 대응하는 정전 잠상이 감광 드럼(715)의 표면 상에 형성된다. 감광 드럼(715)의 주연부에는, 1차 대전 디바이스(717), 전체면 노광 램프(718), 전사되지 않은 잔류 토너를 수집하기 위한 클리닝 유닛(723) 및 전사전(pre-transfer) 대전 디바이스(724)가 배치된다. 현상 유닛(726)은 감광 드럼(715)의 표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한다. 현상 유닛(726)은 이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각각의 현상 슬리브(731Y, 731M, 731C, 731Bk)는 감광 드럼(715)과 접촉하고, 감광 드럼(715)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직접 현상한다. 토너 카트리지(730Y, 730M, 730C, 730Bk)는 예비 토너를 수납한다. 각각의 스크류(732)가 현상제를 이송한다. 현상 슬리브(731Y, 731M, 731C, 731Bk), 토너 카트리지(730Y, 730M, 730C, 730Bk) 및 스크류(732)는 현상 유닛(726)의 중심 샤프트(P) 주위에 배열된다. 이들 구성 요소의 참조 부호 Y, M, C 및 Bk는 컬러를 나타낸다.
즉, 참조 부호 "Y", "M", "C" 및 "Bk"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을 각각 표현한다. 도어(701)가 사용자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701) 바로 아래에 위치된 임의의 토너 카트리지(730Y, 730M, 730C, 730Bk)만을 제거할 수 있다. 도어(701) 바로 아래의 위치는 교환 위치라 칭한다.
도 1에서, 블랙의 토너 카트리지(730Bk)가 교환 위치에 있다. 토너 카트리지(730Y, 730M, 730C, 730Bk)는 샤프트(P) 주위로 회전되어, 교환 위치에서의 토너 컬러가 변경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인쇄 장치는 블랙 토너 카트리지(730Bk)가 교환 위치에 있을 때 최고 속도로 인쇄할 수 있다. 그러나, 고속 인쇄 속도에 대한 교환 위치에서 토너 컬러는 엔진 구성에 따라 상이할 수도 있다.
현상 유닛 위치 센서(742)가 현상 유닛(726)의 회전 위치를 검출한다. 옐로우 토너 화상이 형성될 때, 현상 유닛(726)은 도 1에 도시된 위치에서 옐로우 토너 현상 처리를 수행한다. 마젠타 토너 화상이 형성될 때, 현상 유닛(726)은 도 1의 샤프트(P) 주위로 회전되어 마젠타 현상 디바이스 내부의 현상 슬리브(731M)가 감광 드럼(715)과 접촉하게 된다. 시안 및 블랙 컬러 토너 화상이 형성될 때, 유사한 동작이 수행된다.
전사 드럼(716)이 감광 드럼(715)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용지에 전사한다. 액추에이터 플레이트(719)가 전사 드럼(716)의 이동 위치를 검출한다. 위치 센서(720)가 액추에이터 플레이트(719)에 접근함으로써 홈 위치로의 전사 드럼(716)의 이동을 검출한다.
액추에이터 플레이트(719), 위치 센서(720), 전사 드럼 클리너(725), 용지 가압 롤러(727) 및 전사 대전 디바이스로서 제공되는 방전 디바이스(729)가 전사 드럼(716)의 주연부 상에 배열된다. 한편, 급지 카세트(735, 736)가 용지(791)를 수납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급지 카세트(735)는 A4-사이즈 용지를 수납하고, 반면에 급지 카세트(736)는 A3-사이즈 용지를 수납한다. 용지들은 각각의 급지 롤러(737, 738)에 의해 급지 카세트(735, 736)로부터 공급된다.
