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9863B1 - 잭 본체의 제조방법 및 잭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잭 본체의 제조방법 및 잭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9863B1
KR101579863B1 KR1020150112514A KR20150112514A KR101579863B1 KR 101579863 B1 KR101579863 B1 KR 101579863B1 KR 1020150112514 A KR1020150112514 A KR 1020150112514A KR 20150112514 A KR20150112514 A KR 20150112514A KR 101579863 B1 KR101579863 B1 KR 101579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ck
jack body
thickness
lift
stee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2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노리 야마시타
모토이 니시오카
Original Assignee
쿄쿠도 코겐 콘크리트 신코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쿄쿠도 코겐 콘크리트 신코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쿄쿠도 코겐 콘크리트 신코 가부시기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14Spi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18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vessels, e.g. tubs, vats, tanks, sin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66F3/25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66F3/25Constructional features
    • B66F3/35Inflatable flexible elements, e.g. bell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력을 감시할 수 있는 잭 본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한 쌍의 지압판에 의하여 사이에 끼워지고, 주입재의 주입상태에 따라서 팽창 및 수축하는 잭 본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평판형상의 강판에 대하여 스피닝 가공을 행함으로써, 한 쌍의 가공품을 성형하는 공정과, 한 쌍의 가공품의 끝면을 서로 접촉시켜 용접함으로써, 잭 본체를 가공하는 공정을 가진다. 강판의 두께를 0.8mm 이상이며 2.6mm 이하로 한다. 이와 같이 강판의 두께를 설정함으로써, 잭 본체의 내부 압력 상승에 대하여, 잭 본체의 양력을 변화시키기 쉬워져서, 잭 본체의 양력을 감시하기 쉬워진다. 또한, 상술한 두께의 강판에 대하여는, 스피닝 가공을 행함으로써, 잭 본체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잭 본체의 제조방법 및 잭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Jack and Body of Jack}
본 발명은, 주입재의 주입에 따르는 팽창에 의하여 양력을 발생시키는 잭의 제조방법과, 이러한 잭에 포함되는 잭 본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2에는, 잭(이른바, 플랫타입 잭)의 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잭은, 주입재가 주입되는 잭 본체와, 잭 본체를 사이에 끼우는 한 쌍의 지압판을 가진다. 잭 본체의 내부에 주입재를 주입하여, 잭 본체의 내부 압력을 상승시킴으로써, 잭에 양력을 발생시키고 있다.
종래의 잭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도 6의 (a) 내지 (d)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강판의 프레스 드로잉 가공에 의하여, 도 6의 (a)에 나타내는 형상을 가지는 가공품(110)을 제조한다. 가공품(110)을 화살표(D2) 방향에서 보았을 때, 가공품(110)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6의 (a)는, 가공품(110)을 직경방향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도이다. 가공품(110)의 굴곡부(111)는 가공품(110)의 둘레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가공품(110)을 배치하고, 한쪽 가공품(110)의 외부둘레부(112)와, 다른 쪽 가공품(110)의 외부둘레부(112)를 용접한다. 이에 따라, 잭 본체(120)가 제조된다. 도 6의 (b)에 나타내는 잭 본체(120)를 제조한 후, 잭 본체(120)의 품질을 확인하기 위하여, 잭 본체(120)의 내부에 주입재를 주입함으로써, 잭 본체(120)로부터 주입재가 누출되는지 아닌지를 확인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6의 (b)에 나타내는 잭 본체(120)의 중앙부(R1)에 대하여, 프레스 드로잉 가공을 행함으로써, 도 6의 (c)에 나타내는 형상을 가지는 잭 본체(120)를 형성한다. 도 6의 (c)에 나타내는 잭 본체(120)에서는, 중앙부(R1)가 서로 접촉하고 있고, 잭 본체(120)의 외주부(R2)가 부풀어 있다.
