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8117B1 - 레벨볼트를 구비한 커튼월 설치장치 - Google Patents

레벨볼트를 구비한 커튼월 설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8117B1
KR101588117B1 KR1020140054044A KR20140054044A KR101588117B1 KR 101588117 B1 KR101588117 B1 KR 101588117B1 KR 1020140054044 A KR1020140054044 A KR 1020140054044A KR 20140054044 A KR20140054044 A KR 20140054044A KR 101588117 B1 KR101588117 B1 KR 101588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curtain wall
anchor
level
level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4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6143A (ko
Inventor
풍기한
윤병희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40054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117B1/ko
Publication of KR20140066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6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커튼월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슬라브에 수평방향으로 부착되는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에 수직한 수직면을 갖는 1차앵커; 상기 1차앵커의 수직면에 일측면이 부착되는 2차앵커; 상기 2차앵커의 타측면에 부착되는 커튼월유닛; 및 상기 2차앵커의 상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체결되는 레벨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레벨볼트는 정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2차앵커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의해서, 커튼월 시공시 커튼월유닛의 정확한 위치확보를 위한 수평조절을 위해서 상기 레벨볼트를 이용함으로 커튼월 부착을 위한 시공시간 및 작업공수를 현격히 단축할 수 있어서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유리한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레벨볼트를 구비한 커튼월 설치장치{APPARATUS FOR INSTALLING CURTAIN WALL HAVING LEVEL BOLT}
본 발명은 고층건물의 외관을 이루는 커튼월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건물 외벽 시공시에 수평을 맞추기 위한 레벨볼트를 구비한 커튼월유닛의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하중을 담당하는 주체구조는 기둥과 보의 골조만으로 이루어져서 건물에 가해지는 수직하중과 바람에 의한 수평하중 등을 지지하게 되고, 벽체는 단순히 공간을 칸막이하는 구실만을 하기 때문에 이러한 벽체를 '커튼월' 내지 '비내력 칸막이벽'이라고 호칭한다. 커튼월은 외부로부터 비나 바람을 막고 소음이나 열을 차단하는 구실을 하며, 기둥과 보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구실을 하며, 현대적인 건축양식에서 외장용으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커튼월은 특히 고층건물이나 초고층건물에서 많이 사용되며, 미리 공장에서 제작한 일정크기의 외벽패널(이하에서는 이를 '커튼월유닛'이라고 함)을 기계적인 수단을 이용하여 건물 외벽으로 들어올려서 붙이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외벽패널을 공장에서 대량으로 규격화되어 제작되기 때문에 통일성이 있고, 또한 건물의 외관도 심미감을 일으키게 된다.
도 1는 건축물 시공에서 커튼월을 설치하는 모습이며, 도 2는 도 1의 일부 구성을 상세히 보여주고 있으며, 도 3은 상기 커튼월이 설치된 모습의 수직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를 보면, 도 1에서 공장에서 일정크기로 미리 제작된 커튼월유닛(10)이 끈(20)을 이용해서 건축물의 외벽에 부착되고 있다. 도 2를 보면, 건축물의 골조를 이루는 철재빔 등에 슬라브(30)가 견고히 부착되고, 상기 슬라브(30)에는 대략 ㄴ 자 형상의 앵커(40)의 일측이 볼트(45)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부착되고, 상기 앵커(40)의 타측에는 볼트(50)를 이용하여 상기 커튼월유닛(10)이 부착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앵커(40)의 타측 및 상기 커튼월유닛(10)에는 상기 볼트(50)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볼트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커튼월유닛(10)을 체결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체결위치에 위치하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종래에는 커튼월유닛(10)의 좌우에 상기 끈(20)을 매단 후, 이를 이용하여 상하방향으로 조금씩 이동시키면서 커튼월유닛(10)의 정확한 위치를 조절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커튼월유닛의 자체 중량으로 인해 상하 조절이 용이하지 않고 또한 볼트 조립 작업을 하는 작업가와 상기 끈의 조작하는 작업자가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하고 있어서 작업자 간에 서로 통신을 하면서 커튼월유닛의 수평방향 내지 수직방향 위치을 정확하게 맞추는 것이 비효율적이고 작업이 복잡하여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튼월의 시공시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커튼월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또한 이러한 커튼월을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물의 슬라브에 수평방향으로 부착되는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에 수직한 수직면을 갖는 1차앵커; 상기 1차앵커의 수직면에 일측면이 부착되는 2차앵커; 상기 2차앵커의 타측면에 부착되는 커튼월유닛; 및 상기 2차앵커의 상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체결되는 레벨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레벨볼트는 정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2차앵커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설치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레벨볼트가 아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레벨볼트의 아래쪽 하단은 상기 1차앵커의 수직면 상단에 가압한다. 그리고, 상기 2차앵커의 상측에는 실내쪽을 향해서 돌출되고, 상기 레벨볼트가 장착되는 레벨볼트 장착부가 형성된다.
