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7315B1 - 스타킹용 복합섬유 - Google Patents

스타킹용 복합섬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7315B1
KR101617315B1 KR1020117009512A KR20117009512A KR101617315B1 KR 101617315 B1 KR101617315 B1 KR 101617315B1 KR 1020117009512 A KR1020117009512 A KR 1020117009512A KR 20117009512 A KR20117009512 A KR 20117009512A KR 101617315 B1 KR101617315 B1 KR 101617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stocking
composite fiber
composit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9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5532A (ko
Inventor
마사시 우에다
히로유키 마나베
Original Assignee
케이비 세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비 세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케이비 세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65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5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7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7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2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amide as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40Polyamide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2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crimped or curled structure; with a special structure to simulate wool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22Nonlinear [e.g., crimped, coiled, etc.]
    • Y10T428/2924Composi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29Bicomponent, conjugate, composite or collateral fibers or filaments [i.e., coextruded sheath-core or side-by-side type]
    • Y10T428/2931Fibers or filaments nonconcentric [e.g., side-by-side or eccentric,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생산성ㆍ투명성ㆍ감촉을 희생시키지 않고, 흡수성, 흡습성, 제전성, 권축성, 접촉 냉감성을 가지는 스타킹용 복합섬유를 얻는다. 이 스타킹용 복합섬유는 섬유 형성성 수지(B)와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공중합물(A)로 이루어지는 편심 복합섬유이고, 섬유 횡단면에 있어서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공중합물(A)의 표면으로의 노출각도가 5∼90°, 필라멘트 수가 1∼10개, 섬도가 1∼55 dtex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권축율이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스타킹용 복합섬유{COMPOSITE FIBER FOR STOCKINGS}
본 발명은 스타킹용 복합섬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스타킹은 탄성사를 심사로 하고, 그 주위에 나일론 6, 나일론 66으로 대표되는 폴리아미드계 필라멘트를 커버링용 사(絲)로 하여 감은 커버링 탄성사를 편성사로 사용해서 이루어져 있다.
그렇지만, 이들 폴리아미드계 섬유는 천연섬유와 비교해서 흡습성이 낮기 때문에, 직접 피부에 접촉해서 착용하는 스타킹에 사용하였을 경우, 피부로부터의 발한에 의한 물크러짐, 끈적거림 등이 발생한다.
또, 폴리아미드계 섬유는 대전성이 높기 때문에, 스타킹에 사용하였을 경우, 스커트 등이 달라 붙기 쉬워, 쾌적성의 점에서 커다란 문제가 있었다. 땀흡수(흡한) 가공으로서는 염색 중 또는 염색후의 후처리 공정에 있어서 친수성기를 가지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을 부가하는 방법이 일반적이지만, 이 경우, 세탁 내구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해결책으로서는 불충분하였다.
또, 실 자체에 기능성을 갖게 하는 방법으로서 커버링용 사에 특수단면 섬유를 사용하여, 커버링사에 흡수성을 부여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한편, 투명성ㆍ감촉이 좋은 스타킹을 얻는 방법으로서, 복합섬유를 사용하는 방법이 알려지고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등으로 이루어지는 흡습성 성분을 구성의 일부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초형 복합섬유를 사용함으로써 높은 흡습성ㆍ투명성ㆍ감촉을 가지는 스타킹이 제안되고 있다(특허문헌 2).
일본특허 제268364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41204호.
