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1109A - 양방향 충격감지가 가능한 x레이 버키장치 - Google Patents

양방향 충격감지가 가능한 x레이 버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1109A
KR20220081109A KR1020200170612A KR20200170612A KR20220081109A KR 20220081109 A KR20220081109 A KR 20220081109A KR 1020200170612 A KR1020200170612 A KR 1020200170612A KR 20200170612 A KR20200170612 A KR 20200170612A KR 20220081109 A KR20220081109 A KR 20220081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bucky
ray
impact
buck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0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0430B1 (ko
Inventor
김주형
Original Assignee
김주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형 filed Critical 김주형
Priority to KR1020200170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430B1/ko
Publication of KR20220081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8Testing, adjusting or calibrating thereof
    • A61B6/586Detection of faults or malfunction of th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283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characterised by a detector unit being housed in a casset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291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the detector being combined with a grid or gr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61B6/4452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and the detector unit being able to move relative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66Operational features for monitoring or limiting apparatus function
    • A61B2560/0276Determining malfun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X레이버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X레이 그리드와 X레이 트레이를 수용하는 버키 본체부와, 상기 버키 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센서부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버키 본체부에 체결되는 센서부 프레임과, 상기 센서부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버키 본체부의 저면에 설치되는 센서장착부와, 상기 센서 장착부에 안착되는 충격감지센서를 구비하고, 센서장착부는, 상기 버키 본체부의 저면에 부착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양측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로부터 하향으로 경사져 형성되며, 상기 충격감지센서가 안착되는 경사날개부를 구비하여, 하나의 충격감지센서만으로도 A방향에서의 충격과 B방향에서의 충격을 모두 감지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복수개의 충격감지센서를 장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센서를 설치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센서 장착 개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센서장착부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서 컴팩트한 X레이 버키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양방향 충격감지가 가능한 X레이 버키장치{X-RAY BUCKY DEVICE CAPABLE OF DETECTING DUAL DIRECTION}
본 발명은 X레이버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로드셀만으로도 두 개 이상의 방향에서 X레이 버키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할 수 있는 양방향 충격감지가 가능한 X레이 버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X선 의료용 진단기기는 인체 내부질환을 영상을 통한 방사선 검사에 사용되는 것으로, 인체의 흉부, 두부, 소화관, 척추 및 상해를 입은 부위에서 인체의 뼈가 손상된 부분이 있는지 X선을 통해서 분석하는 기기이다.
통상 병원 등에서 사용되는 의료용 진단기기는 엑스레이(X-RAY)를 조사하는 엑스레이 튜브(X-RAY TUBE)로부터 조사된 엑스레이가 동물이나 환자의 신체 등 촬영대상을 투과하면, 이를 검출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여기서, 의료용 진단기기는 엑스레이 튜브로부터 조사되는 엑스레이에 의해 촬영대상이 촬영되는 엑스레이 검출부를 포함하며, 이러한 엑스레이 검출부를 통상 '엑스레이 디텍터(DR)'라고 부르기도 한다.
엑스레이 검출기 중에서 영상의 질이나 환자 피폭선량의 감소, 검사 효율성, 및 장착 수월성 등을 고려할 때, 평판검출기를 이용하여 디지털 엑스선 영상을 얻는 방식이 근래의 추세이며, 평판검출기는 테이블 버키(Table bucky) 또는 스탠드 버키(Stand bucky) 안에 전자 카세트 형태로 장착되어 사용된다.
종래의 X레이 버키 장치에서는, X레이 버키장치에 충격감지센서를 설치하여, X레이버키가 장착된 아암의 승하강은 물론 좌우 회전과, X레이 버키장치의 회전시에도 어느 방향에서든 충격이 감지되면 장비의 동작을 멈추도록 구동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X레이 버키장치에서는 여러 방향의 충격을 감지하기 위하여, 각 방향마다에 센서를 장착하여야 했다. 즉,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X레이 버키 장치에서는, A방향에서의 충격과 B방향에서의 충격을 각각 감지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A방향에서의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와 B방향에서의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를 각각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X레이 버키 장치의 설치와 관리에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 10-1593919호(X선 촬영용 무빙 그리드 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로드셀만으로도 두 개 이상의 방향에서 X레이 버키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경제성이 있고 콤팩트한 양방향 충격감지가 가능한 X레이 버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충격감지가 가능한 X레이 버키장치는 X레이 그리드와 X레이 트레이를 수용하는 버키 본체부와, 상기 버키 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센서부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버키 본체부에 체결되는 센서부 프레임과, 상기 센서부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버키 본체부의 저면에 설치되는 센서장착부와, 상기 센서 장착부에 안착되는 충격감지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장착부는, 상기 버키 본체부의 저면에 부착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양측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로부터 하향으로 경사져 형성되며, 상기 충격감지센서가 안착되는 경사날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경사날개부는 