타이밍 롤러(739, 740, 741)는 용지 공급 및 용지 반송의 타이밍을 조정한다. 용지는 이들 롤러(739, 740, 741)를 통해 용지 가이드(490)로 안내되고, 그 선단부가 그리퍼(gripper)(728)에 의해 개재된 상태로 전사 드럼(716) 주위에 권취된다. 다음에, 용지는 화상 형성 처리를 받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풀컬러 인쇄가 YMCK의 4개의 컬러로 수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에서, 하나의 전사 드럼(716)을 포함하는 인쇄 장치가 예로서 설명된다. 그러나, 인쇄 장치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쇄 장치는 Y, M, C 및 Bk의 각각의 컬러에 대한 전사 드럼(716)을 가질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쇄 디바이스의 제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 프린터(311)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 유닛(313)의 구성이 상세히 설명된다. 도 2에서, 컨트롤러 유닛(313)은 화상 출력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는 프린터(311)에 접속함으로써 화상 데이터 및 디바이스 정보를 입력 및 출력한다. 중앙 처리 유닛(CPU)(301)은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이다.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303)가 CPU(301)의 동작을 위한 시스템 작업 메모리로서 제공된다. 또한, RAM(303)은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프로그램 메모리 및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화상 메모리로서 제공된다. 비휘발성 메모리(NVMEM)(304)는 설정 정보 등을 저장한다. 조작 유닛(316)은 디바이스를 조작하는데 사용되는 키(key)와, 디바이스의 상태를 나타내는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한다. 조작 유닛 인터페이스(I/F)(315)는 조작 유닛(316)과 접속되어, 조작 유닛(316)에 포함된 LED의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조작 유닛 I/F(315)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 유닛(316)으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CPU(301)에 통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플래시 판독 전용 메모리(FLASH ROM)(302)는 재기록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이고, 제어 시스템을 위한 다양한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범용 직렬 버스(USB) 인터페이스(306)가 외부 디바이스로의 USB 접속을 허용한다. 근거리 통신망(LAN) 인터페이스(314)가 외부 디바이스로의 LAN 접속을 허용한다. 이들 디바이스들은 시스템 버스(305) 상에 배열된다.
화상 버스 I/F(307)는 고속으로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시스템 버스(305) 및 화상 버스(312)를 접속한다. 화상 버스 I/F(307)는 데이터 구조를 변환하기 위한 버스 브리지로서 제공된다. 화상 버스(312)는 미국 전기 전자 학회(IEEE) 1394의 주변 장치 상호 접속(PCI) 버스를 포함한다. 화상 버스(312) 상에는, 이하의 디바이스들이 배열된다. 래스터 화상 프로세서(RIP)(308)가 페이지 기술 언어(PDL) 레코드와 같은 벡터 데이터를 비트맵 화상으로 래스터 변환한다. 프린터 I/F(310)는 프린터(311)와 컨트롤러 유닛(313)을 접속하여, 화상 데이터의 동기/비동기 변환이 수행되고, 제어 명령이 송신 및 수신되고, 전력이 공급되게 된다.
화상 처리 유닛(309)은 입력 화상 데이터를 보정하고, 처리하고, 편집한다. 화상 처리 유닛(309)은 또한 프린트 출력 화상 데이터에 대한 프린터를 위한 보정 및 해상도 변환을 수행한다. 게다가, 화상 처리 유닛(309)은 화상 데이터를 회전시키고, 다치 화상 데이터에 대한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JPEG) 처리 및 2진 화상 데이터에 대한 Joint Bi-level Image Experts Group(JBIG), Modified Modified read(MMR) 및 Modified Huffman(MH) 처리와 같은 압축/압축 해제 처리를 수행한다.
프린터(311)는 래스터 화상 데이터를 용지 상의 화상으로 변환한다. 감광 드럼 또는 감광 벨트를 사용하는 전자 사진 방법과, 미소 노즐 어레이로부터 잉크를 토출함으로써 용지 상에 화상을 직접 인쇄할 수 있게 하는 잉크젯 방법을 포함하는 복수의 변환 방법이 존재한다. 그러나, 프린터(311)는 임의의 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인쇄 동작은 CPU(301)로부터의 명령에 의해 개시된다.
