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6783B1 - 사이드 보호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이드 보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6783B1
KR101596783B1 KR1020127034399A KR20127034399A KR101596783B1 KR 101596783 B1 KR101596783 B1 KR 101596783B1 KR 1020127034399 A KR1020127034399 A KR 1020127034399A KR 20127034399 A KR20127034399 A KR 20127034399A KR 101596783 B1 KR101596783 B1 KR 101596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elements
seating
ratchet tensione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4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6169A (ko
Inventor
한스-에밀 브라운
베르너 브루너
Original Assignee
페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페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096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6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19Means supported by the building wall, e.g. security cons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04G2005/148Railings latticed or net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Finishing Wall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운반체에 고정되는 안착 요소들을 가지는 건설 현장의 사이드 보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가요성 물질을 각각 포함하는 운반체들은 두 개의 각각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 요소 또는 지지 요소 사이에서 장력이 가해진 상태로 배열되며, 이때 판 형상 또는 창살 형상의 안착 요소들은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적어도 두 개의 운반체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태이다.

Description

사이드 보호 시스템{Side protection system}
본 발명은 복수의 운반체(carrier)에 고정된 안착 요소(securing elements)를 갖는 공사 현장의 사이드 보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사이드 보호 시스템들은 공사 단계 동안 바람의 영향에 의한 사람의 추락 또는 공사 물질의 이탈에 대항하는 역할을 한다.
사이드 보호 시스템들은 예를 들어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는 가드 레일(guard rail), 크로스 바아(cross bar) 또는 창살(grating)이 부착되는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다. 스크류(screws) 및 도웰(dowels)에 의해 통상적으로 효력을 갖게 되는 가드 레일의 고정은 디자인의 측면에서 복잡하고/하거나 비싸다는 점, 그리고 합리적 노력 및/또는 비용으로는 단지 레일 높이의 사이드 보호 시스템이 설치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시스템들의 불이익이 있다. 나아가 바닥과 천정 사이에 수직 기둥을 클램핑 하고 그리고 나서 룸(room) 높이의 사이드 보호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해 이러한 수직 기둥들에 적당한 안착 요소들을 고정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수직 기둥들은 이와 관련하여 안전 리스크(safety risk)를 나타내는 마찰에 의해 바닥과 천정 사이에 단지 유지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요소들이 요구되는 시간 노력에 더하여 불이익한 방식으로 결과를 갖는 도웰과 스크류에 의해 벽 요소 또는 지지 요소에 고정되고, 이러한 목적으로 제공되는 벽 또는 지지 요소의 구멍은 사이드 보호 시스템을 제거한 후에 장식적인 이유로 메꾸어져야 하는 사이드 보호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모든 알려진 사이드 보호 시스템들은, 특히 안착 요소들이 크기에 활용 가능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상태로, 그들에 의해 메꾸어지는 건물 개구들의 다른 크기에 맞추어져야 한다는 불이익을 더 가진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높은 안정성을 담보하면서도 간단한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복잡하지 않은 방식으로 다른 크기에 설치될 수 있는 개선된 사이드 보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는 청구항 1의 특징에 의한 본 발명에 따라 만족될 수 있으며, 특히 가요성 물질(flexible material)을 포함하는 운반체 각각은 두 개의 각각의 벽 요소 또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요소들 사이에서 텐션이 가해진 상태로 배열될 수 있으며, 창살 형태의 안착 요소들은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적어도 두 개의 운반체들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태이다.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져 있고 수직으로 연장되는 강체 기둥(rigid post)으로 통상적으로 디자인되는 운반체들 대신에, 본 발명에 따르면, 상호 이격된 벽 요소들 또는 지지 요소들 사이에서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운반체들이 사용된다. 가요성 물질의 사용으로 인해, 상기 두 개의 벽 요소 또는 지지 요소 사이의 공간에 대응하는 비교적 긴 가요성 운반체의 그러한 단면을 텐션이 가해진 상태로 놓이게 하는 것이 문제가 없기 때문에, 복잡하지 않고 무단계(stepless)의 적용이 적어도 수평 방향으로는 가능해지고, 반면에 상기 가요성 운반체의 나머지 부분은 사용되지 않은 방식으로 자유롭게 늘어질 수 있다. 지지 요소들 또는 좁은 벽 요소들로, 이러한 요소들이 단지 가요성 운반체에 의해 둘러싸여질 수 있고 한편 운반체가 텐션이 가해진 상태에 놓일 수 있기 때문에, 가요성 운반체의 벽 요소 또는 지지 요소에의 고정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르면 매우 유익하다. 이 경우, 가요성 운반체가 스크류나 도웰(dowel)과 같은 추가적인 고정 요소에 의해 벽 요소 또는 지지 요소에 고정되어야 하는 것 없이도, 상기 가요성 운반체는 상기 벽 요소 또는 지지 요소 둘레에 체결되는 루프(loop)를 형성한다. 이 경우, 종래 기술에서 알려진 드릴링(drilling), 도웰 사용 및 나사 형성이 결과적으로 완전히 없어질 수 있다. 동일한 것이 사이드 보호 시스템의 제거 후에 장식적인 이유로 종래에 요구되었던 구멍 또는 도웰 호스(dowel hose)의 폐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며, 이는 벽 요소 또는 지지 요소가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운반체에 의해 둘러싸일 때는 그러한 구멍들이 전혀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운반체가 상기 운반체에 의해 둘러싸여질 수 없는 비교적 넓은 벽 요소에 고정되어야 한다면, 구멍을 피하면서 벽 요소에 클램프(clamp) 또는 페룰(ferrule)을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가요성 운반체는 거기에 고정, 특히 걸릴 수 있다. 이를 대신해서, 적당한 벽 연결 요소를 스크류나 도웰에 의해 벽 요소에 고정하고 그리고 나서 가요성 운반체를 이 벽 연결 요소에 연결하는 것이 자연스럽게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에 따라 구멍이 벽 요소나 지지 요소에 매우 적게 필요하거나 전혀 필요하지 않게 되고, 사이드 보호 시스템의 부착을 위해 바닥 영역 및 천정 영역에는 구멍이 전혀 필요하지 않으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보호 시스템의 설치를 크게 간소화시킨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보호 시스템은 다른 크기의 요소의 구비 없이도 가요성 운반체들의 각각 요구되는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어려움 없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가요성 운반체에 의한 벽 요소 또는 지지 요소를 둘러싸는 것에 의해 상기 운반체들이 벽 요소 또는 지지 요소들에 매우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이는 예를 들어 수직으로 연장되는 기둥들이 마찰 잠금(friction locking)으로 바닥과 천정 사이에 매우 밀집한 사이드 보호 시스템과 관련하여 실질적인 유리함을 낳는다.
본 발명에 따른 운반체는 조립자가 그 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바닥 거푸집의 레일 요소에 의해 보호될 때 벽 요소들 또는 지지 요소들에 고정될 수 있다는 것이 더욱 유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보호 시스템의 설치는 다음 천정이 콘크리트로 형성되기 전에도 가능하고 그에 따라 조립자의 안전이 항상 보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보호 시스템의 조립자의 안전은 조립자가 그의 보호 장비를 본 발명에 따른 미리 조립된 운반체에 걸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종래 기술에서 자주 일어나는 바와 같이 사이드 보호 시스템의 요소가 중공 금속 부재에 연결되어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보호 시스템은 매우 작은 소음을 일으킨다.
