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0002B1 - 안전 난간 및 이를 이용한 교통안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전 난간 및 이를 이용한 교통안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0002B1
KR101600002B1 KR1020150031123A KR20150031123A KR101600002B1 KR 101600002 B1 KR101600002 B1 KR 101600002B1 KR 1020150031123 A KR1020150031123 A KR 1020150031123A KR 20150031123 A KR20150031123 A KR 20150031123A KR 101600002 B1 KR101600002 B1 KR 101600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rian
safety
transparent plate
line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1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식
최광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명
Priority to KR1020150031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00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0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0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자의 안전이 크게 요구되는 어린이 보호구역(스쿨존)이나 노인 보호구역 등에 사용되어 보행자의 안전을 크게 확보할 수 있는 안전 난간과 이를 이용한 교통안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차도(R)와 인도(P)가 공존하는 도로 구간에서 인도(P)상에 설치되고 지주(10)와 난간대(20)를 포함하는 안전 난간으로서, 인도(P)와 차도(R)의 경계선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난간 설치 기준선(4)에 대해, 인접한 지주(10)가 상기 난간 설치 기준선(4)의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고, 평면도를 기준으로 인접한 두 개의 지주(10) 사이에 설치된 난간대(20)가 상기 난간 설치 기준선(4)과 교차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난간대(20)에는, 차도(R) 상을 운행하는 운전자나 인도(P) 상의 보행하는 보행자의 시선 방향과 상기 난간 설치 기준선(4)이 이루는 평면도 상의 예각(제1각도)에 비해, 상기 시선 방향과 상기 난간대(20)에 설치된 시설물의 평면도 상의 평균 각도가 이루는 예각(제2각도)이 더 커서 상기 시설물 상의 표시 내용을 운전자나 보행자가 멀리서도 인식하기 쉬운 안전 난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안전 난간 및 이를 이용한 교통안전 시스템{Safety fence and transportation system for safet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안전 난간 및 이를 이용한 어린이 교통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나 보행자가 난간 상의 표시 내용을 먼 거리에서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난간과, 이를 이용하여 어린이 보호 구역과 같이 교통안전이 고도로 요구되는 곳에서 적용될 수 있는 어린이 교통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도에 인접한 인도가 존재하는 영역에서는 인도에 난간을 설치하여 차량의 예기치 않은 인도 진입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 그러나 초등학교 앞과 같은 어린이 보호구역이나 노인 전용 주거 시설(시어너스 타워, 양노원 등)과 같이 보행자를 위한 안전 배려가 크게 요구되는 곳에서는 난간, 횡단보도, 신호등의 설치만으로는 안전에 만전을 기하기 어렵다.
이에 보행자 안전을 보다 확실히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고려할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어 왔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보행자의 안전이 크게 요구되는 어린이 보호구역(스쿨존)이나 노인 보호구역 등에 사용되어 보행자의 안전을 크게 확보할 수 있는 안전 난간과 이를 이용한 교통안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차도(R)와 인도(P)가 공존하는 도로 구간에서 인도(P)상에 설치되고 지주(10)와 난간대(20)를 포함하는 안전 난간으로서,
인도(P)와 차도(R)의 경계선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난간 설치 기준선(4)에 대해, 인접한 지주(10)가 상기 난간 설치 기준선(4)의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고, 평면도를 기준으로 인접한 두 개의 지주(10) 사이에 설치된 난간대(20)가 상기 난간 설치 기준선(4)과 교차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난간대(20)에는, 차도(R) 상을 운행하는 운전자나 인도(P) 상의 보행하는 보행자의 시선 방향과 상기 난간 설치 기준선(4)이 이루는 평면도 상의 예각(제1각도)에 비해, 상기 시선 방향과 상기 난간대(20)에 설치된 시설물의 평면도 상의 평균 각도가 이루는 예각(제2각도)이 더 커서 상기 시설물 상의 표시 내용을 운전자나 보행자가 멀리서도 인식하기 쉬운 안전 난간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지주(10)는, 지면에 대해 연직 방향으로 세워지는 본체; 및 본체의 길이 방향에 나란한 중심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하나 이상의 측방향 회전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여기서, 상기 지주(10)는, 지면에 대해 연직 방향으로 세워지는 본체; 및 일단부는 상기 지주(1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난간대(20)에 연결되며, 상기 지주(10)에 연결된 일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타단부는 연직 방향으로 연장된 제1회전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동시에 상기 제1회전축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회전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2방향 회전 연결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주(10)들 중 난간 설치 기준선(4)에 대해 일측에 위치하는 지주들만을 인도 상의 지면에 고정하여 설치하고, 그 반대편의 지주들은 상기 난간대와 힌지 결합된 상태로 하단이 지상에 닿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난간 설치 기준선(4)과 상기 난간대가 이루는 각도 중 예각은 5도 내지 45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차도(R)와 인도(P)가 공존하는 도로 구간에서 인도(P)측에 설치되고 지주(10)와 난간대(20)를 포함하는 안전 난간을 이용한 교통안전 시스템으로서,