다음으로, 도 6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6의 (c)에 나타내는 잭 본체(120)에 대하여, 한 쌍의 지압판(130)을 배치한다. 이에 따라, 특허문헌 1, 2에 개시된 잭(100)이 얻어진다. 한 쌍의 지압판(130)은, 잭 본체(120)를 사이에 끼우는 위치에 배치되며, 각 지압판(130)은 잭 본체(120)의 바깥면을 따른 형상을 가진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소48-019671호
특허문헌 2: 일본특허공보 제5425291호
도 6의 (a) 내지 (d)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프레스 드로잉 가공을 하기 위해서는, 잭 본체(120)를 구성하는 강판의 두께를 충분히 확보할 필요가 있었다. 강판의 두께가 얇아질수록, 강판의 프레스 드로잉 가공을 하였을 때, 강판을 휨가공한 부분의 두께가 얇아져, 잭 본체(120)의 피로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잭을 사용할 때에는, 잭의 양력을 목표값에 도달시킬 때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잭의 양력의 변화를 감시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원의 발명자 등에 의하면, 잭 본체를 구성하는 강판의 두께를 얇게 할수록, 잭 본체 내부의 압력 상승에 대하여, 잭의 양력이 변화되기 쉽다는 것을 알았다. 이 때문에, 잭의 양력의 변화를 감시하기 위하여는, 잭 본체를 구성하는 강판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종래와 같이 프레스 드로잉 가공을 하는 경우에는, 잭 본체를 구성하는 강판의 두께를 충분히 확보해야만 하므로, 잭의 양력의 변화를 감시할 수 없다.
본 발명은 한 쌍의 지압판에 의하여 사이에 끼워지고, 주입재의 주입상태에 따라서 팽창 및 수축하는 잭 본체의 제조방법이다. 이러한 제조방법은, 평판형상의 강판에 대하여 스피닝 가공을 함으로써, 한 쌍의 가공품을 성형하는 공정과, 한 쌍의 가공품의 끝면을 서로 접촉시켜 용접함으로써, 잭 본체를 가공하는 공정을 가진다. 여기에서, 강판의 두께는 0.8mm 이상이며, 2.6mm 이하이다.
강판의 두께를 0.8~2.6mm로 함으로써, 잭 본체 내부에 주입재를 주입하여 잭 본체의 내부 압력을 상승시켰을 때, 잭 본체의 내부 압력 상승에 추종하여 잭 본체의 양력을 변화시키기 쉬워진다. 이에 따라, 잭 본체의 양력을 목표값에 도달시킬 때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잭 본체의 양력의 변화를 파악하기 쉬워져, 양력의 감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두께의 강판에 대하여, 프레스 드로잉 가공을 하면, 한 쌍의 가공품의 용접이 불충분해지기 쉽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두께의 강판에 대하여, 스피닝 가공을 행함으로써, 가공품을 제조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두께의 강판을 이용함으로써, 한 쌍의 가공품에 대하여 충분한 용접을 행할 수 있다.
강판의 두께는 1.2mm 이상이며, 2.6mm 이하로 할 수 있다. 잭 본체를 사용할 때에는, 잭 본체의 팽창 및 수축이 반복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잭에 의하여 구조물을 지지하고, 잭의 스트로크양을 소정값으로 유지하고 있을 때, 잭에 작용하는 하중이 변동되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서, 강판의 두께를 1.2~2.6mm로 함으로써, 잭 본체의 팽창 및 수축을 반복하는 횟수가 증가하거나, 또한 잭에 대한 하중 변동이 반복되는 횟수가 증가하여도, 잭 본체의 피로강도의 저하를 억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잭을 제조할 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잭 본체를 제조하는 동시에, 한 쌍의 지압판을 제조한다. 잭 본체에 대하여, 한 쌍의 지압판을 배치함으로써 잭이 얻어진다.
본 명세서의 내용 중에 포함되어 있음.
도 1은 잭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단면도이다.
도 3의 (a)는 본 실시형태의 잭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의 (b)는 본 실시형태의 잭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의 (c)는 본 실시형태의 잭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잭 본체의 강판의 두께와, 잭의 팽창 및 수축을 반복하였을 때에 피로파괴에 도달하기까지의 횟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잭 본체의 강판의 두께와, 잭의 스트로크양을 소정값으로 유지하면서, 잭 본체 내부의 압력을 변화시켰을 때에 피로파괴에 도달하기까지의 횟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a)는 종래의 잭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의 (b)는 종래의 잭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의 (c)는 종래의 잭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의 (d)는 종래의 잭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인 잭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는 잭(1)에 후술하는 주입재를 주입하기 전의 상태(초기상태라고 함)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잭(1)을 위쪽 또는 아래쪽에서 보았을 때, 잭(1)은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잭(1)은 잭 본체(10) 및 한 쌍의 지압판(21)을 가진다. 잭 본체(10)는 잭 본체(10)(잭(1))의 외주를 따라서 링형상으로 형성된 곡면부(11)를 가진다. 또한, 잭 본체(10)는 곡면부(11)의 내측에 있어서, 한 쌍의 평탄부(12)를 가진다. 곡면부(11)는 한 쌍의 평탄부(12)와 접속되어 있다.
