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767B1 - 크레이트의 글라스패널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이트의 글라스패널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767B1
KR101616767B1 KR1020140099746A KR20140099746A KR101616767B1 KR 101616767 B1 KR101616767 B1 KR 101616767B1 KR 1020140099746 A KR1020140099746 A KR 1020140099746A KR 20140099746 A KR20140099746 A KR 20140099746A KR 101616767 B1 KR101616767 B1 KR 101616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anel
plate member
support plate
support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9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6169A (ko
Inventor
한상길
이상근
Original Assignee
(주)젠틸패키징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젠틸패키징시스템 filed Critical (주)젠틸패키징시스템
Priority to KR1020140099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767B1/ko
Publication of KR20160016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6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04Arrangements to prevent high voltage or static electricity fail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1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 H01L21/6878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of the susceptor, stage or suppor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02F2201/503Arrangements improving the resistance to sho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이트의 글라스패널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글라스패널의 측면이 지지되는 경사진 받침대가 구비된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는 글라스패널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글라스패널 거치대; 상기 글라스패널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며, 균일한 두께를 갖는 제1 지지판부재; 및 상기 제1 지지판부재에 결합되어 정전기를 도전시키며, 충격을 흡수하는 제2 지지판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글라스패널을 적재시 충격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정전기의 발생으로 글라스의 손상을 방지하고, 글라스패널을 적재시 글라스패널을 균일하게 지지하도록 평탄도를 높이고, 적재된 글라스패널을 픽업할 때 글라스패널에 작용하는 면압을 감소시킨다.

Description

크레이트의 글라스패널 지지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GLASS PANNEL IN CRATE}
본 발명은 크레이트의 글라스패널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화면표시장치가 요구되며, 그에 따라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 여러 가지 박판형 화면표시장치가 개발 생산되고 있다.
액정표시장치인 LCD는 컬러 필터층이 구비된 제1 기판과, 구동소자들이 배열된 제2 기판과, 제1,2 기판들 사이에 충진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제1 기판과 제2 기판은 각각 글라스패널에 반도체 제조 공정들이 수행되어 회로가 형성된다.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각각 글라스패널이라 통칭하고, 또한, 제1,2 기판 사이에 액정층이 충진된 표시장치를 글라스패널이라 한다.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공정 중 글라스패널을 이송시키게 되며, 글라스패널 이송시 크레이트(일명, 적재장치라고도 함)에 글라스패널들을 적재한 후 크레이트를 이송시킴에 의해 글라스패널들을 이송시키게 된다. 또한, 화면표시장치가 OEM 방식으로 제작될 경우 글라스패널들을 장거리로 운반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크레이트에 글라스패널들을 적재하거나 크레이트에 적재된 글라스패널들을 내릴 때 로봇에 의해 수행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91020호(2011. 12. 01. 등록일)(선행기술이라 함)에는 엘시디글라스 운반용 크레이트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에는 글라스(101)의 저면과 밀착되어 지지하기 위한 수평지지대(102)와, 수평지지대(102)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결되면서 글라스(101)의 전면 또는 후면(넓은 면)을 지지하기 위한 수직지지대(103)로 크레이트프레임(104)을 구성하고, 크레이트프레임(104)의 수직지지대(103)의 글라스(101) 지지면은 후방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하여 적재되는 글라스(101)가 완전히 직립되지 않고 후방으로 기울어지고, 수평지지대(102)의 상면 또한 기울어진 수직지지대(103)와 직각을 이루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수평 및 수직지지대(102,103)의 표면에는 글라스(101)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이물질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무정전피브이시와 같은 완충패드(105)와 다수개의 받침대(106)가 부착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에 개시된, 