본 발명은 가요성 운반체가 직물 재지로 형성되고 벨트 형태로 디자인 되면 더욱 유리하게 구현될 수 있다. 그러한 운반체는 바람직하게는 몇 센티미터의 폭 및/또는 최대 5㎜ 두께일 수 있다. 그러한 운반체들은 안정적이고 저렴한 형태로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며, 말려진 상태로 공간 절약 방식으로 이송 및 보관이 가능하고, 또한 상업적인 래칫 텐셔너(ratchet tensioner)(참고: 여기서 래칫은 한 쪽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는 톱니바퀴 구조를 의미하여, 래칫 텐셔너는 래칫을 이용하여 장력(텐션)을 가하는 장치임)에 의해 텐션이 가해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보호 시스템은 작은 경제적 비용으로 활용 가능하다.
그러나, 벨트 타입의 운반체를 대신하여, 운반체는 로프(rope)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보호 시스템의 특히 경제적인 변형으로, 가요성 물질을 포함하는 운반체는 두 개의 벽 요소 사이에 배열되는 운반체를 텐션이 가해진 상태로 설치할 수 있는 정확히 하나의 래칫 텐셔너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운반체 부분의 자유 단은 구멍(eyelet)을 가질 수 있고 다른 운반체의 자유 단은 상기 구멍을 통해 이동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 고리를 가질 수 있다. 한 명의 조립자에 의해 어려움 없이 조립될 수 있는 이 실시예는 도 13을 참조로 하여 뒤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 대신에, 가요성 물질을 포함하는 각 운반체는 하나 이상의 래칫 텐셔너를 가진다. 가장 간단한 케이스로, 두 개의 벽 요소 또는 지지 요소는 하나의 래칫 텐셔너를 이용하여 텐션이 가해진 상태로 설치된 하나의 루프 내에 위치한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보호 시스템의 설치를 위해 적은 수의 래칫 텐셔너가 필요하나; 비록 안착 요소들을 고정기 위해 하나의 그러한 부분이 충분하기는 하지만, 두 개의 운반체 부분은 공통된 루프 내에 위치하는 두 개의 벽 요소 또는 지지 요소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항상 평행하게 연장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큰 운반체 길이가 요구된다. 더욱이, 운반체는 벽 요소 또는 지지 요소에 고정되기 전에 중력에 의해 아래로 미끄러지려는 경향을 나타내기 때문에, 한 면의 조립자에 의해 조립되기 어렵다는 것이 이 변형예에서 불이익하다.
운반체를 두 개의 벽 요소 또는 지지 요소 사이에서 고정하고 텐션이 가해진 상태로 만들기 위한 다른 대체적인 가능성은 운반체의 부분이 래칫 텐셔너에 의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첫 번째 벽 요소 또는 지지 요소에 대해 텐션이 가해진다는 사실; 및/또는 운반체의 부분이 래칫 텐셔너에 의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두 번째 벽 요소 또는 지지 요소에 대해 텐션이 가해진다는 사실; 및/또는 운반체의 부분이 상기 운반체의 두 개의 추가 부분 사이 또는 상기 운반체의 추가 부분과 수직으로 연장되는 벽 요소 또는 지지 요소 사이에서 텐션이 가해진다는 사실을 포함한다.
다음에서, 간명화를 위해, 래칫 텐셔너에 의해 벽 요소 또는 지지 요소에 대해 텐션이 가해지는 운반체 부분은 "지지 벨트(support belt)"로 명명되며, 두 개의 벽 요소 또는 지지 요소 사이에서 연장되는 운반체 부분은 "수평 벨트(horizontal belt)"로 명명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위 지지 벨트 또는 수평 벨트를 로프(rope)로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래칫 텐셔너가 운반체의 복수의 부분에 사용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따르면, 개별 지지 벨트가 클램핑 타이트(clamping tight)에 의해 하나의 개별 벽 요소 또는 지지 요소에 하나의 래칫 텐셔너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이러한 지지 벨트들 각각은 한 개, 두 개 또는 세 개의 구멍을 가질 수 있으며, 수평 벨트가 간단한 방식으로 그에 고리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두 개의 지지 벨트 사이에서 연장되는 그러한 수평 벨트는 세 번째 래칫 텐셔너에 의해 텐션이 가해질 수 있으며, 이때 총 세 개의 부분(두 개의 지지 벨트 및 하나의 수평 벨트)을 포함하는 운반체는 완전히 조립된다. 이러한 지지 벨트들의 미끌어짐이 미리 이루어진 지지 벨트의 벽 요소 또는 지지 요소에의 클램핑 타이트에 의해 안정적으로 방지되기 때문에, 그러한 조립은 한 명의 조립자에 의해 간단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벨트 두 개의 벽 요소 또는 지지 요소 중 하나에서만 래칫 텐셔너에 의해 텐션이 가해지고, 그때 수평 벨트는 지지 벨트에 고정되고 다른 벽 요소 또는 지지 요소 둘레에 감겨지고, 지지 요소로 다시 안내되며, 거기에 마지막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나서, 이 수평 벨트 팬(fan)은 래칫 텐셔너에 의해 텐션이 가해지는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세 번째 래칫 텐셔너의 사용은 절약되며, 그러나 수평 벨트의 더 큰 길이가 요구된다.
지지 벨트의 사용을 대신하여, 운반체 또는 수평 벨트가 벽 요소에 클램프되거나 스크류 결합되는 벽 연결 요소에 고정될 수 있다. 벽 요소가 매우 큰 둘레를 가지는 지지 벨트가 필요하도록 크기가 정해진 경우에, 이것이 특히 합리적이다. 이때 수평 벨트는 두 개의 벽 연결 요소 사이 또는 벽 연결 요소와 지지 벨트 사이 중 어느 하나에 클램프될 수 있다.
그것은 벽 연결 요소가 안착 요소의 함몰부(recess)와의 체결을 위한 고정 부분을 가지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경우, 고정 부분은 안착 요소의 고정에서 안착 요소의 함몰부 내로 안내되며, 그에 반에 안착 요소는 운반체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고정된다. 벽 연결 요소를 동반하는 벽 요소와 인접하는 안착 요소 사이에 너무 큰 간격이 생기는 것이 이러한 방식으로 회피된다. 더욱이, 이 안착 요소의 이어지는 미끄러짐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이 경우, 벽 연결 요소는 따라서 두 가지 기능을 갖는다. 한편으로, 그것은 운반체 또는 수평 벨트를 위한 고정 가능성을 제공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것은 안착 요소를 고정한다.
