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6742B1 - Ac 전력선을 이용한 구내 통신시스템 - Google Patents

Ac 전력선을 이용한 구내 통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6742B1
KR101586742B1 KR1020140129245A KR20140129245A KR101586742B1 KR 101586742 B1 KR101586742 B1 KR 101586742B1 KR 1020140129245 A KR1020140129245 A KR 1020140129245A KR 20140129245 A KR20140129245 A KR 20140129245A KR 101586742 B1 KR101586742 B1 KR 101586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line
data
unit
communic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9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국
Original Assignee
(주)코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콤 filed Critical (주)코콤
Priority to KR1020140129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67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62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7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via DC power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62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91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using filtering and bypa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C 전력선을 이용한 구내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AC 전력선을 이용해 공동주택 단지 내의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면서 기기 간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AC 전력선을 이용한 구내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C 전력선을 이용한 구내 통신시스템은, 상용 AC 전력선과 구내 AC 전력선으로 이루어지는 2선의 AC 전력선; 상기 상용 AC 전력선의 종단에 일차 측이 연결되고 상기 구내 AC 전력선의 선단에 이차 측이 연결되어 상용 AC 전압을 더 낮은 AC 전압으로 감압하는 트랜스포머; 상기 구내 AC 전력선에서 분기되어 감압된 AC 전압을 기기의 작동에 필요한 DC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원부; 상기 구내 AC 전력선과 전원부 사이에서 분기되어 기기의 데이터를 구내 AC 전력선을 통해 다른 기기에 전송하고, 다른 기기로부터 구내 AC 전력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한 후 기기에 출력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전원부와 통신모듈에 연결되어 전원부로부터 DC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고, 통신모듈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AC 전력선을 이용한 구내 통신시스템 {Local communication system using an AC power line}
본 발명은 AC 전력선을 이용한 구내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AC 전력선을 이용해 공동주택 단지 내의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면서 기기 간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AC 전력선을 이용한 구내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구의 증가로 인해 주거 공간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공동주택 예를 들어 아파트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아파트는 실내에 모든 시설이 완비되어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므로 많은 사람이 살고 있는 공동주택으로서 한 형태를 이루고 있다.
종래 아파트를 시공할 때에는 전기선만 배선되면 되었으나, 최근에는 매체의 활용이 다양화, 고속화되면서 아파트를 시공함에 있어서도 전화선, 초고속 인터넷 전용선, CATV/MATV(master antenna television)용 케이블 등 전기선을 제외한 다양한 약전용 전선들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공동주택 내에서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고 기기 간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해, 현재 개별적으로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고 공통 6선 또는 공통 8선을 이용해 데이터 통신을 하도록 개발되어 있다.
도 1은 근래 개발된 구내 통신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기기는 상용전원 예를 들어 AC 220을 개별 전원으로 사용하여 작동하고, 기기 간에는 6선 또는 8선의 공통배선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하게 된다.
이 경우 종래 주택시장에는 과거에 판매되었던 개별 2선 공통전원 방식으로 입선되어 있으므로 구형 공통주택에서는 근래 개발된 구내 통신방식을 적용하기 위해 배관배선을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벽부에 매입된 정션박스(junction box)에 개별전원이 없는 구형 공통주택에서는 전원 설치가 힘들어서 교체를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에 DC선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데이터 통신을 하는 방식이 개시되어 있으나, DC 전원을 사용함으로 인해 거리에 따른 한계가 있고, DC선에 DC 전류가 계속 흐르면 노후화되어 동선이 검게 산화되는 등의 배선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선행특허문헌 등록번호 제10-0986120호에는 2선식 비디오폰시스템을 이용한 방문자의 감시제어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선행특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장치부(200)와 호출장치부(300) 간에 제1 및 제2통신선로(101)(102)를 통해서 무극성으로 이루어져, 모니터장치부(200)에서 호출장치부(300)에 공급되는 Vcc전원에 대해서 무극성으로 연결된다.
