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5074B1 - 자동차의 조향 컬럼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조향 컬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5074B1
KR101795074B1 KR1020120119837A KR20120119837A KR101795074B1 KR 101795074 B1 KR101795074 B1 KR 101795074B1 KR 1020120119837 A KR1020120119837 A KR 1020120119837A KR 20120119837 A KR20120119837 A KR 20120119837A KR 101795074 B1 KR101795074 B1 KR 101795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
telescopic hole
bracket
tube
til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9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3646A (ko
Inventor
권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20119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5074B1/ko
Publication of KR20140053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3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5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adjustable by axial displacement, e.g. telescop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향 컬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운전자가 종래에 비해 더 적은 힘으로 틸트 레버를 잠그더라도 종래와 동일하게 틸트 브라켓이 디스턴스 부재의 조임부를 가압하는 조임력을 얻을 수 있어서, 운전자의 틸트 레버 작동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조향 컬럼{Steering column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향 컬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종래에 비해 더 적은 힘으로 틸트 레버를 잠그더라도 종래와 동일하게 틸트 브라켓이 디스턴스 부재의 조임부를 가압하는 조임력을 얻을 수 있어서, 운전자의 틸트 레버 작동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조향 컬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조향 컬럼의 일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자동차의 조향 컬럼(100)은 중공 형상의 어퍼 튜브(110); 어퍼 튜브(110)에 삽입되는 로워 튜브(120); 어퍼 튜브(110)와 로워 튜브(120) 내부에 구비되는 조향축(102); 어퍼 튜브(110)의 양측에 구비되고 틸트 장홀(152)이 형성되어 있는 틸트 브라켓(150); 틸트 브라켓(150)과 일체로 결합되고, 캡슐(142)을 통해서 차체에 고정되는 마운팅 브라켓(140); 틸트 브라켓(15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어퍼 튜브(110)에 일체로 형성되며, 조임부(160)가 형성되어 있는 디스턴스 부재(162); 다수개의 캠돌기(174a)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캠(174); 고정캠(174)의 캠돌기(174a)에 대응하는 캠돌기(미도시)가 형성된 작동캠(178)이 구비되어 있는 레버(175); 및 몸체부(181)가 틸트 장홀(152)을 관통하여 체결되고 일단에 헤드부(183)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베어링(176), 레버 볼트(177) 등이 순차 결합되어 있는 어드저스트 볼트(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 자동차의 조향 컬럼(100)에서는 틸트 또는 텔레스 구현시 운전자가 레버(175)를 잠그면 작동캠(178)의 캠돌기(미도시)가 고정캠(174)의 캠돌기(174a)를 따라 이동하면서 작동캠(178)과 고정캠(174)이 서로 이격되고, 더불어 어드저스트 볼트(180)가 축방향 일측으로 이동하며 헤드부(183)가 틸트 브라켓(150)의 일측을 가압함과 동시에, 고정캠(174)이 틸트 브라켓(150)의 타측을 가압함에 따라 틸트 브라켓(150)이 디스턴스 부재(162)의 조임부(162)를 가압하여 위치고정시킴으로써 어퍼 튜브(110)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반대로, 운전자가 레버(175)를 풀면 이격되어 있던 작동캠(178)과 고정캠(174)이 원상복귀되면서, 어드저스트 볼트(180)가 축방향 타측으로 이동하며 틸트 브라켓(150)의 일측을 가압하던 헤드부(183)의 가압력이 해제됨과 동시에, 틸트 브라켓(150)의 타측을 가압하던 고정캠(174)의 가압력 역시 해제되어 어퍼 튜브(110)의 위치 변경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자동차의 조향 컬럼의 경우, 틸트 브라켓이 디스턴스 부재의 조임부를 가압하는 조임력과 운전자가 레버를 잠그는 잠금력은 서로 연관되어 있어서, 틸트 브라켓의 조임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레버의 잠금력 역시 높아져야 한다.
