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5187B1 - 등대형 교통신호등 및 그를 포함하는 등대형 교통시스템 - Google Patents

등대형 교통신호등 및 그를 포함하는 등대형 교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5187B1
KR102315187B1 KR1020200011318A KR20200011318A KR102315187B1 KR 102315187 B1 KR102315187 B1 KR 102315187B1 KR 1020200011318 A KR1020200011318 A KR 1020200011318A KR 20200011318 A KR20200011318 A KR 20200011318A KR 102315187 B1 KR102315187 B1 KR 102315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light
display
lighthouse
signal
displ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1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7521A (ko
Inventor
박정순
김명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림이앤지
박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림이앤지, 박정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림이앤지
Priority to KR1020200011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5187B1/ko
Publication of KR20210097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7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81Plural intersections under common contro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등대 형상을 갖는 교통신호등을 이용하여 신호등과 광고판 그리고 이정표 역할을 동시에 하며, 항구도시의 특색을 살릴 수 있는 등대형 교통신호등 및 그를 포함하는 등대형 교통시스템이 제공된다. 등대형 교통신호등은 교차로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을 이루며 외관이 등대 형상을 갖는 기둥 본체, 상기 기둥 본체 상단에 설치되며 측면에 각각 독립적으로 색상이 표시되는 복수 개의 제1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각기둥 형상을 갖는 신호등, 상기 기둥 본체 외주부에 설치되며 각각 독립적으로 영상이 표시되는 복수 개의 제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각기둥 형상을 갖는 디스플레이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등대형 교통신호등 및 그를 포함하는 등대형 교통시스템{Lighthouse type traffic lights and traffic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등대형 교통신호등 및 그를 포함하는 등대형 교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등대 형상을 갖는 교통신호등을 이용하여 신호등과 광고판 그리고 이정표 역할을 동시에 하며, 항구도시의 특색을 살릴 수 있는 등대형 교통신호등 및 그를 포함하는 등대형 교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원활한 교통을 위해 운전자와 보행자가 서로를 위하여 정한 약속이자 안전을 위해 반드시 지켜야 하는 규칙이 교통신호이다. 교통신호는 교통신호등을 이용해서 운전자와 보행자에게 전달되는 것은 누구나 다 아는 상식이다.
이러한 교통신호등 중에서 보행자 신호등은 각 나라, 지역의 특색을 반영한 독특한 디자인의 신호등이 많이 있다. 독일에서는 모자쓴 아저씨의 형상으로 만들어진 암펠만, 덴마크의 프레데리시아 지역에서는 군인 신호등, 영국 런던의 그린파크에는 사람모양 뿐만아니라 자전거와 말의 형상을 한 신호등도 있다. 이는 단순히 독특한 디자인만 갖춘 것이 아닌 국가와 지역별 문화와 정서를 신호등에 반영하여 관광상품으로도 자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신호등 디자인은 전체적인 외관은 동일하며 단순히 신호를 나타내는 형상만 다르기 때문에, 그 국가와 지역의 특색을 살리는 것에 대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지역의 특색에 맞는 외관을 갖는 신호등을 설치하여 지역을 홍보하며 관광상품으로도 활용될 수 있는 신호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고 섬이 많은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에 항구도시가 많다. 따라서 항구에 설치되는 등대를 활용한 신호등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240180호(2013. 02. 28)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등대 형상을 갖는 교통신호등을 이용하여 신호등과 광고판 그리고 이정표 역할을 동시에 하며, 항구도시의 특색을 살릴 수 있는 등대형 교통신호등 및 그를 포함하는 등대형 교통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등대 형상을 갖는 교통신호등을 이용하여 신호등과 광고판 그리고 이정표 역할을 동시에 하며, 항구도시의 특색을 살릴 수 있는 등대형 교통신호등을 포함하는 등대형 교통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등대형 교통신호등은, 교차로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을 이루며 외관이 등대 형상을 갖는 기둥 본체와, 상기 기둥 본체 상단에 설치되며 측면에 각각 독립적으로 색상이 표시되는 복수 개의 제1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각기둥 형상을 갖는 신호등과, 상기 기둥 본체 외주부에 설치되며 각각 독립적으로 영상이 표시되는 복수 개의 제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각기둥 형상을 갖는 디스플레이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신호등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가 상기 교차로와 연결된 차선을 바라보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는, 전체면이 다수의 픽셀을 갖는 하나의 디스플레이면을 형성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면 전체가 녹색, 적색, 주황색을 표시하여 차량에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는 녹색 신호에서 적색 신호로 전환할 때 녹색 신호 다음에 전체를 주황색으로 표시하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면에서 주황색 신호를 줄이고 적색 신호를 늘려 전진적으로 신호를 전활할 수 있다.
