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2047B1 - 고추 CaAIP1을 이용한 식물체의 건조 스트레스 저항성 증진방법 - Google Patents

고추 CaAIP1을 이용한 식물체의 건조 스트레스 저항성 증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2047B1
KR101582047B1 KR1020140118704A KR20140118704A KR101582047B1 KR 101582047 B1 KR101582047 B1 KR 101582047B1 KR 1020140118704 A KR1020140118704 A KR 1020140118704A KR 20140118704 A KR20140118704 A KR 20140118704A KR 101582047 B1 KR101582047 B1 KR 101582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aip1
val
ser
leu
g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8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철
임채우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18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0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1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2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plant cells, e.g. plant artificial chromosomes (PACs)
    • C12N15/824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 C12N15/826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 C12N15/827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 C12N15/8273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for drought, cold, salt resist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ll B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체의 건조 스트레스 저항성 관련 고추유래의 유전자 CaAIP1(Capsicum ABA-induced protein phosphatase 1)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CaAIP1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하여 식물체의 건조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CaAIP1이 과발현된 형질전환 식물체(CaAIP1-OX)에서, 앱시스산에 대한 민감도 감소효과, 건조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 감소효과를 확인하였는바, 인류가 이용할 수 있는 작물 등의 개량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고추 CaAIP1을 이용한 식물체의 건조 스트레스 저항성 증진방법 {Method for improving the resistance to the drought stress using CaAIP1 in plants}
본 발명은 고추유래의 유전자 CaAIP1(Capsicum ABA-induced protein phosphatase 1) 및 이를 이용한 식물체의 건조 스트레스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CaAIP1의 발현을 조절하여 식물체의 건조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조(drought) 상태와 같은 환경 스트레스들은 직접적으로 곡물의 성장 및 생산에 해로운 효과들을 야기한다. 특히, 오늘날 사막화가 진행됨에 따라 물 부족이 농업과 환경에 큰 문제점을 초래하고 있으며, 이에 물을 적게 사용하여도 건조한 환경에서 견디고 살 수 있는 식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기술이 개발되어 작물에 적용되면 농업 생산량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며, 특히 건조한 지역의 경우, 건조 저항성이 향상된 식물, 즉 증산 작용을 낮출 수 있는 식물들은 생존에 유리하므로, 농업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환경이 매우 건조한 지역에서 환경정화에도 유용할 수 있다.
한편, 식물은 가뭄, 염, 추위, 더위, 병충해 등의 다양한 환경적 스트레스에 자주 노출되기 때문에 스트레스의 해로운 효과에 대처하는 생리학적, 생화학적, 분자적 방어 기작을 발전시켜왔으며, 특히 앱시스산(abscisic acid: ABA) 신호 변환 조절은 식물이 상기 스트레스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한다. 보고된 바에 의하면, 앱시스산을 미리 처리하고 스트레스를 준 식물은 그렇지 않은 식물에 비해 스트레스에 잘 저항하는 반면 앱시스산을 생성하지 못하거나, 앱시스산에 반응하지 못하는 돌연변이 식물들은 스트레스에 약한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앱시스산의 반응에 관여하는 단백질들을 이용하면,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이 향상된 식물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에, 식물체의 건조 또는 염 저항성 증진방법이 주요한 과제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앱시스산의 반응에 관여하는 단백질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한국 특허 공개번호 10-2010-0040789),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ABA 또는 건조 스트레스에 의한 CaAIP1 유전자 발현 증가효과, CaAIP1이 과발현된 형질전환 식물체(CaAIP1-OX)의 앱시스산 민감도 감소효과, 및 건조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 감소효과를 확인하고,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고추 유래의 건조 스트레스 저항성 단백질을 코딩하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유전자 CaAIP1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유전자 CaAIP1에 의해 코딩되는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의 펩티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CaAIP1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체의 건조 저항성 증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에 의해 건조 스트레스 저항성이 증진된 형질 전환 식물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추 유래의 건조 스트레스 저항성 단백질을 코딩하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유전자 CaAIP1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유전자 CaAIP1에 의해 코딩되는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의 펩티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CaAIP1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체의 건조 저항성 증진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건조 스트레스 저항성이 증진된 형질 전환 식물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후보 물질을 처리한 후, CaAIP1 단백질의 발현 여부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체의 건조 스트레스 저항성 증진제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식물체의 건조 스트레스 저항성 관련 고추유래의 유전자 CaAIP1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CaAIP1이 과발현된 형질전환 식물체(CaAIP1-OX)의 앱시스산 민감도 감소효과, 건조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 감소효과를 확인하였는바, CaAIP1 발현조절을 통해 인류가 이용할 수 있는 작물 등의 개량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CaAIP1(Capsicum ABA-induced protein phosphatase 1) 단백질서열 내 중요 도메인의 위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고추 CaAIP1AtHAB1, SlABI2 homolog, TcABI1 isoform, MtABI1B, PbABI1B, GmPP2C-16 유사체간의 아미노산 서열을 비교한 결과이다.
