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9232B1 - 회로차단기의 핸들잠금장치 - Google Patents

회로차단기의 핸들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9232B1
KR101099232B1 KR1020070094621A KR20070094621A KR101099232B1 KR 101099232 B1 KR101099232 B1 KR 101099232B1 KR 1020070094621 A KR1020070094621 A KR 1020070094621A KR 20070094621 A KR20070094621 A KR 20070094621A KR 101099232 B1 KR101099232 B1 KR 101099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operation handle
locking member
circuit breaker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4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9412A (ko
Inventor
카토 히로아키
Original Assignee
가와무라 일렉트릭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무라 일렉트릭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무라 일렉트릭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70094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9232B1/ko
Publication of KR20090029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9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9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9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46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having means for operating auxiliary contacts additional to the main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5Constructional details of housings or casings not concerning the mounting or assembly of the different internal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7/00Facilitation of operation; Human engineering
    • H01H2217/046Enhanced legend space by smaller actuator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금부재의 설치 위치를 낮게 하여, 회로차단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핸들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회로차단기(1)는 출력을 온(ON)/오프(OFF) 하는 조작핸들(5)을 차단기케이스(2)의 상부에 설치한다. 조작핸들(5)의 내부에 전후 한 쌍의 설치홈(9)을 형성한다. 조작핸들을 오프(OFF)위치로 회동시켜, 차단기케이스(2)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제1설치홈(9)에 잠금부재(6)의 삽입부(11)를 삽입한다. 손잡이부(12)는 조작핸들(5)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차단기케이스(2)의 상면에 걸어고정되어, 조작핸들(5)의 조작을 규제한다. 조작핸들을 온(ON)위치에 넘어뜨려, 제1설치홈(9)의 반대측에서 제2설치홈을 차단기케이스(2)의 상면으로 노출시킨다. 잠금부재를 반전시켜 제2설치홈에 설치하고, 손잡이부(12)와 차단기케이스(2)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조작핸들(5)의 조작을 규제한다.
회로차단기, 조작핸들, 잠금부재

Description

회로차단기의 핸들잠금장치{APPARATUS FOR LOCKING THE HANDLE OF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회로차단기의 조작핸들을 온(ON)위치 및 오프(OFF)위치에 잠그는 핸들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로차단기는 출력을 온/오프(ON/OFF)하는 조작핸들을 구비하고 있다. 회로차단기에 비상등 등의 상시 온(ON)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는 부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또는, 특정 조건하에서밖에 온(ON) 할 수 없는 부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조작핸들이 잘못 조작되는 일이 없도록, 종래, 조작핸들을 온(ON) 위치 및 오프(OFF) 위치에 잠그는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는, 조작핸들에 캡을 씌워 오조작을 방지하는 핸들잠금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종래, 회로차단기를 소형화하기 위하여, 온(ON)위치의 조작핸들을 차단기케이스의 상면과 평행하게 설치하여 차단기케이스로부터의 돌출부를 없앤 플랫타입의 회로차단기도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2에는, 플랫타입의 회로차단기에 있어서, 조작핸들의 거의 전체를 덮는 크기의 잠금부재를 차단기케이스의 상면에 겹쳐 쌓아 설치한 핸들잠금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1 : 특개2000-11842호 공보
특허문헌2 : 특개2001-307577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1의 핸들잠금장치는, 캡이 차단기케이스로부터 돌출되므로 회로차단기의 전체가 대형화하고, 분전반 등의 내부에 넓은 공간을 점유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캡을 차단기케이스에 설치하기 위한 부품이 필요하게 되어 비용상승을 초래했다. 특허문헌2의 핸들잠금장치는, 1개의 부품으로 조작핸들을 잠글 수 있으나, 잠금부재를 차단기케이스의 상면에 겹쳐쌓기 위해 회로차단기의 높이가 증가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잠금부재의 설치위치를 낮게 하고, 회로차단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핸들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회로차단기의 출력을 온(ON)/오프(OFF)하는 조작핸들을 온(ON)위치 및 오프(OFF)위치로 잠그는 핸들잠금장치에 있어서, 이하의 구성을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조작핸들의 내부에 형성된 설치부에 잠금부재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하고, 잠금부재의 일부를 조작핸들의 외부에 돌출시켜, 상기 돌출부와 차단기케이스의 걸어맞춤에 의해 조작핸들의 조작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의 핸들잠금장치.
