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3305B1 - 엑스선 촬영 장치 - Google Patents

엑스선 촬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3305B1
KR101763305B1 KR1020150030554A KR20150030554A KR101763305B1 KR 101763305 B1 KR101763305 B1 KR 101763305B1 KR 1020150030554 A KR1020150030554 A KR 1020150030554A KR 20150030554 A KR20150030554 A KR 20150030554A KR 101763305 B1 KR101763305 B1 KR 101763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ay
disposed
ray detecting
detec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0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5139A (ko
Inventor
장경철
한우섭
이승환
이재원
정민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5/00791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018064A1/en
Priority to CN201580050063.0A priority patent/CN106716113B/zh
Priority to EP15179033.4A priority patent/EP2979637B1/en
Priority to EP18190218.0A priority patent/EP3431006A1/en
Priority to US14/813,392 priority patent/US9521983B2/en
Publication of KR20160015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139A/ko
Priority to US15/350,353 priority patent/US1009225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208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characterised by using a particular type of detector
    • A61B6/4233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characterised by using a particular type of detector using matrix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283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characterised by a detector unit being housed in a casset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291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the detector being combined with a grid or gr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61B6/446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or the detector unit being mounted to cei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47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tracking of position of the device or parts of th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6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e.g. use of slip r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2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flaw, defect or object feature examined
    • G01N21/896Optical defects in or on transparent materials, e.g. distortion, surface flaws in conveyed flat sheet or r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4Investigating contamination, e.g. dus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05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using neutr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 G01N23/04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using fluoroscopic examination, with visual observation or video transmission of fluoroscopic ima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 G01N23/04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using tomography, e.g. computed tomography [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 G01N23/05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using neutr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2/00Obtaining record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Visualisation of such records by using optical means
    • G03B42/02Obtaining record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Visualisation of such records by using optical means using X-rays
    • G03B42/04Holders for X-ray fil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30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30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 G01N2223/321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manipulator for positioning a pa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Abstract

엑스선 검출 장치, 엑스선 검출 장치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 및 수납부에 수납 및 배출되는 버키 트레이를 포함하며, 버키 트레이는 베이스부, 및 베이스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일 면에 상기 엑스선 검출 장치가 탑재될 수 있는 제1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엑스선 검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엑스선 촬영 장치{X-ray apparatus}
본 개시는 엑스선 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엑스선을 검출하는 엑스선 검출장치가 착탈되는 버키(bucky)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엑스선 촬영 장치는 엑스선(X-ray)을 피검사체에 조사하고, 그 투과된 엑스선의 에너지 강도 분포 차이를 검출하여, 피검사체 내부의 구조 또는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장비이다. 엑스선 촬영 장치는 인체를 대상으로 할 뿐만 아니라, 보안 검색대와 같은 곳에서도 물체의 내부를 파악하는 데에 활용될 수도 있다.
엑스선 촬영 장치는 인체 또는 물체를 통과한 엑스선을 검출하기 위한 엑스선 검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엑스선 검출장치에는 아날로그 방식의 필름판과 디지털 방식의 엑스선 검출장치가 사용된다. 디지털 방식 엑스레이 검출장치는 적정한 선량 수준에서 높은 공간 분해능을 가지며, 시간 분해능이 우수하며, 대조도 분해능이 높아 양질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최근, 200㎛ 이하의 화소 크기를 가지고, 횡축으로 2000화소, 종축으로 2000화소 이상의 매트릭스를 구비한 14x17(인치)이상의 대면적 엑스선 검출장치등 다양한 크기와 유형의 엑스선검출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디지털 엑스레이 검출장치의 사용 각도에 따라 버키 내부에서 엑스선 검출 장치의 배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엑스선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더불어, 다양한 크기의 엑스선 검출 장치가 배치될 수 있는 버키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 장치는, 엑스선 검출장치; 상기 엑스선 검출장치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에 수납 및 배출되는 버키 트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버키 트레이는, 베이스부; 및 상기 엑스선 검출장치가 탑재되고,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제1, 제2 상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면에 고정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라이드 레일이 마련된 회전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부에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 삽입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중심이 상기 베이스부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중심이 상기 베이스부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회전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감지부는 제1 회전 감지부 및 제2 회전 감지부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회전 감지부 및 상기 제2 회전 감지부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원주 방향으로 따라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 감지부 및 상기 제2 회전 감지부는 광학식 엔코더 또는 자기식 엔코더일 수 있다.
상기 엑스선 검출 장치의 착탈 여부를 감지하는 착탈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엑스선 검출 장치는 제1 단자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1 단자부와 연결되어 상기 엑스선 검출 장치를 외부와 연결시키는 제2 단자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일 단부가 상기 제2 단자부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마련된 관통홀을 통해 외부와 연결되는 검출기 케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에 배치되고, 상기 검출기 케이블의 이동 경로 중 일부를 구속하여 상기 검출기 케이블의 꼬임을 방지하는 다수의 케이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엑스선 검출 장치는 무선 방식으로 외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를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기 제1 상태와 상기 제2 상태로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 상에 상기 엑스선 검출 장치를 착탈될 수 있게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위치 가이드 중 일부는 상기 버키 트레이의 중심과 상기 엑스선 검출 장치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상기 엑스선 검출 장치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복수의 위치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에, 제1크기의 엑스선 검출 장치를 수용하는 제1위치와, 제2크기의 엑스선 검출 장치를 수용하는 제2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결합된 제2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제1, 제2 위치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제2 위치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대칭적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상기 제1, 제2 위치에 고정시키는 슬라이드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엑스선 검출 장치는 제1 단자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 단자부에 연결되는 제2 단자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버키 트레이의 중심과 상기 엑스선 검출 장치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상기 엑스선 검출 장치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복수의 위치 가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위치 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플레이트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위치 가이드는 상기 베이스부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엑스선 검출장치의 크기는 8x10(inch), 10x12(inch), 14x14(inch), 14x17(inch) 및 17 x17(inch)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회전 감지부 및 상기 착탈 감지부로부터 상기 엑스선 검출 장치의 착탈 여부 및 배치 위치에 대한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엑스선 조사부에 엑스선 피폭 영역에 대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버키 내부에서 엑스선 검출 장치의 배치를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엑스선 검출장치의 사용 각도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플레이트를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엑스선 검출장치를 단일 버키에 배치시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일반적인 엑스선 촬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고정식 엑스선 촬영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형 버키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a는 엑스선 검출장치 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엑스선 검출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엑스선 검출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5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키 트레이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5b는 스탠드형 버키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5c는 도 5a에 도시된 베이스부에 대한 평면도이며, 도 5d는 도 5a에 도시된 버키 트레이를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e는 도 5a에 도시된 제1 플레이트의 배면도이며, 도 5f는 도 5a에 도시된 회전 플레이트의 배면도이다.
도 6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키 트레이의 평면도이며, 도 6b는 엑스레이 검출장치가 배치된 버키 트레이의 평면도이다.
도 7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키 트레이의 평면도이며, 도 7b는 엑스선 검출 장치가 배치된 버키 트레이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형 버키를 이용하여 피검체를 진단하는 진단예를 도시한다.
도 9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키 트레이의 평면도이며,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버키 트레이를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c는 엑스선 검출 장치가 배치된 버키 트레이의 평면도이다.
도 10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키 트레이의 평면도이며, 도 10b는 엑스선 검출 장치가 배치된 버키 트레이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형 버키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테이블형 버키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스탠드형 버키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형 버키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4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형 버키에 대한 평면도이며, 도 14b는 도 14a에 도시된 테이블형 버키를 C-C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4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형 버키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플레이트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16a 내지 도 16b는 도 15에 도시된 제1 플레이트의 일부에 대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키 트레이의 평면도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키 트레이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되고, 촬영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며 엑스선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모바일 엑스선 촬영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모바일 엑스선 촬영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부에 대한 평면도이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미지"는 이산적인 이미지 요소들(예를 들어, 2차원 이미지에 있어서의 픽셀들 및 3차원 이미지에 있어서의 복셀들)로 구성된 다차원(multi-dimensional)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이미지의 예로는 엑스선 장치, CT 장치, MRI 장치, 초음파 장치 및 다른 의료 영상 장치에 의해 획득된 피검체의 의료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피검체"는 사람 또는 동물, 또는 사람 또는 동물의 일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검체는 간, 심장, 자궁, 뇌, 유방, 복부 등의 장기, 및 혈관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피검체"는 팬텀(phantom)일 수도 있다. 팬텀은 생물의 밀도와 실효 원자 번호에 아주 근사하고 또한 생물의 부피에 아주 근사한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신체와 유사한 성질을 갖는 구형(sphere)의 팬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는 의료 전문가로서 의사, 간호사, 임상 병리사, 의료 영상 전문가 등이 될 수 있으며, 의료 장치를 수리하는 기술자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엑스선 장치는 엑스선을 인체에 투과시켜 인체의 내부 구조를 이미지로 획득하는 의료 영상 장치이다. 엑스선 장치는 MRI 장치, CT 장치 등을 포함하는 다른 의료 영상 장치에 비해 간편하고, 짧은 시간 내에 피검체의 의료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엑스선 장치는 단순 흉부 촬영, 단순 복부 촬영, 단순 골격 촬영, 단순 부비동 촬영, 단순 경부 연조직(neck soft tissue) 촬영 및 유방 촬영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일반적인 엑스선 촬영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엑스선 촬영 장치(100)는 고정식 엑스선 촬영 장치 또는 이동식 엑스선 촬영 장치가 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엑스선 촬영 장치(100)는 워크스테이션(110), 엑스선 조사부(120), 고전압 발생부(121) 및 엑스선 검출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워크스테이션(110)은 사용자가 엑스선 조사를 비롯한 엑스선 촬영 장치(100)의 조작을 위한 명령을 입력 및 출력할 수 있는 입력부(111), 출력부(112) 및 엑스선 촬영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3)를 포함한다.
고전압 발생부(121)는 엑스선의 발생을 위한 고전압을 발생시켜 엑스선 소스(122)에 인가한다.
엑스선 조사부(120)는 고전압 발생부(121)에서 발생된 고전압을 인가받아 엑스선을 발생시키고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122) 및 엑스선 소스(122)에서 조사되는 엑스선의 경로를 안내하는 콜리메이터(123)를 포함한다.
