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3290A - 환기구가 구비된 투광형 파형강판 구조물 - Google Patents

환기구가 구비된 투광형 파형강판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3290A
KR20170023290A KR1020150117184A KR20150117184A KR20170023290A KR 20170023290 A KR20170023290 A KR 20170023290A KR 1020150117184 A KR1020150117184 A KR 1020150117184A KR 20150117184 A KR20150117184 A KR 20150117184A KR 20170023290 A KR20170023290 A KR 20170023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steel
unit
steel sheet
section
uni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7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1361B1 (ko
Inventor
정성만
김흥대
송헌영
조계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픽슨
주식회사 픽슨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픽슨, 주식회사 픽슨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픽슨
Priority to KR1020150117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1361B1/ko
Publication of KR20170023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1/00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 F21S11/007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transmitting light into the interior of a bui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27Ducting arrangements using parts of the building, e.g. air ducts inside the floor, walls or ceiling of a bui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이 발명은 환기구가 구비된 투광형 파형강판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발명은 벤딩된 파형강판이 원주방향으로 연결되어 단위강판섹션이 형성되고, 투광판이 원주방향으로 벤딩되어 단위투광섹션이 형성되어 상기 단위강판섹션과 단위투광섹션이 구조물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투광형 파형강판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단위파형강판의 상부에는 환기구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환기구는 단위투광섹션의 상부에 환기홀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환기홀에 커버판이 간격유지구에 의하여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커버판은 각각의 모서리에 체결홀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간격유지구는 볼트머리를 갖는 볼트몸체에 상부패킹이 끼워지며, 상기 볼트몸체가 커버판의 체결홀을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게 끼워져 상부너트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상부너트의 하부로 노출된 볼트몸체에 중부너트가 상기 상부너트와 일정 간격 유지되게 결합되어지며, 상기 중부너트의 하부로 노출된 볼트몸체가 투광판과 파형강판 및 상기 파형강판의 하부에 구비된 하부패킹을 관통하여 하부너트로 체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환기구가 구비된 투광형 파형강판 구조물{VENTS EQUIPPDE WITH FLOODLIGHT TYPE CORRUGATED STEEL STRUCTURES}
이 발명은 환기구가 구비된 투광형 파형강판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파형강판으로 이루어진 단위강판섹션과 투광판으로 이루어진 단위투광섹션이 구조물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어지는 가운데 단위투광섹션에 환기구가 구비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철도나 고속화도로는 방음벽에 의하여 주변으로 소음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효과적인 방음을 위해서는 방음벽의 높이가 증가되어야 하나, 풍하중의 영향으로 제한적인 높이를 가질 수 없어 방음터널이 대비책으로 사용되고 있다.
방음터널은 상부가 완전히 밀폐되는 완전터널형 또는 상부가 개방되는 반터널형으로 구분되며, 완전터널형이나 반터널형 모두 방음패널을 조합하여 내부에서 발생된 소음을 저감시켜 방음효율을 높이게 된다.
방음터널은 주로 H빔을 이용한 구조체의 내측면에 흡음재를 갖는 다공판으로 이루어진 방음패널이 설치되어 소음이 저감된다. 이때, 음에너지의 소산을 촉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사용되는 흡음재가 유리섬유와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유리섬유의 비산문제로 인하여 환경공해차원에서 법적으로 사용을 규제하고 있고, 폴리우레탄 폼의 경우 화재에 취약하기 때문에 안전성 측면에서 밀폐된 공간에서의 사용을 금하고 있다.
