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4427Y1 - 교통사고 예방장치 - Google Patents

교통사고 예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4427Y1
KR200274427Y1 KR2020010039222U KR20010039222U KR200274427Y1 KR 200274427 Y1 KR200274427 Y1 KR 200274427Y1 KR 2020010039222 U KR2020010039222 U KR 2020010039222U KR 20010039222 U KR20010039222 U KR 20010039222U KR 200274427 Y1 KR200274427 Y1 KR 2002744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rian
vehicle
traffic
crosswalk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92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석모
Original Assignee
안석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석모 filed Critical 안석모
Priority to KR20200100392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44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44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4427Y1/ko

Links

Landscapes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차로 등 차량의 통행이 번잡한 곳에서의 교통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보행자나 운전자에 대한 올바른 교통문화를 정착시킬 수 있는 교통사고 예방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교통사고 예방장치는 보행자의 횡단보도 무단 진입 및 차량의 차량정지선 무단 진입을 예방하기 위한 교통신호장치에 있어서, 각 도로의 횡단보도 양쪽에 설치되어 보행자가 무단으로 횡단보도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보행자 감지기들과, 상기 도로의 횡단보도 이전에 표시되는 차량 정지선 표시영역에 설치되어 차량이 무단으로 횡단보도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차량 감지기들과, 상기 보행자 감지기 및 차량 감지기의 동작여부를 차량 및 보행자 신호체계에 동기시켜 온/오프시키고, 상기 보행자가 무단으로 횡단보도로 접근하거나 차량이 차량 정지선을 넘는 경우 해당 횡단보도의 양쪽에 설치되어 있는 보행자 신호등에 부착된 스피커를 통해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올바른 교통문화를 정착시킴으로써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통사고 예방장치{Equipment for preventing traffic accident}
본 고안은 교통신호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교차로 등의 차량통행이 번잡한 곳에서의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교통사고 예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사회를 거치는 동안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발전 및 변화가 있었지만 그 중에서도 교통수단의 발전은 가히 괄목할 만한 정도이고, 오늘날에 이르러서는 일상 생활에서는 없어서는 안 될 생활의 필수품으로까지 발전하게 되었다. 그것이 대중교통수단의 형태이건, 개인이 소유하는 자가용의 형태이든 현대 생활에서 자동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보도자료에 의하면, 국내 자동차 대수가 이미 오래전에 1천만대를 넘어섰고, 자동차 형태 또한 레저용에서부터 생계수단용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으며, 아울러 자동차의 증가로 인한 문제점들 또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즉, 한정된 국토상황에서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자동차로 인해 인적, 물적 피해 또한 나날이 증가하고 있으며, 급기야 환경문제 및 에너지 문제로까지 이어져 자동차 증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자동차가 증가함에 따라 그로 인한 각종 사건 사고가 증가하고 있으며, 무엇보다 인사 사고는 피해자나 가해자 모두에게 치명적인 손실을 야기시키기 때문에 운전자 스스로 안전한 운전습관 및 법규를 준수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 예로, 1999년 발생한 교통사고를 원인별로 분석해보면 운전자의 법규위반으로 인하여 발생한 경우가 99.99%로 절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교통사고 유형을 법규위반 내용별로 살펴보면 전체사고의 63.7%, 사망자의 67.7%가 안전운전의무를 이행하지 않아 발생한 사고이고, 특히 중앙선침범, 과속, 신호위반 등 중요 법규위반이 교통사고의 주요원인으로 나타나 국민들의 법규준수 의식이 아직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현실에서 교통사고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운전자의 운전습관 및 법규준수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이 바로 보행자의 신호준수 및 보행자 안전을 보호하는 보호장치의 마련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교차로 등 차량의 운행이 번잡한 곳에서의 각종 사고는 일차적으로 자동차 운전자의 신호위반 및 운전미숙이 그 원인이 되겠지만, 보행자의 잘못된 보행습관 및 보행신호 등의 위반이 사고에 일조를 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일 예로, 교차로를 포함한 일반 도로의 횡단보도에서 보행자는 차도로부터 소정의 안전거리를 확보하고 보행신호를 기다려야 함에도 불구하고 조급한 마음에 점진적으로 차도쪽으로 이동하는 잘못된 보행습관이 때로는 사고 발생의 원인으로 파악되기도 한다.
