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3919B1 - 엑스선 촬영용 무빙 그리드 장치 - Google Patents

엑스선 촬영용 무빙 그리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3919B1
KR101593919B1 KR1020140109802A KR20140109802A KR101593919B1 KR 101593919 B1 KR101593919 B1 KR 101593919B1 KR 1020140109802 A KR1020140109802 A KR 1020140109802A KR 20140109802 A KR20140109802 A KR 20140109802A KR 101593919 B1 KR101593919 B1 KR 101593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d
magnetic body
support
fram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9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호
변민수
박정병
Original Assignee
(주)디알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알젬 filed Critical (주)디알젬
Priority to KR1020140109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39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6Diaphrag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8Auxiliary means for directing the radiation beam to a particular spot, e.g. using light bea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검체로부터 산란되는 엑스선의 흡수를 위해 구비되는 그리드를 유동 또는 정지시키는 엑스선 촬영용 무빙 그리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버키 프레임과, 버키 프레임 내에 좌우 방향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그리드와, 버키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며 자력에 의해 그리드의 유동을 정지시키는 스토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엑스선 촬영용 무빙 그리드 장치{Device of moving grid for x-ray imaging apparatus}
본 발명은 무빙 그리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검체로부터 산란되는 엑스선의 흡수를 위해 구비되는 그리드를 유동 또는 정지시키는 엑스선 촬영용 무빙 그리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엑스선(X-ray)의 투과 성질을 이용하여 환자의 신체부위나 물체를 투시 촬영하는 엑스선 촬영장치가 널리 활용되고 있다.
특히, 의학 영상장비로 널리 알려진 엑스선 촬영장치는, 엑스선이 물체를 통과하는 동안 물체의 성질과 거리에 따라 감쇠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영상을 얻는 장치로, 신체 내부 진단을 위한 의료분야에서의 활용은 물론, 물체의 내부 결함을 밝혀내기 위한 비파괴 검사 분야 등에서 적극 활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엑스선 촬영은 엑스선이 지닌 높은 투과력으로 촬영 대상의 내부를 투영 표시하는 방사선 사진법(radiography)을 일컫는다.
엑스선은 물체를 투과하면서 광전효과(photoelectric effect), 콤프턴 산란(compton scattering) 등 물체의 재질, 밀도, 두께에 따른 감쇠 현상을 수반한다. 따라서, 엑스선 촬영은 촬영 대상을 통과하는 과정 중에 누적된 엑스선 감쇠량을 기초로 촬영 대상의 내부 구조를 평면에 투영 표시하며, 이를 위해 별도의 엑스선 촬영 시스템이 사용된다.
엑스선 촬영 시스템은 엑스선을 생성하는 제너레이터(generator), 촬영 대상을 사이에 두고 제너레이터와 대향 배치되며 촬영 대상을 통과하는 과정 중에 누적된 엑스선 감쇠량을 검출하는 디텍터(detector)를 필수 구성요소로 한다.
제너레이터는 높은 운동에너지를 지닌 전자를 금속의 타겟(target)에 충돌시켜 엑스선을 생성한다. 참고로, 통상의 제너레이터는 엑스선의 조사영역(field size)를 제어하는 콜리메이터(collimator)를 제공한다.
디텍터는 아날로그 방식과 디지털 방식으로 구분되는데, 아날로그 방식은 엑스선에 의해 빛을 발하는 엑스선 증감지(X-ray intensifying screen)와 은염 필름(silver salt film)을 조합해서 엑스선 증감지의 빛으로 은염 필름에 잠상을 구현한 후, 은염 필름을 현상해서 촬영 결과를 얻는다. 때문에 해당 방식은 은염 필름의 현상 등을 위한 시간적, 비용적 소모가 크고 필름의 보관 및 처리상 문제를 수반하므로 점차 지양되고 있다.
디지털 방식은 엑스선에 감응하는 검출매체로 2차원 센서를 구현하고, 엑스선의 입사량에 비례한 센서의 전기신호와 위치정보로 디지털의 화상 데이터를 구현한다. 해당 방식은 실시간에 가까운 촬영결과를 얻을 수 있고, 상대적으로 적은 방사선으로 높은 해상도와 넓은 동적영역을 확보할 수 있으며, 디지털 데이터의 특성상 촬영 결과의 보관 및 처리가 간편하므로 최근 각광받고 있다.
