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5921B1 - 갱폼용 방음블럭 시스템 - Google Patents

갱폼용 방음블럭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5921B1
KR102215921B1 KR1020190113886A KR20190113886A KR102215921B1 KR 102215921 B1 KR102215921 B1 KR 102215921B1 KR 1020190113886 A KR1020190113886 A KR 1020190113886A KR 20190113886 A KR20190113886 A KR 20190113886A KR 102215921 B1 KR102215921 B1 KR 102215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proof
assembly
fastening
sound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우
Original Assignee
박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우 filed Critical 박상우
Priority to KR1020190113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59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4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for temporarily closing door or window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23Tray or frame type panels or block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57Solid slabs or blocks
    • E04B2001/8476Solid slabs or blocks with acoustical cavitie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 E04B2001/848Solid slabs or blocks with acoustical cavitie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the cavities opening onto the face of the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갱폼용 방음블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갱폼용 방음블럭 시스템은 상호 교차하여 설치된 다수의 수평보강재 및 수직보강재를 구비한 갱폼에서, 수직보강재의 하측에 배치되어 건축물의 개구부를 차폐하기 위해, 수평으로 길게 배치되어 서로 상하로 끼움결합된 다수의 차음채광부재 및 흡음부재와, 차음채광부재 및 흡음부재를 가로질러 체결된 수직체결프레임을 구비한 제1방음어셈블리;와, 수직보강재의 하단에 고정되어 제1방음어셈블리에 체결된 최하단수평재;를 포함함으로써, 제작, 조립 및 설치가 편리하고, 방음은 물론 실내의 채광성이 확보될 수 있다.

Description

갱폼용 방음블럭 시스템{Soundproof block system for gang form}
본 발명은 갱폼에 장착되어 건축물의 개구부를 차폐 및 방음하는 방음블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 외벽 시공시 개구부를 차폐하도록 설치된 차폐판을 통해 소음과 분진의 유출이 방지됨은 물론 투명재질로 제작되어 채광성이 향상되고,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한 갱폼용 방음블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빌딩 또는 상가 등과 같은 건축물은 외벽이 대부분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시공이 이루어지고, 이때 건축물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대형 철제로 이루어진 외벽 거푸집 즉, 갱폼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갱폼은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동안 정해진 형상과 치수를 유지시키는 역할 및 콘크리트가 굳기 전까지 수분의 누출을 방지하면서 외부 환경으로부터 외벽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건축물에는 다양한 크기의 창(winFow)을 형성하기 위해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이러한 개구부를 통해 콘크리트 양생 완료 후 내부에 설치된 내부 거푸집(유로폼, 알루미늄폼 등)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소음과 분진 등이 외부로 그대로 방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건축물의 천장부에 설치된 중량의 거푸집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낙하하는 거푸집의 바닥면 충돌에 기인한 소음과 분진은 주변 거주민들에게 상당한 양의 소음과 분진 피해를 주어 각종 민원의 주원인이 됨에 따라 건축 공사 현장에서의 소음 진동 및 비산 먼지방지 등과 같은 관련된 법적 규제가 점차 강화되고 있다.
이에 건축물을 시공할 때 개방된 상태로 존치되는 건축물의 개방부를 차폐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소음과 분진 등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646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6054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4798호 등을 포함하여 다수의 선행문헌에서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선행문헌들에서 제안된 차폐판은 갱폼 내에 존재하는 개방부, 혹은 갱폼의 수직보(세로보)에 고정되어 건축물의 외벽 시공시 건축물의 개구부를 차폐하여 소음과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거푸집 해체 후에는 갱폼과 함께 인양된다.
그러나 개구부를 차단함으로써, 작업 중인 어두운 실내에 대한 채광성이 없거나 극히 낮고, 여름철 외부와 차단된 실내에서의 온도 상승 등의 악조건으로 인해 작업성이 현저히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2672호(2015.10.29.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612307호(2018.06.20.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72979호(2015.11.30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60606(2017.06.01 공개)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음채광부재와 흡음부재가 번갈아 결합된 투명재질의 제1방음어셈블리가 제작되고, 이 제1방음어셈블리가 탄성을 갖는 체결브라켓에 의해 갱폼에 장착되어 개구부를 차폐함으로써, 제작의 편리성이 향상되고, 방음과 더불어 작업중인 실내의 채광성이 충분히 확보되도록 한 갱폼용 방음블럭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구부의 일부위를 차폐하도록 고정된 제1어셈블리에 대해 슬라이딩 수단을 매개로 제2방음어셈블리가 슬라이딩되어 개구부의 나머지 부위를 개폐하도록 장착됨으로써, 개구부의 일부 개방으로 통풍이 허용되어 작업중인 실내의 온도가 낮아지면서 작업자의 작업 능률이 향상되도록 한 갱폼용 방음블럭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갱폼용 방음블럭 시스템은 상호 교차하여 설치된 다수의 수평보강재 및 수직보강재를 구비한 갱폼에서, 수직보강재의 하측에 배치되어 건축물의 개구부를 차폐하기 위해, 수평으로 길게 배치되어 서로 상하로 끼움결합된 다수의 차음채광부재 및 흡음부재와, 차음채광부재 및 흡음부재를 가로질러 체결된 수직체결프레임을 구비한 제1방음어셈블리;와, 수직보강재의 하단에 고정되어 제1방음어셈블리에 체결된 최하단수평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음채광부재는 일정 높이, 폭 및 길이를 가지고, 측면상 중공으로 가공되면서 높이 방향으로 1개 또는 2개 이상의 공간과 격벽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흡음부재는 방음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갖도록 측면이 'ㄷ'자 형상이고 두께에 대해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공간이 가공되어 제작된 수용체와, 수용체의 개방된 전면을 폐쇄하도록 조립되는 덮개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덮개는 흡음을 위해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된 흡음홀을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차음채광부재(210) 및 흡음부재(220)는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외향으로 굴절된 상부체결부(240)와, 하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내향으로 굴절된 하부체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차음채광부재 및 흡음부재는 상부체결부와 하부체결부의 슬라이딩 끼움 조립으로 상하로 적층되어 상호 조립될 수 있다.
한편, 제1방음어셈블리는 최하단수평재의 상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설치되어 수직보강재에 체결된 상부블럭과, 최하단수평재의 하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설치되면서 수직체결프레임이 체결된 하부블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상부블럭과 하부블럭 사이에 최하단수평재를 위치시켜 체결되는 결합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수단은 상부블럭의 최하위에 배치된 차음채광부재의 공간과 하부블럭의 최상위에 배치된 차음채광부재의 공간를 각각 관통하여 배치되면서 최하단수평재가 개재되도록 설치된 1쌍의 수평체결프레임과, 상부블럭 및 하부블럭의 양끝보다 돌출된 수평체결프레임들의 단측 부위와 최하단수평재의 단축 부위를 관통하여 체결된 고정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결합수단은 일례로, 상부블럭의 하면 및 최하단수평재의 상면과, 하부블럭의 상면 및 최하단수평재의 하면이 맞닿은 부위에 생긴 틈을 메우고, 고정부재가 설치된 부위에서 수평체결프레임들과 최하단수평재들 사이의 틈을 메우는 씰링부재를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결합수단은 다른 예로, 최하단수평재에 옆으로 끼워져 파지하는 'ㄷ'자 형상의 제1파지부와, 제1파지부로부터 연장되어 하부블럭의 상부체결부에 끼워지는 평평한 형상의 삽입부를 구비하는 제1결합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결합수단은 또 다른 예로, 최하단수평재에 옆으로 끼워져 파지하는 'ㄷ'자 형상의 제2파지부, 제2파지부의 상면에 돌출 성형되어 상부블럭의 하부체결부와 체결되는 상부삽입부와, 제2파지부의 하면에 돌출 성형되어 하부블럭의 상부체결부와 체결되는 하부삽입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수직보강재 또는 수직체결프레임에 제1방음어셈블리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체결수단은 일례로, 제1체결판과 탄성편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체결판은 수직보강재 또는 수직체결프레임에 체결되는 제1수직면, 제1수직면의 일부위가 수직체결프레임의 반대측으로 굴절된 수평면과, 수평면의 일부위가 하향 굴절되어 제1방음어셈블리의 변두리를 가압하는 제2수직면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탄성편은 탄성 재질이고, 일부위가 제1수직면 또는 제2수직면에 고정되고, 나머지 부위가 경사질 수 있다.
