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3192B1 - 자연환기가 용이한 방음터널 - Google Patents

자연환기가 용이한 방음터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3192B1
KR101603192B1 KR1020140104594A KR20140104594A KR101603192B1 KR 101603192 B1 KR101603192 B1 KR 101603192B1 KR 1020140104594 A KR1020140104594 A KR 1020140104594A KR 20140104594 A KR20140104594 A KR 20140104594A KR 101603192 B1 KR101603192 B1 KR 101603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roof
eaves
eave
soundproof tu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4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0043A (ko
Inventor
김철환
장태순
민경일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140104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3192B1/ko
Publication of KR20160020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3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3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00Ventilation of mines or tunnels; Distribution of ventilating currents
    • E21F1/003Ventilation of traffic tu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38Waterproofing; Heat insulating; Soundproofing; Electric insu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음을 저감하는 방음 터널(300)로서, 상부에 환기구(110)가 구비된 벽체(100); 벽체(100)의 상부에 형성된 지붕(200); 벽체(100)와 지붕(200) 사이에 형성되며, 지붕(200)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처마(210);를 포함하며, 처마(210)는 환기구(110)의 외측에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환기구(110)를 통해 누출된 소음이 처마(210)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환기가 용이한 방음터널(300)을 제시함으로써, 방음효과가 뛰어나며, 자연환기가 용이하여 터널의 내부 비산먼지 등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자연환기가 용이한 방음터널{THE SOUNDPROOF TUNNEL}
본 발명은 토목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자연환기가 용이한 방음터널에 관한 것이다.
고속도로 인근에 고층의 공동주택 단지 건설이 증가함에 따라, 방음벽에 의한 소음효과에 한계가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모색되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위의 방안들 중 하나로, 방음터널을 설치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방음터널(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구(11)가 방음터널(10)의 지붕에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상기 환기구(11)를 통해 누출된 소음으로 인하여 방음터널(10)의 소음저감 효과가 크게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위와 같이, 종래의 방음터널(10)은 방음효과를 제대로 발휘할 수 없음에 따라, 인근에 건설된 공동주택 등에 소음피해가 발생하여 거주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방음효과가 뛰어나며, 자연환기가 용이하여 터널의 내부 비산먼지 등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자연환기가 용이한 방음터널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 소음을 저감하는 방음 터널(300)로서, 상부에 환기구(110)가 구비된 벽체(100); 상기 벽체(100)의 상부에 형성된 지붕(200); 상기 벽체(100)와 지붕(200)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지붕(200)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처마(210);를 포함하며, 상기 처마(210)는 상기 환기구(110)의 외측에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환기구(110)를 통해 누출된 소음이 상기 처마(210)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환기가 용이한 방음터널(300)을 제시한다.
상기 처마(210)는 상기 환기구(110)를 통해 누출된 소음이 차단되도록, 상기 처마(210)에 흡음형 방음부(220);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음형 방음부(220)는 상기 처마(210)의 하단에 장착된 방음부재(2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벽체(100)와 처마(210) 사이에는 지지대(240);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환기구(110)는 상기 벽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간격을 두고 복수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처마(210)는 상기 지붕(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방음효과가 뛰어나며, 자연환기가 용이하여 터널의 내부 비산먼지 등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자연환기가 용이한 방음터널을 제시한다.
도 1은 종래의 방음터널의 단면도.
도 2 이하는 본 발명에 의한 자연환기가 용이한 방음터널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는 제 1실시예의 확대 사시도.
도 3은 제 1실시예의 정단면도.
도 4는 제 2실시예의 정단면도.
도 5는 방음터널의 제 1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방음터널의 제 2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방음터널의 제 3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시하는 방음 터널(300)은, 상부에 환기구(110)가 구비된 벽체(100); 벽체(100)의 상부에 형성된 지붕(200); 벽체(100)와 지붕(200) 사이에 형성되며, 지붕(200)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처마(210);를 포함하며, 처마(210)는 환기구(110)의 외측에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환기구(110)를 통해 누출된 소음이 처마(210)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처마(210)는 내측으로 만곡지게 형성되고, 처마(210)의 단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즉, 종래의 터널(10)은 환기구(11)가 터널(10)의 지붕에 형성되는 구조가 일반적이지만, 본 발명의 방음터널(300)은 환기구(110)가 벽체(100)의 상부에 형성된 구조가 특징이다.
도 3에 도시된 화살표는 환기구(11)를 통해 누출된 소음의 이동경로가 도시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구(11)를 통해 누출된 소음이 처마(210)에 의해 차단되어 외부로 유출될 수 없도록 형성된 구조이므로, 자연환기가 용이함은 물론이고, 방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환기구(11)를 통해 자연환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방음터널(300) 내부의 비산먼지 등을 저감시켜 내부 공기를 정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불어, 방음터널(300)의 외부로 소음이 누출되는 문제를 확실히 차단함으로써, 인근에 건설된 공동주택에 소음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없어 거주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처마(210)는 환기구(110)를 통해 누출된 소음이 차단되도록, 처마(210)에 흡음형 방음부(220)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도 2).
또한, 흡음형 방음부(220)는 처마(210)의 하단에 장착된 방음부재(23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환기구(110)를 통해 누출된 소음이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보다 확실히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음터널(300) 구조에 있어서, 벽체(100)와 처마(210) 사이에 지지대(240)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도 4).
위와 같은 구조는 지지대(240)를 통해 처마(210)가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지지됨으로써, 구조적으로 보다 안정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한편, 환기구(110)는 벽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상호 간격을 두고 복수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도 6).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터널(300) 내부의 자연 환기는 충분히 이루어짐과 아울러, 소음 누출은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처마(210)는 지붕(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을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환기구(110)를 통해 누출된 소음이 상기 환기구(110)의 정방향으로만 누출되는 것이 아니라, 사방으로 누출될 수 있기 때문에 처마(210)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소음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방음터널(300)은 일반적인 고속도로 등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도 있고, 교량(400)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도 5,6,7).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종래의 방음터널 100 : 벽체
110 : 환기구 200 : 지붕
210 : 처마 220 : 흡음형 방음부
230 : 방음부재 240 : 지지대
300 : 방음 터널 400 : 터널