참고로, 디지털 방식 디텍터는 전기신호의 획득 방식에 따라 신틸레이터(scintillator)를 사용해서 가시광선에 의한 간접의 전기신호를 얻는 간접변환방식(indirect conversion type)과, 광전물질(photoconductors)을 사용해서 엑스선으로부터 직접 전기신호를 얻는 직접변환방식(direct conversion type)으로 나누어 볼 수 있고,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소자의 종류에 따라 전하결합소자(charge-coupled device)를 이용하는 CCD 방식, 결정질 실리콘(crystalline silicon)의 CMOS 소자를 이용하는 CMOS 방식, 비정질 실리콘(amorphous silicon)의 TFT(thin film transistor) 기판을 이용하는 a-Si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엑스선을 이용하여 피검체, 예컨대 환자의 신체부위를 촬영함에 있어서 환자에게 조사되는 엑스선은, 신체 내부에서 필연적으로 산란(scattering)을 일으키게 된다.
산란 방사선은 이미지 센서에 의해 검출되어야 할 주 방사선과 중첩되어 영상을 흐리게 하므로, 영상의 대조도(contrast)를 약화시키고 추가적인 노이즈의 원인이 되어 환자 진료시 오진 등을 초래할 위험이 있다.
이에 따라, 산란 방사선을 줄이기 위한 한 방법으로서, 엑스선 그리드(X-ray grid)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그리드는 기본적으로 엑스선을 흡수하는 물질의 스트립(strip)과 엑스선을 투과하는 물질의 스트립을 교대로 반복 배치한 격자 모양의 구조를 가지며, 환자의 몸에서 산란된 빛이 흡수 스트립에 부딪혀 흡수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산란된 빛들을 제거해 준다.
이때, 엑스선이 흡수 스트립에 흡수됨으로써, 화상에 음영을 가진 그리드 라인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그리드를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grid moving)시켜 스트립을 패턴화시킬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모터 등의 구동장치에 의해 촬영중 계속하여 그리드를 왕복 이동시키기거나, 촬영시마다 그리드의 일측을 일 방향으로 타격한 후,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그리드가 진동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런데, 구동장치에 의해 촬영중 계속하여 그리드를 왕복 이동시키는 구성은, 그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 수의 증가로 인한 제작비용의 증대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촬영시마다 그리드의 일측을 일 방향으로 타격하고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그리드를 진동시키는 구성은, 타격시 소음 발생의 문제와 함께, 연속 촬영시 이미 진동하고 있는 그리드를 재차 타격하게 되므로, 타격점과 타격력이 일정치 않아 그리드에 의한 산란광 흡수의 균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JP 11-285486 A (1999.10.19 공개) JP 7-148158 A (1995.06.13 공개) JP 2013-248091 A (2013.12.12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리드의 왕복 이동이 자력에 의해 정지되는 엑스선 촬영용 무빙 그리드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판 스프링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그리드의 좌우방향 왕복 이동이 이루어지는 엑스선 촬영용 무빙 그리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에 비해 그리드의 왕복 이동시 소음이 저감되고, 작동 균일성이 보장되는 엑스선 촬영용 무빙 그리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버키 프레임과, 상기 버키 프레임 내에 좌우 방향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그리드와, 상기 버키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며 자력에 의해 상기 그리드의 유동을 정지시키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용 무빙 그리드 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그리드의 일측에 제1 자성체를 포함하는 이동부가 구비되며,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제1 자성체와 동일 또는 반대 극성의 제2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스토퍼부는, 구동원에 의해 직선 이동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자성체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구동원에 의해 직선 이동 또는 회전하는 가이드 바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가이드 바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이동부는, 상기 그리드의 일측에 구비되는 마그넷 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자성체는 상기 마그넷 브라켓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마그넷 브라켓은, 상기 그리드의 일측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 절곡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제1 자성체가 구비되는 제1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마그넷 브라켓은,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버키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는 스토퍼와 대향하도록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 절곡 형성되는 제2 절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그리드의 양측에 이격하여 한 쌍의 지지 프레임이 설치되며, 상기 그리드는 탄성 지지부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상기 지지 프레임 사이에 탄성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그리드의 일측에 구비되는 스프링 브라켓과, 일단이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스프링 브라켓에 결합되는 