상기 1차앵커와 상기 슬라브를 결합시키는 1차볼트 및 상기 1차앵커와 상기 2차앵커를 결합시키는 2차볼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2차볼트는, 상기 레벨볼트를 이용하여 커튼월유닛의 위치조절을 완료한 상태에서 체결된다.
또한, 건물의 슬라브에 커튼월유닛을 설치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에 고정되는 1차앵커; 상기 커튼월유닛에 장착되는 2차앵커; 및 상기 2차앵커의 상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체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레벨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설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의해서, 커튼월 시공시 커튼월유닛의 정확한 위치확보를 위해서 상기 레벨볼트를 이용함으로 커튼월 부착을 위한 시공시간 및 작업공수를 현격히 단축할 수 있어서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유리한 효과가 발생한다.
도 1는 종래의 건축시공에서 커튼월을 설치하는 모습이며,
도 2는 도 1의 일부 모습을 상세히 보여주고 있으며,
도 3은 상기 커튼월이 설치된 모습의 수직단면을 나타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원 설치장치를 이용하여 커튼월유닛이 체결된 모습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 설치장치 중 2차앵커의 수직단면형상이며,
도 6은 도 4의 레벨볼트와 1차앵커만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커튼월 설치장치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원 설치장치를 이용하여 커튼월이 체결된 모습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 설치장치 중 2차앵커의 수직단면형상이며, 도 6은 도 4의 레벨볼트와 1차앵커만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설명의 편의상 방향을 정의하면, 이하에서 '수직방향' 내지 '상하방향'은 지면에 건축물이 세워진 경우 지면에 수직한 방향을 의미하고, '수평방향'은 지면에 평행한 방향을 의미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건물의 철재빔 등의 골조에 견고하게 연결된 슬라브(100)에 1차앵커(110)가 1차볼트(120)를 이용하여 견고히 설치된다. 상기 1차앵커(110)는 상기 슬라브(100)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는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에 수직한 수직면을 갖는다. 그리고, 전면에 유리패널 등을 가진 커튼월유닛(200)의 일면에는 2차앵커(130)가 견고히 부착된다. 상기 2차앵커(130)의 상측에는, 실내쪽을 향해서 돌출되어 레벨볼트 장착부(131)가 형성되고, 상기 레벨볼트 장착부(131)에는 레벨볼트홀(133)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레벨볼트(150)가 수직하게 장착된다. 상기 레벨볼트(150)는 레벨볼트 장착부(131)에 장착된 상태에서 길이방향 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며, 회전함에 따라 상기 2차앵커(130)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2차앵커(130)의 상측 모서리부에는 레벨볼트(150)의 체결시 상하로 선회 회동되는 커튼월유닛(200)의 하중에 의해 응력(전단 및 비틀림 등)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충격완충홈(137)이 형성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해보면, 충격완충홈(137)은 레벨볼트(150)가 체결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되, 내주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즉 충격완충홈(137)은 일측이 개구되어 레벨볼트 장착부(131)에 탄성력을 부여해주게 된다. 따라서, 커튼월유닛(200)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레벨볼트(150)의 체결시, 커튼월유닛(200)의 유동에 따라 회동되는 2차앵커(130)의 모서리부위에 응력이 집중적으로 가해지더라도 이를 사방으로 분산시켜줄 수 있게 된다. 만약, 충격완충홈(137)이 'V'자 형상 또는 곡면이 아닌 다각 형상과 같이 각이 지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그 부위에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전단응력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있다.