엑스선 검출 장치(400)는 엑스선 조사부(120)에서 조사되어 피검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한다.
또한, 엑스선 촬영 장치(100)는 제어부(113)의 제어 하에 엑스선의 조사 등 촬영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141)를 포함하는 조작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워크스테이션(110), 엑스선 조사부(120), 고전압 발생부(121) 및 엑스선 검출 장치(400)는 서로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무선으로 연결된 경우에는 서로 간의 클럭을 동기화하기 위한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1)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음성 인식기, 지문 인식기, 홍채 인식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기타의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111)를 통해 엑스선 조사를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데, 입력부(111)에는 이러한 명령 입력을 위한 스위치가 마련될 수 있다. 스위치는 두 번에 걸쳐 눌러야 엑스선 조사를 위한 조사명령이 입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스위치를 누르면 스위치는 엑스선 조사를 위한 예열을 지시하는 준비명령이 입력되고, 그 상태에서 스위치를 더 깊게 누르면 실질적인 엑스선 조사를 위한 조사명령이 입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스위치를 조작하면, 입력부(111)는 스위치 조작을 통해 입력되는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 즉, 준비신호와 조사신호를 생성하여 엑스선 발생을 위한 고전압을 생성하는 고전압 발생부(121)로 출력한다.
고전압 발생부(121)는 입력부(111)로부터 출력되는 준비신호를 수신하여 예열을 시작하고, 예열이 완료되면, 준비완료신호를 제어부(113)로 출력한다. 그리고, 엑스선 검출을 위해 엑스선 검출 장치(400) 또한 엑스선 검출준비가 필요한데, 고전압 발생부(121)는 입력부(111)로부터 출력되는 준비신호를 수신하면, 자신의 예열과 함께 엑스선 검출 장치(400)가 피검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기 위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엑스선 검출 장치(400)로 준비신호를 출력한다. 엑스선 검출 장치(400)는 준비신호를 수신하면 엑스선을 검출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검출준비가 완료되면 검출준비완료신호를 고전압 발생부(121)와 제어부(113)로 출력한다.
고전압 발생부(121)의 예열이 완료되고, 엑스선 검출 장치(400)의 엑스선 검출준비가 완료되고, 입력부(111)로부터 고전압 발생부(121)로 조사신호가 출력되면, 고전압 발생부(121)는 고전압을 생성하여 엑스선 소스(122)로 인가하고, 엑스선 소스(122)는 엑스선을 조사하게 된다.
제어부(113)는 입력부(111)로부터 조사신호가 출력되면, 엑스선 조사를 피검체가 알 수 있도록, 사운드 출력부(141)로 사운드 출력신호를 출력하여 사운드 출력부(141)에서 소정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운드 출력부(141)에서는 엑스선 조사 이외에 다른 촬영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은 사운드 출력부(141)가 조작부(140)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작부(140)가 위치하는 지점과 다른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워크스테이션(110)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피검체에 대한 엑스선 촬영이 수행되는 촬영실 벽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어부(113)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촬영 조건에 따라 엑스선 조사부(120)와 엑스선 검출 장치(400)의 위치, 촬영 타이밍 및 촬영 조건 등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3)는 입력부(111)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고전압 발생부(121) 및 엑스선 검출 장치(400)를 제어하여 엑스선의 조사 타이밍, 엑스선의 세기 및 엑스선의 조사 영역 등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3)는 소정의 촬영 조건에 따라 엑스선 검출 장치(400)의 위치를 조절하고, 엑스선 검출 장치(40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3)는 엑스선 검출 장치(40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피검체에 대한 의료 이미지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3)는 엑스선 검출 장치(400)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미지 데이터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다이나믹 레인지(dynamic range) 및 인터리빙(interleaving)을 조절하여 피검체의 의료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엑스선 촬영 장치(100)는 제어부(113)에 의해 생성된 의료 이미지를 출력하는 출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는 UI(user interface), 사용자 정보 또는 피검체 정보 등 사용자가 엑스선 촬영 장치(100)를 조작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는 프린터, CRT 디스플레이, LCD 디스플레이, PDP 디스플레이, OLED 디스플레이, FED 디스플레이, LED 디스플레이, VFD 디스플레이, DLP 디스플레이, PFD 디스플레이, 3D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출력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워크스테이션(110)은 네트워크(150)를 통해 서버(162), 의료 장치(164) 및 휴대용 단말(166) 등과 연결될 수 있는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150)와 연결되어 외부의 서버(162), 외부의 의료 장치(164), 또는 외부의 휴대용 단말(166)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는 네트워크(150)를 통해 피검체의 진단과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CT, MRI, 엑스선 촬영 장치 등 다른 의료 장치(164)에서 촬영한 의료 이미지 또한 송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는 서버(162)로부터 환자의 진단 이력이나 치료 일정 등을 수신하여 피검체의 진단에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는 병원 내의 서버(162)나 의료 장치(164)뿐만 아니라, 의사나 고객의 휴대폰, PDA, 노트북 등의 휴대용 단말(166)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통신부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소정 거리 이내의 위치하는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기술에는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 (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1214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전기적 신호 또는 광 신호를 이용한 통신을 위한 모듈을 의미하며, 유선 통신 기술에는 페어 케이블(pair cable),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등을 이용한 유선 통신 기술이 포함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한 유선 통신 기술이 포함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의 기지국, 외부의 장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엑스선 촬영 장치(100)는, 다수의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DSP), 초소형 연산 처리 장치 및 특수 용도용(예를 들면, 고속 A/D 변환, 고속 푸리에 변환, 어레이 처리용 등) 처리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워크스테이션(110)과 엑스선 조사부(120), 워크스테이션(110)과 고전압 발생부(121) 및 워크스테이션(110)과 엑스선 검출 장치(400) 사이의 통신은,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등의 고속 디지털 인터페이스,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등의 비동기 시리얼 통신, 동기식 시리얼 통신 또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등의 저지연형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이용될 수 있으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통신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고정식 엑스선 촬영 장치(2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선 촬영 장치(200)는 엑스선 촬영 장치(200)의 조작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조작부(140), 피검체에 엑스선을 조사하는 엑스선 조사부(120), 피검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엑스선 검출 장치(400), 엑스선 조사부(12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211,212,213), 모터(211, 212, 213)의 구동력에 의해 엑스선 조사부(12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마련되는 가이드레일(220), 이동캐리지(230) 및 포스트 프레임(240)을 포함한다.
가이드레일(220)은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제1가이드레일(221)과 제2가이드레일(222)을 포함한다. 제1가이드레일(221)과 제2가이드레일(222)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가이드레일(221)은 엑스선 촬영 장치(200)가 배치되는 검사실의 천장에 설치된다.
제2가이드레일(222)은 제1가이드레일(221)의 하측에 위치되고, 제1가이드레일(22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가이드레일(221)에는 제1가이드레일(221)을 따라 이동 가능한 롤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제2가이드레일(222)은 이 롤러(미도시)에 연결되어 제1가이드레일(22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1가이드레일(221)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제1방향(D1)이 정의되고, 제2가이드레일(222)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제2방향(D2)이 정의된다. 따라서, 제1방향(D1)과 제2방향(D2)은 서로 직교하고 검사실의 천장과 평행할 수 있다.
이동캐리지(230)는 제2가이드레일(222)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제2가이드레일(222)의 하측에 배치된다. 이동캐리지(230)에는 제2가이드레일(222)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롤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캐리지(230)는 제2가이드레일(222)과 함께 제1방향(D1)으로 이동 가능하고, 제2가이드레일(222)을 따라 제2방향(D2)으로 이동 가능하다.
포스트프레임(240)은 이동캐리지(230)에 고정되어 이동캐리지(230)의 하측에 위치한다. 포스트프레임(240)은 복수 개의 포스트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포스트는 서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포스트프레임(240)은 이동캐리지(230)에 고정된 채로 검사실의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포스트프레임(240)의 길이가 증가 또는 감소하는 방향으로 제3방향(D3)이 정의된다. 따라서, 제3방향(D3)은 제1방향(D1) 및 제2방향(D2)과 서로 직교할 수 있다.
모터(211, 212, 213)는 엑스선 조사부(120)를 제1방향(D1) 내지 제3방향(D3)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마련될 수 있다. 모터(211, 212, 213)는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모터일 수 있고, 모터에는 엔코더가 포함될 수 있다.
모터(211, 212, 213)는 설계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가이드레일(222)을 제1방향(D1)으로 이동시키는 제1모터(211)는 제1가이드레일(221) 주위에 배치되고, 이동캐리지(230)를 제2방향(D2)으로 이동시키는 제2모터(212)는 제2가이드레일(222) 주위에 배치되고, 포스트프레임(240)의 길이를 제3방향(D3)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제3모터(213)는 이동캐리지(23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모터(211,212,213)는 엑스선 조사부(120)를 제1방향(D1) 내지 제3방향(D3)으로 직선 이동시키도록 동력전달수단(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동력전달수단(미도시)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벨트와 풀리, 체인과 스프라킷, 샤프트 등 일 수 있다.
엑스선 조사부(120)는 엑스선을 발생시키는 엑스선 소스(122)와, 엑스선 소스(122)에서 발생되어 조사되는 엑스선의 조사영역을 조절하는 콜리메이터(collimator)(123)를 구비할 수 있다. 엑스선 소스(122)는 엑스선관을 포함하며, 엑스선관은 양극과 음극으로 된 2극 진공관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엑스선관 내부를 약 10mmHg 정도의 고진공 상태로 만들고 음극의 필라멘트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열전자를 발생시킨다. 필라멘트로는 텅스텐 필라멘트를 사용할 수 있고 필라멘트에 연결된 전기도선에 10V의 전압과 3-5A 정도의 전류를 가하여 필라멘트를 가열할 수 있다.
그리고 음극과 양극 사이에 10-300kvp 정도의 고전압을 걸어주면 열전자가 가속되어 양극의 타겟 물질에 충돌하면서 엑스선을 발생시킨다. 발생된 엑스선엑스선은 윈도우를 통해 외부로 조사되며, 윈도우의 재료로는 베륨 박막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타겟 물질에 충돌하는 전자의 에너지 중 대부분은 열로 소비되며 열로 소비되고 남은 나머지 에너지가 엑스선으로 변환된다.