창살 형상의 안착 요소들의 사용에서, 고정 부분은 안착 요소에 구비되어야 하는 특별한 함몰부 없이 창살 격자(grating grid)에 존재하는 함몰부에 간단히 체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안착 요소들은 그 크기가 운반체의 단면에 맞춰지는 개방 또는 폐쇄 구멍을 각각 가지는 결합 요소들을 사용하는 운반체에 고정된다. 이때 결합 요소들은 간단한 벤딩 와이어 파트(bending wire part)로 디자인될 수 있다. 결합 요소들의 작용은 운반체에 수직 또는 안착 요소들의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안착 요소들의 운동을 방지한다는 사실을 포함한다. 이 목적을 위해, 도면의 도시의 측면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적당한 래치 연장부는 결합 요소의 구멍에 구비된다.
폐쇄 구멍의 사용에서, 운반체를 벽 요소들 또는 지지 요소들에 부착하기 전에 결합 요소들을 운반체에 엮는 것이 필요하며, 이것은 결합 요소가 더 이상 분리되고 분실될 수 있는 부품이 아니라는 장점을 낳는다. 개방 구멍의 사용에서, 대조적으로, 결합 요소들을 미리 텐션이 가해져 있는 운반체들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운반체 또는 수평 벨트가 특별히 큰 길이 이상으로 텐션이 가해지면, 결합 요소를 이용하여 운반체를 추가적으로 구비된 천정 지지부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때 결합 요소는 운반체의 추가적인 수직 지지를 달성하기 위해 천정 지지부와 같은 것의 위치 구멍(locating hole)에 유입되는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소위 결합 요소들에 의한 안착 요소의 운반체들과의 조립에서, 안착 요소들은 건물의 내측 사이드로부터 운반체들에 기대어지고 그리고 나서 결합 요소들을 사용하여 상기한 운반체에 고정된다. 대응하는 창살 격자를 가지는 창살 형태의 안착 요소가 사용될 때, 이것들은 결합 요소들에 의해 특정 공간 위로 수직 방향으로 여전히 접근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이동 가능한 안착 요소들은 수직 방향으로 지면에 지지된다.
그것은 결합 요소가 구멍에 의한 면에 경사지게 연장되는 래치 연장부(latch prolongation)를 가지는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벨트 형상의 운반체에 연결된 결합 요소는 결합 요소와 안착 요소 사이의 총검 잠금(bayonet locking)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운반체의 작은 변형으로 상기 벨트 형태의 운반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축에 대해 회동(pivot)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회동을 허용하기 위해, 결합 요소에 조립자가 결합 요소를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추가적인 핸들 부분을 제공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결합 요소의 마지막 실시예는 도면의 도시의 측면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상기한 결합 요소들의 사용을 대신하여, 안착 요소들은 또한 거기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구멍을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의 운반체는 상기 구멍에 엮어질 수 있다.
그것은, 상호 인접하는 안착 요소들이 회동 가능하게 상호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으며, 특히 고리 가능하게(hookable) 연결될 수 있으며, 그 때 각 안착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한 길이방향 사이드에는 고리를 가지고 다른 길이방향 사이드에는 구멍을 가지는 상태인 경우에, 특히 유익하다. 그러나, 인접하는 안착 요소들은 줄 연결구(cable binder), 벨트(belt) 클램핑 벨트(clamping belt), 와이어(wire) 또는 로프(rope)에 의해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 역시 동등하게 가능하다. 이때 예를 들어, 창살 형태의 안착 요소들로, 개별 상호 마주하는 가장 외측의 수직 버팀대들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회동 가능하게 상호 연결된 복수의 안착 요소들은 그 결합 라인을 따라 연장되는 축에 대해 회동 가능하며 그에 따라 콘서티나 원리(concertina principle)(참고: 콘서티나는 아코디언의 일종인 기명악기임)에 따라 서로 다른 폭들에 간단한 방식으로 무단계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결합 요소들을 사용하여 각 안착 요소를 운반체들에 고정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상호 결합된 안착 요소는, 이들 두 개의 안착 요소가 그들 근처의 추가 안착 요소들에 의해 충분히 고정되기 때문에, 오히려 운반체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V자 형으로 텐션이 가해진 운반체로부터 멀어지게 구부러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추가 안착 요소들은 결합 요소들을 사용하여 텐션이 가해진 운반체에 부착된다. 다른 폭 적용은 구부러진 각도의 따라 운반체로부터 구부러진 V자 형의 안착 요소들에 의해 문제없이 달성될 수 있다. 게다가, 예를 들어 수평 방향으로 상호 인접하는 안착 요소들의 순서를 방해하지 않고 기둥 및 지지부 주변에 설치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 목적으로 위해, 요구되는 바와 같이, 세 개 이상의 안착 요소들이 운반체로부터 멀어지게 구부러질 수 있다.
각 안착 요소가 하나의 길이방향 사이드에 서로 이격되는 두 개의 고리 요소를 가지고 나머지 길이방향 사이드에 대응되게 서로 이격되는 두 개의 구멍 요소를 가지며, 그때 두 개의 고리 요소의 자유 단 부분들은 바람직하게는 다른 길이로 형성될 수 있는 상태인 경우에 유익하다. 안착 요소의 두 개의 고리 요소를 인접하는 안착 요소의 두 개의 구멍 요소에 유입하는 것에 있어서, 조립자는 우선 더 긴 자유 단 부분을 가지는 고리 요소의 걸림에 집중할 수 있다. 이 자유 단 부분이 연관된 구멍 요소에 유입될 때, 더 짧은 자유 단 부분을 갖는 다른 고리 요소는 인접하는 안착 요소의 두 번째 구멍 요소에 문제없이 걸려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호 인접하는 안착 요소들의 결합이 한 명의 조립자에 의해 특별히 간단하게 수행될 수 있다.
서로 고리 연결된 복수의 안착 요소의 한 행의 고리 요소들은 교대로 위 방향 및 아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이때 특히 모든 안착 요소들이 서로 동일하게 디자인 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와 관련하여 안착 요소들의 상호 동일한 디자인은, 서로 다른 안착 요소가 제조되어야 하고 유지되어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저렴한 제조 및 보관이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이를 대신하여,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예를 들어 서로 상호 인접하게 결합된 안착 요소들의 각각 다른 타입들로 두 개의 서로 다른 타입의 안착 요소들을 제공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안착 요소들의 고리 요소들이 위 방향 및 아래 방향으로 교대로 연장되면, 안착 요소들이 운반체에 고정되기 전에 서로 짝으로 고리 연결되고 그리고 나서 안착 요소들의 쌍으로서 운반체에 미리 고정된 안착 요소들에 결합되는 것이면 유익하다. 이와 관련하여, 운반체에 장착된 첫 번째 안착 요소의 방향에 따라, 운반체에 미리 고정된 안착 요소들에 위에서부터 또는 아래에서부터 안착 요소들의 쌍들을 엮는 것이 가능해진다. 안착 요소들이 바닥에 지지되면, 그것들은 일반적으로 위에서부터 엮어지고; 만약 그것들이 천정에 인접하면, 그것들은 아래에서부터 엮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 번째 안착 요소들을 바닥에 지지하고 두 번째 안착 요소들의 수평 버팀대들을 힘 전달(force transmission)로 첫 번째 안착 요소들의 수평 버팀대들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때 특별히 첫 번째 및 두 번째 안착 요소들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는 상태이다. 힘 전달 연결은 임의의 원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특별히 줄 연결구, 벨트, 클램핑 벨트, 와이어 또는 로프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수단들은 개별 환경에서 두 개의 수평 버팀대들을 서로 연결하는 루프의 길이를 변경 적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수직 방향으로 중첩되는 안착 요소들의 행의 그러한 배열은 룸 높이의 사이드 보호가 설치되었을 때 특별히 합리적이다.
