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2367A - 방음벽 - Google Patents

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2367A
KR20130132367A KR1020130138018A KR20130138018A KR20130132367A KR 20130132367 A KR20130132367 A KR 20130132367A KR 1020130138018 A KR1020130138018 A KR 1020130138018A KR 20130138018 A KR20130138018 A KR 20130138018A KR 20130132367 A KR20130132367 A KR 20130132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ew
soundproof wall
beams
angle
sound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8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6563B1 (ko
Inventor
박경희
Original Assignee
박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희 filed Critical 박경희
Priority to KR1020130138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6563B1/ko
Publication of KR20130132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2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6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6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7Plate-lik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9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porous surfaces, e.g. concrete with porous fi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오토바이, 열차 등 차량의 소음을 차단하기 위하여 도로, 고속도로, 철도 주변 등에 시설되는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한편, 방음벽이 도로 주변의 양측에서 설치될 경우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좌우 조망을 확보하기 어려워서 심리적으로 답답함을 안고 운전에 임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며 심한 경우에는 소위 터널 증후군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음벽{Soundproofing walls}
본 발명은 소음을 흡수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방음벽은 도로 혹은 철도에서 차량의 소음을 흡수하도록 도로변에 설치되는 시설물이다.
그런데 방음벽이 도로 혹은 철도 주변의 양측에서 길게 설치될 경우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좌우 조망을 확보하기 어렵게 되고 이에 따라서, 심리적으로 답답하고 지루함을 느끼며 운전에 임하게 되므로 안전운전에 지장을 초래할 가능성을 안고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소위 터널 증후군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방음벽 설치구간이 증가할 수록 도로 또는 철로에서는 장시간 외부 경관을 볼 수 없는 구간이 늘어나는 것으로 지루함과 함께 답답함을 느끼게 되는 것이며, 방음벽과 인접한 곳에서는 높은 방음벽에 의해 차단되는 경관의 차단으로 제기되는 민원이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종래술에는, 일정 거리마다 투명판넬을 설치하거나 또는 특정 높이에는 투명한 방음판이 연속적으로 설치하고 나머지는 흡음판넬을 설치하여 흡음은 못하나 소리를 반사시키는 투명판넬에 의하여 시야를 확보하고 흡음판넬이 흡음을 하도록 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흡음판넬의 형상 또는 색상등의 규칙적인 배열에 의하여 그 외관을 개선하고자 시도하고 있으나 이는 외부 경관을 볼 수 없는 것은 마찬가지로 아주 적은 효과만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등록실용신안 제451895호(2011.01.11)가 제공되고 있는 바 도 1의 예시에서,
일정 간격으로 입설되는 제1 H빔과;
인접한 상기 제1 H빔(1)의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제1 H빔을 상호 연결하는 연장선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입설되는 제2 H빔과;
상기 제1 및 제2 H빔의 사이에 삽입 장착되며, 인접한 도로의 차량 진행방향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는 흡음의 기능을 가진 흡음판넬과;
상기 흡음판넬이 장착되지 않은 부분에 장착되며, 상기 제1 및 제2 H빔(1, 2)의 사이에 삽입되는 투명한 투명판이 중앙에 장착되는 창호의 형태를 가진 투명판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설치구조를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은, 차량 등의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도로변의 시야 및 전망을 확보하도록 하며, 또한 효과적을 흡음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시설되는 방음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더하여, 운전자에게 운행방향으로부터 관찰되는 도로의 외부 전망을 효과적으로 그리고 양호하게 확보하도록 설치되는 방음벽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음벽은,
동일하게 이격되어 입설되는 전방 에이치빔과;
인접한 상기 전방 에이치빔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전방 에이치빔 사이를 잇는 연장선보다 후방에 세워지는 후방 에이치빔과;
상기 전방, 후방 에이치빔의 사이에 배치되며, 차량 진행방향과 마주보는 면에 장착되는 투명판넬과;
상기 면과 다른 면에 장착되는 흡음판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등의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도로변의 시야 및 전망을 확보하도록 하며, 또한 효과적으로 흡음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을 정하여 시설되는 방음벽이 제공된다.
이에 더하여, 운전자에게 운행방향으로부터 관찰되는 도로의 외부 전망을 효과적으로 그리고 양호하게 확보하도록 설치되는 방음벽이 제공된다.
도 1은 전체를 보인 일 실시의 사시도
도 2는 다른 실시의 사시도
도 3은 A 에이치빔을 위에서 보인 평면도; B 및 C는 상기 에이치빔의 허리를 꺽어 각 변화를 시도하여 보인 예시도;