도 3은 고추 CaAIP1AtHAB1, SlABI2 homolog, TcABI1 isoform, MtABI1B, PbABI1B, GmPP2C-16 유사체간의 phylogenetic tree analysis 결과이다.
도 4는 (A) ABA 또는 (B) 건조 스트레스 조건에서, CaAIP1 발현량의 변화를 qRT-PCR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이다.
도 5는 고추 CaAIP1의 세포내 발현 및 작용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CaAIP1-GFP 발현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6은 CaAIP1이 과발현된 형질전환 애기장대 식물체(CaAIP1-OX #5, #8)에서 (A) CaAIP1 발현 및 (B) 외관을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이다.
도 7은 ABA 스트레스 조건에서, CaAIP1이 과발현된 형질전환 애기장대 식물체 및 야생형인 대조군간 (A) 발아율, (B) 녹색 자엽의 비율을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C) 녹색 자엽의 비율을 수치화한 결과, (D) 뿌리길이를 수치화한 결과, 및 (E) 뿌리길이를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이다.
도 8은 건조 스트레스 조건에서, CaAIP1이 과발현된 형질전환 애기장대 종자 및 야생형인 대조군간 (A) 생존률, (B) 수분 손실량, 및 (C) 기공개도를 비교한 결과이다.
본 발명자들은, 건조 또는 ABA 스트레스 조건에서 CaAIP1 발현 증가, CaAIP1이 과발현된 형질전환 애기장대에서 앱시스산 민감도 감소효과, 및 건조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 감소효과를 확인하고,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고추 유래의 건조 스트레스 저항성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 CaAIP1 또는 유전자 CaAIP1에 의해 코딩되는 펩티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전자인 CaAIP1은 Differential hybridization analysis를 통하여 고추로부터 분리하였으며, serine/threonine phosphatase catalytic domain을 갖는 type 2C protein phosphatase의 일종이다. 또한, 본 발명의 CaAIP1 유전자는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CaAIP1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펩티드는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2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CaAIP1 유전자의 비-생물적 스트레스에 대한 새로운 기능을 밝히기 위해 연구하던 중, CaAIP1 유전자가 앱시스산(abscisic acid: ABA), 건조(탈수) 스트레스에 노출된 고추 잎에서 강하게 유도된다는 사실을 밝혀냈으며(실시예 2 참조), 앱시스산의 민감도가 증가할 수록 기공폐쇄를 촉진하여, 건조 저항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사실에 기반하여, 앱시스 산 또는 건조 스트레스와 CaAIP1 유전자간의 연관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CaAIP1 단백질과 다른 Protein phosphatase간 아미노산 서열의 상동성(실시예 1 참조)을 확인하였다. 또한, CaAIP1이 과발현된 형질전환 애기장대를 제조하여(실시예 3 참조), 앱시스산 민감도 감소효과, 건조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 감소효과(실시예 4 내지 5 참조)를 확인함으로써 CaAIP1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하여 건조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밝혀냈다.