차량 역시 녹색신호로 바뀌기 전에 예측출발을 하는 사례가 다반사로 일어나고 있고, 특히 교차로에서 적색신호로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단 진입하고 보자는 식의 잘못된 운전습관으로 인하여 교통체증을 가속화하고 있다. 비근한 예로 출퇴근 시간 교차로의 상황을 보면, 수많은 차량의 경적음으로 인하여 다른 운전자나 보도의 시민들에게 스트레스를 주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고안은 교차로 등 차량의 통행이 번잡한 곳에서의 교통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하여 올바른 교통문화를 정착시킴과 동시에 교통소통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교통사고 예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교통사고 예방장치는 보행자의 횡단보도 무단 진입 및 차량의 차량정지선 무단 진입을 예방하기 위한 교통신호장치에 있어서, 각 도로의 횡단보도 양쪽에 설치되어 보행자가 무단으로 횡단보도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보행자 감지기들과, 상기 도로의 횡단보도 이전에 표시되는 차량 정지선 표시영역에 설치되어 차량이 무단으로 횡단보도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차량 감지기들과, 상기 보행자 감지기 및 차량 감지기의 동작여부를 차량 및 보행자 신호체계에 동기시켜 온/오프시키고, 상기 보행자가 무단으로 횡단보도로 접근하거나 차량이 차량 정지선을 넘는 경우 해당 횡단보도의 양쪽에 설치되어 있는 보행자 신호등에 부착된 스피커를 통해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교통사고 예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교통사고 예방장치의 구성블록도
도 3a 내지 3b는 본 고안의 교통사고 예방장치에 따른 지반매설용 표시등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1b,2a,2b,3a,3b,4a,4b : 보행자 감지기 5a~5d : 차량정지선
6a~6d : 차량 감지기 7a~7d : 차량신호등
8a~8h : 보행자 신호등 10 : 제어기
이하, 본 고안의 교통사고 예방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교통사고 예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교통사고 예방장치의 구성블록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거리 교차로의 경우, 네 개의 횡단보도(A)(B)(C)(D)가 설치되고, 각 횡단보도마다 그 양쪽에 보행자의 안전거리를 확보하는 차원에서 각각 두 개씩의 보행자 감지기(1a,1b)(2a,2b)(3a,3b)(4a,4b)가 설치되며, 각 횡단보도로 진입하기 이전에 설치되는 차량정지선(5a)(5b)(5c)(5d)에는 차량의 진입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차량 감지기(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된다.
또한, 각 횡단보도(A)(B)(C)(D)의 양쪽에는 보행자 신호등(8a,8b)(8c,8d)(8e,8f)(8g,8h)이 설치되는데, 각 보행자 신호등에는 스피커가 부착되어 보행자 신호등이 적색신호인 상태에서 보행자가 횡단보도로 진입할 경우 경고성 멘트나 경고음이 발생되며, 또한 차량이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이 적색신호인 상태에서 차량이 차량정지선을 넘을 경우에도 경고음이 발생된다.
이를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의 구성블록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교통사고 예방장치는 크게 각 진입로의 횡단보도(A)(B)(C)(D) 양쪽에 각각 설치되는 보행자 감지기(1a,1b)(2a,2b)(3a,3b)(4a,4b)와, 각 차도의 횡단보도 이전에 표시되는 차량정지선(5a)(5b)(5c)(5d)의 표시영역에 매설된 차량 감지기(6a)(6b)(6c)(6d)와, 각 횡단보도(A)(B)(C)(D)의 양측에 설치되는 보행자 신호등(8a,8b)(8c,8d)(8e,8f)(8g,8h)과, 차량의 진행방향을 지시하는 차량신호등(7a)(7b)(7c)(7d) 및 상기 보행자 감지기(1a,1b)(2a,2b)(3a,3b)(4a,4b)와 차량 감지기(6a)(6b)(6c)(6d)로부터 감지신호를 받아 보행자 신호등(8a,8b)(8c,8d)(8e,8f)(8g,8h) 및 차량신호등(7a)(7b)(7c)(7d)을 제어하는 제어기(10)로 구성된다.
