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2646B1 - 엑스선 촬영장치용 원터치 탈착형 버키 - Google Patents

엑스선 촬영장치용 원터치 탈착형 버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2646B1
KR102582646B1 KR1020210057175A KR20210057175A KR102582646B1 KR 102582646 B1 KR102582646 B1 KR 102582646B1 KR 1020210057175 A KR1020210057175 A KR 1020210057175A KR 20210057175 A KR20210057175 A KR 20210057175A KR 102582646 B1 KR102582646 B1 KR 102582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bar
detector
coupled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7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0012A (ko
Inventor
류훈
Original Assignee
(주)디알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알젬 filed Critical (주)디알젬
Priority to KR1020210057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2646B1/ko
Publication of KR20220150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0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11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the apparatus being modu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6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e.g. use of slip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6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e.g. use of slip rings
    • A61B6/563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e.g. use of slip rings involving image data transmission via a network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방식으로 디텍터를 탈착할 수 있는 엑스선 촬영장치용 원터치 탈착형 버키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면에 전후 방향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디텍터의 후단이 지지되는 이동 브래킷과,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마련되며 이동 브래킷과 연동하여 전방으로 출몰하는 버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엑스선 촬영장치용 원터치 탈착형 버키{One-touch detachable type bucky for x-ray imaging apparatus}
본 발명은 엑스선 촬용장치용 버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터치 방식으로 디텍터를 탈착할 수 있는 엑스선 촬영장치용 원터치 탈착형 버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엑스선 촬영장치는 엑스선(X-ray)을 대상체에 조사하고, 그 투과된 엑스선의 에너지 강도 분포 차이를 검출하는 장치를 말하며, 검출수단으로는 아날로그 방식과 디지털 방식이 있다.
아날로그 방식은 엑스선을 받으면 빛을 발하는 증감지(형광판)와 은염 필름을 조합하여, 증감지에서 발생한 빛으로 은염 필름상에 잠상을 형성한 후, 이 은염 필름을 화학 처리하여 가시상을 얻는 방식을 말한다. 이를 위해 증감지와 은염 필름을 암 상태로 보관하고 촬영에 이용하는 필름 카세트가 있다.
디지털 방식은 엑스선에 감응하는 검출 매체로 2차원 센서를 구비하고, 센서에서 발생하는 미세 전기적 신호를 2차원 매트릭스를 통해 얻어서 증폭회로에 의해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통해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여 화상 데이터로 구성한 후, 적절한 영상처리 과정을 거쳐 모니터 또는 프린터로 표시하는 방식을 말한다.
디지털 방식에 이용되는 엑스선 검출기(X-ray detector)는 영상판(Image Plate)을 이용한 CR(Computer Radiography), 신틸레이터(Scintillator)와 전하결합소자(Charge-Coupled Device)를 이용한 CCD 검출기,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를 이용한 평판 디텍터(Flat Panel Detector) 등이 있다.