따라서, 본 발명은 CaAIP1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체의 건조 스트레스 저항성 증진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증진방법에서는, CaAIP1 유전자의 서열, 상기 서열에 상보적인 서열 또는 상기 유전자 서열의 단편에 대한 mRNA에 상보적으로 결합하여 발현을 억제하는 siRNA(small interference RNA), shRNA(short hairpin RNA), miRNA(microRNA), 리보자임(ribozyme), DNAzyme, PNA(peptide nucleic acids), 안티센스 뉴클레오티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으며, CaAIP1 단백질에 상보적으로 결합하여 활성을 억제하는 화합물로서, 펩티드(Peptide), 펩티드 미메틱스(Peptide Minetics), 항체, 또는 압타머(aptamer)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CaAIP1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이 억제되어 건조 스트레스 저항성이 증진된 형질전환 식물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체는 벼, 밀, 보리, 옥수수, 콩, 감자, 팥, 귀리, 수수를 포함하는 식량작물류; 애기장대, 배추, 무, 고추, 딸기, 토마토, 수박, 오이, 양배추, 참외, 호박, 파, 양파, 당근을 포함하는 채소작물류; 인삼, 담배, 목화, 참깨, 사탕수수, 사탕무우, 들깨, 땅콩, 유채를 포함하는 특용작물류; 사과나무, 배나무, 대추나무, 복숭아, 양다래, 포도, 감귤, 감, 자두, 살구, 바나나를 포함하는 과수류; 장미, 글라디올러스, 거베라, 카네이션, 국화, 백합, 튤립을 포함하는 화훼류; 및 라이그라스, 레드클로버, 오차드그라스, 알파알파, 톨페스큐, 페레니얼라이그라스를 포함하는 사료작물류 등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애기장대(Arabidopsis)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CaAIP1 서열 상동성 분석
본 발명자들은 고추 CaAIP1 아미노산 서열이 다른 Protein phosphatase와 어느 정도 유사성을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Multiple alignment analysis 및 phylogenetic tree analysis를 실시하였다. 고추 CaAIP1의 아미노산 서열과 AtHAB1, SlABI2 homolog, TcABI1 isoform, MtABI1B, PbABI1B, GmPP2C-16 유사체간의 아미노산 서열의 상동성을 비교하였다.
도 2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추 CaAIP1 아미노산 서열은 타종의 ABI1, ABA2,HAB1 단백질과 높은 상동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ABA 또는 건조 스트레스에 의한 CaAIP1 유전자의 유도
CaAIP1 유전자가 ABA 또는 건조(drought) 스트레스에 의해 촉진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qRT-PCR을 통하여 상기 조건하에서, CaAIP1 유전자 발현양상을 확인하였다.
ABA (100μM), drought(탈수)을 각각 처리한 후, 샘플링한 고추 잎으로부터 RNA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RNA 샘플은 genomic DNA를 제거하기 위하여 RNA-free DNase 처리를 하였으며, -20℃에서 보관되었다. reverse transcription PCR을 위하여, Transcript First Strand cDNA Synthesis kit (Roche)를 이용하였다. 이와 동시에 역전사 효소없이 PCR을 수행하고, cDNA 샘플에서 genomic DNA의 오염을 재확인하기 위한 qRT-PCR에 PCR 산물을 사용하였다. 합성한 cDNA는 iQTMSYBR Green Supermix 및 하기 표 1에 나타낸 특이 프라이머와 함께 CFX96 Touch™ Real-Time PCR detection system (Bio-Rad, Hercules, CA, USA)을 이용하여 증폭시켰다. 모든 반응은 세 번 반복하여 수행하였으며, PCR 조건은 다음과 같다: 95℃에서 5분 가열 후, [95℃에서 20초, 60℃에서 20초, 72℃에서 20초]를 한 사이클로 하여 45 사이클 반복. qRT-PCR은 반복 실험(biological 및 technical replicate)을 각각 적어도 두 번씩 수행하였다. 각 유전자의 상대적 발현량은 ΔΔCt 방법(Livak and Schmittgen 2001)으로 계산하였으며, 타겟 유전자 발현의 정확한 측정을 위해 내부 대조군 유전자( 18S rRNA)를 정규화에 이용하였다.
