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0940B1 - 식물성유산균 발효액을 포함하는 당뇨 및 고혈압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물성유산균 발효액을 포함하는 당뇨 및 고혈압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0940B1
KR101600940B1 KR1020130162381A KR20130162381A KR101600940B1 KR 101600940 B1 KR101600940 B1 KR 101600940B1 KR 1020130162381 A KR1020130162381 A KR 1020130162381A KR 20130162381 A KR20130162381 A KR 20130162381A KR 101600940 B1 KR101600940 B1 KR 101600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fermentation broth
parts
lactobacillus planta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2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4518A (ko
Inventor
심관섭
고미연
안두현
류병희
최정호
Original Assignee
대상에프앤에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상에프앤에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상에프앤에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2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0940B1/ko
Publication of KR20150074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4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0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09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Abstract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DSR CK10 (KFCC-11433P)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DSR M2 (KFCC-11432P) 혼합 균주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 및 고혈압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 활성을 가지고 있어 당뇨병의 예방 및/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혈압 저하 및 이뇨 작용 등과 같은 생리활성 기능을 갖는 감마-아미노부틸산(GABA)을 함유하고 있어 고혈압의 예방 및/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식물성유산균 발효액을 포함하는 당뇨 및 고혈압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diabetes and hypertension comprising fermented broth of plant-originated Lactic acid bacteria}
본 발명은 식물성유산균 발효액을 포함하는 당뇨 및 고혈압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DSR CK10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DSR M2 혼합 균주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 및 고혈압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diabetes mellitus)은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대사질환의 일종으로, 혈중 포도당의 농도가 높아지는 고혈당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고혈당으로 인하여 여러 증상 및 징후를 일으키고 소변에서 포도당을 배출하게 된다.
알파글루코시다아제(α-glucisidase) 저해제는 알파글루코시다아제에 의한 올리고당의 분해를 저해하는 물질로서, 일부의 식물이나 미생물에 분포하고 있는데, 상기 알파글루코시다아제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혈당 강하 및 비만 치료와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한 다양한 억제제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억제제를 경제적으로 대량 생산하기 위한 필요성은 점차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혈압이란 혈액이 혈관 벽에 가하는 힘을 말하는 것으로, 혈압을 읽을 때에는 수축기 혈압(최고 혈압)과 확장기 혈압(최저 혈압)으로 나누어서 읽는다. 수축기 혈압은 심장이 수축하면서 혈액을 내보낼 때 혈관에 가해지는 압력이고, 확장기 혈압은 심장이 확장(이완)하면서 혈액을 받아들일 때 혈관이 받는 압력이다.
고혈압(hypertension)은 18세 이상의 성인에서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확장기 혈압이 90mmHg 이상인 경우를 말하는 것으로, 고혈압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원인 질환이 밝혀져 있고 이에 의해 고혈압이 발생하는 경우를 이차성 고혈압이라고 하며, 원인 질환이 발견되지 않는 경우를 본태성(일차성) 고혈압이라고 한다.
전체 고혈압 환자의 약 95%는 본태성 고혈압이다. 본태성 고혈압이 생기는 근본적인 이유는 명확하지 않지만, 심박출량(cardiac output; 심장에서 1분 동안 박출하는 혈액의 양)의 증가나 말초 혈관 저항의 증가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고혈압과 관련된 위험 인자에는 고혈압의 가족력, 음주, 흡연, 고령, 운동 부족, 비만, 짜게 먹는 식습관, 스트레스 등의 환경적, 심리적 요인이 있다.
감마-아미노부틸산(γ-aminobutyric acid; GABA)은 뇌 등에 존재하는 신경전달 물질의 하나로서, 뇌혈류 개선 및 뇌대사 증진 작용이 있으며, 정신안정, 뇌졸증, 머리 외상 및 뇌동맥 후유증에도 효과가 있고, 이외에도 혈압저하 효과가 있어 고혈압 예방 효과도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이뇨작용, 간기능 개선 작용, 비만방지 작용, 알콜 대사촉진 작용 등 매우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을 가지고 있다.