판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스프링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판 스프링의 일단이 상기 스프링 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은, 상기 스프링 결합부에서 상기 스프링 브라켓의 대향부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버키 프레임과, 상기 버키 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 사이에 탄성 지지되는 그리드와, 일단이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그리드의 일측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판 스프링과, 상기 버키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판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한 상기 그리드의 유동을 정지시키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용 무빙 그리드 장치를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판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스프링 결합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그리드의 일측에 구비되는 스프링 브라켓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리드의 일측에 상기 그리드와 함께 유동하는 제1 자성체가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부는 구동원에 의해 직선 이동하고 상기 제1 자성체와 동일 또는 반대 극성의 제2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엑스선 촬영용 무빙 그리드 장치에 의하면, 그리드의 왕복 이동 및 정지가 자력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종래에 비해 구성이 간단하고 제작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엑스선 촬영용 무빙 그리드 장치에 의하면, 판 스프링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그리드의 좌우방향 왕복 이동이 이루어지므로 작동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엑스선 촬영용 무빙 그리드 장치에 의하면, 그리드의 왕복 이동 시작 위치가 항상 일정하므로, 그리드의 작동 균일성이 보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용 무빙 그리드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그리드의 왕복 이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그리드의 정지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그리드의 정지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 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용 무빙 그리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용 무빙 그리드 장치(100)는, 버키 프레임(200)과, 버키 프레임(200) 내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그리드(300), 및 그리드(300)의 유동을 정지시키는 스토퍼부(600)를 포함한다.
버키 프레임(200)은 버키(bucky)의 외관을 구성하는 것으로, 여기서 버키라 함은 테이블 버키(Table bucky) 또는 스탠드 버키(Stand bucky) 등 피검체를 사이에 두고 엑스선 조사장치와 대향하여 설치되는 기구를 가리킨다.
버키 프레임(200)은 내부에 공간부(210)가 형성되며, 버키 프레임(200) 내에는 피검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기 위해 디텍터(detector)(미도시)가 설치된다. 이때 디텍터의 전방 즉, 도면상 공간부(210)의 상측에는 피검체를 투과한 엑스선의 산란을 저감시키기 위해 그리드(grid)(300)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키 프레임(200)은, 베이스 플레이트(220)와, 도면상 베이스 플레이트(220) 상에 전후 방향 서로 이격하여 수직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230)와, 수직 플레이트(230)의 상단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240)을 포함한다.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230) 중 어느 하나는 베이스 플레이트(220)의 테두리에서 소정 간격 내측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며, 그 수직 플레이트(230)의 외측에는 후술하는 스토퍼부(600)가 베이스 플레이트(220) 상에 설치된다.
한 쌍의 지지 프레임(240)은 서로 대향하는 수직 플레이트(230)의 상단 양측을 각각 연결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지지 프레임(240)의 일단은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230) 중 어느 하나의 상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나머지 수직 플레이트(230)의 상단에 결합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 프레임(240)은 베이스 플레이트(220)의 상부에 도면상 좌우 방향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다.
그리드(300)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240) 사이에 설치된다. 이 그리드(300)는 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베이스 플레이트(220)의 상부에 이격하여 배치되며, 그리드(300)와 베이스 플레이트(220) 사이의 공간부(210)는 디텍터 설치 공간을 형성한다.
이때, 그리드(300)는 탄성 지지부(500)에 의해 한 쌍의 지지 프레임(240) 사이에 탄성 지지된다. 즉, 그리드(300)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240) 사이에서 탄성 지지부(500)의 탄성력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탄성 지지부(500)는 그리드(300)의 테두리 일측(도면상 좌측 또는 우측)에 결합되는 스프링 브라켓(510)과, 스프링 브라켓(510)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그리드(300)의 테두리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판 스프링(520)을 포함한다.