(2) 잠금부재를 조작핸들의 조작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의 핸들잠금장치.
(3) 잠금부재를 조작핸들의 조작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의 핸들잠금장치.
(4) 돌출부에 조작핸들이 조작불능인 것을 나타내는 표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의 핸들잠금장치.
(5) 조작핸들의 내부에 형성된 설치부에 잠금부재를 착탈가능하게 설치하고, 잠금부재의 일부를 조작핸들의 외부에 돌출시켜, 상기 돌출부와 차단기케이스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조작핸들의 조작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의 핸들잠금장치.
(6) 설치부가 조작핸들을 오프(OFF)위치로 회동했을 때 차단기케이스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제1설치홈과, 조작핸들을 온(ON)위치로 회동했을 때 차단기케이스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제2설치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의 핸들잠금장치.
(7) 제1 및 제2 설치홈이 차단기케이스의 상면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상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잠금부재가 제1 또는 제2 설치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삽입부와, 조작핸들의 외부에서 차단기케이스의 상면에 접합하는 돌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의 핸들잠금장치.
(8) 삽입부를 제1 또는 제2 설치홈내에 보유하는 요철의 유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의 핸들잠금장치.
(9) 차단기케이스의 상단에 잠금부재의 돌출부를 전후방향으로 안내하는 좌우 한 쌍의 안내벽을 설치하고, 제1 및 제2 설치홈과 삽입부를 좌우 어느쪽인가 한 쪽의 안내벽에 치우친 위치에 형성하며, 돌출부의 앞뒤양면에 회로차단기의 온(ON)상태와 오프(OFF)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의 핸들잠금장치.
(10) 잠금부재를 제2 설치홈에 설치한 경우에, 돌출부가 회로차단기의 차단동작을 테스트하는 테스트버턴을 조작불능으로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의 핸들잠금장치.
본 발명의 핸들잠금장치에 의하면, 잠금부재를 조작핸들 내부의 설치부에 슬라이드 가능 또는 착탈가능하게 설치했으므로, 잠금부재의 설치 위치를 낮게 하여, 회로차단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도 1∼도 6은, 잠금부재를 조작핸들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한 실시예 1의 핸들잠금장치를 나타낸다. 도 7∼도 10은, 잠금부재를 조작핸들의 조작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한 실시예 2의 핸들잠금장치를 나타낸다. 도 11∼도 14는, 잠금부재를 조작핸들의 조작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한 실시예 3의 핸들잠금장치를 나타낸다.
[실시예 1]
도 1은 오프(OFF)위치의 조작핸들(5)에 잠금부재(6)를 설치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회로차단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오프(OFF)위치의 조작핸들에 잠금부재 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회로차단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온(ON)위치의 조작핸들에 잠금부재를 설치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회로차단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온(ON)위치의 조작핸들에 잠금부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회로차단기의 사시도이다.
도 1∼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핸들잠금장치(101)는 단상 3선식 전기선로를 차단하는 회로차단기(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회로차단기(1)의 케이스(2)는 얇은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이 차단기케이스(2)의 내부에 단상 3선식 전기선로를 차단하는 차단기구(도시 생략)가 갖추어져 있다. 차단기케이스(2)의 배면(도 1의 좌측면)에는 전원측 단자(3)가 설치되고, 차단기케이스(2)의 전면(도 2의 우측면)에 부하측 단자(4)가 설치되어 있다.
전원측 단자(3) 및 부하측 단자(4)에는, 각각 세 개의 단자가 종으로 배열되어, 중앙의 단자가 중성단자로서, 상하의 단자가 전압단자로서 사용된다. 전원측 단자(3)는 플러그인타입이고, 부하측 단자(4)는 속결단자이며, 어느쪽도 전선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접속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부하측 단자(4)의 중앙단자구(4b)와 상측단자구(4a) 또는 하측단자구(4c)에 전선을 접속하는 것으로 100V의 전압출력을 얻을 수 있고, 상하의 단자구(4a, 4c)에 전선을 접속하는 것으로 200V의 전압출력을 얻을 수 있다.
