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7554B1 - 배선 덕트 접속 장치 - Google Patents
배선 덕트 접속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07554B1 KR101607554B1 KR1020140108941A KR20140108941A KR101607554B1 KR 101607554 B1 KR101607554 B1 KR 101607554B1 KR 1020140108941 A KR1020140108941 A KR 1020140108941A KR 20140108941 A KR20140108941 A KR 20140108941A KR 101607554 B1 KR101607554 B1 KR 1016075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le
- housing
- closed position
- cover
- handle cov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1/00—Non-rotary current collectors for maintaining contact between moving and stationary parts of an electric circui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1/00—Non-rotary current collectors for maintaining contact between moving and stationary parts of an electric circuit
- H01R41/02—Devices for interrupted current collection, e.g. distribut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Contact members of coupling parts operating as switch, e.g. linear or rotational movement required after mechanical engagement of coupling part to establish electrical connec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01R13/717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filament or neon bulb
Landscapes
- Break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급전 케이블을 통한 급전이 잘못되어 정지할 가능성을 저감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P1)는, 접촉자(2)와, 차단기(4)와, 하우징(1)과, 핸들 커버(5)를 구비한다. 핸들 커버(5)는, 하우징(1)에 장착되고, 차단기(4)의 조작 핸들(40)을 덮는 폐쇄 위치와 조작 핸들(40)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와의 사이를 변위한다. 핸들 커버(5)는, 하우징(1)에 지지되는 제1 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와의 사이를 변위 가능하게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핸들 커버(5)의 제1 단부와는 상이한 변위 가능한 제2 단부에는, 폐쇄 위치로부터의 변위를 규제하기 위한 규제부가 설치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배선 덕트(duct)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배선 덕트의 도체와 급전 케이블의 심선(芯線)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예로서, 특허 문헌 1(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2―114000호)에 기재된 배선 덕트용 플러그를 예시한다. 이 종래예는, 배선 덕트의 도체(導體)에 접촉되고 또한 급전 케이블의 심선과 통전되는 접촉자와, 접촉자와 급전 케이블을 연결하는 전로(電路)를 차단하는 차단기와, 접촉자와 차단기를 내부에 수납하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그리고, 차단기는, 이상(異常) 전류[단락(短絡) 전류 또는 과부하 전류]가 흘렀을 때 접점을 개극(開極; 오프)하는 회로 차단기, 또는 이상 전류뿐아니라 누설(漏洩) 전류가 흘렀을 때 접점을 개극하는 누전 차단기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차단기에는, 강제적으로 개극된 접점을 복귀[폐극(閉極)]시키거나 접점을 수동으로 개폐하거나 하기 위한 조작 핸들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 핸들은, 하우징의 전면(前面)에 개구된 개구부를 통해 하우징의 밖으로 노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종래예에서는, 조작 핸들이 하우징의 밖으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조작 핸들이 잘못 조작되어 버려, 급전 케이블을 통한 급전이 정지하여 버릴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급전 케이블을 통한 급전이 잘못되어 정지할 가능성을 저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態樣)에 관한 배선 덕트 접속 장치는, 접촉자와, 차단기와, 하우징과, 핸들 커버를 구비한다. 상기 접촉자는, 배선 덕트의 도체에 접촉되고 또한 급전 케이블의 심선과 통전된다. 상기 차단기는, 상기 접촉자와 상기 심선을 연결하는 전로를 개폐한다. 또한, 상기 차단기는, 상기 전로의 개폐를 수동으로 행하기 위한 조작 핸들을 가진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조작 핸들을 외부에 노출시킨 상태로 상기 접촉자와 상기 차단기를 내부에 수납한다. 상기 핸들 커버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조작 핸들을 덮는 폐쇄 위치와 상기 조작 핸들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와의 사이를 변위한다. 상기 핸들 커버는,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는 제1 단부(端部)를 지점(支点)으로 하여 상기 개방 위치와 상기 폐쇄 위치와의 사이를 변위 가능하게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 커버의 상기 제1 단부와는 상이한 변위 가능한 제2 단부에는,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의 변위를 규제하기 위한 규제부가 설치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배선 덕트 접속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실시형태에 관한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핸들 커버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정면도이며, 도 2의 B는, 실시형태에 관한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핸들 커버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정면도이다.