컨트롤러 유닛(313)은 NVMEM(304) 내에 전원 공급 상태 통지값을 보유하고, 이러한 값을 관리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원 공급 상태 통지값은 특정 상태의 값, 예를 들어 OFF 상태, ON 상태 및 SLEEP 상태와 같은 복수의 상태들 중 어느 하나의 값을 포함한다. 컨트롤러 유닛(313)이 프린터(311)로부터 프린터 I/F(310)를 통해 이행 대상 상태에 대한 질의를 수신할 때, 컨트롤러 유닛(313)은 전원 공급 상태 통지값의 값으로 프린터(311)로부터의 질의에 응답한다. OFF 상태는 또한 스위치 누름 대기 상태라 칭한다. OFF 상태는 전원 스위치가 눌러지면 전원의 공급이 개시되는 상태에 대응한다.
컨트롤러 유닛(313)은 NVMEM(304) 내에 전원 공급 상태 통지 모드값을 보유하고, 이러한 값을 관리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원 공급 상태 통지 모드값은 모드 1, 모드 2, 모드 3 및 모드 4의 값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전원 공급 상태 통지 모드값은 선택적으로 조작 유닛(316)으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프린터(311)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컨트롤러 유닛(313)과 통신하는 프린터(311)의 구성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프린터(311)는 용지 상에 인쇄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엔진에 대응한다.
도 3에서, 프린터(311)는 노이즈 필터(201), 전원 스위치(202) 및 각각의 유닛을 동작하게 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제어 유닛(203)을 포함한다. 프린터(311)는 전력이 AC 입력으로부터 공급될 때 전원 공급을 받는다. 모터 유닛(204)은 급지 롤러(737, 738), 1차 대전 디바이스(717), 감광 드럼(715), 현상 유닛(726), 정착 롤러 및 용지 가압 롤러(727)를 회전시키고, 이들 부재들은 용지를 반송하는 동안 전자 사진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레이저 유닛(205)이 감광 드럼(715) 상에 화상을 기록하는데 사용되는 레이저광을 발생시키기 위한 레이저 소자를 제어한다. 레이저 유닛(205)은 또한 레이저 소자의 ON/OFF 및 레이저 소자로부터의 광량을 제어한다. 정착 유닛(206)은 열 정착을 위한 열원으로서 제공되는 정착 히터를 제어함으로써 열 정착을 수행한다.
NVMEM(207)은 비휘발성 메모리이고, 인쇄 설정에 관한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FLASH ROM(211)은 재기록 가능 비휘발성 메모리이고,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컨트롤러 I/F 유닛(208)이 프린터(311)와 컨트롤러 유닛(313)을 접속하여, 화상 데이터의 동기/비동기 변환이 수행되고, 제어 명령이 송신 및 수신되고, 전력이 공급되게 된다. 전원 공급 제어 유닛(203), 모터 유닛(204), 레이저 유닛(205), NVMEM(207) 및 컨트롤러 I/F 유닛(208)은 시스템 버스(209)에 의해 접속되고 CPU(210)에 의해 제어된다.
프린터(311)는 NVMEM(207) 내에 전원 공급 상태값을 보유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원 공급 상태값은 OFF 상태, ON 상태 및 SLEEP 상태 중 어느 하나의 값을 포함한다. 이들 상태에 추가하여, SLEEP 상태보다 더 많은 전력을 절약하는 딥 슬립(deep sleep) 상태가 추가될 수도 있다. 여기서, 딥 슬립 상태는 CPU, RAM 및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로의 전원 공급이 정지되는 반면에, 네트워크가 기능하게 하는데 필요한 디바이스에 전력이 공급되는 상태이다.
여기서, CPU(210)가 전원 공급 상태값이 ON 상태에 있는 동안 전원 스위치(202)가 눌러진 것을 검출하면, CPU(210)는 전원 공급 상태값을 OFF 상태로 변경한다. 이러한 상태 변경은 컨트롤러 I/F 유닛(208)을 통해 컨트롤러 유닛(313)에 통지된다.