인간의 시각과 청각을 자극하여 안전도를 높이기 위한 시각적 안전 요소와 청각적 안전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시각적 안전 요소는,
인도(P)와 차도(R)의 경계선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난간 설치 기준선(4)에 대해, 인접한 지주(10)가 상기 난간 설치 기준선(4)의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고, 평면도를 기준으로 인접한 두 개의 지주(10) 사이에 설치된 난간대(20)가 상기 난간 설치 기준선(4)과 교차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난간대(20)에는, 차도(R) 상을 운행하는 운전자나 인도(P) 상의 보행하는 보행자의 시선 방향과 상기 난간 설치 기준선(4)이 이루는 평면도 상의 예각(제1각도)에 비해, 상기 시선 방향과 상기 난간대(20)에 설치된 시설물의 평면도 상의 평균 각도가 이루는 예각(제2각도)이 더 커서 상기 시설물 상의 표시 내용을 운전자나 보행자가 멀리서도 인식하기 쉽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청각적 안전 요소는
상기 지주(10)가 설치되는 인도(P) 중 횡단보도에 인접한 지주(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람이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 경우 이를 인식할 수 있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인식 여부에 따라 차도(R) 방향으로 경고음을 발신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교통안전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시각적 안전 요소는, 상기 지주(10)의 일측에 인도(P) 상에서 차도(R)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보행자 형상 패널(60); 상기 인도(P)의 보행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보행자 형상 패널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보행자 형상 패널(60)을 둘러싸는 차단 펜스(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주(10) 중 난간 설치 기준선(4)에서 차도(R)에 가깝게 설치되는 지주(10)는 경계석(3) 상에 설치되고, 상기 지주(10)와 상기 경계석(3) 사이에는 핀 조인트로 연결되어 경계석(3)이 지면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된 경우에도 상기 지주(10)가 연직 방향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스쿨존 등의 어린이 보호구역이나, 노인정 앞과 같은 노인 보호구역, 차도와 인도가 공존하는 교량 구역 등에 본 발명의 안전 난간이나 교통안전 시스템이 적용되면, 보행자의 경각심을 일으켜 안전사고의 예방이 가능하다.
또한, 운전자가 난간대에 설치된 시설물의 표시 내용을 멀리서도 한 박자 빨리 인식할 수 있게 되어 사고가 미연에 방지된다.
또한, 어린이의 키보다 커서 안전 난간 뒤에 있어도 운전자가 쉽게 파악 가능한 보행자 형상 패널을 횡단보도에 인접한 곳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어린이 보행의 개시 여부를 운전자가 한 박자 빨리 인식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난간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난간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안전 난간에 설치될 수 있는 투명 표시 패널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투명 표시 패널의 단위 표시 유닛의 확대도.
도 5는 도 4의 D-D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도 5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안전 난간에 설치될 수 있는 투명 표시 패널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7b는 도 7a의 하나의 화소를 구성하는 LED 소자들의 배치의 일례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안전 난간을 구성하는 지주들의 위치관계와 난간대의 길이의 다양한 변화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안전 난간을 구성하는 지주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안전 난간을 구성하는 지주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안전 난간을 설치하는 위치의 바닥 면이 고르지 않은 경우에도 지주를 연직 방향으로 세울 수 있는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난간에 완충부재가 추가된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도 12의 C-C부분을 자른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난간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안전 난간의 평면도.
도 16은 차량 운전자의 시선에서 본 본 발명에 따른 교통안전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B부분의 확대도로서 시각적 안전 요소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
도 18은 보행자의 시선에서 본 본 발명에 따른 교통안전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난간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난간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될 용어를 미리 정의한다.