상기 신호등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사이인 각기둥 형상의 모서리 부분에 돌출된 제1 간섭 방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가 상기 교차로와 연결된 차선을 바라보며 형성되고 상기 신호등과 연동되어 녹색 신호용 영상, 주황색 신호용 영상, 적색 신호용 영상을 각각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녹색 신호용 영상은, 주행 가능 표시, 주행 방향 정보, 주행시 필요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고, 상기 적색 신호용 영상은, 정지 표시, 광고, 주행 방향 정보, 주행시 필요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사이인 각기둥 형상의 모서리 부분에 돌출된 제2 간섭 방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각각 동일한 방향을 바라볼 수 있다.
상기 기둥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신호등과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을 제어하는 계전기와, 상기 기동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기동본체 하부와 상기 기둥 본체 상단을 연결하는 사다리와, 상기 기둥 본체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키는 환풍기 유닛과, 상기 기둥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비상상황에 상기 신호등과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에 전력을 제공하는 무정전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등대형 교통시스템은, 상기 등대형 교통신호등과, 상기 교차로의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는 경계석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신호등과 연동하여 녹색 또는 적색 신호를 제공하는 경계석 신호등과, 상기 인도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신호등과 연동하여 녹색 또는 적색 신호를 보행자에게 제공하는 바닥 신호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등대 형상을 갖는 신호등으로, 등대형 외관을 통해 지역홍보가 가능하고, 디스플레이를 통해 신호와 광고 그리고 이정표를 동시에 전달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신호와 광고 및 이정표를 전달하는 각각의 디스플레이들은 모두 전면디스플레이므로,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상황에 따라 그에 맞는 신호 및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다수의 신호관련 시설물들을 하나로 묶어 복잡했던 도로를 단순화 시킬 수 있다.
또한, 교차로에서 운전자가 주황색 신호의 대기시간을 주관적으로 판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우회전시 보행자 신호를 무시하고 우회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등대형 교통신호등의 사시도이다.
도 2는 기둥 본체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신호등의 다른 예시의 사시도들이다.
도 4는 디스플레이유닛의 다른 예시의 사시도들이다.
도 5는 간섭 방지판의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운전자의 세로시야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신호등의 신호체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경계석 신호등과 바닥 신호등의 사용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대형 교통시스템의 사용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등대형 교통신호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등대형 교통신호등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기둥 본체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등대형 교통신호등(1)은 주황색 신호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고 항구도시의 특색을 나타내기 위하여 교차로 중앙에 설치되어 교통신호등 역할을 하는 것으로, 교차로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을 이루며 외관이 등대 형상을 갖는 기둥 본체(100)와, 상기 기둥 본체(100) 상단에 설치되며 측면에 각각 독립적으로 색상이 표시되는 복수 개의 제1 디스플레이(230)를 포함하여 각기둥 형상을 갖는 신호등(200)과, 상기 기둥 본체(100) 외주부에 설치되며 각각 독립적으로 영상이 표시되는 복수 개의 제2 디스플레이(231)를 포함하여 각기둥 형상을 갖는 디스플레이유닛(150)을 포함한다.
