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0513B1 - 텍스쳐링 기계 - Google Patents

텍스쳐링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0513B1
KR101580513B1 KR1020117001886A KR20117001886A KR101580513B1 KR 101580513 B1 KR101580513 B1 KR 101580513B1 KR 1020117001886 A KR1020117001886 A KR 1020117001886A KR 20117001886 A KR20117001886 A KR 20117001886A KR 101580513 B1 KR101580513 B1 KR 101580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device
texturing
processing
heating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1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4982A (ko
Inventor
클라우스 바르트코비악
데틀레프 오베르슈트라쓰
마르틴 피셔
한스-게오르크 슈뢰더
슈테판 콘라트
외르크 쉬펠
Original Assignee
엘리콘 텍스타일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16875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8051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엘리콘 텍스타일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엘리콘 텍스타일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10044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4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02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 D02G1/020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by false-twisting
    • D02G1/026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by false-twisting false-twist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다수의 멀티필라멘트 실을 텍스쳐링하기 위한 다수의 처리 포인트를 포함하는 텍스쳐링 기계를 설명한다. 텍스쳐링 기계는 실의 안내, 드로인, 및 텍스쳐링을 위해 처리 포인트 마다 다수의 전달 기구 및 텍스쳐링 유닛을 포함한다. 중앙 가열 장치가 다수의 실의 열처리를 위해 처리 포인트에 할당되고, 가열 장치의 하류의 처리 포인트 내의 텍스쳐링 유닛은 각각 텍스쳐링 영역을 한정한다. 모든 실을 질적으로 동일하게 처리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라, 가열 장치의 실 출구에 할당되는 처리 포인트의 텍스쳐링 유닛은, 처리 포인트 내의 실이 동일한 길이의 텍스쳐링 영역에서 안내될 수 있도록, 가열 장치에 대해 대칭적인 배치로 유지된다.

Description

텍스쳐링 기계{TEXTURING MACHINE}
본 발명은 청구항 1 의 전제부에 따른 다수의 멀티필라멘트의 텍스쳐링 (texturing) 을 위한 복수의 처리 포인트 (processing point) 를 가지는 텍스쳐링 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텍스쳐링 기계가 EP 0 039 938 A1 으로부터 알려져 있다.
상기 알려진 텍스쳐링 기계에 있어서, 기계 측벽을 따라 배치되는 처리 포인트는 실의 안내, 연신 (drawing), 및 텍스쳐링을 위한 다수의 전달 기구 및 텍스쳐링 유닛을 구비한다. 텍스쳐링 공정을 위해 요구되는 실의 열처리를 실행하기 위해서, 중앙 가열 장치가 제공되고, 이 중앙 가열 장치를 통해 다수의 실이 동시에 열처리될 수 있다. 중앙 가열 장치는, 텍스쳐링 유닛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길이의 텍스쳐링 영역이 형성되도록, 처리 포인트에 대해 중앙에 배치된다. 텍스쳐링 영역은, 헛꼬임 (false twist) 을 갖는 실이 텍스쳐링 유닛과 가열 장치 사이에서 안내되는 실의 안내 영역이다. 실의 텍스쳐링된 구조를 달성하기 위해서, 실을 실 재료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 높은 처리 온도까지 가열 장치에서 꼬인 상태에서 가열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요컨대, 실 연신이 텍스쳐링 영역 내에서 동시에 실행될 수 있다.
알려진 텍스쳐링 기계에서의 문제는, 처리 포인트에서 상이한 길이의 텍스쳐링 영역이 보편화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실에서 균일하지 않은 텍스쳐링만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가열 장치와 텍스쳐링 유닛 사이의 텍스쳐링 영역에서, 길이 차로 인해 상이한 냉각 및 상이한 꼬임 이송이 나타난다. 이런 이유로, 이러한 텍스쳐링 기계는 실제로 허가를 얻지 못했다.
처리 포인트가 기계 측벽을 따라 평행한 배치로 유지되는 텍스쳐링 기계가 DE 37 23 200 A1 으로부터 알려져 있다. 여기서는, 본질적으로 기계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고 각각의 처리 포인트에 처리 채널을 구비하는 가열 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텍스쳐링 기계는 처리 포인트에서 실이 균일하게 안내되고, 연신되며, 텍스쳐링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기계 측벽에 216 개까지 또는 그 이상의 처리 포인트를 서로 옆으로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텍스쳐링 기계는 특히 실의 열처리를 위해 상당한 에너지 입력을 요구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근본적인 목적은 제한된 에너지 입력으로 실의 텍스쳐링 및 연신에 대해 균일한 처리가 가능한 다수의 멀티필라멘트 실의 텍스쳐링을 위한 텍스쳐링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가열 장치의 실 출구에 할당되는 처리 포인트의 텍스쳐링 유닛이, 실이 처리 포인트 내에서 같은 길이의 텍스쳐링 영역에서 안내될 수 있도록, 가열 장치에 대해 대칭적인 배치로 유지되는, 기재된 것과 같은 유형의 텍스쳐링 기계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변형이 대응하는 종속 청구항의 특징 및 특징 조합에 의해 규정된다.
본 발명은, 처리 포인트의 공정 유닛이 특히 컴팩트한 배치로 유지될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텍스쳐 기계가 종래의 텍스쳐링 기계에 비해 훨씬 적은 공간을 요구한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처리 포인트에서 안내된 모든 실은 동일한 조건하에 텍스쳐링된다. 또한, 처리 포인트의 균등한 길이의 텍스쳐링 영역은 텍스쳐링 유닛과 가열 장치 사이에 형성된 냉각 영역에서 동일한 열처리를 허용하고 텍스쳐링 유닛으로부터 가열 장치로의 동일한 꼬임 반송을 허용한다. 중앙 가열 장치는 또한 좁은 공간으로 한정되는 모든 실의 열처리의 가능성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절연재 및 가열 수단을 위한 비용이 최소한으로 감소될 수 있다.