그리고 제1수직면과 탄성편의 중첩된 부위를 관통하여 관통홀이 가공되 수 있다.
또한, 체결수단은 다른 예로, 제2체결판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2체결판은 수직보강재 또는 수직체결프레임에 체결되는 제1수직면, 제1방음어셈블리의 하면에 접촉하도록 굴절된 수평면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1방음어셈블리를 건축물 외벽에 밀착시키기 위해, 하부작업대의 수직샤프트에 내장되거나 측면에 고정된 가압너트, 이 가압너트에 체결되어 전후진하는 가압볼트를 구비하고, 전진하는 가압볼트가 밀면 수직체결프레임을 가압하도록 배치된 가압부재를 선택적으로 구비하는 가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가 성형된 벽체의 외면에 제1방음어셈블리가 밀착된 구조에서 벽체의 외면과 제1방음어셈블리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도록 부착된 방음재질의 씰링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갱폼용 방음블럭 시스템은 제1방음어셈블리에 성형된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제2방음어셈블리;와 제2방음어셈블리가 미닫이 방식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제1방음어셈블리와 제2방음어셈블리 사이에 장착된 제1슬라이딩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슬라이딩 수단은 제1방음어셈블리의 일면에 장착된 제1레일와, 제1레일를 따라 이동하도록 제2방음어셈블리의 일면에 장착된 제3레일을 구비하고, 제1레일과 제3레일 사이에 개재되어 이동하도록 장착된 제2레일을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2방음어셈블리는 차음채광부재와 흡음부재의 단독 또는 혼용 체결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제1방음어셈블리의 출입구의 적어도 1변과, 이 출입구를 개폐하는 제2방음어셈블리의 적어도 1변을 각각 수용하도록 장착된 마감몰딩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제1방음어셈블리는 개구부가 성형된 벽체의 외면에 밀착되고, 제2방음어셈블리는 제1방음어셈블리의 개구부 반대측에 장착된 2중 구조일 수 있다.
그리고 2중 구조인 제1방음어셈블리와 제2방음어셈블리의 틈새를 차단하도록 높이 방향으로 부착된 방음보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방음보조부재는 제1방음어셈블리의 사이드몰딩에 부착되는 접착부와, 제2방음어셈블리의 표면에 밀착되는 탄성재질의 밀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 예에 따른 갱폼용 방음블럭 시스템은 제1방음어셈블리에 성형된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제2방음어셈블리;와 제2방음어셈블리가 미닫이 방식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제2방음어셈블리와 제2방음어셈블리 사이에 장착된 제2슬라이딩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슬라이딩 수단은 제1방음어셈블리의 일면에 장착된 롤러레일, 이 롤러레일을 따라 구름운동하도록 제2방음어셈블리의 일면에 장착된 롤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2방음어셈블리는 차음채광부재과 흡음부재의 단독 또는 혼용 체결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제1방음어셈블리는 개구부의 일부위를 차폐하도록 벽체의 외면에 밀착되고, 제2방음어셈블리는 개구부의 나머지 부위를 차폐하도록 장착된 2중 구조일 수 있다.
그리고 2중 구조인 제1방음어셈블리와 제2방음어셈블리의 틈새를 차단하도록 높이 방향으로 부착된 방음보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방음보조부재는 제1방음어셈블리의 사이드몰딩에 부착되는 접착부와, 제2방음어셈블리의 표면에 밀착되는 탄성재질의 밀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갱폼용 방음블럭 시스템은 제1방음어셈블리에 성형된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제2방음어셈블리;와 제2방음어셈블리가 여닫이 방식으로 제1방음어셈블리에 장착되도록 설치된 경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방음어셈블리는 차음채광부재와 흡음부재의 단독 또는 혼용 체결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제1방음어셈블리의 출입구의 적어도 1변과, 이 출입구를 개폐하는 제2방음어셈블리의 적어도 1변을 각각 수용하도록 장착된 마감몰딩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갱폼용 방음블럭 시스템은 제1방음어셈블리에 성형된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방음커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방음커튼은 여닫이 방식으로 이동하여 접히는 커튼부와, 출입구의 상면에 장착되면서 커튼부가 매달리도록 설치된 제3슬라이딩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출입구의 적어도 1변을 각각 수용하도록 장착된 마감몰딩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3슬라이딩 수단은 출입구 상면의 마감몰딩에 고정된 슬라이딩 레일,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구름운동하도록 장착된 슬라이딩 바퀴, 슬라이딩 바퀴가 장착된 바퀴지지부재, 바퀴지지부재에 설치된 제1체결부재와, 실내측에서 슬라이딩 바퀴를 포함한 일부위가 가려지도록 상부가 마감몰딩에 고정되면서 하방 일정 길이를 갖는 가림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커튼부는 제1체결부재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제2체결부재와, 제2체결부재가 상부에 다수 설치된 커튼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커튼이 2개 이상 설치된 구조에서 각 커튼이 맞닿는 일부위에 부착된 다수의 자석을 구비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투명재질의 차음채광부재와 흡음부재가 번갈아 조립되어 개구부를 차폐하는 제1방음어셈블리가 제작됨으로써, 제작, 조립 및 설치가 편리하고, 방음은 물론 실내의 채광성이 확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방음어셈블리가 상부블럭과 하부블럭으로 구분되고, 이 상부블럭과 하부블럭이 최하단수평재와 수평체결프레임을 구비한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상부블럭과 하부블럭이 견고히 체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제1결합부재 또는 제2결합부재에 의하 상부블럭, 하부블럭과 최하단수평재가 체결됨으로써, 간단한 체결로 인한 작업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1방음어셈블리가 가압수단에 의해 벽체에 견고히 밀착됨으로써, 방음 및 차음 효과가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직체결프레임에 제1방음어셈블리가 탄성편을 갖는 체결수단에 의해 장착됨으로써, 수직체결프레임(203)와 제1방음어셈블리 간의 체결력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개구부의 일부위를 외벽 밀착된 제1방음어셈블리가 차폐하고, 개구부의 나머지 부위를 개구부에 설치된 제2방음어셈블리가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개폐하도록 설치됨으로써, 필요시 개구부를 개방할 수 있고, 개방을 통해 실내의 온도를 낮추어 작업자의 작업 능률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방음어셈블리가 최하위수평재를 기준으로 상위블럭과 하위블럭으로 구분되고, 상위블럭과 하위블럭에 각각 수평체결프레임이 삽입되며, 양측 수평체결프레임에 최하위수평재가 개재되어 체결 및 결합됨으로써, 상위블럭과 하위블럭의 안정된 설치 및 견고한 고정 구조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상부블럭은 수직보강재에 체결되고, 하부블럭은 수직체결프레임에 체결됨으로써, 설치 구조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하부블럭에 삽입되는 수평체결프레임 대신 경량의 결합부재가 설치됨으로써, 하부블럭의 자중이 경감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갱폼용 방음블럭 시스템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갱폼 및 제1방음어셈블리가 간략히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방음수단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방음수단과 수직체결프레임의 체결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체결수단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체결수단의 또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c"부위가 확대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최하단수평재와 하부블럭 간의 결합구조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또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에서 제1방음어셈블리가 건축물 외벽에 장착된 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갱폼용 방음블럭 시스템의 주요부위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설치 상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갱폼용 방음블럭 시스템의 주요부위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설치 상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F방향으로 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갱폼용 방음블럭 시스템의 주요부위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설치 상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갱폼용 방음블럭 시스템의 주요부위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설치 상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G-G선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슬라이딩부의 일례가 도시된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성>
갱폼(100)은 건축물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한 외부 거푸집이다. 이 갱폼(100)은 일정 크기로 상호 격자 형태로 설치된 다수의 수평보강재(110) 및 수직보강재(120), 수평보강재(110)와 수직보강재(120)에 고정되어 건축물의 벽체 외면에 대면하도록 설치된 플레이트(13)를 포함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갱폼(100)의 하부에 본 발명의 개구부 차폐장치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건축물의 개구부를 차폐하기 위한 방음수단으로 고정 설치된 제1방음어셈블리(200)와, 제1방음어셈블리(20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방음어셈블리(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들 제1방음어셈블리(200)와 제2방음어셈블리(500)에 대한 설명은 각기 다른 실시 예를 통해 차례대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 예>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갱폼용 방음블럭 시스템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갱폼(100), 갱폼(100)의 하측에 장착되어 건축물의 개구부(10)를 차폐하는 제1방음어셈블리(200)와, 수직보강재(120) 및/또는 수직체결프레임(203)에 제1방음어셈블리(200)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수단(300) 및 결합수단(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갱폼(100)은 수평보강재(110) 및 수직보강재(120)이 교차하여 배치되고, 이들의 일면에 플레이트(130)가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갱폼(100)의 구조는 일반적이므로 필요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방음어셈블리(200)는 건축물의 개구부(10)를 차폐하기 위한 부재이다. 이 제1방음어셈블리(200)는 도 1 및 도 3에서 보듯이 차음채광부재(210), 흡음부재(220) 및 사이드몰딩(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방음어셈블리(200)는 차음채광부재(210) 또는 흡음부재(220)만으로 상하로 연결하여 설치될 수도 있고, 차음채광부재(210)와 흡음부재(220)가 1개씩 교번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며, 차음채광부재(210)와 흡음부재(220)가 서로의 개수를 다르게 하여 교번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방음어셈블리(200)는 1개의 일체형으로 제작 및 설치될 수 있고, 도 2에서처럼 상부블럭(201)과 하부블럭(202)으로 구분되어 각각 제작 및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각각 제작 및 설치에 관한 구성은 후술된다.