잭 본체(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강판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잭 본체(10)를 형성하는 강판으로서는, 냉간압연강판, 특히 JISG3141로 규정된 SPCE(종류의 기호) 또는 SPCD(종류의 기호)를 이용할 수 있다.
잭(1)이 초기상태에 있을 때, 곡면부(11)는 한 쌍의 평탄부(12)에 대하여, 도 2의 상하방향으로 부풀어 있다. 곡면부(11) 및 평탄부(12)에 의하여, 주입재를 수용하는 스페이스(밀폐공간)가 형성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잭 본체(10)의 곡면부(11)에는, 주입관(31) 및 배출관(32)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주입관(31)은 잭 본체(10)의 내부에 주입재를 주입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주입재는 경화성을 가지는 유체(경화성 유체라고 함)여도 좋고, 경화성을 가지지 않는 유체(비경화성 유체라고 함)여도 좋다. 경화성 유체로서는, 예를 들어 시멘트 밀크나 합성수지 모르타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비경화성 유체로서는, 예를 들어 기름이나 물을 사용할 수 있다.
잭 본체(10)에 주입재를 주입할 때에는, 주입재를 가압하면서 주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압펌프를 주입관(31)에 접속하면, 가압펌프에서 발생한 압력을 사용하여, 주입재를 잭 본체(10)에 주입할 수 있다. 가압펌프로서는, 예를 들어 수압을 이용한 펌프나, 유압을 이용한 펌프가 있다.
배출관(32)은 잭 본체(10)로부터 주입재나 기체를 배출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잭 본체(10)의 내부에 주입재를 주입하기 전에는, 잭 본체(10)의 내부에 기체(공기 등)가 존재하고 있으므로, 이 기체를 잭 본체(10)의 내부로부터 배출시킬 필요가 있다. 그래서, 배출관(32)을 사용하면, 잭 본체(10)의 내부에 주입재를 주입함에 따라, 잭 본체(10)의 내부에 존재하는 기체를 배출관(32)으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잭 본체(10)의 내부는 주입재로 채워야만 한다. 이 때문에, 배출관(32)으로부터 주입재가 배출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잭 본체(10)의 내부가 주입재로 채워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잭 본체(10)의 내부에 주입재를 주입하면, 잭 본체(10)를 팽창시킬 수 있다. 잭 본체(10)를 팽창시킬 때에는, 예를 들어 배출관(32)에 설치된 스톱밸브(미도시)를 이용하여, 배출관(32)의 배출경로를 막으면 된다. 이에 따라, 주입재가 배출관(32)으로부터 배출되지 않아, 잭 본체(10)의 내부에 주입재를 계속 주입할 수 있다.
잭 본체(10)의 내부에 주입재를 계속 주입하면, 잭 본체(10)를 팽창시킬 수 있다. 잭 본체(10)가 팽창할 때, 한 쌍의 평탄부(12)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2의 상하방향에 있어서, 한 쌍의 평탄부(12)가 이간된다. 한편, 잭 본체(10)의 내부에 주입재를 주입하지 않고, 잭 본체(10)의 내부로부터 주입재를 배출시키면, 잭 본체(10)를 수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잭 본체(10)를 팽창시키거나, 수축시키거나 함으로써, 잭(1)의 양력을 조정할 수 있다.
잭(1)은, 도 2의 상하방향에 있어서, 잭 본체(10)를 사이에 끼우는 위치에, 한 쌍의 지압판(21)을 가진다. 지압판(21)은 잭 본체(10)에 있어서의 곡면부(11) 및 평탄부(12)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지압판(21)은, 예를 들어 모르타르로 형성할 수 있다.