처리 포인트에서 균등한 길이의 안내 영역을 획득하기 위해서, 실의 경로 방향에서 텍스쳐링 유닛의 하류에 있는 처리 포인트의 전달 기구가 가열 장치에 대해 대칭적인 배치로 개별적인 전달 기구로서 유지되는 본 발명의 변형이 특히 바람직하다. 예컨대, 특히 부드러운 실 안내를 허용하는 갈레트 (galette) 전달 기구가 사용될 수 있다.
가열 장치가 수직으로 정렬되고, 텍스쳐링 유닛이 가열 장치의 실 출구에 대해 간격을 두고 서로에 대해 옆으로 부분적으로 원형의 배치로 유지되는 배치가 공간 활용을 위해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것으로, 공정의 시작시에 작동이 간단한 특히 작동적으로 바람직한 실의 경로가 텍스쳐링 기계 내에서 달성될 수 있다.
실을 처리 포인트로 연신할 때 균일한 스트레칭 길이를 달성하기 위해서, 실의 경로 방향에서 가열 장치의 상류에 있는 처리 포인트의 전달 기구가 가열 장치의 실 입구에 대해 대칭적인 배치로 개별적인 전달 기구로서 유지되는 본 발명의 변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가열 장치의 상류에 있는 개별적인 전달 기구와 가열 장치의 실 입구 사이의 안내 영역은 처리 포인트 내에서 균등한 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처리 포인트 내의 모든 영역 길이는 균등한 길이로 이루어진다.
실 입구가 가열 장치의 바닥부에 형성되고 실 출구가 가열 장치의 상부에 형성되며, 텍스쳐링 유닛이 가열 장치 위에서 평면에 배치되는 특히 바람직한 배치가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실 공급부는 바람직하게는 기계의 아래쪽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실 유형 및 실 재료에 따라, 텍스쳐링 후에 수축 처리 (shrinkage treatment) 가 실행되고, 이 목적을 위해 실은 다시 가열되어야 한다. 따라서, 가열 장치가, 다수의 실이 열처리를 위해 동시에 지나가는 적어도 2 개의 별도의 처리 채널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변형이 특히 바람직하다. 실은 텍스쳐링을 위해 가열 장치 내에서 가열될 수 있고 텍스쳐링 후에 가열 장치를 통한 두 번째 통과에서 수축 처리를 위해 가열될 수 있다.
기계 내의 실의 자유 안내 영역을 가능한 짧게 유지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텍스쳐링 기계의 구성은, 실이 반대 방향에서 처리 채널로 안내될 수 있도록, 처리 채널 중 하나의 실 입구 및 다른 처리 채널의 실 출구가 가열 장치의 일단부에 형성되도록,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장치의 처리 채널은 또한, 실이 균등한 길이의 안내 길이로 또는 상이한 길이의 안내 길이로 상이하게 열처리 (tempering) 되도록 구성되거나 가열가능하다. 그러므로, 실의 텍스쳐링 및 실의 수축 처리를 위한 개별적인 요건이 최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가열 장치 내의 처리 채널은 상이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가열 장치 내에서 다수의 실을 개별적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가열 장치가 다수의 가열가능한 가열 튜브를 구비하고, 실 중 적어도 하나가 각각의 가열 튜브에서 안내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텍스쳐링 기계의 변형이 특히 적합하다. 가열 튜브는 가열 수단을 통해 공동으로 가열되도록 다발로 배치될 수 있다. 가열 튜브에 온도차를 주기 위해서 상이한 절연 재료가 가열 튜브에 배치될 수 있다.
멀티필라멘트 실의 연속적인 텍스쳐링을 위해, 공급 스풀로부터 실을 당기기 위한 별도의 공급 구역이 각각의 처리 포인트에 할당된다. 공급 구역 또한 바람직하게는, 실의 자유 안내 영역이 인접하는 처리 포인트에서 본질적으로 균등한 길이를 갖도록, 가열 장치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텍스쳐링된 실을 권취하기 위해 처리 포인트에 할당된 권취 장치 또한, 인접한 처리 포인트의 실의 자유 안내 영역이 본질적으로 균등한 길이를 갖도록, 가열 장치에 대해 대칭적인 배치로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또한 공급 구역 및 권취 장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변형에 따라 몇 개의 처리 그룹으로 나누어질 가능성이 있고, 공급 구역 및 권취 장치의 처리 그룹은 가열 장치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하나의 서비스 통로로부터 공급 스풀을 교체하고 권취 장치의 꽉 찬 스풀을 바꿀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공급 구역 및 권취 장치의 처리 그룹이 서로 직각으로 정렬된 2 개의 기계 측벽을 형성하고, 공급 구역이 권취 장치의 2 개의 하위그룹 사이에서 크릴에 유지되며, 권취 장치의 2 개의 하위그룹이 기계 측벽을 따라 배치되는 본 발명의 변형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크릴의 공급 구역 및 권취 장치 양자는 기계 측벽으로부터 작동될 수 있다.