도 3의 A는, 실시형태에 관한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핸들 커버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사시도이며, 도 3의 B는, 실시형태에 관한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핸들 커버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4의 A는, 실시형태에 관한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핸들 커버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단면도(斷面圖)이며, 도 4의 B는, 실시형태에 관한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핸들 커버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실시형태에 관한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핸들 커버가 폐쇄 위치에 있고, 또한 록(lock)으로 잠겨져 있을 때의 단면도이며, 도 5의 B는, 실시형태에 관한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관한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실시형태에 관한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핸들 커버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정면도이며, 도 2의 B는, 실시형태에 관한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핸들 커버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정면도이다.
도 3의 A는, 실시형태에 관한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핸들 커버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사시도이며, 도 3의 B는, 실시형태에 관한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핸들 커버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4의 A는, 실시형태에 관한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핸들 커버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단면도(斷面圖)이며, 도 4의 B는, 실시형태에 관한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핸들 커버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실시형태에 관한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핸들 커버가 폐쇄 위치에 있고, 또한 록(lock)으로 잠겨져 있을 때의 단면도이며, 도 5의 B는, 실시형태에 관한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관한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배선 덕트 접속 장치(P1)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형태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P1)(이하, 「플러그(P1)」라고 함)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배선 덕트(100)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배선 덕트(100)는, 문헌 1에도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 주지로서, 도 1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斷面) 형상이 대략 정육각 형상의 덕트 본체(102) 내에 3개의 도체(101A, 101b, 101C)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덕트 본체(102)의 하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홈(103)이 개구되어 있다. 이 삽입홈(103)을 통하여, 플러그(P1)의 접촉자(2)가 덕트 본체(102) 내에 삽입된다. 3개의 도체(101A, 101b, 101C) 중 단상(單相) 3선식의 배선의 중성선(中性線)에 상당하는 1개[도체(101C)]는, 덕트 본체(102) 내의 천정면에 배치된다. 또한, 3개의 도체(101A, 101b, 101C) 중 전압선에 상당하는 나머지 2개[도체(101A, 101b)]는, 덕트 본체(102) 내의 좌우 양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단, 덕트 본체(102)의 단면 형상은 정육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 등의 사각형상의 경우도 있다. 또한, 배선 덕트(100)의 배선 형태도 단상 3선식의 배선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3상 3선식이나 3상 4선식 등의 배선 형태의 경우도 있다.
플러그(P1)는, 도 1, 도 2의 A, 도 2의 B, 도 3의 A,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자(2)와, 차단기(4)와, 하우징(1)을 구비한다. 접촉자(2)는, 배선 덕트(100)의 도체(101A, 101b, 101C)에 접촉되고 또한 급전 케이블(150)의 심선과 통전된다. 차단기(4)는, 접촉자(2)와 급전 케이블(150)의 심선을 연결하는 전로를 개폐한다. 하우징(1)은, 접촉자(2)와 차단기(4)를 내부에 수납한다.
하우징(1)은, 도 1∼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디(10)와 커버(11)로 구성되어 있다. 보디(10)는 하면이 개구된 각통형(角筒形)의 합성 수지 성형체로 이루어진다. 커버(11)는 상면이 개구된 각통형의 합성 수지 성형체로 이루어지고, 보디(10)의 하면측에 결합된다. 보디(10)의 상면에는 접촉자(2)를 보호하는 보호 커버(12)가 장착되어 있다. 보호 커버(12)는 편평한 상자형으로서, 그 폭 치수(도 2의 A에서의 안길이 방향의 치수)가 배선 덕트(100)의 삽입홈(103)의 폭 치수[삽입홈(103)의 폭 방향의 치수]보다 좁다. 또한, 보호 커버(12)에는, 배선 덕트(10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오목부(12A)가 상면으로부터 측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도 3의 B 참조). 또한, 보호 커버(12)의 길이 방향을 따른 좌우 양측의 측면(도 2의 A에서의 안길이 방향의 양측의 측면)에는, 판형으로 형성된 접촉자(2)가 보호 커버(12)로부터 진퇴(進退) 가능하게 돌출하는 구멍(12B)이 형성되어 있다. 단, 하우징(1)은 합성 수지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금속제라도 상관없다. 또한, 하우징(1)이 금속제일 경우, 하우징(1)은, 반드시 보디(10)와 커버(11)의 2부재로 구성될 필요는 없고, 상자형의 1부재로 구성해도 상관없다.