기둥 본체(100)는 교차로 중앙에 고정되는 부분으로, 신호등(200)과 디스플레이유닛(150)을 각각 일정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기둥 본체(100)는 교차로 중앙부 지면에 설치되며, 원통형 외관을 통해 등대를 연상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기둥 본체(100)의 외주면에는 디스플레이유닛(150)이 결합되고, 상단면에는 신호등(200)이 결합되어 각각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기둥 본체(100)는 속이 빈 원통형 형상으로, 하단부에 위치한 출입문(110)을 통해 기둥 본체(100)의 내부로 출입이 가능하다. 기둥 본체(100)의 내부에는 신호등(200)과 디스플레이유닛(150)을 유지, 보수 하기위한 설비들이 설치될 수 있다.
신호등(200)은 기둥 본체(100)의 상단면에 위치하며, 교차로에 진입하는 차선을 향해 신호를 보내는 기능을 한다. 신호등(200)은 신호를 나타내는 제1 디스플레이(230)와, 제1 디스플레이(230)를 보호하고 빛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헤드(220)와, 신호등(200)과 기둥 본체(100) 사이에 개재되어 제1 디스플레이(230)를 일정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고정시켜주는 지주 기둥(2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주 기둥(210)은 제1 디스플레이(230)를 일정 높이에 고정시켜 운전자에게 신호등(200)의 신호가 잘 보이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지주 기둥(210)의 하단은 기둥 본체(100)의 상단면에 고정되며, 지주 기둥(210)의 상단은 제1 디스플레이(230)와 헤드(220)를 일정한 높이에 고정시킨다.
제1 디스플레이(230)는 교차로에 진입하는 운전자에게 교통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230)는 각기둥 형태를 이루며, 교차로에 진입하는 각 차선을 향해 마주보게 설치되어 각 차선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230)는 전면이 LCD나 LED 디스플레이로, 하나의 제1 디스플레이(230)를 이용해서 복수 개의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230)는 명확한 신호 전달을 위해 상단면에 헤드(220)가 결합된다.
헤드(220)는 둥근 반원의 형상으로 제1 디스플레이(23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헤드(220)는 등대형 교통신호등(1)의 끝단에 위치하며, 제1 디스플레이(230)의 상단면을 모두 감싸며 제1 디스플레이(230)를 보호한다. 헤드(220)는 빛과 빗물에 의해제1 디스플레이(230)에서 나오는 신호가 운전자에게 흐리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교통신호가 운전자에게 명확히 전달되도록 한다.
교통신호는 녹색 신호, 주황색 신호, 적색 신호 세가지 이며 각 신호는 배경색상뿐만 아니라 문자와 화살표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신호는 모두 전면이 LCD나 LED 디스플레이인 제1 디스플레이(230)와 제2 디스플레이(231)의 넓은 면적을 이용해 운전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230)는 녹색 신호 시 녹색배경과 함께 '진행' 문구를 보여주며, 주황색 신호 시에는 주황색 불과 적색 불을 함께 표시하며 '멈춤' 문구를 보여준다. 또한, 적색 신호 시에는 적색 불과 함께 '멈춤' 문구를 보여준다. 이러한 문구는 색맹인 장애우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으며, 각 신호에 해당하는 문구는 '진행'과 '멈춤' 으로 표시될 수 있으나 이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유닛(150)은 기둥 본체(100)의 외측면을 따라 위치하며, 교차로에 진입하는 차량들에게 교통정보나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유닛(150)은 각기둥 형상으로, 각 측면은 교차로에 진입하는 차선과 마주보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유닛(150)은 전면디스플레이인 제2 디스플레이(231)를 통해 운전자들에게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신호등(200)과 연동되어 신호에 해당하는 색을 디스플레이의 바탕색으로 이용하여 교통신호를 전달할 수도 있다.
제2 디스플레이(231)는 녹색 신호인 경우에는 이정표를 나타냄과 동시에 녹색배경으로 녹색 신호를 나타낼 수 있다. 반면, 적색 신호인 경우에는 광고나 지역축제 홍보 등 다양한 정보를 전달함과 동시에 적색 배경으로 적색 신호를 나타낼 수도 있다.