공급 구역 및 권취 장치의 처리 그룹은 총 4 개의 기계 측벽을 갖는 정사각형 배치로 유지되고, 가열 장치는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모든 빼기 작업 (doffing work) 은 기계 외측에서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예컨대 실을 위시키기기 위한 공정 작업은 공급 구역과 권취 장치 그리고 가열 장치 사이의 중간 공간의 내부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변형에 따른, 100 개 초과의 처리 포인트를 가지는 모든 처리 포인트의 간단하고 신속한 작업성을 얻기 위해서, 가열 장치는 수개의 별도의 가열 모듈로 형성되고 공급 구역 및 권취 장치의 개별적인 처리 그룹에 배치된다. 처리 그룹 중 하나에 할당된 공급 구역, 권취 장치, 가열 모듈, 전달 기구 및 텍스쳐링 유닛은 기계 모듈과 조합되고, 이 기계 모듈은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가능하다. 그러므로, 바람직하게는, 처리 그룹의 정사각형 배치에 의해, 서로 개별적으로 그리고 독립적으로 제어되고 작동될 수 있는 4 개의 처리 그룹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텍스쳐링 기계는, 자동화된 텍스쳐링 기계 및 부분적으로 자동화된 텍스쳐링 기계 양자에서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콤팩트하고 에너지 절약적인 기계 구상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텍스쳐링 기계를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몇몇 실질적인 실시예로 이하에서 더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텍스쳐링 기계의 제 1 실질적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텍스쳐링 기계의 다른 실질적인 실시예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 은 도 2 에 따른 실질적인 실시예의 처리 포인트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텍스쳐링 기계의 다른 실질적인 실시예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텍스쳐링 기계의 제 1 실질적인 실시예를 도 1 에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 에 나타낸 실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단지 몇몇 처리 포인트만이 서로 옆으로 배치된다. 보통, 이러한 텍스쳐링 기계는 100, 200 또는 훨씬 더 많은 처리 포인트를 갖는다. 도 1 에 나타낸 실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총 5 개의 처리 포인트 (1.1 내지 1.5) 가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처리 포인트 (1.1 내지 1.5) 는, 각각의 처리 포인트 (1.1 내지 1.5) 에서 실 (5) 을 안내하고, 연신하며, 그리고 텍스쳐링하도록 동일하게 구성된다.
처리 포인트 (1.1 내지 1.5) 의 공정 유닛의 구성 및 배치를 처리 포인트 중 하나를 이용하여 실시예로서 설명할 것이다. 요컨대, 제 1 처리 포인트 (1.1) 에서, 실이 공급 스풀 (14) 에 의해 공급 구역 (2) 에 공급된다. 공급 구역 (2) 은 예컨대 크릴 (creel) 에서 공급 구역이 인접해 있는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공급 구역 (2) 의 그룹이 공급 스풀 (14) 의 그룹을 가지는 그릴에 의해 형성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공급 구역 (2) 에는, 헤드 실 안내부 (3) 가 공급 스풀 (14) 로부터 위로 실을 당길 수 있도록, 헤드 실 안내부 (3) 가 할당된다. 이 목적을 위해, 실 (5) 은 제 1 전달 기구 (4) 에 의해 안내된다. 제 1 전달 기구 (4) 는 여러 번 감싸인 갈레트 (galette) (18.1) 를 가지는 개별적인 전달 기구로서 형성된다. 처리 포인트 내에서, 중앙 가열 장치 (6) 는 제 1 전달 기구 (4) 이후에 오고, 모든 실은 가열을 위해 이 중앙 가열 장치 (6) 를 통해 처리 포인트 (1.1 내지 1.5) 로 동시에 안내된다. 이 목적을 위해, 가열 장치 (6) 는 일 단부에 실 입구 (21) 를 구비하고 반대쪽 단부에 실 출구 (22) 를 구비한다.
처리 포인트 (1.1) 내의 후속하는 실의 경로에서, 냉각 장치 (8) 및 텍스쳐링 유닛 (7) 이 가열 장치 (6) 의 출구측에 따라온다. 제 2 전달 기구 (9) 가 텍스쳐링 유닛 (7) 의 하류에 있고, 이 제 2 전달 기구 (9) 또한 갈레트 (18.2) 의 형태의 개별적인 전달 기구에 의해 형성된다.
텍스쳐링된 실 (5) 을 스풀 (2) 에 권취하는 권취 장치 (10) 가 처리 포인트 (1.1) 의 단부에 배치된다. 이 목적을 위해, 권취 장치는 스풀 홀더 (24) 및 구동 롤 (11) 을 구비하고, 이 구동 롤 (11) 은 권취 동안 스풀 (12) 을 균일하게 구동시킨다. 구동 롤 (11) 은, 실 (5) 이 교차 권취로 권취되도록, 지그 운동 장치 (13) 의 상류에 있다.
처리 포인트 (1.1 내지 1.5) 내에서의 실의 균일한 처리 및 안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가열 장치 (6) 의 실 출구 (22) 에 할당된 텍스쳐링 유닛 (7) 은, 실이 처리 포인트 (1.1 내지 1.5) 내측의 균등한 길이의 텍스쳐링 영역에서 안내될 수 있도록, 가열 장치 (6) 에 대해 대칭적인 배치로 유지된다. 도 1 에서, 처리 포인트 (1.1) 의 실 출구 (22) 와 텍스쳐링 유닛 (7) 사이의 텍스쳐링 영역은 도면부호 T 로 표시되어 있다. 냉각 장치 (8) 는 텍스쳐링 영역 내에 배치된다. 도시된 처리 포인트 (1.1 내지 1.5) 의 각각의 텍스쳐링 영역 (T) 은 균등한 길이를 갖는다.
