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3291B1 - 개방벽체 차폐장치 - Google Patents

개방벽체 차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3291B1
KR101643291B1 KR1020150116961A KR20150116961A KR101643291B1 KR 101643291 B1 KR101643291 B1 KR 101643291B1 KR 1020150116961 A KR1020150116961 A KR 1020150116961A KR 20150116961 A KR20150116961 A KR 20150116961A KR 101643291 B1 KR101643291 B1 KR 101643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ing
frame
fixing
horizontal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6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수
Original Assignee
이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수 filed Critical 이경수
Priority to KR1020150116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2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4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for temporarily closing door or window op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갱폼을 통해 창호가 시공되는 개방벽체를 차폐하는 차폐장치로서, 상기 갱폼의 가로 프레임과 직교하게 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어, 창호 형성을 위한 개방 벽체를 차폐시키는 차폐부; 및 상기 고정부와 상기 차폐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차폐부의 상/하 수직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길이 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가로 프레임과 크로스 프레임을 통해 직교하게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차폐부가 상기 개방벽체에 밀착되도록 하는 가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벽체 차폐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창호를 위한 개방벽체가 차폐장치에 의해 밀착 고정 설치되어, 실내외 환경이 분리 구획되도록 하여 개방벽체로 인한 안전사고는 물론 소음 및 분진 발생의 최소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방벽체 차폐장치{Open wall shielding device}
본 발명은 개방벽체 차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갱폼의 가로 프레임을 통해 설치되어, 개방벽체 즉, 창호가 설치되는 영역을 차폐하여, 소음 및 분진 등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개방벽체 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심에서 신축 건축물을 건설할 때, 안전은 물론 주민 피해의 최소화가 매우 중요한 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주민 피해의 최소화와 관련되어 소음, 진동과 분진 등을 최소화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더구나, 소음진동관리법에 의해 도시 내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65dB 이상의 소음으로 인하여 민원이 발생하게 되면 공사가 중단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안전은 물론, 주민 피해의 최소화를 위한 방안으로서, 종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37520호 갱폼용 방음벽(배경기술 1)이 출원된 바 있다.
배경기술 1은 스틸폼(3)에 다수개의 수평바대(5)가 일정 간격으로 장착되고, 상기 수평바대(5)에 수직바대(7)가 결합 고정되고, 상기 수직바대(7)에 장착된 수평지지대(9)와 수직 지지대(11)에 의해 작업발판(13)이 장착된 갱폼에 있어서, 수직 지지대(11)에 장착된 브라켓(15)에 방음판(20)들이 장착되어, 상기 방음판(20)들이 갱폼(G)의 외측 둘레를 커버함으로써, 철근 배근, 콘크리트 타설, 미장 마감 작업 등 공사중 발생하는 소음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발명의 요지로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외부 골조 공사시 발생하는 소음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진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작업발판에서 공구 등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갱폼이 고층에 설치되었을 때, 강한 바람에 의해 방음판이 떨어져 나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 및 효과로 하고 있습니다.
종래의 다른 특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24751호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배경기술 2)가 등록된 바 있다.
배경기술 2는 외벽(200)의 외측에 설치되는 갱폼(300)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한 쌍으로 고정구비된 복수개의 종바(310)에 일단이 고정 연결되어 구비됨에 따른 작업자가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를 구성함에 있어서, 외벽(200) 외측에 설치되는 갱폼(300)의 외측으로부터 일단이 고정 연결됨에 따른 소정거리 이격 설치되어 작업자가 작업가능하도록 상,하부 발판설치용 지지대(111,121)와 상,하부세로지지대(112,122)가 각각 구비되는 상,하부 작업대 프레임(110,120)로 구성된 작업대 프레임부(130)와; 상기 작업대 프레임부(130)의 상,하부세로지지대(112,122) 사이를 적층시켜 막음시키도록 연결체를 매개로 고정가능하게 위해 구비되는 판넬부(140)와; 상기 작업대 프레임부(130)의 하부 작업대 프레임(122) 하부에 낙하물방지를 위해 상기 판넬부(140)가 설치가능 하도록 횡방향 고정 구비되는 낙하물방지용바(150)를 포함하여, 외벽 외측에 설치되는 갱폼의 외측 전체를 소정거리 이격시켜 막음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발명의 요지로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외벽의 외측에 설치되는 갱폼에 소정 거리 이격 설치되어 작업자가 작업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케이지를 갱폼의 외측 전체를 소정 거리 이격시켜 막음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추위 및 더위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함과 아울러 낙하물 방지망과 비닐막을 배제함으로 인한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 및 효과로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신축 건축물을 건설할 때, 갱폼의 