그렇지만, 특허문헌 1을 비롯한 커버링 타입 팬티 스타킹은 높은 패션성과 높은 기능성이 요구되는 여성용 스타킹이라는 점에서 보면, 투명성ㆍ감촉이 부족하다는 결점이 있다. 또, 특허문헌 2로 대표되는 복합섬유를 사용하는 방법에서는, 복합섬유에 권축성이 없기 때문에, 울리(wooly) 가공을 실시하는 필요가 있어, 생산성의 면에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것을 바탕으로, 생산성ㆍ투명성ㆍ감촉을 희생시키지 않고, 흡수성, 흡습성, 제전성, 권축성, 접촉 냉감성을 가지는 스타킹용 복합섬유를 얻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섬유 형성성 수지와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공중합물로 이루어지는 편심 복합섬유에 있어서, 섬유 횡단면에 있어서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공중합물의 표면으로의 노출각도가 5∼90°, 필라멘트 수가 1∼10개, 복합섬유의 총섬도가 1∼55 dtex인 스타킹용 복합섬유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높은 권축성을 가지는 것에 의해, 투명성ㆍ감촉이 좋으며, 또한 울리가공의 필요가 없어 생산성이 뛰어나고, 추가로, 흡수성, 흡습성, 제전성 및 접촉 냉감성이 우수한 스타킹용 복합섬유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타킹용 복합섬유의 횡단면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타킹용 복합섬유의 횡단면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타킹용 복합섬유의 횡단면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스타킹용 복합섬유는 섬유 형성성 수지와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공중합물로 이루어지는 편심 복합섬유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섬유 형성성 수지는 용융 가능한 섬유 형성성 수지일 수 있고, 나일론 6이나 나일론 66 등의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전체 방향족폴리에스테르, 폴리락트산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등, 또는 이것들을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체, 게다가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등의 열가소성 중합체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강도가 높고, 얇아도 내구성이 수득되는 점에서, 폴리아미드(특히, 나일론 6)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사용하는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공중합물은 예를 들면, (1) 디아민 말단을 가지는 폴리아미드 단위와 디카르복시기 말단을 가지는 폴리옥시알킬렌 단위, (2) 디카르복시 말단을 가지는 폴리아미드 단위와 폴리에테르디올, (3) 디카르복시 말단을 가지는 폴리아미드 단위와 디아민 단말을 가지는 폴리옥시알킬렌 단위(α 위치와 ω 위치에 2개의 수산기를 가지는 폴리옥시알킬렌 단위를 시아노에틸화 및 수소첨가에 의해 수득된다)와 같이, 반응성 말단기를 가지는 폴리아미드 단위와 반응성 말단기를 가지는 폴리에테르 단위와의 공중축합으로 수득되는 공중합물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2)인 것이 바람직하고, 하기 화학식으로 나타낸다.
HO-(CO-PA-CO-O-PE-O)n-H
상기 식에서,
PA는 폴리아미드의 블록(하드 세그먼트)을 나타내고,
PE는 폴리에테르의 블록(소프트 세그먼트)을 나타내며,
n은 반복 단위를 나타낸다.
또, 폴리아미드 단위로서는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12 등이, 폴리에테르 단위로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테크라메틸렌글리콜 등을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 「폴리아미드 단위」와 「폴리에테르 단위」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는 99:1∼5:95, 더 바람직하게는 80:20∼10:90이고, 이 범위라면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시판되고 있는 것으로서는, Pebax(등록상표)(아르케마사)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Pebax MV1074, MH1657을 사용하면 특히 양호한 제전성이 수득된다.
본 발명의 복합섬유의 섬유 횡단면형상에 대해서 이하에 기술한다.
본 발명의 편심 복합섬유는 상기 2종의 수지가 조합된 섬유의 횡단면에 있어서, 섬유 형성성 수지와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공중합물의 중심이 서로 다르게 되어 있는 섬유를 말한다.
구체적인 섬유 횡단면형상으로서는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태를 들 수 있다. 도면에 있어서, A는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공중합물, B는 섬유 형성성 수지이다.
도 1 및 도 2의 복합섬유는 편심 심초형이고, 도 3의 복합섬유는 외측의 섬유 형성성 수지B가 C형인 섬유이다.
스타킹용으로서는 권축율을 높게 하기 위해서, 도 1 및 도 2의 편심 심초형의 복합섬유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공중합물 A의 부분이 복수일 수도 있고, 그 경우, 섬유전체로서 편심하고 있으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노출각도란 섬유 횡단면의 중앙점을 중심으로 하고, 그 중심으로부터 표면의 노출부 끝까지의 직선을 2개 긋고, 그 사이의 각도를 측정한 값으로, 노출부가 복수 있는 경우에는, 그것들의 노출각도를 서로 더한 값이다.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공중합물의 표면에의 노출각도는 5∼90°인 것이 필요하고, 5∼80°인 것이 바람직하다. 노출각도가 이 범위이라면, 흡수성, 흡습성, 제전성, 접촉 냉감성이 뛰어나며, 또한 생산성, 염색성도 양호하다.
본 발명의 복합섬유의 굵기(총섬도)은 1∼55 dtex, 바람직하게는 5∼30 dtex이다. 1 dtex 미만에서는 실용상의 내구성이 불충분하게 되고, 반대로 55 dtex를 넘으면 투명성이 불충분하게 되기 쉬워, 질감이 거칠고 딱딱하게 되기 쉬워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복합섬유의 필라멘트 수는 1∼10개이다. 그 중에서도, 필라멘트 수가 2∼7개이면, 투명성, 질감, 착용감, 내구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권축율은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다. 권축율을 10% 이상으로 함으로써, 투명성, 감촉, 질감이 양호해지며, 또한 접촉 냉감성도 뛰어난 복합섬유가 된다. 또 복합섬유가 권축성을 가짐으로써, 울리가공 등의 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본 발명의 복합섬유를 그대로 사용해서 스타킹을 제조할 수 있어, 생산성도 좋아진다.