처리 포인트 (1.1 내지 1.5) 의 제 1 전달 기구 (4) 와 처리 포인트 (1.1 내지 1.5) 의 제 2 전달 기구 (9) 사이에서의 실의 연신을 위한 균등한 길이의 안내 영역을 획득하기 위해서, 가열 장치의 출구측의 실의 경로 방향에서 텍스쳐링 유닛 (7) 의 상류에 연결된 전달 기구 (9) 는 가열 장치 (6) 에 대해 대칭적인 배치로 유지된다. 가열 장치 (6) 의 실 출구 (22) 와 제 2 전달 기구 (9) 사이의 안내 영역은 도면부호 S2 로 표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처리 포인트 (1.1 내지 1.5) 의 전달 기구 (4) 는 가열 장치 (6) 의 실 입구 (21) 에 대해 대칭적인 배치로 유지되고, 상기 전달 시스템은 실의 경로 방향에서 가열 장치 (6) 의 상류에 있다. 여기서, 제 1 전달 기구 (4) 와 가열 장치의 실 입구 (21) 사이의 안내 영역 S1 이 도시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텍스쳐링 영역 (T) 이외에, 모든 안내 영역 (S1 및 S2) 은 처리 포인트 (1.1 내지 1.5) 의 제 1 전달 기구 (4), 가열 장치 (6) 및 제 2 전달 기구 (9) 사이에서 균등한 길이로 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낸 실질적인 실시예에서, 공급 구역 (2) 및 권취 장치 (10) 는, 공급 구역 (2) 에 평행한 기계 측벽 및 권사 장치 (10) 에 평행한 제 2 기계 측벽이 형성되도록, 평행한 배치로 서로 옆으로 배치된다. 그러므로, 공급 스풀과 촘촘히 감긴 스풀 양자의 스풀 이송은 기계 측벽에 할당된 서비스 통로 (service aisle) 를 통해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또한 공급 구역 (2) 및 권취 장치 (10) 를 균등한 간격으로 중앙 가열 장치 (6) 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하는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텍스쳐링 기계의 다른 실질적인 실시예가 도 2 및 도 3 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 실시예에서 공급 구역 및 권취 장치는 균등한 간격으로 가열 장치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실질적인 실시예의 평면도가 도 2 에 도시되어 있으며, 단면도가 도 3 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 중 하나를 명시적으로 참조하지 않는 한, 이하의 설명은 양 도면에 적용된다.
도시된 실질적인 실시예에서 총 12 개의 처리 포인트 (1.1 내지 1.12) 가 중앙 가열 장치 (6) 에 할당된다.
이하와 같이, 도 2 로부터, 가열 장치 (6) 는 기계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다. 처리 포인트 (1.1 내지 1.12) 의 공정 유닛은 각각 가열 장치 (6) 에 대해 간격을 두고 부분적으로 원형의 배치로 서로 옆으로 유지된다. 가열 장치 (6) 는 기계 배치의 중심을 형성한다. 모든 다른 공정 유닛은 가열 장치 (6) 주위에 별 모양의 분포로 배치된다. 텍스쳐링 유닛 (7) 같은 동일한 유형의 공정 유닛은, 처리 포인트 (1.1 내지 1.12) 내에 균등한 길이의 텍스쳐링 영역이 만들어지도록, 각각 처리 포인트 (1.1 내지 1.12) 에서 가열 장치에 대해 동일한 간격을 갖는다.
처리 포인트 (1.1 내지 1.12) 는 그 구성 및 배치에 있어서 공정 유닛에 대해 동일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처리 포인트 (1.1 내지 1.12) 의 본질적인 구성을 실시예로서 처리 포인트 중 하나를 이용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거울상 형태로 서로 반대쪽에 있는 2 개의 처리 포인트 (1.3 및 1.10) 의 단면도가 도 3 에 도시되어 있다. 처리 포인트 (1.3) 는, 가열 장치에 대해 가장 큰 간격으로 기계의 외측 영역에 배치된 공급 구역 (2) 을 갖는다. 공급 구역 (2) 은 공급 서플라이 (14) 를 포함하고, 이 서플라이 (14) 로부터 실 (5) 이 제 1 전달 기구 (4) 를 통해 당겨진다. 실 안내를 위해, 헤드 실 안내부 (3) 가 제 1 전달 기구 (4) 와 공급 구간 (2) 사이에 배치된다. 제 1 전달 기구 (4) 는 갈레트 (18.1) 및 오버플로우 롤 (17.1) 에 의해 형성된다. 갈레트 (18.1) 는 갈레트 모터 (16.1) 를 통해 구동된다. 공급 스풀 (14) 로부터 실 (5) 을 당기기 위한 요구 인장력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갈레트 (18.1) 및 오버플로우 롤 (17.1) 은 실 (5) 에 의해 여러 번 감싸진다.
후속하는 실의 경로에서, 실 (5) 은 가열 장치 (6) 의 실 입구 (21.1) 로 안내된다. 가열 장치 (6) 는 이 목적을 위해 수직으로 정렬되고 바닥부에 실 입구 (21.1) 를 구비한다. 반대쪽 상부에는, 실 출구 (22.1) 가 형성되어 있다. 실 입구 (21.1) 및 실 출구 (22.1) 는 처리 채널 (23.1) 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처리 채널 (23.1) 은 가열 장치 (6) 내부에 가열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실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처리 채널 (23.1) 은 예컨대 스팀 또는 전기적인 가열 수단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가열 튜브 (25) 에 의해 형성된다. 실 입구 (21.1) 및 실 출구 (22.2) 에는 각각 입구 안내부 (19.1) 및 출구 안내부 (20.1) 가 할당되며, 이 입구 안내부 (19.1) 및 출구 안내부 (20.1) 를 통해 들어오거나 나가는 실 (5) 이 편향된다.
처리 포인트 (1.3) 는, 가열 장치 (6) 위에, 냉각 장치 (8), 텍스쳐링 유닛 (7) 및 제 2 전달 기구 (9) 를 구비한다. 냉각 장치 (8), 텍스쳐링 유닛 (7) 및 제 2 전달 기구 (9) 는 직선적인 실의 경로에 대해서 서로 앞뒤로 배치되고, 이 직선적인 실의 경로에서 텍스쳐링 유닛 (7) 이 텍스쳐링 영역을 한정한다.
