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2192B1 - 방음판넬 - Google Patents

방음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2192B1
KR101012192B1 KR1020080116526A KR20080116526A KR101012192B1 KR 101012192 B1 KR101012192 B1 KR 101012192B1 KR 1020080116526 A KR1020080116526 A KR 1020080116526A KR 20080116526 A KR20080116526 A KR 20080116526A KR 101012192 B1 KR101012192 B1 KR 101012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proof
sound
road
panel
trans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6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7469A (ko
Inventor
양필규
Original Assignee
양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필규 filed Critical 양필규
Priority to KR1020080116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2192B1/ko
Publication of KR20100057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7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2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2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음판넬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도로벽을 따라 설치되는 방음벽이 흡음을 위한 구조일 경우 도로 인근지역과 시야가 차단되어 운행하는 운전자 또는 도로 밖의 사람들에게 시야가 막히는 답답함을 주며 주변 경관을 해치게되며, 투명한 반사방음벽을 설치할 경우 이러한 경관의 문제는 해소되나 소음은 도로 내에서 더욱 심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도로변에 일정간격으로 입설되는 H빔의 사이에 삽입 장착되어 흡음 또는 소리를 반사하도록 하는 방음판넬에 있어서;
양측 끝단은 상기 H빔의 일측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두 개의 삽입부와;
상기 양측 삽입부의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되 수평단면이 동일하도록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어 최고 돌출된 부분을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경사면과;
상기 제1 또는 제2 경사면 중 일 면에 형성되는 통상의 흡음을 위한 방음판넬 구조를 가지는 흡음부와;
상기 제1 또는 제2 경사면 중 상기 흡음부가 형성되지 않은 면에는 창틀의 구조를 가지고 투명 방음판이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투명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판넬에 관한 것이다.
방음판넬