상기 결과는 CaAIP1 유전자의 발현은 ABA 및 건조 스트레스와 밀접한 관련성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Figure 112014085243911-pat00001
실시예 3. CaAIP1 단백질의 세포내 발현 및 작용 위치 조사
CaAIP1 단백질의 세포내 발현 및 작용 위치를 조사하기 위하여, 종결코돈을 갖지 않는 CaAIP1 전장 cDNA의 C-말단에 형광단백질인 Green flourescent protein (GFP)을 결합시켜 cauliflower mosaic virus (CaMV) 35S 프로모터 하에서 발현되도록 벡터를 구축하였다. 일시 발현을 위해서, 상기 CaAIP1-GFP가 삽입된 벡터를 갖는 Agrobacterium tumefaciens 균주 GV3101를 p19 균주와 혼합하여 유전자 silencing을 피하고, 1ml needless 주사기를 사용하여 5주된 Nicotiana benthamiana 잎의 배축면에 주입하였다. 현미경 분석을 위해 잎절편을 주입 2일 후에 잘랐다. 하부 표피세포를 LSM Image Browser software로 조작되는 공초점 현미경(model Zeiss 510 UV/Vis Meta)으로 분석하였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ABA 스트레스 조건에서 CaAIP1 유전자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6시간 경과한 때에 CaAIP1 유전자 발현이 가장 높았다. 탈수처리에 의한 건조 스트레스 조건에서도 CaAIP1 유전자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마찬가지로 6시간 경과한 때에 CaAIP1 유전자 발현이 가장 높았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CaAIP1는 세포의 핵 및 세포질 모두에서 발현 또는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4. CaAIP1 과발현 애기장대 돌연변이 식물체의 제조
CaAIP1 유전자에 대해 식물체 내에서의 그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 모델식물인 애기장대에 형질전환하였다. CaMV 35S promoter와의 결합으로 CaAIP1 유전자가 과발현될 수 있게 벡터를 구축하고 Agrobacterium에 형질전환하여 최종적으로 애기장대에 형질전환을 시도하여 2 라인(#5, #8)을 선발하였고, 과발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semi-quntitative RT-PCR을 수행하였으며, 발아 후 3주된 식물체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야생형(WT)인 대조군에서는 CaAIP1 유전자가 검출되지 않은 반면, 본 실시예에서 제조된 CaAIP1이 과발현된 형질전환 애기장대 식물체(CaAIP1-OX #5, #8)에서는 CaAIP1 유전자가 높게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CaAIP1이 과발현된 형질전환 애기장대 식물체는 야생형인 대조군에 비해 다소 작게 자라는 특성을 보였다.
실시예 5. CaAIP1 과발현 애기장대 돌연변이 식물체의 ABA 스트레스에 대한 감소된 민감도 확인
ABA 민감도에 대한 CaAIP1 유전자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하여 CaAIP1이 과발현된 형질전환 애기장대 식물체(CaAIP1-OX #5, #18)와 야생형(WT)인 대조군간의 발아율, 녹색 자엽의 비율, 및 뿌리의 길이를 비교하였다.
각 농도별 ABA(0, 0.75, 1.00, 1.25, 1.50, 2.00 μM)가 함유된 ㅍ MS 배지에 종자를 치상(planting)하고, 이 후 2일, 4일째 발아율을 측정하였으며, 상기 실험은 50개의 종자(seed)를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독립적으로 3번 반복 수행하였다. 또한, ABA(0, 1.25 μM)가 함유된 ㅍ MS 배지에 종자를 치상(planting)한 후, 7일째 녹색 자엽의 비율을 측정하였으며, 상기 실험은 40개의 종자(seed)를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독립적으로 3번 반복 수행하였다. 아울러, 상기 녹색 자엽의 비율 측정을 위한 조건과 마찬가지로 치상 후 7일 째, 뿌리 길이를 측정하였으며, 상기 실험은 독립적으로 3번 반복 수행하였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ABA의 처리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CaAIP1이 과발현된 형질전환 및 야생형 애기장대 묘목의 발아율, 녹색 자엽의 비율, 및 뿌리 길이는 감소하였으나, CaAIP1이 과발현된 형질전환 애기장대는 야생형인 대조군과 비교하여 높은 발아율, 녹색 자엽의 비율을 보였으며, 뿌리 길이가 더디게 감소하였다.