유리섬유와 폴리우레탄 폼은 중·고주파수 대역의 소음은 탁월한 흡음성능을 갖지만, 전동차나 자동차와 같은 구동기기에서 발생하는 저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방음시키는 데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등록특허공보 10-1475919호(201 4.12.17)의 파형강판을 이용한 방음터널이 제안되었고, 제안된 방음터널은 벤딩된 파형강판과 투광판이 터널의 길이방향으로 반복되게 결합되도록 하여 친환경적인 가운데 구조적으로 충분한 강도가 유지되도록 하였으나, 방음터널의 길이가 길 경우, 방음터널 내부 공기의 순환이 어려워져 차량에서 배출되는 매연, 먼지,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아황산가스 같은 황산화물, 이산화질소 같은 질소산화물, 포름알데이드, 자동차 연료첨가제로 사용된 중금속 등이 상당량 터널내에 잔류하게 되는 원인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터널내의 잔류된 유해가스에 의한 호흡기 질환이 발생되는 등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10-1475919호(201 4.12.17)
이 발명은 방음터널 내의 조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가운데 충분한 강도과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차량에서 배출되는 매연, 먼지,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포름알데이드, 자동차 연료첨가제로 사용된 중금속 등이 터널내에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질환이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발명은 벤딩된 벤딩된 파형강판(10)이 원주방향으로 연결되어 단위강판섹션(SS)이 형성되고, 투광판(20)이 원주방향으로 벤딩되어 단위투광섹션(FS)이 형성되어 상기 단위강판섹션(SS)과 단위투광섹션(FS)이 구조물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투광형 파형강판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단위파형강판(SS)의 상부에는 환기구(3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환기구(30)는 단위투광섹션(FS)의 상부에 환기홀(21)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환기홀(21)에 커버판(301)이 간격유지구(31)에 의하여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커버판(301)은 각각의 모서리에 체결홀(H)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간격유지구(31)는 볼트머리(312)를 갖는 볼트몸체(311)에 상부패킹(313)이 끼워지며, 상기 볼트몸체(311)가 커버판(301)의 체결홀(H)을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게 끼워져 상부너트(314)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상부너트(314)의 하부로 노출된 볼트몸체(311)에 중부너트(315)가 상기 상부너트(314)와 일정 간격 유지되게 결합되어지며, 상기 중부너트(315)의 하부로 노출된 볼트몸체(311)가 투광판(20)과 파형강판(10) 및 상기 파형강판(110)의 하부에 구비된 하부패킹(316)을 관통하여 하부너트(317)로 체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위투광섹션(FS)의 원주방향 양측 단부에는 벤딩된 파형강판(10)으로 보강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위강판섹션(SS)은 길이 방향으로 2~3개 결합된 후 단위투광섹션(FS)이 결합되어지되, 상기 단위강판섹션(SS)과 단위투광섹션(FS)은 결합이 반복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위투광섹션(FS)은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일측의 파형강판(10)과 타측의 파형강판(10) 사이로 지지대(40)에 의하여 지지되어지되, 상기 지지대(40)는 양측 단부에 지지대 관통홀(40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지지대 관통홀(401)에 중심이 일치되는 파형강판 관통홀(101)이 단위강판섹션(SS)의 파형강판(10)에 형성되어 볼트(B)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위강판섹션(SS)과 단위투광섹션(FS)은 각각 얹혀지는 부분에 실링부(S)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실링부(S)는 고무판 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판(301)은 단위투광섹션(FS)에 형성된 환기홀(21) 보다 더 넓게 형성되어지며, 상기 단위투광섹션(FS)의 원주방향을 따라 벤딩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은 파형강판으로 이루어진 단위강판섹션과 투광판으로 이루어진 단위투광섹션이 구조물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어지는 가운데 단위투광섹션에 환기구가 구비되어지도록 함으로써, 터널내의 공기가 자연적으로 환기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인체에 해로운 매연, 먼지,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포름알데이드, 자동차 연료첨가제로 사용된 중금속이 터널내에 잔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호흡기 질환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단위투광섹션에 의하여 별도의 터널의 내부에 별도의 조명을 설치하지 않고도 터널내에 조도가 항상 일정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이 발명에 따른 환기구가 구비된 투광형 파형강판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이 발명에 따른 환기구가 구비된 투광형 파형강판 구조물의 요부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3은 이 발명에 따른 환기구가 구비된 투광형 파형강판 구조물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4는 이 발명에 따른 환기구가 구비된 투광형 파형강판 구조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이 발명에 따른 환기구가 구비된 투광형 파형강판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이 발명에 따른 환기구가 구비된 투광형 파형강판 구조물의 요부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이 발명에 따른 환기구가 구비된 투광형 파형강판 구조물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 발명은 차량이 구조물의 내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인체에 해로운 물질인 매연, 먼지,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포름알데이드 등이 터널내에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호흡기 