방사의 생산성 및 염색 등의 가공의 작업성의 관점에서, 섬유 형성성 수지와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공중합물의 면적비율(횡단면적의 비율)은 90/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전성 및 접촉 냉감성의 점에 있어서는, 섬유 형성성 수지와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공중합물과의 면적비율이 10/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0/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복합섬유는 통상의 콘쥬게이트형 복합 방사장치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통상의 속도 500∼1500m/분 정도로 방사하고, 이어서, 연신 열처리하는 방법, 또 스핀드로우법 등의 고속방사법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섬유 형성성 수지에는 소량의 다른 임의의 중합체나 산화방지제, 안료, 윤빼기 가공제, 항균제, 불활성 미립자, 기타의 첨가제가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섬유는 스타킹 용도에 적합한 것이다. 스타킹으로서는 팬티 스타킹, 무릅 아래까지의 숏 스타킹, 대퇴부까지의 롱 스타킹 등, 여러 가지 스타킹을 들 수 있다.
스타킹을 제조하는데 있어서는, 본 발명의 복합섬유를 100중량% 사용할 수도 있고, 다른 섬유와 교편(交編)할 수도 있다. 또, 천연섬유와 혼방해서 사용해도 상관없다. 사용비율은 본 발명의 복합섬유를 20∼100중량%의 비율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단위면적당 중량, 게이지 등은 특히 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목적에 따라서, 적당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섬유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스타킹에 복합섬유가 가지는 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실시예 중의 각 특성값은 다음 방법에 의해 산출하였다.
<흡수성>
Byreck법에 의한다. 20cm×2.5cm의 편물편을 시료로 하고, 수온 20℃, 10분간, 물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승한 높이(cm)를 측정하였다.
<흡습성>
20cm×2.5cm의 편물편을 시료로 하고, 25℃, 90%RH 의 항온항습 탱크에 넣고, 24 시간후 의 중량 증가량을 측정하고, 최초의 중량에 대한 중량 증가량을 %로 나타냈다.
<제전성(마찰대전압)>
JIS L-1094-1997 마찰대 감쇠 측정법으로 측정하였다.
마찰대전압 측정: 정전기 테스터 
마찰천: 양모, 면 
마찰방향: 횡방향
세탁처리: 세탁있음(3회)
온도, 습도: 20℃×33%RH
<접촉 냉감성(q-max)>
스타킹을 세겹으로 접은(6장 중첩) 것을, KATO TECH CO., LTD의 Thermolabo II형 측정기를 사용하고, 실온 23℃, 습도 55%RH의 챔버에서, BT-Box를 33℃로 조절하고, 충분하게 습도가 조절된 샘플 상에 BT-Box(압력 10g/㎠)를 올려 놓고, 10℃의 온도차이에서의 단위 면적당의 열 유속을 측정하였다. 본 측정 방법에 있어서 q-max가 0.110(J/㎠ㆍsec)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노출각도>
복합섬유를 염색 후, MICROTOM으로 섬유 횡단면을 채취하여 실체 현미경으로 촬영하였다. 섬유 중앙점으로부터 노출부 끝까지의 직선을 2개 긋고, 분도기로 각도를 측정하였다.
<권축율>
권축율은 하기 식에 의해 계산한 값이다.
권축율 = (L0-L1)×100/L0
시료(복합섬유)에 하중 200g을 가하여 장력을 걸고, 1분 후의 길이(L0)를 측정하였다.
다음에, 하중 200g을 제거하고, 하중 1g을 걸어서 달아 매고, 그 상태에서 100℃의 열수 중에 10분간 침수시킨 후, 16시간 풍건하였다.
풍건시킨 시료의 1g의 하중을 걸은 상태의 시료길이(L1)를 측정하였다.
( 실시예 1)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공중합물(아르케마사, Pebax MV1074), 나일론 6(미쓰비시화학사)을 각각 용융한 후, 양쪽 성분의 면적비율 50/50로, 도 1과 같은 횡단면 형상의 복합섬유(노출각도 33.5°)를 방사하고, 단사 35 dtex의 미연신사를 권취하였다. 취한 미연신사를 실온에서, 연신속도 800m/분, 연신배율 3.28배의 조건으로, 연신한 후, 실패에 와인딩 경도 80∼75의 범위로 권취하고, 22 dtex/2f의 스타킹용 복합섬유를 얻었다.