그러나 레버의 잠금력이 높아지면 운전자가 레버를 잠글 때 힘이 더 많이 들게 되므로, 운전자의 레버 작동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운전자가 종래에 비해 더 적은 힘으로 틸트 레버를 잠그더라도 종래와 동일하게 틸트 브라켓이 디스턴스 부재의 조임부를 가압하는 조임력을 얻을 수 있어서, 운전자의 틸트 레버 작동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조향 컬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조향축이 내삽되는 튜브의 양측에 구비되고, 틸트 장홀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있는 틸트 브라켓; 및 튜브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어드저스트 볼트가 관통하는 텔레스 장홀이 형성되어 있는 조임부가 구비되며, 조임부가 틸트 브라켓과 맞닿는 면에 요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디스턴스 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조향 컬럼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운전자가 종래에 비해 더 적은 힘으로 틸트 레버를 잠그더라도 종래와 동일하게 틸트 브라켓이 디스턴스 부재의 조임부를 가압하는 조임력을 얻을 수 있어서, 운전자의 틸트 레버 작동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조향 컬럼의 일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조향 컬럼의 일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디스턴스 부재에 구비된 조임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디스턴스 부재와 도 2의 디스턴스 부재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조향 컬럼의 일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디스턴스 부재에 구비된 조임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디스턴스 부재와 도 2의 디스턴스 부재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조향 컬럼(200)은, 조향축(175)이 내삽되는 튜브의 양측에 구비되고, 틸트 장홀(237)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있는 틸트 브라켓(230); 및 튜브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어드저스트 볼트(260)가 관통하는 텔레스 장홀(271)이 형성되어 있는 조임부(270)가 구비되며, 조임부(270)가 틸트 브라켓(230)과 맞닿는 면(273,373)에 요홈부(275,375)가 형성되어 있는 디스턴스 부재(272);를 포함한다.
조향축(175)은 조향휠(미도시)과 연결되어 있어서 운전자가 조향휠을 회전시키면 이에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는데, 조향축(175)은 튜브 안에 내삽되어 있다.
조향축(175)을 감싸는 튜브는 아우터 튜브(210)와 이너 튜브(220)로 이뤄지는데, 이너 튜브(220)는 아우터 튜브(210) 안으로 내삽된다.
틸트 브라켓(230)은 튜브(좀 더 구체적으로는, 아우터 튜브(210))의 양측에 구비되는데, 틸트 브라켓(230)에는 틸트 장홀(237)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틸트 브라켓(230)은 마운팅 브라켓(235)과 결합되어 차체에 고정된다.
디스턴스 부재(270)는 틸트 브라켓(23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튜브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좀 더 구체적으로 디스턴스 부재(270)는 아우터 튜브(210)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디스턴스 부재(270)에는 어드저스트 볼트(260)가 관통하는 텔레스 장홀(271)이 형성되어 있는 조임부(270)가 구비되며, 틸트 브라켓(230)의 틸트 장홀(237)과 조임부(270)의 텔레스 장홀(271)을 관통하여 결합된 어드저스트 볼트(260)의 단부에는 틸트 레버(240)와 결합된 캠 어셈블리(215)와 베어링(217) 및 너트(219)가 결합된다.
그리고 조임부(270)가 틸트 브라켓(230)과 맞닿는 면(273)에는 요홈부(275)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요홈부(275)는 조향축(175)의 축방향(즉, 텔레스 장홀(271)의 장축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서로 이격되며 형성된다.
또한, 요홈부(275)는 조임부(270)가 틸트 브라켓(230)과 맞닿는 면 중에서 텔레스 장홀(271)의 상하 양측 영역에 형성된다.
그리고 요홈부(275)는 텔레스 장홀(271)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져 형성될 수도 있는데, 도 2에서는 요홈부(275)가 텔레스 장홀(271)의 장축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예를 도시하였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부(370)가 틸트 브라켓(230)과 맞닿는 면(373)에 형성된 요홈부(375)는, 텔레스 장홀(271)의 장축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며 텔레스 장홀(271)의 상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요홈부(375)는 텔레스 장홀(271)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되, 텔레스 장홀(271)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장축 방향 폭(D)이 점차 커지는 형상으로 이뤄질 수 있다. 물론, 도면상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요홈부(375)는, 텔레스 장홀(271)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갈수록 장축 방향 폭(D)이 점차 줄어드는 형상으로 이뤄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조임부(270,370)가 틸트 브라켓(230)과 맞닿는 면(273,373)에 요홈부(275,375)를 형성하면, 운전자의 틸트 레버(240) 잠금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운전자의 틸트 레버(240) 작동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도 1과 도 2 및 도 4를 함께 참조할 때, 운전자가 틸트 레버(240)를 잠금에 따라 캠 어셈블리(215)의 작용에 의해 틸트 브라켓(230)이 디스턴스 부재(162,273)의 조임부(160,270)에 가하는 가압력의 작용점의 기준선이 'A'로 동일한 경우, 도 4의 (a)에 도시된 종래의 디스턴스 부재(160)에서는, 가압력에 의한 조임부(160)의 탄성변형량이 작다. 따라서 텔레스 작동 완료 후 운전자가 틸트 레버(240)를 잠글 때 필요한 힘이 커진다.