그리드(300)의 외곽 테두리를 따라 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그리드 홀더(310)가 결합되며, 전술한 스프링 브라켓(510)은 그리드 홀더(310)의 일측에 결합된다. 스프링 브라켓(510)은 'ㄷ'자 단면 형상으로서, 일측이 그리드 홀더(310)에 결합되고 타측이 그리드 홀더(3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판 스프링(520)은 폭에 비해 길이가 긴 띠 형태이며, 금속 등 탄성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진다. 판 스프링(520)의 소재와, 폭과 두께 및 길이 등의 규격은 그리드(300)의 규격과 유동거리, 판 스프링(520)의 탄성계수 등 설계 조건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판 스프링(520)의 일단은 스프링 브라켓(510)의 타측에 결합되며, 타단은 지지 프레임(24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스프링 결합부(241)에 결합된다. 이때, 판 스프링(520)의 양면은 각각 그리드 홀더(310) 및 지지 프레임(240)과 대향하며, 따라서 판 스프링(520)은 지지 프레임(240)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탄성 변형할 수 있다.
그리드(300)의 전후 양측 테두리가 수직 플레이트(230)로부터 이격하고, 좌우 양측 테두리가 판 스프링(520)에 의해 좌우 양측의 지지 프레임(240)에 탄성 지지됨에 따라, 그리드(300)에 일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판 스프링(520)이 탄성 변형되면서 그리드(300)가 일 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때, 그리드(300)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판 스프링(52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그리드(300)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게 되는데, 판 스프링(520)의 탄성계수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탄성복원력이 모두 소모될 때까지 그리드(300)가 원위치를 지나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그리드 무빙; grid moving)하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그리드(300)에 가해진 외력 제거시, 판 스프링(520)이 낭창거리면서 그리드(300)가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게 되며, 이러한 흔들림은 판 스프링(520)의 탄성복원력이 모두 소모될 때까지 계속된다. 이때 판 스프링(520)의 탄성계수는 그리드(300)의 무게와 좌우 왕복 이동 간격 및 주기 등 필요한 조건에 따라 판 스프링(520)의 소재와 규격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판 스프링(52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그리드(300) 무빙이 이루어지므로, 종래와 같이 그리드(300) 무빙을 위한 별도의 구동장치가 필요 없으며, 그리드(300) 무빙시 구동장치에 의한 소음 발생도 없으므로 엑스선 촬영중 환자의 심리 안정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리드(300)가 지지 프레임(240) 방향으로 이동시, 판 스프링(520)의 일측이 지지 프레임(240)의 일측에 부딪히지 않도록, 지지 프레임(240)의 일측에는 판 스프링(520)의 탄성 변형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결합부(241)에서 스프링 브라켓 대향부(242) 방향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지는 경사부(243)가 지지 프레임(240)의 일측에 절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판 스프링(520)은 스프링 결합부(241)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스프링 브라켓(510)에 결합된 타단이 스프링 브라켓 대향부(242) 방향으로 접근하면서 탄성 변형하게 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그리드(30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2개의 판 스프링(520)이 설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그리드(300)와 지지 프레임(240) 사이에 설치되는 판 스프링(520)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그리드(300)와 지지 프레임(240) 사이에 구비되는 판 스프링(520)과 스프링 브라켓(510), 또는 스프링 결합부(241)와 경사부(243)의 개수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엑스선 촬영이 완료되면, 판 스프링(520)의 탄성복원력에 의한 그리드(300) 유동을 정지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후속 촬영을 위해서는, 판 스프링(520)이 탄성 변형된 상태로 그리드(300)의 유동이 정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시간 경과에 의해 판 스프링(520)의 탄성복원력이 모두 소모되어 그리드(300)가 정지하였다면, 다시 그리드(300)를 유동시키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동력의 손실이 불가피하다. 또한, 종래에는 그리드(300)의 일측을 타격하여 유동시킴으로써 소음 발생의 문제도 있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토퍼부(600)에 의해 판 스프링(520)이 탄성 변형된 상태로 그리드(300)가 정지함으로써, 후속 촬영시에는 다시 판 스프링(52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그리드(300)가 유동하게 되므로, 추가적인 동력 손실이나 소음 발생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자력에 의해 그리드(300)의 일측이 스토퍼부(600)의 일측에 결합됨으로써 그리드(300)의 유동이 정지된다.