양극은 주로 구리로 구성되고, 음극과 마주보는 쪽에 타겟 물질이 배치되며, 타겟 물질로는 Cr, Fe, Co, Ni, W, Mo 등의 고저항 재료들이 사용될 수 있다. 타겟 물질은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할 수 있으며, 타겟 물질이 회전하게 되면 전자 충격 면적이 증대되고 고정된 경우에 비해 열 축적율이 단위 면적당 10배 이상 증대될 수 있다.
엑스선관의 음극과 양극 사이에 가해지는 전압을 관전압이라 하며, 이는 고전압 발생부(121)에서 인가되고, 그 크기는 파고치 kvp로 표시할 수 있다. 관전압이 증가하면 열전자의 속도가 증가되고 결과적으로 타겟 물질에 충돌하여 발생되는 엑스선의 에너지(광자의 에너지)가 증가된다. 엑스선관에 흐르는 전류는 관전류라 하며 평균치 mA로 표시할 수 있고, 관전류가 증가하면 필라멘트에서 방출되는 열전자의 수가 증가하고 결과적으로 타겟 물질에 충돌하여 발생되는 엑스선의 선량(엑스선 광자의 수)이 증가된다.
따라서, 관전압에 의해 엑스선의 에너지가 제어될 수 있고, 관전류 및 엑스선 노출 시간에 의해 엑스선의 세기 또는 선량이 제어될 수 있다.
고전압 발생부(121)는 엑스선 소스(122)에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엑스선 촬영 장치(200)의 다른 곳에 마련될 수도 있다.
엑스선 조사부(120)의 일 측면에는 엑스선 촬영에 관한 각종 정보를 입력하고 각각의 장치들을 조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조작부(140)가 마련된다.
도 2는 검사실의 천장에 연결된 고정식 엑스선 촬영 장치(200)에 대해 도시하고 있지만, 도 2에 도시된 엑스선 촬영 장치(200)는 단지 이해의 편의를 위함일 뿐이며,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고정식 엑스선 촬영 장치(200)뿐만 아니라 C-암(arm) 타입 엑스선 촬영 장치, 혈관 조영(angiography) 엑스선 촬영 장치 등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조의 엑스선 촬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엑스선 검출 장치(400)는 피검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할 수 있으며, 엑스선 촬영 장치(100)의 사용 목적에 따라 테이블(290) 타입이나 스탠드(280)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동 가능한 테이블(290) 타입과 스탠드(280) 타입의 엑스선 검출 장치(40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형 버키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엑스선 검출 장치(400)는 스탠드형 버키(500)에 수용될 수 있다. 종래 사용되었던 아날로그 방식의 엑스선 검출 장치는 엑스선을 인가 받으면 빛을 발하는 증감지(형광판)와 은염 필름이 조합된 필름판을 사용하였으며, 검사 때마다 필름판의 장착 및 탈거를 반복해야 했다. 최근 사용되는 디지털 방식의 엑스선 검출 장치(400)는, 예를 들어 영상판(Image Plate)을 이용한 CR(Computer Radiography), 신틸레이터(Scintillator) 와 전하결합소자(Charge-Coupled Device)를 이용한 CCD 검출기,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를 이용한 평판 검출기(Flat Panel Detector) 등을 사용하여 디지털 신호를 통해 화상 데이터를 얻을 수 있으므로 검사 때마다 필름판을 탈거 및 장착시키지 않고도 목적하는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다만, 엑스선 검출 장치(400)의 사용 목적에 따라 엑스선 검출 장치(400)의 배치 및 크기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엑스선 검출 장치(400)를 수용하는 스탠드형 버키(500)는 다양한 크기의 엑스선 검출 장치(400)를 다양한 각도로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스탠드형 버키(500)는, 엑스선 검출 장치(400)를 탈착 및 부착 시킬 수 있는 버키 트레이(510) 및 엑스선 검출 장치(400)를 수용할 수 있는 수납부(550-1)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납부(550-1)는 엑스선 검출 장치(40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재로서 입사면(551-1)과 챔버부(552-1) 및 피검체 지지부(554)를 포함할 수 있다. 입사면(551-1)은, 엑스선 조사부(120)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판상부재로서, 엑스선을 입사시킬 수 있는 에보나이트(ebonite) 등으로 형성된다. 입사면(551-1)의 후방부에는 입사면(551-1)과 나란하게 그리드(553)가 배치될 수 있으며, 비산란 그리드(Moving Grid)가 배치되는 경우, 엑스선이 인체를 투과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산란선을 제거하여 검출 장치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챔버부(552-1)는 알루미늄, 베이클라이트(bakelite) 등의 금속으로 형성되어 엑스선 검출 장치(400)를 수용할 수 있으며, 내부에 이온 챔버(Ion-chamber) 등을 배치하여 인체를 투과한 엑스선 량을 측정할 수 있다. 피검체 지지부(554)는 피검체(10; 도 8 참조)를 진단하기 위해 피검체(10)가 스탠드형 버키(500)에 지지할 수 있는 지지 영역으로서, 예를 들어 진단시 피검체(10)가 턱을 지지할 수 있는 오목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a는 엑스선 검출 장치(400)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4b 및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엑스선 검출 장치(400)에 대한 배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엑스선 검출 장치(400)는 엑스선에 감응하는 검출매체로서 2차원 센서가 배치된 감지부(410) 및 감지부(410)를 수용하는 감지부 케이스(420)를 구비할 수 있다. 감지부(410)는 엑스선 조사부 (120: 도 2 참조)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엑스선 조사부로부터 조사된 엑스선이 인가되는 경우, 2차원 센서에서 발생하는 미세 전기 신호를 2차원 매트릭스를 통해 얻는다. 2차원 매트릭스를 통해 얻어진 미세 전기 신호는 디지털 값으로 변환되어 화상데이터를 구성하며, 화상데이터는 적절한 영상처리 과정을 거친 후에 모니터 또는 프린터에 표시된다.
감지부 케이스(420)는 감지부(41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부재로서, 그 종류는 감지부(410)의 크기에 따라 예를 들어 8x10(inch), 10x12(inch), 14x14(inch), 14x17(inch) 및 17 x17(inch)등이 있다. 감지부 케이스(420)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거나 내부에 배치된 배터리(미도시)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 단자부 및 감지부(410)로부터 확보된 미세 전기 신호를 외부에 전달할 수 있는 신호 단자부를 포함하는 제1 단자부(421)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단자부(421)가 감지부 케이스(420)의 측면부에 배치되어 있으나, 본 개시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단자부(421)는 감지부 케이스(420)의 배면부에 배치되거나, 무선 형식으로 전원을 공급받고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엑스선 검출 장치(400)는 이동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내부에 별도의 배터리(4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면, 엑스선 검출 장치(400)의 일 측부 또는 중심부에 배터리(430)가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430)는 엑스선 검출 장치(400)로부터 분리 가능한 분리형이거나 엑스선 검출 장치(400)와 일체된 일체형일 수 있다. 또한 배터리(430)는 엑스선 검출 장치(400)에서 분리된 채로 외부에서 충전되거나, 제1 단자부(421)를 통해 유선 방식으로 충전되거나 또는 도 5e 내지 도 5f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무선 방식으로 충전될 수 있다.
도 5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키 트레이(510)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5b는 스탠드형 버키(500)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5c는 도 5a에 도시된 베이스부(520)에 대한 평면도이며, 도 5d는 도 5a에 도시된 버키 트레이(510)를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e는 도 5a에 도시된 제1 플레이트(530)에 대한 배면도이다. 도 5f는 도 5a에 도시된 회전 플레이트(540)에 대한 배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버키 트레이(510)는 수납부(550-1)에 수납 및 배출될 수 있는 베이스부(520) 및 베이스부(520)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 제1 플레이트(53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520)는 판상 부재로서, 베이스부(520)의 일 면에는 엑스선 조사방향으로 연장된 원통 형상의 중심축(521)과 제1 가이드부(522), 베이스부(520)의 측부에 형성된 제1 스토퍼(523), 와 엑스선 검출 장치(400)의 검출기 케이블(526)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525), 제2 단자부(533)에 연결되어 엑스선 검출 장치(400)로부터 검출된 전기 신호를 외부에 전달할 수 있는 검출기 케이블(526), 및 검출기 케이블(526)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는 다수의 케이블 고정부(527)가 마련된다. 고리 형상의 핸들부(528)는 베이스부(520)의 일 측부에 배치되며, 핸들부(528)를 이용하여 버키 트레이(510)가 수납부(550-1)로부터 용이하게 수납 및 배출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중심축(521)의 중심(Y)은 베이스부(520)의 중심(X)으로부터 D방향으로 편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탠드형 버키(500)에서 엑스선 검출 장치(400)가 베이스부(520)에 대해 회전하는 경우에도 엑스선 검출 장치(400)는 피검체(10)에 대한 진단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엑스선 검출 장치(400)의 회전 및 그에 따른 피검체(10)에 대한 진단 위치와 관련된 사항은 도 6a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제1 플레이트(530)는 엑스선 검출 장치(400)가 탑재되는 판상 부재로서, 베이스부(5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엑스선 검출 장치(400)가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530)의 일 면에는, 엑스선 검출 장치(400)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제1 고정부(531), 베이스부(520)의 제1 스토퍼(523)와 체결되어 제1 플레이트(53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제2 스토퍼(532), 엑스선 검출 장치(400)의 제1 단자부(421)와 연결될 수 있는 제2 단자부(533) 및 엑스선 검출 장치(4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다수의 위치 가이드(535, 536, 537)가 제1 플레이트(530)의 측부를 따라 배치된다.