차음채광부재(210)는 투명 또는 반투명하고,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포함한 플라스틱류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이며, 일정 높이, 폭 및 길이를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 차음채광부재(210)는 도 3에서 보듯이, 중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측면상 중공으로 가공되면서 높이 방향으로 하나 또는 서로 이격된 다수의 공간(S)이 가공될 수 있다. 이때, 공간(S)들 사이에 성형된 격벽(W)에 의해 외력에 의한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차음채광부재(210)의 도 3에서 보듯이, 상부와 하부에는 다른 차음채광부재(210) 또는 흡음부재(220)가 끼움 체결되도록 상부체결부(240)와 하부체결부(250)가 가공될 수 있다. 일례로 측면상, 상부체결부(240)는 상면에 가공되어 내향 굴절된 대략 "ㄱ"자 형상이고, 하부체결부(250)는 하면에 가공되어 외향 굴절된 대략 "ㄴ"자 형상일 수 있다. 이 상부체결부(240)와 하부체결부(250)는 차음채광부재(210) 뿐만아니라 흡음부재(220)에 가공될 수 있다. 따라서, 일례로 차음채광부재(210)의 하부체결부(250)와 흡음부재(220)의 상부체결부(240)가 좌우의 폭 방향으로 서로 간단한 슬라이딩 방식의 끼움 체결로 차음채광부재(210)와 흡음부재(220)가 적층되어 조립될 수 있다.
흡음부재(220)는 투명 또는 반투명 또는 불투명하고,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포함한 플라스틱류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이고, 일정 높이, 폭 및 길이로 제작될 수 있다. 이 흡음부재(220)는 도 3에서 보듯이, 방음재(260)를 수용하는 전면(前面) 및 좌우 양측면이 개방된 대략 'ㄷ'자의 수용체(221)와, 수용체(221)의 개방된 일면을 폐쇄하도록 체결되는 덮개(223)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수용체(221)는 방음재(260) 수용을 위한 수용공간이 마련되도록 측면이 대략 'ㄷ'자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수용체(221)는 중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측면상 중공으로 가공되면서 하나 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공간(S)이 가공될 수 있다. 이때, 공간(S)들 사이에 성형된 격벽(W)에 의해 외력에 의한 수용체(221)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흡음부재(220)의 상부와 하부에는 다른 흡음부재(220) 또는 차음채광부재(210)가 끼움 체결되도록 상부체결부(240)와 하부체결부(250)가 가공될 수 있다. 이 상부체결부(240)와 하부체결부(250)는 차음채광부재(210)의 그것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일례로 흡음부재(220)의 하부체결부(250)와 차음채광부재(210)의 상부체결부(240)가 좌우 슬라이딩 방식의 끼움 체결로 흡음부재(220)와 차음채광부재(210)가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수용체(221)에는 방음재(260)가 수용될 수 있다. 이 방음재(260)는 일례로 계란판 형상, 박스 형상 등 통상의 다양한 형상 중 하나이고, 건축물 실내의 작업중 발생하는 소음을 흡음하게 된다.
그리고 덮개(223)는 흡음부재(220)의 개방된 전면을 폐쇄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이 덮개(223)는 방음재(260)를 흡음부재(220)의 전면을 통해 손쉽게 넣고, 전면을 폐쇄하면서 흡음부재(220)에 밀착되면서 소정의 압력을 가함으로써, 개방된 양측면으로 빠지지 않도록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덮개(223)는 상하 양단측에 대략 후크 형상의 끼움돌기(224)가 가공되고, 수용체(221)는 상하 양단측에 끼움턱(222)이 가공될 수 있다. 따라서, 끼움돌기(224)가 수용체(221)의 끼움턱(222)에 걸림 결합이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수용체(221)의 양단측 내면에 걸림홈이 가공되고, 이 걸림홈에 덮개(223)에 가공된 돌출턱이 삽입되어 걸리게 되는 끼움 결합 구조일 수도 있다. 이처럼 덮개(223)의 끼움돌기(224)가 수용체(221)의 끼움턱(222)에 걸림 결합됨으로써, 수용체(221)에 덮개(223)가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덮개(223)는 흡음을 위한 다수의 흡음홀(225)이 가공될 수 있다. 이 흡음홀(225)은 상하로 길게 가공된 타원형일 수 있다. 이처럼 상하로 긴 타원형은 원형 또는 좌우로 긴 타원형인 경우 실제 제작후 조립 및 사용 상태에서 덮개(223)가 찌그러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이를 회피하기 위해 적용된 형상이다. 물론, 흡음홀(225)은 덮개(223)의 두께 및 길이 등을 감안하여 타원형, 원형 및 다각형 등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작된 차음채광부재(210)와 흡음부재(220)는 상하로 번갈아 체결되거나 일정 개수마다 하나씩 끼워지는 패턴으로 상호 체결됨으로써, 채광성을 확보하고,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물론, 차음채광부재(210)와 흡음부재(220)는 투명에 가까운 재질로 제작될수록 채광성 확보에 유리할 수 있다.
사이드몰딩(230)은 도 3에서 보듯이, 차음채광부재(210)와 흡음부재(220)의 양측면이 개방되어 제작되므로 이 개방된 양측면을 폐쇄하는 부재이다. 이때, 차음채광부재(210)와 흡음부재(220)의 상하면은 폐쇄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사이드몰딩(230)이 체결되지 않아도 된다. 이 사이드몰딩(230)은 'ㄷ'자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 사이드몰딩(230)은 차음채광부재(210)와 흡음부재(220)가 서로 체결된 상태에서 개방된 측면을 폐쇄하도록 억지끼움, 나사체결, 볼팅체결 또는 본딩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이렇게, 차음채광부재(210)와 흡음부재(220)들이 상호 체결되고, 양측부에 사이드몰딩(230)이 체결됨으로써, 제1방음어셈블리(200)가 제작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방음어셈블리(200)는 차음채광부재(210) 또는 흡음부재(220)만으로 제작되거나, 상하로 1개씩 번갈아 설치되거나, n:1의 비율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체결수단(300)은 수직체결프레임(203) 및/또는 수직보강재(120)에 제1방음어셈블리(200)를 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일례로 도 2의 "A" 부위 및/또는 "B"의 후부에 설치될 수 있다. 좀 더 자세하게는 체결수단(300)은 도 4에서 보듯이, 차음채광부재(210), 흡음부재(220)와 사이드몰딩(230)의 결합체를 수직체결프레임(203)에 견고히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 체결수단(300)은 제1체결판(310)과 탄성편(320)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체결수단(300)은 수직체결프레임(203)에 설치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1체결판(310)은 제1수직면(311), 제1수직면(311)의 일부위가 굴절된 수평면(312)과, 수평면(312)의 일부위가 하향 굴절된 제2수직면(313)을 갖는 형상이고, 제1수직면(311)에 고착된 탄성편(32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편(320)은 도 4 및 도 5에서와같이 측면상 중앙부위가 제1수직면(311)에 고착되고, 상하 양측부가 수직체결프레임(203)측으로 휘어진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탄성편(320)은 금속 또는 비금속재질로, 굴절 또는 휘어진 상태에서 외압에 대해 탄성 반발력을 제공할 수 있는 부재일 수 있다.