배선 덕트(100)의 길이 방향을 따른 보디(10)의 상부 양 측면(도 2의 A에서의 좌우 양 측면)에는,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조작 기어(1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정면에서 볼 때 좌측의 조작 기어(13)가, 아래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보호 커버(12)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기어(120)가 회전한다. 그러면, 이 기어(120)에 연결되어 있는 접촉자(2)가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여 보호 커버(12)의 구멍(12B)으로부터 진출한다(도 4의 A 참조). 한편, 이 조작 기어(13)가 아래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접촉자(2)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보호 커버(12)의 구멍(12B)으로 퇴피한다. 단, 정면에서 볼 때 우측의 조작 기어(13)는, 좌측의 조작 기어(13)와는 역방향으로 조작된다.
즉, 도 1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 커버(12)를 포함하는 하우징(1)의 상부가 배선 덕트(100)의 삽입홈(103)에 삽입된 상태에서, 좌측의 조작 기어(13)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또한 우측의 조작 기어(13)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보호 커버(12)의 2개의 구멍(12B)의 각각으로부터 진출한 2개의 접촉자(2)가, 좌우 양측의 도체(101A, 101b)에 각각 접촉하여 통전한다. 여기서, 도 2의 A,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조작 기어(13)에는 고정판(14)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의 조작 기어(1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또한 우측의 조작 기어(13)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고정판(14)이 회전하여 덕트 본체(102)의 삽입홈(103)의 둘레 부분과 걸어맞추어진다. 즉, 고정판(14)이 덕트 본체(102)의 삽입홈(103)의 둘레 부분과 걸어맞추어짐으로써, 하우징(1)이 덕트 본체(102)로부터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보호 커버(12)의 오목부(12A) 내에는, 덕트 본체(102) 내의 천정면에 배치되어 있는 도체(101C)와 접촉하는 접촉자(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접촉자는, 하우징(1)이 덕트 본체(102)에 고정(이탈 방지)된 상태에서 도체(101C)와 접촉하여 통전한다. 즉, 좌우 양측의 도체(101A, 101b)에 접촉하는 2개의 접촉자(2) 사이로부터는 200볼트의 교류 전압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좌우 어느 한쪽의 도체(101A, 101b)에 접촉하는 1개의 접촉자(2)와 천정면의 도체(101C)에 접촉하는 접촉자와의 사이로부터는, 100볼트의 교류 전압을 얻을 수 있다. 단, 100볼트나 200볼트 등의 전압(실효값)은 일례이며, 100볼트 및 200볼트 이외의 전압이 공급되어도 상관없다.
차단기(4)는, 종래 주지의 회로 차단기 또는 누전 차단기로 이루어지고, 합성 수지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기체의 내부에, 주접점, 보조 접점, 개폐 기구, 트립 장치(trip device) 등이 수납되어 구성된다(어느 쪽도 도시하지 않음). 기체의 일단측에는 1차측 단자가 설치되고, 기체의 타단측에는 2차측 단자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1차측 단자가 접촉자(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2차측 단자가 급전 케이블(150)의 심선(도체)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1차측 단자와 2차측 단자를 연결하는 전로에는 주접점이 설치되어 있다. 주접점은, 개폐 기구에 의해 개폐된다. 트립 장치는, 주접점을 포함하는 전로에 이상(異常)인 전류(과부하 전류나 단락 전류)가 흘렀을 때 개폐 기구를 석방하여 주접점을 강제적으로 개극[트립]한다.