즉, 제2 디스플레이(231)는 전면이 LCD나 LED 디스플레이로, 배경색을 이용하여 교통신호를 전달함과 동시에 상황에 따라 이정표와 광고판을 바꾸어 가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2 디스플레이(231)가 마주보는 차선의 신호가 다르기 때문에 각 측면의 제2 디스플레이(231)에서 나오는 내용과 교통신호는 모두 다를 수 있다. 이때, 전달하는 교통신호는 신호등(200)의 제1 디스플레이(230)와 연동되어 동일한 신호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신호등(200)이 설치된 기둥 본체(100)의 상단면에는 사람이 드나들 수 있는 발코니(160)가 존재하며, 발코니(160)의 외곽면을 따라서 낙상을 방지하는 난간(161)이 위치할 수 있다. 신호등(200)의 점검이 필요한 경우에는 발코니(160)에서 점검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기둥 본체(100)의 내부에는 지면과 발코니(160)를 연결하는 사다리(300)가 설치될 수 있다.
기둥 본체(100) 내부에는 사다리(300)뿐만 아니라 신호등(200)과 디스플레이유닛(150)을 제어할 수 있는 계전기(301)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신호등(200)과 디스플레이유닛(150)에 전달되는 전압량을 조절하여, 정전과 같은 비상상황 시에 신호등(200)과 디스플레이유닛(150)에 전력을 제공하는 무정전 장치(302)도 설치될 수 있다. 기둥 본체(100)는 내부에서 사람이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기둥 본체(100)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켜주는 환풍기 유닛(303)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기둥 본체(100) 내부에 설치되는 장비는 위에 그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설비들이 들어갈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신호등과 디스플레이유닛의 구조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신호등의 다른 예시의 사시도들이며, 도 4는 디스플레이유닛의 다른 예시의 사시도들이고, 도 5는 간섭 방지판의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도 3의 (a)는 삼거리 교차로에 설치되는 신호등(200)의 사시도이고, 도 3의 (b)는 오거리 교차로에서 설치되는 신호등(200)의 사시도이다.
신호등(200)은 교차로로 진입하는 차선의 개수에 따라 형태가 달라질 수 있으며, 제1 디스플레이(230)의 각 측면은 교차로에 진입하는 차선을 마주볼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230)는 서로 접하여 각기둥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도 3의 (a)는 신호등(200)이 삼각기둥 형태로 형성된 경우이다. 이 경우는 신호등(200)이 삼거리 교차로 중앙에 설치된 경우의 예시이며, 3개의 제1 디스플레이(230)는 교차로에 진입하는 3개의 차선과 각각 마주볼 수 있다. 즉, 제1 디스플레이(230)는 삼각기둥 형상이며, 이웃하는 복수 개의 제2 디스플레이(231)들은 서로 예각을 이루며 이웃한다. 즉, 어느 하나의 차선에서 디스플레이유닛(150)을 바라보았을 때, 마주보고 있는 제1 디스플레이(230)만 시야에 들어올 수 있다.
도 3의 (b)는 신호등(200)이 오각기둥 형태로 형성된 경우이다. 이 경우는 신호등(200)이 오거리 교차로 중앙에 설치된 경우의 예시이며, 오각기둥의 각 측면에 위치하는 5개의 제1 디스플레이(230)들은 교차로에 진입하는 차선과 각각 마주볼 수 있다. 이때, 도 3의 (b)의 경우, 이웃하는 제1 디스플레이(230)의 사이의 각도가 둔각으로, 어느 하나의 차선에서 신호등(200)을 바라보면 이웃하는 2개의 제1 디스플레이(230)가 시야에 함께 들어올 수 있다. 특히, 제1 디스플레이(230)는 전면 디스플레이기 때문에 이웃하는 제1 디스플레이(230)와의 경계가 모호하여 이를 명확히 구분시킬 수 있는 제1 간섭 방지판(240)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도 4의 (a)는 삼거리 교차로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유닛(150)의 사시도이고, 도 4의 (b)는 오거리 교차로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유닛(150)의 사시도이다.