Cop에 권취된 복합섬유의 외관에는, 어느 것이나 권축(crimp)은 발현하지 않고 있었지만, Cop로부터 개방하면 1∼2분안에 나선상 권축의 진폭을 발현하였다. 권축율은 62% 이었다.
상기 복합섬유를 4구의 심리스 스타킹 편물기로 편물기 회전수 900rpm의 조건으로 스타킹으로 니팅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복합섬유는 아무런 문제없이 니팅 가능하였다.
이어서, 95℃에서 염색 후, 110℃의 스팀으로 형 세팅해서 스타킹으로 완성시켰다.
수득된 스타킹은 염색성이 양호하고, 투명성, 감촉이 뛰어난 것이었다.
또, 복합섬유 자체가 권축성을 가지므로, 그대로 스타킹의 니팅에 사용할 수 있어, 생산성이 뛰어난 것이었다.
( 실시예 2)
총섬도/필라멘트수를 19 dtex/2f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스타킹을 조제하였다.
수득된 복합섬유의 권축율은 52% 이었다.
수득된 스타킹은 염색성이 양호하고, 투명성, 감촉이 뛰어난 것이었다. 또, 복합섬유 자체가 권축성을 가지므로, 그대로 스타킹의 니팅에 사용할 수 있어, 생산성이 뛰어난 것이었다.
( 비교예 1)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탄성체(다이이치세이카공업사)와 나일론6(미츠비시화학사)을 별도로 용융한 후, 양쪽 성분의 면적비율 50/50으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횡단면 형상의 복합섬유(노출각도 20°)를 방사하고, 폴리카프로아마이드가 초, 폴리우레탄이 심이 되는 편심 심초형 복합계를 용융해서 방사단사 31 dtex의 미연신사를 권취하였다.
권취된 미연신사를 실온에서, 연신속도 600m/분, 연신배율 3.50배의 조건으로 연신한 후, 실패에 와인딩 경도 80∼75의 범위로 권취, 19 dtex/2f의 스타킹용 복합섬유를 얻었다. 수득된 복합섬유의 권축율은 48% 이었다.
상기 복합섬유를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니팅하였다. 이어서, 통상의 방법에 따라서, 95℃에서 염색 후, 110℃의 스팀으로 형 세팅해서 스타킹으로 완성시켰다.
( 비교예 2)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공중합물이 표면에 노출하지 않는 편심 심초형 복합섬유(노출각도 0°)로 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스타킹을 조제하였다.
상기에서 수득된 실시예 1, 2 및 비교예 2의 스타킹의 흡수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11031010832-pct00001
상기에서 수득된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스타킹의 흡습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11031010832-pct00002
상기에서 수득된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스타킹의 마찰 내전압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11031010832-pct00003
상기에서 수득된 실시예 1, 2 및 비교예 2의 스타킹의 접촉 냉감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112011031010832-pct00004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복합섬유는 스타킹 용도에 적합하다.
A: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공중합물
B: 섬유 형성성 수지

Claims (5)

  1. 섬유 형성성 수지와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공중합물로 이루어지는 편심 복합섬유이고, 섬유 횡단면에 있어서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공중합물의 표면으로의 노출각도가 5∼90°, 권축율이 40% 이상, 필라멘트 수가 1∼10개, 총섬도가 1∼55 dtex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킹용 복합섬유.
  2. 제 1 항에 있어서, 권축율이 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킹용 복합섬유.
  3. 제 1 항에 있어서, 섬유 형성성 수지가 폴리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킹용 복합섬유.