질환을 막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환기구가 구비된 투광형 파형강판 구조물은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강판섹션(SS)과 단위투광섹션(FS)이 구조물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가운데 상기 단위투광섹션(FS)의 상부에 환기구(30)가 구비되어 내부의 오염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환기가 자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단위강판섹션(SS)은 벤딩된 파형강판(10)이 원주방향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아치형태를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단위투광섹션(FS)은 투광판(20)이 원주방향으로 구비되고, 구조물의 길이방향으로 반복된 형태로 배열되어짐으로써, 상기 단위투광섹션(FS)을 통해 외부에서 내부로 빛이 통과되도록 하여 구조물의 내부 공간이 항상 일정한 조도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단위강판섹션(SS)은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풍하중에 충분하게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단위투광섹션(FS)은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되어 충분한 강도와 투명도과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일측의 파형강판(10)과 타측의 파형강판(10) 사이로 지지대(40)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시공 후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을 더 연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40)는 양측 단부에 지지대 관통홀(401)이 형성되어 파형강판(10)의 상부에 단위투광섹션(FS)의 양측 단부가 걸쳐지게 안착된 상태에서 파형강판(10)에 볼트(B)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대(40)의 지지대 관통홀(401)에 중심이 일치되는 파형강판 관통홀(101)을 단위강판섹션(SS)의 파형강판(10)에 형성되도록 하여 볼트(B)를 삽입하여 너트로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 단위강판섹션(SS)과 단위투광섹션(FS)은 각각 얹혀지는 부분에 실링부(S)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실링부(S)는 고무판 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내부로 빗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단위투광섹션(FS)이 하나의 패널형태를 갖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벤딩된 파형강판(10)과 같이 소정 길이로 절단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위투광섹션(FS)의 제조와 보관 및 운반 그리고 현상 시공이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단위투광섹션(FS)은 원주방향의 양측 단부로 위치된 부분에는 벤딩된 형태를 갖는 파형강판(10)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더 한층 보강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환기구(30)는 구조물의 내부에서 외부 또는 외부에서 내부로 공기의 유출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환기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우천시 빗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상기 환기구(30)는 단위파형강판(SS)의 상부에 구비된 것으로 단위투광섹션(FS)의 상부에 환기홀(21)이 관통되게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환기홀(21)에 커버판(301)이 다수개의 간격유지구(31)에 의하여 일정 간격으로 유지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판(301)은 사각형태를 갖는 각각의 모서리에 체결홀(H)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간격유지구(31)는 커버판(301)이 환기홀(21)에서 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한 것으로 볼트머리(312)를 갖는 볼트몸체(311)에 상부패킹(313)이 끼워지며, 상기 볼트몸체(311)가 커버판(301)의 체결홀(H)을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게 끼워져 상부너트(314)로 결합되어 커버판(301)에 형성된 체결홀(H)을 통해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풀림현상을 더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상부너트(314)의 하부로 노출된 볼트몸체(311)는 중부너트(315)가 상기 상부너트(314)와 일정 간격 유지되게 결합되어 커버판(301)이 자중이나 기타의 원인으로 인하여 환기홀(21)을 향하여 덮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중부너트(315)의 하부로 노출된 볼트몸체(311)는 투광판(20)과 파형강판(10) 및 상기 파형강판(110)의 하부에 구비된 하부패킹(316)을 관통하여 하부너트(317)로 체결되어 누수와 풀림을 동시에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상부커버판(301)은 단위투광섹션(FS)에 형성된 환기홀(21) 보다 더 넓게 형성되어 빗물이나 눈 등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단위투광섹션(FS)의 원주방향을 따라 벤딩되어 빗물이나 눈 등이 용이하게 흘러 내릴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환기구가 구비된 투광형 파형강판 구조물은 먼저, 벤딩된 파형강판(10)이 원주방향으로 연결되어 단위강판섹션(SS)이 일정 간격을 갖는 2열로 구비되도록 한 후 2열로 구비된 단위강판섹션(SS) 사이에 투광판(20)이 원주방향을 갖도록 구비되어 하나의 단위투광섹션(FS)이 구비되도록 한다. 이때, 투광판(20)은 외측으로 양측 단부에 지지대 관통홀(401)을 갖는 지지대(40)가 위치되도록 한 후 볼트(B)를 이용하여 파형강판(10)에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단위강판섹션(SS)과 단위투광섹션(FS)은 각각 얹혀지는 부분에 고무판 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실링부(S)가 구비되도록 할 경우, 외부로부터 내부로 빗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단위투광섹션(FS)의 상부에 환기구(30)가 구비되도록 한다. 이때, 상부패킹(313)이 볼트몸체(311)에 끼워져 볼트머리(312)에 맞대어지도록 하고, 이러한 볼트몸체(311)를 커버판(301)의 모서리에 형성된 각각의 체결홀(H)에 관통되도록 삽입한 상태에서 상부너트(314)를 볼트몸체(311)에 체결시켜 조임으로써, 커버판(301)에 볼트몸체(311)가 결합된다.
