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3322B1 - 엑스선 촬영용 그리드의 서브 조립용 지그 - Google Patents

엑스선 촬영용 그리드의 서브 조립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3322B1
KR102343322B1 KR1020190176581A KR20190176581A KR102343322B1 KR 102343322 B1 KR102343322 B1 KR 102343322B1 KR 1020190176581 A KR1020190176581 A KR 1020190176581A KR 20190176581 A KR20190176581 A KR 20190176581A KR 102343322 B1 KR102343322 B1 KR 102343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d
link
ray
main fram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3862A (ko
Inventor
신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창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창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창산업
Priority to KR1020190176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322B1/ko
Publication of KR20210083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291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the detector being combined with a grid or gr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58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detection or reduction of artifacts or noise
    • A61B6/528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detection or reduction of artifacts or noise due to scat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47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tracking of position of the device or parts of the devi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압출 바를 이용한 엑스선 촬영용 그리드의 서브 조립용 지그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엑스선 촬영용 그리드의 서브 조립용 지그는 메인 프레임에 일단이 고정되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엑스선 그리드가 설치되고, 상기 엑스선 그리드의 좌우 움직임을 안내 및 제한하도록 상기 엑스선 그리드에 평행하게 상기 메인 프레임에 일단이 고정되는 한 쌍의 그리드 가이드 브래킷을 조립하기 위한 엑스선 촬영용 그리드의 서브 조립용 지그로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그리드 가이드 브래킷이 움직이지 않도록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된 테이블; 및 상기 테이블 후방에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그리드 가이드 브래킷이 상기 안착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그리드 가이드 브래킷과 상기 메인 프레임이 조립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 후방을 밀어 고정하는 압출 바;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엑스선 촬영용 그리드의 서브 조립용 지그 {Jig for assembling of SUB of X-ray grid}
본 발명은 압출 바를 이용한 엑스선 촬영용 그리드의 서브 조립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늘날 엑스선(X-ray)의 투과 성질을 이용하여 환자의 신체부위나 물체를 투시 촬영하는 엑스선 촬영장치가 널리 활용되고 있다. 특히, 의학 영상장비로 널리 알려진 엑스선 촬영장치는, 엑스선이 물체를 통과하는 동안 물체의 성질과 거리에 따라 감쇠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영상을 얻는 장치로, 신체 내부 진단을 위한 의료분야에서의 활용은 물론, 물체의 내부 결함을 밝혀내기 위한 비파괴 검사 분야 등에서 적극 활용되고 있다.
엑스선 촬영은 엑스선이 지닌 높은 투과력으로 촬영 대상의 내부를 투영 표시하는 방사선 사진법(radiography)을 일컫는다. 엑스선은 물체를 투과하면서 광전효과(photoelectric effect), 콤프턴 산란(compton scattering) 등 물체의 재질, 밀도, 두께에 따른 감쇠 현상을 수반한다. 따라서 엑스선 촬영은 촬영 대상을 통과하는 과정 중에 누적된 엑스선 감쇠량을 기초로 촬영 대상의 내부 구조를 평면에 투영 표시하며, 이를 위해 별도의 엑스선 촬영 시스템이 사용된다.
엑스선 촬영 시스템은 엑스선을 생성하는 제너레이터(generator), 촬영 대상을 사이에 두고 제너레이터와 대향 배치되며 촬영 대상을 통과하는 과정 중에 누적된 엑스선 감쇠량을 검출하는 디텍터(detector)를 필수 구성요소로 한다.
제너레이터는 높은 운동에너지를 지닌 전자를 금속의 타겟(target)에 충돌시켜 엑스선을 생성한다. 참고로, 통상의 제너레이터는 엑스선의 조사영역(field size)를 제어하는 콜리메이터(collimator)를 제공한다. 디텍터는 아날로그 방식과 디지털 방식으로 구분되는데, 아날로그 방식은 엑스선에 의해 빛을 발하는 엑스선 증감지(X-ray intensifying screen)와 은염 필름(silver salt film)을 조합해서 엑스선 증감지의 빛으로 은염 필름에 잠상을 구현한 후, 은염 필름을 현상해서 촬영 결과를 얻는다. 때문에 해당 방식은 은염 필름의 현상 등을 위한 시간적, 비용적 소모가 크고 필름의 보관 및 처리상 문제를 수반하므로 점차 지양되고 있다.
디지털 방식은 엑스선에 감응하는 검출매체로 2차원 센서를 구현하고, 엑스선의 입사량에 비례한 센서의 전기신호와 위치정보로 디지털의 화상 데이터를 구현한다. 해당 방식은 실시간에 가까운 촬영결과를 얻을 수 있고, 상대적으로 적은 방사선으로 높은 해상도와 넓은 동적영역을 확보할 수 있으며, 디지털 데이터의 특성상 촬영 결과의 보관 및 처리가 간편하므로 최근 각광받고 있다.