또한, 차단기(4)는, 개폐 기구를 조작하여 주접점을 개폐시키는 조작 핸들(40)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보조 접점은 공통 접점과 2개의 전환 접점을 가지고 있다. 보조 접점은, 개폐 기구에 의한 주접점의 강제 개극(트립)에 연동하여, 공통 접점이 어느 하나의 전환 접점과 택일적으로 접촉 통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보조 접점의 공통 접점 및 2개의 전환 접점에는 각각 출력선(200, 201, 202)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들 출력선(200, 201, 202)은, 하우징(1)의 밖으로 인출되어 있다(도 2의 A, 도 2의 B 참조). 즉, 공통 접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출력선(200)과, 2개의 전환 접점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출력선(201, 202)과의 통전·비통전을 검출하면, 플러그(P1)의 외부로부터 주접점의 강제 개극(트립)의 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
커버(11)의 바닥에는, 급전 케이블(150)이 인입(引入)되는 인입구(引入口)(도시하지 않음)와, 출력선(200∼202)이 인출되는 인출구(도시하지 않음)가, 커버(11)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11)의 외측의 바닥면에는,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입구로부터 인입되는 급전 케이블(150)을 이탈 방지하는 클램프(clamp)(19)와, 3개의 출력선(200∼202)을 모아서 유지하는 나사식의 케이블 유지구(2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보디(10)의 전면에는, 차단기(4)의 전면[조작 핸들(40)이 설치되어 있는 면]을 노출시키는 창공(窓孔)(17)이 개구되어 있다(도 4의 A 참조). 이 창공(17)은, 보디(10) 내에 수납된 차단기(4)의 전단부(前端部)가 끼워맞추어짐으로써 폐색된다.
또한, 보디(10)의 전면에서의 창공(17)의 상부에는, 차단기(4)와 병렬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네온 램프로 이루어지는 표시등(7)이 설치되어 있다. 이 표시등(7)은, 차단기(4)의 주접점이 강제 개극(트립)되었을 때 점등하고, 그 이외의 때 소등한다. 즉, 이상 전류가 흘러 차단기(4)의 트립 장치가 주접점을 강제 개극했을 때 표시등(7)이 점등함으로써, 급전 케이블(150)로의 급전이 정지된 것이 육안 관찰에 의해 판단 가능해진다. 그리고, 네온 램프 대신에, 발광 다이오드로 표시등(7)을 구성해도 상관없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의 플러그(P1)는, 조작 핸들(40)을 덮어 조작을 제한하는 폐쇄 위치와 조작 핸들(40)을 외부에 노출시켜 조작을 제한하지 않는 개방 위치와의 사이를 변위하는 핸들 커버(5)를 구비하고 있다. 이 핸들 커버(5)는, 직사각형 상자형의 커버 본체(50)와, 제1 측판(51)과, 제2 측판(52)이 합성 수지 재료로 일체로 성형되어 이루어진다. 제1 측판(51)은, 커버 본체(50)의 길이 방향(일방향)의 일단(도 2의 A에서의 좌측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한다. 제2 측판(52)은, 커버 본체(50)의 길이 방향의 타단(도 2의 A에서의 우측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한다.
커버 본체(50)는, 제2 측판(52)이 돌출하는 측의 측면(520)의 중앙에 오목부(5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오목부(521)의 바닥면에는, 관통공[제1 관통공(56)]이 바닥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도 4의 A 참조).
제1 측판(51)에는, 그 선단으로부터 제2 측판(52)을 향해 돌출하는 한 쌍의 돌출편(5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돌출편(53)의 선단에는, 커버 본체(5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걸어맞춤 클로우(claw)(530)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측판(52)의 선단에는, 제1 측판(51)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L자형의 손잡이(5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측판(52)의 중앙에는, 커버 본체(50)의 제1 관통공(56)과 인접하는 관통공[제2 관통공(57)]이 제2 측판(52)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도 3의 A 및 도 4의 A 참조). 또한, 제2 측판(52)에는, 그 선단으로부터 제1 측판(51)을 향해 돌출하는 한 쌍의 클로우(55)가 간극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도 4의 A 참조).