여기서, 각 횡단보도(A)(B)(C)(D)의 양쪽에 설치되는 보행자 감지기(1a,1b)(2a,2b)(3a,3b)(4a,4b)는 보도와 접하는 횡단보도의 양쪽 끝부분에 다수의 감지선을 매설하여 설치함으로써 보행자 신호등이 적색신호임에도 불구하고 보행자가 조급하게 횡단보도로 접근하는 것을 감지한다.
상기 보행자 감지기(1a,1b)(2a,2b)(3a,3b)(4a,4b)에 의해 보행자가 무단으로 횡단보도에 접근하는 것이 감지되면, 제어기(10)는 상기 횡단보도 양쪽에 설치되어있는 보행자 신호등(8a,8b)(8c,8d)(8e,8f)(8g,8h)에 부착된 스피커(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보행자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경고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차량 감지기(6a)(6b)(6c)(6d)는 횡단보도 이전의 차량 정지선(5a)(5b)(5c)(5d)이 표시되는 표시영역에 감지선 형태로 매설되어 차량의 진행방향에 따른 차량신호등이 적색신호일 경우에 동작하고 녹색신호일 경우에는 동작하지 않는다.
상기 제어기(10)는 보행자 감지기(1a,1b)(2a,2b)(3a,3b)(4a,4b) 및 차량 감지기로부터 전달된 감지신호를 토대로 보행자 신호등(8a,8b)(8c,8d)(8e,8f)(8g,8h) 및 차량신호등(7a)(7b)(7c)(7d)을 제어함과 동시에 현재 녹색신호를 받고 있는 주행 차로에 대한 차량 감지기의 동작 및 녹색신호가 표시된 횡단보도의 보행자 감지기의 동작을 오프(off)시킨다.
상기 각 보행자 신호등(8a,8b)(8c,8d)(8e,8f)(8g,8h)에는 상기 제어기(10)의 제어하에 동작하는 스피커(미도시)가 설치되어 보행자가 보행자 신호등이 적색신호일 때 차도로 진입을 시도하거나 차량의 진행방향이 적색신호일 때 차량이 차량정지선으로 진입을 시도할 경우 여러 형태의 경고음이나 경고성 멘트를 발생한다.
참고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보행자의 횡단보도 접근을 감지하는 보행자 감지기 및 차량이 차량정지선을 넘어서는 것을 감지하는 차량 감지기를 감지선 형태로 지반에 매설하였으나, 적외선 센서 등의 감지센서를 지상(地上)에 설치하여 보행자 및 차량을 감지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교통사고 예방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 도로의 차량에 대한 직진 및 좌회전 진행신호가 차량신호등(7a)에 표시되면 횡단보도 B의 양쪽에 설치된 보행자 신호등(8c)(8d)에는 녹색신호가 표시되어 보행자가 횡단보도 B를 건널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횡단보도 B를 제외한 나머지 A, C 및 D의 양쪽에 설치된 보행자 신호등(8a)(8b)(8e)(8f)(8g)(8h)에는 모두 적색신호가 표시되고, 더불어 보행자 감지기(1a)(1b)(3a)(3b)(4a)(4b)는 보행자가 횡단보도로 내려서는 것을 감지하게 된다. 일 예로 차량이 직진 및 좌회전하고 있는 상황에서 횡단보도 A의 양쪽에 대기하고 있던 보행자 중 보행자 신호등(8b)이 설치되어 있는 쪽의 보행자가 보행자 신호등(8a)(8b)에 적색신호가 표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횡단보도 A로 내려서면 보행자 감지기(1b)가 이를 감지하고 그 결과신호가 제어기(10)로 전달된다.