CPU(210)가 전원 공급 상태값이 OFF 상태에 있는 동안 전원 스위치(202)가 눌러진 것을 검출하면, CPU(210)는 전원 공급 상태값을 ON 상태로 변경한다. 이러한 상태 변경은 컨트롤러 I/F 유닛(208)을 통해 컨트롤러 유닛(313)에 통지된다. 컨트롤러 유닛(313)으로부터 컨트롤러 I/F 유닛(208)을 통해 전원 공급 상태값을 변경하기 위한 명령의 수신시에, CPU(210)는 컨트롤러 유닛(313)에 의해 명령된 상태로 전원 공급 상태값을 변경한다.
전원 공급 상태값의 변경을 검출할 때, CPU(210)는 전력이 각각의 상태에 따라 전원 공급 제어 유닛(203)에 공급되도록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ON 상태에서, 전력은 CPU(210), NVMEM(207), FLASH ROM(211), 컨트롤러 I/F 유닛(208), 전원 스위치(202), 정착 유닛(206), 모터 유닛(204), 레이저 유닛(205) 및 컨트롤러 유닛(313)에 공급된다.
OFF 상태에서, 전력이 CPU(210), NVMEM(207), FLASH ROM(211) 및 전원 스위치(202)에 공급된다. SLEEP 상태에서, 전력이 CPU(210), NVMEM(207), FLASH ROM(211), 컨트롤러 I/F 유닛(208) 및 전원 스위치(202)에 공급된다. 도 4는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에 의해 취해진 가능한 스테이터스의 리스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각각의 스테이터스를 나타내는 값이 NVMEM(304)에 저장된다. 각각의 스테이터스가 이하에 설명된다.
도 4에서, 스테이터스 501은 프린터(311)가 인쇄 작업을 준비가 된(스탠바이 상태) 것을 나타낸다. 스테이터스 502는 프린터(311)에 의한 인쇄 작업이 진행중인 것을 나타낸다.
스테이터스 503은 프린터(311)에 토너가 없는 것을 나타낸다. 스테이터스 503에서, 토너 카트리지는 프린터(311) 내에 세트되어 있지 않다. 스테이터스 504는, 프린터(311)가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지만 토너 카트리지 내의 토너의 잔량이 적은, 토너 적음을 나타낸다. 스테이터스 505는 소정 종류의 고장이 디바이스 고장에 기인하여 프린터(311)에 발생하였고, 인쇄 작업이 수행될 수 없는 것을 나타낸다.
스테이터스 506은 슬립 상태를 나타내는데, 즉 프린터(311)는 어떠한 변경도 없이 특정 시간 기간 동안 준비(스테이터스 501)로 유지된다. 스테이터스 507은 용지가 프린터(311) 내부에 재밍되고, 인쇄 작업이 수행될 수 없는 것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인쇄 디바이스를 위한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플로우차트는 프린터(311)로의 전원 공급이 재기될 때 수행된 기동 처리의 예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플로우차트의 각각의 단계는 FLASH ROM(211)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처리하는 CPU(210)에 의해 실현된다.
단계 S101에서, 전력이 전원 공급 제어 유닛(203)에 의해 공급될 때, 프린터(311)는 SLEEP 상태로 이행된다. 단계 S102에서, 프린터(311)의 CPU(210)는 이행될 대상 상태에 대해 컨트롤러 I/F 유닛(208)을 통해 컨트롤러 유닛(313)에 질의한다. 단계 S103에서, 프린터(311)는 컨트롤러 유닛(313)으로부터 통지된 이행될 대상 상태가 ON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CPU(210)가 통지된 상태가 ON 상태인 것으로 판정하면(단계 S103에서 예), 동작은 단계 S105로 진행한다. 단계 S105에서, CPU(210)는 전원 공급 상태값을 ON 상태로 변경하고, 처리가 종료한다.