외측을 폐쇄하여 낙하물로부터 작업자는 물론, 인근 주택 및 보행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현장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분진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기술이 배경기술들과 같이 등록 및 공개된 바 있으나, 이러한 기술로는 부족하며, 안전과 소음피해를 더욱 더 줄이기 위한 연구 개발이 요망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3752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24751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창호를 위한 개방벽체가 차폐장치에 의해 밀착 고정 설치되어, 실내외 환경이 분리 구획되도록 하여 개방벽체로 인한 안전사고는 물론 소음 및 분진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개방벽체 차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폐장치가 가로 프레임을 통해 설치되므로, 개방벽체 위치에 따라 차폐장치의 좌/우 이동이 용이하고, 특히, 패널 테두리에 기밀부재가 더 설치되어, 개방벽체의 차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방벽체 차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부와 차폐부 사이에 길이 조절수단이 더 마련되어, 개방벽체 위치에 따라 차폐장치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차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방벽체 차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부에 차폐부를 개방 벽체에 밀착 시키는 가압부가 설치되어, 개방벽체의 차폐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개방벽체 차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갱폼을 통해 창호가 시공되는 개방벽체를 차폐하는 차폐장치로서, 상기 갱폼의 가로 프레임과 직교하게 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어, 창호 형성을 위한 개방 벽체를 차폐시키는 차폐부; 및 상기 고정부와 상기 차폐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차폐부의 상/하 수직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길이 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가로 프레임과 크로스 프레임을 통해 직교하게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차폐부가 상기 개방벽체에 밀착되도록 하는 가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벽체 차폐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크로스 브래킷은, 상기 가로 프레임의 적어도 2면을 감싸고, 상기 차폐부가 체결되는 수평 고정부; 및 상기 가압부가 설치된 수직의 지지 프레임이 결합되고, 상기 수평 고정부와 일체 또는 체결 수단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수직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 고정부는, 상기 가로 프레임의 적어도 2면을 감싸고,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가로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수평 체결부; 및 상기 수평 체결부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차폐부가 결합되도록 체결공이 마련된 차폐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 고정부는, 상기 수평 고정부 어느 일면과 직교하게 돌출 형성되거나, 직교하게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지지 프레임 폭에 대응하는 간격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1 지지부와 대칭의 형태로 존재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양쪽 측면을 각각 지지하며,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지지 프레임이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폐부는, 상/하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천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벽체를 감싸는 패널; 및 상기 천공부를 통해 상기 패널에 설치되어, 상기 길이 조절수단을 통해 상기 크로스 브래킷과 결합되는 체결로드; 상기 패널 테두리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기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폐부는, 상기 패널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패널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 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체결로드를 통해 상기 패널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된 보강 브래킷을 통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가압 브래킷; 및 상기 가압 브래킷에 설치되어, 상기 패널을 직접 가압하거나, 또는 상기 보강 프레임 및 보강 브래킷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가압하는 가압 스크루;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폐장치는, 상기 고정부와 차폐부를 결합시켜 상기 차폐부의 유동을 제한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가압 브래킷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가압 연장부; 상기 보강 브래킷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보강 연장부; 및 상기 가압 연장부와 보강 연장부를 관통하고, 상기 보강 연장부 일면에 설치된 고정나사와 스크루 결합하는 고정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창호를 위한 개방벽체가 차폐장치에 의해 밀착 고정 설치되어, 실내외 환경이 분리 구획되도록 하여 개방벽체로 인한 안전사고는 물론 소음 및 분진 발생의 최소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폐장치가 가로 프레임을 통해 설치되므로, 개방벽체 위치에 따라 차폐장치의 좌/우 이동이 용이하고, 특히, 패널 테두리에 기밀부재가 더 설치되어, 차폐 성능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부와 차폐부 사이에 길이 조절수단이 더 마련되어, 개방벽체 위치에 따라 차폐장치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고, 또한, 고정부에 차폐부를 개방 벽체에 밀착 시키는 가압부가 설치되어, 차폐 성능과 기밀의 상승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 브래킷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패널의 평면 