차단기케이스(2)의 상부에는, 차단기구를 구동해서 회로차단기(1)의 출력을 온/오프(ON/OFF)하는 조작핸들(5)과, 조작핸들(5)을 온(ON)위치 및 오프(OFF)위치에 잠그는 잠금부재(6)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핸들(5)은 전후 방향으로 회동되어, 차단기케이스(2)의 상면으로부터 기립하는 오프(OFF)위치(도 1, 도 2 참조)와, 차단기케이스(2)의 상면에 접합하는 ON위치(도 3, 도 4 참조)와의 사이에서 조작된다. 차단기케이스(2)의 상부에는, 온(ON)위치의 조작핸들(5)을 수용하는 좌우 한 쌍의 보호벽(7)이 형성되어 있다. 보호벽(7)은 차단기케이스(2)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잠금부재(6)를 안내하는 안내벽으로서도 기능한다.
도 5는 핸들잠금장치(101)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나타내고, (a)는 잠금부재(6)가 오프(OFF)위치의 조작핸들(5)을 잠근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입면도이고, (b)는 잠금부재(6)가 온(ON)위치의 조작핸들(5)을 잠근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입면도이다. 이 실시예의 핸들잠금장치(101)에서는, 조작핸들(5)의 배면측(도 5의 좌측)에 제1설치홈(9)이 형성되고, 전면측(도 5의 우측)에 제2설치홈(10)이 형성되어, 하나의 잠금부재(6)가 전후 및 상하로 방향을 바꾸어서 두 개의 설치홈(9,10)에 선택적이면서도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된다.
제1설치홈(9)은, 도 5(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작핸들(5)을 오프(OFF)위치로 일으켰을 때에, 차단기케이스(2)의 상면에서 뒤를 향하게 노출된 상태로, 케이스 상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조작핸들(5)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2설치홈(10)은, 도 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작핸들(5)을 온(ON)위치로 넘어뜨렸을 때에, 차단기케이스(2)의 상면에서 앞을 향하게 노출된 상태로, 케이스 상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조작핸들(5)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잠금부재(6)는, 설치홈(9,10)의 내측에 삽입되는 폭이 좁은(도 1 참조) 삽입부(11)와, 조작핸들(5)의 외부에 돌출되는 돌출부인 폭이 넓은 손잡이부(12)인 매 우 얇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핸들(5)이 오프(OFF)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는, 삽입부(11)가 차단기케이스(2)의 후방으로부터 제1설치홈(9)에 삽입되어, 손잡이부(12)가 조작핸들(5)의 후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차단기케이스(2)의 상면에 접합하고, 케이스(2)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조작핸들(5)의 조작을 규제한다. 조작핸들(5)이 온(ON)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는, 삽입부(11)가 차단기케이스(2)의 전방으로부터 제2설치홈(10)에 삽입되어, 손잡이부(12)가 조작핸들(5) 앞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차단기케이스(2)의 상면에 접합하고, 케이스(2)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조작핸들(5)의 조작을 규제한다.
제1 및 제2설치홈(9,10)은, 조작핸들(5)의 폭방향 중심선으로부터 좌우 어느쪽인가 일방의 보호벽(7)측에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어, 그 보호벽(7)과 접합하는 조작핸들(5)의 측면으로 개구(開口)되어 있다. 이와 동일하게, 잠금부재(6)의 삽입부(11)도 손잡이부(12)의 폭방향 중심선으로부터 어느 한 쪽의 보호벽(7)측에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11)에는 볼록형 유지부(13)가 마련되고, 설치홈(9,10)의 내면에 오목형 유지부(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지부(13,14)의 요철식 끼워맞춤에 의해, 삽입부(11)가 설치홈(9,10)의 내측에 보유되어, 잠금부재(6)가 조작핸들(5)에 대하여 빠짐이 방지된다.