상기 결과는 CaAIP1 유전자가 과발현된 애기장대에서 앱시스산(ABA)에 대한 민감도가 감소되었음을 의미한다.
실시예 6. CaAIP1 과발현 애기장대 돌연변이 식물체의 건조 스트레스에 대한 감소된 저항성 확인
건조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에서 CaAIP1 유전자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해, 건조 스트레스 조건에서 CaAIP1-OX 애기장대 및 야생형인 대조군간의 생존률, 수분 손실량, 및 기공개도(Stomatal aperture)를 비교하였다.
3주된 CaAIP1이 과발현된 형질전환 및 야생형 애기장대 식물체에 대하여 11일 동안 물주기를 중단함으로써 탈수 스트레스를 주었다. 이 후, 탈수로부터 회복되도록 2일 동안 다시 식물체에 물을 주고, 수화된 녹색 잎을 가지는 식물체의 생존률을 확인하였으며, 뿌리를 채취하여 수분 손실량을 확인하였다. 또한, 4주된 CaAIP1이 과발현된 형질전환 및 야생형 애기장대 식물체로부터 채취한 잎을 ABA(0, 10, 20 μM)이 포함된 SOS buffer에 배양시킨 후, 현미경을 통하여 기공개도를 측정하였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조 스트레스 조건에서 CaAIP1이 과발현된 형질전환 애기장대는 야생형인 대조군과 비교하여 낮은 생존률(13.3±6.7%, 20.1±10.3%)을 확인하였고, 높은 수분 손실, 및 낮은 기공 폐쇄를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는 CaAIP1 유전자가 과발현된 애기장대에서 탈수 처리에 의한 건조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이 감소되었음을 의미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Chung-Ang University Industry-Academy Cooperation Foundation <120> Method for improving the resistance to the drought stress using CaAIP1 in plants <130> CAU20141517_PB14-12161 <160> 6 <170> KopatentIn 2.0 <210> 1 <211> 163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aAIP1 <400> 1 atggacgaga tttctccagc tgttgctgtt acactcagct taagcaactc tatctgtgat 60 aaccctgcac tttcgaacca tgtagaaatc acaaggctca aattagtgac tgacacagct 120 agcttacttt cagatcccgc atctttgttg catgctgagt caaatactgg ttgggatgga 180 aatagcaacg gtatgaaagt tgaggttggt agagttccct tgttgatgct aggagaaagc 240 tctggaaaat gtagtctgcc gcagactgta ttgggagctg aaaatggcct gattgttagc 300 gatagtatca ttcaggaaaa tgatgaagac gaggttttat ctgttggaga ggatccatgt 360 ggaattaacg gtgaggagtt gttgccactg ggcgctagct tgcagttaag cttgccaatt 420 gctgttgaaa ttgagggtat tgacaatggt caaatagttg ccaaagtcat aagtttggaa 480 gaacggagtt ttgagagaaa tgtcagtaat accgtagctg ctctcccaga cgatgaaatt 540 actagtggcc ctacgctaaa ggcatctgta gtggcccttc cattgcccag tgagaaggag 600 cccgtcaaag agagtgtcaa gagtgtcttt gaattggaat gtgttccact ctggggttct 660 gtatctatct gtggaaagag accggaaatg gaggatgctc ttatggctgt tcctaatttt 720 atgaaaattc ctatcaagat gtttattggt gatcgtgtga ttgatggact aagtcaaagt 780 ttgagtcacc tgacgtctca tttttacgga gtatatgatg gccatggagg atcacaggtt 840 gcggattatt gccgtaaacg tgttcatctg gcattaattg aggagttaaa acgtccgaaa 900 catgatttgg tggacggaag tgctagggat acccgtcagg tgcagtggga ggaggtcttt 960 actaattgct ttctcagggt tgacgatgaa gttgggggaa aggtgaacat ggatctctgt 1020 gatgacaaca taaatacctc tagctgcacc tctgaaccta ttgccccaga gactgttggg 1080 tccactgcgg ttgtagcggt catttgttca tctcatatta tagttgctaa ttgtggggat 1140 tcaagagcag tcctttaccg tggcaaagaa gcagtggctc tgtcaattga tcataaacca 1200 agcagagaag atgagtatgc