따라서, 핸들 커버(5)는, 보디(10)의 좌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걸어맞춤공(110)에 한 쌍의 돌출편(53)이 별개로 삽입되고, 보디(10)의 내벽에서의 걸어맞춤공(110)의 주위 에지에 각각 걸어맞춤 클로우(530)가 걸어맞추어짐으로써(당겨걸려짐으로써) 보디(10)에 장착된다. 또한, 핸들 커버(5)는, 걸어맞춤공(110)에 삽입된 한 쌍의 돌출편(53) 및 걸어맞춤 클로우(530)를 지점으로 하여 개방 위치(도 4의 A 참조)와 폐쇄 위치(도 4의 B 참조)와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보디(10)의 우측면에는 한 쌍의 걸림공(111)이 형성되어 있고,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쇄 위치에 있는 핸들 커버(5)의 한 쌍의 클로우(55)가 별개로 걸림공(111)의 주위 에지에 걸린다(당겨걸려진다). 즉, 핸들 커버(5)는, 클로우(55)이 걸림공(111)의 주위 에지에 걸림으로써 폐쇄 위치로부터 뜻하지 않게 변위(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 커버(5)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는, 보디(10)의 전면에 노출되어 있는 차단기(4)의 조작 핸들(40)이 커버 본체(50)에 덮히는 것에 의해, 조작 핸들(40)의 조작이 제한된다. 그러므로, 조작 핸들(40)이 뜻하지 않게 조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 커버(5)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는, 차단기(4)의 조작 핸들(40)이 커버 본체(50)에 덮히지 않는 것에 의해, 조작 핸들(40)의 조작이 제한되지 않기 때문에, 조작 핸들(40)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플러그(P1)에서는, 클로우(55)가 보디(10)의 걸림공(111)의 주위 에지에 걸려져 핸들 커버(5)의 폐쇄 위치로부터의 변위가 규제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의 플러그(P1)는, 핸들 커버(5)가 뜻하지 않게 폐쇄 위치로부터 변위되어 조작 핸들(40)이 조작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급전 케이블(150)을 통한 급전이 잘못되어 정지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보디(10)에는, 폐쇄 위치에 있는 핸들 커버(5)의 제1 관통공(56)과 연결되는 제1 삽통공(揷通孔)(112)이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보디(10)에는, 폐쇄 위치에 있는 핸들 커버(5)의 제2 관통공(57)과 연결되는 제2 삽통공(113)이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도 3의 A 및 도 4의 A, 도 5 참조).
그리고, 도 1 및 도 5의 A,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 커버(5)의 제1 관통공(56) 및 제2 관통공(57)과, 보디(10)의 제1 삽통공(112) 및 제2 삽통공(113)에, 록(8)의 스트링(string)(81)이 삽통(揷通)된다. 이 록(8)은, 자물쇠 본체(80)로 스트링(81)을 가지는 종래 주지의 작은 자물쇠이며, 자물쇠 본체(80)에 형성되어 있는 키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키(도시하지 않음)를 꽂아서 돌리는 것에 의해 시정(施錠) 또는 해정(解錠)된다.
따라서, 이 구성은, 록(8)이 시정됨으로써, 핸들 커버(5)의 폐쇄 위치로부터의 변위를 더욱 견고하게 규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구성에서는, 록(8)의 키를 가지지 않은 사람은 조작 핸들(40)을 조작할 수 없기 때문에, 못된 장난 등에 의해 급전 케이블(150)을 통한 급전이 정지될 가능성이 극히 낮아진다. 단, 록(8)의 스트링(81) 대신에, 결속 밴드와 같은 끈체를 제1 관통공(56) 및 제2 관통공(57), 및 제1 삽통공(112) 및 제2 삽통공(113)에 삽통해도 상관없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플러그(배선 덕트 접속 장치)(P1)는, 접촉자(2)와, 차단기(4)를 구비한다. 접촉자(2)는, 배선 덕트(100)의 도체(101A, 101b, 101C)에 접촉되고 또한 급전 케이블(150)의 심선과 통전된다. 차단기(4)는, 접촉자(2)와 심선을 연결하는 전로를 개폐한다. 또한, 차단기(4)는, 전로의 개폐를 수동으로 행하기 위한 조작 핸들(40)을 가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플러그(배선 덕트 접속 장치)(P1)는, 조작 핸들(40)을 외부에 노출시킨 상태로 접촉자(2)와 차단기(4)를 내부에 수납하는 하우징(1)을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플러그(배선 덕트 접속 장치)(P1)는, 핸들 커버(5)를 구비한다. 핸들 커버(5)는, 하우징(1)에 장착되고, 조작 핸들(40)을 덮는 폐쇄 위치와 조작 핸들(40)을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와의 사이를 변위한다. 