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8119B1 - 흡습성 심초 복합사 및 포백 - Google Patents

흡습성 심초 복합사 및 포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8119B1
KR102588119B1 KR1020187008646A KR20187008646A KR102588119B1 KR 102588119 B1 KR102588119 B1 KR 102588119B1 KR 1020187008646 A KR1020187008646 A KR 1020187008646A KR 20187008646 A KR20187008646 A KR 20187008646A KR 102588119 B1 KR102588119 B1 KR 102588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composite yarn
sheath composite
sheath
heat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8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0247A (ko
Inventor
켄타로 타카기
요시후미 사토
다이스케 요시오카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90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0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1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2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amide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98Melt spinning methods with simultaneous stretch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6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other macromolecular compound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02G3/045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all components being made from artificial or synthetic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multicomponent, e.g. blend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1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heat-resistant or fireproof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6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synthe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6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ther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2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hydrophyl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4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초부 폴리머가 폴리아미드, 심부 폴리머가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 150℃, 1시간 건열 처리 후의 강도 유지율이 50% 이상인 흡습성 심초 복합사. 높은 흡습 성능을 갖고, 천연 섬유를 넘는 쾌적성과, 세탁 건조를 반복하여 실시해도 소프트한 감촉, 내구성 및 흡방습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심초 복합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흡습성 심초 복합사 및 포백
본 발명은 흡습성 심초 복합사 및 포백에 관한 것이다.
폴리아미드나 폴리에스테르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합성 섬유는 강도, 내약품성, 내열성 등이 우수하기 때문에 의료(衣料) 용도나 산업 용도 등 폭넓게 사용되어 있다.
특히 폴리아미드 섬유는 그 독특한 유연함, 높은 인장 강도, 염색 시의 발색성, 높은 내열성 등의 특성에 추가하여 흡습성이 우수하여 이너 웨어, 스포츠 웨어 등의 용도에 널리 사용되어 있다. 그러나 폴리아미드 섬유는 면 등의 천연 섬유에 비하면 흡습성은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고, 또한 덥거나 끈적인다는 문제점을 가져 쾌적성의 면에서 천연 섬유에 뒤떨어지는 것이 문제가 되어 있다.
그러한 배경으로부터 덥거나 끈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우수한 흡방습성을 나타내고, 천연 섬유에 가까운 쾌적성을 갖는 합성 섬유가 주로 이너 용도나 스포츠 의료 용도에 있어서 요망되어 있다.
그래서 폴리아미드 섬유에 친수성 화합물을 첨가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는 가장 많이 검토되어 왔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친수성 폴리머로서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폴리아미드에 블렌드해서 방사함으로써 흡습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한편, 섬유의 구조를 심초 구조로 하여 고흡습성의 열가소성 수지를 심부로, 역학 특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를 초부로 하는 심초 구조로 함으로써 흡습 성능과 역학 특성을 양립시키는 검토가 왕성히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는 심부와 초부로 이루어지고, 심부가 섬유 표면에 노출되지 않는 형상의 심초 복합 섬유이며, 하드 세그먼트가 6-나일론인 폴리에테르블록아미드 공중합물을 심부로 하고, 6-나일론 수지를 초부로 한 섬유 횡단면에 있어서의 심부와 초부의 면적 비율이 3/1~1/5인 심초 복합 섬유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열가소성 수지를 심부로 하고, 섬유 형성성 폴리아미드 수지를 초부로 하는 심초형 복합 섬유로서, 상기 심부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주성분이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이며, 또한 심부의 비율이 복합 섬유 전체 중량의 5~5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습성이 우수한 심초형 복합 섬유로서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를 심부에, 폴리아미드를 초부에 배치하여 고흡습성을 발현시킨 심초 복합 섬유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4에는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에스테르를 초성분, 폴리에틸렌옥사이드의 가교물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흡수성 수지를 심성분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방습성을 갖는 복합 섬유가 기재되어 있다. 여기에는 고흡습성의 비수용성 폴리에틸렌옥시드 변성물을 심부에, 폴리아미드를 초부에 배치한 고흡습 심초 복합 섬유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평 09-188917호 공보 국제공개 제 2014/10709호 일본 특허공개 평 06-136618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 08-209450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섬유는 천연 섬유에 가까운 흡방습성을 갖고 있지만, 그 성능은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한층 더 높은 흡방습성의 달성이 과제이다.
또한, 특허문헌 2~4의 심초 복합 섬유는 천연 섬유와 동등이거나 그 이상의 흡방습성을 갖고 있지만, 심성분이 가정용 세탁 건조기 계속 사용에 의해 열 열화됨으로써 섬유가 경화되어 포백의 감촉이 단단해지는, 내구성 및 흡방습 성능이 저하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하기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1) 초부 폴리머가 폴리아미드, 심부 폴리머가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이며, 150℃, 1시간 건열 처리 후의 강도 유지율이 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습성 심초 복합사.
(2) (1)에 있어서, ΔMR이 5.0% 이상이며, 150℃, 1시간 건열 처리 후의 ΔMR 유지율이 7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습성 심초 복합사.