디스플레이유닛(150)은 기둥 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둥 본체(100)의 외주면에 접하며 설치되어 있다. 기둥 본체(100)는 교차로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제2 디스플레이(231)는 제1 디스플레이(230)와 같은 방향으로 교차로에 진입하는 차선을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다.
도 4의 (a)는 디스플레이유닛(150)이 삼각기둥 형태로 형성된 경우이다. 이 경우는 기둥 본체(100)가 삼거리 교차로 중앙에 설치된 경우의 예시이며, 3개의 제2 디스플레이(231)는 교차로에 진입하는 3개의 차선과 각각 마주볼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유닛(150)은 삼각기둥 형상이며, 이웃하는 복수 개의 제2 디스플레이(231)들은 서로 예각을 이루며 이웃한다. 즉, 어느 하나의 차선에서 디스플레이유닛(150)을 바라보았을 때, 마주보고 있는 제2 디스플레이(231)만 시야에 들어올 수 있다.
도 4의 (b)는 디스플레이유닛(150)이 오각기둥 형태로 형성된 경우이다. 이 경우는 기둥 본체(100)가 오거리 교차로 중앙에 설치된 경우의 예시이며, 오각기둥의 각 측면에 위치하는 5개의 제2 디스플레이(231)들은 교차로에 진입하는 차선과 각각 마주볼 수 있다. 이때, 도 3의 (b)의 경우, 이웃하는 제2 디스플레이(231)의 사이의 각도가 둔각으로, 어느 하나의 차선에서 디스플레이유닛(150)을 바라보면 이웃하는 2개의 제2 디스플레이(231)가 시야에 함께 들어올 수 있다. 특히, 제2 디스플레이(231)는 전면 디스플레이기 때문에 이웃하는 제2 디스플레이(231)와의 경계가 모호하여 이를 명확히 구분시킬 수 있는 제2 간섭 방지판(241)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도 5는 오거리 교차로 중앙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유닛(150)에 제2 간섭 방지판(241)을 설치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이때, 하나의 차선에서 진행하는 차량 운전자의 시야에는 차선과 마주보는 제2 디스플레이(231)를 포함하여 이웃하는 2개의 제2 디스플레이(231)도 포함된다. 즉, 운전자의 시야에 3개의 제2 디스플레이(231)가 동시에 보이게 된다. 이럴경우 교통신호에 대한 혼란이 야기될 수 있으므로, 이웃하는 제2 디스플레이(231) 사이에 제2 간섭 방지판(241)을 개재하여 이웃하는 제2 디스플레이(231) 간의 혼동을 차단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231)와 동일하게 제1 디스플레이(230)에도 같은 기능을 같는 제1 간섭 방지판(240)을 설치할 수 있다.
제1 간섭 방지판(240)과 제2 간섭 방지판(241)은 교차로의 차선의 개수에 따라 설치여부가 변동되며, 오차선 교차로 이상의 경우에서부터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삼차선 교차로나 사차선 교차로의 경우, 각 차선에서 제1 디스플레이(230) 및 제2 디스플레이(231)를 바라봤을 때, 차선에 해당하는 제1 디스플레이(230) 및 제2 디스플레이(231)만 시야에 들어올 수 있는 반면에, 오차선 교차로부터는 이웃하는 제1 디스플레이(230) 및 제2 디스플레이(231)가 함께 보이기 시작하여 신호에 혼란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운전자의 세로시야각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운전자의 세로시야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량이 먼 거리에서 등대형 교통신호등(1)을 바라보는 경우, 운전자는 제1 디스플레이(230)와 제2 디스플레이(231)에서 나오는 신호를 모두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차량이 등대형 교통신호등(1)에 근접하는 경우에는 제1 디스플레이(230)는 시야에서 벗어나지만, 제2 디스플레이(231)는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차량이 등대형 교통신호등(1)에 근접하여도 교통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기존의 교통신호등은 등대형 교통신호등(1)과는 다르게 상단부에서만 신호 확인이 가능한 구조를 갖고 있었다. 반면, 등대형 교통신호등(1)은 상단부와 중앙부 두 곳에서 신호를 전달하여 신호등과 근접한 경우에도 교통신호에 대한 정보를 받을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신호등의 신호체계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신호등의 신호체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는 녹색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의 (b) 및 도 7의 (c)는 주황색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의 (d)는 적색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신호등(200)은 제1 디스플레이(230)를 통해 신호를 전달하며, 제1 디스플레이(230)는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해 녹색/주황색/적색 신호를 모두 전달할 수 있다. 신호를 전달하는 경우에, 제1 디스플레이(230)에서는 신호에 대한 안내문구와 함께 녹색/주황색/적색을 표시할 수 있다.