상부면에 상기 충격감지센서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저면에 상기 충격감지센서가 끼워넣어지는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버키 본체부에 체결되는 센서지지블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장착부는 상기 X레이 버키장치가 연결되는 회전아암과 연결되는 아암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양방향 충격감지가 가능한 X레이 버키장치에 의하면, 상기 센서장착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경사날개부와, 상기 경사날개부에 안착된 충격감지센서에 의해, 하나의 충격감지센서만으로도 A방향에서의 충격과 B방향에서의 충격을 모두 감지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복수개의 충격감지센서를 장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센서를 설치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센서 장착 개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센서장착부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서 컴팩트한 X레이 버키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X레이 버키장치가 장착된 X레이 검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X레이 버키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A를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X레이 버키장치의 센서장착부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X레이 버키장치의 경사날개부와 센서지지블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종래기술에 의한 X레이 버키장치의 충격감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충격감지가 가능한 X레이 버키장치에 대하여 실시예로써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X레이 버키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X레이 검출장치(1)에 장착된다. 상기 X레이 검출장치(1)는 바닥에 세워 설치되는 스탠드(2)와, 상기 스탠드(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아암(3)과, 상기 회전아암의 일측에 설치되는 X레이 튜브(4)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아암의 타측에는 X레이 그리드를 가지는 X레이 버키장치(10)가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충격감지가 가능한 X레이 버키장치(10)는 버키 본체부(11)와, 센서부(12)를 포함한다.
상기 버키본체부(11)의 상부면에는 X레이 그리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버키본체부(11)의 내부에는 X레이 트레이가 수납인출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버키본체부(11)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아암(3)과 연결되는 아암연결부(13)이 마련되며, 상기 버키본체부(11)의 타측에는 상기 X레이 트레이를 수납인출하고 조작하기 위한 조작버튼이 형성된 손잡이부(14)가 마련된다.
상기 버키본체부(11)의 하부에는 상기 센서부(12)가 설치된다.
상기 센서부(12)는 센서장착부(20)와, 충격감지센서(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센서장착부와 상기 충격감지센서를 커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버키본체부(11)에 체결되는 센서부 프레임을 구비한다.
상기 센서장착부(20)는 상기 버키본체부(11)의 저면에 직접 체결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플레이트(50)를 매개로 하여 상기 버키 본체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서장착부(20)는 상기 X레이 버키장치가 연결되는 회전아암과 연결되는 아암연결부(13)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버키 본체부에 가해지는 충격은 물론 상기 회전아암에 가해지는 충격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장착부(20)는 바디부(21)와, 경사날개부(22)를 구비한다.
상기 바디부(21)는 상기 버키본체부의 저면 중앙에 배치되며 대략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경사날개부(22)는 상기 바디부(21)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21)의 양측 끝단에서 하향으로 일정 경사각도,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45°의 경사각도를 가지면서 경사져 형성된다.
상기 경사날개부(22)의 상부면에는 안착홈(23)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23)은 상기 경사날개부(22)의 상부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절개하여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의 폭은 상기 충격감지센서(30)의 폭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충격감지센서(30)가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끼워 맞추어져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충격감지센서(30)는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며, 상기 충격감지센서로는 본 실시예에서는 로드셀인 것을 예로 한다.
상기 충격감지센서(30)는 상기 안착홈(23)에 안착되어 상기 경사날개부(22)에 지지되지만, 상부면은 센서지지블럭(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센서지지블럭(40)은 경사져 형성된 상기 경사날개부에 안착되는 상기 충격감지센서(30)에 상응하여 경사져 배치되며, 저면에는 절개되어 형성된 오목부를 구비하여 상기 오목부에 상기 충격감지센서(30)의 상부면이 끼워 맞추어져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센서지지블럭(40)은 상부면 일측이 경사져 절단되어 경사면을 형성한다. 상기 버키본체부의 저면과 평행이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센서지지블럭(40)의 상기 경사면은 상기 버키본체부(11)의 저면에 체결된 연결플레이트(50)에 체결된다. 이로써, 상기 충격감지센서(30)는 상기 센서장착부에 가해지는 충격은 물론 상기 버키본체부에 가해지는 충격도 상기 버키본체부와 상기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센서지지블럭에 의해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종래의 X레이 버키장치에 설치된 로드셀은 고정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받는 하중만을 감지하므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A방향과 B방향에서의 충격을 각각 감지하려면 A방향에서의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와 B방향에서의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를 각각 설치하여야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충격감지센서는 로드셀을 45도로 기울여 하나의 로드셀로 양방향의 충격(하중)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복수개의 충격감지센서를 장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센서를 설치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센서 장착 개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센서장착부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1 : X레이 검출장치
10 : X레이 버키장치
11 : 버키 본체부
12 : 센서부
20 : 센서장착부
30 : 충격감지센서
40 : 센서지지블럭
50 : 연결플레이트