이러한 검출기 중에서 영상의 질이나 환자 피폭선량의 감소, 검사 효율성, 및 장착 수월성 등을 고려할 때, 평판 디텍터를 이용하여 디지털 엑스선 영상을 얻는 방식이 근래의 추세이며, 평판 디텍터는 테이블 버키(Table bucky) 또는 스탠드 버키(Stand bucky) 안에 전자 카세트 형태로 장착되어 사용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하나의 버키 내에 하나의 디텍터가 고정 설치됨에 따라, 하나의 디텍터로 여러 대의 엑스선 장치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시장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원터치 방식으로 디텍터의 탈착이 가능한 버키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텍터 장착시 자동 충전 및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오토 컨넥션 기술이 적용된 버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공급 없이 디텍터의 탈부착이 가능한 버키의 기구 메커니즘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면에 전후 방향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디텍터의 후단이 지지되는 이동 브래킷;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이동 브래킷과 연동하여 전방으로 출몰하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용 원터치 탈착형 버키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에 마련되며 상기 이동 브래킷과 상기 버튼부의 운동을 상호 전달하는 운동전달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면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측벽 프레임과, 상기 디텍터의 이탈 방지를 위해 상기 측벽 프레임의 전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측벽 프레임의 내측으로 탄성 지지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운동전달기구는, 상기 버튼부의 후단에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이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동바와, 상기 이동바의 타단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바와, 상기 회전바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타단이 결합되어 상기 회전바의 타단을 전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운동전달기구는, 상기 회전바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회전축부재와, 상기 회전바의 타단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 브래킷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바의 이동에 따른 상기 회전바의 회전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원호 형태로 관통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측벽 프레임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스토퍼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스토퍼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가 내장되는 스토퍼 하우징과, 상기 스토퍼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결합되며 결합 브래킷에 의해 상기 버튼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슬라이드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슬라이드바는 일면에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슬라이드바가 관통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바의 일면에 지지되는 가이드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용 원터치 탈착형 버키에 의하면, 원터치 방식으로 디텍터의 탈착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필요시 다른 엑스선 장치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용 원터치 탈착형 버키에 의하면, 디텍터 장착시 자동 충전 및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용 원터치 탈착형 버키에 의하면, 기구 메커니즘을 적용하여 전기공급 없이 디텍터의 탈부착이 가능하며, 간단한 구조로서 생산비용이 저렴하고 유지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용 원터치 탈착형 버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의 분해 사시도.
도 4와 도 5는 디텍터 장착 전 수납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부와 스토퍼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디텍터 장착 전 버튼부와 스토퍼를 도시한 개략도.
도 8과 도 9는 디텍터 장착 후 수납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과 도 11은 디텍터 장착시 버튼부와 스토퍼를 도시한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용 원터치 탈착형 버키의 사용 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용 원터치 탈착형 버키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용 원터치 탈착형 버키(100)는,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 케이스(200)와 하부 케이스(300), 그리고 상·하부 케이스(200,300) 내에 장착되며 디텍터(10, 도 12 참조)가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는 수납부(400)를 포함한다.
상부 케이스(200)의 전면에는 디텍터(10)의 장착이 가능하도록 수납홈(210)이 형성되며, 수납홈(210)의 상부에는 그리드(grid)(20)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하부 케이스(300)의 전면 일측에는 버튼부(700)가 구비되는데, 이 버튼부(700)는 디텍터(10)가 수납홈(210)에 삽입되면 자동으로 전방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버튼부(700)를 누르면 수납홈(210)에 삽입된 디텍터(10)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쉽게 파지하여 인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500)와, 베이스 플레이트(500)의 상부를 덮는 커버(501)와, 베이스 플레이트(500)의 상측면에 마련되며 디텍터(10)의 후단이 지지되는 이동 브래킷(600)과, 베이스 플레이트(500)의 일측에 마련되는 버튼부(70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500)의 상부 공간은 상부 케이스(200)의 수납홈(210)과 연통하며, 따라서 수납홈(210)에 디텍터(10) 삽입시 디텍터(10)는 베이스 플레이트(500)의 상측면에 놓이게 된다.
베이스 플레이트(500)의 상측면 후단부에 이동 브래킷(600)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500)의 상측면 후단부에 가이드레일 또는 가이드홈의 형태로 한 쌍의 가이드부(5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 브래킷(600)은 저면 양측이 한 쌍의 가이드부(51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브래킷(600)은 수납홈(210)에 삽입되는 디텍터(10)의 후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에 따라, 이동 브래킷(600)은 한 쌍의 가이드부(51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결합부(610)와, 결합부(610)의 전단에서 수직하게 상향 절곡 형성되는 전단 수직부(620)와, 결합부(610)의 후단에서 수직하게 상향 절곡 형성되는 후단 수직부(6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단 수직부(620)는 디텍터(10)의 후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후단 수직부(630)는 이동 브래킷(600)의 후방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베이스 플레이트(500)의 후단에는 디텍터(10) 장착시 후방으로 이동하는 이동 브래킷(600)을 수용하는 한편, 이동 브래킷(600)의 후단 수직부(630)의 이동거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수용부(520)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디텍터(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충전 및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수용부(520)의 일측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베이스 플레이트(500)의 후단에 커넥터(530)가 마련된다.