(3) (1) 또는 (2)에 기재된 흡습성 심초 복합사를 적어도 일부에 갖는 포백.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높은 흡습 성능을 갖고, 천연 섬유를 넘는 쾌적성이 우수하고, 또한 세탁 건조를 반복하여 실시해도 소프트한 감촉, 내구성 및 흡방습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심초 복합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심초 복합사는 초부에 폴리아미드, 심부에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를 사용한다.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란 동일 분자쇄 내에 에테르 결합, 에스테르 결합 및 아미드 결합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락탐, 아미노카르복실산, 디아민과 디카르복실산의 염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폴리아미드 성분(A) 및 디카르복실산과 폴리(알킬렌옥시드)글리콜로 이루어지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성분(B)을 중축합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블록 공중합체 폴리머이다.
폴리아미드 성분(A)으로서는 ε-카프로락탐, 도데카놀락탐, 운데카놀락탐 등의 락탐류, 아미노카프론산, 11-아미노운데칸산, 12-아미노도데칸산 등의 ω-아미노카르복실산, 나일론 66, 나일론 610, 나일론 612 등의 전구체인 디아민-디카르복실산의 나일론 염류가 있으며, 바람직한 폴리아미드 형성성 성분은 ε-카프로락탐이다.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성분(B)은 탄소수 4~20개의 디카르복실산과 폴리(알킬렌옥시드)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탄소수 4~20개의 디카르복실산으로서는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르산, 세박산, 도데카디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등의 지환식 디카르복실산을 들 수 있고,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디카르복실산은 아디프산, 세박산, 도데카디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이다. 또한, 폴리(알킬렌옥시드)글리콜로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1,2- 및 1,3-프로필렌옥시드)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옥시드)글리콜, 폴리(헥사메틸렌옥시드)글리콜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양호한 흡습 성능을 갖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이 바람직하다.
폴리(알킬렌옥시드)글리콜의 수 평균 분자량은 300~3000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2000이다. 분자량이 300 이상이면 중축합 반응 중에 계외로 비산하기 어렵고, 흡습 성능이 안정된 섬유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3000 이하이면 폴리머 중에 폴리(알킬렌옥시드)글리콜이 균일하게 분산되고, 양호한 흡습 성능이 얻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 전체 중에서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성분(B)의 구성 비율은 몰비로 20~80%인 것이 바람직하다. 20% 이상이면 양호한 흡습 성능이 얻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80% 이하이면 양호한 염색 견뢰성이나 흡습 성능의 세탁 내구성이 얻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폴리아미드와 폴리(알킬렌옥시드)글리콜의 구성 비율은 몰비로 20%/80%~80%/20%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알킬렌옥시드)글리콜이 20% 이상이면 양호한 흡습 성능이 얻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알킬렌옥시드)글리콜이 80% 이하이면 양호한 염색 견뢰성이나 흡습 성능의 세탁 내구성이 얻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로서 ARKEMA K.K.제 "MH1657"이나 "MV1074" 등이 시판되어 있다.
초부의 폴리아미드에는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46, 나일론 9, 나일론 610, 나일론 11, 나일론 12, 나일론 612 등 또는 그들과 아미드 형성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 예를 들면 라우로락탐, 세박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 등의 공중합 성분을 함유하는 공중합 폴리아미드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나일론 6 및 나일론 11, 나일론 12, 나일론 610, 나일론 612가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와의 융점의 차가 작아 용융 방사 시에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의 열 열화를 억제할 수 있고, 제사성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염색성이 풍부한 나일론 6이다.
본 발명의 심초 복합사는 150℃, 1시간 건열 처리 후의 강도 유지율이 50% 이상 100% 이하인 것이 필요하다. 50% 미만일 경우, 가정용 세탁 건조기의 건조 기능(이하, 텀블 건조라고 칭한다)을 반복하여 실시하면 원사의 경화나 취화가 일어나 포백의 내구성이 저하되고, 찢어짐 등이 발생한다.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100% 이하이다.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텀블 건조를 반복하여 실시해도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는 의료를 제공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심초 복합사는 인장 강도가 2.5cN/dtex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0cN/dtex 이상이다.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주로 이너 의료 용도나 스포츠 의료 용도인 의료 용도에 있어서 실사용에 견딜 수 있는 강도로 우수한 의료를 제공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심초 복합사는 착용 시에 양호한 쾌적성을 얻기 위해서 의료품 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습도 조정의 지표로서 경~중 작업 또는 경~중 운동을 행했을 때의 30℃×90%RH로 대표되는 의복 내 온습도와 20℃×65%RH로 대표되는 외기 온습도에 있어서의 흡습률의 차로 나타내어지는 ΔMR을 사용한다. ΔMR은 크면 클수록 흡습 성능이 높고, 착용 시의 쾌적성이 양호한 것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심초 복합사는 ΔMR이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이다.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착용 시의 덥거나 끈적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쾌적성이 우수한 의료를 제공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심초 복합사는 150℃, 1시간 건열 처리 후의 ΔMR의 유지율이 70%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텀블 건조를 반복하여 실시해도 흡방습 성능을 유지할 수 있고, 우수한 쾌적성을 유지한 의료를 제공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심부에 사용하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에는 라디칼을 포착하는 산화 방지제인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와 힌더드 아민계 안정제(이하, HALS계 안정제라고 한다) 양쪽을 포함함으로써 텀블 건조를 반복하여 실시해도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의 열 열화가 억제되어 내구성 및 흡방습 성능을 유지할 수 있고, 소프트한 감촉의 심초 복합사가 얻어진다.