글라스의 전면 또는 후면을 지지하는, 무정전피브이시인 완충패드가 평판으로 이루어져 완충패드에 접촉된 글라스를 픽업할 때 완충패드와 글라스 사이에 면압이 작용하여 쉽게 글라스가 완충패드로부터 쉽게 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또한, 완충패드가 무정전피브이시 재질로 이루어져 정전기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나, 충격 흡수 능력이 떨어져 글라스를 적재시 충격이 발생될 경우 충격이 글라스에 전달되어 글라스에 응력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글라스패널을 적재시 충격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정전기의 발생으로 글라스의 손상을 방지하는 크레이트의 글라스패널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글라스패널을 적재시 글라스패널을 균일하게 지지하도록 평탄도를 높이고, 적재된 글라스패널을 픽업할 때 글라스패널에 작용하는 면압을 감소시키는 크레이트의 글라스패널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글라스패널의 측면이 지지되는 경사진 받침대가 구비된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는 글라스패널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글라스패널 거치대; 상기 글라스패널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며, 균일한 두께를 갖는 제1 지지판부재; 및 상기 제1 지지판부재에 결합되어 정전기를 도전시키며, 충격을 흡수하는 제2 지지판부재;를 포함하는 크레이트의 글라스패널 지지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1 지지판부재의 두께가 제2 지지판부재의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지지판부재는 무정전 피브이시(PVC)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지지판부재는 피이(PE) 발포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지지판부재에 대전방지코팅막이 구비되며, 상기 대전방지코팅막에 상기 글라스패널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지지판부재는 상기 글라스패널이 접촉되는 지지면에 직선 형상의 다수 개 직선 홈들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받침대에 복수 개의 받침판들이 구비되며, 상기 받침판은 각각 피이 발포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글라스패널들의 측면이 받침판(130)들에 지지되고 글라스패널들의 맨뒤의 글라스패널이 제1,2 지지판부재들에 의해 접촉 지지되므로 글라스패널을 글라스패널 거치대에 적재시 충격이 발생될 경우 그 충격이 제1,2 지지판부재들에 의해 흡수되어 글라스패널로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글라스패널에 충격에 의한 응력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시키게 되어 글라스패널에 구비된 회로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글라스패널과 접촉되는 제2 지지판부재가 충격을 흡수하며 정전기를 도전시키는 재질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글라스패널을 적재하거나 하역시 또는 운반시 글라스패널과 간지 사이에서 또는 글라스패널들 사이에서 정전기가 발생될 경우 제2 지지판부재와 받침판에 의해 도전 제거되고, 제2 지지판부재와 글라스패널 사이에 정전기 발생이 방지된다. 이로 인하여, 글라스패널에 구비된 회로의 손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이물질이 글라스패널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지지판부재가 제1 지지판부재보다 강도가 작은 재질로 이루어지고 제1 지지판부재가 균일한 두께를 가지게 되므로 글라스패널들을 반복적으로 지지하게 되어도 제1,2 지지판부재들의 평탄도 저하를 방지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제2 지지판부재에 글라스패널들이 지지된 상태에서 글라스패널에 작용하는 압력이 균일하게 되어 글라스패널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지지판부재의 전면에 다수 개의 직선 홈들이 구비된 경우 글라스패널을 제2 지지판부재에 접촉시키거나 제2 지지판부재에 글라스패널이 접촉된 상태에서 글라스패널을 픽업할 때 다수 개의 직선 홈들로 공기가 유입 또는 유출되어 제2 지지판부재와 글라스패널 사이에 면압이 작용하는 것을 최소화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제2 지지판부재에 글라스패널을 적재하는 작업과 제2 지지판부재에 적재된 글라스패널을 픽업하는 작업이 원활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이트의 글라스패널 지지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이트의 글라스패널 지지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이트의 글라스패널 지지장치의 제1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2 지지판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이트의 글라스패널 지지장치의 제1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 지지판부재의 코팅막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이트의 글라스패널 지지장치의 제1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 지지판부재의 직선 홈들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이트의 글라스패널 지지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이트의 글라스패널 지지장치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이트의 글라스패널 지지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이트의 글라스패널 지지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이트의 글라스패널 지지장치의 제1 실시예는 글라스패널 거치대(100), 제1 지지판부재(200), 제2 지지판부재(300)를 포함한다.