차도(R)와 인도(P)가 접하는 부분에 난간이 세워지는 경우, 난간의 지주(10)가 세워지는 영역은 차도(R)와 인도(P)가 접하는 부분의 인도(P) 위 영역이 된다. 이 영역을 난간 설치 영역(A)이라고 정의한다. 통상 난간 설치 영역(A)은 인도(P)와 차도(R)의 경계선으로부터 인도(P)측으로 폭이 30cm 내지 100cm 정도 되는 영역이 된다. 이 영역에는 차도(R)와 인도(P)의 경계에 사용되는 경계석(3)이 있는 경우에는 경계석(3)이 있는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난간 설치 영역에서 종래의 난간을 설치할 때에는 난간의 지주(10)를 "차도(R)와 인도(P)의 경계선에 나란한 선"상에 배치하게 된다. 여기서 "차도(R)와 인도(P)의 경계선에 나란한 선"으로 상기 난간 설치 영역 내에 위치하고 난간 설치 영역을 2개로 분할하는 선을 "난간 설치 기준선"(4)으로 정의 한다. 직선 도로에서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난간 설치 기준선(4)이 직선이고, 곡선 주로의 경우에는 난간 설치 기준선(4)이 곡선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난간은 기본적으로 차도(R)와 인도(P)가 공존하는 도로 구간에서 인도(P)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지주(10)와 난간대(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난간에 포함되는 복수의 지주(10)들은 인접한 지주(10)들이 난간 설치 기준선(4)에 대해 서로 반대편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평면도를 기준으로 인접한 두 개의 지주(10) 사이에 설치된 난간대(20)는 상기 난간 설치 기준선(4)과 교차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에는, 차도(R) 상을 운행하는 운전자나 인도(P) 상을 보행하는 보행자의 시선 방향과 상기 난간 설치 기준선(4)이 이루는 평면도 상의 예각(제1각도)에 비해, 상기 시선 방향과 상기 난간대(20)에 설치된 시설물의 평면도 상의 평균 각도가 이루는 예각(제2각도)이 더 커서 상기 시설물 상의 표시 내용을 운전자나 보행자가 멀리서도 인식하기 쉽게 된다.
예를 들어, 제1각도가 30도가 되는 위치에 보행자나 운전자가 위치하면 보행자나 운전자는 시설물 상의 표시 내용을 인지하기 어렵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난간을 적용하여 시설물이 난간 설치 기준선(4)과 이루는 각도가 30인 경우가 되면, 제2각도가 60도가 되어 보행자나 운전자가 시설물 상의 표시 내용을 시각적으로 인식하기 쉬워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난간은 차도측은 물론 인도 측에서도 표시 내용을 멀리서도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표시내용은 물론이고, 인도 내측으로 배치된 지주가 존재하는 난간을 보행자가 보면 보행자들 스스로도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더 조심하게 된다.
한편, 난간대에 설치되는 시설물에는 차도측은 물론이고 인도 측에도 표시 내용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시설물의 표시 내용이 운행 중인 차량의 속도가 될 수도 있다. 속도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속도 감지 센서와 속도 표시 패널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 속도 감지 센서는 표시 패널과 소정 거리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도록 하고, 측정 방식은 도로면 하부에 부설된 2개 이상의 중량 감지 센서를 사용하는 방법이나, 광학적 방식의 스피드 건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 표시 패널은 숫자 표시가 가능한 것이면 어떤 것이라도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표시 패널이 난간대 설치 영역을 모두 시각적으로 막아버리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난간 뒤에 있는 어린이의 존재를 인식하기 어려워서 바람직하지 않다. 이에 상기 표시 패널을 전체적으로 투명한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투명 표시 패널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난간에 설치된 투명 표시 패널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의 단위 표시 유닛의 확대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도 4의 D-D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난간대에 고정된 표시 패널을 전체적으로 투명하게 강화 유리나 아크릴로 제작할 수 있다. 투명 표시 패널에 두 자리의 숫자만을 표시하고자 하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 영역을 구성할 수 있다. 즉, 점선으로 표시된 영역 외의 부분은 모두 투명하게 만들어진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 영역을 구성하는 단위 표시 유닛(210)에는 인접 단위 표시 유닛과의 빛 간섭 방지, 시인성(visibility) 향상 및 전면 투명판과 후면 투명판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21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212)의 전방에서 본 형상은 길이가 일방향으로 긴 육각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212)가 배치된 영역 내부에는 소정 개수의 LED 소자(211)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투명이어서 운전자나 보행자가 주변 교통 상황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인식하는데 방해되지 않으면서 표시 내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6에는 도 5에 도시된 LED 소자 배열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와 같이 LED 소자들이 배치된 경우에는 배면 방향에서는 표시 내용이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도 6과 같이 LED 소자를 빛이 투과하지 않는 기판의 양면에 배치하고 그 기판을 전면 투명판 및 후면 투명판 사이에 배치하면 전후방에서 각각 원하는 내용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기판의 양면에 LED 소자들을 각각 배치할 때에는 기판의 배명에 납땜 등의 전기적 연결지점이 형성되는 것을 고려하여 LED 소자의 설치 위치를 기판의 전면과 배면에 대해 서리 엇갈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두 개의 기판을 서로 배면이 마주하도록 배치하고 그 사이에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간격을 두거나 절연체를 배치하는 방식이 생산성 측면에서 더 나을 수 있다. LED 소자에서 발생하는 열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간격을 두고 상하 방향으로 터널이 형성되도록 하면 열의 자연 대류에 의한 배출이 원활하게 일어날 수 있어 바람직하다(도 7b 및 관련 설명 참조).
이 실시예에서도 스페이서(212)는 전면 투명판(250)과 후면 투명판(260)의 간격을 유지하는 기능과 빛이 번지는 것을 차단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아울러, 필요에 따라 스페이서(212)에 기판(213)이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7a에는 투명 표시 패널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7b에는 도 7a의 하나의 화소를 구성하는 LED 소자들의 배치의 일례를 보여주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두 자리 숫자를 표시하는 경우의 투명 표시 패널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연속적으로 배치된 LED 소자들을 구비하는 표시 패널이 사용될 수도 있다.