일부를 나타낸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로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수단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수단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이고,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되는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설치상태도이고, 도 2는 차폐장치의 분리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장치(100)는 건설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와 소음 및 분진 발생이 최소화 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창호 시공을 위한 개방벽체(미도시)를 차폐시켜 실내외 환경이 분리 구획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차폐장치(100)는 갱폼(10)을 통해 설치되며, 특히 갱폼(10)을 이루는 가로 프레임(30) 또는 세로 프레임(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으나, 그 중 가로 프레임(3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가로 프레임(30)은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즉, 개방벽체 위치에 따라 차폐장치(100)에 대해 적어도 좌/우 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차폐장치(100)가 세로 프레임(20)에 설치된다면, 도시하지 않았으나, 좌/우 이동이 제한되는 것은 자명한 일이며, 따라서 설치가 제한적이고, 특히, 상/하 개방벽체의 위치가 어긋날 경우, 재설치가 요구될 수 있으며, 이는 작업의 효율저하는 물론, 공기가 연장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의 장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유동성이 양호한 가로 프레임(30)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차폐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프레임(30)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110)와, 고정부(110)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개방벽체를 차폐시키는 차폐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부(110)는 차폐부(130)와 갱폼 사이 설치 매개체로서 존재하는 것이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과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도이고, 도 4는 크로스 브래킷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10)는 가로 프레임(30)에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크로스 브래킷(111)과 상기 크로스 브래킷(111)을 통해 상기 가로 프레임(30)과 직교하게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크로스 브래킷(111)은 가로 프레임(30)의 적어도 2면을 감싸고, 차폐부(130)가 체결되는 수평 고정부(113)와, 지지 프레임(120)이 결합되고, 수평 고정부(113)와 일체 또는 체결 수단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수직 고정부(1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평 고정부(113)는 외부로 노출된 가로 프레임(30)의 평면, 정면 및 저면 중 적어도 2면을 감싸고, 체결수단(150)을 통해 가로 프레임(30)에 고정 설치되는 수평 체결부(114) 및 수평 체결부(114)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차폐부(130)가 결합되도록 체결공(116)이 마련된 차폐 체결부(1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평 체결부(114)는 도시된 바와 같이 "ㄷ"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로 프레임(30) 적어도 2면과 밀착되어 체결수단(150)을 통해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체결수단(150)은 통상의 체결체로서, 볼트와 너트 또는 볼트, 나사 등과 같은 결합구조를 통칭하는 것이며,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차폐 체결부(11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체결부(114)의 밑면 단부로부터 직교하게 연장 형성된 판재로서, 길이방향 양단 사이 적어도 어느 일단부에 차폐부(130)가 결합되도록 체결공(116)이 형성된다.
수직 고정부(117)는 수평 고정부(113) 어느 일면과 직교하게 돌출 형성되거나, 직교하게 설치되어 지지 프레임(120)의 일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118), 제1 지지부(118)와 지지 프레임(120) 폭에 대응하는 간격만큼 이격되고 제1 지지부(118)와 대칭의 형태로 존재하는 제2 지지부(1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지지부(118)와 제2 지지부(119)는 지지 프레임(120)의 양쪽 측면을 각각 지지하며, 체결수단(150)을 통해 지지 프레임(120)이 제1 지지부(118)와 제2 지지부(119)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지지 프레임(120)은 파이프 형태를 이루며,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지지 프레임(1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이 가로 프레임(30)은 물론, 가로 프레임(30)과 나란한 또 다른 가로 프레임 즉, 상부 가로 프레임(50)과 동일하거나, 보다 높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고정부(110)의 유동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만약, 가로 프레임(30)만을 지지할 경우, 가로 프레임(30)을 중심으로 유동이 발생할 수가 있다. 따라서 지지 프레임(120)의 높이를 적어도 상부 가로 프레임(50) 높이에 대응하도록 하여 지지면적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지지 프레임(120)의 폭은 세로 프레임(20)과 동일한 폭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세로 프레임(20)을 보강하기 위해, 세로 프레임(20) 외곽에 설치되는 웰라 파이프(40)에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지지 프레임(120)은 일면이 가로 프레임(30)과 상부 가로 프레임(50)에 지지되고, 타면은 웰라 파이프(40)에 지지되므로 고정부의 유동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설치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지지 프레임(120)는 크로스 브래킷(111)을 통해 가로 프레임(30)에 고정 설치되며, 길이방향 일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121)가 설치된다.