한편, 엑스선을 이용하여 피검체, 예컨대 환자의 신체부위를 촬영함에 있어서 환자에게 조사되는 엑스선은, 신체 내부에서 필연적으로 산란(scattering)을 일으키게 된다. 산란 방사선은 이미지 센서에 의해 검출되어야 할 주 방사선과 중첩되어 영상을 흐리게 하므로, 영상의 대조도(contrast)를 약화시키고 추가적인 노이즈의 원인이 되어 환자 진료 시 오진 등을 초래할 위험이 있다. 이에 따라, 산란 방사선을 줄이기 위한 한 방법으로서, 엑스선 그리드(X-ray grid)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그리드는 기본적으로 엑스선을 흡수하는 물질의 스트립(strip)과 엑스선을 투과하는 물질의 스트립을 교대로 반복 배치한 격자 모양의 구조를 가지며, 환자의 몸에서 산란된 빛이 흡수 스트립에 부딪혀 흡수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산란된 빛들을 제거해 준다.
이때, 엑스선이 흡수 스트립에 흡수됨으로써, 화상에 음영을 가진 그리드 라인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그리드를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grid moving)시켜 스트립을 패턴화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이러한 그리드의 좌우 방향을 정확한 위치와 한계로 안내하는 부품이 또한 필요가 있다.
실용신안등록 20-0284751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좌우로 왕복이동하는 엑스선 그리드를 안내하는 양쪽의 가이드 브래킷을 정확한 위치에 조립할 수 있는 엑스선 촬영용 그리드의 서브 조립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메인 프레임에 일단이 고정되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엑스선 그리드가 설치되고, 상기 엑스선 그리드의 좌우 움직임을 안내 및 제한하도록 상기 엑스선 그리드에 평행하게 상기 메인 프레임에 일단이 고정되는 한 쌍의 그리드 가이드 브래킷을 조립하기 위한 엑스선 촬영용 그리드의 서브 조립용 지그로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그리드 가이드 브래킷이 움직이지 않도록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된 테이블; 및 상기 테이블 후방에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그리드 가이드 브래킷이 상기 안착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그리드 가이드 브래킷과 상기 메인 프레임이 조립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 후방을 밀어 고정하는 압출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그리드 가이드 브래킷에는 상기 엑스선 그리드의 일부가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출 바는 손잡이를 회전시키면 압출부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방을 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출 바는, 상기 프레임에 일단이 고정된 제1링크; 상기 제1링크의 자유단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압출부가 구비된 제2링크; 상기 제1링크의 자유단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2링크보다 하부에 위치하고, 타단에는 상기 손잡이가 구비된 제3링크; 및 상기 손잡이를 상측으로 밀어 회전시키면 상기 제2링크가 회전되어 상기 압출부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방을 밀도록 상기 제2링크와 제3링크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4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엑스선 그리드를 안내하고 제안하는 그리드 가이드 브래킷을 정확한 위치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엑스선 촬영용 그리드의 서브 조립용 지그에 의해 조립된 엑스선 촬영용 그리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엑스선 촬영용 그리드의 서브 조립용 지그에 의해 조립된 엑스선 촬영용 그리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엑스선 촬영용 그리드의 서브 조립용 지그에 의해 조립된 엑스선 촬영용 그리드 장치의 서로 다른 각도에서 바라 본 사시도들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엑스선 촬영용 그리드의 서브 조립용 지그의 서로 다른 각도에서 바라 본 사시도들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엑스선 촬영용 그리드의 서브 조립용 지그의 작업 후의 서로 다른 각도에서 바라 본 사시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엑스선 촬영용 그리드의 서브 조립용 지그의 일부 구성요소인 압출 부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용 그리드의 서브 조립용 지그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서브 조립용 지그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메인 프레임(30)에 일단이 고정되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엑스선 그리드(10)가 설치되고, 상기 엑스선 그리드(10)의 좌우 움직임을 안내 및 제한하도록 상기 엑스선 그리드(10)에 평행하게 상기 메인 프레임(30)에 일단이 고정되는 한 쌍의 그리드 가이드 브래킷(20)을 조립하기 위한 엑스선 촬영용 그리드의 서브 조립용 지그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엑스선 촬영용 그리드 장치(1)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선 촬영용 그리드 장치(1)는 디텍터 상부에 설치되는 장치이고, 평판 형태의 그리드(10)가 좌우로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엑스선 촬영용 그리드 장치(1)의 메인 프레임(30)에는 그리드 브릿지 브래킷(31)을 통하여 엑스선 그리드(10)가 고정되어 있고, 메인 프레임(30)에 좌우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가 설치되어 엑스선 그리드(10)를 좌우로 왕복 운동하도록 구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엑스선 그리드(10) 양쪽에는 그리드 가이드 브래킷(20)이 설치되어 엑스선 그리드(10)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동시에 제한하게 된다. 상기 그리드 가이드 브래킷(20)은 한 쌍으로 설치가 되고, 각각 일단이 메인 프레임(30)에 볼트(40)에 의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그리드 가이드 브래킷(20)에는 상기 엑스선 그리드(10)의 일부가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가이드부(20a)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용 그리드의 서브 조립용 지그는,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50), 테이블(51), 그리고 압출 바(6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50)은,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작업자가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직육면체 형태로 뼈대가 형성되어 있고 바닥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테이블(51)은,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프레임(50) 상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그리드 가이드 브래킷(20)이 움직이지 않도록 안착되는 안착부(51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안착부는 홈이나 턱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테이블(51)의 안착부(51a)에는 상기 그리드 가이드 브래킷(20)이 놓이게 되면 그 평면 상에서 어느 방향으로든 미는 힘을 제공하더라도 그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압출 바(60)는, 도 5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테이블(51) 후방에 상기 프레임(50)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그리드 가이드 브래킷(20)이 상기 안착부(51a)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그리드 가이드 브래킷(20)과 상기 메인 프레임(30)이 조립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30) 후방을 밀어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압출 바(60)는 손잡이(61)를 회전시키면 압출부(62)가 상기 메인 프레임(30)의 후방을 밀도록 작동된다.