  4. 삭제
  5. 삭제
KR1020117009512A 2008-09-30 2009-09-29 스타킹용 복합섬유 KR1016173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52284 2008-09-30
JPJP-P-2008-252284 2008-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532A KR20110065532A (ko) 2011-06-15
KR101617315B1 true KR101617315B1 (ko) 2016-05-02

Family

ID=42073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9512A KR101617315B1 (ko) 2008-09-30 2009-09-29 스타킹용 복합섬유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128975A1 (ko)
EP (1) EP2345754A4 (ko)
JP (1) JP5547643B2 (ko)
KR (1) KR101617315B1 (ko)
CN (1) CN102171390B (ko)
WO (1) WO20100387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9773A (ja) * 2009-02-16 2010-09-02 Gunze Ltd コンジュゲート繊維及び生地
JP5324250B2 (ja) * 2009-02-16 2013-10-23 グンゼ株式会社 生地
JP5687585B2 (ja) * 2011-08-31 2015-03-18 東洋紡Stc株式会社 発汗時に快適な衣料用編物
EP2873756B1 (en) * 2012-07-12 2019-04-03 KB Seiren, Ltd. Sheath-core bicomponent fibre
JP6080986B2 (ja) * 2013-08-02 2017-02-15 トーレ・ケミカル・コリア・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C型複合繊維、それによるc型中空繊維、それを含む生地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588119B1 (ko) * 2015-12-08 2023-10-12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흡습성 심초 복합사 및 포백
JPWO2017221713A1 (ja) * 2016-06-22 2019-04-11 東レ株式会社 高熱収縮性ポリアミド複合繊維および加工糸およびそれらを一部に用いた織編物
CN106519656A (zh) * 2016-11-21 2017-03-22 郑州源冉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袜子用复合材料
US11812807B2 (en) 2017-03-17 2023-11-14 Nike, Inc. Textil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7074062B2 (ja) * 2017-06-23 2022-05-24 東レ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ナイロン6偏心芯鞘複合繊維
JP6687201B2 (ja) * 2017-06-26 2020-04-22 日本エステル株式会社 ポリアミド繊維
CN115896965A (zh) * 2022-11-16 2023-04-04 中纺院(浙江)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偏心皮芯型锦氨复合全牵伸丝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669436B2 (de) * 1967-05-18 1975-09-18 Enka Glanzstoff Ag, 5600 Wuppertal Verbundfaden aus zwei verschieden stark schrumpfenden Polymeren
US3594266A (en) * 1967-06-03 1971-07-20 Toyo Rayon Co Ltd Composite filament
US3607611A (en) * 1967-12-21 1971-09-21 Kanegafuchi Spinning Co Ltd Composite filament having crimpability and latent adhesivity
JPS4732125U (ko) * 1971-04-21 1972-12-11
JPS61289123A (ja) * 1985-06-14 1986-12-19 Toray Ind Inc 複合繊維
JP2683646B2 (ja) 1992-09-03 1997-12-03 帝人株式会社 カバリングヤーンおよびパンティーストッキング
JP3297492B2 (ja) * 1993-04-23 2002-07-02 旭化成株式会社 鞘芯型複合繊維
JPH0941204A (ja) 1995-07-31 1997-02-10 Toray Ind Inc 吸湿性に優れたストッキング
EP0905292B1 (en) * 1996-05-14 2004-10-20 Kanebo Ltd. Spontaneously degradable fibers
US5972502A (en) * 1998-03-04 1999-10-26 Optimer, Inc. Self-crimping fiber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KR100954704B1 (ko) * 2001-11-30 2010-04-23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잠재 3차원 권축성을 갖는 기계 권축 합성 섬유 및 이의제조 방법
US6896843B2 (en) * 2002-08-30 2005-05-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making a web which is extensible in at least one direction
JP5547474B2 (ja) * 2007-04-04 2014-07-16 Kbセーレン株式会社 制電性、吸水性及び接触冷感性に優れた複合繊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532A (ko) 2011-06-15
CN102171390A (zh) 2011-08-31
JPWO2010038732A1 (ja) 2012-03-01
WO2010038732A1 (ja) 2010-04-08
EP2345754A4 (en) 2012-03-21
EP2345754A1 (en) 2011-07-20
CN102171390B (zh) 2013-03-06
US20120128975A1 (en) 2012-05-24
JP5547643B2 (ja) 2014-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7315B1 (ko) 스타킹용 복합섬유
EP3619343B1 (en) Yarns with conductive elastomeric cores, fabrics and garments formed of the same,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KR101440983B1 (ko) 제전성, 흡수성 및 접촉 냉감성이 우수한 복합섬유
KR101906325B1 (ko) 코어-시스 복합섬유
JP2019535916A (ja) エラストマー繊維およびポリエステル二成分フィラメントを含有する伸縮性編生地、それから作られる衣類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2007204864A (ja) 布帛およびそれを用いたインナーウエア、ストッキング
JP2020037763A (ja) ポリアミド繊維の製造方法
JP5881284B2 (ja) 布帛および繊維製品
JP6362502B2 (ja) 海島型複合繊維
JP2017226941A (ja) 織編物及びポリアミド芯鞘型混繊糸の元糸
JP2009167565A (ja) ストレッチ性編地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繊維製品
JP4466132B2 (ja) 吸水性ストレッチ編地
KR20230107544A (ko) 직편물
JP2581821B2 (ja) 熱接着性複合繊維
JP2016194170A (ja) 芯鞘型複合繊維
JP2011038190A (ja) 特殊な単糸断面を有するポリアミド系マルチフィラメ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