한편, 베이스 플레이트(500)의 상측면 양측에는 디텍터(10)의 삽입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측벽 프레임(540)이 각각 형성된다. 한 쌍의 측벽 프레임(540)은 내측에 삽입홈을 갖는 'ㄷ'자 단면 형태의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측벽 프레임(5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디텍터(10)의 전단에 걸려서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900)가 구비된다.
베이스 플레이트(500)의 일측,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 플레이트(500)의 일측 하부에 버튼부(700)가 마련되는데, 이 버튼부(700)는 이동 브래킷(600)과 연동하여 전방으로 출몰하게 된다.
예컨대, 디텍터(10)의 장착에 따른 이동 브래킷(600)의 후방 이동시 버튼부(700)는 전방으로 돌출되며, 버튼부(700)를 후방으로 누르면 이동 브래킷(600)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디텍터(10)를 수납홈(210) 전방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를 위해, 이동 브래킷(600)과 버튼부(700)의 운동을 상호 전달하는 운동전달기구(800)가 베이스 플레이트(500)의 저면에 마련되는데, 이 운동전달기구(800)에 대하여는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4와 도 5는 디텍터 장착 전 수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전달기구(800)는, 버튼부(700)의 후단에 일단이 결합되는 이동바(810)와, 이동바(810)의 타단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이동 브래킷(6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바(820)와, 회전바(820)에 일단이 결합되고 베이스 플레이트(500)에 타단이 결합되어 회전바(820)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바(830)를 포함한다.
이동바(810)는 전단이 버튼부(700)의 후단에 결합되고 베이스 플레이트(500)의 저면에 밀착하여 후단이 후방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바(810)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장방타원형 홀(811)이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여 형성되며, 장방타원형 홀(811)을 통해 볼트 등의 체결구가 베이스 플레이트(500)에 결합되어 이동바(810)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회전바(820)는 플레이트 바 형태로 형성되며, 일단이 이동바(810)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이동 브래킷(6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이동바(810)의 타단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하여 회전바(820)의 일측을 관통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500)에 회전축부재(840)가 관통 결합된다. 이 회전축부재(840)는 회전바(820)의 회전중심을 이루는 것으로, 이동바(810)의 전후 방향 이동시 회전바(820)는 회전축부재(840)를 중심으로 타단이 회전하게 된다.
회전바(820)의 타단을 관통하여 이동축부재(850)가 이동 브래킷(600)에 결합되며, 베이스 플레이트(500)에는 이동축부재(850)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홈(550)이 원호 형태로 관통 형성된다. 예컨대, 가이드홈(550)은 한 쌍의 가이드부(5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바(820)의 회전시 이동축부재(850)가 가이드홈(55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한편, 이동축부재(85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하여 회전바(820)의 타측에 스프링바(830)의 일단이 결합된다. 이때, 스프링바(830)의 타측은 회전바(820)의 전방에 이격하여 베이스 플레이트(500)의 저면에 결합되며, 스프링바(830)가 갖는 탄성력에 의해 이동바(810)는 전방으로 탄성 지지된다. 즉, 스프링바(830)에 의해, 이동 브래킷(600)은 전방으로, 버튼부(700)는 후방으로 탄성 지지되는 것이다. 도면에는 하나의 스프링바(830)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이며, 디텍터(10)의 무게에 따라 스프링바(830)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컨대, 디텍터(10)의 무게가 가벼우면 하나의 스프링바(830)를 설치할 수 있고, 디텍터(10)의 무게가 무거우면 둘 이상의 스프링바(830)를 나란히 설치할 수 있다.