힘 전달 연결의 구비 대신에, 두 번째 안착 요소들은 첫 번째 안착 요소들을 운반체에 고정하는 결합 요소들에 지지될 수도 있다.
수직 방향으로 상호 어긋나도록 배열된 안착 요소들의 행들이 위에서 언급된 방식으로 힘 전달로 서로 연결되면, 총 네 개의 안착 요소 중 각각 두 개가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고 동시에 각각 두 개가 수직 방향으로 상호 중첩되고 수직 버팀대들이 힘 전달로 서로 연결되는 영역에서 전체 배열의 추가적인 안정성이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모든 네 개의 안착 요소들의 수직 버팀대들이 예를 들어 줄 연결구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는 점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그 높이가 수평 버팀대들 사이에서 힘 전달 연결의 루프 길이에 의해 개별적으로 설정될 수 있는 네 개의 안착 요소들의 그룹화가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안착 요소들은 바람직하게는 창살 형태로 디자인될 수 있다. 그러나, 프레임, 목재 플레이트, 플라스틱 플레이트, 플렉시유리(plexiglas) 플레이트 등에서 이어지는 그물을 사용하는 것이 동등하게 가능하다.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위에서 설명된 안착 요소들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체 없이 통상의 펜스(fence) 요소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장점은 또한 단지 매우 적은 다른 부품들이 요구된다는 사실에서 볼 수 있다. 간격(gap) 없이 작은 노력으로 임의의 원하는 크기의 구조에서 개구를 폐쇄하기 위해 상호 동일하게 각각 만들어진 안착 요소들, 기둥 벨트들, 수평 벨트들, 벽 연결 요소들 그리고 결합 요소들의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들 및 도면의 설명에서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이하에서 더욱 상게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안착 요소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안착 요소의 삼차원 도면이다.
도 3은 두 개의 안착 요소 사이의 제1 결합 영역의 삼차원 상세 도면이다.
도 4는 두 개의 안착 요소 사이의 제2 결합 영역의 삼차원 상세 도면이다.
도 5는 도 1 내지 4에 따른 네 개의 상호 결합된 안착 요소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세 개의 상호 결합된 안착 요소의 삼차원 도면이다.
도 7은 서로에 대해서 회동 연결된 세 개의 상호 결합된 안착 요소의 삼차원 도면이다.
도 8은 운반체에 고정된 상호 결합된 안착 요소의 삼차원 도면이다.
도 9는 운반체에 고정된 상호 결합된 안착 요소의 추가 삼차원 도면이다.
도 10은 안착 요소의 행(row)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보호 시스템의 삼차원 도면이다.
도 11은 안착 요소의 두 개의 행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보호 시스템의 삼차원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보호 시스템에 의해 둘러싸인 열(column)의 삼차원 도면이다.
도 13은 그 사이에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운반체가 텐션(tension)이 가해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두 개의 칼럼의 삼차원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안착 요소의 스택(stack)의 삼차원 도면이다.
도 1 및 3은 수직 버팀대(vertical strut)(12)와 수평 버팀대(horizontal strut)(14)로 이루어지는 창살(grating) 형태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안착 요소를 보여준다. 이러한 안착 요소(10)는 예를 들어 200㎝ x 60㎝의 규격과 대략 7.5㎏의 무게를 가져서 한 명의 조립자에 의해 쉽게 다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규격 및 무게도 동등하게 가능하다. 수직 버팀대(12) 및 수평 버팀대(14)에 의해 정의된 창살 격자(grating grid)는 예를 들어 20㎜ x 100㎜가 될 수 있다. 다른 규격 또한 가능하다.
기본 형태가 사각형 형상인 이러한 안착 요소는 운반체(carrier)를 수직 또는 수평으로 연장하기 위해 수직 배열 및 수평 배열로 본 발명에 따라 고정될 수 있다.
맨 위에서 두 번째의 수평 버팀대(14)는 그 좌측 단이 길고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유 단 부분(18)을 갖는 고리(hook) 요소(16)로 형성된다. 대응하는 방식으로, 맨 아래에서 두 번째의 수평 버팀대(14)의 좌측 단은 짧고 수직 방향 위로 돌출되는 자유 단 부분(free end section)(21)을 갖는 추가 고리 요소(19)로 디자인된다.
자유 단 부분(18, 21)은 주변 사이드에서 안착 요소(10)의 함몰부(recess)(20) 내에 위치되어 수직 버팀대(12)의 패턴을 근본적으로 연장시킨다. 이러한 배열은 두 개의 안착 요소(10)를 그 사이의 적절한 간격(gap)의 형성 없이 결합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고리 요소(16, 19)에 마주하게 배치되는 각각의 수평 버팀대(14)의 단들(ends)은 두 개의 안착 요소(10)의 대략 간격 없는 결합을 가능하게 하도록 하기 위해 안착 요소의 주변 사이드 함몰부(marginal-side recess)(24) 내에 마찬가지로 배치되는 구멍(eyelet) 요소(22)로 각각 디자인된다. 구멍 요소(22)는 수직 버팀대(12)와 수평 버팀대(14)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평면에서 연장되어 추가 안착 요소(10)의 두 개의 고리 요소(16, 19)는 도 1 및 2에 도시된 안착 요소의 구멍 요소(22) 내로 문제 없이 유입될 수 있다.
고리 요소 및 구멍 요소(12, 19, 22)를 구비하는 두 개의 수평 버팀대(14)는 각각 두 부분으로 형성되어 안착 요소(10)의 중심에서 중첩되게 형성되어 이들 수평 버팀대(14)의 두 부분의 제조를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수평 버팀대(14)의 단일부(single-part) 디자인 역시 가능하다. 이들 수평 버팀대(14)의 두 개의 부분 중 하나는 고리 요소(16, 19)를 가지고 나머지 하나는 구멍 요소(22)를 각각 가진다.
도 3은 우측에 도시된 추가 안착 요소(10)의 구멍 요소(22) 속으로 위에서부터 유입되는 짧은 자유 단 부분(21)을 갖는 고리 요소(19)에 의해 걸려지는 안착 요소(10)를 좌측에 보여준다. 이 때 자유 단 부분(21)은 수직 방향 아래 방향으로 연장된다.
대응되는 방식으로, 도 4는 우측에 도시된 추가 안착 요소(10)의 구멍 요소(22) 속으로 아래에서부터 유입되는 긴 자유 단 부분(18)을 가지는 고리 요소(16)에 의해 안내되는 안착 요소(10)를 좌측에 보여준다. 이 때 자유 단 부분(18)은 수직 방향 위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 한편으로는 도 3 및 4는 안착 요소들(10)이 미리 조립되어 있는 안착 요소들(10)의 구멍 요소들 내측으로 위 방향(도 3) 및 아래 방향(도 4)에서부터 그들의 고리 요소들(16, 19)로 유입되는 방식으로 미리 조립된 안착 요소들(10)에 조립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안착 요소들(10)을 끼우거나 엮어서 미리 조립된 안착 요소들(10)의 고리 요소들(16, 19) 위로 위에서부터 또는 아래에서부터 그들의 구멍 요소(2)에 의해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대신에 자연스럽게 가능하다.