또한, 제1체결판(310)은 탄성편(320)의 중첩된 부위의 제1수직면(311)에 체결부재(340)가 관통하도록 가공된 관통홀(33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수직체결프레임(203)은 관통홀(330)과 동심축을 이루는 체결홀(204)을 구비할 수 있다. 이 체결홀(204)은 제1방음어셈블리(200)의 높낮이를 조정하기 위해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가공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340)는 볼트와 너트, 클램프 등를 포함한 통상 도구일 수 있다. 이러한 제1체결판(310)은 일례로, 1개의 수직체결프레임(203)의 부위에만 설치되도록 짧은 길이로 제작될 수도 있고, 도 5에서 보듯이 이웃한 수직체결프레임(203)들 사이를 연결하여 설치되도록 긴 길이로 제작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수직면(311)이 체결부재(340)를 매개로 수직체결프레임(203)에 밀착되어 고정되면 제2수직면(313)이 제1방음어셈블리(200)의 변두리 일부위를 수직체결프레임(203)측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탄성편(320)은 제1수직면(311)과 수직체결프레임(203) 사이에 개재되고, 도 4에서 보듯이, 제1방음어셈블리(200)의 두께와 수평면(312)의 길이의 차이로 인한 체결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다. 일례로, 제1방음어셈블리(200)의 두께가 수평면의 길이보다 더 두꺼운 경우, 체결시 발생하는 제1수직면(311)과 수직체결프레임(203) 간의 간격에 대해 탄성편(320)의 반발력으로 보상됨으로써, 완전 체결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체결수단(300)의 다른 실시 예로, 도 5에서와같이 제2수직면(313)의 제1방음어셈블리(200)와 닿는 면에 탄성편(320)이 추가 설치되어 제작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수직면(311)의 탄성편(320)의 반발력과 더불어 제2수직면(313)의 탄성편(320)의 탄성력에 의해 더욱 강한 힘으로 제1방음어셈블리(200)가 수직체결프레임(203)에 밀착 및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수단(300)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6에서와같이 제1체결판(310)을 대신하여 제1수직면(311), 관통홀(330) 및 수평면(312)으로 이루어진 대략 "ㄴ"자 형태로 제작된 제2체결판(3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제2체결판(350)은 도 2의 "B"부위에 설치되고, 도 7에서 보듯이 제1방음어셈블리(200)의 하면을 받쳐서 지지하도록 수직체결프레임(203)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체결판(310) 및/또는 제2체결판(350)을 포함한 체결수단(300)은 이후 모든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제1방음어셈블리(200)은 체결력 약화로 추락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추락방지부재(2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추락방지부재(270)는 제1방음어셈블리(200)가 수직체결프레임(203)에서 체결이 풀려 추락하는 희박하지만 고려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추락방지부재(270)는 수직체결프레임(203)의 하단과, 수직체결프레임(203)의 상단 또는 제1체결판(310) 또는 수평보강재(110) 또는 수직보강재(120)를 연결하면서 추락하는 제1방음어셈블리(200)가 걸릴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추락방지부재(270)는 구부러지거나 휘어질 수 있는 와이어일 수 있다. 이외에 볼팅, 나사 또는 용접으로 고정되는 강성재질의 판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일례로 와이어인 경우, 양측단 부위의 매듭을 이용하고, 상부는 갱폼의 작업대 연결 볼트와 연결되며, 하부는 수직체결프레임(203)의 하단에 볼팅 또는 나사체결로 체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1방음어셈블리(200)는 일례로, 차음채광부재(210) 및 흡음부재(220)들이 상호 체결된 1개로 제작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방음어셈블리(200)는 도 2에서 보듯이 다수의 차음채광부재(210) 및 흡음부재(220)들이 상호 체결되어 각각 제작된 상부블럭(201) 및 하부블럭(202), 하부블럭(202)에 장착된 수직체결프레임(203)과, 이 상부블럭(201) 및 하부블럭(202) 사이에 개재되면서 이 둘을 체결하도록 설치된 결합수단(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부블럭(201) 및 하부블럭(202)은 도 2 및 도 8에서 보듯이, 상술된 차음채광부재(210)와 흡음부재(220)의 상호 체결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상부블럭(201)은 결합수단(400)의 최하단수평재(41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설치되고, 하부블럭(202)은 최하단수평재(41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설치되는 점에 차이가 있다. 여기서, 최하단수평재(410)가 정면상 개구부(10)에 대해 높게 위치하면 상부블럭(201)의 높이가 하부블럭(202)의 높이보다 낮게 제작될 수 있다. 이처럼 최하단수평재(410)의 위치에 따라 상부블럭(201)과 하부블럭(202)의 높이가 가변되어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블럭(201) 및 하부블럭(202)이 수평체결프레임(420) 및 최하단수평재(410)를 이용하여 체결되기 위해, 상부블럭(201)의 최하위와 하부블럭(202)의 최상위는 차음채광부재(210)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수직체결프레임(203)은 도 2에서 보듯이, 하부블럭(202)의 다수의 차음채광부재(210) 및 흡음부재(220)들을 견고히 결합시키기 위해 정면상 횡으로 다수 배치되어 차음채광부재(210) 및 흡음부재(220)와 볼팅 체결 또는 나사체결되는 부재이다. 이 수직체결프레임(203)은 상단 부위가 하부블럭(202)의 상단에 장착된 수평체결프레임(420)에 체결되고, 하단 부위가 하부블럭(202)의 하단에 장착된 수평체결프레임(420)에 체결될 수 있다. 이외에 수직체결프레임(203)은 상단 부위가 최하단수평재(410)에 고정되고, 수평체결프레임(420)들 및 하부블럭(202)에 체결될 수 있다.
결합수단(400)은 도 8 및 도 9에서 보듯이, 최하단수평재(410), 수평체결프레임(420), 고정부재(430) 및 씰링부재(44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최하단수평재(410)는 상부블럭(201) 및 하부블럭(202) 사이에 개재되면서 횡으로 배치된 수직보강재(120)들의 하단 부위된 연결하여 수평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 최하단수평재(410)의 상면에 상부블럭(201)의 하면 또는, 하면에 하부블럭(202)의 상면이 직접 고정되거나, 수평체결프레임(420)을 매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최하단수평재(410)의 길이는 정면상 상부블럭(201) 및 하부블럭(202)의 양끝으로 돌출되는 정도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수평체결프레임(420)은 상부블럭(201)의 차음채광부재(210)의 공간(S)과, 하부블럭(202)의 차광채광부재(210)의 공간(S)를 관통하면서 최하단수평재(410)가 개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블럭(201)의 최하위와 하부블럭(202)의 최상위는 차음채광부재(210)이 배치될 수 있다. 이 수평체결프레임(420)은 정면상 상부블럭(201) 및 하부블럭(202)의 양끝으로 돌출되는 정도로 제작될 수 있다.
또, 고정부재(430)는 정면상 위아래에 배치된 수평체결프레임(420)들 사이에 최하단수평재(410)가 개재된 상태에서, 상부블럭(201) 또는 하부블럭(202)으로부터 돌출된 수평체결프레임(420)들의 양끝부위와 최하단수평재(410)의 양끝부위를 관통하여 서로 체결시키는 부재이다. 이 고정부재(430)는 볼트 및 너트, 나사 등을 포함한 통상의 부재일 수 있다. 고정부재(430) 이외에도 최하단수평재(410)와 수평체결프레임(420)은 용접, 본딩 등을 포함한 통상의 다양한 방법으로 체결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씰링부재(440)는 서로 맞닿은 최하단수평재(410) 및 상부블럭(201)과, 최하단수평재(410) 및 하부블럭(202) 사이의 틈을 메우게 되고, 상호 결합력 강화 및 차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씰링부재(440)는 고정부재(430)가 설치된 수평체결프레임(420) 및 최하단수평재(410) 사이의 틈을 메우게 되고, 결합부위에 대한 외부 노출을 방지하고, 결합력 강화의 효과는 물론, 경우에 따라 차음 효과도 얻을 수 있다.