유산균으로 발효한 식물성유산균 발효액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신선 유지를 위한 식물성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DSR CK10, DSR M2 및 이의 용도(한국특허등록 제10-1124056호), 식물성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질염 및 요로감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한국특허등록 제10-1287126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DSR CK10 또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DSR M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치료용 조성물(한국특허등록 제10-128712호)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항균 활성, 항암 활성 또는 항진균 활성을 갖는 균주 또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과 같은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 활성 및 혈압 강하 활성을 갖는 조성물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항고혈압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및 이를 포함하는 발효물이 알려져 있으나(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13477호), 상기 종래기술은 본 발명과 같은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 활성을 갖는 조성물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식물성유산균 발효액을 이용하여 당뇨 및 고혈압을 동시에 예방 및/또는 치료할 수 있는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 활성 및 감마-아미노부틸산(GABA)을 함유하는 식물성유산균 발효액의 새로운 용도, 즉 당뇨 및 고혈압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ctobacillus plantarum) DSR CK10 (KFCC-11433P)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ctobacillus plantarum) DSR M2 (KFCC-11432P) 혼합 균주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및 고혈압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물성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DSR CK10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DSR M2 혼합균주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 및 고혈압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 활성을 가지고 있어 당뇨병의 예방 및/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혈압 저하 및 이뇨 작용 등과 같은 생리활성 기능을 갖는 감마-아미노부틸산(GABA)을 함유하고 있어 고혈압의 예방 및/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ctobacillus plantarum) DSR CK10 (KFCC-11433P)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ctobacillus plantarum) DSR M2 (KFCC-11432P) 혼합 균주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및 고혈압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ctobacillus plantarum) DSR CK10 (KFCC-11433P)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ctobacillus plantarum) DSR M2 (KFCC-11432P)는 김치에서 분리된 것으로, pH 2.5에서 85%이상 생존하여 강한 내산성을 가지고, NaCl 15%에서 90% 이상 생존하여 강한 내염성을 가지며, 옥스갈(oxgall) 3%에서 100% 생존율을 보여 강한 내담즙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상기 균주들은 내산성, 내염성 및 내담즙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상기 균주를 경구 섭취하면 생체 내의 가혹한 환경, 즉 pH가 3 이하로 내려가는 산성 환경과 위장 및 소장에서 분비되는 소화효소 및 담즙산에 의해서도 생육이 우수해 장으로 도달할 수 있는 확률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은 상기 식물성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DSR CK10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DSR M2의 혼합 발효에 의한 대사산물을 포함하는 혼합 발효액으로, 상기 발효액은 상기 균주의 균체를 포함하는 발효액일 수도 있고, 상기 균주의 균체가 제거된 발효액일 수도 있다.
상기 균체가 제거된 발효액은 발효액을 멸균하여 사균체를 포함하게 할 수도 있고, 여과 또는 원심분리를 통해 균체를 제거한 여액 또는 원심분리 상등액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발효액은 발효액 그 자체로 사용할 수도 있고, 이를 건조하여 분말화할 수도 있고, 상기 분말화를 위하여 적절한 부형제나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DSR CK10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DSR M2의 발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알려진 적당한 배지와 배양 조건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배양 과정은 통상의 기술자라면 선택되는 균주에 따라 용이하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다양한 배양 방법은 다양한 문헌(예를 들면, James et al., Biochemical Engineering, Prentice-Hall International Editions)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김치에서 유래된 본 발명의 식물성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DSR CK10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DSR M2는 식물성 배지 100 중량부에 각각의 균주 0.01 내지 5 중량부를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배지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배추 10 내지 60 중량부 및 무 1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부의 포도당 및/또는 0.1 내지 10 중량부의 효모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배지에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DSR CK10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DSR M2를 접종한 후, 25 내지 38℃에서 1 내지 5일간 발효하여 균체를 포함하는 발효액을 얻을 수 있고, 균체가 제거된 발효액은 균체를 포함하는 발효액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만 농축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에서, 상기 발효액은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 활성을 갖는다.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는 알파글루코시다아제에 의한 올리고당의 분해를 저해하는 물질로서, 일부의 식물이나 미생물에 분포하고 있는데, 미생물 기원의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로는 Actinoplanes 균주기원의 슈도올리고당(pseudooligosaccharide), 스트렙토마이세스 (Streptomyces ) 및 바실러스 (Bacillus) 속의 세균이 생산하는 1-데옥시노지리마이신 (1-deoxynojirimycin)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들의 유도체는 혈당강하용 의약품으로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1977년에는 독일 바이엘 (Bayer)사에서 아카보스 (acarbose) (Schmidt D.D. et al., Naturwis senschaften, 64, pp535-538, 1977)를 발견하여 이를 당뇨병 및 비만증 치료제로 개발하였다. 한편,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제는 혈액내 포도당 흡수 자체를 억제하는 것이므로 당뇨병 이외에 비만증 및 고지방증 등의 치료 및 예방에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에서, 상기 발효액은 감마-아미노부틸산(GABA)을 함유한다.