심부에 사용하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에는 폴리(알킬렌옥시드)글리콜이 포함되어 있으며, 폴리(알킬렌옥시드)글리콜은 열 부여에 의해 분자 내로부터 라디칼이 발생하고, 인접한 원자를 공격함으로써 라디칼이 발생한다는 연쇄 반응이 진행되고, 반응열에 의해 200℃를 초과하는 고온이 된다. 또한, 폴리(알킬렌옥시드)글리콜의 분자량이 작을수록 분자쇄로의 열 부여가 용이하기 때문에 라디칼이 발생하기 쉽고, 반응열이 발생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에 포함되는 폴리(알킬렌옥시드)글리콜의 수 평균 분자량은 300~3000으로 비교적 작기 때문에 상기 메커니즘으로부터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의 열 열화가 진행되기 쉽고, 원사의 경화나 취화, 흡습 성능의 저하 등이 매우 야기되기 쉽다.
그 때문에 심부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에는 라디칼을 보충하는 산화 방지제인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를 첨가한다. 그러나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의 첨가만으로는 방사 공정 시의 열 이력(폴리머 용융 시에 가해지는 고온이나 연신 후의 열 세팅), 고차 가공 공정 시의 열 이력(포백의 염색이나 열 세팅 등)에 의해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의 열 열화가 진행되고, 포백 및 의료품의 단계에서 잔존하는 라디칼을 보충하는 산화 방지제의 유효 성분량이 대폭 저하된다. 그 후 텀블 건조를 반복하여 실시하면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의 열 열화가 더 진행되고, 원사의 경화나 취화, 흡습 성능의 저하 등이 진행되고, 세탁 건조할 때마다 감촉이 단단해져 내구성 및 흡방습 성능이 저하된다.
그 때문에 포백 및 의료품에 잔존하는 라디칼을 보충하는 산화 방지제의 유효 성분량을 저하시키지 않기 위해서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계 안정제를 병용함으로써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의 열 열화를 억제할 수 있고, 텀블 건조를 반복하여 실시해도 소프트한 감촉, 내구성 및 흡방습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심초 복합사의 제조 시에 첨가하는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의 양은 심부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의 중량에 대하여 1.0중량% 이상 5.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상 4.0중량% 이하이다. 1.0중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텀블 건조를 반복하여 실시해도 원사의 경화나 취화, 흡습 성능의 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5.0중량% 이하로 함으로써 제사성이 양호하게 되고, 또한 원사의 황변을 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심초 복합사의 잔류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량은 제조 시에 첨가한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량(대심초 복합사) 대비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다.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텀블 건조를 반복하여 실시해도 원사의 경화나 취화, 흡습 성능의 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심초 복합사의 제조 시에 첨가하는 HALS계 안정제의 양은 심부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의 중량에 대하여 1.0중량% 이상 5.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이상 4.0중량% 이하이다. 1.0중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병용하는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의 열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5.0중량% 이하로 함으로써 제사성이 양호하게 되고, 또한 원사의 황변을 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 및 HALS계 안정제는 열 중량 분석에 있어서 5% 감량 시 온도가 3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300℃ 이상이면 안정제 자신이 방사 공정 시의 열 이력, 고차 가공 공정 시의 열 이력에 대하여 열화되기 어렵고, 포백 및 의료품에 잔존하는 라디칼을 보충하는 산화 방지제의 유효 성분량이 남아있기 때문에 텀블 건조를 반복하여 실시해도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의 열 열화가 억제되어 소프트한 감촉, 내구성 및 흡방습 성능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는, 예를 들면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키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IR1010),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벤젠(AO-330), 1,3,5-트리스[[3,5-비스(1,1-디메틸에틸)-4-히드록시페닐]메틸]-1,3,5-트리아진-2,4,6(1H,3H,5H)-트리온(IR3114), N,N'-헥사메틸렌비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아미드](IR1098)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HALS계 안정제는, 예를 들면 디부틸아민1,3,5-트리아진·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6-헥사메틸렌디아민·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부틸아민의 중축합물(CHIMASSORB2020FDL), 4,7,N,N'-테트라키스[4,6-비스[부틸(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아미노]-1,3,5-트리아진-2-일]-4,7-디아자데칸-1,10-디아민(CHIMASSORB119), 폴리[{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2,4디일)((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헥사메틸렌((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CHIMASSORB944)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초부의 폴리아미드에는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염소(艶消)제, 난연제, 자외선 흡수제, 적외선 흡수제, 결정 핵제, 형광 표백제, 대전 방지제, 흡습성 폴리머, 카본 등을 총첨가물 함유량이 섬유 전체에 대하여 0.001~10중량% 사이에서 필요에 따라 공중합 또는 혼합해서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심초 복합사는 신도가 3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40~80%이다.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제직, 제편, 가연이라고 한 고차 공정에서의 공정 통과성이 양호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심초 복합사의 총섬도, 필라멘트 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단면형상도 얻어지는 포백의 용도 등에 따라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의료용 장섬유 소재로서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면 멀티 필라멘트로서의 총섬도는 5데시텍스 이상 235데시텍스 이하, 필라멘트 수는 1 이상 144 필라멘트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단면형상은 원형, 삼각, 편평, Y형, 성형(星形)이나 편심형, 접합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심초 복합사는 공지의 용해 방사, 복합 방사의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지만, 예시하면 이하와 같다.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초부)와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심부)를 각각 용융하여 기어 펌프로 계량·수송하고, 그대로 통상의 방법으로 심초 구조를 취하도록 복합류를 형성해서 방사 구금으로부터 토출하고, 침니 등의 사조 냉각 장치에 의해 냉각풍을 불어 넣음으로써 사조를 실온까지 냉각하고, 급유 장치에서 급유함과 아울러 집속하고, 제 1 유체 교락 노즐 장치에서 교락하고, 인취 롤러, 연신 롤러를 통과하고, 그때 인취 롤러와 연신 롤러의 주속도의 비를 따라서 연신한다. 또한, 사조를 연신 롤러에 의해 열 세팅하고, 와인더(권취 장치)로 권취한다.