가압부(121)는 도 12와 13과 같이 차폐부(130)를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하며, 이하, 도 5 내지 9를 참조하여 차폐부(130)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부(130)는 크로스 브래킷(111)을 통해 가로 프레임(30)에 직접 설치되거나, 길이 조절수단(147)을 통해 설치된다.
여기서, 길이 조절수단(147)은 도 10과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부(13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차폐부(130)는 개방벽체를 감싸는 패널(131), 패널(131)을 길이 조절수단(147)에 설치되도록 하는 체결로드(1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패널(13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flat)한 판재이며, 개방벽체에 대응하거나, 소정 큰 면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외측 테두리에 개방벽체와의 기밀 유지를 위한 기밀부재(137)가 결합된다. 여기서, 기밀부재(137)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서, 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패널(131)은 소음 및 분진의 차폐 능력뿐만 아니라, 경량화는 물론 강도 및 채광이 양호해야 하며, 상기 조건은 패널(131)을 이루는 소재와 구조를 통해 만족시킬 수 있다.
즉, 패널(131)의 소재를 적어도 합성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 폴리카카보네이트(polycarbonate)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일종으로, 내충격성, 내열성, 내후성, 자기 소화성, 투명성 등의 특징이 있으며, 강화 유리의 약 150배 이상의 충격도를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유연성과 가공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또한, 구조적으로 패널(131)은 도 7과 같이 경량화는 물론, 강도 보강을 위해 일정 간격을 두고 천공부(133)와 격벽(135)이 교번하게 형성된 구조적 특징을 갖는다.
이때, 패널(131)에서 천공부와 격벽은 도 7a 또는 7b와 같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패널(131)로 가해지는 충격 강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이때, 충격 강도는 격벽(135)이 더 마련된 도 7b의 구조가 높으며, 따라서, 충격 강도가 클 경우, 도 7a의 구조보다 도 7b의 구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로드(143)는 패널(131)과 길이 조절수단(147) 사이를 결합시키는 매개체로서, 패널(131)의 천공부(133)를 통해 설치된다.
이러한, 체결로드(143)는 천공부(133)를 통해 패널(131)에 내설되는 나선부(145)와 패널(131) 상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헤드부(1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나선부(145)는 패널(131)에 내설되고, 단부에는 패널(131)의 이탈을 방지와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체결수단(150)이 결합된다.
헤드부(144)는 체결수단(150)을 통해 길이 조절수단(147)과 결합되도록 결합공(146)이 형성되며, 이때, 헤드부(144)는 천공부(133)보다 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헤드부(144)가 천공부(133)를 통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한편, 차폐부(1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131)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되어, 패널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 프레임(139)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보강 프레임(139)은 체결로드(143)를 통해 패널(131)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된 보강 브래킷(141)을 통해 설치되며, 이때, 보강 프레임(139)은 금속의 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의 파이프 형태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며, 이때, 보강 프레임(139)은 체결수단(150)을 통해 보강 브래킷(141)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길이 조절수단(147)은 차폐부(130)의 상/하 이동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도 10과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수단(147)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도이고, 도 11은 길이 조절수단(147)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조절수단(147)은 체결수단(150)을 통해 일단은 체결로드(143)와 결합되고, 타단은 체결공(116)을 통해 결합된다.
이러한 길이 조절수단(147)은 설치 후에도 선택적 길이 조절이 가능한 턴버클(turnbuckle)인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개방벽체 위치에 따라 차폐부(13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다. 여기서, 턴버클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운동을 상/하 운동으로 전환되는 통상의 구조물인 것이며,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차폐부(130)를 개방벽체와 밀착 고정하는 가압부(121)에 대해서는 도 12와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가압부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121)는 지지 프레임(120)에 설치되어 차폐부(130)를 개방벽체에 밀착 고정시켜 차폐성능을 향상은 물론, 낙상 및 낙하 등에 의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것이다.
이러한 가압부(121)는 지지 프레임(120)의 길이방향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가압 브래킷(123), 가압 브래킷(123)에 설치되어, 패널(131)을 직접 가압하거나, 보강 프레임(139) 및 보강 브래킷(141) 중 어느 하나를 가압하는 가압 스크루(1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압 브래킷(123)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브래킷(14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가압 시, 패널(131)이 가압 스크루(125)에 의해 훼손되는 것을 방지히기 위한 것이다.