각 지압판(21)의 내부에는, 금속제 메시(22)가 배치되어 있다. 금속제 메시(22)는 지압판(21)을 보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한편, 지압판(21)을 보강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이어도 좋으며, 금속제 메시(22)를 이용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어, 지압판(21)의 내부에, 유리섬유를 매설할 수도 있다. 한편, 금속제 메시(22) 등을 생략하고, 지압판(21)을 보강하지 않아도 좋다.
잭(1)의 제조방법, 주로 잭 본체(10)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도 3의 (a) 내지 (c)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두께(t)를 가지는 평판형상의 강판에 대하여, 스피닝 가공을 행함으로써, 도 3의 (a)에 나타내는 형상을 가지는 2개의 가공품(10A, 10B)을 제조한다. 가공품(10A, 10B)은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도 3의 (a)에 나타내는 화살표(D1) 방향에서 각 가공품(10A, 10B)을 보았을 때, 각 가공품(10A, 10B)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공품(10A, 10B)의 외주부에는, 굴곡부(11A, 11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굴곡부(11A, 11B)는, 상술한 곡면부(11)를 구성한다. 가공품(10A, 10B)의 중앙부에는, 평탄부(12A, 12B)가 형성되어 있다. 평탄부(12A, 12B)는 도 2에 나타내는 평탄부(12)에 상당한다.
다음으로,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가공품(10A, 10B)을 겹쳐 배치하고, 가공품(10A)의 외부둘레부(끝면)(10A1)와, 가공품(10B)의 외부둘레부(끝면)(10B1)를 용접한다. 구체적으로는, 외부둘레부(10A1, 10B1)를 접촉시킨 부분에 대하여, 가공품(10A, 10B)의 외측으로부터 열을 가하여, 외부둘레부(10A1, 10B1)를 용융시킨다. 이에 따라, 2개의 가공품(10A, 10B)이 일체화하여, 잭 본체(10)가 얻어진다. 도 3의 (b)는, 도 2에 대응한 도면으로, 잭 본체(10)를 직경방향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잭 본체(10)의 단면도이다. 한편, 가공품(10A, 10B)으로 잭 본체(10)를 제조할 때, 잭 본체(10)에는 주입관(31) 및 배출관(32)이 접속된다.
다음으로, 도 3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잭 본체(10)에 대하여, 한 쌍의 지압판(21)을 배치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단락 0059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잭 본체(10)의 바깥면에 대하여, 지압판(21)을 형성하는 재료를 주입함으로써, 지압판(21)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잭 본체(10)의 바깥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형을 준비해 두고, 지압판(21)을 형성하는 재료를 형에 주입함으로써, 지압판(21)을 제조할 수 있다.
상술한 잭(1)에 제조에 있어서, 잭 본체(10)의 강도가 확보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시험을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의 (b)에 나타내는 잭 본체(10)를 제조한 후, 잭 본체(10)의 내부에 주입재(예를 들어, 시험용 물 또는 기름)를 주입하여 잭 본체(10)를 팽창시키고, 잭 본체(10)로부터 주입재가 누출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함으로써, 잭 본체(10)의 강도가 확보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다. 잭 본체(10)의 강도가 확보되고 있는 것을 확인한 후에는, 잭 본체(10)로부터 주입재를 배출함으로써, 잭 본체(10)가 도 3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되돌아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잭 본체(10)를 형성하는 강판의 두께(t)를 0.8[mm] 이상이며, 2.6[mm] 이하로 하고 있다.
강판의 두께(t)가 0.8[mm]보다 얇으면, 외부둘레부(10A1, 10B1)를 용접하려고 하여도, 용접 부분에 있어서의 강판의 두께가 부족하여, 잭 본체(10)의 강도를 확보할 수 없다. 또한, 용접시에 용접 부분에 구멍이 발생하기 쉬워져, 잭 본체(10)의 내부를 밀폐상태로 할 수 없다.