즉, 도 7a에 도시된 것과 같이, LED 소자들을 이용하여 화소를 구성하고 각 화소 단위의 점멸 제어 또는 색상 제어에 의해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경우에도 점선으로 표시된 영역 외의 부분은 모두 투명하게 만들어질 수 있고, 각각의 화소를 구성하는 LED 소자를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치하면 양방향에서 인식 가능한 표시 패널을 구현할 수 있다. 앞선 실시예에서와 같이 각각의 화소를 구성하는 LED 소자들은 기판의 전면과 배면에 대해 서로 위치가 엇갈리게 하나의 기판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측에만 LED 소자들이 배치된 기판 두 장이 서로 배면을 마주하고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 LED 소자와 전원 간에는 가는 전선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특징을 가지는 안전 난간의 시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구성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안전 난간을 구성하는 지주(10)들의 위치관계와 난간대(20)의 길이 변화를 보여주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시스템의 지주(10) 사이의 거리 및 위치 관계에 따라 필요한 난간대(20) 또는 시설물의 길이가 상이하게 달라질 수 있고, 실제의 시공에 있어서 난간대(20)나 시설물이 난간 설치 기준선(4)에 대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필요성이 발생한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안전 난간을 구성하는 지주(10)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안전 난간을 구성하는 요소 중 지주(10)들은 본체와 일방향 회전 연결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1)는 지면에 대해 연직 방향으로 세워지는 부재이다.
상기 일방향 회전 연결부(15)는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측방향 회전 연결부(12)와, 상기 측방향 회전 연결부에 배치되어 이웃한 지주(10)들 사이의 난간대(20)가 고정되는 고정부(13)를 포함한다.
상기 측방향 회전 연결부(12)를 구비하도록 하여 이웃한 지주(10)들 사이의 난간대(20)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장 상황에 맞추어 시공 시에 원하는 각도로 난간대(20) 및 난간대에 고정되는 시설물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안전 난간을 구성하는 지주(10)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항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안전 난간을 구성하는 요소 중 지주(10)들은 본체와 2방향 회전 연결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1)는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지면에 대해 연직 방향으로 세워지는 부재이다.
상기 2방향 회전 연결부(25)는 측방향 회전 연결부(12)와 상하 방향 회전 연결부(23)를 포함한다. 상기 측방향 회전 연결부(12)는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상기 본체 상에 연결된 것이다. 상기 상하 방향 회전 연결부(23)는 상기 측방향 회전 연결부(12)에 고정된 것으로, 이웃한 지주(10)들 사이의 난간대(20)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부재이다. 즉, 상기 2방향 회전 연결부(25)의 측방향 회전 연결부(12)의 회전축(제1회전축)은 상하 방향 회전 연결부(23)의 회전축(제2회전축)과 교차(바람직하게는 직교)하게 된다.
인접한 지주(10) 사이에 설치되는 난간대(20)는 상기 2방향 회전 연결부(25)의 상하 방향 회전 연결부(2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2방향 회전 연결부(25)를 구비하도록 하여 이웃한 지주(10)들 사이의 난간대(20)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장 상황에 맞추어 시공 시에 원하는 각도로 난간대(20) 및 난간대에 고정되는 시설물이 설치될 수 있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안전 난간을 설치하는 위치의 바닥 면이 고르지 않은 경우에도 지주(10)를 연직 방향으로 세울 수 있는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경계석(3)이나 인도(P)의 지주(10) 설치 위치의 지면이 고르지 않은 경우에는 지주(10)의 하단에 힌지 형태의 받침대를 설치한다. 지주(10)와 힌지 결합되는 받침대를 설치하여 지주(10)를 연직 방향으로 직립하도록 한 다음 난간대(20)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시공하면, 지면의 경사에도 대응하여 시공할 수 있게 되어 바닥 면이 고르지 못한 경우에도 시공을 위해 바닥 면을 고르게 하는 공사를 할 필요가 없어서 시공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시공 후에는 힌지 부분을 용접하는 등으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난간에 완충부재가 추가된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13에는 도 12의 C-C부분을 자른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만약에 있을지 모르는 난간 지주(10)와 보행자의 충돌 시에도 안전을 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안전 난간의 지주(10)에는 도 12 및 도 13과 같이 완충 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 부재는 지주(10)에 끼워 맞춰질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지는 것이 시공시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지주(10)의 본체 상부(11a)에는 지주(10)의 본체 상부(11a)를 덮는 캡(16)이 씌워질 수 있다. 상기 캡(16)의 소재는 스펀지나 실리콘 등 충격을 흡수하는 소재가 바람직하다.