가압 스크루(125)는 가압 브래킷(123)을 관통하여 보강 브래킷(141)을 개방벽체로 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밀착과 해제는 스크루 결합과 해제의 원리인 것이다. 즉, 가압 스크루(125)가 관통하는 가압 브래킷(123)에 나사산으로 형성되거나, 너트가 더 설치되어 가압 스크루(125)를 회전 시키면 차폐부(130)를 가압하여 개방벽체로 밀착시키거나, 개방벽체로부터 차폐부를 이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가압부(121)와 나란하게 설치되어 도 14와 같이 고정부(110)와 차폐부(130)를 연결시켜 차폐부(130)의 유동을 제한하기 위한 고정수단(160)이 설치되는데 이는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단(160)은 가압 브래킷(123)의 단부가 연장 형성된 가압 연장부(124)와 보강 브래킷(141)의 일측 단부가 연장 형성된 보강 연장부(142)를 통해 설치된다.
이러한 고정수단(160)은 가압 연장부(124)와 보강 연장부(142)를 관통하고, 보강 연장부(142) 일면에 설치된 고정나사(163)와 스크루 결합되는 고정핸들(16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별도의 연장 없이도 고정핸들(161)이 고정나사(163)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나비볼트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고정핸들(161)의 회전만으로 차폐부(130)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어 차폐부(130)의 위치이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고정핸들(161)의 운용으로 차폐부(130)가 개방벽체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점도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갱폼 20 : 세로 프레임
30 : 가로 프레임 40 : 웰라파이프
50 : 상부 가로 프레임 100 : 차폐장치
110 : 고정부 111 : 크로스 브래킷
113 : 수평 고정부 114 : 수평 체결부
115 : 차폐 체결부 116 : 차폐 체결공
117 : 수직 고정부 118 : 제1지지부
119 : 제2지지부 120 : 지지 프레임
121 : 가압부 123 : 가압 브래킷
124 : 가압 연장부 125 : 가압 스크루
130 : 차폐부 131 : 패널
133 : 천공부 135 : 격벽
137 : 기밀부재 139 : 보강 프레임
141 : 보강 브래킷 142 : 보강 연장부
143 : 체결로드 144 : 헤드부
145 : 나선부 146 : 결합공
147 : 길이조절수단 150 : 체결수단
160 : 고정수단 161 : 고정핸들
163 : 고정나사

Claims (10)

  1. 갱폼을 통해 창호가 시공되는 개방벽체를 차폐하는 차폐장치로서,
    상기 갱폼의 가로 프레임과 직교하게 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어, 창호 형성을 위한 개방 벽체를 차폐시키는 차폐부; 및 상기 고정부와 상기 차폐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차폐부의 상/하 수직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길이 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가로 프레임과 크로스 브래킷을 통해 직교하게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차폐부가 상기 개방벽체에 밀착되도록 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크로스 브래킷은, 상기 가로 프레임의 적어도 2면을 감싸고, 상기 차폐부가 체결되는 수평 고정부; 및 상기 가압부가 설치된 수직의 지지 프레임이 결합되고, 상기 수평 고정부와 일체 또는 체결 수단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수직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고정부는, 상기 수평 고정부 어느 일면과 직교하게 돌출 형성되거나, 직교하게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지지 프레임 폭에 대응하는 간격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1 지지부와 대칭의 형태로 존재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양쪽 측면을 각각 지지하며,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지지 프레임이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벽체 차폐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고정부는,
    상기 가로 프레임의 적어도 2면을 감싸고,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가로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수평 체결부; 및
    상기 수평 체결부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차폐부가 결합되도록 체결공이 마련된 차폐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벽체 차폐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하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천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벽체를 감싸는 패널;
    상기 천공부를 통해 상기 패널에 설치되어, 상기 길이 조절수단을 통해 상기 크로스 브래킷과 결합되는 체결로드; 및
    상기 패널 테두리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기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벽체 차폐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패널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패널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 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벽체 차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체결로드를 통해 상기 패널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된 보강 브래킷을 통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벽체 차폐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길이방향 일 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가압 브래킷; 및
    상기 가압 브래킷에 설치되어, 상기 패널을 직접 가압하거나, 또는 상기 보강 프레임 및 보강 브래킷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가압하는 가압 스크루;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벽체 차폐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장치는,
    상기 고정부와 차폐부를 결합시켜 상기 차폐부의 유동을 제한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벽체 차폐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가압 브래킷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가압 연장부;
    상기 보강 브래킷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보강 연장부; 및
    상기 가압 연장부와 보강 연장부를 관통하고, 상기 보강 연장부 일면에 설치된 고정나사와 스크루 결합하는 고정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벽체 차폐장치.