이를 위해, 그리드(300)의 일측에 제1 자성체(710)를 포함하는 이동부(400)가 구비되고, 스토퍼부(600)는 제1 자성체(710)와 자력에 의해 결합하는 제2 자성체(720)를 포함한다. 이때, 제1 자성체(710)와 제2 자성체(720)는 극성이 서로 다른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둘 중 하나는 영구자석, 나머지 하나는 금속 등 영구자석과 자력에 의해 결합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제1 자성체(710)와 제2 자성체(720)가 극성 변환 가능한 전자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드(300)의 일측에 제1 자성체(710)를 포함하는 이동부(400)가 구비된다. 이동부(400)는 일측에 제1 자성체(710)가 결합되는 마그넷 브라켓(410)과, 마그넷 브라켓(410)이 결합되도록 그리드 홀더(310)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사각편 형상의 안착부(420)를 포함한다.
마그넷 브라켓(410)은 일단이 안착부(420)에 결합되고 타단이 수직 플레이트(230)의 상단을 지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부(411)를 포함한다. 수직 플레이트(230)의 상단에는 결합부(411)의 타단이 수직 플레이트(23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소정 폭의 절개부(231)가 형성된다.
수직 플레이트(230)의 외측으로 돌출된 마그넷 브라켓(410)의 결합부(411) 끝단에서 지지부(412)가 도면상 하향 절곡 형성된다. 지지부(412)의 일측에는 제1 절곡부(413)가 수직 플레이트(230)의 외측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며, 제1 절곡부(413)의 일측에 제1 자성체(710)가 결합된다. 지지부(412)의 타측에는 연장부(414)가 연장 형성되며, 연장부(414)의 끝단에는 수직 플레이트(230)의 외측 방향으로 제2 절곡부(415)가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어 수직 플레이트(230)의 일측에 구비되는 스토퍼(232)와 대향하게 된다.
이때, 마그넷 브라켓(410)의 결합부(411)가 그리드 홀더(310)의 안착부(420)에 결합되어 있음으로 인해, 그리드(300) 이동시 마그넷 브라켓(410)이 제1 자성체(710) 및 제2 절곡부(415)와 함께 일체로 이동한다. 스토퍼(232)는 스토퍼 브라켓(233)에 의해 수직 플레이트(230)의 일측에 결합되며, 그리드(30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즉, 그리드(300)와 함께 마그넷 브라켓(410) 이동시 제2 절곡부(415)가 스토퍼(232)에 부딪히면 더 이상 스토퍼(23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이때 스토퍼(232)는 충격흡수 및 소음방지를 위해 러버(rubber; 고무)나 실리콘 등 소프트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토퍼부(600)는 구동원과, 구동원에 의해 이동하며 제1 자성체(710)와 자력에 의해 결합하는 제2 자성체(720)를 포함한다. 제2 자성체(720)는 구동원에 의해 이동하는 지지부재(62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원은 제2 자성체(720)의 이동에 필요한 힘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구동원으로서 솔레노이드(610)가 적용된다. 이때, 솔레노이드(610)의 일측에는 가이드 바(611)가 결합되며, 지지부재(620)는 가이드 바(611)의 일측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솔레노이드(610)의 작동에 의해 가이드 바(611)가 직선 이동할 때, 지지부재(620)는 가이드 바(611)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에어나 유압을 사용하는 구동실린더(미도시)를 구동원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지지부재(620)는 상술한 가이드 바(611)의 역할을 하는 실린더 로드(미도시)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구동원으로 구동모터(미도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구동모터의 회전축(미도시)에 가이드 바(611)를 결합하고, 이 가이드 바(611)에 지지부재(620)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회전축 회전시 지지부재(620)가 가이드 바(611)를 따라 직선 이동하게끔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이때 지지부재(620)의 회전은 제한된 상태이다. 이들 구동원의 작동은 버키 프레임(2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610)는 솔레노이드 브라켓(221)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220) 상에 결합된다. 솔레노이드(610) 작동시 가이드 바(611)는 그리드(300)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신축된다.