방사 공정에 있어서 방사 온도는 240℃ 이상 27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사 온도가 240℃ 이상이면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가 용해 방사에 적합한 용융 점도가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270℃ 이하이면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 및 HALS계 안정제의 열 분해가 억제되어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의 열 분해가 억제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심초 복합사의 심부의 비율은 복합사 전체에 대하여 20중량%~80중량%인 것이 필요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30중량%~70중량%이다.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초부의 폴리아미드에 적절한 연신을 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양호한 염색 견뢰성, 흡습 성능이 얻어진다. 20중량% 미만이면 충분한 흡습 성능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한편, 80중량%를 초과하면 염색과 같은 열수 분위기하에서 팽윤에 의한 섬유 표면의 균열이 발생하기 쉬워질 뿐만 아니라 초부의 폴리아미드에 과도한 연신이 가해져 실 끊김이나 보풀이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과도한 장력을 발생시키는 방사, 연신은 실 끊김이나 보풀의 발생으로 연결되어 목적으로 하는 섬유를 안정적으로 제조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초부에 사용하는 폴리아미드 칩은 황산 상대 점도로 2.3 이상 3.3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초부의 폴리아미드에 적절한 연신을 추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심부에 사용하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 폴리머의 칩은 오쏘클로로페놀 상대 점도로 1.2 이상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오쏘클로로페놀 상대 점도가 1.2 이상이면 방사 시에 초부에 최적인 응력이 가해져 초부의 폴리아미드의 결정화가 진행되고, 고강도화가 되어 바람직하다.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 및 HALS계 안정제와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를 블렌드하는 방법은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의 칩에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 및 HALS계 안정제를 부착시키는 드라이 블렌드법이나, 미리 2축 압출기나 단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에 고농도로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 및 HALS계 안정제를 함유시킨 마스터칩을 제조하고, 방사 공정에서 이 마스터칩과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 칩을 블렌드하는 마스터칩법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마스터칩법이며, 고농도의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 및 HALS계 안정제를 균일하게 폴리머에 분산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연신 공정에 있어서 인취 롤러에 의해 인취되는 사조의 속도(방사 속도)와, 인취 롤러와 연신 롤러의 주속도비의 값인 연신 배율의 곱이 3300 이상 4500 이하가 되도록 방사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3300 이상 4000 이하이다. 이 수치는 구금으로부터 토출된 폴리머가 구금 토출선 속도로부터 인출 롤러의 주속도까지, 또한 인취 롤러의 주속도로부터 연신 롤러의 주속도까지 연신되는 총 연신량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초부의 폴리아미드에 적절한 연신을 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3300 이상이면 초부의 폴리아미드의 결정화가 진행되기 때문에 원사 강도가 향상되어 내열성이 얻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4500 이하이면 초부의 폴리아미드의 결정화가 적절하게 진행되고, 제사 시에 실 끊김이나 보풀의 발생이 적어 바람직하다.
또한, 연신 롤러에 의한 열 세팅 온도는 110℃ 이상 1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110℃ 이상으로 함으로써 초부의 나일론의 결정화가 촉진되어 강도의 향상이나 드럼의 권체(捲締)가 억제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160℃ 이하이면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의 열 분해가 억제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급유 공정에 있어서, 급유 장치에 의해 부여되는 방사 유제는 비함수계 유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심부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는 ΔMR이 10% 이상인 폴리머에서 흡습 성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비함수계 유제를 부여했을 경우, 서서히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기 때문에 팽윤이 발생하기 어렵고, 안정된 권취가 가능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심초 복합사는 흡습 성능이 우수하므로 의료품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포백 형태로서는 직물, 편물, 부직포 등 목적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ΔMR은 크면 클수록 흡습 성능이 높고, 착용 시의 쾌적성이 양호한 것에 대응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심초 복합사를 적어도 일부에 갖는 포백은 △MR이 5.0% 이상이 되도록 본 발명의 심초 복합사의 혼율을 조정함으로써 쾌적성이 우수한 의료를 제공할 수 있다. 의료품으로서는 이너 웨어, 스포츠 웨어 등의 각종 의료용 제품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특성값의 측정법 등은 다음과 같다.
(1) 황산 상대 점도
시료 0.25g을 농도 98wt%의 황산 100㎖에 대하여 1g이 되도록 용해하고, 오스트발트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25℃에서의 유하 시간(T1)을 측정했다. 계속해서 농도 98wt%의 황산만의 유하 시간(T2)을 측정했다. T2에 대한 T1의 비, 즉 T1/T2를 황산 상대 점도로 했다.
(2) 오쏘클로로페놀 상대 점도
시료 0.5g을 오쏘클로로페놀 100㎖에 대하여 1g이 되도록 용해하고, 오스트발트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25℃에서의 유하 시간(T1)을 측정했다. 계속해서 오쏘클로로페놀만의 유하 시간(T2)을 측정했다. T2에 대한 T1의 비, 즉 T1/T2를 황산 상대 점도로 했다.