도 3 및 4는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된 주변 사이드에서의 함몰부들(20, 24)이 이웃하는 수직 버팀대(12) 사이의 공간보다 실질적으로 큰 공간이 상호 결합된 안착 요소들(10) 사이에 존재하기 않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매우 큰 전면적인 창살 격자가 결합된 안착 요소들(10)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5는 평면에서 본 네 개의 상호 결합된 안착 요소들(10)을 보여주며, 여기서 개별 상호 연속되는 안착 요소들(10)의 고리 요소들(16, 19)은 교대로 위 방향 및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쉽게 보여질 수 있다. 다음 과정들이 도 5에 따른 안착 요소들(10)의 조립에 이어진다.
예를 들어, 좌측에 도시된 안착 요소(10)가 이미 조립되어 있고 또한 모든 안착 요소들(10)이 바닥 면에 지지되어야 한다면, 두 개의 가운데에 있는 안착 요소들(10)은 서로 걸려지고 좌측에 도시된 안착 요소(10)의 고리 요소(16, 19)에 위에서부터 쌍으로 엮어진다. 그리고 나서, 안착 요소들(10)의 추가 쌍 또는 개별 안착 요소(10)가 도 5의 좌측에서 세 번째의 안착 요소(10)의 고리 요소들(16, 19)에 위에서부터 엮어진다.
안착 요소들(10)이 천정에 인접하게 조립되어야 하고 또한 예를 들어 좌측에 도시된 두 개의 안착 요소들(10)이 이미 조립되어 있다면, 우측에 도시된 두 개의 안착 요소들(10)은 먼저 서로 걸려지고 그리고 나서 도 5에 따른 좌측에서 두 번째의 안착 요소(10)의 고리 요소들(16, 19)에 아래에서부터 쌍으로 엮어진다. 이에 따라, 추가 안착 요소들은 도 5에 도시된 안착 요소들에 쌍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고리 요소들(16)은 고리 요소들(19)보다 더 긴 자유 단 부분(18)을 가지기 때문에, 조립자는 먼저 자유 단 부분(18)에 구멍 요소(22)를 엮는 것에 집중해야 하고 그리고 나서 자유 단 부분(21)에 추가 구멍 요소들(22)을 엮는 것에 집중해야 한다. 첫 번째 구멍 요소(22)는 두 번째 엮음(threading)이 진행되는 동안 고리 요소(16)에 이미 연결됨으로써 조립자는 고리 요소(16)에 두 번째 구멍 요소(22)를 엮는 것에 집중할 수 있다. 동일한 것이 구멍 요소들(22)에 고리 요소들(16, 19)을 끼우는 것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도 6은 도 5에 따른 배열의 삼차원 도시를 보여주며, 그러나 여기서는 단지 세 개의 안착 요소(10)가 나타나 있다.
도 7은 콘서티나(concertina)와 같이 서로를 향해 기울여진 세 개의 안착 요소들(10)의 삼차원 도시를 보여준다. 이러한 기울어짐은 구멍 요소들(22)에 유입된 고리 요소들(16, 19)이 고리 요소들(16, 19)의 자유 단 부분들(18, 21)의 축에 대해서 안착 요소들의 회동(pivoting)을 허용하는 경첩(hinge)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가능하다. 상호 결합된 복수의 안착 요소들(10)의 전체 폭(width)이 이러한 회동 가능성으로 인해 무단계적으로(steplessly) 설정될 수 있다. 이때 확대된 회동 각은 그러한 행(row)의 전체 폭의 감소를 야기한다. 나아가, 이러한 회동은, 예를 들어 도 12와 관련하여 뒤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라 결합되는 안착 요소들(10)을 기둥(column) 주위에 설치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게 한다.
도 8은 고리 요소(16)와 구멍 요소(22)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수평 방향으로 장력(tension)이 가해진 상태로 설치된 벨트 형(belt-shaped) 운반체(26)에 고정되는 두 개의 안착 요소들(10)을 보여주며, 여기서 내측 건물 사이드가 도시되어 있다. 외측 건물 사이드는 도 9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도시된 고리 요소(19)와 구멍 요소(22)에 의해 두 개의 안착 요소들(10)이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운반체(26)는 안착 요소들(10)의 전방에서 연장되나, 도 8에서는 안착 요소들(10)의 후방에서 연장된다.
도 8 및 도 9에 따르면, 개별 안착 요소(10)는 결합 요소(coupling element)(28)에 의해 운반체(26)에 연결되고, 결합 요소(28)는 도 8 및 도 9에서 서로 동일하게 디자인되어 있다.
결합 요소(28)는 그 공간이 벨트 형 운반체(26)의 단면에 맞춰진 개방 구멍(open eyelet)(30)을 가진다. 결합 요소(28)의 구멍(30)이 장력이 가해지기 전의 운반체(26)에 엮어질 수도 있고 또는 이미 장력이 가해진 운반체(26)가 구멍(30)의 개구(opening)를 통해서 일정 정도의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구멍에 유입될 수도 있다(도 8에 보여짐). 운반체(26)가 벨트 형상을 가지고 구멍(28)이 운반체(26)의 형상에 맞춰져 있기 때문에, 결합 요소(28)를 장력이 가해진 운반체(26)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큰 각도 범위에서 회전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구멍(30)으로부터 안착 요소(10)에 대해 수직 버팀대들(12)을 통해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결합 요소(28)의 연장부(prolongation)(32)는 비교적 안정적인 방식으로 그 위치에 유지된다. 연장부(32)는 실질적으로 U자 형상으로 굽어지고 이에 의해 조립자가 결합 요소(28)를 잡을 수 있게 되고 운반체(26)의 약간의 변형으로 연장부(32)의 축에 대해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 부분(handle section)(34)으로 이어진다.
걸쇠 연장부(latch prolongation)(36)는 손잡이 부분(34)에 붙어 있고 구멍(30)에 의한 면에 경사지게 연장되며 그에 따라 그것으로부터 수직 버팀대(12) 뒤에 있는 운반체(26)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안착 부분(securing section)(38)과 연결되며, 그에 따라 총검 잠금(bayonet lock) 연결이 결합 요소(28), 운반체(26) 및 안착 요소(10) 사이에 형성된다.