글라스패널 거치대(100)는 글라스패널(P)의 측면이 지지되는 경사진 받침대가 구비된 베이스 프레임(110)과,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측에 구비되는 글라스패널 지지프레임(120)을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면은 설정된 면적을 갖는 사각 형태이며, 균일한 두께를 갖는 베이스부(111)와, 베이스부(111)의 상면 한쪽에 구비되며 상면이 경사진 받침대(112)를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110)의 받침대의 상면에 글라스패널(P)의 측면이 놓여지는 복수 개의 받침판(13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받침판(130)은 충격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정전기를 발생시키지 않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판(130)의 재질은 피이 발포폼(PE foam)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받침판(130) 재질의 다른 실시예로, 발열가소성 플라스틱의 하나인 무정전 피브이시(PVC:Polyvinyl chloride)가 될 수도 있다. 글라스패널 지지프레임(120)은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면에 경사지게 구비되는 전면 프레임부(121)와, 전면 프레임부(121)와 간격을 두고 베이스 프레임(110)에 구비되는 후면 프레임부(122)와, 전면 프레임부(121)와 후면 프레임부(122)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부(123)들을 포함한다. 전면 프레임부(121)는 설정된 두께를 갖는 사각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지지판부재(200)는 글라스패널 지지프레임(120)에 결합되되, 글라스패널 지지프레임(120)의 전면 프레임부(121)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지지판부재(200)는 균일한 두께를 갖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1 지지판부재(200)의 크기는 글라스패널(P)의 크기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지지판부재(200)의 한쪽면이 전면 프레임부(121)에 접촉되도록 결합되고, 그 접촉되는 면이 후면이고 그 반대편 면이 전면이 된다. 제1 지지판부재의 전면의 평탄도는 글라스패널(P)의 전면 또는 후면의 평탄도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지지판부재(200)는 충격을 흡수하는 유연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정전기를 지니지 않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지지판부재(200)의 재질의 일예로, 제1 지지판부재(200)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하나인 무정전 피브이시(PVC:Polyvinyl chloride)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무정전 피브이시의 성형폼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지지판부재(300)는 제1 지지판부재(200)에 결합된다. 제2 지지판부재(3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균일한 두께를 가지는 평판으로, 크기는 제1 지지판부재(200)의 크기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지지판부재(300)의 한쪽면이 제1 지지판부재(200)의 전면에 접촉되도록 결합되고 그 접촉되는 면이 후면이고 그 반대편 면이 전면이 된다. 제2 지지판부재(300)의 재질은 제1 지지판부재(200)의 재질과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지지판부재(300)는 충격을 흡수하는 유연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2 지지판부재(300)의 경도가 제1 지지판부재(200)의 경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지지판부재(300)는 정전기를 발생시키지 않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지지판부재(300)의 재질의 일예로, 제1 지지판부재(200)의 재질은 피이(PE) 발포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지지판부재(200)의 두께가 제2 지지판부재(300)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지지판부재(300)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전방지코팅막(31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대전방지코팅막(310)은 전도성 고분자를 유효 성분으로 한다. 전도성 고분자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대전방지코팅막(310)은 막의 강도 및 내마찰성이 우수하다.
제2 지지판부재(300)의 다른 실시예로, 제2 지지판부재(3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글라스패널(P)이 접촉되는 지지면인 전면에 다수 개의 직선 홈(320)들이 구비될 수 있다. 직선 홈(320)은 균일한 폭과 깊이를 갖는다. 직선 홈(320)들은 전면의 가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다른 일예로 직선 홈(320)들은 전면의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예로 직선 홈(320)들은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각각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도 있다.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에 글라스패널(P)들의 측면을 고정하는 측면클램프(들)(미도시)와, 글라스팬널의 전면(또는 후면)을 지지하는 전면클램프(들)(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측면클램프가 구비된 경우 제1,2 지지판부재(200)(300)의 양측 단부에 각각 측면클램프(들)이 위치하는 개구홈(H)들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이트의 글라스패널 지지장치의 제2 실시예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레이트의 글라스패널 지지장치는 글라스패널(P)의 측면이 지지되는 경사진 받침대(112)가 구비된 베이스 프레임(1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측에 구비되는 글라스패널 지지프레임(120)을 포함하는 글라스패널 거치대(100); 상기 글라스패널 지지프레임(120)에 구비되며, 글라스패널(P)의 전면 또는 후면이 지지되는 지지판부재(300');를 포함하며, 지지판부재(300')는 두께가 균일한 판이며, 재질이 무정전 피브이시이다.