녹색 신호를 도시한 도 7의 (a)에서 A 구역은 모두 녹색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진행' 문구도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녹색 신호가 끝남과 동시에 주황색 신호가 나타나게 되고 문구가 '진행'에서 '멈춤'으로 전활될 수 있다.
주황색 신호는 도 7의 (b)와 (c)에서 A1구역에 나타나게 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적색 신호가 표시되는 A2구역이 확장될 수 있다. 주황색 신호가 끝나게 되면, A2구역이 모두 확장되어 주황색 신호가 끝나게 되고, 적색 신호가 시작될 수 있다.
주황색 신호는 A1구역과 A2구역을 나눠서 신호의 진행상황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주황색 신호가 얼마남지 않은 시간 동안 급하게 가속하여 교차로를 지나는 차량들을 줄일 수 있다.
적색 신호는 도 7의 (d)에서와 같이 A 구역이 모두 적색으로 표시되며, 동시에 '멈춤'문구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등대형 교통시스템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경계석 신호등과 바닥 신호등의 사용예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대형 교통시스템의 사용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등대형 교통시스템은 등대형 교통신호등(1)과, 경계석 신호등(200)과, 바닥 신호등(200)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의 세가지 신호등은 모두 연동되어 하나의 시스템에 알맞는 신호를 나타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경계석 신호등(200)은 경계석(401)의 도로 방향 측면에 설치되어, 보행자의 안전 보행권을 확보하고 운전자의 법규 위반을 억제할 수 있다. 경계석 신호등(200)은 정지선(451)의 우측 후방에 경계석(4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정지선(451)의 전방에는 보행자 횡단보도(450)가 위치할 수 있다.
경계석 신호등(200)은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이용해 신호를 전달할 수 있으며, 발광소자는 LED 및 LCD 등 교통신호의 전달이 가능한 소자는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경계석 신호등(200)은 정지선(451) 후방에 설치되어, 우회전이 불가능한 신호인 경우 운전자가 정지선(451)에 정차할 수 있도록 적색 신호를 나타낼 수 있다. 정지선(451)의 전방에 위치하는 보행자 횡단보도(450)의 양단에는 바닥 신호등(200)이 위치할 수 있으며, 경계석 신호등(200)은 바닥 신호등(200)과 연동하여 제어할 수 있다.
바닥 신호등(200)은 보행자 신호를 나타내며, 보행자 신호등(200)의 양단에 접하는 인도(314)에 설치될 수 있다. 바닥 신호등(200)은 지면에 설치되어 LED 및 LCD 전광판과 같은 발광소자를 이용해 녹색 신호와 적색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바닥 신호등(200)은 지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스마트폰을 사용하며 고개를 숙이고 걷는 보행자들의 교통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등대형 교통시스템의 사용예시는 사차선 교차로에서 등대형 교통신호등(1)과, 경계석 신호등(200)과, 바닥 신호등(200)을 모두 포함한다. 각 차선은 2시, 4시, 7시, 10시 방향에서 교차로로 진입한다.
7시 방향의 차선은 녹색 신호고, 5시 방향의 차선은 적색 신호다. 즉, 7시 방향의 차선은 주행이 가능하고, 제1 디스플레이(230)와 제2 디스플레이(231)에서 신호에 관한 안내가 나타난다. 7시 방향 차선은 제1 디스플레이(230)에 녹색배경과 함께 '진행' 문구가 나타나며, 제2 디스플레이(231)에는 이정표와 함께 녹색배경이 나타난다.