운반체(26)와 안착 요소(10)의 연결을 형성한 후에, 안착 요소(10)는 건물의 내측 사이드로부터 운반체(26)에 기대어짐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결합 요소(28)의 손잡이 부분(34)은 안착 요소의 두 개의 수직 버팀대(12) 사이로 연장된다. 그리고 나서, 조립자는 손잡이 부분(34)을 잡고 걸쇠 연장부(36)가 수직 방향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그것을 도 8에 도시된 배열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관련하여, 벨트 형상 운반체(26)는 구멍(30)에 의해 약간 변형된다. 이 위치에서, 그에 연결되는 안착 부분(38)을 갖는 걸쇠 연장부(36)는 운반체(26)의 수직 버팀대(12)가 접촉될 때까지 안착 요소(10)의 두 개의 수직 버팀대(12)를 통해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조립자는 다시 손잡이 부분(34)을 놓고, 그때 장력(tension)이 가해진 상태의 운반체(26)는 다시 해제되고 그에 의해 구멍(30)을 수직으로 정렬시킨다. 이것은 안착 부분(38)을 가지는 걸쇠 연장부(36)가 뒤에 있는 수직 버팀대(12)와 체결되고 그에 의해 안착 요소(10)를 운반체(26)에 고정하게 되는 도 8에 도시된 위치로 다시 이동하는 결과를 낳는다.
안착 요소(10)와 운반체(26)의 결합 해제는 반대 순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결합된 안착 요소들(10)의 행의 각각의 안착 요소(10)를 결합 요소들(28)에 의해 운반체(26)에 고정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다. 오히려 안착 요소들(10)이 대신 운반체(26)에 결합된 안착 요소들(10)에 고리 연결(16, 19, 22)에 충분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간편하게 절약될 수 있다.
도 10은 아치 형상(arched)의 정면으로 형성되며 바닥(42), 천정(44) 및 두 개의 기둥(46)에 의해 경계가 형성되는 건물 개구(40)를 보여준다.
수직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세 개의 기둥 벨트(column belt)(48) 각각은 래칫 텐셔너(ratchet tensioner)(50)에 의해 양 기둥(46)에 고정된다. 기둥 벨트(48)는 각각 수평 벨트(54)의 단(end)이 걸릴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52)을 각각 가진다.
같은 높이에 위치하는 두 개의 기둥(46)의 두 개의 기둥 벨트(48)는 마찬가지로 두 개의 기둥(46) 사이에서 장력이 가해질 수 있는 각각의 래칫 텐셔너(50)를 가지는 수평 벨트(54)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두 개의 기둥 벨트(48) 및 하나의 수평 벨트(54)의 유닛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체(26)를 나타낸다. 그러한 운반체(26)의 조립에서, 두 개의 기둥 벨트(48)는 그들의 래칫 텐셔너(50)에 의해 기둥들(46)에 고정된다. 그리고 나서, 두 개의 단을 가지는 수평 벨트(54)가 기둥 벨트들(48)의 구멍(52)에 삽입되어 걸리고 그리고 나서 래칫 텐셔너(50)에 의해 장력이 가해진다. 이 과정이 한 명의 조립자에 의해 문제 없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의 외측 우측 영역에서 기둥 벨트들(48)은 각각 도 10에 도시되지 않으며 도 10의 우측 기둥의 우측에 위치할 수 있는 기둥으로 연장될 수 있는 추가 수평 벨트(54)가 걸릴 수 있는 추가 구멍(52)을 각각 가질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보호 시스템이 수평 방향으로 원하는 대로 연장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천정 지지부(56)는 도 10에 따라 두 개의 기둥(46) 사이의 대략 중심부에 배열될 수 있으며, 수평 벨트들(54)이 천정 지지부(56)를 건물 외측 사이드에서 접촉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수평 벨트들(54)은 천정 지지부의 영역에서 아래 방향으로 약간 구부러질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보호 시스템은 건물 외측 사이드에서 최대 폭으로 연장되어 건물 내부의 작업 공간이 제한되지 않는다. 게다가, 수평 벨트(54)는 결합 요소(28)에 의해 천정 지지부에서 수장 방향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예를 들어 이것에 의해 추가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안착 요소들(10)은 도 8 및 9에 따른 결합 요소들(28)에 의해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두 개의 하부 수평 벨트(54)에 결합된다. 이와 관련하여,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모든 안착 요소(10)를 수평 벨트들(54)에 연결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예를 들어 천정 지지부(56)의 영역 또는 칼럼(46)의 영역에 위치하는 안착 요소들은 수평 벨트들(54)에 직접 결합되지 않고 다소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0에 따른 맨 위의 수평 벨트(54)의 기능은 실질적으로 도 10의 도시에 대응하나 안착 요소들(10)의 상부 행(upper row)을 가지는 도 11의 도시로부터 나타난다. 도 10과 대조적으로, 룸 높이(room-high)의 사이드 보호가 서로 상하로 배열되는 안착 요소들(10)의 두 개의 중첩되는 행에 의해 달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안착 요소들(10)의 상부 행은 결합 요소(28)에 의해 상부 두 개의 수평 벨트(54)에 연결된다. 상부 행의 안착 요소들(10)의 고유 무게는 중앙 수평 벨트(54)에 결합되는 결합 요소(28)에 의해 더해진다. 안착 요소들(10)의 상부 행의 수평 버팀대들(14)은 이러한 결합 요소들(28) 또는 그들의 연장부(12)(도 8 참조)에서 지지된다. 위에서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힘 전달이 일어나도록 서로 상하로 중첩되는 하부 및 상부 안착 요소들(10)의 인접한 수평 버팀대들(14)을 예를 들어 줄 연결구(cable binder)에 의해 연결하는 것이 대안적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 가능하다.
도 12는 사각형 또는 둥근 기둥(46)이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보호 시스템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는 방식을 나타낸다. 그로부터 수평 벨트들(54)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 벨트(48)는 래칫 텐셔너(50)에 의해 기둥(46)에 단단하게 고정된다. 도 12는 우측에서 두 번째의 안착 요소(10)뿐만 아니라 가장 좌측의 안착 요소(10)가 각각 하나의 수평 벨트(54)에 결합 요소들(28)에 의해 고정된다. 이와 관련하여 우측에 도시된 결합 요소(28)는 각 안착 요소(10)의 가장 외측의 수직 버팀대(12)의 영역에 구비되어 이 수직 버팀대(12)에 대해 수평 벨트(54)로부터 회동 가능하다. 가장 좌측에 도시된 안착 요소(10)에 연결되는 두 개의 안착 요소(12)는 수평 벨트(54)에 결합되지 않음으로써 도 12에 따른 안착 요소들(10)의 전체적인 구부러진 양이 기둥(46)이 형성되는 정도까지 도달할 수 있다.
도 13은 상호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며 그 사이에 운반체(26')가 장력이 가해진 상태로 설치되는 두 개의 기둥(46)을 보여준다. 이 때 운반체(26')는 두 개의 운반체 부분이 래칫 텐셔너(50)에 의해 서로를 향해 장력이 가해질 수 있는 상업적 방식으로 고정되는 래칫 텐셔너(50)를 포함한다. 첫 번째 짧은 운반체 부분은 래칫 텐셔너로부터 멀리 있는 자유 단에 구멍(58)을 가지며, 이에 반해 두 번째 긴 운반체 부분은 래칫 텐셔너로부터 멀리 있는 자유 단에 고리(hook)(60)를 가진다. 더욱이, 추가 구멍(59)이 긴 운반체 부분에 엮어진다.
바람직하게 단일의 조립자에 의해 수행되는 다음의 과정들이 운반체를 기둥(46)에 부착하는 데에 이어진다.