상기 감마-아미노부틸산(GABA)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아미노산의 하나로서, 1950년 유진 로버츠(Eugene Roberts)가 발견하였으며 혈압 저하 및 이뇨 작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포유류의 뇌 속에만 존재하는 특이한 아미노산이고, 척추동물의 중추 신경계에서 주된 신경전달 물질을 저해하는 것이라는 점에서,중추 신경계의 억제적 신경전달 물질이라고도 생각되고 있으나, 아직 밝혀진 바는 없다.
또한, 상기 감마-아미노부틸산(GABA)은 사람의 뇌와 채소, 과일, 쌀이나 현미 등의 곡류에 많이 들어 있으며, 혈압저하 및 이뇨 효과 외에 뇌의 산소공급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뇌 세포의 대사 기능을 촉진시키고, 신경을 안정시키며 불안감을 해소하기도 한다.
한편, 40세 이후에 급격히 고갈되는 성장 호르몬은 지방세포의 생성을 억제하고, 근육을 생성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상기 감마-아미노부틸산(GABA)는 인간의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인체 성장 호르몬(Human Growth Hormone: HGH)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는데, 독성이 없고 혈압강하 작용이 있어 외국에서는 의약품으로도 이용하고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뇨 및 고혈압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은 정제, 산제, 캡슐제, 환제, 과립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외용제, 좌제, 액제 및 주사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일 수 있는데, 상기 제형으로 제조하기 위하여 통상의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형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형은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형으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 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 형태, 투여 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발효액 고형분을 기준으로 1일 0.01 mg/kg 내지 10 g/kg으로, 바람직하게는 1 mg/kg 내지 1 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뇨 및 고혈압 예방용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식품 조성물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정제, 캡슐제, 분말제, 과립제, 액제, 현탁액, 에멀젼, 에어로졸, 외용제, 좌제, 시럽제 및 환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식물성유산균 발효액의 제조 (1)
배추 및 무즙 배지 100 중량부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ctobacillus plantarum) DSR CK10 (KFCC-11433P) 2 중량부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ctobacillus plantarum) DSR M2 (KFCC-11432P) 2 중량부를 접종하고, 37℃에서 3일간 발효시켜 상기 균체를 포함하는 유산균 발효액을 얻었다.
상기 배추 및 무즙 배지로는 배추즙 30 중량%, 무즙 20 중량%, 포도당 1 중량%, 효모추출물 1 중량% 및 정제수 48 중량%를 혼합한 후 멸균한 배지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2 : 식물성유산균 발효액의 제조 (2)
배추 및 무즙 배지 100 중량부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ctobacillus plantarum) DSR CK10 (KFCC-11433P) 2 중량부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ctobacillus plantarum) DSR M2 (KFCC-11432P) 2 중량부를 접종하고, 37℃에서 3일간 발효시켜 유산균 발효액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유산균 발효액을 7,000rpm, 10분의 조건으로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취하여 균체가 제거된 식물성 유산균 발효액을 얻었다.
상기 배추 및 무즙 배지로는 배추즙 30 중량%, 무즙 20 중량%, 포도당 1 중량%, 효모추출물 1 중량% 및 정제수 48 중량%를 혼합한 후 멸균한 배지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3 : 식물성유산균 발효액의 제조 (3)
배추 및 무즙 배지 100 중량부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ctobacillus plantarum) DSR CK10 (KFCC-11433P) 3.5 중량부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ctobacillus plantarum) DSR M2 (KFCC-11432P) 3.5 중량부를 접종하고, 37℃에서 3일간 발효시켜 상기 균체를 포함하는 유산균 발효액을 얻었다.