가이드 바(611)의 일측에 결합되는 지지부재(620)는 사각편 형상이며, 마그넷 브라켓(410)의 제1 자성체(710)와 대향하는 부분에 제2 자성체(720)가 결합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610) 작동시 가이드 바(611)의 이동에 의해, 제2 자성체(720)는 제1 자성체(710)와 가까워지거나 제1 자성체(710)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솔레노이드(610)의 일측에는 지지부재(620)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ㄷ'자 형상의 가이드 부재(630)가 구비되며, 가이드 바(611)는 가이드 부재(630)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가이드 부재(630)는 지지부재(62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역할도 한다.
그리드(300) 무빙시, 마그넷 브라켓(410)의 제1 자성체(710)는 그리드(300)와 함께 좌우 방향으로 유동하고 있으며, 솔레노이드(610) 작동에 의해 지지부재(620)의 제2 자성체(720)가 제1 자성체(710) 방향으로 접근하면, 제1 자성체(710)와 제2 자성체(720)가 자력에 의해 결합한다.
마그넷 브라켓(410)의 제1 자성체(710)와 지지부재(620)의 제2 자성체(720)가 자력에 의해 상호 결합하면, 마그넷 브라켓(410)과 그리드(300)는 더 이상 유동하지 못하고 정지된다. 스토퍼부(600)에 의한 그리드(300)의 유동 정지시, 판 스프링(520)은 일측으로 탄성 변형된 상태이며, 이를 위해 지지부재(620)의 제1 자성체(710) 방향 이동 거리 즉, 가이드 바(611)의 이동 거리가 제어부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력에 의한 제1 자성체(710)와 제2 자성체(720) 결합시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음 방지를 위해, 고무나 실리콘 또는 얇은 천 등 소프트한 재질의 충격흡수부재(미도시)가 제1 자성체(710)와 제2 자성체(72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충격흡수부재가 제1 절곡부(413)의 지지부재(620) 대향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제2 자성체(720)가 지지부재(620)의 반대면에 결합되고 충격흡수부재가 지지부재(620)의 제1 절곡부(413) 대향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1 자성체(710)가 제1 절곡부(413)의 지지부재(620) 대향면에 결합되고, 제1 자성체(710)와 제2 자성체(720)의 표면에 충격흡수부재가 코팅되는 것도 가능하다.
후속 촬영시에는, 제어부에 의한 솔레노이드(610) 작동에 의해, 지지부재(620)가 제1 자성체(710)와 멀어지면서 제1 자성체(710)와 제2 자성체(720)의 자력에 의한 결합이 해제되며, 판 스프링(52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그리드(300) 무빙이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그리드의 왕복 이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그리드의 정지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드(300) 일측의 마그넷 브라켓(410)에 구비되는 제1 자성체(710)와, 스토퍼부(600) 일측의 지지부재(620)에 구비되는 제2 자성체(720)가 서로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판 스프링(52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그리드(300) 무빙이 계속된다.
솔레노이드(610) 작동에 의해 지지부재(620)와 함께 제2 자성체(720)가 제1 자성체(710) 방향으로 이동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성체(710)와 제2 자성체(720)가 자력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마그넷 브라켓(410)과 함께 그리드(300) 무빙이 정지되며, 이때 판 스프링(520)은 일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탄성복원력이 축적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후, 솔레노이드(610) 작동에 의해 지지부재(620)와 함께 제2 자성체(720)가 제1 자성체(710)로부터 떨어져 멀어지면, 그리드(300) 정지시 판 스프링(520)에 축적된 탄성복원력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리드(300) 무빙이 다시 시작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그리드의 정지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용 무빙 그리드 장치(100')는 제1 자성체(710')와 제2 자성체(720')가 동일 극성을 가진다.