상기 모니터장치부(200)는 건물의 실내에 설치되며, 주로 아파트 및 주택의 경우에 있어서는 홈네트워크시스템의 일환으로 거실에 설치된다.
또한, 호출장치부(300)는 현관 또는 출입구에 설치되며, 아파트의 경우에 있어서는 현관의 벽면에 설치하고, 주택의 경우에 있어서는 출입구가 정문, 후문 등 2개소 이상일 경우에는 방문자가 빈번하게 찾아오는 적절한 1개소를 선정하여 설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방문자가 출입구에서 호출장치부(300)에 구비된 호출버튼(301)을 눌러서 집주인을 호출하게 되면, 이때 상기 제1 및 제2통신선로(101)(102)를 통해서 실내에 설치된 모니터장치부(200) 간에 전기적인 신호로 연결되어 호출신호가 스피커(203)로 출력된다.
또한, 상기 모니터장치부(200)에 제1 및 제2통신선로(101)(102)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는 호출장치부(300)로부터의 호출에 따른 개별적인 통화 또는 상기 호출장치부(300)에 구비된 카메라모듈(313)에서 촬상된 방문자의 영상정보를 화면부(223)로 지켜보면서 상기 방문자가 수상한 행동을 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감시제어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선행특허는 2선식으로 모니터장치부 및 호출장치부 간에 직류 전원(Vcc)의 공급을 비롯하여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의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DC 전원을 사용함으로 인해 거리 제약과 배선의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은 여전히 내포하고 있었다.
등록번호 제10-0986120호(등록일자 2010년10월01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공동주택 단지와 같은 구내 기기의 전원 공급 및 기기 간 데이터 통신을 위해 AC 전력선을 사용함으로써 전송거리를 확대할 수 있고 배선의 손실이 없는 AC 전력선을 이용한 구내 통신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목적은 공동주택 단지와 같은 구내 기기의 전원 공급 및 기기 간 데이터 통신을 위해 AC 전력선을 사용함으로써 배관 배선을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구형 공통주택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AC 전력선을 이용한 구내 통신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C 전력선을 이용한 구내 통신시스템은, 상용 AC 전력선과 구내 AC 전력선으로 이루어지는 2선의 AC 전력선;
상기 상용 AC 전력선의 종단에 일차 측이 연결되고 상기 구내 AC 전력선의 선단에 이차 측이 연결되어 상용 AC 전압을 더 낮은 AC 전압으로 감압하는 트랜스포머;
상기 구내 AC 전력선에서 분기되어 감압된 AC 전압을 기기의 작동에 필요한 DC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원부;
상기 구내 AC 전력선과 전원부 사이에서 분기되어 기기의 데이터를 구내 AC 전력선을 통해 다른 기기에 전송하고, 다른 기기로부터 구내 AC 전력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한 후 기기에 출력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전원부와 통신모듈에 연결되어 전원부로부터 DC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고, 통신모듈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기기;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2선의 상용 AC 전력선에 연결되어 주변으로의 신호 누설을 방지하는 블로킹 필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기는 기기마다 고유의 ID가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변조하고, 변조한 데이터를 기기의 고유 ID(자신 및 상대방)와 함께 송신부에 출력하는 변조부와,
상기 변조한 데이터와 기기의 고유 ID(자신 및 상대방)를 함께 구내 AC 전력선에 실어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구내 AC 전력선을 통해 변조한 데이터를 수신하되, 먼저 자신의 기기 고유 ID가 있는지 확인하여 자신의 기기 고유 ID가 있는 경우 변조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복조부에 전달하고, 자신의 기기 고유 ID가 없는 경우 변조한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로부터 변조한 데이터를 입력하여 복조하고, 복조된 데이터를 기기에 출력하는 복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은 무선데이터를 구내 AC 전력선을 통해 유선으로 송신하고 수신하는 무선 통신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부 하나에 전원분배기를 연결하여, 동일한 DC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다수의 기기에 한 전원부에서 출력된 DC 전원을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기기 하나에 하나의 전원부가 구비되어, 구내 AC 전력선과 각각의 기기 사이에 각각의 전원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공동주택 단지와 같은 구내 기기의 전원 공급 및 기기 간 데이터 통신을 위해 AC 전력선을 사용함으로써 전송거리를 확대할 수 있고 배선의 손실을 없앨 수 있다.