도 4는 상기 에이치빔의 분해된 평면 및 정면도
도 5는 상기 에이치빔의 조립된 평면 및 정면도
도 6은 A 에이치빔의 다른 실시를 보인 분해사시도; B 상기 에이치빔을 위 평면에서 보인 예시도
도 7은 상기 에이치빔을 위 평면에서 보인 A 분해도; B 조립도;
도 8은 델리네이터부가 설치된 예시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A 와이어의 진동을 보인 예시도; B 와이어를 고정하는 고정부의 예시를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 구성을 상세하게 개시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예시는,
등간격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전방 에이치빔(10)과;
인접한 상기 전방 에이치빔(10)의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전방 에이치빔(10)을 상호 연결하는 연장선보다 후방 즉, 외측에 위치하도록 세워져 설치되는 후방 에이치빔(20);이 지그재그로 배치되고,
인접한 도로의 차량 진행방향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되, 상기 전방 및 후방 에이치빔(10, 20)의 사이에 삽입되는 투명한 투명판(41)이 중앙에 장착되는 창호의 형태를 가진 투명판넬(40) 및,
상기 투명판넬(40)이 장착되지 않은 부분에 장착되며, 흡음의 기능을 가진 흡음판넬(30)을 포함하여 설치되는 방음벽을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상기 에이치빔은 영문자 H 형태를 닮은 빔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운전자가 볼수 있는 시야는 진행 속도의 제곱에 반비례한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시속 100km의 속도로 주행하는 경우 운전자의 시야는 40°로서 정면에서 일측으로 20°라는 연구결과가 있다. 따라서 차량의 평균속도를 고려하여 그 시야각과 직교하는 상기 투명판넬(40)의 각도를 형성하고 상기 흡음판넬(30)은 시야에서 최소한의 각도로 하거나, 전방 에이치빔(10)에 가려지도록 형성하면 마치 투명한 투명판넬(40)만 연속으로 배치된 것으로 보인다. 즉, 운전자의 시야에 외부 경관의 거의가 노출되는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운전자는 기존의 방음벽에 의하여 느끼게 되는 답답함과 지루함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인접한 투명판넬(40)에서 반사되는 소음이 상기 흡음판넬(30)에 전달되어 흡음효과를 높여준다.
다음, 전술된 바를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구성을 도 2 내지 도 7의 예시와 함께 다뤄보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5의 실시에서 전방 및 후방 에이치빔(10, 20)은,
흡음판넬(또는 투명판넬)의 테두리가 끼워지는 빔 일단부(11) 및 투명판넬(또는 흡음판넬)의 테두리가 끼워지는 빔 타단부(12)를 포함하고,
상기 빔 일단부(11)와 상기 빔 타단부(12)는 분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이격된 곳에 배치되며, 상기 빔 일단부(11)와 상기 빔 타단부(12)를 연결하여 일체가 되도록 하는 각도 조절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 및 도 5의 도시에서 상기 각도 조절부(13)는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빔 일단부 및 빔 타단부(11, 12)에 각각 형성된다. 빔 일단부의 각도 조절부(13a)와 빔 타단부의 각도 조절부(13b)는 서로 위 아래에 배치되며,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멍에 각도조절봉(13c)이 관통되어 끼워지며 고정나사 등으로 단단히 조여져서 각도가 틀어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와같은 과정을 통하여 도 3 B 또는 도 3 C의 예시와 같은 각도(angle a, angle b)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와 같이 각도 조절부(13)는 그 조절되는 각도가 정형화 되도록 하여서 시공자가 더욱 정밀하고 신속하게 설치작업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도면의 예시에서, 빔 일단부의 각도 조절부(13a) 및 빔 타단부의 각도 조절부(13b)에 형성되는 구멍은 다각형의 형태를 취하며(도면의 예시는 5각형상을 취하였다.), 각도조절봉(13c) 또한 상기 다각형의 형태에 대응하는 다각형을 취한다. 상기 각도조절봉(13c)을 상기 빔 일단부의 각도 조절부(13a) 및 빔 타단부의 각도 조절부(13b)에 맞춰끼우면 절대로 그 각을 벗어날 수 없도록 고정된다.
가령, 도 6 B의 예시에서 시공자는 빔 일단부 각도 조절부(13a)의 면(4)와 빔 타단부 각도 조절부(13b)의 면(3)을 일치시키거나 다른 면(1, 2, 3, 4)들의 조합을 각각 선택하여서 도 7 B와 같이 원하는 시공 각도를 얻을 수 있다.
이에따라 다양한 환경의 시공현장에 최적화된 각도를 찾아서 정밀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수많은 에이치빔을 설치하면도 각 에이치빔이 모두 필요로하는 동일, 유사 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5각형 보다는 6각형이, 6각형 보다는 7각형이 보다 많은 정형화된 각도의 조합을 얻을 수 있다. 즉, 다각형의 갯수가 증가할 수록 보다 많은 각도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는, 야간에 자동차의 빛을 재귀반사하여서 운전자에게 길을 안내하고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델리네이터(51)가 장착된 델리네이터부(50)가 구성된 예시이다.
전방 및 후방 에이치빔(10, 20)이 서로 지그재그로 배치되므로 상기 전방 에이치빔(10)만을 서로 와이어(52)로 연결하여서 도 8의 예시와 같은 빨래줄 형태의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52)는 그 중간 중간이 상기 전방 에이치빔(10)의 고정부(53)에 고정된다.
도 9 B의 도시는 상기 고정부(53)에 관한 한 예시를 보여준다. 상기 고정부(53)는 상기 와이어(52)가 통과하여 꿰어지는 고리형태의 고정링(53r) 및 상기 고정링(53r)을 상기 전방 에이치빔(10)에 부착시키는 부착부(53f)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델리네이터는 상기 와이어에 매달리듯이 고정된다.
그리고 선행하여 지나간 차량이나 자연의 풍력, 진동에 의하여 상기 델리네이터(51)는 도 9 A의 예시처럼 수평(h)에서 상하로 흔들리거나(51a, 51b) 주기적으로 진동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흡음판넬(30) 및 투명판넬(40)은 비스듬하게 놓여 배치되므로 상기 델리네이터(51)가 진동을 해도 접촉하지 않는다.
움직이는 불빛은 사람의 시야에 훨씬 인지가 잘 되는 점을 고려할 때, 운전자는 야간에 진동하는 델리네이터(51)를 보다 빨리, 확실하게 인식하여서 주의를 기울일 수 있는 것이다.
10 전방 에이치빔
13 각도 조절부
20 후방 에이치빔
30 흡음판넬
40 투명판넬