이때, 상기 압출 바(60)는,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프레임(50)에 일단이 고정된 제1링크(63)와, 상기 제1링크(63)의 자유단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압출부(62)가 구비된 제2링크(64)와, 상기 제1링크(63)의 자유단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2링크(64)보다 하부에 위치하고, 타단에는 상기 손잡이(61)가 구비된 제3링크(65)와, 상기 손잡이(61)를 상측으로 밀어 회전시키면 상기 제2링크(64)가 회전되어 상기 압출부(62)가 상기 메인 프레임(30)의 후방을 밀도록 상기 제2링크(64)와 제3링크(65)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4링크(6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출 바(60)는, 도 9를 참고하면, 제3링크(65)의 손잡이(61)를 잡고 위로 회전시키면 제4링크(66)에 연결된 제2링크(64)가 회전되면서 압출부(62)가 메인 프레임(30) 후방을 정확한 위치까지만 밀어 고정하게 된다. 반대로 손잡이(61)를 회전시키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도면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도 2를 참고하면, 도 1과 같은 상태로 조립하기 전의 상태를 보여준다.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메인 프레임(30)에 그리드 브릿지 브래킷(31)을 조립한다. 그 다음,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그리드 가이드 브래킷(20)을 조립하게 된다.
먼저, 도 5와 같이 테이블(51) 상부가 빈 상태이고, 압출 바(60)는 원위치로 위치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먼저 한 쌍의 그리드 가이드 브래킷(20)을 테이블(51)의 안착부(51a)에 안착시킨다.
도 7과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한 쌍의 그리드 가이드 브래킷(20)이 테이블(51)에 안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후방으로부터 메인 프레임(30)과 엑스선 그리드(10)의 어셈블리를 힘을 가하여 밀어 넣는다. 이때, 엑스선 그리드(10)가 그리드 가이드 브래킷(20)의 가이드부(20a) 사이를 지나게 되고, 그 상태에서 마지막으로 손잡이(61)를 위로 올려 압출부(62)가 상기 메인 프레임(30)을 후방을 밀어 조립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하게 된다. 즉 메인 프레임(30)과 엑스선 그리드(10) 어셈블리를 밀어 넣을 때 일부분이 밀착되는 부분이 있어 인력이 많이 소요되고 정확한 조립 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압출 바(60)를 통하여 메인 프레임(30) 후방을 밀게 됨으로써 작업자는 편안하게 어셈블리에 그리드 가이드 브래킷(20)을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메인 프레임(30)의 일부가 그리드 가이드 브래킷(20)의 턱(20b)에 걸리는 위치까지 밀리게 되고, 그 상태에서 볼트(40)로 4곳을 체결하여 조립을 완성한다. 물론 이와 동시에 볼트와 함께 또는 볼트 외에 강력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 엑스선 촬영용 그리드 장치
10 : 엑스선 그리드 20 : 그리드 가이드 브래킷
30 : 메인 프레임 40 : 볼트
50 : 프레임 51 : 테이블
60 : 압출 바 61 : 손잡이
62 : 압출부 63 : 제1링크
64 : 제2링크 65 : 제3링크
66 : 제4링크

Claims (4)

  1. 메인 프레임에 일단이 고정되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엑스선 그리드가 설치되고, 상기 엑스선 그리드의 좌우 움직임을 안내 및 제한하도록 상기 엑스선 그리드에 평행하게 상기 메인 프레임에 일단이 고정되는 한 쌍의 그리드 가이드 브래킷을 조립하기 위한 엑스선 촬영용 그리드의 서브 조립용 지그로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그리드 가이드 브래킷이 움직이지 않도록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된 테이블;
    상기 테이블 후방에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그리드 가이드 브래킷이 상기 안착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그리드 가이드 브래킷과 상기 메인 프레임이 조립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 후방을 밀어 고정하는 압출 바;
    를 포함하고,
    상기 압출 바는 손잡이를 회전시키면 압출부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방을 밀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압출 바는,
    상기 프레임에 일단이 고정된 제1링크;
    상기 제1링크의 자유단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압출부가 구비된 제2링크;
    상기 제1링크의 자유단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2링크보다 하부에 위치하고, 타단에는 상기 손잡이가 구비된 제3링크;
    상기 손잡이를 상측으로 밀어 회전시키면 상기 제2링크가 회전되어 상기 압출부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방을 밀도록 상기 제2링크와 제3링크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4링크;
    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용 그리드의 서브 조립용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그리드 가이드 브래킷에는 상기 엑스선 그리드의 일부가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가이드부가 형성된 엑스선 촬영용 그리드의 서브 조립용 지그.