이 경우, 솔레노이드(610) 작동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자성체(720')가 제1 자성체(710')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 자성체(710')와 제2 자성체(720') 사이에 발생되는 척력으로 인해 마그넷 브라켓(410)과 함께 그리드(300) 무빙이 정지된다. 이때, 판 스프링(520)은 일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탄성복원력이 축적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후, 솔레노이드(610) 작동에 의해 지지부재(620)와 함께 제2 자성체(720')가 제1 자성체(710')로부터 떨어져 멀어지면, 그리드(300) 정지시 판 스프링(520)에 축적된 탄성복원력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리드(300) 무빙이 다시 시작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자성체(710')와 제2 자성체(720')를 동일 극성의 자성체로 구성하는 경우,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그리드(300) 정지시 제1 자성체(710')와 제2 자성체(720') 사이에는 척력에 의한 간극(730)이 존재하게 되며, 따라서 접촉 소음의 발생을 더욱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100' : 엑스선 촬영용 무빙 그리드 장치
200 : 버키 프레임
220 : 베이스 플레이트
230 : 수직 플레이트
240 : 지지 프레임
241 : 스프링 결합부
300 ; 그리드
400 : 이동부
410 : 마그넷 브라켓
500 : 탄성 지지부
510 : 스프링 브라켓
520 : 판 스프링
600 : 스토버부
610 : 솔레노이드
710,710' : 제1 자성체
720,720' : 제2 자성체

Claims (15)

  1. 버키 프레임;
    상기 버키 프레임 내에 좌우 방향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그리드;
    상기 그리드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1 자성체를 포함하는 이동부; 및
    상기 버키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며, 자력에 의해 상기 그리드의 유동을 정지시키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제1 자성체와 동일 또는 반대 극성의 제2 자성체가 일측에 구비되며 구동원에 의해 직선 이동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촬영용 무빙 그리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직선 이동하는 가이드 바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촬영용 무빙 그리드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솔레노이드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촬영용 무빙 그리드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그리드의 일측에 구비되는 마그넷 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자성체는 상기 마그넷 브라켓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촬영용 무빙 그리드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 브라켓은, 상기 그리드의 일측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 절곡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제1 자성체가 구비되는 제1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촬영용 무빙 그리드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 브라켓은,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버키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는 스토퍼와 대향하도록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 절곡 형성되는 제2 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촬영용 무빙 그리드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의 양측에 이격하여 한 쌍의 지지 프레임이 설치되며, 상기 그리드는 탄성 지지부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상기 지지 프레임 사이에 탄성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촬영용 무빙 그리드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그리드의 일측에 구비되는 스프링 브라켓과, 일단이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스프링 브라켓에 결합되는 판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촬영용 무빙 그리드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스프링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판 스프링의 일단이 상기 스프링 결합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촬영용 무빙 그리드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은, 상기 스프링 결합부에서 상기 스프링 브라켓의 대향부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촬영용 무빙 그리드 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40109802A 2014-08-22 2014-08-22 엑스선 촬영용 무빙 그리드 장치 KR101593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802A KR101593919B1 (ko) 2014-08-22 2014-08-22 엑스선 촬영용 무빙 그리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802A KR101593919B1 (ko) 2014-08-22 2014-08-22 엑스선 촬영용 무빙 그리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3919B1 true KR101593919B1 (ko) 2016-02-16