수납홈(210)에 디텍터(10)를 장착하면, 스프링바(830)에 의해 이동 브래킷(600)이 전방으로 탄성 지지되며, 이에 따라 디텍터(10)가 수납홈(210)의 전방으로 예기치 못하게 돌출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측벽 프레임(540)의 전단부 일측에 스토퍼(900)가 장착되며, 이 스토퍼(900)는 수납홈(210)에 디텍터(10) 장착시 디텍터(10)의 전단이 걸리도록 수납홈(210)의 내측으로 돌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부와 스토퍼의 분해 사시도이다.
버튼부(700)는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버튼부(700)의 후단에 이동바(810)의 전단이 결합된다. 일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700)의 후단에 연장 브래킷(710)의 전단이 결합되고, 연장 브래킷(710)의 후단에 이동바(810)의 전단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연장 브래킷(710)의 전단은 전방을 향해 낮게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연장 브래킷(710)의 일측에 결합 브래킷(720)이 결합된다. 결합 브래킷(720)은 연장 브래킷(710)에 결합되는 지지부(721)와, 지지부(721)의 외측 모서리에서 상향으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는 수직부(722)를 포함한다.
결합 브래킷(720)의 수직부(722)에 슬라이드바(730)가 결합된다. 슬라이드바(730)는 이동바(810)와 평행하게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후방을 향해 낮게 경사진 경사면(731)이 형성된다.
한편, 측벽 프레임(540)의 전단부 일측에 관통홀(541, 도 3 참조)이 형성되며, 이 관통홀(541)의 외측에 스토퍼 하우징(910)이 결합된다. 스토퍼 하우징(910)은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블록 형태이며, 스토퍼 하우징(910) 내에 스토퍼(900)가 삽입되고, 이 스토퍼(900)는 스토퍼 하우징(910)에 내장되는 코일스프링 등의 탄성체(920)에 의해 측벽 프레임(540)의 내측, 즉 수납홈(210)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스토퍼(900)의 몸체에는 슬라이드바(730)가 삽입되도록 전후 방향으로 가이드홀(930)이 형성되며, 스토퍼(900)의 수납홈(210) 방향 끝단부는 후방을 향해 낮게 경사진 경사면(940)으로 형성된다. 또한, 스토퍼(900)의 경사면(940)과 후면 사이의 코너부는 완만하게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스토퍼(900)의 가이드홀(930)에는 가이드핀(950)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데, 이 가이드핀(950)은 탄성체(920)에 의해 슬라이드바(730)의 외측면에 탄성 지지된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수납홈(210)에 디텍터(10)를 장착하기 전에는 이동 브래킷(600)이 전방으로 전진해 있으며, 회전바(820)는 이동 브래킷(600)에 결합된 타단이 스프링바(830)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축부재(840)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때, 회전바(820)의 일단에 결합된 이동바(810)는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이며, 버튼부(700)는 베이스 플레이트(500)의 하부 내측으로 들어간 상태이다.
도 7은 디텍터 장착 전 버튼부와 스토퍼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스토퍼(900)의 가이드핀(950)이 슬라이드바(730)의 경사면(731)으로부터 이격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면(732)에 지지되어 있다. 이때, 스토퍼(900)는 슬라이드바(730)의 경사면(731) 하단으로부터 돌출면(732)까지의 두께만큼 측벽 프레임(540)의 외측으로 밀려나며, 탄성체(920)는 압축된 상태에 있게 된다.
도 8과 도 9는 디텍터 장착 후 수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홈(210)에 디텍터(10)를 장착하면 이동 브래킷(600)이 디텍터(10)에 밀려 후방으로 이동하며, 회전바(820)는 이동 브래킷(600)에 결합된 타단이 회전축부재(840)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전한다. 이때, 회전바(820)의 일단은 이동바(810)를 밀어서 전방으로 전진시키고, 스프링바(830)는 신장되며, 버튼부(700)가 베이스 플레이트(500)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도 10과 도 11은 디텍터 장착시 버튼부와 스토퍼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텍터(10)가 수납홈(210)으로 삽입되면, 스토퍼(900)의 경사면(940)에 접촉되는 디텍터(10)에 의해 스토퍼(900)가 측벽 프레임(540)의 외측으로 밀려난다.