또한, 공동주택 단지와 같은 구내 기기의 전원 공급 및 기기 간 데이터 통신을 위해 AC 전력선을 사용함으로써 배관 배선을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구형 공통주택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도 1은 근래 개발된 구내 통신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2선 DC 방식을 적용한 통신 방식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내 통신시스템의 배선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통신모듈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내 통신시스템의 배선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선의 AC 전력선(L1,L2), 블로킹 필터(BF), 트랜스포머(TR), 다수의 전원부(12a,12b,…), 다수의 통신모듈(14a,14b,…) 및 다수의 기기(20a,2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2선의 AC 전력선은 상용 AC 전력선(L1)과 구내 AC 전력선(L2)으로 이루어진다.
외부에서 상용 AC 전원인 AC 220V나 AC 110V 전원을 공급하는 상용 AC 전력선(L1)에는 블로킹 필터(BF)(blocking filter)가 연결되고 그 종단 측에는 트랜스포머(TR)의 1차 측이 연결된다.
상기 상용 AC 전력선(L1)은 다른 이웃집이나 다른 공동주택 등과도 연결되어 어느 노이즈가 상용 AC 전력선(L1)을 통해 침입하면 넓은 범위에서 노이즈 장애가 나타날 위험이 있다.
블로킹 필터(BF)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연결된 것으로 주변으로의 신호 누설을 방지한다.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단지 내에 배선되는 구내 AC 전력선(L2)의 선단 측에는 트랜스포머(TR)의 2차 측이 연결되고 구내 AC 전력선(L2)에서 분기되어 전원부(12a,12b,…)와 통신모듈(14a,14b,…)이 연결된다.
상기 트랜스포머(TR)는 1차 측과 2차 측의 권회비에 따라 상용 AC 전력선(L1)의 AC 220V나 AC 110V 전원을 예를 들어 AC 20~48V로 감압하여 구내 AC 전력선(L2)에 공급한다.
상기 트랜스포머(TR)는 감압에 의해 AC 특성은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하되, 저압으로 위험 요소를 제거하며, 1차 측과 2차 측으로 분리되어 상기 블로킹 필터(BF)처럼 노이즈를 차단하는 기능을 겸한다.
상기 구내 AC 전력선(L2)에서 분기되어 연결되는 전원부(12a,12b,…)는 트랜스포머(12a,12b,…)에 의해 예를 들어 AC 20~48V로 감압된 전압을 구내 AC 전력선(L2)으로부터 입력받아 기기(20a,20b,…)가 작동할 수 있는 DC 전압으로 변환하여 기기(20a,20b,…)에 DC 전압을 출력한다.
상기 전원부(12a,12b,…)는 예를 들어 AC/DC 컨버터, 정류 및 평활회로, 직류 안정화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내 AC 전력선(L2)과 각 전원부(12a,12b,…) 사이에서 분기되어 콘덴서(C1,C2)를 통해 통신모듈(14a,14b,…)이 연결된다.
상기 콘덴서(C1,C2)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통신모듈(14a,14b,…)은 데이터를 변조하여 구내 AC 전력선(L2)을 통해 다른 기기에 전송하고, 다른 기기로부터 구내 AC 전력선(L2)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한 후 복조하여 자신에게 연결된 기기에 출력한다.
상기 통신모듈(14a,14b,…)은 유선 통신모듈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모듈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모듈(14a,14b,…)은 PLC 통신모듈, 홈 플러그 통신모듈, PPPoE 통신모듈, 지그비 통신모듈, 블루투스 통신모듈 또는 와이파이 통신모듈일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모듈은 무선데이터를 구내 AC 전력선(L2)을 통해 유선으로 송신하고 수신하게 된다.