다른 한편으로, CPU(210)가 통지된 상태가 ON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하면(단계 S103에서 아니오), 단계 S104에서, 프린터(311)의 CPU(210)는 통지된 상태가 SLEEP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CPU(210)가 통지된 상태가 SLEEP 상태인 것으로 판정하면(단계 S104에서 예), 동작은 단계 S106으로 진행한다. 단계 S106에서, CPU(210)는 전원 공급 상태값을 SLEEP 상태로 변경하고, 처리가 종료한다. 다른 한편으로, CPU(210)가 통지된 상태가 SLEEP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정하면(단계 S104에서 아니오), 동작은 단계 S107로 진행한다. 단계 S107에서, CPU(210)는 전원 공급 상태값을 OFF 상태로 변경하고, 처리가 종료한다.
도 6은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인쇄 디바이스를 위한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플로우차트는 프린터(311)에 의해 가능하게 취해지는 스테이터스 501 내지 507 중 어느 하나가 변경될 때 컨트롤러 유닛(313)의 전원 공급 상태 통지값을 재기록하기 위한 처리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플로우차트의 각각의 단계는 FLASH ROM(302)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처리하는 컨트롤러 유닛(313) 내부의 CPU(301)에 의해 실현된다.
단계 S201에서, CPU(301)는 변경 후의 스테이터스가 디바이스 고장(스테이터스 505)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CPU(301)가 변경된 스테이터스가 디바이스 고장(스테이터스 505)인 것으로 판정하면(단계 S201에서 예), 동작은 단계 S203으로 진행한다. 단계 S203에서, CPU(301)는 전원 공급 상태 통지값을 OFF 상태로 변경하고, 처리가 종료한다.
다른 한편으로, CPU(301)가 변경 후의 스테이터스가 디바이스 고장(스테이터스 505)이 아닌 것으로 판정하면(단계 S201에서 아니오), 단계 S202에서, CPU(301)는 변경 후의 상태가 잼(스테이터스 507)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CPU(301)가 변경 후의 스테이터스가 잼(스테이터스 507)인 것으로 판정하면(단계 S202에서 예), 동작은 단계 S203으로 진행한다. 단계 S203에서, CPU(301)는 전원 공급 상태 통지값을 OFF 상태로 변경하고, 처리가 종료한다.
다른 한편으로, CPU(301)가 스테이터스가 잼(스테이터스 507)이 아닌 것으로 판정하면(단계 S202에서 아니오), 단계 S206에서, CPU(301)는 변경 후의 스테이터스가 슬립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테이터스 506). CPU(301)가 스테이터스가 슬립(스테이터스 506)인 것으로 판정하면(단계 S206에서 예), 동작은 단계 S204로 진행한다. 단계 S204에서, CPU(301)는 전원 공급 상태 통지값을 SLEEP 상태로 변경하고, 처리가 종료한다.
다른 한편으로, 스테이터스가 슬립(스테이터스 506)이 아니면(단계 S206에서 아니오), 동작은 단계 S205로 진행한다. 단계 S205에서, CPU(301)는 전원 공급 상태 통지값을 ON 상태로 변경하고, 처리가 종료한다. 이에 따라, 프린터(311)가 준비(스테이터스 501), 인쇄 중(스테이터스 502), 토너 없음(스테이터스 503) 및 토너 적음(스테이터스 504)의 스테이터스 중 어느 하나에 있으면, 전원 공급 상태 통지값은 ON 상태로 설정된다.
또한, 이 처리는 스테이터스 501 내지 507 중 어느 하나가 변경될 때의 타이밍 대신에 OFF 상태가 프린터(311)로부터 컨트롤러 I/F 유닛(208)으로 통지될 때의 타이밍에 실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 예시적인 실시예가 설명된다.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행될 대상 상태에 대한 프린터(311)로부터의 질의(도 5에 도시된 플로우차트의 단계 S102)가 전원 공급 상태 통지값의 값으로 응답된다. 그러나, 고정값이 조작 유닛(316)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모드에 따라 질의에 대한 응답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러한 경우가 상세히 설명된다.