한편, 결합수단(400)은 하부블럭(202)과 최하단수평재(410)의 결합 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 예로, 도 10에서 보듯이, 제1결합부재(4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재(450)는 도 9에서 하부블럭(202)에 관통하는 수평체결프레임(420)을 대체하는 것으로, 최하단수평재(410)를 감싸듯이 파지하기 위해 측면상 대략 "ㄷ"자 형상의 제1파지부(451)와, 제1파지부(451)로부터 연장되어 하부블럭(202)의 상부체결부(240)에 끼워지는 평평한 형상의 삽입부(45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파지부(451)는 측면이 대략 사각형인 최하단수평재(410)을 옆으로 끼워지도록 대략 측면상 "ㄷ"자 형상일 수 있다. 이 제1파지부(451)는 최하단수평재(410)에 횡방향으로 끼워진 후 볼팅 체결 또는 나사 체결 또는 용접 등을 포함한 다양한 방식으로 견고히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부(452)는 제1파지부(451)의 하부로부터 일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고, 하부블럭(202)의 차음채광부재(210)의 상부체결부(240)에 끼워져 상하방향으로 걸리도록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파지부(451)가 최하단수평재(410)에 끼워져 고정되면서 삽입부(452)가 상부체결부(240)에 끼워져 걸림 장착으로써, 최하단수평재(410)에 하부블럭(202)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결합수단(400)은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11에서 보듯이, 제2결합부재(460)를 구비할 수 있다. 이 제2결합부재(460)는 상부블럭(201) 및 하부블럭(202)에 삽입되는 수평체결프레임(420)을 대체하는 것으로, 최하단수평재(410)를 감싸듯이 파지하기 위해 측면상 대략 "ㄷ"자 형상의 제2파지부(461)와, 제2파지부(461)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돌출 성형된 상부삽입부(462) 및 하부삽입부(463)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삽입부(462)는 상부블럭(201)의 하부체결부(250)와 상응하여 체결되는 형상으로 대략 하부체결부(240)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하부삽입부(463)는 하부블럭(202)의 상부체결부(240)와 상응하여 체결되는 형상으로, 대략 상부체결부(250)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제2파지부(461)가 최하단수평재(410)에 횡방향으로 끼워지고, 상부삽입부(462)가 상부블럭(201)의 하부체결부(250)와 끼워져 결합되며, 하부삽입부(463)가 하부블럭(202)의 상부체결부(240)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갱폼용 방음블럭 시스템은 도 12에서 보듯이, 제1어셈블리(200)를 벽체에 밀착시키기 위한 가압수단(2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수단(280)은 하부작업대(D)의 수직샤프트(D1)에 내장되거나 측면에 고정된 1개 이상의 가압너트(282), 이 가압너트(282)에 체결되는 가압볼트(281)와, 수직체결프레임(203)에 장착된 가압볼트(281)가압부재(283)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가압부재(283)는 가압볼트(281)의 선단부위에 장착될 수 있고, 수직체결프레임(203)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 가압수단(280)은 제1방음어셈블리(200)의 하부 및/또는 상부의 변두리 부위에 다수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가압너트(282)와의 나사 체결된 가압볼트(281)가 회전하여 전진하면서 가압부재(283)를 밀면, 수직체결프레임(203)과 더불어 제1방음어셈블리(200)가 벽체로 밀력 밀착될 수 있다.
한편, 수직체결프레임(203)은 상술된 바와 같이, 제1방음어셈블리(200)에 체결되고, 제1방음어셈블리(200)가 최하단수평재(410)와 수평체결프레임(420) 및 고정부재(430)에 의해 고정된 구조이다. 또한, 수직체결프레임(203)의 다양한 체결구조가 가능하고, 이하에서는 예를 들어 수직체결프레임(203)은 최하단수평재(410)에 고정되어 하방으로 배치된 구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2실시 예>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갱폼용 방음블럭 시스템은 도 13 내지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구부(10)의 전체를 차폐하도록 설치된 제1방음어셈블리(200), 제1방음어셈블리(200)의 일부위에 설치되어 개구부(10)의 일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제2방음어셈블리(500), 제2방음어셈블리(500)가 제1방음어셈블리(200)에 대해 미닫이 방식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설치된 제1슬라이딩 수단(600), 개구부(10)와 제1방음어셈블리(200) 사이의 틈을 차단하기 위한 씰링부재(700)와, 제1방음어셈블리(200)와 제2방음어셈블리(500)의 틈을 차단하도록 설치된 방음보조부재(8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외에 수직체결프레임(203), 체결수단(300) 및 고정수단(400)을 포함한 이외의 구성은 상술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제작 및 설치되므로 필요시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방음어셈블리(200)는 제1실시 예의 그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방음어셈블리(200)는 개구부(10)의 전체를 차폐하도록 제작 및 설치될 수 있다. 이 제1방음어셈블리(200)는 제2방음어셈블리(500)가 설치되는 정도의 출입구(290)를 마련하도록 절단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이 출입구(290)의 4변 또는 적어도 3변의 절단 부위, 즉 차음채광부재(210) 또는 흡음부재(200)의 공간(S, 도 3 참조)이 외부로 노출된 측면을 폐쇄하기 위해 대략 'ㄷ'자의 마감몰딩(52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마감몰딩(520)은 상기된 사이드몰딩(230)과 동일 또는 유사한 재질 및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고, 사이드몰딩(230)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제2방음어셈블리(500)는 제2방음어셈블리(500)는 제1방음어셈블리(200)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제작되고, 여기에 손잡이(510)가 추가 설치될 수 있다. 이 손잡이(510)는 안과 밖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제2방음어셈블리(500)의 양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방음어셈블리(500)는 제1방음어셈블리(200)의 출입구(290)를 개폐하도록 제작 및 설치될 수 있다. 이 제2방음어셈블리(500)는 제1슬라이딩 수단(600)을 매개로 출입구(290) 부위에 미닫이 방식으로 슬라이딩 왕복 이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방음어셈블리(500)의 측면에는 차음채광부재(210) 및/또는 흡음부재(220)의 공간(S, 도 3 참조)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마감몰딩(520)이 설치될 수 있다. 즉, 마감몰딩(520)은 제1방음어셈블리(200)의 출입구(290)의 측면과 제2방음어셈블리(500)의 측면을 폐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슬라이딩 수단(600)은 도 15에서 보듯이, 제1방음어셈블리(200)의 일면에 대해 제2방음어셈블리(500)가 지지되어 왕복 이동하도록 제1방음어셈블리(200)와 제2방음어셈블리(500) 사이에 수평으로 길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슬라이딩 수단(600)은 높이 방향으로 1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2개가 이격되어 설치되고, 1개소 마다 2개 이상의 레일을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제1슬라이딩 수단(600)은 제1방음어셈블리(200)의 일면에 고정된 제1레일(610), 제1레일(610)에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장착된 제2레일(620)과, 제2레일(620)에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제2방음어셈블리(500)의 일면에 고정된 제3레일(630)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방음어셈블리(500)가 이동하면 제3레일(630)이 제2레일(620)을 따라 이동하고, 제2레일(620)이 제1레일(610)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일반적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씰링부재(700)는 도 16에서 보듯이, 개구부(10)가 성형된 벽체의 외면에 제1방음어셈블리(200)가 밀착된 구조에서 벽체와 제1방음어셈블리(200)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도록 접착 또는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씰링부재(700)는 벽체에 부착될 수 있다. 물론, 씰링부재(700)는 방음 또는 차음 재질로 제작되므로 소음 유출 현상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
방음보조부재(800)는 도 14 및 도 15에서 보듯이, 제1방음어셈블리(200)와 제2방음어셈블리(500)가 중첩되어 설치됨으로써 발생하는 제1방음어셈블리(200)와 제2방음어셈블리(500) 간의 모든 틈새를 막기 위한 부재이다. 이 방음보조부재(800)는 스펀지 및 탄성 재질의 부재가 틈새를 막도록 제1방음어셈블리(200) 또는 제2방음어셈블리(500)에 부착될 수 있다. 일례로, 방음보조부재(800)는 제2방음어셈블리(500)의 측면에 부착된 접착부(810)와, 제1방음어셈블리(200)의 표면에 밀착되는 밀착부(82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밀착부(820)는 접착부(810)로부터 연장되는 탄성재질일 수 있다. 따라서, 방음보조부재(800)는 제2방음어셈블리(500)가 정지 또는 이동하는 동안에도 제1방음어셈블리(200)와 제2방음어셈블리(500) 사이의 틈새를 완벽히 차단함으로써, 실내의 소음이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 이 방음보조부재(800)는 상술된 실시 예 및 후술된 실시 예를 포함한 모든 실시 예에서 적용될 수 있다.