(3) 섬도
1.125m/둘레의 검척기에 섬유 시료를 세팅하고, 200 회전시켜서 루프상 릴을 작성하고, 열풍 건조기에서 건조 후(105±2℃×60분), 천평으로 릴 질량을 측정하고, 공정 수분율을 곱한 값으로부터 섬도를 산출했다. 또한, 심초 복합사의 공정 수분율은 4.5%로 했다.
(4) 강도·신도
섬유 시료를 ORIENTEC CORPORATION제 "TENSILON"(등록상표), UCT-100에서 JIS L1013(화학 섬유 필라멘트사 시험 방법, 2010년)으로 나타내어지는 정속 신장 조건으로 측정했다. 신도는 인장 강도-신장 곡선에 있어서의 최대 강력을 나타낸 점의 신도로부터 구했다. 또한, 강도는 최대 강력을 섬도로 나눈 값을 강도로 했다. 측정은 10회 행하고, 평균값을 강도 및 신도로 했다.
(5) 건열 처리 후의 강도
1.125m/둘레의 검척기에 섬유 시료를 세팅하고, 200 회전시켜서 루프상 릴을 작성하고, 열풍 건조기에서 열처리 후(150±2℃×60분), (4)의 방법으로 건열 처리 후의 강도를 산출했다.
(6) 건열 처리 후의 강도 유지율
건열 처리 전후의 강도의 변화 지표로서 열처리 후의 강도 유지율을 하기 식으로 산출했다.
(건열 처리 후의 강도/건열 처리 전의 강도)×100
(7) 5% 감량 시 온도
Perkin Elmer Japan Co., Ltd.제 열 중량 분석계(TGA7)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시료 10㎎을 질소 분위기하 중 30℃로부터 승온 속도 10℃/min으로 400℃까지 승온 후, 5% 감량 시의 온도를 산출했다.
(8) 잔류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량(대심초 복합사)
A.표준 용액의 조제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 0.02g을 20mL 메스 플라스크에 칭량하고, 클로로포름 2mL를 첨가하여 용해시키고, 테트라히드로푸란(THF)으로 정용했다(표준 원액: 약 1000㎍/mL). 표준 원액을 아세토니트릴로 적당히 희석해서 표준 용액을 조제했다.
B.첨가용 표준 용액의 조제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 0.01g을 10mL 메스 플라스크에 칭량하고, 클로로포름 2mL를 첨가하여 용해시키고, 테트라히드로푸란(THF)으로 정용한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첨가용 표준 용액: 약 1000㎍/mL).
C.시료 용액의 조제(n=2)
a.섬유 시료 0.1g을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HFIP) 1mL로 용해시키고, 클로로포름 2mL를 첨가하여 용해했다.
b.테트라히드로푸란(THF) 40mL를 서서히 첨가했다(폴리머가 불용화).
c.페이퍼 필터로 여과하여 얻어진 용액을 농축 건고시켰다.
d.잔사에 HFIP 1mL를 첨가하여 용해시키고, 10mL 메스 플라스크에 옮겼다.
e.앞선 용기를 THF로 씻고, 세척액으로 10mL로 정용했다.
f.구멍 지름 0.45㎛의 PTFE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한 용액을 시료 용액으로 했다.
시료를 사용하지 않고 전처리한 용액을 조작 블랭크로 했다.
D.LC/UV, LC/ELSD 분석 조건
LC 시스템: LC10A(Shimadzu Corporation)
칼럼: Asahipak ODP-404D 4.6×150㎜, 4㎛(Showa Denko K.K.)
이동상: A-[28% 암모니아수/메탄올=9/1000]/물=1/1
B-0.1% 트리에틸아민 THF 용액
타임 프로그램:
0~3min B: 50%
3~10min B: 50→70%
10~15min B: 70→90%
15~20min B: 90→100%
유량: 1.0mL/min
주입량: 20μL
칼럼 온도: 45℃
검출: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 UV280㎚
(9) 통형 편지 제작
통형 편물기로 밀도가 50이 되도록 조정하여 제작했다. 섬유의 정량 섬도가 낮을 경우에는 통형 편물기에 급사하는 섬유의 총섬도가 50~100데시텍스가 되도록 적당하게 합사하고, 총섬도가 100데시텍스를 초과할 경우에는 통형 편물기로의 급사를 1개로 행하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밀도가 50이 되도록 조정하여 제작했다.
(10) ΔMR
통형 편지를 칭량병에 1~2g 정도 칭량하고, 110℃로 2시간 유지 건조시켜서 중량을 측정하고(W0), 이어서 대상 물질을 20℃, 상대 습도 65%로 24시간 유지한 후 중량을 측정한다(W65). 그리고 이것을 30℃, 상대 습도 90%로 24시간 유지한 후 중량을 측정한다(W90). 그리고 이하의 식에 따라 계산했다.
MR65=[(W65-W0)/W0]×100% ·····(1)
MR90=[(W90-W0)/W0]×100% ·····(2)
ΔMR=MR90-MR65 ··········(3)
(11) 건열 처리 후 ΔMR
통형 편지를 열풍 건조기에서 열처리 후(150±2℃×60분), 상기 기재된 흡방습성을 측정하여 산출했다.