제1 고정부(531)는 엑스선 검출 장치(400)를 고정시키기 위해 제1 플레이트(530)의 일 측부에 힌지 구조를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제1 고정부(531)의 힌지부의 양 단부에는 비틀림 탄성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감지부 케이스(420)의 일 측부가 제1 고정부(531)와 제1 플레이트(530) 사이에 삽입되는 경우, 제1 고정부(53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엑스선 검출 장치(400)는 제1 플레이트(530)에 고정될 수 있다. 엑스선 검출 장치(400)가 제1 플레이트(530)로부터 해제되는 경우, 비틀림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제1 고정부(531)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최초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고정부(531) 및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엑스선 검출 장치(400)를 제1 플레이트(530)에 고정하였으나, 본 개시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엑스선 검출 장치(400)를 제1 플레이트(530)에 고정시킬 수 있는 다른 형태의 고정부재 예를 들어 나사 체결 구조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스탠드형 버키(500)에서는, 진단 위치에서 베이스부(520)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 제1 플레이트(530)가 엑스선 검출 장치(400) 및 제1 플레이트(530)의 무게에 의해 베이스부(520)에 대해 스스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할 수 있는 고정장치가 필요하다. 제2 스토퍼(532)는 베이스부(520)에 마련된 제1 스토퍼(523)와 체결되어 베이스부(520)에 대한 제1 플레이트(53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스토퍼(532)는 예를 들어 제1 스토퍼(523)에 삽입될 수 있는 바아(bar) 형상일 수 있으며, 관통홀 형상으로 마련된 제1 스토퍼(523)에 제2 스토퍼(532)가 삽입되는 경우, 제1 플레이트(530)가 베이스부(520)에 고정되어 베이스부(520)에 대한 제1 플레이트(530)의 반시계 방향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제1 스토퍼(523)가 배치된 베이스부(520)의 일 측부에 인접한 다른 측부에 제3 스토퍼, 예를 들어 영구 자석등으로 마련된 멈춤 돌기(529)를 배치하여 베이스부(520)에 대한 제1 플레이트(530)의 시계 방향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제2 단자부(533)는 제1 플레이트(530)의 측부에 고정되도록 배치되며, 제1 플레이트(530)가 베이스부(520)에 대해 회전하는 경우에도 엑스선 검출 장치(400)의 제1 단자부(421)와 동일한 위치에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바와 같이 엑스선 검출 장치(400)의 제1 단자부(421)가 무선 방식으로 형성되는 경우, 이와 상호 작용하는 제1 플레이트(530)의 제2 단자부(533) 또한, 무선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엑스선 검출 장치(400)와 제1 플레이트(530)에 배치되는 단자부의 위치는 제한을 받지 않을 수 있다.
검출기 케이블(526)은 제2 단자부(533)에 일 단부가 연결된 채 베이스부(520)와 제1 플레이트(5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검출기 케이블(526)의 타 단부는 베이스부(520)에 마련된 관통홀(525)을 통해 베이스부(520)의 배면으로 연장되어 외부에 연결된다. 검출기 케이블(526)을 이용하여 엑스선 검출 장치(400)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검출기 케이블(526)의 일 단부는 제2 단자부(533)와 연결되고 타 단부는 외부와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1 플레이트(530)가 회전하는 경우, 검출기 케이블(526)에 꼬임이 발생할 수 있다.
다수의 케이블 고정부(527)는 일정한 간격으로 베이스부(520) 상에 배치되어 검출기 케이블(526)의 위치를 조정하고, 검출기 케이블(526)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케이블 고정부(5271)와 제2 케이블 고정부(5272)가 검출기 케이블(526)의 직경보다 약간 더 이격되도록 베이스부(520)상에 배치되며, 검출기 케이블(526)은 제1 케이블 고정부(5271)와 제2 케이블 고정부(5272) 사이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1 플레이트(530)가 회전하는 경우에도 검출기 케이블(526)은 다수의 케이블 고정부(527)가 배치된 경로를 따라 슬라이드 될 수 있으므로 검출기 케이블(526)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검출기 케이블(526)을 이용하여 유선 방식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방식에 대해 서술하고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며, 검출기 케이블(526)을 이용하지 않는 무선 방식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것도 무방하다.
회전 플레이트(540)는 중심축(521)과 제1 플레이트(530) 사이에 배치되며, 다수의 고정장치(542), 예를 들어 체결부를 이용하여 제1 플레이트(530)의 일면에 고정된다. 회전 플레이트(540)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슬라이드 레일(541)이 형성되며, 제1 가이드부(522)가 제1 슬라이드 레일(541)에 배치되어 제1 플레이트(530) 및 회전 플레이트(540)의 회전 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회전 감지부(550)는 베이스부(520)상에 배치되어 회전 플레이트(540)의 회전 여부 및 회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회전 감지부(550)는 단수로 배치되거나 복수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광학식 엔코더 또는 자기식 엔코더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감지부(550)가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 제1 회전 감지부(551)와 제2 회전 감지부(552)는 회전 플레이트(54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회전 플레이트(540)가 회전함에 따라 복수개의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는 입력 신호를 분석하여 회전 플레이트(540)의 회전 여부 및 회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착탈 감지부(560)는 엑스선 검출 장치(400)가 스탠드형 버키(500)에 장착되었는가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이다. 엑스선 검출 장치(400)가 스탠드형 버키(500)에 장착되었는가를 감지할 수 있다면, 엑스선 검출 장치(400)가 스탠드형 버키(500)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 도 1에 도시된 제어부(150)는 고전압 발생부(121)에 전압을 인가하는 신호를 차단하여 엑스선 조사부(120)에서 엑스선이 조사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착탈 감지부(560)는 광학식 또는 자기식 센서부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 감지부(560)는 중심축(521)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플레이트(530) 및 회전 플레이트(540)에 형성된 관통홀을 따라 연장된 탄성 부재(562), 탄성 부재(562)의 일 단부에 고정된 원통 형상의 접촉 하우징(561) 및 접촉 하우징(561)의 외벽면에 배치되어 접촉 하우징(561)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는 복수의 가이드부(56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착탈 감지부(560)는 엑스선 검출 장치(400)가 제1 플레이트(530)상에 배치되는 경우, 탄성 부재(562)의 변형 여부를 감지하여 엑스선 검출 장치(400)가 제1 플레이트(530) 상에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엑스선 검출 장치(400)는 제1 단자부(421)를 이용한 유선 방식의 충전뿐만 아니라 무선 방식의 충전 또한 가능하다. 도 4b 및 도 5e를 참조하면, 배터리(430)가 엑스선 검출 장치(400)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도록 배치된 경우, 충전부(440)는 배터리(430)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제1 플레이트(53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충전부(440)에는 사각형과 원형으로 구성된 1차 코일(441) 및 충전 패드(442)에 배치된 전기 코일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1차 코일(441) 및 전기 코일은 상호 작용하여 유도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1차 코일 및 전기 코일이 상호 작용하여 발생된 유도 전류는 배터리(430)에서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무선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엑스선 검출 장치(400)의 무선 충전이 가능해짐에 따라 별도의 충전 라인 및 단자부가 제거되어 제조 공정이 단순해 질 수 있으며, 기기의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엑스선 촬영 장치(200)를 이용하여 촬영을 진행하면서도 지속적으로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전을 위해 엑스선 검출 장치(400)를 별도로 분리할 필요가 없고 충전을 위한 별도의 과정이 생략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충전부(440)의 위치가 제1 플레이트(530)의 하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터리(430)의 위치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위치로 변화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4c 및 도 5f를 참조하면, 배터리(430)는 엑스선 검출 장치(400)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때 충전부(440)는 이에 상응하는 제1 플레이트(530)의 하부 또는 회전 플레이트(54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충전부(440)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배터리(430)를 충전하는 방식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6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키 트레이(510)의 평면도이며, 도 6b는 엑스선 검출 장치(400)가 배치된 버키 트레이(510)의 평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버키 트레이(510)상에 엑스선 검출 장치, 일 예로서 17x14(인치)의 엑스선 검출 장치(400)가 제1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엑스선 검출 장치(400)가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베이스부(520)의 제1 스토퍼(523)와 제1 플레이트(530)의 제2 스토퍼(532)가 결합되며, 이로 인해 베이스부(520)에 대한 제1 플레이트(530)의 회전이 제한됨으로써 베이스부(520)에 대한 제1 플레이트(530)의 상대적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17x14(인치) 크기의 엑스선 검출 장치(400)를 배치하고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크기의 엑스선 검출 장치(400)가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엑스선 검출 장치(400)가 버키 트레이(510)상에 배치되는 경우,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선 검출 장치(400)의 하면부는 접촉 하우징(561)에 일 단부와 접촉하여 접촉 하우징(561)을 하방 압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 때 접촉 하우징(561)에 일 단부가 고정되도록 배치된 탄성 부재(562) 또한 압축력을 인가 받아 변형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탄성 부재(562)의 변형 여부를 측정하여 착장 감지부(560)는 엑스선 검출 장치(400)가 제1 플레이트(530) 상에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스탠드형 버키(500)를 이용하여 엑스선 검사를 실행하는 경우, 스탠드형 버키(500)의 중심과 버키 트레이(510)에 장착된 엑스선 검출 장치(400)의 중심은 항상 일치되는 상태로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 사용자는 스탠드형 버키(500)의 중심을 기준으로 환자의 위치를 설정하고 검사를 실행하기 때문에 만약 엑스선 검출 장치(400)의 중심선과 스탠드형 버키(500)의 중심이 일치되지 않다면, 획득된 영상의 중심이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어 진단적 가치가 없는 영상을 얻게 된다.
스탠드형 버키(500)와 엑스선 검출 장치(400)의 중심을 일치시키기 위해, 회전 플레이트(540) 측부에는 바아 형상의 다수의 위치 가이드(535, 536, 537)가 배치된다. 버키 트레이(510)상에 엑스선 검출 장치(400)를 배치하는 경우, 사용자는 다수의 위치 가이드(535, 536, 537)를 이용하여 버키 트레이(510)와 엑스선 검출 장치(400)의 상대적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스탠드형 버키(500)와 엑스선 검출 장치(400)의 중심을 일치시킬 수 있다. 이 후, 제1 고정부(531)를 이용하여 감지부 케이스(420)의 측부를 제1 플레이트(530)상에 고정시킴으로써 엑스선 검출 장치(400)는 버키 트레이(510)상에 고정된다.
도 7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키 트레이(510)의 평면도이며, 도 7b는 엑스선 검출 장치(400)가 배치된 버키 트레이(510)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형 버키(500)를 이용하여 피검체(10)를 진단하는 진단예를 도시한다.