잠금부재(6)의 손잡이부(12)는 좌우 보호벽(7)의 간격과 같은 폭의 4각형으로 형성되어, 보호벽(7)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안내된다. 손잡이부(12)의 앞뒤 양면에는, 회로차단기(1)의 오프(OFF) 상태를 나타내는 「OFF」표시(15)와, 온(ON)상태를 나타내는 「ON」표시(16)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손잡이부(12)가 차단기케 이스(2)의 상면에서 슬라이드 되고, 삽입부(11)를 설치홈(9,10)에 착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차단기케이스(2)의 상부에는, 회로차단기(1)의 차단 동작을 테스트하는 테스트버튼(17)이 설치되어 있다. 테스트버튼(17)은 조작핸들(5) 앞측 근방에서 차단기케이스(2)의 표면으로 노출되고, 용수철(도시 생략)에 의해 상방향으로 부세 되어, 드라이버 등의 공구로 조작된다. 잠금부재(6)를 제2설치홈(10)에 설치했을 때에는, 테스트버튼(17)이 손잡이부(12)에 의해 상측에서 조작 불능이 되게 덮여진다. 또한, 테스트버튼(17)으로서는, 예를 들면, 과전류발생시에 차단동작하는 과전류 제거(引外)장치를 테스트하기 위한 트립버튼, 누전검출회로에 의사누전전류를 흘려서 차단동작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버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핸들잠금장치(10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작핸들(5)을 오프(OFF) 위치에 잠그는 경우에는, 도 1,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잠금부재(6)를 차단기케이스(2) 상에서 전방(부하측단자(4)측)으로 슬라이드되게 하고, 삽입부(11)를 제1설치홈(9)에 삽입한다. 조작핸들(5)을 온(ON)위치에 잠그는 경우에는, 잠금부재(6)를 후방(전원측단자(3)측)으로 슬라이드되게 하고, 삽입부(11)를 제1설치홈(9)으로부터 뽑아, 잠금부재(6)의 방향을 전후 및 상하로 반전한 후, 도 3,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잠금부재(6)를 차단기케이스(2) 상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드 되게 하고, 삽입부(11)를 제2설치홈(10)에 삽입한다.
조작핸들(5)을 온/오프(ON/OFF) 어느 쪽의 위치에 잠그는 경우도, 보호벽(7)이 손잡이부(12)의 안내벽으로서 기능하므로, 잠금부재(6)를 설치홈(9,10)에 부드 럽게 삽입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삽입부(11)가 유지부(13,14)의 끼워맞춤에 의해 설치홈(9,10) 내에 보유되기 때문에, 잠금부재(6)의 탈락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게다가, 하나의 잠금부재(6)를 반전하는 것으로, 조작핸들(5)을 온(ON), 오프(OFF) 2위치에 간단히 잠글 수 있음은 물론, 손잡이부(12)의 「ON」표시(16) 또는 「OFF」표시(15)에 근거해서 회로차단기(1)의 온/오프(ON/OFF)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 잠금부재(6)가 조작핸들(5) 내부의 설치홈(9,10)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온(ON), 오프(OFF) 어느 쪽의 경우도, 잠금부재(6)를 조작핸들(5)의 상면보다도 낮은 위치에 배치하여, 차단기케이스(2)의 높이를 낮게 제한할 수 있다. 특히, 온(ON) 위치에서는, 잠금부재(6)가 전면측의 제2설치홈(10)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조작핸들(5)을 차단기케이스(6)의 상면에 접합하는 위치까지 후방으로 평평하게 쓰러뜨리고, 차단기케이스(2)의 상방향으로 돌출하는 부재를 없애, 회로차단기(1)의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온(ON) 위치에서는, 손잡이부(12)가 테스트버튼(17)을 상측에서 은폐시키고 있으므로, 이 버튼(15)의 오조작을 방지하고, 회로차단기(1)를 온(ON) 상태로 보유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도 6은 핸들잠금장치(101)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변경예에서는, 조작핸들(5)이 차단기케이스(2)의 상면에 대하여 전후로 같은 각도로 기울도록 설치되어, 온(ON), 오프(OFF) 양쪽의 위치에서 차단기케이스(2)의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조작핸들(5)의 폭방향 중앙부에는 전후 한 쌍의 설치홈(18)(한쪽만 도시)이 형성되어, 조작핸들(5)의 회동에 따라 차단기케이스(2)의 상면에서 교대로 노출된다. 그리고, 잠금부재(6)의 삽입부(11)가 두 개의 설치홈(18)에 선택적으로 삽입되고, 손잡이부(12)와 차단기케이스(2)와의 접합에 의해, 조작핸들(5)이 온(ON) 및 오프(OFF) 위치에 잠금된다.