(12) 건열 처리 후 ΔMR 유지율
건열 처리 전후의 ΔMR의 변화 지표로서 건열 처리 후의 ΔMR 유지율을 하기 식으로 산출했다.
(건열 처리 후의 ΔMR/건열 처리 전의 ΔMR)×100
(13) 텀블 건조
통형 편지를 JIS L1930(2014년 가정 세탁 시험 방법) 부속서G에 기재된 A1형의 텀블 건조기에서 온도 80℃, 1시간의 건조를 반복하여 10회 실시했다.
(14) 감촉 평가
텀블 건조 후의 통형 편지의 감촉에 대해서 이하의 4단계로 평가했다. A 이상을 합격으로 했다.
S: 텀블 건조 전과 전혀 변하지 않은 매우 부드러운 감촉
A: 텀블 건조 전과 비교하여 변화가 적은 부드러운 감촉
B: 텀블 건조 전과 비교하여 약간 경화된 감촉
C: 텀블 건조 전과 비교하여 경화가 진행되어 뻣뻣한 감촉
(15) 내구성 평가
텀블 건조 후의 통형 편지의 내구성에 대해서 JIS L1096(2010년 직물 및 편물의 생지 시험 방법) 8.18 파열 강도 A법(뮤렌형법)으로 평가했다. A 이상을 합격으로 했다.
S: 200㎪ 이상
A: 150㎪ 이상 200㎪ 미만
C: 150㎪ 미만
(16) 흡습 성능 유지성
통형 편지에 대해서 텀블 건조 전후의 상기 (10)에 기재된 △MR를 측정하여 유지율을 산출했다. A 이상을 합격으로 했다.
S: 80% 이상
A: 70% 이상 80% 미만
C: 70% 미만
[실시예 1]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로서 폴리아미드 성분이 나일론 6, 폴리에테르 성분이 분자량 15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나일론 6과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몰비가 24%:76%인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ARKEMA K.K.제, MH1657, 오쏘클로로페놀 상대 점도: 1.69) 칩을 심부에 사용했다. 또한, 미리 2축 압출기로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에 고농도로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BASF Corp.제, IR1010, 5% 감량 시 온도: 351℃) 및 HALS계 안정제(BASF Corp.제, CHIMASSORB2020FDL, 5% 감량 시 온도: 404℃)를 함유시킨 마스터칩과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 칩을 블렌드하고, 심부의 중량에 대하여 각각의 첨가량이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IR1010)/HALS계 안정제(CHIMASSORB2020FDL)=2.0중량%/2.0중량%가 되도록 조정했다.
폴리아미드로서 황산 상대 점도가 2.71인 나일론 6 칩을 초부에 사용했다.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를 심부로 하고, 나일론 6을 초부로 해서 방사 온도 260℃에서 용융하고, 동심원 심초 복합용 구금으로부터 심/초 비율(중량%)=30/70이 되도록 방사했다. 이때 얻어지는 심초 복합사의 총섬도가 56dtex가 되도록 기어 펌프의 회전수를 선정하고, 사조 냉각 장치에서 사조를 냉각 고화하고, 급유 장치에 의해 비함수유제를 급유한 후, 제 1 유체 교락 노즐 장치에서 교락을 부여하고, 제 1 롤인 인취 롤러의 주속도를 2405m/min, 제 2 롤인 연신 롤러의 주속도를 3608m/min으로 연신, 연신 롤러 150℃에 의해 열 세팅을 행하고, 권취 속도를 3500m/min으로 권취하여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의 잔류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량 88%, 건열 처리 후의 강도 유지율 65%, 건열 처리 후의 ΔMR 유지율 75%이었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는 텀블 건조를 반복하여 실시해도 원사의 경화나 취화가 없고, 소프트한 감촉, 내구성 및 흡방습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2]
방사 온도를 270℃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의 잔류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량은 75%, 건열 처리 후의 강도 유지율 60%, 건열 처리 후의 ΔMR 유지율 72%이었다.
[실시예 3]
방사 온도를 240℃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에 포함되는 잔류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량은 93%로 양호하며, 열처리 후 강도 유지율 70%, 열처리 후 ΔMR 유지율 77%로 양호했다.
[실시예 4]
연신 롤러 120℃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에 포함되는 잔류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량은 90%로 양호하며, 열처리 후 강도 유지율 67%, 열처리 후 ΔMR 유지율 77%로 양호했다.
[실시예 5]
심/초 비율(중량부)=50/50이 되도록 방사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에 포함되는 잔류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량은 85%로 양호하며, 열처리 후 강도 유지율 63%, 열처리 후 ΔMR 유지율 72%로 양호했다.
[실시예 6]
심/초 비율(중량부)=70/30이 되도록 방사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2에 나타낸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에 포함되는 잔류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량은 83%로 양호하며, 열처리 후 강도 유지율 60%, 열처리 후 ΔMR 유지율 70%로 양호했다.
[실시예 7]
심부의 중량에 대하여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IR1010)/HALS계 안정제(CHIMASSORB2020FDL)=3.0중량%/2.0중량%가 되도록 조정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2에 나타낸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에 포함되는 잔류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량은 86%로 양호하며, 열처리 후 강도 유지율 70%, 열처리 후 ΔMR 유지율 78%로 양호했다.