상기 홈 플러그(Home Plug)는 홈 네트워크에서 전력선을 이용한 네트워킹 표준 기술이다.
PPPoE(Point-to-Point Protocol over Ethernet)는 이더넷 프레임 안에 PPP 프레임을 넣어 만들 때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로서, 사용자가 이더넷을 이용해서 ADSL 송수신 장비(모뎀)를 연결하는 ADSL 서비스에서 사용된다.
이와 같은 무선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하는 경우 사방으로 브로캐스팅(broadcasting)하는 방식이므로 특정 방향이 아닌 대상에게 데이터를 전달하게 된다.
그러나 본원발명에서는 무선 통신모듈도 AC 전력선(12)을 통해 데이터를 전달하므로 그 AC 전력선(12)이 깔려있는 유선을 통해 특정 방향의 대상에게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원발명은 종래 무선 통신의 경우보다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통신 거리를 늘릴 수 있다.
기기(20a,20b,…)는 구내 AC 전력선(L2)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기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예를 들어 비디오폰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니터장치와 호출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상기 기기(20a,20b,…)는 구내 AC 전력선(L2)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구내 AC 전력선(L2)에 연결된 전원부(12a,12b,…)로부터 DC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고, 구내 AC 전력선(L2)에 연결된 통신모듈(14a,14b,…)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한다.
상기 기기(20a,20b,…)는 각각 고유의 ID가 할당되어 한 기기에서 구내 AC 전력선(L2)을 통해 다른 기기로 데이터를 송신할 때 자신 및 상대방의 ID도 함께 송신한다.
도면에서는 한 기기에 전원부가 한 개 구비되어 일 대 일로 연결되는 것을 예를 들었으나, 다수의 기기가 하나의 DC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경우 하나의 전원부에 전원분배기를 연결하여 한 전원부에서 출력된 DC 전원을 다수의 기기에 분배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통신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모듈(14)은 송신부(141), 수신부(142), 변조부(143), 복조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술한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는 반드시 본 발명의 구현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신모듈(14)은 이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모듈(14)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예컨대, 변조부 및/또는 복조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나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변조부(143)는 기기(20)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변조하고, 변조한 데이터를 기기의 고유 ID(자신 및 상대방)와 함께 송신부(141)에 출력한다.
상기 송신부(141)는 변조한 데이터와 기기의 고유 ID(자신 및 상대방)를 함께 구내 AC 전력선(L2)에 실어 송신한다.
수신부(142)는 구내 AC 전력선(L2)을 통해 변조한 데이터를 수신하되, 먼저 자신의 기기 고유 ID가 있는지 확인하여 자신의 기기 고유 ID가 있는 경우 변조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복조부(144)에 전달하고, 자신의 기기 고유 ID가 없는 경우 변조한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다.
상기 복조부(144)는 변조한 데이터를 복조하여 복조된 데이터를 기기(20)에 출력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도 3에 나타낸 기기(20a)는 실내의 모니터장치이고, 기기(20b)는 현관의 호출장치라고 가정하여 기기 간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니터장치(20a)와 호출장치(20b)는 구내 AC 전력선(L2)과 전원부(12a,12b)를 통해 DC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 대기 상태에 있는다.
이때 방문자가 호출장치(20b)에 구비된 호출버튼을 눌러 호출을 하면, 호출 데이터가 구내 AC 전력선(L2)을 통해 모니터장치(20a)에 전달되어 호출음을 발생시킨다.
호출음이 발생한 모니터장치(20a)가 설치된 실내의 거주자는 방문자가 있음을 인식하고, 모니터장치(20a)에 구비된 송수화기를 들어 통화를 시도한다.
그 다음, 호출장치(20b)의 카메라에서 촬상된 방문자의 영상은 통신모듈(14b)의 변조부에서 변조되며, 방문자가 송수화기를 통해 말을 하면, 그 음성은 송수화기를 통해 음성신호로 변환되고, 그 음성신호는 역시 통신모듈(14b)의 변조부에서 변조되어 송신부를 통해 구내 AC 전력선(L2)에 전송된다.