도 7은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인쇄 디바이스를 위한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플로우차트는 이행될 대상 상태에 대한 프린터(311)로부터의 질의(도 5에 도시된 플로우차트의 단계 S102)가 수신될 때 컨트롤러 유닛(313)에 의해 수행된 응답 처리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플로우차트의 각각의 단계는 FLASH ROM(302)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처리하는 컨트롤러 유닛(313) 내부의 CPU(301)에 의해 실현된다.
단계 S301에서, 이행될 대상 상태에 대한 프린터(311)로부터의 질의의 수신시에(단계 S102), CPU(301)는 NVMEM(304)에 저장된 전원 공급 상태 통지 모드값의 값이 모드 1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CPU(301)가 전원 공급 상태 통지 모드값의 값이 모드 1인 것으로 판정하면(단계 S301에서 예), 동작은 단계 S304로 진행한다. 단계 S304에서, CPU(301)는 전원 공급 상태 통지값의 값으로 프린터(311)로부터의 질의에 응답하고, 처리가 종료한다. 다른 한편으로, CPU(301)가 전원 공급 상태 통지 모드값의 값이 모드 1이 아닌 것으로 판정하면(단계 S301에서 아니오), 단계 S302에서, CPU(301)는 전원 공급 상태 통지 모드값의 값이 모드 2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CPU(301)가 전원 공급 상태 통지 모드값의 값이 모드 2인 것으로 판정하면(단계 S302에서 예), 동작은 단계 S305로 진행한다. 단계 S305에서, CPU(301)는 ON 상태로 프린터(311)로부터의 질의에 응답하고, 처리가 종료한다. 다른 한편으로, CPU(301)가 전원 공급 상태 통지 모드값의 값이 모드 2가 아닌 것으로 판정하면(단계 S302에서 아니오), 단계 S303에서, CPU(301)는 전원 공급 상태 통지 모드값의 값이 모드 3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CPU(301)가 전원 공급 상태 통지 모드값의 값이 모드 3인 것으로 판정하면(단계 S303에서 예), 동작은 단계 S306으로 진행한다. 단계 S306에서, CPU(301)는 SLEEP 상태로 프린터(311)로부터의 질의에 응답하고, 처리가 종료한다.
다른 한편으로, CPU(301)가 전원 공급 상태 통지 모드값의 값이 모드 3이 아닌 것으로 판정하면(단계 S303에서 아니오), 동작은 단계 S307로 진행한다. 단계 S307에서, CPU(301)는 OFF 상태로 프린터(311)로부터의 질의에 응답하고, 처리가 종료한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의 양태는 전술된 실시예(들)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디바이스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 또는 MPU와 같은 디바이스)에 의해, 그리고 예를 들어 전술된 실시예(들)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디바이스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그 단계들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또한 실현될 수 있다. 이 목적으로, 예를 들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또는 메모리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서 기능하는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이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범주는 모든 이러한 변형 및 등가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기 위해 가장 넓은 해석에 따라야 한다.