크레이트의 글라스패널 지지장치의 제2 실시예를 구성하는 글라스패널 거치대(100)는 제1 실시예의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와 같다. 따라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지지판부재(300')는 글라스패널 지지프레임(120)에 결합되되, 글라스패널 지지프레임(120)의 전면 프레임부(121)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지지판부재(300')는 제1 실시예의 제2 지지판부재(300)와 같게 구성된다. 따라서, 지지판부재(300')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이트의 글라스패널 지지장치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다수 장의 글라스패널(P)들을 운반시 로봇이 글라스패널(P)들을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에 적재한다. 이때, 로봇이 글라스패널(P)을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에 적재시 글라스패널(P)의 측면이 받침판(130)들에 접촉 지지됨과 아울러 글라스패널(P)의 후면(또는 전면)이 제1 지지판부재(200)의 전면에 접촉 지지되도록 위치시킨다. 그 다음 글라스패널(P)은 첫번째 글라스패널(P)에 이어 측면이 받침판(130)들에 접촉 지지됨과 아울러 첫번째 글라스패널(P)의 전면에 접촉되도록 적재시키되 글라스패널(P)과 글라스패널(P) 사이에 간지(미도시)가 위치한다.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에 글라스패널(P)들의 적재가 완료되면 글라스패널 거치대(100)를 설정된 위치로 운반시킨다. 글라스패널 거치대(100)가 설정된 위치로 운반되면 글라스패널(P)들을 하역하게 된다. 이때, 로봇에 의해 적재된 글라스패널(P)들이 픽업되어 하역된다.
본 발명은 글라스패널(P)들의 측면이 받침판(130)들에 지지되고 글라스패널(P)들의 맨뒤의 글라스패널(P)이 제1,2 지지판부재들(200)(300)에 의해 접촉 지지되므로 글라스패널(P)을 글라스패널 거치대(100)에 적재시 충격이 발생될 경우 그 충격이 제1,2 지지판부재들(200)(300)에 의해 흡수되어 글라스패널(P)로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글라스패널(P)에 충격에 의한 응력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시키게 되어 글라스패널(P)에 구비된 회로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글라스패널(P)과 접촉되는 제2 지지판부재(300)가 충격을 흡수하며 정전기를 도전시키는 재질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글라스패널(P)을 적재하거나 하역시 또는 운반시 글라스패널(P)과 간지 사이에서 또는 글라스패널(P)들 사이에서 정전기가 발생될 경우 제2 지지판부재(300)와 받침판(130)에 의해 도전 제거되고, 제2 지지판부재(300)와 글라스패널(P) 사이에 정전기 발생이 방지된다. 이로 인하여, 글라스패널(P)에 구비된 회로의 손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이물질이 글라스패널(P)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지지판부재(300)가 제1 지지판부재(200)보다 강도가 작은 재질로 이루어지고 제1 지지판부재(200)가 균일한 두께를 가지게 되므로 글라스패널(P)들을 반복적으로 지지하게 되어도 제1,2 지지판부재들(200)(300)의 평탄도 저하를 방지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제2 지지판부재(300)에 글라스패널(P)들이 지지된 상태에서 글라스패널(P)에 작용하는 압력이 균일하게 되어 글라스패널(P)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지지판부재(300)의 전면에 다수 개의 직선 홈(320)들이 구비된 경우 글라스패널(P)을 제2 지지판부재(300)에 접촉시키거나 제2 지지판부재(300)에 글라스패널(P)이 접촉된 상태에서 글라스패널(P)을 픽업할 때 다수 개의 직선 홈(320)들로 공기가 유입 또는 유출되어 제2 지지판부재(300)와 글라스패널(P) 사이에 면압이 작용하는 것을 최소화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제2 지지판부재(300)에 글라스패널(P)을 적재하는 작업과 제2 지지판부재(300)에 적재된 글라스패널(P)을 픽업하는 작업이 원활하게 된다.