Claims (3)

  1. 전방 에이치빔 및 후방 에이치빔이 서로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전방 및 후방 에이치빔에 고정되는 흡음판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및 후방 에이치빔에 고정되는 투명판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치빔은, 흡음판넬의 테두리가 끼워지는 빔 일단부 및 투명판넬의 테두리가 끼워지는 빔 타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KR1020130138018A 2013-11-14 2013-11-14 방음벽 KR101526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018A KR101526563B1 (ko) 2013-11-14 2013-11-14 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018A KR101526563B1 (ko) 2013-11-14 2013-11-14 방음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2367A true KR20130132367A (ko) 2013-12-04
KR101526563B1 KR101526563B1 (ko) 2015-06-12

Family

ID=49981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8018A KR101526563B1 (ko) 2013-11-14 2013-11-14 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65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002B1 (ko) * 2015-03-05 2016-03-14 주식회사 진명 안전 난간 및 이를 이용한 교통안전 시스템
KR20210007432A (ko) 2019-07-11 2021-01-20 주식회사 유경시스템 공기정화방음벽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091Y1 (ko) * 2001-03-09 2001-10-06 박춘근 투명 방음판용 지지 후레임
KR101012192B1 (ko) * 2008-11-21 2011-02-08 양필규 방음판넬
KR200451895Y1 (ko) * 2008-11-29 2011-01-17 양필규 방음벽 설치구조
KR101062938B1 (ko) * 2010-09-20 2011-09-06 에스에이 주식회사 다수 프레임이 결합된 투명흡음판 프레임 장착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002B1 (ko) * 2015-03-05 2016-03-14 주식회사 진명 안전 난간 및 이를 이용한 교통안전 시스템
KR20210007432A (ko) 2019-07-11 2021-01-20 주식회사 유경시스템 공기정화방음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6563B1 (ko) 2015-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5769B1 (ko) 투명 방음판에서의 소음 흡수 및 소멸 가능한 투명 방음판 프레임
KR200451895Y1 (ko) 방음벽 설치구조
KR20130132367A (ko) 방음벽
KR20150056126A (ko) 도로용 방음벽의 설치구조
KR101012192B1 (ko) 방음판넬
KR101526562B1 (ko) 투명판넬 및 흡음판넬을 포함하는 방음벽
KR101528498B1 (ko) 방음벽
CN213013985U (zh) 一种耐候钢声屏障
CN209760005U (zh) 一种城市交通高架桥声屏障
KR101643750B1 (ko) 가드레일을 이용한 방음벽
JP3655856B2 (ja) 防音装置および防音装置を備えた防音壁
KR200429276Y1 (ko) 방음벽 설치구조
KR101352774B1 (ko) 조립식 터널용 방음벽
KR20110085711A (ko) 도로주행 주의환기를 위한 요철
JP3131624U (ja) 透光型遮音壁
KR100542737B1 (ko) 도로의 방음벽 친환경 설치구조
CN209907189U (zh) 一种桥梁的护栏结构
JP2005098066A (ja) 道路用防眩板
KR101457015B1 (ko) 방음차폐휀스
KR200318256Y1 (ko) 중앙분리대용 차광판 고정구
KR20100093407A (ko) 가변형 방음판
KR200262212Y1 (ko) 방음기능이 구비된 중앙분리대
JP3022277U (ja) 道路用パネル
KR101001929B1 (ko) 문양의 고정 및 이탈을 방지하는 수단이 구비된 투명방음판
KR100187916B1 (ko) 방현망 겸용 방음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