긴 운반체 부분이 기둥 둘레에 둘러쳐지며, 정면에서 고리(60)로 구멍(58)을 통해서 엮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둥(46)을 둘러싸는 루프(loop)가 형성된다. 긴 운반체 부분에 엮어지는 추가 구멍(59)이 위치됨으로써 마주하는 구멍(58)에 실질적으로 놓이게 된다. 그리고 나서, 고리(60)가 미리 조립된 운반체(26'')의 구멍(59')에 걸리고, 그때 래칫 텐셔너(50)에 의한 운반체(26')의 장력이 형성된다. 이 장력 형성 과정은 긴 운반체 부분이 구멍(58)에서 바람직하게 자유롭게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결과를 낳으며, 한편으로는 두 개의 기둥(46) 사이에 위치하는 그 운반체 영역의 장력 형성, 다른 한편으로는 기둥(46)을 둘러싸는 루프의 구속하는 조임(binding tight)을 낳는다. 완전한 운반체(26')는, 동시에 최소한의 운반체 길이가 요구되는 상태로, 이에 따라 장력이 가해지며 단일의 래칫 텐셔너의 작동에 의해 기둥들(46) 사이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도 13의 운반체 설치는 유익한 방식으로 위에서 설명한 모든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에서 설명된 안착 요소들(10)이, 특별히 공간 절약의 방식으로 유익하게, 적층되고, 보관되고, 이동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떠한 원하는 변형이 청구항에 속하면서 가능하다.
10 안착 요소
12 수직 버팀대
14 수평 버팀대
16 고리 요소
18 자유 단 부분
19 고리 요소
20 주변 함몰부
21 자유 단 부분
22 구멍 요소
24 주변 함몰부
26, 26' 26'' 운반체
28 결합 요소
30 구멍
32 연장부
34 손잡이 부분
36 걸쇠 연장부
38 안착 부분
40 건물 개구
42 바닥
44 천정
46 기둥
48 기둥 벨트
50, 50' 래칫 텐셔너
52 구멍
54 수평 벨트
56 천정 지지부
58, 58' 구멍
59, 59' 구멍
60 고리

Claims (15)

  1. 복수의 운반체들(26, 48, 54)에 고정되는 안착 요소들(10)을 포함하는 공사 현장의 사이드 보호 시스템으로서,
    가요성(flexible) 물질을 각각 포함하는 상기 운반체들(26, 48, 54)은 두 개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벽 요소 또는 지지 요소(46) 사이에서 장력이 가해진 상태로 정렬되고, 판과 같은 또는 창살과 같은 안착 요소들(10)은 서로 수직으로 이격된 적어도 두 개의 운반체들(26, 48, 54)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보호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운반체(26, 48, 54)는 특히 직물 물질을 포함하고 벨트 형상으로 디자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보호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가요성 물질을 포함하는 운반체(26', 26'')는 정확히 하나의 래칫 텐셔너(50, 50')를 포함하고, 하나의 운반체 부분의 자유 단은 구멍(58, 58')을 가지며 다른 운반체 부분의 자유 단은 상기 구멍(58, 58')을 통해서 이동 가능하도록 크기가 형성되는 고리(6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보호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가요성 물질을 포함하는 운반체(26, 48, 54)는 적어도 하나의 래칫 텐셔너(50)를 포함하며, 특히 상기 운반체(26, 48, 54)의 부분(48)은 래칫 텐셔너(50)에 의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1 벽 요소 또는 지지 요소(46)에 대해 장력이 가해지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보호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운반체는 안착 요소(10)의 함몰부와의 체결을 위한 고정 부분을 갖는 벽 연결 요소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보호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안착 요소들(10)은 상기 운반체들(26, 48, 54)의 단면에 맞추어진 크기를 갖는 개방형 또는 폐쇄형 구멍을 각각 갖는 결합 요소들(28)에 의해 상기 운반체들(26, 48, 54)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보호 시스템.
  7. 제6항에서,
    상기 결합 요소(28)는 상기 구멍(30)에 의한 면에 경사지게 연장되는 래칫 연장부(36)를 가지는 것; 그리고 벨트 형상 운반체(26, 48, 54)에 연결되는 상기 결합 요소(28)는, 상기 결합 요소(28)와 상기 안착 요소(10) 사이의 총검 잠금(bayonet lock) 연결이 형성되도록, 그 작은 변형에 의해 상기 벨트 형상 운반체(26, 48, 54)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축에 대해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보호 시스템.
  8.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상호 인접한 안착 요소들(10)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특히 서로 고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각 안착 요소(10)는 하나의 길이방향 사이드에 고리 요소들(16, 19)을 가지고 다른 길이방향 사이드에 구멍 요소들(22)을 가지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보호 시스템.
  9. 제8항에서,
    각 안착 요소(10)는 하나의 길이방향 사이드에 두 개의 서로 이격된 고리 요소(16, 19)를 가지며 다른 길이방향 사이드에 두 개의 대응하는 서로 이격된 구멍 요소(22)를 가지며, 상기 고리 요소들(16, 19)의 자유단 부분들(18, 21)은 다른 길이로 만들어지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보호 시스템.
  10. 제8항에서,
    상호 고리 연결된 복수의 안착 요소들(10)의 행의 상기 고리 요소들(16, 19)은 위 방향 및 아래 방향으로 교대로 연장되며, 특히 상기 모든 안착 요소들(10)은 서로 동일하게 디자인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보호 시스템.
  11.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첫 번째 안착 요소들(10)은 상기 바닥 측에 지지되고, 두 번째 안착 요소들(10)의 수평 버팀대들은 특히 줄 연결구들(cable binders)에 의해 마찰 전달로 상기 첫 번째 안착 요소들(10)의 인접한 수평 버팀대들(10)에 연결되며, 특히 첫 번째 및 두 번째 안착 요소(10)는 수직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보호 시스템.
  12. 제2항에서,
    상기 운반체(26, 48, 54)는 몇 센티미터 폭 및 최대 5㎜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보호 시스템.
  1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가요성 물질을 포함하는 운반체(26, 48, 54)는 적어도 하나의 래칫 텐셔너(50)를 포함하며, 특히 상기 운반체(26, 48, 54)의 부분(48)은 래칫 텐셔너(50)에 의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1 벽 요소 또는 지지 요소(46)에 대해 장력이 가해지는 상태; 및
    상기 운반체(26, 48, 54)의 부분(48)은 래칫 텐셔너(50)에 의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2 벽 요소 또는 지지 요소(46)에 대해 장력이 가해지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보호 시스템.
  1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가요성 물질을 포함하는 운반체(26, 48, 54)는 적어도 하나의 래칫 텐셔너(50)를 포함하며, 특히 상기 운반체(26, 48, 54)의 부분(48)은 래칫 텐셔너(50)에 의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1 벽 요소 또는 지지 요소(46)에 대해 장력이 가해지는 상태; 및
    상기 운반체(26, 48, 54)의 부분(48)은 상기 운반체(26, 48, 54)의 두 개의 추가 부분(48) 사이 또는 상기 운반체(26, 48, 54)의 추가 부분(48)과 수직으로 연장된 벽 요소 또는 지지 요소(46) 사이에서 래칫 텐셔너(50)에 의해 장력이 가해지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보호 시스템.