따라서, 제어기(10)는 상기 보행자 신호등(8b)에 부착되어 있는 스피커(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보행자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형태 일 예로, "위험하오니 뒤로 물러나 주시기 바랍니다"와 같은 경고성 멘트나 경고음을 출력함으로써, 보행자 신호가 적색임에도 불구하고 조급하게 횡단보도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나", "다", "라" 도로의 차량정지선(5b)(5c)(5d) 표시영역에 매설된 차량 감지기(6b)(6c)(6d)도 각각 해당 도로의 차량이 차량정지선으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게 되는데, 일 예로 "라" 도로의 차량이 차량정지선(5d)을 넘게 될 경우, 상기 차량정지선(5d) 표시영역에 매설되어 있는 차량감지부(6d)에 의해 감지되고 그 결과신호가 제어기(10)로 전달된다. 이에, 제어기(10)는 횡단보도 D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보행자 신호등(8g)(8h) 중에서 차량정지선(5d)이 표시된 쪽의 보행자 신호등(8h)에 부착되어 있는 스피커(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차량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의 경고신호를 출력한다.
이후, "가" 도로의 차량에 대한 직진 및 좌회전 신호가 적색신호로 바뀌게 되면, "나" 도로의 차량에 대한 직진 및 좌회전 진행신호가 차량신호등(7b)에 표시되며, 이때 "가" 도로의 차량정지선(5a)에 매설된 차량 감지기(6a)는 "가" 도로의 차량이 차량감지선(5a)으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한다.
또한, 상기 횡단보도 C의 양쪽에 설치된 보행자 신호등(8e)(8f)은 제어기(10)의 제어하에 적색신호에서 녹색신호로 바뀌게 됨과 동시에 보행자 감지기(3a)(3b)는 동작하지 않게 되어 보행자가 횡단보도 C를 건너더라도 스피커를 통해 경고신호가 출력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때, "나" 도로의 직진 및 좌회전 진행차량 이외의 차량들이 해당 차량정지선(5a)(5c)(5d)을 넘어설 경우에는 제어기(10)의 제어하에 해당 보행자 신호등(8a,8b)(8e,8f)(8g,8h)에 부착되어 있는 스피커를 통해 경고신호가 출력되는 것은 물론이고, 횡단보도 C를 제외한 나머지 횡단보도(A)(B)(D) 양쪽에 대기하고 있던 보행자가 횡단보도로 내려서게 되면 해당 보행자 감지기(1a,1b)(2a,2b)(4a,4b)가 이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제어기(10)의 제어하에 해당 보행자 신호등(8a,8b)(8c,8d)(8g,8h)에 부착되어 있는 스피커를 통해 경고성 멘트나 경고음이 송출된다.
이와 같이, 모든 횡단보도에 대해서 보행자가 무단으로 횡단보도에 내려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행자 감지기(1a,1b)(2a,2b)(3a,3b)(4a,4b)를 보도와 접하는횡단보도 양쪽에 설치하고, 각 도로의 차량정지선(5a)(5b)(5c)(5d) 표시영역에도 차량이 무단으로 차량정지선을 넘어 횡단보도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 감지기(6a)(6b)(6c)(6d)를 설치함으로써, 보행자의 안전을 최대한 보장하고, 차량의 무분별한 교차로 진입에 따른 교통정체 및 지체 현상을 최소화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형태는 네거리 교차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삼거리 및 오거리 등 어느 형태의 교차로에 적용할 수가 있음은 자명하고, 각 교차로의 교통특성에 따른 신호체계에 따라서도 얼마든지 적용이 가능하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직진과 좌회전 진행신호가 동시에 표시되는 것에 대해서만 설명되었지만, 교통 특성에 따라 직진 후 좌회전 등 여러 형태로 신호체계가 변형될 수 있음에 본 고안의 교통사고 예방장치는 그 어느 상황에서도 적용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일 예로, 도 1과 같은 교차로에서 직진 후 좌회전 신호체계를 갖는 경우에는 각 차량정지선(5a)(5b)(5c)(5d)의 표시영역에 매설된 차량 감지기(6a)(6b)(6c)(6d)를 직진차로와 좌회전 차로로 분리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전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와 같이 직진 및 좌회전이 동시에 표시될 경우에는 직진차로와 좌회전 차로의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 감지기를 분리할 필요가 없으나, 직진후 좌회전의 신호체계의 경우에는 직진신호시에는 좌회전 차로의 차량이 차량정지선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추가하여, 본 고안의 교통사고 예방장치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단보도를 건너기 전의 보행자 정지지점에 보행자 신호등의 신호체계와 일치하여 녹색 및 적색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등(31a)(31b)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표시등은 보행자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지반에 매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표시등을 보호하는 보호커버(31c)는 보행자가 밟더라도 쉽게 파손되지 않는 재질의 반투명 또는 투명재질의 초강력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동일한 