제 2 전달 기구 (9) 는 갈레트 (18.2) 및 오버플로우 롤 (17.2) 에 의해 형성되고, 갈레트 (18.2) 는 갈레트 모터 (16.2) 에 의해 구동된다. 제 2 전달 기구 (9) 의 갈레트 (18.2) 는, 실 (5) 이 텍스쳐링 영역 내에서 연신되도록, 제 1 전달 기구 (4) 의 갈레트 (18.1) 에 비해 더 높은 원주 속도로 구동된다. 각각의 처리 포인트 (1.1 내지 1.12) 에서, 실 (5) 의 안내 영역은 제 1 전달 기구 (4) 와 제 2 전달 기구 (9) 사이에서 균등한 길이를 갖는다.
처리 포인트 (1.3) 내에서, 실 (5) 은 제 2 전달 기구 (9) 에서 180 °로 편향되고 가열 장치 (6) 로 되돌아 온다. 텍스쳐링된 실 (5) 의 최종 처리가 실행될 수 있는 제 2 별도 처리 채널 (23.2) 이 가열 장치 (6) 내에 형성된다. 제 2 처리 채널 (23.2) 은 가열 장치 (6) 의 상부에 실 입구 (21.2) 를 구비하고 가열 장치 (6) 의 바닥부에 실 출구 (22.2) 를 구비한다. 그러므로, 처리 채널 (23.1 및 23.2) 을 실 (5) 이 반대 방향으로 지나간다. 이 실질적인 실시예의 처리 채널 (23.2) 또한 가열 장치 (여기서는 추가로 도시하지 않는다) 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가열 튜브 (25) 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 실이 가열 장치 (6) 내의 균등한 길이의 안내 영역에서 상이하게 가열되도록, 상이한 절연재에 의한 또는 별도의 가열 장치에 의한 처리 채널 (23.1 및 23.2) 의 상이한 열처리의 실행 가능성이 있다.
실 (5) 을 안내하기 위한 제 3 전달 기구 (15) 가 가열 장치 (6) 아래에 제공되며, 이 제 3 전달 기구 (15) 또한 피동 갈레트 (18.3) 및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오버플로우 롤 (17.3) 에 의해 형성된다. 수축 처리를 위해 요구되는 속도 차가 제 2 전달 기구 (9) 의 갈레트 (18.2) 와 제 3 전달 기구 (15) 의 갈레트 (18.3) 사이에 설정된다. 2 개의 실 안내부 (19.2 및 20.2) 가 또한 실 안내를 위해 실 입구 (21.2) 및 실 출구 (22.2) 에 할당된다. 입구 실 안내부 (19.2) 및 출구 실 안내부 (20.2) 는 안내 풀리 또는 안내 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권취 장치 (10) 가 처리 포인트 (1.3) 에서 제 3 전달 기구 (15) 의 하류에 배치된다. 권취 장치 (10) 는 권취될 스풀 (12) 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풀 홀더 (24) 를 구비한다. 스풀 (12) 은, 그 둘레가 스풀 (12) 을 일정한 원주 속도로 구동시키는 구동 롤 (11) 에 닿은 상태로 놓인다. 구동 롤 (11) 은, 텍스쳐링된 실 (5) 이 교차-권취된 보빈으로 권취되도록, 실의 경로에서 지그 운동 장치 (13) 앞에 배치된다. 안내 로드 (guide rod) (33) 가 실을 안내하기 위해 제 3 전달 기구 (15) 와 권취 장치 (10) 사이에 배치되고, 이 안내 로드 (33) 를 통해 실이 권취 장치 (10) 로 안내된다.
이 실질적인 실시예에 나타낸 공정 유닛의 구성은, 실시예이며, 단지 실의 안내, 연신 및 텍스쳐링을 위한 본질적인 공정 유닛만을 포함한다. 원칙적으로, 권취 장치 (10) 의 전방에서 윤활제로 실 (5) 을 습윤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컨대, 제 3 전달 기구 (15) 와 권취 장치 (10) 사이에 윤활제가 제공된다. 또한, 수축 처리 전과 텍스쳐링 후에 실을 교락 (intermingling)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요컨대, 가열 장치 (6) 의 실 입구 (21.2) 와 제 2 전달 기구 (9) 사이의 안내 영역에 교락 장치 및 추가적인 전달 기구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권취 장치 (10) 는 처리 포인트의 상류에 배치된 전달 기구 (4, 9, 15) 의 폭보다 본질적으로 더 큰 폭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통, 서로 옆으로 놓이는 인접한 처리 포인트의 총 3 개의 텍스쳐링 영역이 권취 장치의 폭 내에 배치될 수 있고, 따라서 인접한 권취 장치는 계단식으로 (stage-like) 위아래로 유지된다.
도 2 및 도 3 에 나타낸 실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스풀 교환을 위한 작업은 내측 서비스 통로 (34) 로부터 실행된다. 서비스 통로 (34) 는 처리 포인트 (1.1 내지 1.12) 의 권취 장치 (10) 와 가열 장치 (6) 사이의 중간 공간에 형성된다. 권취 장치 (10) 반대쪽의 기계의 외측에는, 공급 스풀 (14) 을 공급 구역 (2) 으로 이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서비스 통로 (35) 가 또한 형성되어 있다. 공정의 시작시의 처리 포인트 (1.1 내지 1.12) 에서의 실의 교체는 내측 서비스 통로 (34) 로부터 실행된다.
이하와 같이, 도 2 의 도시로부터, 내측 서비스 통로 (34) 가 외측 서비스 통로 (35) 에 연결되는 접근부 (32) 가 처리 포인트 (1.1) 와 처리 포인트 (1.12)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 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텍스쳐링 기계의 실질적인 실시예는, 처리 포인트 (1.1 및 1.12) 내에서 모든 안내 영역 및 텍스쳐링 영역이 균등한 길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처리 포인트 (1.1 내지 1.12) 내의 각각의 실은 동일한 조건하에서 빼내지고, 안내되고, 연신되고, 텍스쳐링되며, 권취된다.