cagaattgaa gcatctggtg gcaaggtcat tcaatggaat 1260 ggacatcgtg tatttggcgt gcttgcaatg tcaagatcta ttggtgacag atatttgaaa 1320 ccatggatta tacctgaacc agaagttatg tttgtaccac gtgctagaga agatgaatgc 1380 ctagttttgg cgagtgacgg gttgtgggat gtgatgacaa aagaggaagt ctgtgaagtg 1440 gctaggcgaa gaattctgct gtggcacaaa aagaatggga gtaaccctct gccggaaagg 1500 ggccagggag tggatcctgc tgcacaagca gcagcggagt atctttcatc gatggctctt 1560 caaaaaggca gcaaagacaa tatttcagtg attgtggtgg accttaaaac tcacaggaag 1620 ttcaagatca aaagttag 1638 <210> 2 <211> 54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aAIP1 protein <400> 2 Met Asp Glu Ile Ser Pro Ala Val Ala Val Thr Leu Ser Leu Ser Asn 1 5 10 15 Ser Ile Cys Asp Asn Pro Ala Leu Ser Asn His Val Glu Ile Thr Arg 20 25 30 Leu Lys Leu Val Thr Asp Thr Ala Ser Leu Leu Ser Asp Pro Ala Ser 35 40 45 Leu Leu His Ala Glu Ser Asn Thr Gly Trp Asp Gly Asn Ser Asn Gly 50 55 60 Met Lys Val Glu Val Gly Arg Val Pro Leu Leu Met Leu Gly Glu Ser 65 70 75 80 Ser Gly Lys Cys Ser Leu Pro Gln Thr Val Leu Gly Ala Glu Asn Gly 85 90 95 Leu Ile Val Ser Asp Ser Ile Ile Gln Glu Asn Asp Glu Asp Glu Val 100 105 110 Leu Ser Val Gly Glu Asp Pro Cys Gly Ile Asn Gly Glu Glu Leu Leu 115 120 125 Pro Leu Gly Ala Ser Leu Gln Leu Ser Leu Pro Ile Ala Val Glu Ile 130 135 140 Glu Gly Ile Asp Asn Gly Gln Ile Val Ala Lys Val Ile Ser Leu Glu 145 150 155 160 Glu Arg Ser Phe Glu Arg Asn Val Ser Asn Thr Val Ala Ala Leu Pro 165 170 175 Asp Asp Glu Ile Thr Ser Gly Pro Thr Leu Lys Ala Ser Val Val Ala 180 185 190 Leu Pro Leu Pro Ser Glu Lys Glu Pro Val Lys Glu Ser Val Lys Ser 195 200 205 Val Phe Glu Leu Glu Cys Val Pro Leu Trp Gly Ser Val Ser Ile Cys 210 215 220 Gly Lys Arg Pro Glu Met Glu Asp Ala Leu Met Ala Val Pro Asn Phe 225 230 235 240 Met Lys Ile Pro Ile Lys Met Phe Ile Gly Asp Arg Val Ile Asp Gly 245 250 255 Leu Ser Gln Ser Leu Ser His Leu Thr Ser His Phe Tyr Gly Val Tyr 260 265 270 Asp Gly His Gly Gly Ser Gln Val Ala Asp Tyr Cys Arg Lys Arg Val 275 280 285 His Leu Ala Leu Ile Glu Glu Leu Lys Arg Pro Lys His Asp Leu Val 290 295 300 Asp Gly Ser Ala Arg Asp Thr Arg Gln Val Gln Trp Glu Glu Val Phe 305 310 315 320 Thr Asn Cys Phe Leu Arg Val Asp Asp Glu Val Gly Gly Lys Val Asn 325 330 335 Met Asp Leu Cys Asp Asp Asn Ile Asn Thr Ser Ser Cys Thr Ser Glu 340 345 350 Pro Ile Ala Pro Glu Thr Val Gly Ser Thr Ala Val Val Ala Val Ile 355 360 365 Cys Ser Ser His Ile Ile Val Ala Asn Cys Gly Asp Ser Arg Ala Val 370 375 380 Leu Tyr Arg Gly Lys Glu Ala Val Ala Leu Ser Ile Asp His Lys Pro 385 390 395 400 Ser Arg Glu Asp Glu Tyr Ala Arg Ile Glu Ala Ser Gly Gly Lys Val 405 410 415 Ile Gln Trp Asn Gly His Arg Val Phe Gly Val Leu Ala Met Ser Arg 420 425 430 Ser Ile Gly Asp Arg Tyr Leu Lys Pro Trp Ile Ile Pro Glu Pro Glu 