또한, 여러 개의 지주(10) 중에서 인도(P) 내측에 설치되는 지주(10)들에는 측면에 측면 완충 부재(17)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측면 완충 부재(17)는 지주(10)의 본체에 형성된 홈(11b)에 끼워 맞춰지는 식으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시공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 여기서, 상기 측면 완충 부재와 상기 지주의 본체는 상호 결합되어 상기 지주의 수평 단면이 원형 폐곡선을 형성하고 있다. 측면 완충 부재와 지주(10) 간의 끼워 맞춰지는 홈과 돌기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완충부재가 덮는 면은 도 13의 단면도에서 지주(1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180도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효과적인 완충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난간대(20) 상에 설치되는 시설물은 안전 표지판일수 있고, 안전 표지판 상에 표시 내용은 표지판의 평면에 대해 운전자나 보행자의 시선이 기울어진 경우에도 내용의 인식이 쉽도록 좌우 방향의 비율이 상하 방향의 비율에 비해 더 크게 인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난간대(20)와 난간 설치 기준선(4)이 이루는 각도 중 예각은 5도 내지 45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5도 미만이 되면 종래의 경우(0도인 경우)에 비해 운전자나 보행자가 표시 내용을 빠르게 인식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고, 45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운전자나 보행자의 시야가 가려지는 사각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난간대에 설치되는 시설물의 표시 내용이 중앙에만 위치하는 경우에는 사각이 형성되어도 표시 내용의 인지에는 문제가 없을 수 있어 표시 내용에 따라 45도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난간대(20)에 설치되는 시설물은 아크릴이나 강화 유리와 같은 투명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에는 안전 난간에 가려진 인도(P) 상의 어린이의 존재를 운전자가 인식하고 미리 조심하여 운전하는데 도움이 된다.
도 1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난간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5에는 도 14에 도시된 안전 난간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도(P) 내측에 위치하는 지주(10)들만, 또는 차도(R)측에 위치하는 지주(10)들만을 인도(P) 상에 고정된 형태로 설치하고 그 중간에 위치하는 지주(50)들은 힌지 지지점으로의 기능만 수행하는 것으로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전체적인 재료비를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고 시공기간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는 본 발명에 따른 기본적인 형태의 안전 난간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안전 난간을 이용한 교통안전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하는 교통안전 시스템은 앞서 설명한 안전 난간의 구성에 더하여 첫 번째로 시각적 안전요소를 강화하고 두 번째로 청각적 안전요소를 더 포함한다.
먼저, 첫 번째로 시각적 안전 요소가 강화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에는 차량 운전자의 시선에서 본 본 발명에 따른 교통안전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7에는 도 16의 B부분의 확대도로서 시각적 안전 요소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8에는 보행자의 시선에서 본 본 발명에 따른 교통안전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시각적 안전 요소로 횡단보도에 어린이가 건너기 시작할 시점에 미리 잘 보이는 보행자 형상 패널이 움직이기 시작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경각심을 한 박자 빠르게 일깨우는 보행자 형상 패널 유닛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횡단보도와 인접하는 부분에 성인 정도 크기의 보행자 형상 패널을 추가로 설치하고, 이 보행자 형상 패널이 보행 신호 또는 멈춤 신호에 따라 위치나 자세가 변화하도록 한다.
즉, 보행자 형상 패널 유닛(평면도는 도 1의 B 참조)은 보행자 형상 패널, 그 제어부 및 차단 펜스(70)를 포함한다.
