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5737B1 - 자동차의 조향 컬럼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조향 컬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5737B1
KR101595737B1 KR1020120119820A KR20120119820A KR101595737B1 KR 101595737 B1 KR101595737 B1 KR 101595737B1 KR 1020120119820 A KR1020120119820 A KR 1020120119820A KR 20120119820 A KR20120119820 A KR 20120119820A KR 101595737 B1 KR101595737 B1 KR 101595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plate bracket
hole
bracket
steering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9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3641A (ko
Inventor
박주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20119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5737B1/ko
Publication of KR20140053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3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1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power actuated adjustment, e.g. with position mem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9Reducing the workload of dr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향 컬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별도의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도 틸트 레버의 잠금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조향 컬럼{Steering Column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향 컬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도 틸트 레버의 잠금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조향 컬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조향 컬럼의 일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자동차의 조향 컬럼(100)은 조향축(101)을 감싸는 튜브(103)에는 디스턴스 부재(110)가 결합되고, 단면이 'U' 자 형인 틸트 브라켓(105)과 결합된 마운팅 브라켓(102)은 차체에 결합된다. 또한, 틸트 브라켓(105) 사이에 위치한 디스턴스 부재(110)의 양쪽 면에는 통공(104)이 형성된다.
틸트 볼트(125)는 디스턴스 부재(110)의 통공(104)과 틸트 브라켓(105)에 형성된 관통공(120)을 관통하여 연장되고, 연장된 틸트 볼트(125)에는 틸트 브라켓(105)의 측면을 가압하여 틸트 브라켓(105)과 디스턴스 부재(110) 사이의 조임력을 증대시키거나 해제시키는 캠 어셈블리(130)가 설치된다.
캠 어셈블리(130)는, 일측면에 축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돌출부(133)가 틸트 브라켓(105)의 관통공(120)에 삽입되어 결합고정되는 고정캠(131)과, 조절 레버(150)에 결합되며 고정캠(131)과 맞닿아 상대회전하는 작동캠(13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캠(131)의 타측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며 축방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돌출단턱부(135)가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캠(131)의 타측면과 마주하는 작동캠(137)의 일면에는 고정캠(131)의 돌출단턱부(135)에 대응되는 돌출탁턱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어서, 운전자가 조절 레버(150)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작동캠(137)에 형성된 돌출단턱부(미도시)가 고정캠(131)에 형성된 돌출단턱부(135)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고정캠(131)과 작동캠(137) 사이가 이격되거나 또는 원상복귀되면서 조절 볼트(125)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시켜 틸트 브라켓(105)을 조이거나 풀게 되며, 틸트 브라켓(105)이 조여지거나 풀어짐에 따라 디스턴스 부재(110)가 가압되거나 가압 해제되면서 틸트 작동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자동차의 조향 컬럼의 경우, 틸트 브라켓이 디스턴스 부재에 가하는 지지력(조임력)과 운전자가 조절 레버를 잠그는 잠금력은 서로 연관되어 있어서, 틸트 브라켓의 지지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조절 레버의 잠금력 역시 높아져야 한다.
그러나 조절 레버의 잠금력이 높아지면 운전자가 조절 레버를 잠글 때 힘이 더 많이 들게 되므로, 운전자의 조절 레버 작동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별도의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도 틸트 레버의 잠금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조향 컬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장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1플레이트 브라켓과, 제1장홀과 마주하는 제2장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2플레이트 브라켓을 포함하며, 조향축이 내주하는 튜브를 감싸되, 제1플레이트 브라켓과 제2플레이트 브라켓의 두께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틸트 브라켓; 제1장홀과 제2장홀을 관통하여 결합되되, 일측에는 헤드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어드저스트 볼트; 일측에는 다수개의 캠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은 제1장홀에 결합되는 고정캠과, 일측에는 헤드부가 결합되고 타측에는 고정캠의 캠돌기에 대응되는 캠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틸트 레버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작동캠을 포함하는 캠 어셈블리; 및 제1플레이트 브라켓과 제2플레이트 브라켓 사이에 위치하되, 튜브에 일체로 결합되며, 일측면이 만곡되게 형성된 디스턴스 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조향 컬럼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별도의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도 틸트 레버의 잠금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조향 컬럼의 일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조향 컬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조향 컬럼에서 틸트 레버가 풀린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조향 컬럼에서 틸트 레버가 잠긴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조향 컬럼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조향 컬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조향 컬럼에서 틸트 레버가 풀린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조향 컬럼에서 틸트 레버가 잠긴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조향 컬럼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조향 컬럼(200)은, 제1장홀(213)이 형성되어 있는 제1플레이트 브라켓(211)과, 제1장홀(213)과 마주하는 제2장홀(217)이 형성되어 있는 제2플레이트 브라켓(215)을 포함하며, 조향축(101)이 내주하는 튜브(103)를 감싸되, 제1플레이트 브라켓(211)과 제2플레이트 브라켓(215)의 두께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틸트 브라켓(210); 제1장홀(213)과 제2장홀(217)을 관통하여 결합되되, 일측에는 헤드부(23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고정부재(233)가 결합되는 어드저스트 볼트(230); 일측에는 다수개의 캠돌기(253)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은 제1장홀(213)에 결합되는 고정캠(251)과, 일측에는 헤드부(231)가 결합되고 타측에는 고정캠(251)의 캠돌기(253)에 대응되는 캠돌기(257)가 형성되어 있으며 틸트 레버(27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작동캠(255)을 포함하는 캠 어셈블리(250); 및 제1플레이트 브라켓(211)과 제2플레이트 브라켓(215) 사이에 위치하되, 튜브(103)에 일체로 결합되며, 일측면이 만곡되게 형성된 디스턴스 부재(2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틸트 브라켓(210)은 대략 'U' 형상으로 이뤄지며, 제1플레이트 브라켓(211)과 제2플레이트 브라켓(215)을 포함하는데, 제1플레이트 브라켓(211)에는 제1장홀(2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플레이트 브라켓(215)에는 제1장홀(213)과 마주하는 제2장홀(217)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틸트 브라켓(210)은 조향축(101)이 내주하는 튜브(103)를 감싸게 되는데, 이와 같은 틸트 브라켓(210)을 구성하는 제1플레이트 브라켓(211)과 제2플레이트 브라켓(215)은 두께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된다.