Description

방음판넬{The soundproof pannel}
본 발명은 방음판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효과적으로 흡음을 할 수 있도록 하면서 방음판넬에 의하여 설치된 방음벽의 안과 밖에서 최대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방음판넬에 관한 것이다.
방음벽은 건축현장이나 공장의 소음이 외부로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도 있으나 주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것은 도로변에 설치되어 주로 학교나 주택단지에 도로의 소음을 최대한 차단하고자하는 용도로 설치되고 있다.
특히 주변을 보면 고속도로와 철로변을 보면 이러한 소음의 발생이 심하여 상당히 많은 구간에 방음벽이 설치됨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방음벽 설치구간이 증가할 수록 도로 또는 철로에서는 장시간 외부 경관을 볼 수 없는 구간이 늘어나는 것으로 지루함과 함께 답답함을 느끼게 된다.
또한 의식수준의 발전은 특정한 위치에서 밖을 바라볼 때 보이는 자연경관·역사유적·문화유산 등 특별한 경관을 볼 수 있는 권리인 조망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건물과 관련될 경우에는 좁은 의미에서는 건물 창문이나 베란다 등에서 밖의 경관을 볼 수 있는 권리를 찾고자하며 이때 방음벽과 인접한 곳에 서는 높은 벽과 같은 방음벽에 의한 경관의 차단으로 민원의 원인이 되며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표면에 다수의 홀이 천공되고 내부에서 소음을 소멸 시킬 수 있는 흡음판넬에서 투명한 방음판이 설치되는 곳이 증가하고 있으나 이 경우에는 흡음의 효과보다는 소리를 반사하게 되어 도로내에서의 소음은 마치 터널과 같이 증가하고 외부에서 상당한 소음이 전달되어 그 효과가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때문에 일정 거리마다 투명한 방음판을 설치하거나 또는 특정 높이에는 투명한 방음판이 연속적으로 설치하고 나머지는 흡음판넬을 설치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큰 효과를 기대하기 힘든 상황이며 최근에는 흡음판넬의 형상 또는 색상등의 규칙적인 배열에 의하여 그 외관을 개선하고자 시도하고 있으나 이는 외부 경관을 볼 수 없는 것은 마찬가지로 아주 적은 효과만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운전자 또는 도로변에서 상로 시야가 확보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흡음의 효과가 우수한 방음판넬을 개발하는 것이다.
또한, 운전자 또는 탑승객이 운행방향에서 보이는 도로 외부의 경관이 속도에도 불구하고 양호하게 확보될 수 있는 방음판넬을 개발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로변에 일정간격으로 입설되는 H빔의 사이에 삽입 장착되어 흡음 또는 소리를 반사하도록 하는 방음판넬에 있어서;
양측 끝단은 상기 H빔의 일측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두 개의 삽입부와;
상기 양측 삽입부의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되 수평단면이 동일하도록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어 최고 돌출된 부분을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경사면과;
상기 제1 또는 제2 경사면 중 일 면에 형성되는 통상의 흡음을 위한 방음판넬 구조를 가지는 흡음부와;
상기 제1 또는 제2 경사면 중 상기 흡음부가 형성되지 않은 면에는 창틀의 구조를 가지고 투명 방음판이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투명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 또는 제2 경사면은 곡면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음판넬은 인접한 도로에서 운전자의 전방시야에서 보이는 곳은 투명부가 형성되고, 상기 H빔에 의하여 가려지는 부분은 흡음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방음판넬에 반대편 전망을 볼 수 있는 투명부와 소리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흡음부를 형성하여 조망을 양호하도록 함과 동시에 발생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로나 철로에서 차량 또는 기차의 속도에 따라 최적의 조망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음벽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도로변에 일정간격으로 입설되는 H빔(1)의 사이에 삽입 장착되어 흡음 또는 소리를 반사하도록 하는 방음판넬에 있어서;
양측 끝단은 상기 H빔(1)의 일측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두 개의 삽입부(21)와;
상기 양측 삽입부(21)의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되 수평단면이 동일하도록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어 최고 돌출된 부분을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경사면(22, 23)과;
상기 제1 또는 제2 경사면(12, 13) 중 일 면에 형성되는 통상의 흡음을 위한 방음판넬 구조를 가지는 흡음부(3)와;
상기 제1 또는 제2 경사면(12, 13) 중 상기 흡음부(3)가 형성되지 않은 면에는 창틀의 구조를 가지고 투명 방음판(41)이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투명부(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판넬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단순히 흡음을 위한 정면에서 볼 경우에는 흡음부(3)와 투명부(4)가 단순히 교대로 형성되는 것으로 보이나 운전자의 입장에서는 이와는 다른 형태를 볼 수 있다.
보통 운전자가 볼수 있는 시야의 경우 속도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이론은 안전속도에 대한 교육에 많이 나오는 것이나 일반적으로 시속 100km의 속도로 주행하는 경우 운전자의 시야는 40°즉 정면에서 일측으로 20°라는 연구결과가 있다.
물론 고개를 돌려 측면을 확인할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지나가기에 그 경관을 보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보통 전방으로 비스듬한 측면까지 그 경관을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본원의 경우 주행하고 있는 도로의 평균속도를 고려하여 바람직한 시야각과 직교하는 상기 투명부(4)를 형성하고 이때 상기 흡음부(3)는 시야에서 최소한의 각도 또는 H빔(1)에 가려지도록 형성하면 마치 투명한 방음판만 형성되어 있는 것과 같이 외부 경관이 그대로 운전자에게 보이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기존의 방음벽에 의하여 답답함을 느끼게 하였던 문제점이 해소되는 것이다.
또한 시속 40km로 주행할 경우 운전자의 시야는 100°정도로 이 시야각의 최대한으로 상기 투명부(4)의 각을 형성하면 인접한 H빔(1)과의 각도는 50°가 되며 이에 바람직한 흡음부(3)의 각도는 40°이다.
따라서 그 길이를 비교하면 기존의 흡음판넬이 형성될 경우 그 길이를 100이라고 하면 흡음부(3)의 길이는 cos40°×100 즉 약 667이 된다. 이는 기존의 흡음판넬만 설치되었을 경우와 비교하면 최소한 66.7%의 흡음효과가 보장된다는 의미이다.
더욱이 인접한 투명 방음판(41)에서 반사되는 소음이 상기 흡음부(3)에 전달되어 그 효과를 높여주게되며 상기 H빔(1)의 두께를 고려하여 상기 흡음부(3)를 곡선으로 처리하거나 정면의 형상을 바꾸어 그 면적을 넓히도록 하면 70% 이상의 흡음효과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는 평균속도가 시속 40km 이하의 도로에 대한 예이나 평균속도가 빠른 도로의 경우 운전자의 시야각이 좁아지는 것을 감안하여 그 각도를 변화시킬 경우 90%에 가까운 흡음효과를 얻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닐 것이다.
또한 이러한 형태의 방음판넬(2)은 기존에 설치된 방음벽에서 입설된 H빔(1)은 그대로 두고 상기 방음판넬(1)만 교체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까지는 운전자의 시야에 대한 고려와 소음의 해결에 대한 문제를 언급하였지만 도로 또는 철도와 인접한 건물에서 바라보았을 경우에는 비록 완전한 시야의 확보는 이루어지지 않지만 정지된 상태에서 바라보는 경우가 많아 기존 방음벽과 비교하면 아주 우수한 조망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적용 예에 따른 방음벽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용 예에 따른 방음판넬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방음판넬의 배치를 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것과 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것을 번갈아가면서 형성하게 되면 운전자의 시야와 직교하는 투명부(4)는 두 개가 중간의 H빔(1)을 사이에 두고 연속된 형태로 보이게 되며 외부에서 볼 경우에는 전망이 확보된 구간이 넓어져 보다 경관을 보기 용이해지고 새로운 미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투명부(4) 및 흡음부(3)를 직선으로 처리하지 않고 둘 중 하나 또는 두 개 모두 완만한 곡선으로 처리할 경우 보다 미적인 효과가 높아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음벽을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적용 예에 따른 방음벽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용 예에 따른 방음판넬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H빔
2 : 방음판넬
21 : 삽입부 22 : 제1 경사면
23 : 제2 경사면
3 : 흡음부
4 : 투명부
41 : 투명 방음판