  15.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가요성 물질을 포함하는 운반체(26, 48, 54)는 적어도 하나의 래칫 텐셔너(50)를 포함하며, 특히 상기 운반체(26, 48, 54)의 부분(48)은 래칫 텐셔너(50)에 의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1 벽 요소 또는 지지 요소(46)에 대해 장력이 가해지는 상태;
    상기 운반체(26, 48, 54)의 부분(48)은 래칫 텐셔너(50)에 의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2 벽 요소 또는 지지 요소(46)에 대해 장력이 가해지는 상태; 및
    상기 운반체(26, 48, 54)의 부분(48)은 상기 운반체(26, 48, 54)의 두 개의 추가 부분(48) 사이 또는 상기 운반체(26, 48, 54)의 추가 부분(48)과 수직으로 연장된 벽 요소 또는 지지 요소(46) 사이에서 래칫 텐셔너(50)에 의해 장력이 가해지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보호 시스템.
KR1020127034399A 2010-06-29 2011-05-25 사이드 보호 시스템 KR1015967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25513.0 2010-06-29
DE102010025513A DE102010025513A1 (de) 2010-06-29 2010-06-29 Seitenschutzsystem
PCT/EP2011/002590 WO2012000591A1 (de) 2010-06-29 2011-05-25 Seitenschutz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169A KR20130096169A (ko) 2013-08-29
KR101596783B1 true KR101596783B1 (ko) 2016-02-23

Family

ID=44278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4399A KR101596783B1 (ko) 2010-06-29 2011-05-25 사이드 보호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2563992B1 (ko)
JP (1) JP5688454B2 (ko)
KR (1) KR101596783B1 (ko)
AR (1) AR081657A1 (ko)
CA (1) CA2802581C (ko)
DE (1) DE102010025513A1 (ko)
SG (1) SG186154A1 (ko)
WO (1) WO20120005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21457B1 (nl) 2012-11-29 2015-11-26 Betafence Holding Nv Veiligheidsomheiningpaneel en veiligheidsomheining
GB2568830B (en) 2016-09-16 2022-03-16 Diva Invest Pty Ltd As Trustee For Handrail Holding Trust Safety rail system
US11795713B2 (en) 2022-01-18 2023-10-24 Tie Down, Inc. Fall protection system
US11753836B2 (en) * 2022-01-18 2023-09-12 Tie Down, Inc. Fall protection system
DE102022211023A1 (de) * 2022-10-18 2024-04-18 Doka Gmbh Sicherheitseinrichtung für Deckenschalung
USD1015865S1 (en) 2022-12-08 2024-02-27 Charles J. Mackarvich Corner guar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35134A1 (en) 2002-09-24 2004-07-15 Brw Unlimited Services, Inc. Construction safety barrier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38955A (ko) * 1968-10-11 1971-07-14
DE8601654U1 (de) * 1986-01-23 1986-03-06 Hanischmacher, Birgit, 5983 Balve Elementensatz für einen Bauschutzzaun
US4815562B1 (en) * 1988-03-28 1995-10-17 Sinco Inc Debris barrier
JPH029258U (ko) * 1988-06-30 1990-01-22
GB2223788A (en) * 1988-07-09 1990-04-18 Lindley Fabritech Ltd Safety barrier
JPH0363148U (ko) * 1989-10-26 1991-06-20
US5299655A (en) * 1993-05-20 1994-04-05 Nicholas Margaritis Workplace support and enclosure
KR0128705Y1 (ko) * 1993-10-14 1998-11-02 김춘자 휀스망 체결장치
US5395105A (en) * 1993-11-05 1995-03-07 Thommen, Jr.; Robert A. Safety net system
JPH0996111A (ja) * 1995-09-29 1997-04-08 Asano Kinzoku Kogyo Kk ネット張設具及びネット張設法
US6068085A (en) * 1998-05-14 2000-05-30 Sinco Inc. Adjustable safety net methods and apparatus
JP3063148U (ja) * 1999-04-16 1999-10-19 英隆 若園 フェンス
DE59912302D1 (de) * 1999-05-08 2005-08-25 Stingl Systems Gmbh Vorrichtung zur Sicherung von Öffnungen in Wänden von Gebäuden
US6840015B1 (en) * 2001-05-04 2005-01-11 Steven M. Ashley Rooftop fall arrester with working platform
DE20109216U1 (de) * 2001-06-01 2001-08-16 Goldbeckbau Gmbh Dachrandsicherung für Flachdächer
GB0218070D0 (en) * 2002-08-03 2002-09-11 Shiresafety Com Ltd Attachment device
JP3093220U (ja) * 2002-10-04 2003-04-25 有限会社エアーネット ネット等の張設構造およびネット等の張設具
US20080173854A1 (en) * 2007-01-22 2008-07-24 Meaux Chad G Portable barricade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FR2925546B1 (fr) * 2007-12-21 2011-10-28 Frenehard & Michaux Sa Garde-corps a securite ameliore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35134A1 (en) 2002-09-24 2004-07-15 Brw Unlimited Services, Inc. Construction safety barr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02581A1 (en) 2012-01-05
AR081657A1 (es) 2012-10-10
JP2013533933A (ja) 2013-08-29
CA2802581C (en) 2015-07-21
DE102010025513A1 (de) 2011-12-29
WO2012000591A1 (de) 2012-01-05
EP2563992A1 (de) 2013-03-06
JP5688454B2 (ja) 2015-03-25
SG186154A1 (en) 2013-01-30
KR20130096169A (ko) 2013-08-29
EP2563992B1 (de) 201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6783B1 (ko) 사이드 보호 시스템
US6182790B1 (en) Adjustable safety net methods and apparatus
US6978973B1 (en) Pipe or cable clamp
CN102791337A (zh) 爬杆防坠落组件
JPH11193510A (ja) 落石等防護工のロープ張設工法と落石等防護ネツト
US6035967A (en) Safety apparatus using parallel line catchers for elevated work site operations
US20170298641A1 (en) Netting Structure
EP2042057A1 (en) Piece of furniture for sexual intercourse
US200600116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items
JP7023024B1 (ja) 梯子固定ユニットおよび梯子固定方法
KR20200021305A (ko) 안전 로프 연결용 철근 고정유닛과 이를 갖는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216725B1 (ko) 보강 메쉬 휀스
DE202009002873U1 (de)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Balancierbandes
US10865576B1 (en) Scaffold securing clip and strap
US20120118342A1 (en) Connector plate for tent assembly
JP2914625B2 (ja) 高所作業車用の落下物捕捉装置
JP5959431B2 (ja) テント
JP3034229B2 (ja) ネットを使用した高所作業用の安全装置
US200801346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Tensioning and Locking a Safety Strand
JP4504780B2 (ja) 養生シートの張設構造
KR20130042972A (ko) 수직형 추락 방망 설치장치
JP2590665B2 (ja) シート張設用具
CA2651731A1 (en) A kit for a barrier system
JP3194158U (ja) ワイヤー式メッシュシートフェンス
GB2458277A (en) A Sporting Ne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