즉, 도 2에서도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캠(251)이 위치하게 되는 제1플레이트 브라켓(211)의 두께는, 고정부재(233)가 위치하게 되는 제2플레이트 브라켓(215)의 두께에 비해 더 얇게 형성되는데, 일 예로, 제2플레이트 브라켓(215)의 두께는 제1플레이트 브라켓(211)의 두께보다 2~2.5배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예로서, 제2플레이트 브라켓(215)의 두께는 4mm로 형성되고, 제1플레이트 브라켓(211)의 두께는 2mm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플레이트 브라켓(211)을 얇게 형성함으로써, 운전자가 틸트 레버(270)를 잠글 때, 제1플레이트 브라켓(211)이 휘어지면서 디스턴스 부재(290)의 만곡된 일측면에 밀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제1장홀(213)의 양측면에는 돌출턱(213a,213b)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돌출턱(213a,213b)은 후술할 고정캠(251)의 돌출부(252)가 지지되게 되어 있다.
어드저스트 볼트(230)는 제1장홀(213)과 제2장홀(217)을 관통하여 결합되는데, 어드저스트 볼트(230)의 일측에는 헤드부(231)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고정부재(233)가 결합되게 된다. 또한, 헤드부(231)에는 돌출단턱부(232)가 형성되어 있어서, 헤드부(231)의 돌출단턱부(232)가 작동캠(255)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홈(미도시)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운전자가 틸트 레버(270)를 회전시킬 때 작동캠(255)과 어드저스트 볼트(230)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어드저스트 볼트(230)의 타측(즉, 제2플레이트 브라켓(215)과 고정부재(233) 사이)에는 베어링(235)이 더 구비되어 어드저스트 볼트(230)의 회전을 지지하게 된다.
캠 어셈블리(250)는 고정캠(251)과 작동캠(255)을 포함하는데, 고정캠(251)의 일측에는 다수개의 캠돌기(253)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며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은 제1장홀(213)에 결합되게 된다. 즉, 고정캠(251)의 타측에는 돌출부(252)가 형성되어 있어서, 돌출부(252)의 양측이 제1장홀(213)의 양측면에 형성된 돌출턱(213a,213b)에 지지되며, 돌출턱(213a,213b)을 따라 고정캠(251)이 이동하게 된다.
또한, 돌출부(252)의 일측면은 만곡면(252a)으로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만곡면(252a)은 후술할 디스턴스 부재(290)의 만곡된 일측면(29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뤄진다.
작동캠(255)은 고정캠(251)과 맞닿아 회전하게 되는데, 작동캠(255)의 일측에는 어드저스트 볼트(230)의 헤드부(231)가 결합되고, 타측에는 고정캠(251)의 캠돌기(253)에 대응되는 캠돌기(257)가 형성되어 있으며, 작동캠(255)에는 틸트 레버(27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디스턴스 부재(290)는 제1플레이트 브라켓(211)과 제2플레이트 브라켓(215) 사이에 위치하되, 튜브(103)에 일체로 결합되는데, 디스턴스 부재(290)의 일측면(291, 제1플레이트 브라켓(211)과 마주하는 면)은 만곡되게 형성된다.
즉, 디스턴스 부재(290)의 일측면(291)은 제1플레이트 브라켓(211)을 향하여 볼록하게 튀어나오도록 만곡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캠(551)에는 돌출부(552)가 형성되고, 디스턴스 부재(590)의 일측면에는 조향축의 축방향으로 길게 홈(520)이 형성되어 있어서, 운전자가 틸트 레버(270)를 잠궜을 때, 고정캠(551)의 돌출부(552)가 홈(520) 안으로 이동하면서 제1플레이트 브라켓(511)을 눌러서, 제1플레이트 브라켓(511)이 탄성변형되며 휘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다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조향 컬럼의 작동예를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틸트 레버(27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풀면, 틸트 브라켓(210)과 디스턴스 부재(290) 사이의 가압력이 해제되어 운전자는 자유롭게 조향 컬럼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운전자가 조향 컬럼을 적절한 위치에서 고정시키고자 할 때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트 레버(27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잠그게 된다.