다음, 볼트몸체(311)에 중부너트(315)를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상부너트(214)와 일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한 후 중부너트(315)의 하부로 노출된 볼트몸체(311)가 투광판(20)과 파형강판(10) 및 상기 파형강판(110)의 하부에 구비된 하부패킹(316)을 관통하여 하부너트(317)로 체결되는 것으로 환기구가 구비되어진다.
다음, 이와 같은 과정의 반복을 통해 환기구가 구비된 투광형 파형강판 구조물이 길이방향으로 시공된다.
도4는 이 발명에 따른 환기구가 구비된 투광형 파형강판 구조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단위강판섹션(SS)과 단위쿠광섹선(FS)이 교대로 반복되게 구비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강판섹션(SS)을 길이 방향으로 2~3개 결합된 후 단위투광섹션(FS)이 결합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단위강판™F션(SS)과 단위투광섹션(FS)은 결합이 반복되게 구성되도록 하여 구조물의 강도를 더 한층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환기구(30)가 단위투광섹션(FS)에 구비되어지도록 할 경우, 구조물에 구비된 모든 단위투광섹션(FS)에 구비되어지도록 하거나, 부분적으로 구비되어지도록 할 수 있다.
H:체결홀 FS:단위투광섹션
SS:단위강판섹션 10:파형강판
20:투광판 21:환기홀
30:환기구 31:간격유지구
301:커버판 311:볼트몸체
312:볼트머리 313:상부패킹
314:상부너트 315:중부너트
316:하부패킹 317:하부너트

Claims (6)

  1. 벤딩된 파형강판(10)이 원주방향으로 연결되어 단위강판섹션(SS)이 형성되고, 투광판(20)이 원주방향으로 벤딩되어 단위투광섹션(FS)이 형성되어 상기 단위강판섹션(SS)과 단위투광섹션(FS)이 구조물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투광형 파형강판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단위파형강판(SS)의 상부에는 환기구(3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환기구(30)는 단위투광섹션(FS)의 상부에 환기홀(21)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환기홀(21)에 커버판(301)이 간격유지구(31)에 의하여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커버판(301)은 각각의 모서리에 체결홀(H)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간격유지구(31)는 볼트머리(312)를 갖는 볼트몸체(311)에 상부패킹(313)이 끼워지며, 상기 볼트몸체(311)가 커버판(301)의 체결홀(H)을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게 끼워져 상부너트(314)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상부너트(314)의 하부로 노출된 볼트몸체(311)에 중부너트(315)가 상기 상부너트(314)와 일정 간격 유지되게 결합되어지며, 상기 중부너트(315)의 하부로 노출된 볼트몸체(311)가 투광판(20)과 파형강판(10) 및 상기 파형강판(110)의 하부에 구비된 하부패킹(316)을 관통하여 하부너트(317)로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가 구비된 투광형 파형강판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투광섹션(FS)의 원주방향 양측 단부에는 벤딩된 파형강판(10)으로 보강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가 구비된 투광형 파형강판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강판섹션(SS)은 길이 방향으로 2~3개 결합된 후 단위투광섹션(FS)이 결합되어지되, 상기 단위강판섹션(SS)과 단위투광섹션(FS)은 결합이 반복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가 구비된 투광형 파형강판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투광섹션(FS)은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일측의 파형강판(10)과 타측의 파형강판(10) 사이로 지지대(40)에 의하여 지지되어지되, 상기 지지대(40)는 양측 단부에 지지대 관통홀(40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지지대 관통홀(401)에 중심이 일치되는 파형강판 관통홀(101)이 단위강판섹션(SS)의 파형강판(10)에 형성되어 볼트(B)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가 구비된 투광형 파형강판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강판섹션(SS)과 단위투광섹션(FS)은 각각 얹혀지는 부분에 실링부(S)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실링부(S)는 고무판 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가 구비된 투광형 파형강판 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판(301)은 단위투광섹션(FS)에 형성된 환기홀(21) 보다 더 넓게 형성되어지며, 상기 단위투광섹션(FS)의 원주방향을 따라 벤딩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가 구비된 투광형 파형강판 구조물.