또한, 디텍터(10)의 후단이 이동 브래킷(600)을 밀어서 후방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회전바(820)가 회전하여 이동바(810)를 전방으로 전진시키며, 버튼부(700)와 슬라이드바(730)가 베이스 플레이트(500)의 전방으로 나오게 된다. 이때, 스토퍼(900)의 가이드핀(950)은 슬라이드바(730)의 경사면을 따라 내려간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텍터(10)가 스토퍼(900)를 지나서 수납홈(210)에 완전히 삽입 장착되면, 스토퍼(900)의 가이드핀(950)이 슬라이드바(730)의 경사면(731)을 지나서 측벽 프레임(540)에 인접하게 된다. 이때, 스토퍼(900)는 탄성체(920)의 탄성력에 의해 수납홈(210) 쪽으로 돌출되어 디텍터(10)의 전단에 걸리게 되며, 수납홈(210)으로부터 디텍터(10)의 예기치 못한 이탈이 스토퍼(900)에 의해 방지된다.
이후, 수납홈(210)에 삽입, 장착된 디텍터(10)를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 버튼부(700)를 후방으로 누르면 이동 브래킷(600)이 전진하여 디텍터(10)를 수납홈(210)의 전방으로 돌출시키며, 사용자는 이렇게 돌출된 디텍터(10)의 전단부를 파지하여 수납홈(210)으로부터 쉽게 인출할 수 있다. 이때, 디텍터(10)가 스토퍼(900)를 쉽게 넘을 수 있도록 디텍터(10)의 전단 코너부와 스토퍼(900)의 후단 코너부는 각각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토퍼(900)가 측벽 프레임(540)의 외측으로 밀려날 때 가이드핀(95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바(730)의 경사면(731)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용 원터치 탈착형 버키의 사용 상태도로서, 사용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선 장치(1)의 버키(100)에 디텍터(10)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디텍터(10)를 인출한 후, 다른 엑스선 장치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 엑스선 촬영장치용 원터치 탈착형 버키
200 : 상부 케이스 210 : 수납홈
300 : 하부 케이스 400 : 수납부
500 : 베이스 플레이트 510 : 가이드부
540 : 측벽 프레임 550 : 가이드홈
600 : 이동 브래킷 700 : 버튼부
730 : 슬라이드바 800 : 운동전달기구
810 : 이동바 820 : 회전바
830 : 스프링바 840 : 회전축부재
850 : 이동축부재 830 : 스프링바
900 : 스토퍼 910 : 스토퍼 하우징
920 : 탄성체 930 : 가이드홀
950 : 가이드핀

Claims (7)

  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면에 전후 방향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디텍터의 후단이 지지되는 이동 브래킷;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이동 브래킷과 연동하여 전방으로 출몰하는 버튼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에 마련되며 상기 이동 브래킷과 상기 버튼부의 운동을 상호 전달하는 운동전달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운동전달기구는, 상기 버튼부의 후단에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이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동바와, 상기 이동바의 타단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바와, 상기 회전바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타단이 결합되어 상기 회전바의 타단을 전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촬영장치용 원터치 탈착형 버키.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면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측벽 프레임과, 상기 디텍터의 이탈 방지를 위해 상기 측벽 프레임의 전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측벽 프레임의 내측으로 탄성 지지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촬영장치용 원터치 탈착형 버키.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동전달기구는, 상기 회전바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회전축부재와, 상기 회전바의 타단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 브래킷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바의 이동에 따른 상기 회전바의 회전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원호 형태로 관통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촬영장치용 원터치 탈착형 버키.