이 때, 작동캠(255)과 고정캠(251)은 캠돌기의 단차만큼 이격되게 되고, 더불어 고정캠(251)은 제1플레이트 브라켓(211)을 가압하게 된다. 여기서 디스턴스 부재(290)의 일측면은 만곡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압되는 제1플레이트 브라켓(211)은 디스턴스 부재(290)의 일측면의 만곡된 형상에 대응되게 탄성변형되면서 디스턴스 부재(290)의 일측면에 밀착되게 된다.
이 때, 제1플레이트 브라켓(211)을 가압하는 고정캠(251)의 타측에는 만곡면이 형성된 돌출부(252)가 구비되어 있어서, 제1플레이트 브라켓(211)과 디스턴스 부재(290)의 일측면 사이의 밀착성을 향상시킨다.
한편, 운전자가 틸트 레버(270)를 잠금에 따라 탄성변형된 제1플레이트 브라켓(211)은 원상복귀되려는 현상에 의해 디스턴스 부재(290)에 추가적인 가압력을 제공하게 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틸트 레버(270)의 잠금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별도의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도 틸트 레버의 잠금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101 : 조향축 103 : 튜브
200 : 자동차의 조향 컬럼 210 : 틸트 브라켓
211 : 제1플레이트 브라켓 213 : 제1장홀
215 : 제2플레이트 브라켓 217 : 제2장홀
230 : 어드저스트 볼트 231 : 헤드부
233 : 고정부재 250 : 캠 어셈블리
251 : 고정캠 253 : 캠돌기
255 : 작동캠 257 : 캠돌기
270 : 틸트 레버 290 : 디스턴스 부재

Claims (4)

  1. 제1장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1플레이트 브라켓과, 상기 제1장홀과 마주하는 제2장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2플레이트 브라켓을 포함하며, 조향축이 내주하는 튜브를 감싸되, 상기 제1플레이트 브라켓과 제2플레이트 브라켓의 두께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틸트 브라켓;
    상기 제1장홀과 제2장홀을 관통하여 결합되되, 일측에는 헤드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어드저스트 볼트;
    일측에는 다수개의 캠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제1장홀에 결합되는 고정캠과, 일측에는 상기 헤드부가 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캠돌기에 대응되는 캠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틸트 레버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작동캠을 포함하는 캠 어셈블리; 및
    상기 제1플레이트 브라켓과 제2플레이트 브라켓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튜브에 일체로 결합되며, 일측면이 만곡되게 형성된 디스턴스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장홀의 양측면에는, 돌출턱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캠의 타측에는, 상기 돌출턱에 지지되며, 상기 제1플레이트 브라켓과 마주하는 상기 디스턴스 부재의 만곡된 일측면에 대응되도록, 만곡면이 형성된 돌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 컬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에는 돌출단턱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작동캠의 일측에는 상기 돌출단턱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 컬럼.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레이트 브라켓과 상기 어드저스트 볼트의 고정부재 사이에는, 베어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 컬럼.
KR1020120119820A 2012-10-26 2012-10-26 자동차의 조향 컬럼 KR101595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820A KR101595737B1 (ko) 2012-10-26 2012-10-26 자동차의 조향 컬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820A KR101595737B1 (ko) 2012-10-26 2012-10-26 자동차의 조향 컬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641A KR20140053641A (ko) 2014-05-08
KR101595737B1 true KR101595737B1 (ko) 2016-02-19

Family

ID=50886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820A KR101595737B1 (ko) 2012-10-26 2012-10-26 자동차의 조향 컬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57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48617B2 (ja) * 2014-04-08 2016-12-21 日本精工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位置調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983B1 (ko) * 2007-04-27 2011-05-09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조향컬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641A (ko) 201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1796B2 (en) Steering device
JP5999767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WO2015190301A1 (ja) ステアリング装置
US7163089B2 (en) Pad clip of disc brake apparatus
CN108394453B (zh) 转向装置
KR101390522B1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
JP6620880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US20130160594A1 (en) Telescoping Jacket Interface Mechanism
EP3199424B1 (en) Steering column device
JP2008239085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のロック構造
KR101595737B1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
JP4390135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5534195A (ja) 制御要素と、ステアリングコラムストークと、ステアリングコラム組立体とのための作動組立体
KR101795074B1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
JP2008143396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936111B1 (ko) 스티어링 칼럼의 틸트 록킹 장치
KR101730672B1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
KR20160092658A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
WO2019016947A1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379533B1 (ko) 자동차의 조향장치의 캠 어셈블리
JP2008308034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9142500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9243151A (ja) シリンダ錠
JP2018130995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931312B1 (ko) 차량의 조향컬럼용 틸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