<제3실시 예>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갱폼용 방음블럭 시스템은 도 16 및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하단수평재(410)로부터 하향 연장 설치된 적어도 1개의 수직체결프레임(203), 수직체결프레임(203)에 장착되어 건축물의 개구부(10)의 일부를 차폐하는 제1방음어셈블리(200), 수직체결프레임(203)에 제1방음어셈블리(200)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수단(300), 제2슬라이딩 수단(900), 이 제2슬라이딩 수단(900)에 미닫이 방식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장착된 제2방음어셈블리(500)와, 제1방음어셈블리(200)와 제2방음어셈블리(500)의 틈을 차단하도록 설치된 방음보조부재(8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수직체결프레임(203), 제1방음어셈블리(200)와 체결수단(300)은 위 실시 예들 중 어느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제작 및 설치되므로 필요시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2방음어셈블리(500)는 제1방음어셈블리(200)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제작되고, 손잡이(510)가 추가 설치될 수 있다. 반면, 추가 구성인 제2슬라이딩 수단(900)과, 제1방음어셈블리(200) 및 제2방음어셈블리(500)의 체결구조 및 방음보조부재(800)에 대해서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슬라이딩 수단(900)은 제1방음어셈블리(200)에서 제2방음어셈블리(500)측 일면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롤러레일(910)과, 롤러레일(910)에 지지되면서 롤러레일(910)을 따라 구름운동하도록 제2방음어셈블리(500)의 일면에 장착된 롤러(9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롤러레일(910)과 롤러(920)는 서로 반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롤러레일(910)은 도 18에서 보듯이, 제2방음어셈블리(500)의 이동을 안내하는 부재이다. 이 롤러레일(910)은 제1방음어셈블리(200)의 일면에 제2방음어셈블리(500)의 이동 방향으로 길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롤러(920)는 롤러레일(910)을 따라 구름운동하면서 제2방음어셈블리(500)가 이동하도록 하는 부재이다. 이 롤러(920)는 제2방음어셈블리(500)의 일면에 배치되면서 롤러레일(910)에 얹혀져 지지되어 구름운동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롤러(920)는 롤러레일(910)의 상하면에 접촉하도록 상하 1쌍으로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롤러(920)는 제2방음어셈블리(500)의 이동 방향에 대해 일정 간격으로 1개 이상 설치되어 제2방음어셈블리(500)의 안정된 이동을 보장할 수 있다. 일례로, 롤러(920)는 제2방음어셈블리(500)가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요동하지 않도록 일정 간격으로 2개 이상이 롤러레일(910)에 얹혀져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방음보조부재(800)는 제2방음어셈블리(500)가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개구부(10)의 일부위를 개폐하기 위해 중첩 배치된 제1방음어셈블리(200)와 제2방음어셈블리(500)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차단하여 소음 유출을 방지하는 부재이다. 이 방음보조부재(800)는 도 19에서 보듯이, 제1방음어셈블리(200)의 사이드몰딩(230)의 외면에 접착되는 접착부(810)와, 제2방음어셈블리(500)의 표면에 밀착되는 밀착부(82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밀착부(820)는 탄성재질일 수 있다. 따라서, 방음보조부재(800)는 제2방음어셈블리(500)가 정지 또는 이동하는 동안에도 제1방음어셈블리(200)와 제2방음어셈블리(500) 사이의 틈새를 완벽히 차단함으로써, 실내의 소음이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제4실시 예>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갱폼용 방음블럭 시스템은 도 20에서 보듯이, 도 14의 제2실시 예에서 슬라이딩하는 미닫이 방식의 제2방음어셈블리(500)가 여닫이 방식으로 변경 설치된 구조이다.
이를 설명하자면, 제2방음어셈블리(500)는 제1방음어셈블리(200)에 재단된 출입구(290)를 개폐하는 정도의 크기로 제작되고, 일변에 다수의 경첩(530)을 통해 제1방음어셈블리(2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방음어셈블리(500)는 제1방음어셈블리(20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두께로 제작되어 출입구(290)에 수용되어 여닫이 방식으로 동작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외에, 마감몰딩(520)과 방음보조부재(800)를 포함한 다른 구성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제5실시 예>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갱폼용 방음블럭 시스템은 도 21에서 보듯이, 도 20의 제4실시 예에서 제2방음어셈블리(500) 대신 방음커튼(1000)이 설치된 구조이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도 22에서와같이 제1방음어셈블리(200)에 재단된 출입구(290)의 상면에 장착된 제3슬라이딩 수단(1100)과, 제3슬라이딩 수단(1100)에 매달린 커튼부(1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외의 구성은 제3실시 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제3슬라이딩 수단(1100)은 도 22 및 도 23에서 보듯이, 제1방음어셈블리(200)의 출입구(290) 상면에 장착된 마감몰딩(520)에 고정된 슬라이딩 레일(1110), 슬라이딩 레일(1110)에 장착된 슬라이딩 바퀴(1120), 슬라이딩 바퀴(1120)가 장착된 바퀴지지부재(1130), 바퀴지지부재(1130)에 장착되어 커튼부(1200)의 제2체결부재(1210)가 결합되는 제1체결부재(1140)와, 마감몰딩(520)에서 제1체결부재(1140)까지 가리도록 설치된 가림부재(115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제3슬라이딩 수단(1100)은 일례로, 도 23의 사진과 같이 제작될 수 있다. 이외에도 일반적으로 커튼의 이동을 위해 천장에 설치된 슬라이딩 구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커튼부(1200)는 제1체결부재(1140)에 결합되는 제2체결부재(1210)와, 제2체결부재(1210)가 상단 부위에 고정된 커튼(1220)을 구비할 수 있다.
제2체결부재(1210)는 제1체결부재(1140)의 형태에 따라 일반적인 다양한 형태 중 하나일 수 있다. 물론, 제2체결부재(1210)는 커튼(1220)에서 접히는 길이를 따라 상단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설치될 수 있다.
커튼(1220)은 섬유재질을 포함한 연질이거나, 플라스틱류를 포함한 경질로 제작되고, 방음재질 또는 방음재질이 포함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커튼(1220)은 반복 사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테두리를 겹쳐서 재단하거나, 테두리에 별도의 보호 부재를 부착할 수 있다. .
또한, 커튼(1220)은 1개가 설치되어 일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설치되거나, 2개 이상이 설치되어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동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21에서와 같이, 2개의 커튼(1220)이 설치된 경우, 양측 커튼(1220)이 맞닿는 변에 각각 다른 극의 자석(1230)이 설치되고, 이로 인해 양측 커튼(1220)이 가까워지면 자력으로 서로 잡아당겨 손쉽게 닫히고, 닫힌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제1방음어셈블리(200)의 출입구(290)의 하면 마감몰딩(520)에는 커튼(1220)의 하부가 출입 방향으로 요동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커튼(1220) 하단이 수용되도록 개방면이 상향 배치되도록 대략 'ㄷ'자형 프레임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개구부
100:갱폼
110:수평보강재 120:수직보강재
130:플레이트
200:제1방음어셈블리
201:상부블럭 202:하부블럭
203:수직체결프레임 204:체결홀
210:차음채광부재 220:흡음부재
221:수용체 222:끼움턱
223:덮개 224:끼움돌기
225:흡음홀 230:사이드몰딩
240:상부체결부 250:하부체결부
260:방음재 270:추락방지부재
280:가압수단 281:가압볼트
282:가압너트 283:가압부재
290:출입구
300:체결수단
310:제1체결판 311:제1수직면
312:수평면 313:제2수직면
320:탄성편 330:관통홀
340:체결부재 350:제2체결판
400:결합수단
410:최하단수평재 420:수평체결프레임
430:고정부재 440:씰링부재
450:제1결합부재 451:제1파지부
452:삽입부 460:제2결합부재
461:제2파지부 462:상부삽입부
463:하부삽입부
500:제2방음어셈블리
510:손잡이 520:마감몰딩
530:경첩
600:제1슬라이딩 수단
610:제1레일 620:제2레일
700:씰링부재
800:방음보조부재
810:접착부 820:밀착부
900:제2슬라이딩 수단
910:롤러레일 920:롤러
1000:방음커튼
1100:제3슬라이딩 수단 1110:슬라이딩 레일
1120:슬라이딩 바퀴 1130:바퀴지지부재
1140:제1체결부재 1150:가림부재
1200:커튼부 1210:제2체결부재
1220:커튼 1230:자석
D:하부작업대 D1:수직샤프트
F:발판 S:공간
U:상부작업대. W:격벽.