엑스선 검출장치(400)의 진단 목적에 따라 엑스선 검출 장치(400)의 위치 또한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형 버키(500)가 사용된 엑스선 촬영 장치(200)에서 피검체(10)의 진단 목적에 따라 진단 영역이 상이할 수 있다. 진단 영역을 특정하기 위해 엑스선 검출 장치(400)는 회전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버키 트레이(510)상에 17x14(인치)의 엑스선 검출 장치(400)가 제1 방향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제2 방향으로 배치된다. 엑스선 검출 장치(400)를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제1 스토퍼(523)와 제2 스토퍼(532)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에 의한 외력 또는 제1 플레이트(530)의 무게에 의해 회전 플레이트(540) 및 제1 플레이트(53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530)의 회전 경로는, 베이스부(520)상에 마련된 제1 가이드부(522)에 의해 회전 플레이트(540)가 제1 슬라이드 레일(541)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제어된다. 제1 플레이트(530)가 제2 상태에 도달할 때, 예를 들어 베이스부(520)상에 영구자석으로 이용하여 마련된 멈춤 돌기(529) 와 제1 플레이트(530)의 측부가 결합되며, 이에 따라 제2 상태에서 베이스부(520)와 제1 플레이트(530)의 상대적 위치가 고정된다. 이 후, 다수의 위치 가이드(535, 536, 537) 및 제1 고정부(531)를 이용하여 엑스선 검출 장치(400)를 버키 트레이(510)의 정위치에 고정시키는 과정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게 진행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서술을 생략한다.
제1 플레이트(530)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회전함에 따라, 제1 플레이트(530)에 고정된 제2 단자부(533) 또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엑스선 검출 장치(400)의 배치가 변화되었음에도 제1 단자부(421)와 제2 단자부(533)가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더불어, 검출기 케이블(526) 또한 다수의 케이블 고정부(527) 및 회전 플레이트(540)의 측부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 라인을 따라 슬라이드될 수 있으므로 꼬임이 발생되지 않은 채 제2 단자부(533)에 일 단부가 연결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도 5d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축(521)의 중심(Y)이 베이스부(520)의 중심(X)으로부터 편심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엑스선 검출 장치(400)가 지지된 제1 플레이트(530)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회전하는 경우에도, 제1 상태에서의 엑스선 검출 장치(400a) 및 제2 상태에서의 엑스선 검출 장치(400b)의 일 측부는 스탠드형 버키(500)에 형성된 피검체 지지부(554)와 정렬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검체(10)가 피검체 지지부(554)에 턱을 지지한 채 직립한 자세를 유지하는 경우, 도 6a에 도시된 제1 고정부(531)가 배치된 제1 플레이트(530)의 측부와 도 7a에 도시된 위치 가이드(537)가 배치된 제1 플레이트(530)의 측부가 피검체 지지부(554)와 정렬될 수 있으므로, 제1 플레이트(530)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회전된 경우에도 피검체(10)의 진단 목적인 흉부에 대한 정확한 촬영이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회전 감지부(551, 552)는 회전 플레이트(540)의 회전을 감지하여 제1 플레이트(530)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회전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6a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 감지부(551)와 제2 회전 감지부(552)는 회전 플레이트(54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회전 플레이트(540)가 회전하여 제1 플레이트(530)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회전하는 경우, 자기식 엔코더 또는 광학식 엔코더로 형성된 제1 회전 감지부(551)와 제2 회전 감지부(552)는 회전 플레이트(540)의 둘레부에 배치된 특정 소자, 예를 들어 영구 자석 또는 미러부 등으로부터 회전 플레이트(540)의 회전에 대한 주기적 신호를 감지할 수 있으며, 입력된 신호 유무 및 입력된 신호의 순서를 분석하여 제1 플레이트(530)의 회전 여부 및 회전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530)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회전하여 엑스선 검출 장치(400)의 배치가 변경되거나, 엑스선 검출 장치(400)가 스탠드형 버키(500)에 배치되지 않았으나 이를 인지하지 못한 경우, 환자에게 불필요한 피폭 선량을 가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 플레이트(530)의 회전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회전 감지부(550) 및 엑스선 검출 장치(400)의 장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장착 감지부(560)가 배치됨으로써 엑스선 검출 장치(400)의 장착 여부 및 배치 위치를 감지할 수 있으며, 회전 감지부(550) 및 장착 감지부(560)에 의해 감지된 감지 신호를 제어부(15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회전 감지부(550) 및 장착 감지부(56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엑스선 검출 장치(400)의 장착 상태에 따른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어부(150)로부터 발생된 제어신호는 엑스선 조사부(120)에 전달되며, 엑스선 조사부(120)는 전달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엑스선 검출 장치(400)가 장착된 영역에 엑스선을 조사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엑스선 검출 장치(400)의 상태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화된 경우, 제어부(150)는 도 2에 도시된 모터(211, 212, 213)를 이용하여 엑스선 조사부(120)를 이동시킴으로써 피폭 범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피검사체(10)에게 인가될 수 있는 불필요한 피폭 선량을 줄일 수 있다.
도 9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키 트레이(510)의 평면도이며,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버키 트레이(510)를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c는 엑스선 검출 장치(400)가 배치된 버키 트레이(510)의 평면도이다.
엑스선 촬영 장치(200)는 진단 목적에 따라 진단 영역을 달리할 수 있으며, 진단 영역에 따라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에 엑스선을 조사하거나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에 엑스선을 조사할 수 있다. 진단 영역을 특정하기 위해 다양한 크기의 엑스선 검출 장치(400)가 스탠드형 버키(50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b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키 트레이(510)상에 일 예로서 8x10(인치)의 엑스선 검출 장치(410; 이하 소면적 엑스선 검출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좁은 입사 면적을 구비한 소면적 엑스선 검출 장치(410)를 제1 플레이트(530) 상에 고정시키기 위해, 제1 위치 가이드(535)와 제2 위치 가이드(536)은 제1 플레이트(530)상에서 슬라이드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탄성 부재(581-584)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530)와 베이스부(5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때, 제1 탄성 부재(581) 및 제2 탄성부재(582)와 제3 탄성 부재(583) 및 제4 탄성부재(584)는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581) 및 제2 탄성부재(582)의 일 단부는 제1 위치 가이드(535)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제1 플레이트(530)에 고정되도록 배치된 지지부(590-1)에 고정되도록 배치되고, 제3 탄성 부재(583) 및 제4 탄성부재(584)의 일 단부는 제2 위치 가이드(536)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제1 플레이트(530)에 고정되도록 배치된 지지부(590-1)에 고정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소면적 엑스선 검출 장치(410)가 제1 플레이트(530)상에 배치되는 경우 제1 탄성 부재 내지 제4 탄성 부재(581-584)는 압축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위치 가이드(535) 및 제2 위치 가이드(536)는 도 9a에 도시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소면적 엑스선 검출 장치(410)를 제1 플레이트(530) 상에 지지할 수 있다.
반면 상대적으로 넓은 입사 면적을 구비한 엑스선 검출 장치(400), 일 예로서 14x17(인치)의 엑스선 검출 장치(400)가 제1 플레이트(530)상에 배치되는 경우 제1 탄성 부재 내지 제4 탄성 부재(581-584)는 압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위치 가이드(535) 및 제2 위치 가이드(536)는 도 6a에 도시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넓은 입사 면적을 구비한 엑스선 검출 장치(400)를 제1 플레이트(530) 상에 지지할 수 있다.
도 10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키 트레이(510)의 평면도이며, 도 10b는 엑스선 검출 장치(400)가 배치된 버키 트레이(510)의 평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엑스선 촬영 장치(200)는 진단 목적에 따라 진단 영역을 달리할 수 있으며, 진단 영역에 따라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에 엑스선을 조사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엑스선의 입사 면적이 넓은 대면적 엑스선 검출 장치(420)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버키 트레이(510)상에 대면적 엑스선 검출 장치(400), 예를 들어 17x17(인치)의 대면적 엑스선 검출 장치(42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14x17(인치)의 엑스선 검출 장치(400) 보다 큰 대면적 엑스선 검출 장치(420)를 배치하기 위해 베이스부(520)와 제1 플레이트(530)와 사이에 판상 부재의 제2 플레이트(59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590)상에는 제2 가이드 레일(591)이 배치되며, 제1 플레이트(530)의 배면에 제2 가이드부(538)가 배치된다. 제2 플레이트(590)는, 제2 가이드부(538) 및 제2 가이드 레일(591)에 의해 베이스부(520)와 제1 플레이트(530)와 사이에서, 제1 크기의 엑스선 검출 장치(400)를 수납할 수 있는 제1 위치 및 제2 크기의 엑스선 검출 장치(400)를 수납할 수 있는 제2 위치로 수납 및 배출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드 고정부(539a)는, 제1 플레이트(530)의 양 단부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힌지부 형상으로 마련된다. 제1 플레이트(530)에 대한 제2 플레이트(590)의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로 수납 또는 배출이 완료되었을 때, 제1 슬라이드 고정부(539a)는 제1 플레이트(530)에 통공 형상으로 마련된 제2 슬라이드 고정부(539b)에 삽입되며, 이에 따라 제1 플레이트(530)에 대한 제2 플레이트(590)의 상대적 위치가 고정된다. 또한, 제2 플레이트(590)를 따라 위치 가이드(535a, 537b)가 추가로 형성되어 엑스선 검출 장치(4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 후, 다수의 위치 가이드(535a, 535b, 536, 537a, 537b) 및 제1 고정부(531)를 이용하여 엑스선 검출 장치(400)를 버키 트레이(510)의 정위치에 고정시키는 과정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진행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서술을 생략한다.