Claims (3)

  1. 도로변에 일정간격으로 입설되는 H빔(1)의 사이에 삽입 장착되어 흡음 또는 소리를 반사하도록 하는 방음판넬에 있어서;
    양측 끝단은 상기 H빔(1)의 일측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두 개의 삽입부(21)와;
    상기 양측 삽입부(21)의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되 수평단면이 동일하도록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어 최고 돌출된 부분을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경사면(22, 23)과;
    상기 제1 또는 제2 경사면(12, 13) 중 일 면에 형성되는 통상의 흡음을 위한 방음판넬 구조를 가지는 흡음부(3)와;
    상기 제1 또는 제2 경사면(12, 13) 중 상기 흡음부(3)가 형성되지 않은 면에는 창틀의 구조를 가지고 투명 방음판(41)이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투명부(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판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경사면(12, 13)은 곡면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판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판넬(2)은 인접한 도로에서 운전자의 전방시야에서 보이는 곳은 투명부(4)가 형성되고, 상기 H빔(1)에 의하여 가려지는 부분은 흡 음부(3)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판넬.
KR1020080116526A 2008-11-21 2008-11-21 방음판넬 KR101012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526A KR101012192B1 (ko) 2008-11-21 2008-11-21 방음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526A KR101012192B1 (ko) 2008-11-21 2008-11-21 방음판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7469A KR20100057469A (ko) 2010-05-31
KR101012192B1 true KR101012192B1 (ko) 2011-02-08

Family

ID=42281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6526A KR101012192B1 (ko) 2008-11-21 2008-11-21 방음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21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563B1 (ko) * 2013-11-14 2015-06-12 박경희 방음벽
KR101526562B1 (ko) * 2013-11-15 2015-06-12 박경희 투명판넬 및 흡음판넬을 포함하는 방음벽
KR102248186B1 (ko) 2019-11-13 2021-05-03 강수근 방음벽 구조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5838U (ko) * 2008-11-29 2010-06-08 양필규 방음벽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5838U (ko) * 2008-11-29 2010-06-08 양필규 방음벽 설치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563B1 (ko) * 2013-11-14 2015-06-12 박경희 방음벽
KR101526562B1 (ko) * 2013-11-15 2015-06-12 박경희 투명판넬 및 흡음판넬을 포함하는 방음벽
KR102248186B1 (ko) 2019-11-13 2021-05-03 강수근 방음벽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7469A (ko) 2010-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2192B1 (ko) 방음판넬
KR200451895Y1 (ko) 방음벽 설치구조
KR20160087241A (ko) 봉형상의 흡음재를 이용한 풍하중 저감형 방음패널, 이를 구비한 회전식 방음패널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KR200428427Y1 (ko) 방음용 목재 중앙분리대
KR101526563B1 (ko) 방음벽
KR101822972B1 (ko) 분리식 흡음패널
KR101528498B1 (ko) 방음벽
KR20090011141A (ko) 방음판넬
KR20200118673A (ko) 방음벽 리모델링 흡음벽 및 그 시공방법
KR200272000Y1 (ko) 도로 및 터널용 조립식 방음벽
KR102248186B1 (ko) 방음벽 구조물
KR100417452B1 (ko) 목재 방음판넬
KR200429276Y1 (ko) 방음벽 설치구조
KR102466751B1 (ko) 흡음성능 조절이 가능한 유지보수형 투명방음패널
KR101367970B1 (ko) 방음벽 상단장치
KR100378634B1 (ko) 흡음벽
KR200273462Y1 (ko) 목재 방음판넬
JP4032589B2 (ja) 防音壁
KR200167161Y1 (ko) 흡음형과 차음형이 동시에 설치된 방음벽
KR200407837Y1 (ko) 도로의 조립식 탄성부재 방음벽
KR20100093407A (ko) 가변형 방음판
KR101526562B1 (ko) 투명판넬 및 흡음판넬을 포함하는 방음벽
KR20230064150A (ko) 소음 에너지 감쇄형 투명 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KR200313316Y1 (ko) 도로경계 차음판넬
KR100187916B1 (ko) 방현망 겸용 방음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6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