핸들 커버(5)는, 하우징(1)에 지지되는 제1 단부[돌출편(53)]을 지점으로 하여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와의 사이를 변위 가능하게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핸들 커버(5)의 제1 단부와는 상이한 변위 가능한 제2 단부에는, 폐쇄 위치로부터의 변위를 규제하는 규제부(클로우)(55)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플러그(배선 덕트 접속 장치)(P1)는, 핸들 커버(5)의 폐쇄 위치로부터의 변위가 규제부(클로우)(55)에 의해 규제되므로, 급전 케이블(150)을 통한 급전이 잘못되어 정지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플러그(배선 덕트 접속 장치)(P1)에서는, 핸들 커버(5)는, 제2 단부에 형성되는 클로우(55)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보디(10)[하우징(1)]은, 핸들 커버(5)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클로우(55)가 삽입되는 걸림공(111)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규제부는, 클로우(55)를 걸림공(111)의 주위 에지에 거는 것에 의해, 핸들 커버(5)의 폐쇄 위치로부터의 변위를 규제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플러그(배선 덕트 접속 장치)(P1)에서는, 핸들 커버(5)는, 상자형의 커버 본체(50)와, 커버 본체(50)의 길이 방향(일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된 제1 측판(51) 및 제2 측판(52)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측판(51)은, 제1 단부를 가지고 있고, 제2 측판(52)은, 제2 단부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클로우(55)는, 제1 측판(51)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일방향」은, 도 4의 B[즉, 클로우(55)가 걸림공(111)에 걸려져 있는 상태]에서의 좌우 방향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플러그(배선 덕트 접속 장치)(P1)에서는, 규제부(클로우)(55)는, 관통공(56, 57)을 가지고 있다. 관통공(56, 57)은, 핸들 커버(5)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하우징(1)에 형성되어 있는 삽통공(112, 113)과 함께 록(8)의 스트링(81)이나 끈체가 삽통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의 플러그(배선 덕트 접속 장치)(P1)는, 급전 케이블(150)을 통한 급전이 잘못되어 정지할 가능성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플러그(배선 덕트 접속 장치)(P1)는, 이하의 제1 특징을 가진다.
제1 특징에서는, 플러그(배선 덕트 접속 장치)(P1)는, 접촉자(2)와, 차단기(4)와, 하우징(1)과, 핸들 커버(5)를 구비한다. 접촉자(2)는, 배선 덕트(100)의 도체(101A, 101b, 101C)에 접촉되고 또한 급전 케이블(150)의 심선과 통전된다. 차단기(4)는, 접촉자(2)와 심선을 연결하는 전로를 개폐하고, 또한 전로의 개폐를 수동으로 행하기 위한 조작 핸들(40)을 가진다. 하우징(1)은, 조작 핸들(40)을 외부에 노출시킨 상태로 접촉자(2)와, 차단기(4)를 내부에 수납한다. 핸들 커버(5)는, 하우징(1)에 장착되고, 조작 핸들(40)을 덮는 폐쇄 위치와 조작 핸들(40)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와의 사이를 변위한다. 핸들 커버(5)는, 하우징(1)에 지지되는 제1 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와의 사이를 변위 가능하게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핸들 커버(5)의 제1 단부와는 상이한 변위 가능한 제2 단부에는, 폐쇄 위치로부터의 변위를 규제하기 위한 규제부가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플러그(배선 덕트 접속 장치)(P1)는, 제1 특징에 더하여, 이하의 제2 특징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제2 특징에서는, 규제부는, 관통공[제1 관통공(56), 제2 관통공(57)]을 가진다. 관통공[제1 관통공(56), 제2 관통공(57)]은, 핸들 커버(5)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하우징(1)에 형성되어 있는 삽통공[제1 삽통공(112), 제2 삽통공(113)]과 함께 록(8)의 스트링(81)이나 끈체가 삽통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플러그(배선 덕트 접속 장치)(P1)는, 제1 또는 제2 특징에 더하여, 이하의 제3 특징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제3 특징에서는, 핸들 커버(5)는, 제2 단부에 형성되는 클로우(55)을 가진다. 또한, 하우징(1)은, 핸들 커버(5)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클로우(55)가 삽입되는 걸림공(111)을 가진다. 그리고, 규제부는, 클로우(55)을 걸림공(111)의 주위 에지에 거는 것에 의해, 핸들 커버(5)의 폐쇄 위치로부터의 변위를 규제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플러그(배선 덕트 접속 장치)(P1)는, 제3 특징에 더하여, 이하의 제4 특징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제4 특징에서는, 핸들 커버(5)는, 상자형의 커버 본체(50)와, 커버 본체(50)의 일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된 제1 측판(51) 및 제2 측판(52)을 구비한다. 제1 측판(51)은 제1 단부를 가진다. 제2 측판(52)은 제2 단부를 가진다. 그리고, 클로우(55)는, 제1 측판(51)을 향해 돌출한다.