그러나, 실질적인 작동에서, 200 개 초과의 처리 포인트가 통합된 텍스쳐링 기계가 또한 종종 사용된다. 도 4 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텍스쳐링 기계의 실질적인 실시예가 이러한 대형 기계에 특히 적합하다. 실질적인 실시예의 평면도가 도 4 에 도시되어 있다.
실질적인 실시예는 중앙 영역에 배치된 가열 장치 (6) 를 구비한다. 가열 장치 (6) 에는 가열 장치 (6) 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된 총 96 개의 처리 포인트가 할당된다. 각각의 처리 포인트는 동일하게 구성되고 도 3 에 대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은 기본적인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전의 설명을 참조한다.
도 4 에 나타낸 실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공급 구역 및 권취 장치는 수개의 처리 그룹 (26.1, 26.2, 26.3, 26.4) 으로 나누어진다. 각각의 처리 그룹 (26.1 내지 26.4), 공급 구역 (2) 및 권취 장치 (10) 는 서로 직각으로 정렬된 2 개의 기계 측벽을 형성한다. 처리 그룹 (26.1) 은 외측에 기계 측벽 (31.1 및 31.2) 을 형성한다. 공급 구역 (2) 은 크릴 (29) 에 배치되고, 크릴 (29) 은 권취 장치 (10) 의 하위그룹 (27.1 및 27.2) 사이에 배치된다. 권취 장치 (10) 는, 하위그룹 (27.1 및 27.2) 의 기계 측벽 (31.1 및 31.2) 을 따라 연장되는 권취 모듈 (28) 에 의해 계단식으로 유지된다. 여기서, 권취 장치 (10) 의 하위그룹 (27.1) 은 기계 측벽 (31.1) 을 형성하고, 권취 장치 (10) 의 하위그룹 (27.2) 은 기계 측벽 (31.2) 을 형성한다.
처리 그룹 (26.1 및 26.4) 은, 총 4 개의 기계 측벽 (31.1 내지 31.4) 이 만들어지도록, 가열 장치 (6) 주위에 정사각형 배치로 배치된다. 처리 그룹 (26.1 내지 26.4) 의 크릴 (29) 은 코너에 배치된다.
다수의 처리 포인트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가열 장치는 수개의 별도의 가열 모듈에 의해 형성되고, 가열 모듈 (30) 이 각각의 처리 그룹 (26.1 내지 26.4) 에 할당된다. 요컨대, 처리 그룹 (26.1 내지 26.4) 에 할당된 처리 포인트는 제어와 관련하여 기계 모듈 (36.1 내지 36.4) 로 조합된다. 기계 모듈 (36.1 내지 36.4) 은, 처리 그룹 (26.1 내지 26.4) 에 할당된 처리 포인트가 완전한 기계 내에서 그룹별로 작동 및 제어될 수 있도록,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공정의 시작시에 처리 포인트에 실을 위치시키는 것은 권취 모듈 (28) 과 가열 장치 (6) 사이에 형성된 내측 서비스 통로 (34) 로부터 실행된다. 스풀 교환 및 크릴 (29) 에의 새로운 공급 스풀의 설치는 기계 측벽 (31.1 내지 31.4) 을 따라 연장되는 외측 서비스 통로 (35) 를 통해 실행된다. 내측 서비스 통로 (34) 는 수개의 접근부 (32) 를 통해 외측 서비스 통로 (35) 에 연결된다. 여기서, 접근부 (32) 는 인접한 처리 그룹 (26.2 및 26.3) 사이에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4 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텍스쳐링 기계의 실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공정 유닛의 레이아웃 및 구성이 실시예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텍스쳐링 유닛은, 수개의 마찰 디스크가 총 3 개의 마찰 스핀들에서 구동되고, 실이 헛꼬임을 발생시키기 위해 마찰 디스크의 겹침 영역에서 안내되는 이른바 마찰 헛꼬임 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 레일 및 냉각 튜브 양자는, 실이 접촉하는 냉각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해서, 기계의 중심은 가열 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본질적이다. 그러므로, 실의 열처리를 위한 높은 에너지 절약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제한된 절연재로 매우 콤팩트한 가열 장치가 실행될 수 있다.