맥락에서 차량정지선에도 도 3a와 같은 형태로 차량의 주행 신호체계와 일치하여 녹색 및 적색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등을 지반에 매설하거나 아니면 도 3b와 같이, 차량의 주행신호가 적색일 경우에만 적색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등(31b)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에도 상기 표시등(31b)의 보호커버(31c)는 차량에 의해 손상되지 않을 정도의 반투명 또는 투명재질의 초강력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표시등의 녹색신호 및 적색신호로의 변화는 제어부(10)의 제어하에 이루어지고, 녹색 및 적색신호는 LED를 이용하여 발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표시등의 수는 시인성(視認性)을 좋게 하기 위해 일렬로 다수개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보행자 정지지점이나 차량정지선에 보행자 신호체계 및 차량 신호체계와 일치하는 별도의 표시등을 설치하여 야간에 눈에 잘 띄도록 함으로써 보행자나 운전자의 주의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다.
추가하여, 본 고안의 교통사고 예방장치는 운전 취약시간대에 도 1과 같은 교차로의 임의의 어느 한 보행자 신호등에 설치되어 있는 스피커를 통해 경찰 싸이렌 소리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운전 취약시간, 대게는 14시~15시 사이, 0시~1시 사이가 졸음 운전에 의한 사고가 많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교차로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소정 시간 간격으로 경찰 싸이렌 소리를 출력함으로써 교차로를 통과하거나 대기중인 차량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불러 일으켜 졸음 운전으로 인한 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교통사고 예방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횡단보도의 보행자 신호등에 적색신호가 표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보행자들이 횡단보도로 진입할 경우 경고신호를 출력함으로서, 보행자들의 올바른 보행습관을 유도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둘째,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건너고 있는 상황이나 적색신호로 인한 대기중인 차량들이 점진적으로 진행하여 횡단보도로 접근하는 것을 감지함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교통이 번잡한 곳에서 적색신호가 표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선행차량의 뒤를 쫓아 계속해서 진행하는 차량이 없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교통흐름을 통해 정체 및 지체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셋째, 보행자나 차량 운전자 모두 안전한 보행습관 및 운전습관을 익히도록 함으로써, 올바른 교통문화 장착을 통해 교통사고 1위 국가라는 오명을 벗고 교통선진국으로서의 위상을 세계에 널리 알리는데 일조할 수 있다.

Claims (5)

  1. 보행자의 횡단보도 무단 진입 및 차량의 차량정지선 무단 진입을 예방하기 위한 교통신호제어장치에 있어서,
    각 도로의 횡단보도 양쪽에 설치되어 보행자가 무단으로 횡단보도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보행자 감지기들과,
    상기 도로의 횡단보도 이전에 표시되는 차량 정지선 표시영역에 설치되어 차량이 무단으로 횡단보도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차량 감지기들과,
    상기 보행자 감지기 및 차량 감지기의 동작여부를 차량 및 보행자 신호체계에 동기시켜 온/오프시키고, 상기 보행자가 무단으로 횡단보도로 접근하거나 차량이 차량정지선을 넘는 경우 해당 횡단보도의 양쪽에 설치되어 있는 보행자 신호등에 부착된 스피커를 통해 경고신호를 출력토록 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사고 예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감지기는 직진과 좌회전을 허용하는 도로에서 직진과 좌회전이 동시에 표시되는 경우에는 직진차로와 좌회전 차로를 동시에 감지하고, 직진과 좌회전이 별도로 표시되는 경우에는 직진차로와 좌회전 차로를 별도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사고 예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자 감지기는 해당 횡단보도의 보행자 신호등이적색신호일 경우에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사고 예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감지기는 해당 차로의 표시등이 적색신호일 경우에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사고 예방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자 감지기 및 차량감지기가 설치된 지점에 각각 보행자 신호등 및 차량신호등과 신호체계가 일치하여 녹색 또는 적색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등을 발광면이 노출되도록 매설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사고 예방장치.