  3. 삭제
  4. 삭제
KR1020190176581A 2019-12-27 2019-12-27 엑스선 촬영용 그리드의 서브 조립용 지그 KR102343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581A KR102343322B1 (ko) 2019-12-27 2019-12-27 엑스선 촬영용 그리드의 서브 조립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581A KR102343322B1 (ko) 2019-12-27 2019-12-27 엑스선 촬영용 그리드의 서브 조립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862A KR20210083862A (ko) 2021-07-07
KR102343322B1 true KR102343322B1 (ko) 2021-12-27

Family

ID=76862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581A KR102343322B1 (ko) 2019-12-27 2019-12-27 엑스선 촬영용 그리드의 서브 조립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332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10218A1 (en) 2005-04-05 2007-05-17 O'dea Dennis J Grid assembly for use with a cassette
KR101581338B1 (ko) * 2014-10-13 2015-12-30 (주)동문 엑스레이 그리드 조립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16760A1 (de) * 1994-08-04 1996-02-08 Alcatel Kabel Ag Verfahren zum elektrisch leitenden Verbinden von zwei elektrischen Leitungen
KR200284751Y1 (ko) 2002-04-23 2002-08-13 정원정밀공업 주식회사 엑스선 촬영 시스템에 사용되는 엑스레이 그리드
JP2013545082A (ja) * 2010-10-08 2013-12-19 タートル・ベイ・パートナーズ,エルエルシー 3次元散乱防止集束グリッド、及び同グリッド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10218A1 (en) 2005-04-05 2007-05-17 O'dea Dennis J Grid assembly for use with a cassette
KR101581338B1 (ko) * 2014-10-13 2015-12-30 (주)동문 엑스레이 그리드 조립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862A (ko) 202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1123B1 (ko) 산란방지와 콜리메이팅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를 제조하여 x-방사선 또는 감마 검출기에 제공하는 방법
US7330532B2 (en) Dual energy imaging using optically coupled digital radiography system
US76436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dow aperture backscatter radiography (SABR) system and protocol
EP0785674A1 (en) Radiographic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7429131B2 (en) Portable radiographic imaging apparatus
JPH01500968A (ja) 断層像形成方法及び装置
JP2011218147A (ja) 放射線撮影システム
US20110080993A1 (en) Stacked x-ray detector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1200337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ation resistant imaging
AU730166B2 (en) Apparatus for making tomography images
US2012010670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modal imaging using multiple x-ray sources
CA2644935A1 (en) Dual-source scanning-based detection of ionizing radiation
US7839981B2 (en) Anti-scatter grid
US7212603B2 (en) Device for capturing structural data of an object
KR20120009811A (ko) 엑스선 산란 방지용 그리드 및 엑스선 검출 장치
KR102343322B1 (ko) 엑스선 촬영용 그리드의 서브 조립용 지그
SE529451C2 (sv) Apparart och metod för att skapa tomosyntes- och projektionsbilder
US20200234839A1 (en) Anti-scatter collimator for radiation imaging modalities
US6518580B1 (en) Proton radiography based on near-threshold Cerenkov radiation
WO2002061407A1 (fr) Dispositif d'imagerie par rayons x haute energie et procede associe
WO2012070661A1 (ja) 放射線画像検出装置、放射線撮影装置、及び放射線撮影システム
WO2012057278A1 (ja) 放射線撮影システム及び放射線撮影方法
US5352896A (en) High energy radiation detector including a radiation to light converter having baffle plates extending toward a light detector
JP4328408B2 (ja) 画像変換装置
US6888144B2 (en) Method to reduce scatter radiation in digital imaging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