Claims (14)

  1. 인쇄 디바이스이며,
    상기 인쇄 디바이스의 상태를 판정하고, 상기 인쇄 디바이스의 판정된 상태에 따라, 상기 인쇄 디바이스를 위한 전원 공급 상태 값을 변경하도록 구성된 컨트롤러 유닛으로서, 상기 컨트롤러 유닛에 의해 판정된 상기 인쇄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상태는 상기 인쇄 디바이스의 전원 공급 상태와는 다른 상태인, 상기 컨트롤러 유닛과,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질의를 상기 컨트롤러 유닛에 송신하고, 상기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질의에 응답하여 상기 컨트롤러 유닛에 의해 변경된 상기 전원 공급 상태 값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컨트롤러 인터페이스 유닛과,
    상기 인쇄 디바이스가 턴온된 후에, 상기 인쇄 디바이스를 상기 컨트롤러 인터페이스 유닛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전원 공급 상태 값에 대응하는 전원 상태로 이행시키도록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인쇄 디바이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상태 값은, 스위치 누름 대기 상태, ON 상태, 슬립 상태, 및 딥 슬립 상태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인쇄 디바이스.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엔진에 대한 전원 공급이 재개되고 이어서 전원 공급 상태가 슬립 상태로 이행된 후에,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엔진에 대한 전원 공급의 상태를 상기 컨트롤러 인터페이스 유닛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전원 공급 상태 값에 대응하는 다른 상태로 이행시키는, 인쇄 디바이스.
  8. 제어 방법이며,
    컨트롤러 유닛에 의해 인쇄 디바이스의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인쇄 디바이스의 판정된 상태에 따라, 상기 인쇄 디바이스를 위한 전원 공급 상태 값을 변경하는 단계로서, 상기 컨트롤러 유닛에 의해 판정된 상기 인쇄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상태는 상기 인쇄 디바이스의 전원 공급 상태와는 다른 상태인, 상기 변경하는 단계와,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하여 상기 컨트롤러 유닛에 질의하는 단계와,
    상기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질의에 응답하여 상기 컨트롤러 유닛에 의해 변경된 상기 전원 공급 상태 값을 컨트롤러 인터페이스 유닛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인쇄 디바이스가 턴온된 후에, 상기 인쇄 디바이스를 상기 컨트롤러 인터페이스 유닛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전원 공급 상태 값에 대응하는 상태로 이행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 유닛은, 상기 인쇄 디바이스의 상태를 판정하고 상기 인쇄 디바이스의 판정된 상태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 상태 값을 변경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쇄 디바이스의 판정된 상태는 준비된 상태, 인쇄 중 상태, 토너 없음 상태, 토너 적음 상태, 디바이스 고장 상태, 슬립 상태, 잼 상태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컨트롤러 인터페이스 유닛은, 상기 컨트롤러 유닛으로부터, OFF 상태, ON 상태, 및 슬립 상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전원 공급 상태 값으로서 수신하도록 구성된, 인쇄 디바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 유닛은, 복수의 모드 중 상기 인쇄 디바이스의 모드를 판정하고 판정된 모드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 상태 값을 변경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러 인터페이스 유닛은, OFF 상태, ON 상태, 및 슬립 상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전원 공급 상태 값으로서 수신하도록 구성된, 인쇄 디바이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 유닛은, 준비된 상태, 인쇄 중 상태, 토너 없음 상태, 토너 적음 상태, 디바이스 고장 상태, 슬립 상태, 잼 상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복수의 상태 중에서 상기 인쇄 디바이스의 상태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인쇄 디바이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 인터페이스 유닛은, 상기 인쇄 디바이스가 슬립 상태로 이행된 후에 상기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질의를 상기 컨트롤러 유닛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인쇄 디바이스.
  13. 인쇄 디바이스이며,
    전원 공급 상태 값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메모리와,
    상기 인쇄 디바이스의 상태를 판정하고, 상기 메모리에 유지되어 있는 상기 전원 공급 상태 값과 상기 인쇄 디바이스의 판정된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 디바이스를 위한 전원 공급 상태 값을 판정하도록 구성된 컨트롤러 유닛으로서, 상기 컨트롤러 유닛에 의해 판정된 상기 인쇄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상태는 상기 인쇄 디바이스의 전원 공급 상태와는 다른 상태인, 상기 컨트롤러 유닛과,
    상기 컨트롤러 유닛으로부터 상기 전원 공급 상태 값을 수신하고, 상기 인쇄 디바이스가 턴온된 후에 상기 인쇄 디바이스를 수신된 상기 전원 공급 상태 값에 대응하는 전원 상태로 이행시키도록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인쇄 디바이스.