본 실시형태의 플러그[배선 덕트 접속 장치(P1)]에는, 핸들 커버(5)의 변위 가능한 제2 단부에 핸들 커버(5)의 폐쇄 위치로부터의 변위를 규제하는 규제부(클로우)(55)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플러그(배선 덕트 접속 장치)(P1)는, 조작 핸들(40)이 뜻하지 않게 조작되는 것에 의해 급전 케이블(150)을 통한 급전이 잘못되어 정지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 배선 덕트(duct)의 도체(導體)에 접촉되고 또한 급전 케이블의 심선(芯線)과 통전되는 접촉자;
상기 접촉자와 상기 심선을 연결하는 전로(電路)를 개폐하고, 또한 상기 전로의 개폐를 수동으로 행하기 위한 조작 핸들을 가지는 차단기;
상기 조작 핸들을 외부에 노출시킨 상태로 상기 접촉자와 상기 차단기를 내부에 수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조작 핸들을 덮는 폐쇄 위치와 상기 조작 핸들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 사이를 변위하는 핸들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 커버는,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는 제1 단부(端部)를 지점(支点)으로 하여 상기 개방 위치와 상기 폐쇄 위치 사이를 변위 가능하게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핸들 커버의 상기 제1 단부와는 상이한 변위 가능한 제2 단부에는,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의 변위를 규제하기 위한 규제부가 설치되며,
상기 핸들 커버는, 상기 제2 단부에 형성되는 클로우(claw)를 가지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핸들 커버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클로우가 삽입되는 걸림공을 가지며,
상기 규제부는,
상기 핸들 커버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있는 삽통공(揷通孔)과 함께 록(lock)의 스트링(string)이나 끈체가 삽통되는 관통공을 가지고, 그리고
상기 클로우를 상기 걸림공의 주위 에지에 거는 것에 의해, 상기 핸들 커버의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의 변위를 규제하는,
배선 덕트 접속 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커버는, 상자형의 커버 본체와, 상기 커버 본체의 일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된 제1 측판 및 제2 측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측판은 상기 제1 단부를 가지고,
상기 제2 측판은 상기 제2 단부를 가지고,
상기 클로우는, 상기 제1 측판을 향해 돌출되는, 배선 덕트 접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3-186497 | 2013-09-09 | ||
JP2013186497A JP6187905B2 (ja) | 2013-09-09 | 2013-09-09 | 配線ダクト接続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9541A KR20150029541A (ko) | 2015-03-18 |
KR101607554B1 true KR101607554B1 (ko) | 2016-03-30 |
Family
ID=52702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08941A KR101607554B1 (ko) | 2013-09-09 | 2014-08-21 | 배선 덕트 접속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6187905B2 (ko) |
KR (1) | KR101607554B1 (ko) |
CN (1) | CN104426040B (ko) |
TW (1) | TWI532279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534940B2 (ja) | 2020-11-30 | 2024-08-15 | パナソニック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規制部材、及びアダプタ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14000A (ja) | 2010-11-25 | 2012-06-14 | Panasonic Corp | 配線ダクト用プラグ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15758Y1 (ko) * | 1970-10-29 | 1976-02-17 | ||
JPS5538202Y2 (ko) * | 1975-09-02 | 1980-09-06 | ||
JPS6178081A (ja) * | 1984-09-25 | 1986-04-21 | 松下電工株式会社 | 配線ダクト用プラグ |
US4978816A (en) * | 1990-02-16 | 1990-12-18 | General Electric Company | Circuit breaker handle interlock arrangement |