반면, 적색 신호인 5시 방향 차선은 제1 디스플레이(230)에 '멈춤' 문구와 함께 적색배경을 나타내며, 제2 디스플레이(231)에서는 적색배경과 함께 지역축제에 대한 홍보 영상이 나타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등대형 교통신호등 100: 기둥 본체
110: 출입문 150: 디스플레이유닛
160: 발코니 161: 난간
200: 신호등 210: 지주 기둥
220: 헤드 230: 제1 디스플레이
231: 제2 디스플레이 240: 제1 간섭 방지판
241: 제2 간섭 방지판 300: 사다리
301: 계전기 302: 무정전 장치
303: 환풍기 유닛 313: 차도
314: 인도 400: 경계석 신호등
401: 경계석 410: 바닥 신호등
450: 보행자 횡단보도 451: 정지선

Claims (11)

  1. 교차로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을 이루며 외관이 등대 형상을 갖는 기둥 본체;
    상기 기둥 본체 상단에 설치되며 측면에 각각 독립적으로 색상이 표시되는 복수 개의 제1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각기둥 형상을 갖는 신호등;
    상기 기둥 본체 외주부에 설치되며 각각 독립적으로 영상이 표시되는 복수 개의 제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각기둥 형상을 갖는 디스플레이유닛; 및
    상기 신호등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가 상기 교차로와 연결된 차선을 바라보며 형성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사이인 각기둥 형상의 모서리 부분에 돌출된 제1 간섭 방지판을 더 포함하는 등대형 교통신호등.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는, 전체면이 다수의 픽셀을 갖는 하나의 디스플레이면을 형성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면 전체가 녹색, 적색, 주황색을 표시하여 차량에 신호를 제공하는 등대형 교통신호등.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는 녹색 신호에서 적색 신호로 전환할 때 녹색 신호 다음에 전체를 주황색으로 표시하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면에서 주황색 신호를 줄이고 적색 신호를 늘려 전진적으로 신호를 전환하는 등대형 교통신호등.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가 상기 교차로와 연결된 차선을 바라보며 형성되고 상기 신호등과 연동되어 녹색 신호용 영상, 주황색 신호용 영상, 적색 신호용 영상을 각각 표시하는 등대형 교통신호등.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녹색 신호용 영상은, 주행 가능 표시, 주행 방향 정보, 주행시 필요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고,
    상기 적색 신호용 영상은, 정지 표시, 광고, 주행 방향 정보, 주행시 필요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등대형 교통신호등.
  8. 교차로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을 이루며 외관이 등대 형상을 갖는 기둥 본체;
    상기 기둥 본체 상단에 설치되며 측면에 각각 독립적으로 색상이 표시되는 복수 개의 제1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각기둥 형상을 갖는 신호등;
    상기 기둥 본체 외주부에 설치되며 각각 독립적으로 영상이 표시되는 복수 개의 제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각기둥 형상을 갖는 디스플레이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가 상기 교차로와 연결된 차선을 바라보며 형성되고 상기 신호등과 연동되어 녹색 신호용 영상, 주황색 신호용 영상, 적색 신호용 영상을 각각 표시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사이인 각기둥 형상의 모서리 부분에 돌출된 제2 간섭 방지판을 더 포함하는 등대형 교통신호등.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각각 동일한 방향을 바라보는 등대형 교통신호등.
  10. 교차로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을 이루며 외관이 등대 형상을 갖는 기둥 본체;
    상기 기둥 본체 상단에 설치되며 측면에 각각 독립적으로 색상이 표시되는 복수 개의 제1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각기둥 형상을 갖는 신호등;
    상기 기둥 본체 외주부에 설치되며 각각 독립적으로 영상이 표시되는 복수 개의 제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각기둥 형상을 갖는 디스플레이유닛;
    상기 기둥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신호등과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을 제어하는 계전기;
    상기 기둥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기둥본체 하부와 상기 기둥 본체 상단을 연결하는 사다리;
    상기 기둥 본체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키는 환풍기 유닛; 및
    상기 기둥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비상상황에 상기 신호등과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에 전력을 제공하는 무정전 장치를 더 포함하는 등대형 교통신호등.