제2 단자부(533)는 제2 플레이트(590)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플레이트(590)가 배출되는 경우에도 제1 단자부(421)와 제2 단자부(533)는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엑스선 검출 장치(400)가 고정되는 위치 및 엑스선 검출 장치(400)의 크기에 관계 없이 단일 버키 트레이(510)를 이용하여 엑스선 검출 장치(400)를 수용하고 엑스선 검사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필요한 유형의 엑스선 검출 장치(400)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플레이트(530) 또는 제2 플레이트(590)의 측부에 연결 단자를 배치하고, 외부와 연결되는 검출기 케이블(526)의 꼬임을 방지하여 엑스선 검출 장치(400)의 배치 및 유형에 관계없이 엑스선 검출 장치(400)와 외부 장치가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형 버키(600)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테이블형 버키(600)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스탠드형 버키(500)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엑스선 검출 장치(400)는 엑스선 검출 장치(400) 및 이를 지지할 수 있는 테이블형 버키(6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테이블형 버키(600)는, 엑스선 검출 장치(400)를 탈착 및 부착 시킬 수 있는 버키 트레이(610) 및 엑스선 검출 장치(400)를 수용할 수 있는 수납부(650-1)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납부(650-1)는 엑스선 검출 장치(40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재로서 입사면(651-1)과 챔버부(652-1)및 입사면(651-1)의 후방부에 입사면(651-1)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그리드(653)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형 버키(500)와는 달리 테이블형 버키(600)는 피검체(10)가 지지되는 테이블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테이블형 버키(600)의 수납부(650-1)에는 별도의 피검체 지지부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버키 트레이(610)는 수납부(650-1)에 수납 및 배출될 수 있으며, 베이스부(620) 및 베이스부(620)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 제1 플레이트(630) 및 제2 플레이트(65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620)는 판상 부재로서, 베이스부(620)의 일 면에는 엑스선 조사방향으로 연장된 원통 형상의 중심축(621)과 제1 가이드부(622), 엑스선 검출 장치(400)의 검출기 케이블(626)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625), 엑스선 검출 장치(400)의 제1 단자부(421)와 연결될 수 있는 제2 단자부(633), 제2 단자부(633)에 연결되어 엑스선 검출 장치(400)로부터 검출된 전기 신호를 외부에 전달할 수 있는 검출기 케이블(626), 및 검출기 케이블(626)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는 다수의 케이블 고정부(627)가 마련된다. 고리 형상의 핸들부(628)는 베이스부(620)의 일 측부에 배치되며, 핸들부(628)를 이용하여 버키 트레이(610)가 수납부(650-1)로부터 용이하게 수납 및 배출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스탠드형 엑스선 촬영 장치(200)와 달리 테이블형 엑스선 촬영 장치(200)에서는 테이블형 버키(600)의 중심부에서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5d에 도시된 스탠드형 버키(500)의 중심축(521)과 달리 테이블형 버키(600)의 중심축(621)은 베이스부(620)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엑스선 검출 장치(400)가 테이블형 버키(600)에서 다른 각도로 배치되는 경우에도 엑스선 검출 장치(400)는 베이스부(620)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630) 및 제2 플레이트(650)는 엑스선 검출 장치(400)가 탑재되는 판상 부재로서, 베이스부(6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플레이트(630)의 일부는 제2 플레이트(650)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2 플레이트(650)에 대해 슬라이드될 수 있다. 엑스선 검출 장치(400)가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630) 및 제2 플레이트(650)의 일 면에는, 엑스선 검출 장치(4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다수의 위치 가이드(635, 636, 637)가 제1 플레이트(630) 및 제2 플레이트(650)의 측부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탠드형 엑스선 촬영 장치(100)와 달리 테이블형 엑스선 촬영 장치(100)에서는 테이블형 버키(600)의 중심부에서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입사 면적이 큰 다면적 엑스선 검출 장치(400)를 스탠드형 버키(600)에 배치하는 경우, 엑스선 검출 장치(400)와 피검체(10)의 정렬이 어긋나지 않도록 제1 플레이트(630)와 제2 플레이트(650)가 서로 대칭적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이동 가이드부(700)는 제1 플레이트(630)와 제2 플레이트(650)의 이동을 연동시켜 서로 대칭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12를 참조하면 제1 플레이트(630) 및 제2 플레이트(650)와 베이스부(620) 사이에 제1 플레이트(630) 및 제2 플레이트(650)에 고정되도록 배치된 중간 플레이트(66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플레이트(630)와 제2 플레이트(650) 및 중간 플레이트(660) 사이에 제1 이동 가이드부(710) 및 제2 이동 가이드부(720)가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이동 가이드부(710) 및 제2 이동 가이드부(720)는 중간 플레이트(660)에 고정되도록 배치된 회전축(711, 721) 및 상기 회전축(711, 721)으로부터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1 이동 슬라이드 레일(712, 713), 제2 이동 슬라이드 레일 (722, 723) 및 제1 플레이트(630)에 고정되어 제1 슬라이드 레일(712), 제2 슬라이드 레일(722)에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1 이동 가이드부(714, 724), 제2 플레이트(650)에 고정되어 제1 슬라이드 레일(713), 제2 슬라이드 레일(723)에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2 이동 가이드부 (715, 725)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플레이트(640)는 중심축(621)과 중간 플레이트(660) 사이에 배치되며, 다수의 고정장치(642), 예를 들어 체결부를 이용하여 중간 플레이트(660)의 일면에 고정된다. 회전 플레이트(640)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슬라이드 레일(641)이 형성되며, 제1 가이드부(622)가 제1 슬라이드 레일(641)에 배치되어 제1 플레이트(630)와 제2 플레이트(650) 및 회전 플레이트(640)의 회전 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형 버키(600)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대면적 엑스선 검출 장치(420)를 버키 트레이(610)에 배치하는 경우, 제1 플레이트(630)와 제2 플레이트(650)는 반대 방향으로 서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플레이트(630)를 제2 플레이트(650)로부터 인출시키고자 하는 힘이 외부에서 인가되는 경우, 제1 플레이트(630)에 고정된 제1 이동 가이드부(714, 724) 또한 제1 이동 슬라이드 레일(712) 및 제2 이동 슬라이드 레일(722)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이동 슬라이드 레일(712, 713)은 제1 회전축(711)을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제2 이동 슬라이드 레일(722, 723)은 제2 회전축(721)을 따라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 이동 슬라이드 레일(712, 713) 및 제2 이동 슬라이드 레일(722, 723)이 회전됨에 따라 제1 이동 슬라이드 레일(713) 및 제2 이동 슬라이드 레일 (723)에 배치된 제2 이동 가이드부(715, 725) 또한 제1 이동 슬라이드 레일(713) 및 제2 이동 슬라이드 레일(723)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이동 가이드부 (715, 725)에 고정되도록 배치된 제2 플레이트(650) 또한 제1 플레이트(630)의 이동 방향과는 상반되는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4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형 버키(600)에 대한 평면도이며, 도 14b는 도 14a에 도시된 테이블형 버키(600)를 C-C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4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형 버키(600)에 대한 평면도이다.
제1 플레이트(630)와 제2 플레이트(650)의 이동을 연동시켜 서로 대칭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 가이드부(700)는 복수의 기어부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도 14a 내지 도 14b를 참조하면 제1 플레이트(630) 및 제2 플레이트(650)와 베이스부(620) 사이에 제1 플레이트(630) 및 제2 플레이트(650)에 고정되도록 배치된 중간 플레이트(66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플레이트(630)와 제2 플레이트(650) 및 중간 플레이트(660) 사이에 제3 이동 가이드부(730) 및 제4 이동 가이드부(740)가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 이동 가이드부(730) 및 제4 이동 가이드부(740)는 중간 플레이트(660)에 고정되도록 배치된 제1 피니언 기어(731) 및 제2 피니언 기어(741)와, 제1 피니언 기어(731)와 맞물리도록 배치된 제1 랙기어(732) 및 제2 랙기어(733)와, 제2 피니언 기어(732)와 맞물리도록 배치된 제3 랙기어(742) 및 제4 랙기어(7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랙기어(732)와 제3 랙기어(742)는 제2 플레이트(650)의 하부면에 고정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랙기어(733)와 제4 랙기어(743)는 제1 플레이트(630)의 일부에 고정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c를 참조하면, 대면적 엑스선 검출 장치(400), 예를 들어 대면적 엑스선 검출 장치(420)를 버키 트레이(610)에 배치하는 경우, 제1 플레이트(630)와 제2 플레이트(650)는 반대 방향으로 서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플레이트(630)를 제2 플레이트(650)로부터 인출시키고자 하는 힘이 외부에서 인가되는 경우, 제1 플레이트(630)에 고정된 제2 랙기어(733)와 제4 랙기어(743) 또한 제1 플레이트(630)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랙기어(733)와 제4 랙기어(743)와 맞물리도록 배치된 제1 피니언 기어(731) 및 제2 피니언 기어(741)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 피니언 기어(731) 및 제2 피니언 기어(741)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1 피니언 기어(731) 및 제2 피니언 기어(741)와 각각 맞물리도록 배치되는 제1 랙기어(732)와 제3 랙기어(742) 또한 제1 플레이트(630)가 인출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랙기어(732)와 제3 랙기어(742)에 고정되도록 배치된 제2 플레이트(650) 또한 제1 플레이트(630)가 인출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플레이트(630)와 제2 플레이트(650)가 연동하여 함께 슬라이드 됨으로써 대면적 엑스선 검출 장치(420)는 베이스부(620)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테이블형 엑스선 촬영 장치(200)에서 피검체(10)와 엑스선 검출 장치(400)의 정렬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플레이트(630)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16a 내지 도 16b는 도 15에 도시된 제1 플레이트(630)의 일부에 대한 부분 사시도이다.
제1 플레이트(630)에 대한 제2 플레이트(650)의 수납 또는 배출이 완료된 경우, 제1 플레이트(630)에 대한 제2 플레이트(650)의 상대적 위치는 고정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엑스선 검출 장치(400)와 피검체(10) 상호간의 정렬이 유지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3 슬라이드 고정부(639a)는, 도 12에 도시된 중간 플레이트(660)에 고정된 채 제1 플레이트(630)의 배면부에 ??자 형상의 슬라이드부를 구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4 슬라이드 고정부(639b)는 제1 플레이트(630)에 고정된 체결 가이드부(639c)를 이용하여 일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외부 압력에 의해 일 방향으로 이동된 후 외부 압력이 해제되는 경우 원래 위치로 복원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4 슬라이드 고정부(639b)에 외부 압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제3 슬라이드 고정부(639a)의 일 단부에 제4 슬라이드 고정부(639b)가 지지되어 제4 슬라이드 고정부(639b)의 이동이 차단될 수 있으며, 제4 슬라이드 고정부(639b)에 외부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제3 슬라이드 고정부(639a)의 일 단부로부터 제4 슬라이드 고정부(639b)의 지지가 해제되어 제4 슬라이드 고정부(639b)는 제1 플레이트(630)의 인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6a 내지 도 16c를 참조하여 제3 슬라이드 고정부(639a)와 제4 슬라이드 고정부(639b)의 체결이 해제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도 16a을 참조하면, 제4 슬라이드 고정부(639b)에 외부 압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제3 슬라이드 고정부(639a)의 일 단부(639a-1)에 제4 슬라이드 고정부(639b)의 돌출부(639b-1)가 지지되며, 이 경우 제1 플레이트(630)는 베이스부(620)에 상대적 위치가 고정되어 제2 플레이트(650)에 대해 슬라이드될 수 없다.