상기 보행자 형상 패널(60)은 횡단보도에 접한 인도(P) 상에 설치되고 차도(R)측을 향하여 소정 간격 전진하거나 원위치로 후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는 보행자 형상 패널 전체가 움직이는 방식이 아니라 자세가 변경되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보행자 형상 패널의 팔 부분만 앞으로 펼쳐진다거나, 공을 들고 있는 사람의 형상에서 공과 함께 공을 든 팔 부분만 앞으로 펼쳐지는 방식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지주(10)의 일측에 설치된 보행자 형상 패널(60), 상기 보행자 형상 패널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 경고용 아암, 상기 횡단보도의 보행신호를 포함한 입력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보행자 형상 패널로부터 상기 경고용 아암의 회동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보행자 형상 패널(60)을 둘러싸는 차단 펜스(70)를 포함하여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별도로 도시하지 않음)는 이러한 보행자 형상 패널(60)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것으로 횡단보도의 신호등의 신호를 입력 받아 작동 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스위치(별도로 도시하지 않음)가 노출되어 있어서, 인도(P)상의 어린이등 보행자가 누르는 경우(필요에 의해서 또는 장난으로)에는 운행 중인 차량들에 경고를 주는 의미에서 보행자 형상 패널이 차도(R)측으로 이동 또는 자세가 변경되도록 만들어질 수도 있다. 또는 보행자 형상 패널에 팔 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교통 신호나 별도의 동작 스위치에 의한 입력 신호에 따라 팔 부분이 펴지는 동작이 구현되도록 제어부에 의한 제어가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차단 펜스(70)는 상기 보행자 형상 패널이 움직이는 인도(P)상의 영역을 둘러싸는 것으로 패널의 움직일 때 보행자와 부딪히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시각적 안전 요소를 추가함으로써, 어린이 보호구역과 같이 보행자 안전이 크게 요구되는 구역에 사용되어, 일반적으로 어린이들은 키가 작어서 난간에 가려져 잘 보이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어린이들이 차도(R)를 횡단하기 시작할 때 운전자가 보행신호라는 것을 시각적으로 운전자에게 한 박자 먼저 보여줌으로써 운전자가 미리 경각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차량이 진행하는 차도(R)에 접한 인도(P)에서 어린이들이 부주의하게 질주하는 경우에 신호가 바뀌는 것을 예단하고 차도(R)로 어린이가 갑자기 튀어 나가는 것과 같은 위험 상황에서도 본 발명의 교통안전 시스템은 운전자의 경각심을 한 박자 빨리 일깨워 안전사고를 미리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난간은 어린이 보호구역과 같은 안전이 고도로 요구되는 구역에 적용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 다음 두 번째로 청각적 안전 요소를 추가하는 내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청각적 안전 요소는 횡단보도에 인접한 곳에서 인도(P) 상의 지주(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람이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 경우 이를 인식할 수 있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인식 여부에 따라 차도(R) 방향으로 경고음을 발신하는 스피커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횡단보도에 보행자가 다가가기만 해도 경고음을 차도(R) 방향으로 발신하도록 하여 운전자의 경각심을 고조시키는 기능을 한다.
여기의 청각적 안전 요소는 다른 시각적 안전 요소와 결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보행자가 횡단보도에 인접하게 다가간 것을 인식하는 센서를 공유하고, 센서의 출력에 따라 운전자의 청각을 자극하는 경고음과 함께 LED 등을 이용한 경고등이 켜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짐이 자명하다. 특히, 각 지주(10) 간의 간격과 그에 따른 시설물의 길이는 도면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은 언급된 부재 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부재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각부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본 발명을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방향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P: 인도 R: 차도
3: 경계석 4: 난간 설치 기준선
10, 50: 지주 20: 난간대
11: 본체 12: 측방향 회전 연결부
13: 고정부 15: 일방향 회전 연결부
20: 난간대
23: 상하 방향 회전 연결부 25: 2방향 회전 연결부
60: 보행자 형상 패널 70: 펜스
200: 투명 표시 패널 210: 단위 표시 유닛
211: LED 소자 212: 스페이서
213: 기판 216: 기판 사이 공간
250: 전면 투명판 260: 후면 투명판

Claims (9)

  1. 차도(R)와 인도(P)가 공존하고 안전이 고도로 요구되어 차량 속도의 상한이 제한되는 어린이 보호구역 내의 도로 구간에서 인도(P)상에 설치되고 지주(10)와 난간대(20)를 포함하는 안전 난간으로서,
    인도(P)와 차도(R)의 경계선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난간 설치 기준선(4)에 대해, 인접한 지주(10)가 상기 난간 설치 기준선(4)의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고, 평면도를 기준으로 인접한 두 개의 지주(10) 사이에 설치된 난간대(20)가 상기 난간 설치 기준선(4)과 교차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난간대(20)에는, 차도(R) 상을 운행하는 운전자나 인도(P) 상의 보행하는 보행자의 시선 방향과 상기 난간 설치 기준선(4)이 이루는 평면도 상의 예각(제1각도)에 비해, 상기 시선 방향과 상기 난간대(20)에 설치된 시설물의 평면도 상의 평균 각도가 이루는 예각(제2각도)이 더 커서 상기 시설물 상의 표시 내용을 운전자나 보행자가 멀리서도 인식하기 쉽고,
    상기 지주 중 난간 설치 기준선을 기준으로 인도 내측에 설치된 지주들에는 완충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완충 부재는,
    지주(10)의 본체 상부(11a)에서 지주(10)의 본체 상부(11a)를 덮는 스펀지나 실리콘을 포함하는 충격 흡수 소재 중에서 선택된 소재로 만들어진 캡(16)과,
    여러 개의 지주(10) 중에서 인도(P) 내측에 설치되는 지주(10)들의 측면에 상기 지주(10)의 본체에 형성된 연직 방향의 긴 홈(11b)에 단부가 끼워 맞춰지는 방식으로 설치되고, 지주의 측면을 덮는 부분이 단면도에서 지주(1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180도 이상이 되며, 스펀지나 실리콘을 포함하는 충격 흡수 소재 중에서 선택된 소재로 만들어지는 측면 완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 완충 부재와 상기 지주의 본체는 상호 결합되어 상기 지주의 수평 단면이 폐곡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난간.