상기와 같이 서로 다른 두 신호를 변조하여 동일한 구내 AC 전력선(L2)을 통해 전송할 수 있으며, 수신 측의 모니터장치(20a)에 연결된 통신모듈(14a)에서는 이를 복조하여 두 신호를 분리하여 영상과 음성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이처럼 구내 AC 전력선(L2)에 전송된 방문자의 음성신호와 영상신호는 다시 통신모듈(14a)의 수신부를 통해 복조부에 인가된다.
상기 복조부는 변조된 신호를 복조하여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로 분리하며, 영상신호는 모니터장치(20a)의 표시부에 표시되어 거주자가 현관의 방문자의 영상을 통해 방문자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복조된 방문자의 음성신호는 송수화기의 수화기를 통해 거주자가 들을 수 있도록 재생하며, 거주자는 방문자의 방문목적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신호 흐름과는 반대로 모니터장치(20a)의 거주자 음성은 송수화기의 송화기를 통해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거주자의 전기적인 음성신호는 모니터장치(20a)에 연결된 통신모듈(14a)의 변조부에서 변조되어 송신부를 통해 구내 AC 전력선(L2)에 송신된다.
상기 거주자의 음성신호는 호출장치(20b)에 연결된 통신모듈(14b)의 복조부에서 복조되어 송수화기의 수화기를 통해 방문자에게 전달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송신신호의 변조와 수신신호의 복조를 수행함과 아울러 2선의 AC 전력선을 통해 음성, 영상 및 호출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2: 전원부 14: 통신모듈
20: 기기 BF: 블로킹 필터
C1,C2: 콘덴서 L1: 상용 AC 전력선
L2: 구내 AC 전력선 TR: 트랜스포머

Claims (7)

  1. 상용 AC 전력선과 구내 AC 전력선으로 이루어지는 2선의 AC 전력선;
    상기 상용 AC 전력선의 종단에 일차 측이 연결되고 상기 구내 AC 전력선의 선단에 이차 측이 연결되어 상용 AC 전압을 더 낮은 AC 전압으로 감압하는 트랜스포머;
    상기 구내 AC 전력선에서 분기되어 감압된 AC 전압을 기기의 작동에 필요한 DC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원부;
    상기 구내 AC 전력선과 전원부 사이에서 분기되어 기기의 데이터를 구내 AC 전력선을 통해 다른 기기에 전송하고, 다른 기기로부터 구내 AC 전력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한 후 기기에 출력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전원부와 통신모듈에 연결되어 전원부로부터 DC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고, 통신모듈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기기;
    를 포함하되,
    상기 기기는 기기마다 고유의 ID가 할당되고,
    상기 통신모듈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변조하고, 변조한 데이터를 기기의 고유 ID(자신 및 상대방)와 함께 송신부에 출력하는 변조부와,
    상기 변조한 데이터와 기기의 고유 ID(자신 및 상대방)를 함께 구내 AC 전력선에 실어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구내 AC 전력선을 통해 변조한 데이터를 수신하되, 먼저 자신의 기기 고유 ID가 있는지 확인하여 자신의 기기 고유 ID가 있는 경우 변조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복조부에 전달하고, 자신의 기기 고유 ID가 없는 경우 변조한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로부터 변조한 데이터를 입력하여 복조하고, 복조된 데이터를 기기에 출력하는 복조부를 포함하는 AC 전력선을 이용한 구내 통신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선의 상용 AC 전력선에 연결되어 주변으로의 신호 누설을 방지하는 블로킹 필터가 더 구비되는 AC 전력선을 이용한 구내 통신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무선데이터를 구내 AC 전력선을 통해 유선으로 송신하고 수신하는 무선 통신모듈인 AC 전력선을 이용한 구내 통신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 하나에 전원분배기를 연결하여, 동일한 DC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다수의 기기에 한 전원부에서 출력된 DC 전원을 분배하는 AC 전력선을 이용한 구내 통신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하나에 하나의 전원부가 구비되어, 구내 AC 전력선과 각각의 기기 사이에 각각의 전원부가 연결되는 AC 전력선을 이용한 구내 통신시스템.