JPH06113424A (ja) * | 1992-09-25 | 1994-04-22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取付け枠へのブレーカ取付け構造 |
JP3370823B2 (ja) * | 1995-07-17 | 2003-01-27 | 松下電工株式会社 | 回路遮断器の外部操作機構 |
JP2000357445A (ja) * | 1999-06-15 | 2000-12-26 | Kawamura Electric Inc | 回路遮断器収納箱の施錠構造 |
US6791040B1 (en) * | 2003-09-15 | 2004-09-14 | Eaton Corporation | Locking assembly for a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
JP4407402B2 (ja) * | 2004-07-05 | 2010-02-03 |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 回路遮断器のハンドルロック装置 |
CN201540849U (zh) * | 2009-10-09 | 2010-08-04 | 中电电气集团有限公司 | 一种隔爆型高压真空开关 |
JP6528298B2 (ja) * | 2013-05-15 | 2019-06-12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配線ダクト接続装置 |
-
2013
- 2013-09-09 JP JP2013186497A patent/JP6187905B2/ja active Active
-
2014
- 2014-08-21 KR KR1020140108941A patent/KR10160755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08-22 TW TW103128892A patent/TWI532279B/zh active
- 2014-09-01 CN CN201410439758.5A patent/CN104426040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14000A (ja) | 2010-11-25 | 2012-06-14 | Panasonic Corp | 配線ダクト用プラ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4426040B (zh) | 2018-07-24 |
CN104426040A (zh) | 2015-03-18 |
TW201530943A (zh) | 2015-08-01 |
KR20150029541A (ko) | 2015-03-18 |
TWI532279B (zh) | 2016-05-01 |
JP2015053231A (ja) | 2015-03-19 |
JP6187905B2 (ja) | 2017-08-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14101B1 (en) | Electrical socket with dependent shutter | |
KR101834813B1 (ko) | 배선용 차단기 | |
US8974239B2 (en) | Tamper resistant shutter device for electrical receptacle outlets | |
KR101607554B1 (ko) | 배선 덕트 접속 장치 | |
JP4123081B2 (ja) | 漏電遮断器 | |
CN108140521A (zh) | 保护盖、断路器、漏电检测装置以及漏电保护装置 | |
RU2619763C2 (ru) | Выдвижная рама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выдвижного коммутационного аппарата, а также блок из выдвижной рамы и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выдвижного коммутационного аппарата | |
JP4851295B2 (ja) | 回路遮断器 | |
JP6878112B2 (ja) | 配線用遮断器 | |
JP2008123809A (ja) | 回路遮断器 | |
KR101099232B1 (ko) | 회로차단기의 핸들잠금장치 | |
US9170293B2 (en) | Power line indicator accessory for fusible circuit protection device array | |
JP5033048B2 (ja) | 分電盤 | |
JP5319470B2 (ja) | 直流コンセント | |
JP2020017533A (ja) | プラグのアタッチメント | |
JP4856522B2 (ja) | 回路遮断器 | |
JP2007287582A (ja) | 配線用遮断器 | |
JP2021036511A (ja) | 速結端子ユニットおよび回路遮断器 | |
JP6830027B2 (ja) | 配線用遮断器 | |
JP2007287583A (ja) | 回路遮断器 | |
JP6604898B2 (ja) | プラグのアタッチメント | |
KR200485151Y1 (ko) | 기중차단기 과전류계전기의 결합구조 | |
JP4921934B2 (ja) | 回路遮断器 | |
JP4774323B2 (ja) | 回路遮断器のハンドルロック装置 | |
KR940008199Y1 (ko) | 회로차단기의 오삽입 방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