삽입부(11)는 손잡이부(12)의 폭방향 중앙부에 형성되고, 손잡이부(12)의 좌우 양측면에 볼록형 유지부(13)가 돌설되어 있다. 차단기케이스(2)의 상면에는 손잡이부(12)를 안내하는 좌우 한 쌍의 안내벽(19)이 입설되고, 안내벽(19)의 내면에 오목형 유지부(14)가 전후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지부(13,14)의 요철식 끼워맞춤에 의해, 삽입부(11)가 설치홈(18)의 내측에 보유되어, 잠금부재(6)가 조작핸들(5)에 대하여 빠짐이 방지된다. 따라서, 이 변경예에 의해서도, 하나의 잠금부재(6)를 두 개의 설치홈(18)에 선택적으로 설치하는 것으로, 조작핸들(5)을 온(ON), 오프(OFF) 2위치에 간단히 잠글 수 있음은 물론, 잠금부재(6)를 조작핸들(5) 보다도 낮은 위치에 배치하여, 차단기케이스(2)의 높이를 낮게 제한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7∼도 10은 실시예 2의 핸들잠금장치를 나타낸다. 도 7은 핸들잠금장치를 갖춘 회로차단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a), (b)는 조작핸들의 온(ON) 위치에서 잠금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입면도이다. 도 9(a), (b)는 조작핸들의 오프(OFF) 위치에서 잠금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입면도이다. 도 10(a), (b)는 조작핸들의 온(ON) 위치에서 잠금부재의 표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핸들잠금장치(201)는 회로차단기(21) 의 대략 중앙부 상면에 설치되어 있다. 차단기케이스(22)는 평면 4각형의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차단기구(도시 생략)가 갖추어지고, 상면에 회로차단기(21)의 출력을 온/오프(ON/OFF) 하는 조작핸들(23)과, 조작핸들(23)을 온(ON)위치 및 오프(OFF)위치에 잠그는 잠금부재(24)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핸들(23)은 전후 방향으로 회동되어, 차단기케이스(22)의 상면에 접합하는 온(ON)위치(도 8 참조)와, 차단기케이스(22)의 상면으로부터 기립하는 오프(OFF)위치(도 9 참조)와의 사이에서 조작된다. 그리고, 차단기케이스(22)의 상면에 온(ON)위치의 조작핸들(23)을 수용하는 좌우 한 쌍의 보호벽(25)이 입설되어 있다.
도 8,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작핸들(23)의 내부에는 설치홈(26)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조작핸들(23)의 온(ON)위치에서는, 설치홈(26)의 저면이 차단기케이스(22)의 상면과 동일평면내에 배치된다. 설치홈(26)에는 잠금부재(24)가 조작핸들(23)의 조작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잠금부재(24)에는, 설치홈(26)에 끼워맞추는 감합부(27)와, 조작핸들(23)의 상면에 노출되는 손잡이부(28)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설치홈(26)의 볼록형 유지부(29)와 잠금부재(24)의 오목형 유지부(30)와의 끼워맞춤에 의해, 잠금부재(24)가 설치홈(26)의 내측에 보유되어 있다.
잠금부재(24)로 조작핸들(23)을 온(ON)위치에 잠그는 경우는, 도 8(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잠금부재(24)를 부하측 단자(4)(도 7 참조)측으로 슬라이드시키고, 선단부를 조작핸들(23)의 외부로 돌출시켜, 이 돌출부(24a)를 차단기케이스(22)의 상면에 걸어고정하여, 돌출부(24a)와 차단기케이스(22)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조작핸들(23)의 조작을 규제한다. 잠금해제하는 경우는, 도 8(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잠금부재(24)를 전원측 단자(3)측으로 슬라이드시키고, 전체를 조작핸들(23)의 내부에 수용하여, 돌출부(24a)를 차단기케이스(22)로부터 분리시킨다.
조작핸들(23)을 오프(OFF)위치에 잠그는 경우는, 도 9(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잠금부재(24)를 경사진 하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고, 선단부를 조작핸들(23)의 외부로 돌출시켜, 이 돌출부(24a) (손잡이부(28)의 표면)를 차단기케이스(22)의 걸림부(31)에 걸어고정하고, 돌출부(24a)와 걸림부(31)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조작핸들(23)의 조작을 규제한다. 잠금해제하는 경우는, 도 9(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잠금부재(24)를 경사진 상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고, 그 전체를 조작핸들(23)의 내부에 수용시켜, 돌출부(24a)를 걸림부(31)로부터 분리시킨다.