KR1020140129245A 2014-09-26 2014-09-26 Ac 전력선을 이용한 구내 통신시스템 KR101586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245A KR101586742B1 (ko) 2014-09-26 2014-09-26 Ac 전력선을 이용한 구내 통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245A KR101586742B1 (ko) 2014-09-26 2014-09-26 Ac 전력선을 이용한 구내 통신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6742B1 true KR101586742B1 (ko) 2016-01-20

Family

ID=55308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9245A KR101586742B1 (ko) 2014-09-26 2014-09-26 Ac 전력선을 이용한 구내 통신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674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120B1 (ko) 2008-10-24 2010-10-08 (주) 코콤 2선식 비디오폰시스템을 이용한 방문자의 감시제어장치
JP2011040829A (ja) * 2009-08-06 2011-02-24 Sumitomo Electric Ind Ltd 電力線通信装置、通信機能付き電源回路、電気機器及び制御監視システム
KR101217498B1 (ko) * 2012-03-26 2013-01-02 (주)에스텍씨엔씨 Plc와 무선통신의 융합기술을 사용한 유비쿼터스 전압 조절장치
JP2014003600A (ja) * 2012-05-25 2014-01-09 Yoshikawa Rf Semicon Co Ltd 電力線通信システム
KR101377206B1 (ko) * 2012-10-16 2014-03-25 한국전기연구원 블로킹 필터가 내장된 전력선 통신용 리피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120B1 (ko) 2008-10-24 2010-10-08 (주) 코콤 2선식 비디오폰시스템을 이용한 방문자의 감시제어장치
JP2011040829A (ja) * 2009-08-06 2011-02-24 Sumitomo Electric Ind Ltd 電力線通信装置、通信機能付き電源回路、電気機器及び制御監視システム
KR101217498B1 (ko) * 2012-03-26 2013-01-02 (주)에스텍씨엔씨 Plc와 무선통신의 융합기술을 사용한 유비쿼터스 전압 조절장치
JP2014003600A (ja) * 2012-05-25 2014-01-09 Yoshikawa Rf Semicon Co Ltd 電力線通信システム
KR101377206B1 (ko) * 2012-10-16 2014-03-25 한국전기연구원 블로킹 필터가 내장된 전력선 통신용 리피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79199A1 (en)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Used in the System
EP1955445B1 (en)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used in the system
JP2004236083A (ja) テレビドアホンシステム
KR100813010B1 (ko) 반이중 방식으로 영상 신호를 송신하고 전이중 방식으로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신호 전송용 모뎀
JP4819732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1586742B1 (ko) Ac 전력선을 이용한 구내 통신시스템
JPS6367088A (ja) 集合住宅用ドアホンカメラシステム
JP2005151384A (ja) ドアホン線を利用した通信装置
JP2014195219A (ja) 信号分岐器
KR100734243B1 (ko) 광대역 전력선통신 및 지그비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구축시스템
JP4989442B2 (ja)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09302855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05260359A (ja) 集合住宅用監視・通話システム
JP3850269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及びその構築方法
JP4682941B2 (ja) 映像伝送システム
JP3721707B2 (ja) テレビドアホンシステム
JPH11196481A (ja) 遠隔監視システム
JP3944139B2 (ja) テレビドアホン装置
JP2008061179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0649451B1 (ko) 광 동축 혼합망을 이용한 전력선 통신 시스템 및 상기전력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통신 장비
JP7412857B2 (ja) 環境情報伝送システム
JP3183014B2 (ja) テレビドアホン装置
JP2008061005A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H08181979A (ja) テレビドアホン装置
JP6430165B2 (ja) 壁面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