100; 글라스패널 거치대 110; 베이스 프레임
120; 글라스패널 지지프레임 200; 제1 지지판부재
300; 제2 지지판부재

Claims (7)

  1. 글라스패널의 측면이 지지되는 경사진 받침대가 구비된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는 글라스패널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글라스패널 거치대;
    상기 글라스패널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며, 균일한 두께를 갖는 제1 지지판부재; 및
    상기 제1 지지판부재에 결합되어 정전기를 도전시키며, 충격을 흡수하는 제2 지지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판부재는 무정전 피브이시(PVC)이며, 상기 제2 지지판부재는 피이(PE) 발포제이며,
    상기 제2 지지판부재는 상기 글라스패널이 접촉되는 지지면에 직선 형상의 다수 개 직선 홈들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지지판부재의 두께가 제2 지지판부재의 두께보다 두꺼우며, 제2 지지판부재의 경도가 제1 지지판부재의 경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이트의 글라스패널 지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판부재에 대전방지코팅막이 구비되며, 상기 대전방지코팅막에 상기 글라스패널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이트의 글라스패널 지지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받침대에 복수 개의 받침판들이 구비되며, 상기 받침판은 각각 피이 발포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이트의 글라스패널 지지장치.


KR1020140099746A 2014-08-04 2014-08-04 크레이트의 글라스패널 지지장치 KR101616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746A KR101616767B1 (ko) 2014-08-04 2014-08-04 크레이트의 글라스패널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746A KR101616767B1 (ko) 2014-08-04 2014-08-04 크레이트의 글라스패널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169A KR20160016169A (ko) 2016-02-15
KR101616767B1 true KR101616767B1 (ko) 2016-04-29

Family

ID=55356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9746A KR101616767B1 (ko) 2014-08-04 2014-08-04 크레이트의 글라스패널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676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2768A (ja) * 2002-02-25 2003-11-06 Bridgestone Corp 梱包ケースおよびワークの帯電防止方法
KR200416150Y1 (ko) * 2006-02-16 2006-05-15 주식회사 미래엔지니어링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팔레트
KR101011257B1 (ko) * 2009-12-29 2011-01-26 주식회사 이에스디웍 다층구조의 lcd패널 보호용 간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604B1 (ko) * 2003-11-24 2004-07-12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2768A (ja) * 2002-02-25 2003-11-06 Bridgestone Corp 梱包ケースおよびワークの帯電防止方法
KR200416150Y1 (ko) * 2006-02-16 2006-05-15 주식회사 미래엔지니어링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팔레트
KR101011257B1 (ko) * 2009-12-29 2011-01-26 주식회사 이에스디웍 다층구조의 lcd패널 보호용 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169A (ko) 201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91926B (zh) 显示面板、治具及利用其制备显示面板的方法
JP2013139299A (ja) 樹脂製パレット
US10065793B2 (en) Packaging structure and packaging method for display panel
JP3217035U (ja) 梱包体
KR100673580B1 (ko) 기판 수납용 트레이
JP2015139968A (ja) スクライブ装置
US20200294839A1 (en) Chip ejecting apparatus
KR101616767B1 (ko) 크레이트의 글라스패널 지지장치
TWI462211B (zh) 承載裝置與承載裝置及被載物之組合
US10748855B2 (en) Laminating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package using the same
KR101399399B1 (ko) 기판용 카세트의 재치대
JP2011042384A (ja) 搬送トレイ
CN107799449B (zh) 基板搬送卡夹及基板搬送方法
KR101480524B1 (ko) 액정패널 흡착용 지그장치
KR101812221B1 (ko) 워크 적재 장치
JP5357261B2 (ja) 収納トレイ
KR101920754B1 (ko) 기판 이송장치
JP2013047110A (ja) 梱包容器、梱包体、および梱包方法
JP2011164576A (ja) 有機発光表示パネルセル移送装置
KR101212118B1 (ko) Lcd 유리기판 수납용 무진동 운반 박스
US20230106446A1 (en) Transport system
JP2008118014A (ja) 基板収容カセット
JP2009143595A (ja) ガラス板梱包台
KR100911823B1 (ko) 카세트의 직각도 자동 감지장치
KR101571744B1 (ko) 글라스패널 운반용 크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