Claims (15)

  1. 상호 교차하여 설치된 다수의 수평보강재(110) 및 수직보강재(120)를 구비한 갱폼에서,
    상기 수직보강재(120)의 하측에 배치되어 건축물의 개구부(10)를 차폐하기 위해, 수평으로 길게 배치되어 서로 상하로 끼움결합된 다수의 차음채광부재(210) 및 흡음부재(220)와, 차음채광부재(210) 및 흡음부재(220)를 가로질러 체결된 수직체결프레임(203)을 구비한 제1방음어셈블리(200);와
    상기 수직보강재(120)의 하단에 고정되어 제1방음어셈블리(200)에 체결된 최하단수평재(410);를 포함하고,
    상기 차음채광부재(210)는 일정 높이, 폭 및 길이를 가지고, 측면상 중공으로 가공되면서 높이 방향으로 1개 또는 2개 이상의 공간(S)과 격벽(W)을 구비하고,
    상기 흡음부재(220)는 방음재(26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갖도록 측면이 'ㄷ'자 형상이고 두께에 대해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공간(S)이 가공되어 제작된 수용체(221)와, 수용체의 개방된 전면을 폐쇄하도록 조립되는 덮개(223)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223)는 흡음을 위해 타원형, 원형 및 다각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가공된 흡음홀(225)을 선택적으로 구비하며,
    상기 수직보강재(120) 또는 수직체결프레임(203)에 제1방음어셈블리(200)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3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수단(300)은 제1체결판(310)과 탄성편(320)을 구비하고,
    상기 제1체결판(310)은 수직보강재(120) 또는 수직체결프레임(203)에 체결되는 제1수직면(311), 제1수직면(311)의 일부위가 수직체결프레임(203)의 반대측으로 굴절된 수평면(312)과, 수평면(312)의 일부위가 하향 굴절되어 제1방음어셈블리(200)의 변두리를 가압하는 제2수직면(313)을 구비하며,
    상기 탄성편(320)은 탄성 재질이고, 일부위가 제1수직면(311) 또는 제2수직면(313)에 고정되고, 나머지 부위가 경사지며,
    상기 제1수직면(311)과 탄성편(320)의 중첩된 부위를 관통하여 관통홀(330)이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용 방음블럭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차음채광부재(210) 및 흡음부재(220)는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외향으로 굴절된 상부체결부(240)와, 하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내향으로 굴절된 하부체결부(250)를 구비하고,
    상기 차음채광부재(210) 및 흡음부재(220)는 상부체결부(240)와 하부체결부(250)의 슬라이딩 끼움 조립으로 상하로 적층되어 상호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용 방음블럭 시스템.
  3. 제1항에서,
    상기 제1방음어셈블리(200)는 최하단수평재(41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설치되어 수직보강재(120) 또는 최하단수평재(410)에 체결된 상부블럭(201)과, 최하단수평재(41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설치되면서 수직체결프레임(203)이 체결된 하부블럭(202)으로 구분되고,
    상기 상부블럭(201)과 하부블럭(202) 사이에 최하단수평재(410)를 위치시켜 체결되는 결합수단(4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수단(400)은,
    상기 상부블럭(201)의 최하위에 배치된 차음채광부재(210)의 공간(S)과 하부블럭(202)의 최상위에 배치된 차음채광부재(210)의 공간(S)를 각각 관통하여 배치되면서 최하단수평재(410)가 개재되도록 설치된 1쌍의 수평체결프레임(420)과, 상부블럭(201) 및 하부블럭(202)의 양끝보다 돌출된 수평체결프레임(420)들의 단측 부위와 최하단수평재(410)의 단축 부위를 관통하여 체결된 고정부재(430)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블럭(201)의 하면 및 최하단수평재(410)의 상면과, 하부블럭(202)의 상면 및 최하단수평재(410)의 하면이 맞닿은 부위에 생긴 틈을 메우고, 고정부재(430)가 설치된 부위에서 수평체결프레임(420)들과 최하단수평재(410)들 사이의 틈을 메우는 씰링부재(440)를 선택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용 방음블럭 시스템.
  4. 제1항에서,
    상기 제1방음어셈블리(200)는 최하단수평재(41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설치되어 수직보강재(120)에 체결된 상부블럭(201)과, 최하단수평재(41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설치되면서 수직체결프레임(203)이 체결된 하부블럭(202)으로 구분되고,
    상기 상부블럭(201)과 하부블럭(202) 사이에 최하단수평재(410)를 위치시켜 체결되는 결합수단(4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수단(400)은 최하단수평재(410)에 옆으로 끼워져 파지하는 'ㄷ'자 형상의 제1파지부(451)와, 제1파지부(451)로부터 연장되어 하부블럭(202)의 상부체결부(240)에 끼워지는 평평한 형상의 삽입부(452)를 구비하는 제1결합부재(4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용 방음블럭 시스템.
  5. 제1항에서,
    상기 제1방음어셈블리(200)는 최하단수평재(41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설치되어 수직보강재(120)에 체결된 상부블럭(201)과, 최하단수평재(41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설치되면서 수직체결프레임(203)이 체결된 하부블럭(202)으로 구분되고,
    상기 상부블럭(201)과 하부블럭(202) 사이에 최하단수평재(410)를 위치시켜 체결되는 결합수단(4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수단(400)은 최하단수평재(410)에 옆으로 끼워져 파지하는 'ㄷ'자 형상의 제2파지부(461), 제2파지부(461)의 상면에 돌출 성형되어 상부블럭(201)의 하부체결부(250)와 체결되는 상부삽입부(462)와, 제2파지부(461)의 하면에 돌출 성형되어 하부블럭(202)의 상부체결부(240)와 체결되는 하부삽입부(46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용 방음블럭 시스템.
  6. 제1항에서,
    상기 수직보강재(120) 또는 수직체결프레임(203)체 제1방음어셈블리(200)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3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수단(300)은 제2체결판(350)을 구비하고,
    상기 제2체결판(350)은 수직보강재(120) 또는 수직체결프레임(203)에 체결되는 제1수직면(311), 제1방음어셈블리(200)의 하면에 접촉하도록 굴절된 수평면(31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용 방음블럭 시스템.
  7. 제1항에서,
    상기 제1방음어셈블리(200)를 건축물 외벽에 밀착시키기 위해, 하부작업대(D)의 수직샤프트(D1)에 내장되거나 측면에 고정된 적어도 1개의 가압너트(282), 이 가압너트(282)에 체결되어 전후진하는 가압볼트(281)를 포함하고, 전진하는 가압볼트(281)가 밀면 수직체결프레임(203)을 가압하도록 배치된 가압부재(283)를 선택적으로 구비하는 가압수단(2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용 방음블럭 시스템.
  8. 제1항에서,
    상기 개구부(10)가 성형된 벽체의 외면에 제1방음어셈블리(200)가 밀착된 구조에서 벽체의 외면과 제1방음어셈블리(200)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도록 부착된 방음재질의 씰링부재(70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용 방음블럭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1방음어셈블리(200)에 성형된 출입구(290)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제2방음어셈블리(500);와
    상기 제2방음어셈블리(500)가 미닫이 방식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제1방음어셈블리(200)와 제2방음어셈블리(500) 사이에 장착된 제1슬라이딩 수단(6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슬라이딩 수단(600)은 제1방음어셈블리(200)의 일면에 장착된 제1레일(610)와, 제1레일(610)를 따라 이동하도록 제2방음어셈블리(500)의 일면에 장착된 제3레일(630)을 구비하고,
    상기 제1레일(610)과 제3레일(630) 사이에 개재되어 이동하도록 장착된 제2레일(620)을 선택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제2방음어셈블리(500)는 차음채광부재(210) 또는 흡음부재(220)의 단독 또는 혼용 체결로 제작되고,
    상기 제1방음어셈블리(200)의 출입구(290)의 적어도 1변과, 이 출입구(290)를 개폐하는 제2방음어셈블리(500)의 적어도 1변을 각각 수용하도록 장착된 마감몰딩(520)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방음어셈블리(200)는 개구부(10)가 성형된 벽체의 외면에 밀착되고, 제2방음어셈블리(500)는 제1방음어셈블리(200)의 개구부(10) 반대측에 장착된 2중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용 방음블럭 시스템.