  14. 제어 방법이며,
    메모리에 전원 공급 상태 값을 유지하는 단계와,
    컨트롤러 유닛에 의해 인쇄 디바이스의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에 유지되어 있는 상기 전원 공급 상태 값과 상기 인쇄 디바이스의 판정된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 디바이스를 위한 전원 공급 상태 값을 판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컨트롤러 유닛에 의해 판정된 상기 인쇄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상태는 상기 인쇄 디바이스의 전원 공급 상태와는 다른 상태인, 상기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컨트롤러 유닛으로부터 상기 전원 공급 상태 값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인쇄 디바이스가 턴온된 후에, 상기 인쇄 디바이스를 수신된 상기 전원 공급 상태 값에 대응하는 전원 상태로 이행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KR1020130087815A 2012-07-26 2013-07-25 인쇄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KR1016189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65363 2012-07-26
JP2012165363A JP6061531B2 (ja) 2012-07-26 2012-07-26 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992A KR20140013992A (ko) 2014-02-05
KR101618924B1 true KR101618924B1 (ko) 2016-05-09

Family

ID=49995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7815A KR101618924B1 (ko) 2012-07-26 2013-07-25 인쇄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40029969A1 (ko)
JP (1) JP6061531B2 (ko)
KR (1) KR101618924B1 (ko)
CN (1) CN1035764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18562B2 (ja) * 2018-12-18 2023-02-07 株式会社リコー 電子機器、電源制御システム、電源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6627A (ja) * 2000-12-22 2002-07-1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5025515A (ja) * 2003-07-02 2005-01-2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0249953A (ja) 2009-04-13 2010-11-04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JP2011191566A (ja) * 2010-03-15 2011-09-2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9804B2 (ja) * 2006-07-13 2011-11-0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デバイス制御プログラム、及び、電力制御方法
JP5433924B2 (ja) * 2006-12-22 2014-03-0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396791B2 (ja) * 2008-09-24 2014-01-2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0197632A (ja) * 2009-02-25 2010-09-09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JP5676963B2 (ja) * 2009-09-01 2015-02-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1114675A (ja) * 2009-11-27 2011-06-09 Canon Inc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235854B1 (ko) * 2010-08-27 2013-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SoC 유닛 및 그 구동 방법
JP2013092940A (ja) * 2011-10-26 2013-05-16 Canon Inc 電子機器及びその電力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6627A (ja) * 2000-12-22 2002-07-1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5025515A (ja) * 2003-07-02 2005-01-2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0249953A (ja) 2009-04-13 2010-11-04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JP2011191566A (ja) * 2010-03-15 2011-09-2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61531B2 (ja) 2017-01-18
CN103576491B (zh) 2016-06-01
US20140029969A1 (en) 2014-01-30
KR20140013992A (ko) 2014-02-05
JP2014026064A (ja) 2014-02-06
CN103576491A (zh) 201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970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recorded thereon
US20130148158A1 (en) Printing apparatus having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nd control method for printing apparatus
US935456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and program
US926850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64471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rotary developing unit, method for controlling, and storage medium
EP2018039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inter control method
JP4402083B2 (ja) 画像形成装置
JP4424357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および、画像形成用プログラム
US8643855B2 (en) Image form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image forming system for performing image formation by combination of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 image supply apparatus,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618924B1 (ko) 인쇄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KR101317784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
US774218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recorded thereon
US9232104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 plurality of functions
JP2009300525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画像安定化方法
US20140002849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reless connection sett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1502201B1 (ko) 인쇄 장치 및 인쇄 장치용 제어 방법
JP2009265255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883796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nd storage medium for same
EP3518045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US937797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for performing a predetermined process and an adjustment process in parallel
US8237960B2 (en) Transmission of image data format conversion software along with image data
US2024011123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9145484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9175175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173742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