상기 레벨볼트(150)를 일정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레벨볼트가 아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레벨볼트(150)의 아래쪽 하단(도 6의 155)은 상기 1차앵커(110)의 수직면 상단(115)에 접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레벨볼트(150)를 같은 방향으로 계속하여 회전시키면, 상기 레벨볼트의 하단(155)이 상기 1차앵커의 상단(115)을 가압하면서 계속하여 2차앵커와의 관계에서 상대적으로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런데, 1차앵커(110)는 슬라브(100)에 견고히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지면에 대해서 상대적인 이동이 있을 수 없고, 따라서 레벨볼트가 장착된 상기 2차앵커(130)가 지면에 대한 관계에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2차앵커(130)가 상기 커튼월유닛(200)에 견고히 고정되어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커튼월유닛(200)이 지면에 대해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레벨볼트(150)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커튼월유닛을 상승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커튼월유닛이 시공에 필요한 정확한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커튼월유닛의 수평 내지 수직방향으로 장착할 위치를 정확하게 맞추는 과정을 '위치조절'이라고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튼월유닛(200)의 좌우양측에 각각 이러한 레벨볼트(150)를 배치하도록 하여, 좌측 레벨볼트를 조절하여 커튼월유닛(200) 좌측부의 상하위치를 조절하고, 우측 레벨볼트를 조절하여 커튼월유닛(200) 우측부의 상하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레벨볼트(150)를 이용하여 커튼월유닛의 위치가 정확하게 맞추어지면, 상기 1차앵커(110)의 수직면과 상기 2차앵커(130)를 2차볼트(140)(도 4 참조)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체결한다. 그리고, 상기 2차볼트(140)가 체결된 위치에서 더 이상 이동이 없도록 상기 2차볼트와 상기 1차앵커 등을 서로 용접하는 등 확실한 고정작업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2차앵커(130)의 레벨볼트 장착부(131)의 하부면에는 레벨볼트(150)를 고정시키는 너트를 수용하는 제1너트홈(138a)이 레벨볼트홀(133)과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너트홈(138a)의 하단부에는 레벨볼트(150)를 고정하는 너트를 하부에서 받쳐주는 제1돌부(139a)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레벨볼트(150)를 고정시키는 너트가 제1너트홈(138a)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2차앵커(130)의 측면에는 2차볼트(140)를 고정시키는 너트를 수용하는 제2너트홈(138b)이 2차볼트홀(135)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너트홈(138b)의 내주연에는 제2돌부(139b)가 돌출형성되어 2차볼트(140)을 고정시키는 너트가 제2너트홈(138b)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커튼월유닛의 전면에 구비되는 패널에는 유리패널이 구비될 수도 있고 석재패널이 구비될 수도 있는 등 특별한 제한이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레벨 볼트를 이용하여 건축물에 커튼월을 부착하는 시공시, 커튼월유닛의 위치를 용이하게 맞출 수 있어서 시공 시간이 단축되며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100 : 슬라브 110 : 1차앵커
120 : 1차볼트 130 : 2차앵커
131 : 레벨볼트 장착부 133 : 레벨볼트홀
135 : 2차볼트홀 140 : 2차볼트
150 : 레벨볼트 200 : 커튼월유닛

Claims (1)

  1. 건물의 슬라브(100)에 커튼월유닛(200)을 설치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100)에 수평방향으로 부착되는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에 수직한 수직면을 갖는 1차앵커(110);
    상기 1차앵커(110)의 수직면에 일측면이 부착되고, 타측면에 상기 커튼월유닛(200)이 부착되는 2차앵커(130);
    상기 2차앵커(130)의 상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체결되어 아래로 이동함에 따라, 하단이 상기 1차앵커(110)의 수직면 상단을 가압해주는 레벨볼트(150);를 포함하되,
    상기 2차앵커(130)의 상측에는 상기 레벨볼트(15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실내쪽을 향해서 돌출되는 레벨볼트 장착부(131)가 형성되고,
    상기 레벨볼트(150)는 정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2차앵커(130)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2차앵커(130)의 상측 모서리부에는, 상기 레벨볼트(150)의 체결시 상하로 선회 회동되는 커튼월유닛(200)의 하중에 의해 전단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충격완충홈(137)이 형성되되, 상기 충격완충홈(137)은 상기 레벨볼트(150)의 체결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개구되되 내주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1차앵커(110)와 상기 슬라브를 결합시키는 1차볼트(120);를 포함하고,
    상기 1차앵커(110)와 상기 2차앵커(130)를 결합시키는 2차볼트(140);를 포함하되, 상기 2차볼트(140)는 상기 레벨볼트(150)를 이용하여 커튼월유닛의 위치조절을 완료한 상태에서 체결되고,
    상기 2차앵커(130)의 상부면에는 레벨볼트(150)가 체결되도록 레벨볼트홀(133)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2차볼트(140)가 체결되도록 2차볼트홀(135)이 형성되며, 상기 레벨볼트(150) 및 2차볼트(140)는 각각 너트를 이용해 고정하고, 상기 2차앵커(130)의 레벨볼트 장착부(131)의 하부면에는 레벨볼트(150)를 고정시키는 너트를 수용하는 제1너트홈(138a)이 레벨볼트홀(133)과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너트홈(138a)의 하단부에는 레벨볼트(150)를 고정하는 너트를 하부에서 받쳐주는 제1돌부(139a)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2차앵커(130)의 측면에는 2차볼트(140)를 고정시키는 너트를 수용하는 제2너트홈(138b)이 2차볼트홀(135)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너트홈(138b)의 내주연에는 제2돌부(139b)가 돌출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커튼월 설치장치.