Claims (6)

  1. 소음을 저감하는 방음 터널(300)로서,
    상부에 환기구(110)가 구비된 벽체(100);
    상기 벽체(100)의 상부에 형성된 지붕(200);
    상기 벽체(100)와 지붕(200)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지붕(200)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처마(210);를 포함하며,
    상기 환기구(110)는 상기 벽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간격을 두고 복수가 형성되고,
    상기 처마(210)는 상기 환기구(110)의 외측에 하향 경사지게 배치됨과 아울러, 내측으로 만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처마(210)의 단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환기구(110)를 통해 누출된 소음이 상기 처마(210)에 의해 차단되도록, 상기 처마(210)에 흡음형 방음부(220);가 구비되고,
    상기 흡음형 방음부(220)는 상기 처마(210)의 하단에 장착된 방음부재(230);를 포함하며,
    상기 벽체(100)와 처마(210) 사이에는 지지대(240);가 설치되고,
    상기 처마(210)는 상기 지붕(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환기가 용이한 방음터널(300).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40104594A 2014-08-12 2014-08-12 자연환기가 용이한 방음터널 KR101603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594A KR101603192B1 (ko) 2014-08-12 2014-08-12 자연환기가 용이한 방음터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594A KR101603192B1 (ko) 2014-08-12 2014-08-12 자연환기가 용이한 방음터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043A KR20160020043A (ko) 2016-02-23
KR101603192B1 true KR101603192B1 (ko) 2016-03-15

Family

ID=55449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4594A KR101603192B1 (ko) 2014-08-12 2014-08-12 자연환기가 용이한 방음터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319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2905B1 (ko) 2018-02-01 2019-02-28 (주)테크스퀘어 주파수 수렴과 반대위상 주파수를 이용한 배출소음 저감을 갖는 방음터널
KR20220065946A (ko) 2020-11-13 2022-05-23 주용산업주식회사 방음터널 제연/배연 환기장치
KR20220086765A (ko) 2020-12-16 2022-06-24 (주)경서 공기정화 기능을 가지는 방음터널
KR20220134096A (ko) 2021-03-26 2022-10-05 명성산업개발 주식회사 방음터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022B1 (ko) * 2004-09-30 2006-09-19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루프형 방음벽 구조
KR100795362B1 (ko) * 2007-09-14 2008-01-17 오션 스타 주식회사 축사 구축물
JP2009108618A (ja) * 2007-10-31 2009-05-21 Mitsubishi Heavy Ind Ltd 大スパン屋根の設計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328B1 (ko) * 2005-03-10 2007-06-11 명성산업개발 주식회사 방음터널의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022B1 (ko) * 2004-09-30 2006-09-19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루프형 방음벽 구조
KR100795362B1 (ko) * 2007-09-14 2008-01-17 오션 스타 주식회사 축사 구축물
JP2009108618A (ja) * 2007-10-31 2009-05-21 Mitsubishi Heavy Ind Ltd 大スパン屋根の設計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2905B1 (ko) 2018-02-01 2019-02-28 (주)테크스퀘어 주파수 수렴과 반대위상 주파수를 이용한 배출소음 저감을 갖는 방음터널
KR20220065946A (ko) 2020-11-13 2022-05-23 주용산업주식회사 방음터널 제연/배연 환기장치
KR20220086765A (ko) 2020-12-16 2022-06-24 (주)경서 공기정화 기능을 가지는 방음터널
KR20220134096A (ko) 2021-03-26 2022-10-05 명성산업개발 주식회사 방음터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043A (ko) 201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3192B1 (ko) 자연환기가 용이한 방음터널
JP5774840B2 (ja) パラペット換気構造
CN102797405B (zh) 一种通风隔声的副框型材
US20150167992A1 (en) Arch top roof vent
KR20060117499A (ko) 터널용 제트 팬
JP5265866B2 (ja) 建築物の小屋裏換気構造
KR101366010B1 (ko) 건식 벽체 구조물
KR101381810B1 (ko) 방음시설용 환기장치 및 그것이 구비된 방음시설
JP2018091002A (ja) 通気部材およびこれを備えた外壁構造
KR200439059Y1 (ko) 갤러리 창호
JP5117978B2 (ja) 換気構造
JP4243720B2 (ja) 消音ルーバー
US20180339259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ducing a flow of soil air to indoor air in a building
JP4094628B2 (ja) 大型バルコニー
JP2014145249A (ja) 換気構造及び建物
JP2011252361A (ja) 換気棟
JP6345922B2 (ja) 排熱構造
CN210685521U (zh) 一种降噪通风发电机房
JP2011058234A (ja) 換気構造及び建物
FI12160U1 (fi) Parvekekaiteen alaprofiili
JP2008095398A (ja) 大黒柱を用いた通気システムを備えた家屋
KR100418358B1 (ko) 그릴창
KR20170023290A (ko) 환기구가 구비된 투광형 파형강판 구조물
KR20160007908A (ko) 통풍형 방음블록 및 이를 구비한 방음벽
JP4902312B2 (ja) 屋根の換気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