도 10(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잠금부재(24)의 선단부 상면에는 「ON」표시(32)가 마련되어, 조작핸들(23)의 온(ON)위치에서, 잠금부재(24)의 돌출부(24a)가 회로차단기(21)의 온(ON)상태를 표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것과는 달리, 도 10(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설치홈(26)의 저면에 조작핸들(23)이 조작 불능인 것을 나타내는 「Lock」표시(33)를 마련하여, 잠금부재(24)가 돌출된 때에, 이 표시(33)를 외부에서 보고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잠금부재(24)가 설치홈(26)의 내측에 몰입(沒入)된 때에는, 표시(33)가 잠금부재(24)로 은폐되므로, 조작핸들(23)이 조작가능한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 2의 핸들잠금장치(201)에 의하면, 잠금부재(24)가 조작핸들(23) 내부의 설치홈(26)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온(ON), 오프(OFF) 어느 쪽의 경우도, 잠금부 재(24)를 조작핸들(23) 보다도 낮은 위치에 배치하여, 차단기케이스(22)의 높이를 낮게 제한할 수 있다. 게다가, 종래의 캡과는 다르고, 잠금부재(24)가 조작핸들(23)로부터 탈락하여 분실할 우려도 없으며, 유지부(29,30)의 요철식 끼워맞춤 에 의해 설치홈(26) 내에 확실하게 보유할 수 있다. 또, 회로차단기(21)의 온/오프(ON/OFF) 상태를 표시(32)의 위치에 의해, 조작핸들(23)의 잠금/잠금해제 상태를 표시(33)의 보임/숨김에 의해, 각각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11∼도 14는 실시예 3의 핸들잠금장치를 나타낸다. 도 11은 조작핸들의 온(ON)위치를 나타내는 회로차단기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조작핸들의 오프(OFF)위치를 나타내는 회로차단기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조작핸들의 온/오프(ON/OFF)위치에서 핸들잠금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입면도이다. 도 14는 조작핸들의 온(ON)위치에서 잠금부재의 표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한편, 회로차단기 및 조작핸들의 구성은 실시예 2와 거의 같아서,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도 11,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3의 핸들잠금장치(301)에서는, 차단기케이스(22)의 상면에 조작핸들(23)이 전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차단기케이스(22)의 상면에 접합하는 온(ON)위치(도 11, 도 13a 참조)와, 차단기케이스(22)의 상면으로부터 기립하는 오프(OFF)위치(도12, 도13b참조)와의 사이에서 조작된다. 또, 차단기케이스(22)의 상면에는, 온(ON)위치의 조작핸들(23)을 수용하는 좌우 한 쌍의 보호벽(25)이 입설되어, 도면에 있어서 좌측의 보호벽(25)에 잠금부재(35)의 돌출부(35a)를 끼워맞추는 전후 한 쌍의 절결부(36,37)가 형성되어 있 다.
도 13(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작핸들(23)의 내부에는 설치홈(38)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조작핸들(23)의 온(ON)위치에서는, 설치홈(38)의 저면이 차단기케이스(22)의 상면과 동일평면내에 배치된다. 또, 도 13(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작핸들(23)의 오프(OFF)위치에서는, 설치홈(38) 일방의 측면이 차단기케이스(22)의 상면과 동일평면내에 배치된다. 잠금부재(35)는 설치홈(38)의 내측에 삽입되어, 조작핸들(23)의 조작방향과 직각방향(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잠금부재(35)에 손잡이부(39)가 돌설되어, 조작핸들(23)의 상면에 손잡이부(39)를 노출시키는 구멍(40)이 형성되어 있다.
잠금부재(35)로 조작핸들(23)을 온(ON)위치에 잠그는 경우는, 도 11(a), 도 13(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잠금부재(35)를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고, 그 좌단부를 후측(전원측 단자(3)측)의 절결부(37)에 통과시켜서 조작핸들(23)의 외부로 돌출시키고, 이 돌출부(35a)를 차단기케이스(22)의 상면에 걸어고정하여, 돌출부(35a)와 케이스(22)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조작핸들(23)의 조작을 규제한다. 돌출부(35a)의 상면에는,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작핸들(23)이 조작 불능인 것을 나타내는 「Lock」표시(41)가 마련되어 있다. 잠금해제하는 경우는, 도 1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잠금부재(35)를 오른쪽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고, 전체를 조작핸들(23)의 내부에 수납시키고, 돌출부(35a)를 차단기케이스(22)로부터 분리시키며, 표시(41)를 조작핸들(23)의 내부에 은폐시킨다.