상기 배추 및 무즙 배지로는 배추즙 20 중량%, 무즙 30 중량%, 포도당 1 중량%, 효모추출물 1 중량% 및 정제수 48 중량%를 혼합한 후 멸균한 배지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4 : 식물성유산균 발효액의 제조 (4)
배추 및 무즙 배지 100 중량부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ctobacillus plantarum) DSR CK10 (KFCC-11433P) 3.5 중량부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ctobacillus plantarum) DSR M2 (KFCC-11432P) 3.5 중량부를 접종하고, 37℃에서 3일간 발효시켜 유산균 발효액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유산균 발효액을 7,000rpm, 10분의 조건으로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취하여 균체가 제거된 식물성 유산균 발효액을 얻었다.
상기 배추 및 무즙 배지로는 배추즙 20 중량%, 무즙 30 중량%, 포도당 1 중량%, 효모추출물 1 중량% 및 정제수 48 중량%를 혼합한 후 멸균한 배지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 식물성유산균 발효액의 제조
유산균으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ctobacillus plantarum) NUC-LG42 (KCCM 10940P)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균체가 제거된 식물성 유산균 발효액을 얻었다.
실험예 1 : 식물성 유산균 발효액의 알파글루코시다이제 저해 활성
식물성유산균 발효액의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식물성유산균 발효액 10 mg/ml, 5 mg/ml, 1 mg/ml, 및 비교예에서 얻은 식물성유산균 발효액 10 mg/ml, 배추 착즙액 10 mg/ml, 무 착즙액 10 mg/ml, 효모 추출물 10 mg/ml과 아카보스(상품명: 글루코바이, 한국바이엘) 1 mg/ml의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율을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아카보스는 당뇨병 환자의 식후 혈당의 급격한 상승을 저해하는 경구용약물로서, 알파글루코시다제를 억제하여 탄수화물의 소화와 흡수를 지연시키기 때문에 식후 혈당을 낮추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율은 다음과 같이 구하였다.
(1) 96 웰 플레이트를 준비하고, 상기 시료들을 각각 50 ㎕씩 3 배수로 넣었다. 이때 대조구는 3차 증류수를 50 ㎕씩 넣었다.
(2) 0.1M의 포스페이트 버퍼(pH 6.9)에 알파글루코시다아제의 농도가 1.0 U/mL가 되도록 만들고, 100 ㎕를 취해서 상기 시료에 각각 더하였다.
(3) 상기 처리된 96 웰 플레이트를 25℃에서 10분 동안 항온처리하였다.
(4) 항온처리 후, 기질인 5mM의 p-니트로페닐-알파-D-글루코피라노사이드( p-nitrophenyl-α-D-glucopyranoside) 용액 50㎕를 시료에 더하여 알파글루코시다아제 활성 반응을 시켰다.
(5) 5, 10, 15, 20 및 30분 동안 각각 항온처리한 후, 405 nm 마이크로어레이 리더(microarray reader)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고, 상기 시료들의 알파글루코시다제의 저해율은 아래의 식 1을 이용하여 수치화하였다.
저해율(%)=([OD.sub.control]-[OD.sub.test])/[OD.sub.control] x 100 .... (식 1)
(상기 식 1에서, [OD.sub.control]는 대조군 흡광도 값, [OD.sub.test]는 시료의 흡광도 값을 의미한다.)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율
실험군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율(%)
실시예 1의 식물성유산균 발효액 10 mg/ml 81.08±3.5
실시예 1의 식물성유산균 발효액 5 mg/ml 57.19±4.1
실시예 1의 식물성유산균 발효액 1 mg/ml 28.76±3.9
비교예의 식물성유산균 발효액 10 mg/ml 4.35±3.7
배추 착즙액 10 mg/ml 2.11±0.3
무 착즙액 10 mg/ml 0±0
효모 추출물 10 mg/ml 0±0
아카보스 1 mg/ml 41.54±3.8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식물성유산균 발효액은 높은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 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 식물성 유산균 발효액의 GABA 함량
식물성유산균 발효액의 GABA 함량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식물성유산균 발효액 10 mg/ml 및 상기 비교예에서 얻은 식물성유산균 발효액 10 mg/ml, 배추 착즙액 10 mg/ml, 무 착즙액 10 mg/ml과 효모 추출물 10 mg/ml의 GABA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GABA 함량은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상기 시료들을 0.45㎛ PVDF 필터(Millipore)로 여과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GABA는 HPLC (ACCQ TagTM AminoAcid AnalysisSystem, Waters사)로 분석하고, 컬럼은 "For Hydrolysate Amino Acid Analysis"(Waters사제)을 사용하였다. GABA의 형광 유도체화를 위해 AccQFluor Reagent를 사용하며, 이들 유도체의 분리를 위해 3.9×150mm 컬럼을 사용하였다.