  2. 차도(R)와 인도(P)가 공존하고 안전이 고도로 요구되어 차량 속도의 상한이 제한되는 어린이 보호구역 내의 도로 구간에서 인도(P)상에 설치되고 지주(10)와 난간대(20)를 포함하는 안전 난간으로서,
    인도(P)와 차도(R)의 경계선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난간 설치 기준선(4)에 대해, 인접한 지주(10)가 상기 난간 설치 기준선(4)의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고, 평면도를 기준으로 인접한 두 개의 지주(10) 사이에 설치된 난간대(20)가 상기 난간 설치 기준선(4)과 교차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난간대(20)에는, 차도(R) 상을 운행하는 운전자나 인도(P) 상의 보행하는 보행자의 시선 방향과 상기 난간 설치 기준선(4)이 이루는 평면도 상의 예각(제1각도)에 비해, 상기 시선 방향과 상기 난간대(20)에 설치된 시설물의 평면도 상의 평균 각도가 이루는 예각(제2각도)이 더 커서 상기 시설물 상의 표시 내용을 운전자나 보행자가 멀리서도 인식하기 쉽고,
    상기 시설물은 상기 난간대에 부착된 투명 표시 패널이고,
    상기 투명 표시 패널은,
    전면 투명판;
    상기 전면 투명판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후면 투명판;
    상기 전면 투명판 및 상기 후면 투명판의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
    상기 스페이서, 상기 전면 투명판 및 상기 후면 투명판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 배치된 복수의 LED 소자; 및
    상기 복수의 LED 소자들이 외측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전면 투명판과 상기 후면 투명판 사이에 서로 배면을 마주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두 개의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두개의 기판 사이에는 상하 방향으로 공기 통로가 형성되어 자연대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난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10)는,
    지면에 대해 연직 방향으로 세워지는 본체;
    일단부는 상기 지주(1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난간대(20)에 연결되며, 상기 지주(10)에 연결된 일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타단부는 연직 방향으로 연장된 제1회전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동시에 상기 제1회전축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회전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2방향 회전 연결부(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난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10)들 중 난간 설치 기준선(4)에 대해 일측에 위치하는 지주들만을 인도 상의 지면에 고정하여 설치하고, 그 반대편의 지주들은 상기 난간대와 힌지 결합된 상태로 하단이 지상에 닿은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난간.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 설치 기준선(4)과 상기 난간대가 이루는 각도 중 예각은 5도 내지 4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난간.
  6. 삭제
  7. 차도(R)와 인도(P)가 공존하고 안전이 고도로 요구되는 어린이 보호구역 또는 노인 보호구역 내의 도로 구간에서 인도(P)측에 설치되고 지주(10)와 난간대(20)를 포함하는 안전 난간을 이용한 교통안전 시스템으로서,
    인간의 시각과 청각을 자극하여 안전도를 높이기 위한 시각적 안전 요소와 청각적 안전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시각적 안전 요소는,
    인도(P)와 차도(R)의 경계선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난간 설치 기준선(4)에 대해, 인접한 지주(10)가 상기 난간 설치 기준선(4)의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고, 평면도를 기준으로 인접한 두 개의 지주(10) 사이에 설치된 난간대(20)가 상기 난간 설치 기준선(4)과 교차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난간대(20)에는, 차도(R) 상을 운행하는 운전자나 인도(P) 상의 보행하는 보행자의 시선 방향과 상기 난간 설치 기준선(4)이 이루는 평면도 상의 예각(제1각도)에 비해, 상기 시선 방향과 상기 난간대(20)에 설치된 시설물의 평면도 상의 평균 각도가 이루는 예각(제2각도)이 더 커서 상기 시설물 상의 표시 내용을 운전자나 보행자가 멀리서도 인식하기 쉽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청각적 안전 요소는
    상기 지주(10)가 설치되는 인도(P) 중 횡단보도에 인접한 지주(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람이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 경우 이를 인식할 수 있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인식 여부에 따라 차도(R) 방향으로 경고음을 발신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지주 중 난간 설치 기준선을 기준으로 인도 내측에 설치된 지주들에는 완충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완충 부재는,
    지주(10)의 본체 상부(11a)에서 지주(10)의 본체 상부(11a)를 덮는 스펀지나 실리콘을 포함하는 충격 흡수 소재 중에서 선택된 소재로 만들어진 캡(16)과,
    여러 개의 지주(10) 중에서 인도(P) 내측에 설치되는 지주(10)들의 측면에 상기 지주(10)의 본체에 형성된 연직 방향의 긴 홈(11b)에 단부가 끼워 맞춰지는 식으로 설치되고, 지주의 측면을 덮는 부분이 단면도에서 지주(1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180도 이상이 되며, 스펀지나 실리콘을 포함하는 충격 흡수 소재 중에서 선택된 소재로 만들어지는 측면 완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 완충 부재와 상기 지주의 본체는 상호 결합되어 상기 지주의 수평 단면이 폐곡선을 형성하며,
    상기 시설물은 상기 난간대에 부착된 투명 표시 패널이고,
    상기 투명 표시 패널은,
    전면 투명판;
    상기 전면 투명판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후면 투명판;
    상기 전면 투명판 및 상기 후면 투명판의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
    상기 스페이서, 상기 전면 투명판 및 상기 후면 투명판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 배치된 복수의 LED 소자; 및
    상기 복수의 LED 소자들이 외측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전면 투명판과 상기 후면 투명판 사이에 서로 배면을 마주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두 개의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두개의 기판 사이에는 상하 방향으로 공기 통로가 형성되어 자연대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안전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 안전 요소는,
    상기 지주(10)의 일측에 인도(P) 상에서 차도(R)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보행자 형상 패널(60);
    상기 인도(P)의 보행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보행자 형상 패널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보행자 형상 패널(60)을 둘러싸는 차단 펜스(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안전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 안전 요소는,
    상기 지주(10)의 일측에 설치된 보행자 형상 패널(60);
    상기 보행자 형상 패널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 경고용 아암;
    상기 횡단보도의 보행신호를 포함한 입력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보행자 형상 패널로부터 상기 경고용 아암의 회동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보행자 형상 패널(60)을 둘러싸는 차단 펜스(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안전 시스템.