조작핸들(23)을 오프(OFF)위치에 잠그는 경우는, 도 12(a), 도 13(b)에 나타 난 바와 같이, 잠금부재(24)를 좌측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고, 그 좌단부를 앞측 (부하측 단자(4)측)의 절결부(36)에 통과시켜서 조작핸들(23)의 외부로 돌출시켜, 이 돌출부(35a)를 차단기케이스(22)의 상면에 걸어고정하고, 돌출부(35a)와 케이스(22)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조작핸들(23)의 조작을 규제한다. 잠금해제할 경우는, 도 1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잠금부재(35)를 오른쪽으로 슬라이드시키고, 전체를 조작핸들(23)의 내부에 수납시키고, 돌출부(35a)를 차단기케이스(22)로부터 분리시킨다.
이 실시예 3의 핸들잠금장치(301)에 의해도, 실시예 2와 같이 잠금부재(35)가 조작핸들(23) 내의 설치홈(38)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온(ON), 오프(OFF) 어느 쪽의 경우도, 잠금부재(35)를 조작핸들(23) 보다도 낮은 위치에 배치하여, 차단기케이스(22)의 높이를 낮게 제한할 수 있다. 또, 잠금부재(35)의 돌출부(35a)에 「Lock」표시(41)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잠금부재(41)의 슬라이드를 이용하고, 조작핸들(23)의 잠금/잠금해제 상태를 보기 쉽게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표시(41)에는, 「Lock」으로 바꾸고, 「조작금지」의 문자나 적색 등의 착색을 채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하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부의 형상이나 구성을 적절하게 변경해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1) 도 1에 나타난 핸들잠금장치(101)에 있어서, 조작핸들(5)의 설치부는 구(溝)형에 한정되지 않는다. 조작핸들(5)의 내부에 형성된 오목부 또는 구멍부에 잠금부재(6)를 착탈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2) 도 7에 나타난 핸들잠금장치(201)를 도 1에 나타난 박형(薄型) 회로차단기(1)에 적용하여, 잠금부재(24)를 조작핸들(5)의 조작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3) 도 11에 나타난 핸들잠금장치(301)를 도 1에 나타난 박형(薄型) 회로차단기(1)에 적용하여, 잠금부재(35)를 조작핸들(5)의 조작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회로차단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조작핸들을 오프(OFF)위치에 잠근 회로차단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조작핸들을 온(ON)위치에 잠그기 전의 회로차단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조작핸들을 온(ON)위치에 잠근 회로차단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핸들잠금장치의 구성과 동작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요부확대도이다.
도 6은 핸들잠금장치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나타내는 회로차단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조작핸들을 온(ON)위치에 잠그는 동작을 나타내는 입면도이다.
도 9는 조작핸들을 오프(OFF)위치에 잠그는 동작을 나타내는 입면도이다.
도 10은 잠금부재의 표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나타내는 회로차단기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조작핸들을 오프(OFF)위치에 배치한 회로차단기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핸들잠금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입면도이다.
도 14는 잠금부재의 표시를 내보이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핸들잠금장치(실시예 1) 1 : 회로차단기
2 : 차단기케이스 5 : 조작핸들
6 : 잠금부재 7 : 보호벽(안내벽)
9 : 제1설치홈 10 : 제2설치홈
11 : 삽입부 12 : 손잡이부(돌출부)
13 : 볼록형 유지부 14 : 오목형 유지부
17 : 테스트 버튼 18 : 설치홈
19 : 안내벽 201 : 핸들잠금장치(실시예 2)
21 : 회로차단기 22 : 차단기케이스
23 : 조작핸들 24 : 잠금부재
24a : 돌출부 26 : 설치홈
33 : 표시 301 : 핸들잠금장치(실시예 3)
35 : 잠금부재 35a : 돌출부
38 : 설치홈 41 : 표시

Claims (10)

  1. 회로차단기의 출력을 온(ON)/오프(OFF)하는 조작핸들을 온(ON)위치 및 오프(OFF)위치에 잠그는 핸들잠금장치에 있어서,
    조작핸들의 내부에 형성된 설치부에 잠금부재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하고, 잠금부재에 조작핸들의 상면으로부터 노출하는 손잡이부를 설치하며, 손잡이부의 조작에 의해 잠금부재의 일부를 조작핸들의 외부에 돌출시켜, 그 돌출시킨 부분과 차단기케이스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조작핸들의 조작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의 핸들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를 조작핸들의 조작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의 핸들잠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를 조작핸들의 조작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의 핸들잠금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시킨 부분에 조작핸들이 조작불능인 것을 나타내는 표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의 핸들잠금장치.