또한, 컬럼으로부터 유도체를 용출시키기 위해서 AccQTag Eluent A와 60% 아세토니트릴을 분당 1ml의 유속으로 흘려주었다.
GABA 함량
실험군 GABA 함량(mg/g)
실시예 1의 식물성유산균 발효액 10 mg/ml 6.58±0.19
비교예의 식물성유산균 발효액 10 mg/ml 1.35±0.11
배추 착즙액 10 mg/ml 0.08±0.001
무 착즙액 10 mg/ml 0.01±0.001
효모 추출물 10 mg/ml 0.29±0.013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식물성유산균 발효액은 고함량의 GABA를 함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제예를 예시한다.
제제예 1 : 산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식물성유산균 발효액의 동결건조 분말 2g
유당 1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 정제의 제조
실시예 2에서 얻은 식물성유산균 발효액의 동결건조 분말 100㎎
옥수수전분 100㎎
유 당 1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캡슐제의 제조
실시예 2에서 얻은 식물성유산균 발효액의 동결건조 분말 100㎎
옥수수전분 100㎎
유 당 1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통상의 기술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물성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DSR CK10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DSR M2 혼합균주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있어, 당뇨 및 고혈압 예방 및 치료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제약 산업 또는 식품 산업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Claims (9)

  1.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ctobacillus plantarum) DSR CK10 (KFCC-11433P)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ctobacillus plantarum) DSR M2 (KFCC-11432P) 혼합 균주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서,
    상기 발효액은 배추 및 무즙 배지 100 중량부에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ctobacillus plantarum) DSR CK10 (KFCC-11433P) 2 내지 3.5 중량부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ctobacillus plantarum) DSR M2 (KFCC-11432P) 2 내지 3.5 중량부를 첨가하여, 37℃ 내지 38℃에서 3일 내지 5일 동안 발효시킨 것이고,
    상기 배추 및 무즙 배지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배추즙 41.6 내지 62.5 중량부, 무즙 41.6 내지 62.5 중량부, 포도당 2.1 내지 10 중량부 및 효모추출물 2.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한 후, 멸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액은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액은 감마-아미노부틸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정제, 산제, 캡슐제, 환제, 과립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외용제, 좌제, 액제 및 주사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당뇨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정제, 캡슐제, 분말제, 과립제, 액제, 현탁액, 에멀젼, 에어로졸, 외용제, 좌제, 시럽제 및 환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30162381A 2013-12-24 2013-12-24 식물성유산균 발효액을 포함하는 당뇨 및 고혈압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00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381A KR101600940B1 (ko) 2013-12-24 2013-12-24 식물성유산균 발효액을 포함하는 당뇨 및 고혈압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381A KR101600940B1 (ko) 2013-12-24 2013-12-24 식물성유산균 발효액을 포함하는 당뇨 및 고혈압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518A KR20150074518A (ko) 2015-07-02
KR101600940B1 true KR101600940B1 (ko) 2016-03-09

Family

ID=53787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2381A KR101600940B1 (ko) 2013-12-24 2013-12-24 식물성유산균 발효액을 포함하는 당뇨 및 고혈압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09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18236A (zh) * 2017-12-18 2018-05-11 富乐顿生物工程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降低α-葡萄糖苷酶活性的空间植物乳杆菌SS18-37及其应用
CN109136151A (zh) * 2018-09-26 2019-01-04 富乐顿生物工程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具有降低血糖功能的复合植物乳杆菌制剂及其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2465B1 (ko) 2015-08-27 2017-05-25 청운대학교산학협력단 항독감 바이러스 유산균(Lactobacillus plantarum DK119)을 이용한 기능성 식물 발효액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발효액
CN105132318B (zh) * 2015-09-01 2018-07-06 扬州大学 植物乳杆菌Grx16及其应用
GB201519327D0 (en) 2015-11-02 2015-12-16 Optibiotix Health Ltd Composition