  11. 제1항, 제3항, 제4항, 제6항, 제7항, 제8항, 제9항,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등대형 교통신호등;
    상기 교차로의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는 경계석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신호등과 연동하여 녹색 또는 적색 신호를 제공하는 경계석 신호등; 및
    상기 인도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신호등과 연동하여 녹색 또는 적색 신호를 보행자에게 제공하는 바닥 신호등을 포함하는 등대형 교통시스템.
KR1020200011318A 2020-01-30 2020-01-30 등대형 교통신호등 및 그를 포함하는 등대형 교통시스템 KR102315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318A KR102315187B1 (ko) 2020-01-30 2020-01-30 등대형 교통신호등 및 그를 포함하는 등대형 교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318A KR102315187B1 (ko) 2020-01-30 2020-01-30 등대형 교통신호등 및 그를 포함하는 등대형 교통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7521A KR20210097521A (ko) 2021-08-09
KR102315187B1 true KR102315187B1 (ko) 2021-10-21

Family

ID=77313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318A KR102315187B1 (ko) 2020-01-30 2020-01-30 등대형 교통신호등 및 그를 포함하는 등대형 교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51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633B1 (ko) * 2021-10-12 2022-08-10 박종욱 시인성 향상을 겸비한 안전 도모용의 보행자용 스마트 교통안내신호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872Y1 (ko) * 2005-07-04 2005-10-10 김경진 교통 신호등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913A (ko) * 1997-02-25 1998-10-26 안민구 Led 디스플레이 신호등
KR101240180B1 (ko) 2011-10-11 2013-03-11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운전자 또는 보행자에게 남은 시간을 알려주기 위한 엘이디 교통 신호등 및 엘이디 교통 신호등의 제어 방법
KR20130087141A (ko) * 2012-01-27 2013-08-06 다산정보통신주식회사 네트워크를 이용한 중앙신호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872Y1 (ko) * 2005-07-04 2005-10-10 김경진 교통 신호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7521A (ko) 2021-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6930E (en) Apparatus for prompting pedestrians
AU2009243423B2 (en) A crossing-located alert system
CN1745403B (zh) Led交通灯
US20070200730A1 (en) Integrated traffic signal, sign and information display device
US20190103022A1 (en) Portable remotely operated traffic control signals
KR100389501B1 (ko) 보행자 보호용 신호등 제어방법
KR102315187B1 (ko) 등대형 교통신호등 및 그를 포함하는 등대형 교통시스템
KR100997484B1 (ko) 횡단보도 교통 신호등과 이를 이용한 스쿨존 교통신호 조경물
KR102363225B1 (ko) 다방향에서 확인 가능한 신호등
KR101248301B1 (ko) 다방향 교통신호 확인 가능 신호등
WO2011096671A2 (ko) 자전거 및 조깅전용 도로용 시선안내 유도램프
CN212294409U (zh) 用于城市高架桥下交叉路口的交通引导系统
CN111519553A (zh) 用于城市高架桥下交叉路口的交通引导系统及方法
KR200274427Y1 (ko) 교통사고 예방장치
KR102403128B1 (ko) 우측 차로의 시간대별 용도 표시 장치
CN114990947B (zh) 基于自解释理念的桥墩遮挡下人行过街横道设计系统
KR20000020225U (ko) 색맹운전자 식별용 교통신호등
KR200215366Y1 (ko) 신호등과 표지판이 일체화된 직립식 신호대
KR102394353B1 (ko) 공공정보 알림 기능을 구비한 다목적 교통신호 장치
KR102519607B1 (ko) 고보조명을 이용한 횡단보도 시스템
KR101697207B1 (ko) 터널 천장 배치형 도로 정보 표시 전광판
KR200336516Y1 (ko) 도로 차선 이정표
WO2012036357A1 (ko) 자전거 및 조깅전용 도로용 시선안내 유도램프
KR20050098071A (ko) 유턴차로 표시용 완충식 도로 표지병
Bell et al. Driver Inform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