도 16b을 참조하면, 제4 슬라이드 고정부(639b)에 외부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제3 슬라이드 고정부(639a)의 일 단부(639a-1)는 제1 플레이트(630)의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4 슬라이드 고정부(639b)의 돌출부(639b-1)와 제3 슬라이드 고정부(639a)의 일 단부(639a-1) 사이의 지지가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슬라이드 고정부(639b)의 돌출부(639b-1)는 제1 플레이트(630)의 인출 방향으로 연장된 중간 슬라이드부(639a-2)를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이 때 제1 플레이트(630) 또한 제2 플레이트(650)에 대해 슬라이드될 수 없다.
도 16c을 참조하면, 제2 플레이트(650)에 대한 제1 플레이트(630)의 인출이 완료된 경우, 제4 슬라이드 고정부(639b)의 돌출부(639b-1)는 제3 슬라이드 고정부(639a)의 타 단부(639a-3)에 지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플레이트(630)는 제2 플레이트(650)에 대해 인출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키 트레이(610)의 평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엑스선 촬영 장치(100)는 진단 목적에 따라 진단 영역을 달리할 수 있으며, 진단 영역에 따라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에 엑스선을 조사하거나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에 엑스선을 조사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엑스선 검출 장치(400)는 상대적으로 넓은 입사 면적을 구비한 경우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좁은 입사 면적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키 트레이(610)상에 일 예로서 소면적 엑스선 검출 장치(410)가 배치될 수 있다. 소면적 엑스선 검출 장치(410)를 제1 플레이트(630) 상에 고정시키기 위해, 제1 위치 가이드(635a, 635b)와 제2 위치 가이드(636) 및 제3 위치 가이드(637a, 637b)는 제1 플레이트(630)상에서 슬라이드 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위치 가이드(635-637)은 복수의 탄성 부재(681-685)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제1 위치 가이드(635a, 635b) 및 제3 위치 가이드(637a, 637b)가 대칭적으로 슬라이드 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좁은 입사 면적을 구비한 엑스선 검출 장치(400) 또한 제1 플레이트(630)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피검체(10)와 엑스선 검출 장치(400)의 정렬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복수의 탄성 부재(681-685)에 의해 각각의 위치 가이드(635-637)가 슬라이드되는 방식은 도 9a 내지 도 9c에 서술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8a 및 도 18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키 트레이(610)의 평면도이다.
도 18a 및 도 18b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키 트레이(610)상에 엑스선 검출 장치(400)가 회전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630)와 제2 플레이트(650)를 회전플레이트(640)에 고정되도록 배치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제1 플레이트(630)와 제2 플레이트(65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플레이트(630)와 제2 플레이트(650)에 지지된 엑스선 검출 장치(4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 중심축(621)의 중심은 베이스부(620)의 중심(X)과 일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회전된 엑스선 검출 장치(400) 또한 제1 플레이트(630)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피검체(10)와 엑스선 검출 장치(400)의 정렬이 이루어 질 수 있다. 회전 플레이트(640)에 의해 제1 플레이트(630)와 제2 플레이트(650)가 회전되는 방식은 도 6a 및 도 7a에 서술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되고, 촬영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며 엑스선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모바일 엑스선 촬영 장치(300)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모바일 엑스선 촬영 장치(300)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모바일 엑스선 촬영 장치(300)는 엑스선 촬영 장치(300)의 이동을 위한 휠이 마련되는 이동부(370)와, 엑스선 촬영 장치(300)의 조작을 위한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310), 엑스선 소스(122)에 인가되는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전압 발생부(340), 엑스선 조사 등 촬영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320), 엑스선 촬영 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30)를 포함하는 메인부(305)와, 엑스선을 발생시키는 엑스선 소스(122), 엑스선 소스(122)에서 발생되어 조사되는 엑스선의 경로를 안내하는 콜리메이터(357)를 포함하는 엑스선 조사부(120)와, 엑스선 조사부(120)에서 조사되어 피검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엑스선 검출 장치(400)를 포함한다.
입력부(310)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입력을 수신한다. 입력부(310)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음성 인식기, 지문 인식기, 홍채 인식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기타 당업자에게 자명한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310)를 통해 엑스선 조사를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데, 입력부(310)에는 이러한 명령 입력을 위한 스위치가 마련될 수 있다. 스위치는 두 번에 걸쳐 눌러야 엑스선 조사를 위한 조사명령이 입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스위치를 누르면 스위치는 엑스선 조사를 위한 예열을 지시하는 준비명령이 입력되고, 그 상태에서 스위치를 더 깊게 누르면 실질적인 엑스선 조사를 위한 조사명령이 입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스위치를 조작하면, 입력부(310)는 스위치 조작을 통해 입력되는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 즉, 준비신호와 조사신호를 생성하여 엑스선 발생을 위한 고전압을 생성하는 고전압 발생부(340)로 출력한다.
고전압 발생부(340)는 입력부(310)로부터 출력되는 준비신호를 수신하여 예열을 시작하고, 예열이 완료되면, 준비완료신호를 제어부(330)로 출력한다. 그리고, 엑스선 검출을 위해 엑스선 검출 장치(400) 또한 엑스선을 검출하기 위한 준비가 필요한데, 고전압 발생부(340)는 입력부(310)로부터 출력되는 준비신호를 수신하면, 자신의 예열과 함께 엑스선 검출 장치(400)가 피검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기 위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엑스선 검출 장치(400)로 준비신호를 출력한다. 엑스선 검출 장치(400)는 준비신호를 수신하면 엑스선을 검출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검출준비가 완료되면 검출준비완료신호를 고전압 발생부(340)와 제어부(330)로 출력한다.
고전압 발생부(340)의 예열이 완료되고, 엑스선 검출 장치(400)의 엑스선 검출준비가 완료되며, 입력부(310)로부터 고전압 발생부(340)로 조사신호가 출력되면, 고전압 발생부(340)는 고전압을 생성하여 엑스선 소스(122)로 인가하고, 엑스선 소스(122)는 엑스선을 조사하게 된다. 제어부(330)는 입력부(310)로부터 조사신호가 출력되면, 엑스선 조사를 피검체가 알 수 있도록, 사운드 출력부(320)로 사운드 출력신호를 출력하여 사운드 출력부(320)에서 소정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운드 출력부(320)는 엑스선 조사 이외에 다른 촬영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사운드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21에서는 사운드 출력부(320)가 메인부(305)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엑스선 촬영 장치(300)가 위치되는 장소, 예를 들어 병실 벽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어부(330)는 소정의 촬영 조건에 따라 엑스선 조사부(120) 및 엑스선 검출 장치(400)의 위치, 촬영 타이밍 및 촬영 조건 등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30)는 엑스선 검출 장치(40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피검체에 대한 의료 이미지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30)는 엑스선 검출 장치(400)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미지 데이터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다이나믹 레인지(dynamic range) 및 인터리빙(interleaving)을 조절하여 피검체의 의료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모바일 엑스선 촬영 장치(300)의 메인부(305)는 제어부(330)에 의해 생성된 의료 이미지를 출력하는 출력부(미도시) 및 충전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는 UI(user interface), 사용자 정보 또는 피검체 정보 등 사용자가 엑스선 촬영 장치(300)를 조작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충전부(350)는 엑스선 검출 장치(400)가 사용되지 않는 동안 엑스선 검출 장치(400)에 전력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 부재이다. 모바일 엑스선 촬영 장치(300)에서 엑스선 검출 장치(400)는 버키(500, 600)에 장착되지 않은 채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엑스선 촬영 장치(300)에서 사용되는 엑스선 검출 장치(400)는 촬영 전에 미리 충전 되어야 한다. 이 때, 모바일 엑스선 촬영 장치(300)에서 사용되는 충전부(350)는 엑스선 검출 장치(400)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엑스선 촬영 장치(300)는 진단 목적에 따라 진단 영역을 달리할 수 있으며, 진단 영역에 따라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에 엑스선을 조사하거나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에 엑스선을 조사할 수 있다. 따라서, 엑스선 검출 장치(400), 일 예로서 엑스선 검출 장치(400)는 상대적으로 넓은 입사 면적을 구비한 경우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좁은 입사 면적을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므로, 충전부(350)에는 대면적 엑스선 검출 장치(420)뿐만 아니라 소면적 엑스선 검출 장치(410) 또한 수용될 수 있을 수 있다.
도 2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부(350)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충전부(350)는 엑스선 검출 장치(410, 420)를 지지할 수 있는 충전 베이스부(351), 엑스선 검출 장치의 제1 단자(421)와 결합할 수 있는 충전 단자(352), 충전 베이스부(351)상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배치된 제1 및 제2 지지 가이드부(353, 354) 및 제1, 제2 지지 가이드부(353, 354)와 각각 일 단부가 연결되고, 나머지 일 단부가 충전 베이스부(351)에 고정되도록 연결되는 복수개의 탄성 부재(354-35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지지 가이드부(353, 354)는 엑스선 검출 장치(410)가 진입하는 일 단부는 엑스선 검출 장치(410)가 진입하는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구비하며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탄성 부재(354, 355)의 일 단부는 충전 베이스부(351)에 고정되도록 연결되며, 제1 및 제2 탄성 부재(354, 355)의 타 단부는 제1 지지 가이드부(353)에 고정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제1 및 제2 탄성 부재(354, 355)는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및 제4 탄성 부재(356, 357)의 일 단부는 충전 베이스부(351)에 고정되도록 연결되며, 제3 및 제4 탄성 부재(356, 357)의 타 단부는 제2 지지 가이드부(354)에 고정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제3 및 제4 탄성 부재(356, 357)는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소면적 엑스선 검출 장치(410)가 충전 베이스부(351) 상에 배치되는 경우 제1 탄성 부재 내지 제4 탄성 부재(355-357)는 압축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지지 가이드(353) 및 제2 지지 가이드(354)는 슬라이드 되지 않은 채 소면적 엑스선 검출 장치(410)를 충전 베이스부(351) 상에 지지할 수 있다. 반면 대면적 엑스선 검출 장치(420)가 충전 베이스부(351) 상에 배치되는 경우 제1 탄성 부재 내지 제4 탄성 부재(355-357)는 압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지지 가이드(353) 및 제2 지지 가이드(354)는 슬라이드됨으로서 대면적 엑스선 검출 장치(420)를 충전 베이스부(351) 상에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크기를 구비한 엑스선 검출 장치(410, 420)가 하나의 충전부(350)에 수용된 채 저장될 수 있으며, 충전부(350)에 구비된 충전 단자(352)가 엑스선 검출 장치의 제1 단자(421)와 결합하여 충전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서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그들은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때문에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개시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다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개시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개시를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개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개시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술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는 개시의 범위와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수정과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명확히 알 수 있다.