KR2020010039222U 2001-12-19 2001-12-19 교통사고 예방장치 KR2002744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222U KR200274427Y1 (ko) 2001-12-19 2001-12-19 교통사고 예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222U KR200274427Y1 (ko) 2001-12-19 2001-12-19 교통사고 예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4427Y1 true KR200274427Y1 (ko) 2002-05-08

Family

ID=73071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222U KR200274427Y1 (ko) 2001-12-19 2001-12-19 교통사고 예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4427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315B1 (ko) 2007-11-28 2009-09-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보호 시스템, 보호 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
KR200449792Y1 (ko) * 2009-08-31 2010-08-10 주식회사 태화전력 조명시설과 알림신호등을 구비한 버스승강장
KR101567894B1 (ko) * 2015-07-16 2015-11-11 (주)세이프업 횡단보도의 음성 안내 시스템
KR20160076020A (ko) * 2014-12-19 2016-06-30 (주)엠솔루션 보행자 보호용 교통신호장치
KR20220096660A (ko) 2020-12-31 2022-07-0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교통사고 예방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315B1 (ko) 2007-11-28 2009-09-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보호 시스템, 보호 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
KR200449792Y1 (ko) * 2009-08-31 2010-08-10 주식회사 태화전력 조명시설과 알림신호등을 구비한 버스승강장
KR20160076020A (ko) * 2014-12-19 2016-06-30 (주)엠솔루션 보행자 보호용 교통신호장치
KR101691023B1 (ko) 2014-12-19 2016-12-30 (주)엠솔루션 보행자 보호용 교통신호장치
KR101567894B1 (ko) * 2015-07-16 2015-11-11 (주)세이프업 횡단보도의 음성 안내 시스템
KR20220096660A (ko) 2020-12-31 2022-07-0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교통사고 예방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25564B1 (en) Apparatus for prompting pedestrians
KR100982966B1 (ko) 보행자 보호 장치
US20090135024A1 (en) Display control system of traffic light and display method
KR101673211B1 (ko) 횡단보도 교통사고 예방 방법
KR101125095B1 (ko) 무인 교통 알림장치
KR20160092958A (ko) 교차로 신호위반 교통사고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80002976A (ko) 교통사고를 줄일 수 있는 횡단보도 신호 제어 방법
KR101686820B1 (ko) 횡단보도에서의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지능형 횡단보도 신호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60092957A (ko) 교차로에서 신호위반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교차로 교통신호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90124725A (ko) 횡단보도 경보장치
KR20090028878A (ko) 어린이보호구역 다기능 통합표지판
KR101045569B1 (ko) 횡단보도의 야간정보 제공시스템
KR100923586B1 (ko) 어린이보호구역 내 신호등 판별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정보 표시 방법
KR200274427Y1 (ko) 교통사고 예방장치
KR20100071654A (ko) 교차로에서 차량 또는 사람의 접근을 알려주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00190A (ko) 우회전 차량의 우회전 진입경고신호를 표시하는 교차로 신호등
KR20110055882A (ko) 도로 표지병, 교차로 안전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WO2017167673A1 (en) Glare-based signaling system for intelligent lighting
TW201320022A (zh) 緊急救援警示方法及其系統
KR200218350Y1 (ko) 소통원활화를 기한 교차로통제장치
KR20040068887A (ko) 도로용 교통신호 시스템
KR101218009B1 (ko) 교차로 주행 안전 시스템
KR102549464B1 (ko) 차량 및 보행자 상호인지를 위한 레이더감지 기반의 감응형 볼라드 장치
JPH09312000A (ja) 右/左折車両接近警報方法、並びに右/左折車両接近警報システム
KR102357213B1 (ko) 난입 감지등을 이용한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