[실시예 8]
심부의 중량에 대하여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IR1010)/HALS계 안정제(CHIMASSORB2020FDL)=3.0중량%/3.0중량%가 되도록 조정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2에 나타낸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에 포함되는 잔류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량은 90%로 양호하며, 열처리 후 강도 유지율 75%, 열처리 후 ΔMR 유지율 80%로 양호했다.
[실시예 9]
심부의 중량에 대하여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IR1010)/HALS계 안정제(CHIMASSORB2020FDL)=4.0중량%/4.0중량%가 되도록 조정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2에 나타낸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에 포함되는 잔류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량은 93%로 양호하며, 열처리 후 강도 유지율 80%, 열처리 후 ΔMR 유지율 85%로 양호했다.
[실시예 10]
심부의 중량에 대하여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IR1010)/HALS계 안정제(CHIMASSORB2020FDL)=1.0중량%/1.0중량%가 되도록 조정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2에 나타낸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에 포함되는 잔류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량은 75%로 양호하며, 열처리 후 강도 유지율 55%, 열처리 후 ΔMR 유지율 70%로 양호했다.
[비교예 1]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 및 HALS계 안정제를 첨가하지 않고, 건열 처리 후의 강도 유지율을 30%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3에 나타낸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의 건열 처리 후의 ΔMR 유지율 50%이었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는 텀블 건조를 반복하여 실시하면 원사의 경화나 취화가 관찰되어 감촉이 단단해지고, 내구성이 뒤떨어져 있었다.
[비교예 2]
HALS계 안정제(CHIMASSORB2020FDL)를 첨가하지 않고, 건열 처리 후의 강도 유지율을 40%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3에 나타낸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에 포함되는 잔류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량은 40%로 나쁘고, 열처리 후 ΔMR 유지율 55%이었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는 텀블 건조를 반복하여 실시하면 원사의 경화나 취화가 관찰되어 감촉이 단단해지고, 내구성이 뒤떨어져 있었다. 또한,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에 포함되는 폴리에틸렌글리콜부의 열 열화에 의해 흡습 성능이 저하되었다.
[비교예 3]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IR1010)를 첨가하지 않고, 건열 처리 후의 강도 유지율을 33%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3에 나타낸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는 열처리 후 ΔMR 유지율 52%이었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는 텀블 건조를 반복하여 실시하면 원사의 경화나 취화가 관찰되어 감촉이 단단해지고, 내구성이 뒤떨어져 있었다. 또한,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에 포함되는 폴리에틸렌글리콜부의 열 열화에 의해 흡습 성능이 저하되었다.
[비교예 4]
심부의 중량에 대하여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IR1010)/HALS계 안정제(CHIMASSORB2020FDL)=0.5중량%/0.5중량%로 하고, 건열 처리 후의 강도 유지율을 45%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3에 나타낸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에 포함되는 잔류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량은 60%로 나쁘고, 열처리 후 ΔMR 유지율 65%이었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는 텀블 건조를 반복하여 실시하면 원사의 경화나 취화가 관찰되어 감촉이 단단해지고, 내구성이 뒤떨어져 있었다. 또한,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에 포함되는 폴리에틸렌글리콜부의 열 열화에 의해 흡습 성능이 저하되었다.
[비교예 5]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를 5% 감량 시 온도 223℃의 것으로 변경(BASF Corp.제, IR1135)하고, 건열 처리 후의 강도 유지율을 40%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3에 나타낸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의 잔류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량은 50%, 건열 처리 후의 ΔMR 유지율 60%이었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는 텀블 건조를 반복하여 실시하면 원사의 경화나 취화가 관찰되어 감촉이 단단해지고, 내구성이 뒤떨어져 있었다. 또한,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에 포함되는 폴리에틸렌글리콜부의 열 열화에 의해 흡습 성능이 저하되었다.
[비교예 6]
HALS계 안정제를 5% 감량 시 온도 275℃의 것으로 변경(ADEKA CORPORATION제, ADK STAB LA-81)하고, 건열 처리 후의 강도 유지율을 45%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물성을 표 3에 나타낸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의 잔류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량은 63%, 건열 처리 후의 ΔMR 유지율 65%이었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는 텀블 건조를 반복하여 실시하면 원사의 경화나 취화가 관찰되어 감촉이 단단해지고, 내구성이 뒤떨어져 있었다. 또한,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에 포함되는 폴리에틸렌글리콜부의 열 열화에 의해 흡습 성능이 저하되었다.
[비교예 7]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를 인계 산화 방지제로 변경(ADEKA CORPORATION제, ADK STAB PEP-36, 5% 감량 시 온도: 316℃)하고, 건열 처리 후의 강도 유지율을 45%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의 심초 복합사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는 섬도 56데시텍스, 신도 50%, 강도 3.0cN/dtex, △MR 6.7%, 건열 처리 후의 ΔMR 유지율 60%이었다.
얻어진 심초 복합사는 텀블 건조를 반복하여 실시하면 원사의 경화나 취화가 관찰되어 감촉이 단단해지고, 내구성 및 흡습 성능 유지성이 뒤떨어져 있었다. 즉, 인계의 산화 방지제에서는 경화가 얻어지지 않았다.
본 발명의 심초 복합사는 높은 흡습 성능을 갖고, 천연 섬유를 넘는 쾌적성과, 세탁 건조를 반복하여 실시해도 소프트한 감촉, 내구성 및 흡방습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심초 복합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초부 폴리머가 폴리아미드, 심부 폴리머가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이며, 인장 강도가 3.0cN/dtex 이상이고, 150℃, 1시간 건열 처리 후의 강도 유지율이 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습성 심초 복합사.