Claims (5)

  1. X레이 그리드와 X레이 트레이를 수용하는 버키 본체부와,
    상기 버키 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센서부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버키 본체부에 체결되는 센서부 프레임과,
    상기 센서부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버키 본체부의 저면에 배치되는 센서장착부와,
    상기 센서 장착부에 안착되는 충격감지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충격감지가 가능한 X레이 버키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장착부는,
    상기 버키 본체부의 저면에 부착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양측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로부터 하향으로 경사져 형성되며, 상기 충격감지센서가 안착되는 경사날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충격감지가 가능한 X레이 버키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날개부는 상부면에 상기 충격감지센서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충격감지가 가능한 X레이 버키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면에 상기 충격감지센서가 끼워넣어지는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버키 본체부에 체결되는 센서지지블럭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충격감지가 가능한 X레이 버키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장착부는 상기 X레이 버키장치가 연결되는 회전아암과 연결되는 아암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충격감지가 가능한 X레이 버키장치.
KR1020200170612A 2020-12-08 2020-12-08 양방향 충격감지가 가능한 x레이 버키장치 KR102520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612A KR102520430B1 (ko) 2020-12-08 2020-12-08 양방향 충격감지가 가능한 x레이 버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612A KR102520430B1 (ko) 2020-12-08 2020-12-08 양방향 충격감지가 가능한 x레이 버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109A true KR20220081109A (ko) 2022-06-15
KR102520430B1 KR102520430B1 (ko) 2023-04-11

Family

ID=81987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0612A KR102520430B1 (ko) 2020-12-08 2020-12-08 양방향 충격감지가 가능한 x레이 버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043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7314A (ja) * 2009-09-25 2011-04-07 Fujifilm Corp 放射線撮影用カセッテ及び放射線撮影システム
KR101593919B1 (ko) 2014-08-22 2016-02-16 (주)디알젬 엑스선 촬영용 무빙 그리드 장치
JP2018091723A (ja) * 2016-12-02 2018-06-1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放射線画像撮影装置及び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KR20200011201A (ko) * 2018-07-24 2020-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충격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엑스선 디텍터, 엑스선 디텍터를 포함하는 엑스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20200275899A1 (en) * 2019-02-28 2020-09-03 Jennifer Sandoval Movable X-Ray Bucky Assembl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7314A (ja) * 2009-09-25 2011-04-07 Fujifilm Corp 放射線撮影用カセッテ及び放射線撮影システム
KR101593919B1 (ko) 2014-08-22 2016-02-16 (주)디알젬 엑스선 촬영용 무빙 그리드 장치
JP2018091723A (ja) * 2016-12-02 2018-06-1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放射線画像撮影装置及び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KR20200011201A (ko) * 2018-07-24 2020-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충격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엑스선 디텍터, 엑스선 디텍터를 포함하는 엑스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20200275899A1 (en) * 2019-02-28 2020-09-03 Jennifer Sandoval Movable X-Ray Bucky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0430B1 (ko) 2023-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5374B2 (en) Radiographic apparatus
JP5110784B2 (ja) 衝撃吸収性カバーを設けたx線検出器
EP2338417B1 (en) Radiation imaging system and assist apparatus for the same
US7581885B2 (en) Method and system of aligning x-ray detector for data acquisition
KR960006653B1 (ko) 의료용 x선촬영장치
US6533453B1 (en) System for locating cassettes for producing digital images
EP1702566B1 (en) Arm holder for radiographic imaging apparatus
JP5176355B2 (ja) 診断装置
US6592257B1 (en) Detachable device for radiological digital imaging
JP3894956B2 (ja) 放射線撮影装置の画像形成用カセット
US20120217395A1 (en) Radiation imaging apparatus
US7455455B2 (en) Patient barrier for an imaging application
US20010022833A1 (en) Radiographic apparatus, radiographic table and radiographic system
KR20220081109A (ko) 양방향 충격감지가 가능한 x레이 버키장치
US6256528B1 (en) X-ray scanner with means for conventional radiography
JP2003325497A (ja) 骨塩量測定装置
US20040234042A1 (en) Examination table providing x-ray imaging
JP3745149B2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
JP2003057352A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
KR20150093427A (ko) 엑스선 영상장치
KR102560621B1 (ko) 회전제한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방사선 촬영장치
JPH01297051A (ja) X線ct装置
JP4508335B2 (ja) 放射線撮影装置
KR102582646B1 (ko) 엑스선 촬영장치용 원터치 탈착형 버키
EP4098202A1 (en) X-ray imag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