KR1020140054044A 2014-05-07 2014-05-07 레벨볼트를 구비한 커튼월 설치장치 KR101588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044A KR101588117B1 (ko) 2014-05-07 2014-05-07 레벨볼트를 구비한 커튼월 설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044A KR101588117B1 (ko) 2014-05-07 2014-05-07 레벨볼트를 구비한 커튼월 설치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9568A Division KR20110120062A (ko) 2010-04-28 2010-04-28 레벨볼트를 구비한 커튼월 설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143A KR20140066143A (ko) 2014-05-30
KR101588117B1 true KR101588117B1 (ko) 2016-01-25

Family

ID=50892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4044A KR101588117B1 (ko) 2014-05-07 2014-05-07 레벨볼트를 구비한 커튼월 설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81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822B1 (ko) 2019-03-29 2019-09-25 최돈우 커튼월 유닛 및 그의 설치구조
KR102144434B1 (ko) 2019-10-11 2020-08-13 조한영 커튼월 설치용 가시설장치 및 커튼월 설치용 가시설장치의 설치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017Y1 (ko) * 2003-08-29 2003-12-01 조은엔지니어링(주) 도로용 가드레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0035A (ja) * 1998-03-24 1999-10-05 Nippon Kentetsu Co Ltd カ−テンウォ−ルの取付構造
KR20030085837A (ko) * 2002-05-02 2003-11-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배기계통 행거러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017Y1 (ko) * 2003-08-29 2003-12-01 조은엔지니어링(주) 도로용 가드레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822B1 (ko) 2019-03-29 2019-09-25 최돈우 커튼월 유닛 및 그의 설치구조
KR102144434B1 (ko) 2019-10-11 2020-08-13 조한영 커튼월 설치용 가시설장치 및 커튼월 설치용 가시설장치의 설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143A (ko) 201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4339B1 (ko) 커튼월 고정용 가변형 화스너
KR101088417B1 (ko) 내,외장패널 구조보강용 지지 바
KR101573060B1 (ko) 건물의 개구부 내진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공법
KR101172650B1 (ko) 편심하중 방지용 유해드잭
KR101588117B1 (ko) 레벨볼트를 구비한 커튼월 설치장치
KR102457474B1 (ko) 슬래브 거푸집 지지장치
KR101794530B1 (ko) 건물외벽의 패널 시공구조 및 패널 시공방법
KR101643291B1 (ko) 개방벽체 차폐장치
KR101721522B1 (ko) 가변 앵커
KR101302552B1 (ko) 외장패널 고정 브래킷
JP4190390B2 (ja) 建物躯体へのパネル部材の取付構造
JP5596338B2 (ja) 木造建築物の補強金具及び木造建築物の補強方法
JP2019011646A (ja) 外壁パネルの作製方法および開口設備地組架台
KR101884572B1 (ko) 조립식 건축물의 기초 외벽용 토대
JP2006249799A (ja) 木造建築物用耐震補強部材
JP6332355B2 (ja) 腕木の軒梁への取付構造及び腕木の軒梁への取付金具
CN105401707A (zh) 大规格饰面展示铝板墙安装系统及其施工方法
JP7393118B2 (ja) スタータ部材、外壁および外壁の施工方法
JP7282569B2 (ja) 建物の施工方法
JP6239883B2 (ja) 外壁構造
CN216810524U (zh) 绿色型石材幕墙转角连接结构
KR102448357B1 (ko) 외부 부착형 pc 벽패널을 이용한 내진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10120062A (ko) 레벨볼트를 구비한 커튼월 설치장치
JP5520745B2 (ja) 締結具
JP5095424B2 (ja) 壁パネル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