435 440 445 Val Met Phe Val Pro Arg Ala Arg Glu Asp Glu Cys Leu Val Leu Ala 450 455 460 Ser Asp Gly Leu Trp Asp Val Met Thr Lys Glu Glu Val Cys Glu Val 465 470 475 480 Ala Arg Arg Arg Ile Leu Leu Trp His Lys Lys Asn Gly Ser Asn Pro 485 490 495 Leu Pro Glu Arg Gly Gln Gly Val Asp Pro Ala Ala Gln Ala Ala Ala 500 505 510 Glu Tyr Leu Ser Ser Met Ala Leu Gln Lys Gly Ser Lys Asp Asn Ile 515 520 525 Ser Val Ile Val Val Asp Leu Lys Thr His Arg Lys Phe Lys Ile Lys 530 535 540 Ser 545 <210> 3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aAIP1-Forward <400> 3 atgaaagttg aggttggtag agttcct 27 <210> 4 <211> 2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aAIP1-Reverse <400> 4 ctaacttttg atcttgaact tcctgtgag 29 <210> 5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S rRNA-Forward <400> 5 tatggtgtgc accggtcgtc tcgt 24 <210> 6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S rRNA-Reverse <400> 6 gcagttgttc gtctttcata aatccaa 27

Claims (4)

  1. 고추 유래의 건조 스트레스 저항성 단백질을 코딩하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CaAIP1(Capsicum ABA-induced protein phosphatase 1) 유전자.
  2. 제 1항에 기재된 CaAIP1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의 펩티드.
  3.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aAIP1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체의 건조 스트레스 저항성 증진방법.
  4. 제 3항의 방법에 의해 건조 스트레스 저항성이 증진된 형질 전환 식물체.





KR1020140118704A 2014-09-05 2014-09-05 고추 CaAIP1을 이용한 식물체의 건조 스트레스 저항성 증진방법 KR101582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8704A KR101582047B1 (ko) 2014-09-05 2014-09-05 고추 CaAIP1을 이용한 식물체의 건조 스트레스 저항성 증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8704A KR101582047B1 (ko) 2014-09-05 2014-09-05 고추 CaAIP1을 이용한 식물체의 건조 스트레스 저항성 증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2047B1 true KR101582047B1 (ko) 2016-01-04

Family

ID=55164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8704A KR101582047B1 (ko) 2014-09-05 2014-09-05 고추 CaAIP1을 이용한 식물체의 건조 스트레스 저항성 증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20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635B1 (ko) * 2016-10-07 2018-07-0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추 E3 ligase CaDSR1을 이용한 식물체의 건조 스트레스 저항성 증진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4993A (ko) * 2009-12-09 2011-06-1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환경 스트레스 내성 유도 고추 유전자 CaBI-1
KR20110121266A (ko) * 2010-04-30 2011-11-0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Aba 호르몬을 통해 식물의 스트레스 반응을 조절하는 유전자 및 형질전환 식물체
KR20140011129A (ko) * 2012-07-17 2014-01-2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가뭄 스트레스 저항성 관련 유전자 및 형질전환 식물체