KR1020150117184A 2015-08-20 2015-08-20 환기구가 구비된 투광형 파형강판 구조물 KR101801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184A KR101801361B1 (ko) 2015-08-20 2015-08-20 환기구가 구비된 투광형 파형강판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184A KR101801361B1 (ko) 2015-08-20 2015-08-20 환기구가 구비된 투광형 파형강판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290A true KR20170023290A (ko) 2017-03-03
KR101801361B1 KR101801361B1 (ko) 2017-11-27

Family

ID=58410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184A KR101801361B1 (ko) 2015-08-20 2015-08-20 환기구가 구비된 투광형 파형강판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13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16649A (zh) * 2019-08-26 2019-12-27 亚来(上海)建筑设计咨询有限公司 一种有效减少城市轻轨交通噪音的隔音减噪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919B1 (ko) 2013-12-16 2014-12-24 주식회사 픽슨 파형강판을 이용한 방음터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680Y1 (ko) * 2002-09-13 2002-12-26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파형강판 체결부재
JP5406102B2 (ja) * 2010-03-31 2014-02-05 タキロン株式会社 屋根支持構造
KR101381810B1 (ko) * 2012-02-29 2014-04-07 에코리아 주식회사 방음시설용 환기장치 및 그것이 구비된 방음시설
KR101530046B1 (ko) * 2013-10-01 2015-06-19 주식회사 픽슨 파형강판을 이용한 방음터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919B1 (ko) 2013-12-16 2014-12-24 주식회사 픽슨 파형강판을 이용한 방음터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16649A (zh) * 2019-08-26 2019-12-27 亚来(上海)建筑设计咨询有限公司 一种有效减少城市轻轨交通噪音的隔音减噪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1361B1 (ko) 2017-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3482B1 (ko) 쏠라셀을 구비한 흡음패널 및 흡음벽체
KR101530046B1 (ko) 파형강판을 이용한 방음터널
KR20140074601A (ko) 터널 라이닝에 고정된 풍도슬래브
KR101801361B1 (ko) 환기구가 구비된 투광형 파형강판 구조물
US6752563B2 (en) Covered highway structure with means for easy and quick access to tunnel interior
KR101143134B1 (ko) 대기오염물질 제거기능을 구비한 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KR20150024119A (ko) 풍도용 격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110137713A (ko) 조립식 흡음블록을 갖는 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및 그 시공방법
CN116498003A (zh) 一种吊顶装配构造综合体系
JP3833017B2 (ja) 防音壁
JP2007255052A (ja) 透光性防音板および防音壁
KR20100003121A (ko) 도로용 태양열 발전장치
KR101267050B1 (ko) 방음터널 대체용 방음벽
KR20060102486A (ko)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셀형 소음기
KR20060099168A (ko) 방음터널의 흡음장치
JP2006342514A (ja) 堀割道路の防音装置
ATE466136T1 (de) Vorgefertigter, einstückiger universal- lärmschutzwall mit luftreinigungswirkung
CN113774827A (zh) 隔音隧道的防漏水系统
US20170267291A1 (en) Landscaped surface applicable to all types of vehicle
BR0104820A (pt) Radiador de painel plano e aparelho de absorção de som
KR101475919B1 (ko) 파형강판을 이용한 방음터널
KR100717388B1 (ko) 벌집형 방현, 방음 및 방풍막
JP3658644B2 (ja) 上方に放射される交通騒音の低減構造
KR101475910B1 (ko) 파형강판을 이용한 방음터널
CN220868009U (zh) 一种顶角处设置通风口的铁路生态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