반면, 도 4의 (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턴스 부재(272)의 조임부(270)에 형성된 요홈부(275)가 조임부(160)의 강성을 일부 줄여주어 조임부(160)의 탄성변형량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텔레스 작동 완료 후 운전자가 틸트 레버(240)를 잠글 때 필요한 힘이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자가 종래에 비해 더 적은 힘으로 틸트 레버(240)를 잠그더라도 종래와 동일하게 틸트 브라켓(230)이 디스턴스 부재(272)의 조임부(270,370)를 가압하는 조임력을 얻을 수 있어서, 운전자의 틸트 레버(240) 작동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비록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디스턴스 부재(272)의 조임부(270,370)가 틸트 브라켓(230)과 맞닿는 면(273,373)에는 요철부가 더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요철부는 일 예로, 널링처리를 하여 이뤄지거나, 또는 복수개의 돌기를 형성하여 이뤄질 수도 있다.
이처럼 디스턴스 부재(272)의 조임부(270,370)가 틸트 브라켓(230)과 맞닿는 면(273,373)에 요철부를 형성하면, 운전자가 틸트 레버(240)를 잠근 후에도, 틸트 브라켓(230)과 조임부(270,370) 사이에 요철부로 인한 마찰력이 형성되어, 좀 더 안정적으로 조향축이 내재하는 튜브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운전자가 종래에 비해 더 적은 힘으로 틸트 레버를 잠그더라도 종래와 동일하게 틸트 브라켓이 디스턴스 부재의 조임부를 가압하는 조임력을 얻을 수 있어서, 운전자의 틸트 레버 작동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175 : 조향축
2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조향 컬럼
230 : 틸트 브라켓 237 : 틸트 장홀
260 : 어드저스트 볼트 270,370 : 조임부
271 : 텔레스 장홀 272 : 디스턴스 부재
275,375 : 요홈부

Claims (5)

  1. 조향축이 내삽되는 튜브의 양측에 구비되고, 틸트 장홀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있는 틸트 브라켓; 및
    상기 튜브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어드저스트 볼트가 관통하는 텔레스 장홀이 형성되어 있는 조임부가 구비되는 디스턴스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부의 강성이 줄어들도록, 상기 조임부는 상기 틸트 브라켓과 맞닿는 면에 요홈부가 형성되되 상기 텔레스 장홀의 상측과 하측의 영역에 상기 조향축의 축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는 상기 텔레스 장홀로부터 상하 방향의 먼쪽으로 갈수록 상기 조향축의 축방향 폭이 점차 커지거나 줄어드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자동차의 조향 컬럼.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는,
    상기 텔레스 장홀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 컬럼.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가 상기 틸트 브라켓과 맞닿는 면에 요철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 컬럼.
KR1020120119837A 2012-10-26 2012-10-26 자동차의 조향 컬럼 KR101795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837A KR101795074B1 (ko) 2012-10-26 2012-10-26 자동차의 조향 컬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837A KR101795074B1 (ko) 2012-10-26 2012-10-26 자동차의 조향 컬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646A KR20140053646A (ko) 2014-05-08
KR101795074B1 true KR101795074B1 (ko) 2017-11-07

Family

ID=50886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837A KR101795074B1 (ko) 2012-10-26 2012-10-26 자동차의 조향 컬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50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448B1 (ko) * 2014-06-11 2020-04-16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자동차의 조향 컬럼 조립체
KR102267717B1 (ko) * 2015-05-27 2021-06-22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조향컬럼용 틸트 구조체
JP6930198B2 (ja) 2016-04-22 2021-09-01 日本精工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装置用支持ブラケット及びステアリング装置
CN111516748B (zh) * 2020-05-09 2021-08-27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转向系统及车辆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8595A (ja) * 2001-08-06 2003-04-23 Nsk Ltd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8595A (ja) * 2001-08-06 2003-04-23 Nsk Ltd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646A (ko) 201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00690B1 (en) Position adjusting-type steering device
US7607694B2 (en) Steering device
JP5999767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795074B1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
US8522639B2 (en) Steering apparatus
US20060243084A1 (en) Steering device
US10507862B2 (en) Steering device
KR101390522B1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
JP2009045992A (ja) ステアリングホィールの位置調整装置
US10093343B2 (en) Steering device
KR102058895B1 (ko) 요크 유격 보상장치
US9227651B2 (en) Steering column
US10654513B2 (en) Steering column assembly
JP6985918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036113B1 (ko) 차량의 조향 장치
JP4511389B2 (ja) ステアリングハンドルの位置調整装置
KR101624833B1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
KR20160139160A (ko) 조향컬럼용 틸트 구조체
JP4390135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6390946B2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936111B1 (ko) 스티어링 칼럼의 틸트 록킹 장치
KR101730672B1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
KR20160074070A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
KR101379533B1 (ko) 자동차의 조향장치의 캠 어셈블리
KR20160092658A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