KR1020150031123A 2015-03-05 2015-03-05 안전 난간 및 이를 이용한 교통안전 시스템 KR101600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123A KR101600002B1 (ko) 2015-03-05 2015-03-05 안전 난간 및 이를 이용한 교통안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123A KR101600002B1 (ko) 2015-03-05 2015-03-05 안전 난간 및 이를 이용한 교통안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0002B1 true KR101600002B1 (ko) 2016-03-14

Family

ID=55541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1123A KR101600002B1 (ko) 2015-03-05 2015-03-05 안전 난간 및 이를 이용한 교통안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00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102Y1 (ko) * 2005-07-29 2005-10-20 (주) 경화엔지니어링 도로용 볼라드 구조
KR20080004624U (ko) * 2007-04-11 2008-10-15 이용승 회전식 스테인리스 난간 연결구
KR20090013743A (ko) * 2008-12-30 2009-02-05 이정환 입상주 충격보호가드
KR20130132367A (ko) * 2013-11-14 2013-12-04 박경희 방음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102Y1 (ko) * 2005-07-29 2005-10-20 (주) 경화엔지니어링 도로용 볼라드 구조
KR20080004624U (ko) * 2007-04-11 2008-10-15 이용승 회전식 스테인리스 난간 연결구
KR20090013743A (ko) * 2008-12-30 2009-02-05 이정환 입상주 충격보호가드
KR20130132367A (ko) * 2013-11-14 2013-12-04 박경희 방음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10120B1 (es) Paso de peatones con detector y avisador de presencia.
KR101228669B1 (ko) 횡단 보도의 보행자 안전 구조물
KR100777657B1 (ko)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KR102194543B1 (ko) 복합 신호등 장치
KR101744282B1 (ko) 보행 안전용 사각지대 투영 안내시스템
KR101923675B1 (ko) 전동식 진입차단바를 이용한 빗물펌프장 예경보시스템
WO2015015264A1 (en) Improved road crossing system for pedestrians and cyclists
JP2015232204A (ja) 道路トンネルの内装構造
KR20190061602A (ko) 차량 통제용 스마트 안내 시스템
KR101600002B1 (ko) 안전 난간 및 이를 이용한 교통안전 시스템
KR100997484B1 (ko) 횡단보도 교통 신호등과 이를 이용한 스쿨존 교통신호 조경물
KR200452363Y1 (ko) 광고 효과와 보행자 안전을 겸한 횡단보도용 구조물
KR101166683B1 (ko) 야간 통행의 안전성과 친환경이 고려된 난간
KR101960700B1 (ko) 시인성이 향상된 안전 펜스
KR20150146317A (ko) 스크린벨트 차단장치
KR20200034574A (ko) 승강형 볼라드를 이용한 교통 안전 시스템
KR101229884B1 (ko) 스쿨존 로봇 신호등
WO2019199123A1 (ko) 횡단보도 안전 보행 시스템
KR101300244B1 (ko) 출몰 개폐형 차단기
KR20080056698A (ko) 도로 표면에 설치한 신호등에 의한 교통 제어 방법
KR102315187B1 (ko) 등대형 교통신호등 및 그를 포함하는 등대형 교통시스템
CN113605277A (zh) 一种用于市政桥梁限高限行的智能系统
KR101073876B1 (ko) 중앙분리대용 횡단보도 보행자 표시장치
CN206941323U (zh) 行人过街安全结构
JP3182546U (ja) 透過式死角確認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多方向死角確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