KR20140036376A (ko) * 2012-09-12 2014-03-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 스트레스 내성과 관련된 신규 유전자 및 그의 용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4993A (ko) * 2009-12-09 2011-06-1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환경 스트레스 내성 유도 고추 유전자 CaBI-1
KR20110121266A (ko) * 2010-04-30 2011-11-0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Aba 호르몬을 통해 식물의 스트레스 반응을 조절하는 유전자 및 형질전환 식물체
KR20140011129A (ko) * 2012-07-17 2014-01-2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가뭄 스트레스 저항성 관련 유전자 및 형질전환 식물체
KR20140036376A (ko) * 2012-09-12 2014-03-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 스트레스 내성과 관련된 신규 유전자 및 그의 용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635B1 (ko) * 2016-10-07 2018-07-0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추 E3 ligase CaDSR1을 이용한 식물체의 건조 스트레스 저항성 증진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o et al. KNOX protein KNAT1 regulates fruitlet abscission in litchi by repressing ethylene biosynthetic genes
KR100833473B1 (ko) 개화시기에 관여하는 조절 유전자 svp
KR101354035B1 (ko) 식물체의 한발 스트레스 저항성을 증가시키는 OsbHLH148 유전자 및 이의 용도
KR101608175B1 (ko) 고추 RING Finger 단백질 유전자 CaAIR1 및 이를 이용한 식물체의 건조 스트레스 저항성 증진방법
CN109628475B (zh) 油菜素内酯合成基因PaCYP724B1在调控植物分枝中的用途
CN109112135A (zh) OsREP4基因在控制水稻抗旱性中的应用
CN104945492B (zh) 植物耐逆性相关蛋白TaAREB3及其编码基因与应用
Zheng et al. GRAS family transcription factor FaSCL8 regulates FaVPT1 expression mediating phosphate accumulation and strawberry fruit ripening
KR101668917B1 (ko) 앱시스산 수용체 CaRCAR1을 이용한 식물체의 건조 스트레스 저항성 증진방법
KR101803500B1 (ko) 식물의 냉해 스트레스 내성과 관련된 신규 유전자 및 그의 용도
KR101582047B1 (ko) 고추 CaAIP1을 이용한 식물체의 건조 스트레스 저항성 증진방법
KR20140021424A (ko) 비생물학적 스트레스 내성 및 생장 촉진 관련 유전자 및 그의 용도
KR101926962B1 (ko) 애기장대 RING finger E3 ligase PIR을 이용한 식물체의 건조 스트레스 저항성 증진방법
KR101154322B1 (ko) 벼에서 유래한 OsGRP1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로 형질전환된 저온 또는 동결 내성을 갖는 식물체의 제조 방법
Zhou et al. Isolation and functional analysis of Flowering Locus T in tree peonies (PsFT)
KR101710806B1 (ko) CaAINR1을 이용한 식물체의 비생물적 스트레스 저항성 증진방법
JP4998809B2 (ja) 植物の鉄欠乏耐性を向上させるポリペプチドおよびその利用
KR20150003099A (ko) 식물의 생산성 증대 기능, 스트레스 내성 기능 및 노화 지연 기능을 갖는 atpg6 단백질과 그 유전자 및 이들의 용도
KR100475359B1 (ko) 식물의 잎 수명 조절 유전자를 이용하여 식물의 노화를지연시키는 방법
KR101592357B1 (ko) 식물의 냉해 스트레스 내성과 관련된 신규 유전자 및 그의 용도
KR20150001926A (ko) 식물의 생산성 증대 기능, 스트레스 내성 기능 및 노화 지연 기능을 갖는 atpg10 단백질과 그 유전자 및 이들의 용도
KR20190083578A (ko)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과 관련된 신규 유전자 및 그의 용도
KR101985321B1 (ko) 벼 유래 OsAIR2 유전자를 이용한 중금속 스트레스 내성이 증가된 형질전환 식물체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식물체
KR101639478B1 (ko) CaLOX1을 이용한 식물체의 건조 또는 염 스트레스 저항성 증진방법
KR101876634B1 (ko) 고추 전사인자 CaDILZ1을 이용한 식물체의 건조 스트레스 저항성 증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