  6.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면에 전후 방향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디텍터의 후단이 지지되는 이동 브래킷;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이동 브래킷과 연동하여 전방으로 출몰하는 버튼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면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측벽 프레임;
    상기 디텍터의 이탈 방지를 위해 상기 측벽 프레임의 전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측벽 프레임의 내측으로 탄성 지지되는 스토퍼;
    상기 측벽 프레임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스토퍼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스토퍼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가 내장되는 스토퍼 하우징; 및
    상기 스토퍼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결합되며 결합 브래킷에 의해 상기 버튼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슬라이드바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용 원터치 탈착형 버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바는 일면에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슬라이드바가 관통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바의 일면에 지지되는 가이드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촬영장치용 원터치 탈착형 버키.
KR1020210057175A 2021-05-03 2021-05-03 엑스선 촬영장치용 원터치 탈착형 버키 KR102582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175A KR102582646B1 (ko) 2021-05-03 2021-05-03 엑스선 촬영장치용 원터치 탈착형 버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175A KR102582646B1 (ko) 2021-05-03 2021-05-03 엑스선 촬영장치용 원터치 탈착형 버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0012A KR20220150012A (ko) 2022-11-10
KR102582646B1 true KR102582646B1 (ko) 2023-09-26

Family

ID=84045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175A KR102582646B1 (ko) 2021-05-03 2021-05-03 엑스선 촬영장치용 원터치 탈착형 버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264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5430A (ja) * 1998-08-28 2000-03-14 Shimadzu Corp 撮影用カセッテトレイ
JP2012110542A (ja) * 2010-11-26 2012-06-14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ブッキー撮影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3305B1 (ko) * 2014-07-30 2017-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촬영 장치
KR101625943B1 (ko) * 2014-08-04 2016-05-31 (주)디알젬 엑스선 촬영장치용 버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5430A (ja) * 1998-08-28 2000-03-14 Shimadzu Corp 撮影用カセッテトレイ
JP2012110542A (ja) * 2010-11-26 2012-06-14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ブッキー撮影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0012A (ko) 2022-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2939B2 (en) Radiation imaging apparatus
JP5265713B2 (ja) 電子カセッテ用充電器
JPH05237086A (ja) X線撮影装置
US6173035B1 (en) Panoramic radiographic apparatus and digital sensor cassette used for same apparatus
JP2001502566A (ja) デジタル画像を生成するカセットを位置付けるシステム
JP2011242756A (ja) 放射線画像検出装置及び放射線撮影システム
US8714817B2 (en) Radiation imaging apparatus
EP0928438B1 (fr) Dispositif amovible de prise d'images numeriques destine a la radiologie
JP2011160913A (ja) 移動型放射線撮影装置
US8604434B2 (en) Radiation imaging apparatus
US7144157B2 (en) Drawer for X-ray detectors
JP6656199B2 (ja) マンモグラフィ装置
JP5763507B2 (ja) 可搬型放射線画像検出装置及び放射線撮影装置並びに放射線撮影システム
KR102582646B1 (ko) 엑스선 촬영장치용 원터치 탈착형 버키
JP3604968B2 (ja) 放射線撮影装置
EP2878264B1 (en) Mobile x-ray apparatus for storing an x-ray detector and method for bagging an x-ray detector into a hygiene protective cover
JP2010115390A (ja) 放射線画像撮影台
US7548605B2 (en) Medical imaging apparatus
JP2012000330A (ja) ブッキー撮影台
JP2009205046A (ja) 光電変換装置及び撮影装置
JP4027124B2 (ja) 放射線撮影装置
JP4360006B2 (ja) X線透視撮影台
JPS59148040A (ja) ブラウン管監視器用カメラ
US6213637B1 (en) Image receiver with a raster movable to a standby position
KR20220081109A (ko) 양방향 충격감지가 가능한 x레이 버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