  10. 제9항에서
    상기 2중 구조인 제1방음어셈블리(200)와 제2방음어셈블리(500)의 틈새를 차단하도록 높이 방향으로 부착된 방음보조부재(8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음보조부재(800)는 제1방음어셈블리(200)의 사이드몰딩(230)에 부착되는 접착부(810)와, 제2방음어셈블리(500)의 표면에 밀착되는 탄성재질의 밀착부(8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용 방음블럭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1방음어셈블리(200)에 성형된 출입구(290)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제2방음어셈블리(500);와
    상기 제2방음어셈블리(500)가 미닫이 방식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제1방음어셈블리(200)와 제2방음어셈블리(500) 사이에 장착된 제2슬라이딩 수단(9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슬라이딩 수단(900)은 제1방음어셈블리(200)의 일면에 장착된 롤러레일(910), 이 롤러레일(910)을 따라 구름운동하도록 제2방음어셈블리(500)의 일면에 장착된 롤러(920)를 구비하고,
    상기 제2방음어셈블리(500)는 차음채광부재(210) 또는 흡음부재(220)의 단독 또는 혼용 체결로 제작되고,
    상기 제1방음어셈블리(200)는 개구부(10)의 일부위를 차폐하도록 벽체의 외면에 밀착되고, 제2방음어셈블리(500)는 개구부(10)의 나머지 부위를 차폐하도록 장착된 2중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용 방음블럭 시스템.
  12. 제11항에서
    상기 2중 구조인 제1방음어셈블리(200)와 제2방음어셈블리(500)의 틈새를 차단하도록 높이 방향으로 부착된 방음보조부재(8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음보조부재(800)는 제1방음어셈블리(200)의 사이드몰딩(230)에 부착되는 접착부(810)와, 제2방음어셈블리(500)의 표면에 밀착되는 탄성재질의 밀착부(8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용 방음블럭 시스템.
  13.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1방음어셈블리(200)에 성형된 출입구(290)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제2방음어셈블리(500);와
    상기 출입구(290)를 개폐하는 제2방음어셈블리(500)가 여닫이 방식으로 제1방음어셈블리(200)에 장착되도록 설치된 경첩(53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방음어셈블리(500)는 차음채광부재(210) 또는 흡음부재(220)의 단독 또는 혼용 체결로 제작되고,
    상기 제1방음어셈블리(200)의 출입구(290)의 적어도 1변과, 이 출입구(290)를 개폐하는 제2방음어셈블리(500)의 적어도 1변을 각각 수용하도록 장착된 마감몰딩(52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용 방음블럭 시스템.
  14.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1방음어셈블리(200)에 성형된 출입구(290)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방음커튼(10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음커튼(1000)은 여닫이 방식으로 이동하여 접히는 커튼부(1200)와, 출입구(290)의 상면에 장착되면서 커튼부(1200)가 매달리도록 설치된 제3슬라이딩 수단(1100)을 구비하고,
    상기 출입구(290)의 적어도 1변을 각각 수용하도록 장착된 마감몰딩(520)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3슬라이딩 수단(1100)은 출입구(290) 상면의 마감몰딩(520)에 고정된 슬라이딩 레일(1110), 슬라이딩 레일(1110)을 따라 구름운동하도록 장착된 슬라이딩 바퀴(1120), 슬라이딩 바퀴(1120)가 장착된 바퀴지지부재(1130), 바퀴지지부재(1130)에 설치된 제1체결부재(1140)와, 실내측에서 슬라이딩 바퀴(1120)를 포함한 일부위가 가려지도록 상부가 마감몰딩(520)에 고정되면서 하방 일정 길이를 갖는 가림부재(1150)를 구비하고,
    상기 커튼부(1200)는 제1체결부재(1140)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제2체결부재(1210)와, 제2체결부재(1210)가 상부에 다수 설치된 커튼(1220)을 구비하고,
    상기 커튼(1220)이 2개 이상 설치된 구조에서 각 커튼(1220)이 맞닿는 일부위에 부착된 다수의 자석(12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용 방음블럭 시스템.
  15. 삭제
KR1020190113886A 2019-09-17 2019-09-17 갱폼용 방음블럭 시스템 KR102215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886A KR102215921B1 (ko) 2019-09-17 2019-09-17 갱폼용 방음블럭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886A KR102215921B1 (ko) 2019-09-17 2019-09-17 갱폼용 방음블럭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5921B1 true KR102215921B1 (ko) 2021-02-16

Family

ID=74687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886A KR102215921B1 (ko) 2019-09-17 2019-09-17 갱폼용 방음블럭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59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910U (ko) * 2022-03-25 2023-10-05 주식회사 신일엔지니어링 건축물 개방부 차폐 구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5146A (ko) * 2008-08-04 2010-02-12 이우춘 방음벽용 패널
KR101562672B1 (ko) 2015-01-05 2015-10-29 이옥순 가설용 조립식 창호 갱폼
KR101572979B1 (ko) 2014-12-03 2015-11-30 김정화 건물의 개방부 차폐 장치
KR101643291B1 (ko) * 2015-08-19 2016-07-28 이경수 개방벽체 차폐장치
KR20170060606A (ko) 2017-05-14 2017-06-01 김두진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장치
KR101810914B1 (ko) * 2017-02-13 2017-12-20 (주)신일산업 개구부 차폐용 갱폼 방음블록
KR200485750Y1 (ko) * 2017-06-19 2018-02-19 서관섭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및 분진 차단용 패널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5146A (ko) * 2008-08-04 2010-02-12 이우춘 방음벽용 패널
KR101572979B1 (ko) 2014-12-03 2015-11-30 김정화 건물의 개방부 차폐 장치
KR101562672B1 (ko) 2015-01-05 2015-10-29 이옥순 가설용 조립식 창호 갱폼
KR101643291B1 (ko) * 2015-08-19 2016-07-28 이경수 개방벽체 차폐장치
KR101810914B1 (ko) * 2017-02-13 2017-12-20 (주)신일산업 개구부 차폐용 갱폼 방음블록
KR20170060606A (ko) 2017-05-14 2017-06-01 김두진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장치
KR200485750Y1 (ko) * 2017-06-19 2018-02-19 서관섭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및 분진 차단용 패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910U (ko) * 2022-03-25 2023-10-05 주식회사 신일엔지니어링 건축물 개방부 차폐 구조
KR200497827Y1 (ko) * 2022-03-25 2024-03-07 주식회사 신일엔지니어링 건축물 개방부 차폐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9596Y1 (ko) 건축용 갱폼의 개방부 차폐장치
KR200491614Y1 (ko) 오염방지 및 내진 구조를 갖는 마감패널 조립체
KR102215921B1 (ko) 갱폼용 방음블럭 시스템
JP2023089248A (ja) シャッター装置
KR200485750Y1 (ko)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및 분진 차단용 패널장치
KR100891273B1 (ko) 방음패널
KR20220001459U (ko)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및 분진 차단용 패널장치
KR101643291B1 (ko) 개방벽체 차폐장치
KR200489824Y1 (ko)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및 분진 차단용 패널장치
JP2013050009A (ja) 建物の壁構造、サッシ、及び建物の壁の構築方法
JP6444730B2 (ja) 浸水防止構造
US9447634B2 (en) Window treatment
JP2006022509A (ja) カーテンウォール、およびその取付方法
KR20150019076A (ko) 창호용 미들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창호 프레임
JP4058485B2 (ja) 外壁パネル、その外壁パネルを備えたユニット式建物および外壁パネルへのシャッターケース取り付け方法
KR20120004121A (ko) 시스템 창호의 여닫이 구조
KR101810914B1 (ko) 개구부 차폐용 갱폼 방음블록
KR100579447B1 (ko) 건축물 창문틀 보강구조
KR20170028661A (ko) 반사 소음 억제형 조립식 방음벽
KR200496027Y1 (ko) 건설 현장용 소음 방지 패널
KR200496446Y1 (ko)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및 분진 차단용 패널장치
JP7403693B2 (ja) 改装建具
JP5362184B2 (ja) 制動装置付引戸装置
JP6412712B2 (ja) 出入口用建具
JP2004084237A (ja) カーテンウォ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