  5. 회로차단기의 출력을 온(ON)/오프(OFF)하는 조작핸들을 온(ON)위치 및 오프(OFF)위치에 잠그는 핸들잠금장치에 있어서,
    조작핸들의 내부에 형성된 설치부에 잠금부재를 착탈가능하게 설치하고, 잠금부재의 일부를 조작핸들의 외부에 돌출시켜, 그 돌출시킨 부분과 차단기케이스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조작핸들의 조작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의 핸들잠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가 조작핸들을 오프(OFF)위치로 회동했을 때 차단기케이스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제1설치홈과, 조작핸들을 온(ON)위치로 회동했을 때 차단기케이스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제2설치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의 핸들잠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설치홈이 차단기케이스의 상면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상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잠금부재가 제1 또는 제2 설치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삽입부와, 조작핸들의 외부에서 차단기케이스의 상면에 접합하는 돌출 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의 핸들잠금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를 제1 또는 제2 설치홈내에 보유하는 요철의 유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의 핸들잠금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케이스의 상단에 잠금부재의 돌출부를 전후방향으로 안내하는 좌우 한 쌍의 안내벽을 설치하고, 제1 및 제2설치홈과 삽입부를 좌우 어느쪽인가 한쪽의 안내벽에 치우친 위치에 형성하며, 돌출부의 앞위양면에 회로차단기의 온(ON)상태와 오프(OFF)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의 핸들잠금장치.
  10.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를 제2설치홈에 설치한 경우에, 돌출부가 회로차단기의 차단동작을 테스트하는 테스트버턴을 조작불능으로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의 핸들잠금장치.
KR1020070094621A 2007-09-18 2007-09-18 회로차단기의 핸들잠금장치 KR101099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621A KR101099232B1 (ko) 2007-09-18 2007-09-18 회로차단기의 핸들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621A KR101099232B1 (ko) 2007-09-18 2007-09-18 회로차단기의 핸들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9412A KR20090029412A (ko) 2009-03-23
KR101099232B1 true KR101099232B1 (ko) 2011-12-27

Family

ID=40696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4621A KR101099232B1 (ko) 2007-09-18 2007-09-18 회로차단기의 핸들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92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5882B2 (en) 2015-06-24 2017-10-31 Lsis Co., Ltd. Locking device for operating mechanism of gas insulated switchgea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94759A (zh) * 2021-08-02 2021-11-02 吴建华 一种防爆配电箱小型断路器的操控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2623A (ja) * 2001-01-26 2002-08-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回路遮断器のハンドルロック装置
KR200396951Y1 (ko) 2005-07-01 2005-09-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2623A (ja) * 2001-01-26 2002-08-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回路遮断器のハンドルロック装置
KR200396951Y1 (ko) 2005-07-01 2005-09-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5882B2 (en) 2015-06-24 2017-10-31 Lsis Co., Ltd. Locking device for operating mechanism of gas insulated switchge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9412A (ko) 2009-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48027B (zh) 快速连接电力连接器隔离系统
JP6817613B2 (ja) 遮断範囲可変形のプラグ形漏電遮断器
PT1404170E (pt) Combinação de aparelhos
KR101099232B1 (ko) 회로차단기의 핸들잠금장치
JP4813956B2 (ja) 回路遮断器の端子構造
JP4556614B2 (ja) 漏電遮断器
KR101026592B1 (ko) 회로차단기
CN101393826B (zh) 电路断开器的手柄锁装置
CN108987194B (zh) 电路断路器以及电路断路器的安全装置单元
JP2007170998A (ja) 電力量計
JP4813957B2 (ja) 配線用遮断器
JP4774326B2 (ja) 回路遮断器のハンドルロック装置
JP2021028916A (ja) プラグ
JP6878112B2 (ja) 配線用遮断器
JP4486949B2 (ja) 回路遮断器及び分電盤
JP4557249B2 (ja) 分電盤
JP4826465B2 (ja) コンセント
JP6966097B2 (ja) プラグ
JP7187376B2 (ja) 配線用遮断器
JP6872273B2 (ja) プラグ構造
JP2003331707A (ja) 回路遮断器
KR101607554B1 (ko) 배선 덕트 접속 장치
JP6672057B2 (ja) プラグ構造及び漏電検知遮断器
KR101045465B1 (ko) 회로차단기
JP4774323B2 (ja) 回路遮断器のハンドル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