Claims (29)

  1. 엑스선 검출 장치;
    상기 엑스선 검출 장치가 장착되는 버키 트레이; 및
    상기 버키 트레이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부에 수납 및 배출되는 상기 버키 트레이는,
    베이스부;
    상기 엑스선 검출 장치가 탑재되고,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제1, 제2 상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제1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며, 원주 방향을 따라 홈 형상의 슬라이드 레일이 마련된 회전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제1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에 따른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 방향, 회전 각도 및 회전 거리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복수의 회전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베이스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 삽입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회전 경로를 제어하는 돌기 형상의 가이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회전 감지부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엑스선 촬영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중심이 상기 베이스부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도록 배치되는
    엑스선 촬영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중심이 상기 베이스부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엑스선 촬영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검출 장치의 착탈 여부를 감지하는 착탈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검출 장치에는 제1 단자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 단자부와 연결되어 상기 엑스선 검출 장치를 외부 장치와 연결시키는 제2 단자부가 구비되는
    엑스선 촬영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검출 장치는 무선 방식으로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엑스선 촬영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검출 장치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복수의 위치 가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위치 가이드 중 일부가 상기 버키 트레이의 중심과 상기 엑스선 검출 장치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상기 엑스선 검출 장치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
  12. 피검체를 투과하는 엑스선을 감지하는 엑스선 검출 장치;
    상기 엑스선 검출 장치가 장착되는 버키 트레이; 및
    상기 버키 트레이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부에 수납 및 배출되는 상기 버키 트레이는,
    베이스부;
    상기 엑스선 검출 장치의 배면부가 지지되어 상기 엑스선 검출 장치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측부를 따라 배치되는 위치 가이드; 및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대한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대해 제1 크기의 엑스선 검출 장치를 수용하는 제1 위치 또는 제2 크기의 엑스선 검출 장치를 수용하는 제2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엑스선 촬영 장치.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는 제1크기의 엑스선 검출 장치를 수용하는 제1위치 또는 제2크기의 엑스선 검출 장치를 수용하는 제2위치로 대칭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엑스선 촬영 장치.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상기 제1, 제2 위치에 고정시키는 슬라이드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검출 장치에는 제1 단자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 단자부에 연결되는 제2 단자부가 구비되는
    엑스선 촬영 장치.
  17.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가이드는 버키 트레이의 중심과 상기 엑스선 검출 장치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상기 엑스선 검출 장치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이드부는 제1 플레이트에 배치된 가이드부와 제2 플레이트에 배치된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
  2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키 트레이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간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엑스선 촬영 장치.
  2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키 트레이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 가이드부는 상기 중간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는 한 쌍의 랙 기어를 구비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
  27.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키 트레이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 가이드부는 상기 중간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대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홈 형상의 슬라이드 레일 및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돌기 형상의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
  28.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형상의 가이드부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슬라이드 레일이 상기 회전축에 대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이동되는
    엑스선 촬영 장치.
  29.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키 트레이는 상기 엑스선 검출 장치에 포함된 배터리와 상호 작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시키는 충전부를 더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
KR1020150030554A 2014-07-30 2015-03-04 엑스선 촬영 장치 KR101763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7915 WO2016018064A1 (en) 2014-07-30 2015-07-29 X-ray apparatus
CN201580050063.0A CN106716113B (zh) 2014-07-30 2015-07-29 X射线设备
EP15179033.4A EP2979637B1 (en) 2014-07-30 2015-07-30 X-ray apparatus
EP18190218.0A EP3431006A1 (en) 2014-07-30 2015-07-30 X-ray apparatus
US14/813,392 US9521983B2 (en) 2014-07-30 2015-07-30 X-ray apparatus
US15/350,353 US10092258B2 (en) 2014-07-30 2016-11-14 X-r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616 2014-07-30
KR20140097616 2014-07-3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682A Division KR20170090381A (ko) 2014-07-30 2017-07-24 버키 트레이 및 엑스선 촬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139A KR20160015139A (ko) 2016-02-12
KR101763305B1 true KR101763305B1 (ko) 2017-08-14

Family

ID=5535508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0554A KR101763305B1 (ko) 2014-07-30 2015-03-04 엑스선 촬영 장치
KR1020170093682A KR20170090381A (ko) 2014-07-30 2017-07-24 버키 트레이 및 엑스선 촬영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682A KR20170090381A (ko) 2014-07-30 2017-07-24 버키 트레이 및 엑스선 촬영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1763305B1 (ko)
CN (1) CN10671611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4145A (ko) * 2018-03-29 2019-10-10 주식회사 에스원 인체통신을 이용한 문서 보안 검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문서 보안 검색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72287B1 (en) 2016-07-21 2019-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orage unit and mobile x-ray imag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991110B1 (ko) 2017-08-10 2019-06-19 이은구 엑스레이 촬영 필름카세트 가변 장착용 버키 트레이
CN109646025B (zh) * 2017-10-10 2024-10-29 通用电气公司 X射线检测器的支撑装置
CN111443099B (zh) * 2018-12-27 2024-04-16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平板探测器支撑件、x射线影像系统传感器单元和平板探测器
KR102403652B1 (ko) * 2020-09-02 2022-05-30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방사선 검사 장치
CN112924478B (zh) * 2021-01-29 2022-12-06 上海科技大学 基于双能量数字x射线成像的架空线缆检测系统
KR102582646B1 (ko) * 2021-05-03 2023-09-26 (주)디알젬 엑스선 촬영장치용 원터치 탈착형 버키
KR102333006B1 (ko) * 2021-06-23 2021-12-01 제이피아이헬스케어 주식회사 자체 정렬 장치가 구비된 x선 그리드 패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6020A (en) * 1981-11-04 1983-11-15 Material Control, Inc. Size sensing X-ray cassette tray for X-ray equipment
US7857511B2 (en) 2004-11-25 2010-12-28 Siemens Aktiengesellschaft Stand for an X-ray system
US20130248725A1 (en) 2012-03-21 2013-09-26 Young Ik KIM X-ray detector
US20130336453A1 (en) 2010-06-15 2013-12-19 Rayence Co., Ltd. Digital x-ray detector, housing and x-ray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33921A1 (en) * 1999-11-03 2001-05-10 Sterling Diagnostics Imaging, Inc. System for converting conventional x-ray apparatus to a digital imaging device
JP4717155B1 (ja) * 2010-09-24 2011-07-06 株式会社大林製作所 放射線撮影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6020A (en) * 1981-11-04 1983-11-15 Material Control, Inc. Size sensing X-ray cassette tray for X-ray equipment
US7857511B2 (en) 2004-11-25 2010-12-28 Siemens Aktiengesellschaft Stand for an X-ray system
US20130336453A1 (en) 2010-06-15 2013-12-19 Rayence Co., Ltd. Digital x-ray detector, housing and x-ray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130248725A1 (en) 2012-03-21 2013-09-26 Young Ik KIM X-ray detec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4145A (ko) * 2018-03-29 2019-10-10 주식회사 에스원 인체통신을 이용한 문서 보안 검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문서 보안 검색 방법
KR102041930B1 (ko) 2018-03-29 2019-11-07 주식회사 에스원 인체통신을 이용한 문서 보안 검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문서 보안 검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716113A (zh) 2017-05-24
KR20170090381A (ko) 2017-08-07
KR20160015139A (ko) 2016-02-12
CN106716113B (zh) 2019-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3305B1 (ko) 엑스선 촬영 장치
EP2979637B1 (en) X-ray apparatus
KR20170115018A (ko) 엑스선 장치 및 엑스선 디텍터
US7924974B2 (en) X-ray machine for breast examination in a standing position
KR20160057816A (ko) 엑스선 장치와 콜리메이터.
KR20160063074A (ko) 엑스선 장치 및 엑스선 디텍터
KR20160069434A (ko) 엑스선 장치 및 시스템
US1003464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rdering imaging operations in an X-ray imaging system
KR20160139294A (ko) 의료 영상 장치 및 의료 영상 장치를 위한 방법
KR20160103518A (ko) 의료 영상 처리 장치 및 의료 영상 처리 방법
KR20160037011A (ko) 의료 영상 장치 및 의료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
EP3182897B1 (en) X-r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x-ray apparatus
WO2013019666A1 (en) Computed tomography perfusion phantom and method of use thereof
US10172579B2 (en) X-ray imaging system
KR20160141587A (ko) 엑스선 촬영 장치 및 엑스선 촬영 장치의 작동 방법
KR20160062279A (ko) 엑스선 장치 및 시스템
JP2012070835A (ja) 可搬型放射線撮影システム
KR20100109734A (ko) 휴대용 x선 영상장치 및 그 영상 수집방법
WO2022074889A1 (ja) X線撮影装置
CN209360710U (zh) 便携式人机接口装置、固定组件和医疗设备的控制系统
JP7454865B2 (ja) ポータブルx線断層撮影装置
KR20160147583A (ko) 이동식 엑스선 이미지 촬영 장치 및 엑스선 이미지 획득 방법
KR20160059929A (ko) 엑스선 장치 및 시스템
JP2016189985A (ja) 放射線撮影システム及び撮影台
JP2013059654A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