KR1020150116961A 2015-08-19 2015-08-19 개방벽체 차폐장치 KR101643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961A KR101643291B1 (ko) 2015-08-19 2015-08-19 개방벽체 차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961A KR101643291B1 (ko) 2015-08-19 2015-08-19 개방벽체 차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3291B1 true KR101643291B1 (ko) 2016-07-28

Family

ID=56681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6961A KR101643291B1 (ko) 2015-08-19 2015-08-19 개방벽체 차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2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921B1 (ko) * 2019-09-17 2021-02-16 박상우 갱폼용 방음블럭 시스템
KR20220046287A (ko) * 2020-10-07 2022-04-14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소음방지패널
KR20230001910U (ko) * 2022-03-25 2023-10-05 주식회사 신일엔지니어링 건축물 개방부 차폐 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751B1 (ko) 2008-01-14 2008-04-23 이정학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
KR20090037520A (ko) 2007-10-12 2009-04-16 김성업 갱폼용 방음벽
KR200444703Y1 (ko) * 2007-08-08 2009-05-29 이우춘 차음 펜스용 브래킷
KR100966049B1 (ko) * 2010-01-26 2010-06-28 김용훈 조립식 발코니
KR101386054B1 (ko) * 2013-04-17 2014-04-16 김중영 건축 공사용 거푸집 차폐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4703Y1 (ko) * 2007-08-08 2009-05-29 이우춘 차음 펜스용 브래킷
KR20090037520A (ko) 2007-10-12 2009-04-16 김성업 갱폼용 방음벽
KR100824751B1 (ko) 2008-01-14 2008-04-23 이정학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
KR100966049B1 (ko) * 2010-01-26 2010-06-28 김용훈 조립식 발코니
KR101386054B1 (ko) * 2013-04-17 2014-04-16 김중영 건축 공사용 거푸집 차폐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921B1 (ko) * 2019-09-17 2021-02-16 박상우 갱폼용 방음블럭 시스템
KR20220046287A (ko) * 2020-10-07 2022-04-14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소음방지패널
KR102430549B1 (ko) * 2020-10-07 2022-08-09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소음방지패널
KR20230001910U (ko) * 2022-03-25 2023-10-05 주식회사 신일엔지니어링 건축물 개방부 차폐 구조
KR200497827Y1 (ko) * 2022-03-25 2024-03-07 주식회사 신일엔지니어링 건축물 개방부 차폐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9596Y1 (ko) 건축용 갱폼의 개방부 차폐장치
KR101386054B1 (ko) 건축 공사용 거푸집 차폐 장치
KR101643291B1 (ko) 개방벽체 차폐장치
KR101475028B1 (ko) 패널 후방교체형 방음벽
KR101369468B1 (ko) 건축용 무용접 방식 내진 트러스의 유니트브라켓과 코너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무용접 방식 내진패널 시공방법
JP2016191280A (ja) 開口部の防水装置
EP3443181A1 (en) Anti-fall safety structure for formwork with load-bearing panels for floor slabs
KR200485750Y1 (ko)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및 분진 차단용 패널장치
JP2004263462A (ja) 開閉装置の取付方法および開閉装置構造
JP2016094788A (ja) 外壁の外壁パネル・柱割付け構造および割付け施工方法
KR101794530B1 (ko) 건물외벽의 패널 시공구조 및 패널 시공방법
JP6271399B2 (ja) 外壁パネルの取付け構造
KR20190142913A (ko) 작업대 지지 장치
KR101331408B1 (ko) 구조물 보수 및 해체용 이동식 막이벽
KR102215921B1 (ko) 갱폼용 방음블럭 시스템
JP2006022509A (ja) カーテンウォール、およびその取付方法
KR20130065941A (ko) 아치형 시스템 비계 및 시공방법
KR101588117B1 (ko) 레벨볼트를 구비한 커튼월 설치장치
JP3178783U (ja) ハツリ工事用防護装置
JP5892322B2 (ja) 壁面への建具枠の設置構造
KR101679305B1 (ko) 시공 벽체의 개방영역 자동 차폐장치
KR20200130936A (ko) 크린룸용 천정 설치시스템
KR101471593B1 (ko)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
CN220909204U (zh) 临边砌筑施工防护装置
KR200497827Y1 (ko) 건축물 개방부 차폐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