1.1 내지 1.12 처리 포인트
2 공급 구역
3 헤드 실 안내부
4 제 1 전달 기구
5 실
6 가열 장치
7 텍스쳐링 유닛
8 냉각 장치
9 제 2 전달 기구
10 권취 장치
11 구동 롤
12 스풀
13 지그 운동 장치
14 공급 스풀
15 제 3 전달 기구
16.1, 16.2, 16.3 갈레트 모터
17.1, 17.2, 17.3 오버플로우 롤
18.1, 18.2, 18.3 갈레트
19.1, 19.2 입구 실 안내부
20.1, 20.2 출구 실 안내부
21, 21.1, 21.2 실 입구
22, 22.1, 22.2 실 출구
23.1, 23.2 처리 채널
24 스풀 홀더
25 가열 튜브
26.1, 26.2, 26.3, 26.4 처리 그룹
27.1, 27.2 하위그룹
28 권취 모듈
29 크릴
30 가열 모듈
31.1, 31.2, 31.3, 31.4 기계 측벽
32 접근부
33 안내 로드
34 내측 서비스 통로
35 외측 서비스 통로
36.1, 36.2, 36.3, 36.4 기계 모듈

Claims (16)

  1. 다수의 멀티필라멘트 실 (5) 의 텍스쳐링을 위한 다수의 처리 포인트 (1.1 ~ 1.5) 를 구비하는 텍스쳐링 기계로서,
    처리 포인트 (1.1 ~ 1.5) 내에서 실 (5) 중 하나를 안내하고, 연신하며, 텍스쳐링하기 위해 처리 포인트 (1.1 ~ 1.5) 마다 다수의 전달 기구 (4, 9) 및 하나의 텍스쳐링 유닛 (7) 을 구비하고,
    다수의 실 (5) 의 열처리를 위해 처리 포인트 (1.1 ~ 1.5) 에 할당되는 중앙 가열 장치 (6) 를 구비하며,
    가열 장치 (6) 의 외측에 배치된 처리 포인트 (1.1 ~ 1.5) 의 텍스쳐링 유닛 (7) 은 처리 포인트 (1.1 ~ 1.5) 내에 텍스쳐링 영역 (T) 을 각각 한정하고,
    가열 장치 (6) 의 실 출구 (20) 에 할당되는 처리 포인트 (1.1 ~ 1.5) 의 텍스쳐링 유닛 (7) 은, 실 (5) 이 처리 포인트 (1.1 ~ 1.5) 내에서 균등한 길이의 텍스쳐링 영역 (T) 에서 안내될 수 있도록, 가열 장치 (6) 에 대해 대칭적인 배치로 유지되고,
    상기 가열 장치 (6) 는 수직으로 정렬되고, 상기 텍스쳐링 유닛 (7) 은 가열 장치 (6) 의 실 출구 (22) 에 대해 간격을 두고 반원형 배치로 서로 옆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쳐링 기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의 경로 방향에서 처리 포인트 (1.1 ~ 1.5) 의 텍스쳐링 유닛 (7) 의 하류에 배치된 전달 기구 (9) 는 가열 장치 (6) 에 대해 대칭적인 배치로 개별적인 전달 기구 (18.2) 로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텍스쳐링 기계.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의 경로 방향에서 가열 장치 (6) 의 하류에 배치된 처리 포인트 (1.1 ~ 1.5) 의 전달 기구 (9) 는 가열 장치 (6) 의 실 입구 (21) 에 대해 대칭적인 배치로 개별적인 전달 기구 (18.1) 로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쳐링 기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 입구 (21) 는 가열 장치 (6) 의 바닥부에 형성되고, 상기 실 출구 (22) 는 가열 장치 (6) 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텍스쳐링 유닛 (7) 은 가열 장치 (6) 위에서 일 평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쳐링 기계.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장치 (6) 는, 열처리를 위해 하나 이상의 실 (5) 이 동시에 지나가는 적어도 2 개의 별도의 처리 채널 (23.1, 23.2)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쳐링 기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채널 (23.1) 중 하나의 실 입구 (21.1) 및 다른 처리 채널 (23.2) 의 실 출구 (22.2) 는, 실 (5) 이 반대 방향에서 처리 채널 (23.1, 23.2) 안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가열 장치 (6) 의 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쳐링 기계.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장치 (6) 의 처리 채널 (23.1, 23.2) 은 실 (5) 이 상이하게 열처리가능 (temperable) 하도록 구성되거나 가열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쳐링 기계.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장치 (6) 는 다수의 가열가능한 가열 튜브 (25) 를 구비하고, 상기 실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의 가열 튜브 (25) 안으로 안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쳐링 기계.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처리 포인트 (1.1 ~ 1.5) 는 실 (5) 중 하나를 공급 스풀 (14) 로부터 옮기기 위한 별도의 공급 구역 (2) 을 구비하고, 공급 구역 (2) 은, 인접한 처리 포인트 (1.1 ~ 1.5) 의 실의 안내 영역이 본질적으로 균등한 길이를 갖도록, 가열 장치 (6) 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쳐링 기계.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처리 포인트 (1.1 ~ 1.5) 는 텍스쳐링된 실 (5) 을 스풀 (12) 에 권취하기 위한 별도의 권취 장치 (10) 를 구비하고, 권취 장치 (10) 는, 인접한 처리 포인트 (1.1 ~ 1.5) 의 실 (5) 의 안내 영역이 본질적으로 균등한 길이를 갖도록, 가열 장치 (6) 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쳐링 기계.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처리 포인트 (1.1 ~ 1.5) 는 실 (5) 중 하나를 공급 스풀 (14) 로부터 옮기기 위한 별도의 공급 구역 (2) 및 텍스쳐링된 실을 스풀 (12) 에 권취하기 위한 별도의 권취 장치 (10) 를 구비하고, 공급 구역 (2) 및 권취 장치 (10) 는 수개의 처리 그룹 (26.1, 26.2) 으로 나누어지며, 공급 구역 (2) 및 권취 장치 (10) 의 처리 그룹 (26.1, 26.2) 은 가열 장치 (6) 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쳐링 기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구역 (2) 및 권취 장치 (10) 의 처리 그룹 (26.1) 은 서로 직각으로 정렬된 기계 측벽 (31.1, 31.2) 을 형성하고, 공급 구역 (2) 은 권취 장치 (10) 의 2 개의 하위그룹 (27.1, 27.2) 사이에서 크릴 (29) 에 유지되며, 권취 장치 (10) 의 2 개의 하위그룹 (27.1, 27.2) 은 기계 측벽 (31.1, 31.2) 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쳐링 기계.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구역 (2) 및 권취 장치 (10) 의 처리 그룹 (26.1 ~ 26.4) 은 총 4 개의 기계 측벽 (31.1 ~ 31.4) 을 갖는 정사각형 배치로 유지되고, 상기 가열 장치 (6) 는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쳐링 기계.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장치 (6) 는 수개의 별도의 가열 모듈 (30) 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공급 구역 (2) 및 권취 장치 (10) 의 처리 그룹 (26.1, 26.2) 의 각각에는 가열 모듈 (30) 중 하나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쳐링 기계.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그룹 (26.1, 26.2) 중 하나에 할당된 공급 구역 (2), 권취 장치 (10), 가열 모듈 (30), 전달 기구 (4, 9) 및 텍스쳐링 유닛 (7) 은 기계 모듈 (36.1) 을 형성하고, 기계 모듈 (36.1, 36.2) 은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쳐링 기계.