Family

ID=55448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802A KR101593919B1 (ko) 2014-08-22 2014-08-22 엑스선 촬영용 무빙 그리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39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7240A (ko) * 2017-08-10 2019-02-20 이은구 엑스레이 촬영 필름카세트 가변 장착용 버키 트레이
KR102333006B1 (ko) * 2021-06-23 2021-12-01 제이피아이헬스케어 주식회사 자체 정렬 장치가 구비된 x선 그리드 패널
KR20220081109A (ko) 2020-12-08 2022-06-15 김주형 양방향 충격감지가 가능한 x레이 버키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8158A (ja) 1993-09-30 1995-06-13 General Electric Co <Ge> 診断用x線システム、及びx線作像システムの放射線写真グリッドを相反的に移動させる方法
JPH11285486A (ja) 1998-04-03 1999-10-19 Hitachi Medical Corp X線診断装置
JP2001333895A (ja) * 2000-05-26 2001-12-04 Canon Inc X線撮影装置
JP2002011002A (ja) * 2000-06-29 2002-01-15 Fuji Photo Film Co Ltd 散乱線除去グリッド駆動方法および装置
JP2009018110A (ja) * 2007-07-13 2009-01-29 Toshiba Corp グリッド揺動装置および乳房x線撮影装置
KR101084106B1 (ko) * 2009-11-23 2011-11-16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엑스레이 무빙 그리드 장치
JP2013248091A (ja) 2012-05-31 2013-12-12 Shimadzu Corp X線撮影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8158A (ja) 1993-09-30 1995-06-13 General Electric Co <Ge> 診断用x線システム、及びx線作像システムの放射線写真グリッドを相反的に移動させる方法
JPH11285486A (ja) 1998-04-03 1999-10-19 Hitachi Medical Corp X線診断装置
JP2001333895A (ja) * 2000-05-26 2001-12-04 Canon Inc X線撮影装置
JP2002011002A (ja) * 2000-06-29 2002-01-15 Fuji Photo Film Co Ltd 散乱線除去グリッド駆動方法および装置
JP2009018110A (ja) * 2007-07-13 2009-01-29 Toshiba Corp グリッド揺動装置および乳房x線撮影装置
KR101084106B1 (ko) * 2009-11-23 2011-11-16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엑스레이 무빙 그리드 장치
JP2013248091A (ja) 2012-05-31 2013-12-12 Shimadzu Corp X線撮影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7240A (ko) * 2017-08-10 2019-02-20 이은구 엑스레이 촬영 필름카세트 가변 장착용 버키 트레이
KR101991110B1 (ko) 2017-08-10 2019-06-19 이은구 엑스레이 촬영 필름카세트 가변 장착용 버키 트레이
KR20220081109A (ko) 2020-12-08 2022-06-15 김주형 양방향 충격감지가 가능한 x레이 버키장치
KR102333006B1 (ko) * 2021-06-23 2021-12-01 제이피아이헬스케어 주식회사 자체 정렬 장치가 구비된 x선 그리드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57746B2 (ja) 散乱x線除去用グリッドおよびx線装置
JP5238787B2 (ja) 放射線撮影装置及び放射線撮影システム
JPS60253198A (ja) X線写真装置
WO2011033798A1 (ja) X線撮影装置、x線画像システム及びx線画像生成方法
KR101593919B1 (ko) 엑스선 촬영용 무빙 그리드 장치
JP2008529659A (ja) 複式モードの平面パネルx線撮像システム
JP2012095865A (ja) 放射線撮影装置、放射線撮影システム
WO2012114765A1 (ja) 乳房画像撮影装置
WO2016119515A1 (zh) 计算机断层成像设备及通过其拍摄断层图像的方法
JP6753342B2 (ja) 放射線格子検出器およびx線検査装置
JPH04285541A (ja) ラジオグラフィの方法および装置
JP7020085B2 (ja) X線撮影システム
WO2012169426A1 (ja) 放射線撮影システム
US9105366B2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an X-ray image system with a grid frame arranged to enable the grid frame to oscillate
JP2002143138A (ja) カセッテ型x線画像撮影装置
JP2001510698A (ja) トモシンセシス用のx線診断装置
KR101502844B1 (ko) 평판형 엑스레이 디텍터
KR20100071302A (ko) 방사선 신호의 투과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
JP3982242B2 (ja) X線透視撮影装置
JP2019000460A (ja) 放射線撮影装置、放射線撮影システム、放射線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506726B2 (ja) 放射線画像撮影方法、並びに、放射線検出器および放射線画像撮影装置
KR102343322B1 (ko) 엑스선 촬영용 그리드의 서브 조립용 지그
JP5339951B2 (ja) X線画像撮影装置
US20110216882A1 (en) Radiographic image capturing method and apparatus, and radiographic image generating method and apparatus
JP2012050517A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