CN108004171B (zh) * 2017-12-18 2021-02-19 富乐顿生物工程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降低α-葡萄糖苷酶活性的空间植物乳杆菌SS18-5及其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056B1 (ko) 2009-03-03 2012-03-23 대상에프앤에프 주식회사 신선유지를 위한 식물성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dsr ck10, dsr m2 및 이의 용도
KR101249824B1 (ko) 2010-12-16 2013-04-03 대상에프앤에프 주식회사 대사증후군 예방에 효과가 있는 식물성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dsr j1―8 및 이의 용도
KR101287120B1 (ko) 2011-10-28 2013-07-17 대상에프앤에프 주식회사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dsr ck10또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dsr m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668B1 (ko) * 2009-04-27 2012-01-18 (주)바이오벤 프로테아제 생성능 및 가바 생성능을 가진 식물성 유산균의 이단 발효를 이용한 천연가바 함유 발효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056B1 (ko) 2009-03-03 2012-03-23 대상에프앤에프 주식회사 신선유지를 위한 식물성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dsr ck10, dsr m2 및 이의 용도
KR101249824B1 (ko) 2010-12-16 2013-04-03 대상에프앤에프 주식회사 대사증후군 예방에 효과가 있는 식물성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dsr j1―8 및 이의 용도
KR101287120B1 (ko) 2011-10-28 2013-07-17 대상에프앤에프 주식회사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dsr ck10또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dsr m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18236A (zh) * 2017-12-18 2018-05-11 富乐顿生物工程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降低α-葡萄糖苷酶活性的空间植物乳杆菌SS18-37及其应用
CN108018236B (zh) * 2017-12-18 2021-02-12 富乐顿生物工程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降低α-葡萄糖苷酶活性的空间植物乳杆菌SS18-37及其应用
CN109136151A (zh) * 2018-09-26 2019-01-04 富乐顿生物工程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具有降低血糖功能的复合植物乳杆菌制剂及其应用
CN109136151B (zh) * 2018-09-26 2021-08-31 富乐顿生物工程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具有降低血糖功能的复合植物乳杆菌制剂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518A (ko) 2015-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0940B1 (ko) 식물성유산균 발효액을 포함하는 당뇨 및 고혈압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988072B1 (ko) 황칠나무 발효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101851195B1 (ko) 발효 뽕잎, 발효 뽕잎 추출물 및 이의 용도
JP2010132625A (ja) 抗糖尿病剤
Thakur et al. 1-Deoxynojirimycin, its potential for management of non-communicable metabolic diseases
KR20200031805A (ko) 천마와 굼벵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KR101718323B1 (ko) 발효옻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 궤양, 위암 및 위점막 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054796A (ko) 간 기능 개선용 유산균 및 이의 용도
KR20120021349A (ko) 유산균 발효를 이용한 돼지감자의 당뇨병 치료? 예방용 기능성 식품 및 약제학적 조성물.
WO2016190566A9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102397916B1 (ko) 건강한 임산부 모유 유래 혐기성 인체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
JP2012526801A (ja) 発酵茶抽出物を含有する血液循環改善用組成物、発酵茶抽出物を含む薬剤学的組成物及び健康食品組成物
KR101745597B1 (ko) 발효 감잎, 발효 감잎 추출물 및 이의 용도
KR20140088969A (ko) 갈근엑스 발효물을 함유한 간손상 보호용 조성물
KR20130130131A (ko) 흑마늘 발효 식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01955B1 (ko) 동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KR102472951B1 (ko) 좁은잎천선과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KR102284112B1 (ko) 서목태의 효모 발효물을 포함하는 혈당강하, 혈압강하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42151B1 (ko) 고춧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102048434B1 (ko) 무청 고분자 분획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102123030B1 (ko) 효모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 개선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및 효모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20120107254A (ko)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물질 및 맥주효모를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793145B1 (ko) 가시박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119555A (ko) 알파 글루코시다제 활성 저해용 조성물
KR20120008366A (ko) 오미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장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