KR1020117001886A 2008-07-25 2009-07-15 텍스쳐링 기계 KR1015805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34731 2008-07-25
DE102008034731.0 2008-07-25
PCT/EP2009/059031 WO2010010016A1 (de) 2008-07-25 2009-07-15 Texturier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982A KR20110044982A (ko) 2011-05-03
KR101580513B1 true KR101580513B1 (ko) 2015-12-28

Family

ID=41168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1886A KR101580513B1 (ko) 2008-07-25 2009-07-15 텍스쳐링 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68791B2 (ko)
EP (1) EP2307598B1 (ko)
JP (1) JP5431471B2 (ko)
KR (1) KR101580513B1 (ko)
CN (1) CN102066631B (ko)
WO (1) WO20100100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57585A1 (de) * 2008-11-15 2010-05-20 Oerlikon Textile Gmbh & Co. Kg Heizeinrichtung
CN104713755B (zh) * 2015-01-12 2018-03-20 苏州赛力菲陶纤有限公司 一种复丝拉伸试验样品制备装置
CN108657869B (zh) * 2017-03-29 2022-03-15 欧瑞康纺织有限及两合公司 一种具有卷绕设备的假捻变形机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42951A (en) * 1961-03-15 1964-08-04 Rhodiaceta Apparatus for the finishing of synthetic filamentary material
JPS439483Y1 (ko) * 1965-01-14 1968-04-24
US4051650A (en) * 1975-06-17 1977-10-04 Asa S.A. Yarn texturizing machine
DE2920447C2 (de) * 1979-05-21 1982-06-16 Hoechst Ag, 6000 Frankfurt Vielstellige Vorrichtung zum Heißzwirnen
DE3018365C2 (de) * 1980-05-14 1983-07-14 Ernst Michalke GmbH & Co, 8901 Langweid Falschdralltexturiermaschine
DE3701734A1 (de) * 1986-02-01 1987-08-06 Zinser Textilmaschinen Gmbh Texturiermaschine zum falschdrahtkraeuseln synthetischer faeden
DE3723200A1 (de) * 1987-01-22 1988-08-04 Barmag Barmer Maschf Falschzwirnkraeuselmaschine
JPS63309636A (ja) 1987-06-12 1988-12-16 帝人製機株式会社 繊維加工機
US4905468A (en) * 1988-02-22 1990-03-06 Teijin Seiki Company Limited False twister
JP2571180B2 (ja) * 1992-12-08 1997-01-16 東洋電機株式会社 仮撚り加工用加熱装置
FR2745011B1 (fr) * 1996-02-20 1998-03-13 Icbt Roanne Machine pour la realisation d'un fil mixte par assemblage de deux fils textures par fausse torsion
FR2775299B1 (fr) * 1998-02-26 2000-03-17 Icbt Roanne Machine de filature et de texturation de fils par fausse torsion
JP3178418B2 (ja) * 1998-06-12 2001-06-18 村田機械株式会社 先撚り仮撚り加工機
GB9818043D0 (en) * 1998-08-19 1998-10-14 Rieter Scragg Ltd Textile yarn and its production
ITBO20030793A1 (it) * 2003-12-30 2005-07-01 Cortese Spa Macchina universale per la lavorazione di filati continu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07598B1 (de) 2012-05-30
KR20110044982A (ko) 2011-05-03
JP2011529138A (ja) 2011-12-01
EP2307598A1 (de) 2011-04-13
JP5431471B2 (ja) 2014-03-05
US8468791B2 (en) 2013-06-25
CN102066631B (zh) 2012-09-26
WO2010010016A1 (de) 2010-01-28
CN102066631A (zh) 2011-05-18
US20110308226A1 (en) 201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62417B2 (ja) 合成糸を引出しかつ延伸するための方法並びに該方法を実施する装置
CN101437991B (zh) 用于熔融纺造、处理和卷绕合成长丝的设备
JP5431460B2 (ja) マルチフィラメント糸を溶融紡糸し、延伸しかつ巻き上げる方法並びにこの方法を実施する装置
CN101443490B (zh) 用于牵引和拉伸多纤维长丝的方法和装置
CN102471936A (zh) 用于熔纺、拉伸和卷绕复丝的方法以及实施该方法的装置
CN1325357C (zh) 用来制造和卷绕合成长丝的装置
US9243348B2 (en) Apparatus for melt-spinning, drawing and winding multiple synthetic threads
JP5502882B2 (ja) 加熱装置
JP5453004B2 (ja) 仮撚り繊維機械
US4395872A (en) Asymmetrical false-twist texturing machine
KR101580513B1 (ko) 텍스쳐링 기계
JP6016914B2 (ja) 溶融紡糸装置
JP4422615B2 (ja) 仮撚りテクスチャード加工機
JP2005505705A (ja) テクスチャード加工機械
JP4155922B2 (ja) 仮よりテクスチャード機械
JP7203818B2 (ja) 糸群を引き出しかつ巻き取る装置
EP0571974B1 (en) A false twist texturing machine
JP2004530811A (ja) 仮よりテクスチャード機械
CN110997991A (zh) 用于制造合成纱线的装置
EP4180377A1 (en) Take-up tube replenishment device
CN117157436A (zh) 丝线生产设备
JP2001295150A (ja) 延伸仮撚機における糸条加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