  2. 제 1 항에 있어서,
    ΔMR이 5.0% 이상이며, 150℃, 1시간 건열 처리 후의 ΔMR 유지율이 70% 이상인 흡습성 심초 복합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흡습성 심초 복합사를 적어도 일부에 갖는 포백.
KR1020187008646A 2015-12-08 2016-11-14 흡습성 심초 복합사 및 포백 KR1025881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39504 2015-12-08
JPJP-P-2015-239504 2015-12-08
PCT/JP2016/083644 WO2017098861A1 (ja) 2015-12-08 2016-11-14 吸湿性芯鞘複合糸及び布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247A KR20180090247A (ko) 2018-08-10
KR102588119B1 true KR102588119B1 (ko) 2023-10-12

Family

ID=59013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8646A KR102588119B1 (ko) 2015-12-08 2016-11-14 흡습성 심초 복합사 및 포백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80363169A1 (ko)
EP (1) EP3388562B1 (ko)
JP (1) JPWO2017098861A1 (ko)
KR (1) KR102588119B1 (ko)
CN (1) CN108350608B (ko)
AU (1) AU2016366016A1 (ko)
CA (1) CA3006539A1 (ko)
TW (1) TWI702319B (ko)
WO (1) WO20170988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0262511A1 (ko) * 2019-06-28 2020-12-30
EP3699331A1 (en) * 2019-07-30 2020-08-26 Low & Bonar B.V. A fiber
CN115989344A (zh) * 2020-09-24 2023-04-18 东丽株式会社 聚酰胺芯鞘复合纤维和布帛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32627A (ja) * 2009-12-24 2011-07-07 Toray Ind Inc 抗菌性有機重合体製品
US20130237114A1 (en) 2010-11-16 2013-09-12 Adeka Corporation Method for stabilizing polymer for long term, method for producing nonwoven fabric, and method for producing elastomer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6618A (ja) * 1984-07-26 1986-02-21 Babcock Hitachi Kk 火炎検出装置
JP3144092B2 (ja) 1992-10-26 2001-03-07 東レ株式会社 吸湿性に優れた芯鞘型複合繊維
JPH07278964A (ja) * 1994-03-31 1995-10-24 Toray Ind Inc 吸湿性に優れた3重芯鞘型複合繊維
JP3476577B2 (ja) 1995-02-08 2003-12-10 ユニチカ株式会社 吸放湿性を有する複合繊維
JPH0941221A (ja) * 1995-07-28 1997-02-10 Toray Ind Inc 快適性に優れた合成繊維
JPH0941204A (ja) * 1995-07-31 1997-02-10 Toray Ind Inc 吸湿性に優れたストッキング
JP3716517B2 (ja) 1995-11-06 2005-11-16 東レ株式会社 高吸湿性ポリアミド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8324A (ja) * 1996-04-22 1998-01-13 Tosoh Corp ポリエーテルエステルアミドエラストマー弾性糸
JP2000336560A (ja) * 1999-05-28 2000-12-05 Unitika Ltd 吸放湿性に優れた織編物
FR2890969A1 (fr) * 2005-09-16 2007-03-23 Arkema Sa Copolymeres a blocs polyamides et blocs polyethers resistants au vieillissement
US7892640B2 (en) * 2007-04-04 2011-02-22 Kb Seiren, Ltd. Conjugate fibers excellent in antistatic property, water absorption and cool feeling by contact
US20120128975A1 (en) * 2008-09-30 2012-05-24 Kb Seiren, Ltd. Conjugate fibers for stockings
US20150159303A1 (en) 2012-07-12 2015-06-11 Kb Seiren, Ltd. Core-Sheath Conjugated Fib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32627A (ja) * 2009-12-24 2011-07-07 Toray Ind Inc 抗菌性有機重合体製品
US20130237114A1 (en) 2010-11-16 2013-09-12 Adeka Corporation Method for stabilizing polymer for long term, method for producing nonwoven fabric, and method for producing elastomer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350608A (zh) 2018-07-31
EP3388562A4 (en) 2019-09-18
EP3388562A1 (en) 2018-10-17
CA3006539A1 (en) 2017-06-15
US20180363169A1 (en) 2018-12-20
AU2016366016A1 (en) 2018-06-14
CN108350608B (zh) 2021-01-08
TW201726987A (zh) 2017-08-01
EP3388562B1 (en) 2020-12-23
KR20180090247A (ko) 2018-08-10
JPWO2017098861A1 (ja) 2018-09-27
TWI702319B (zh) 2020-08-21
WO2017098861A1 (ja) 201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8119B1 (ko) 흡습성 심초 복합사 및 포백
KR102465144B1 (ko) 흡습성 심초 복합사 및 그 제조 방법
EP3375918B1 (en) Core-sheath composite cross-section fiber having excellent moisture absorbency and wrinkle prevention
WO2020262511A1 (ja) 芯鞘複合糸及び布帛
JP6690160B2 (ja) 耐久性に優れた制電性ポリアミド芯鞘複合繊維
JP6600969B2 (ja) 吸放湿性能に優れた芯鞘複合断面繊維
WO2022065121A1 (ja) ポリアミド芯鞘複合繊維及び布帛
JP2018076613A (ja) 吸湿性芯鞘複合糸
JP2016132828A (ja) 吸湿性芯鞘複合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