강판의 두께(t)가 2.6[mm]보다 두꺼우면, 상술한 스피닝 가공에 의하여, 가공품(10A, 10B)을 제조하기 어려워진다. 종래와 같이, 프레스 드로잉 가공을 하기 위해서는, 강판의 두께(t)를 두껍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스피닝 가공을 하기 위해서는, 강판의 두께(t)를 얇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스피닝 가공을 하기 위해서는, 강판의 두께(t)를 2.6[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판의 두께(t)가 2.6[mm]보다 두꺼우면, 외부둘레부(10A1, 10B1)의 일부를 용융시키기 어려워져, 잭(1)의 사용방법에 따라서는, 외부둘레부(10A1, 10B1)의 용접 부분의 강도가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서, 잭 본체(10)를 단순히 팽창시키는 것뿐이라면, 두께(t)가 2.6[mm]보다 두꺼운 강판을 용접하여도, 외부둘레부(10A1, 10B1)의 용접 부분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잭(1)의 사용방법에 따라서는, 잭 본체(10)를 단순히 팽창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잭(1)의 양력을 조정하기 위하여, 잭 본체(10)의 팽창 및 수축이 반복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이더라도, 잭 본체(10)의 팽창 및 수축이 반복되는 횟수를 가급적 제한하면, 두께(t)가 2.6[mm]보다 두꺼운 강판을 용접하여도, 외부둘레부(10A1, 10B1)의 용접 부분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하지만, 잭 본체(10)의 팽창 및 수축이 반복되는 횟수가 증가해버릴 때에는, 두께(t)가 2.6[mm]보다 두꺼운 강판을 용접하였을 때에, 외부둘레부(10A1, 10B1)의 용접 부분의 강도를 확보하기 어려워진다. 즉, 잭 본체(10)의 팽창 및 수축이 반복됨으로써, 외부둘레부(10A1, 10B1)의 용접 부분에 있어서, 피로강도가 저하되기 쉬워져, 주입재가 잭 본체(10)의 외부에 누출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주입재가 누출된 경우에는, 잭(1)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잭 본체(10)의 팽창 및 수축이 반복되는 것을 고려하면, 강판의 두께(t)를 2.6[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강판의 두께(t)를 1.2[mm] 이상이며, 2.6[mm] 이하로 할 수 있다.
잭(1)에 의하여 구조물을 지지할 때, 잭(1)의 스트로크양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여기에서, 교량 등의 구조물에서는, 구조물 상에서 차량 등이 이동하므로, 잭(1)에 작용하는 하중이 변동된다. 강판의 두께(t)를 1.2[mm] 이상이며, 2.6[mm] 이하로 함으로써, 상술한 하중 변동이 계속 발생하여도, 잭 본체(10)의 피로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잭 본체(10)의 내부 압력이 일정할 때, 강판의 두께(t)를 0.8~2.6[mm]로 하면, 두께(t)가 2.6[mm]보다 두꺼울 때에 비하여, 잭(1)에 발생시킬 수 있는 양력(LF)을 상승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강판의 두께(t)에 상관없이, 잭 본체(10)의 내부 압력을 상승시킴으로써, 잭(1)의 양력(LF)을 목표값에 도달시킬 수 있다. 하지만, 강판의 두께(t)를 0.8~2.6[mm]로 함으로써, 두께(t)가 2.6[mm]보다 두꺼울 때에 비하여, 잭 본체(10)의 내부 압력 상승에 대하여, 잭(1)의 양력(LF)을 상승시키기 쉬워진다.
잭(1)을 사용할 때, 잭(1)의 양력(LF)을 목표값에 도달시킬 때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잭(1)의 양력(LF)을 감시하는 경우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잭 본체(10)의 내부 압력 상승에 대하여, 잭(1)의 양력(LF)을 상승시키기 쉽게 하면, 잭(1)의 양력(LF)을 목표값에 도달시킬 때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잭(1)의 양력(LF)을 감시하기 쉬워진다. 잭 본체(10)의 내부 압력 상승에 대하여, 잭(1)의 양력(LF)이 상승하기 어려우면, 잭 본체(10)의 내부 압력을 상승시켜도, 잭(1)의 양력(LF)의 상승을 파악하기 어려워져, 잭(1)의 양력(LF)을 감시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잭 본체(10)의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한 조건에 있어서, 두께(t)를 2.6[mm]보다 두꺼운 범위 내에서 다르게 하여도, 잭(1)의 양력(LF)은 상승하기 어려워진다. 즉, 강판의 두께(t)가 2.6[mm]보다 두꺼울 때에는, 잭 본체(10)의 내부 압력 상승에 대하여, 잭(1)의 양력(LF)을 상승시키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잭(1)을 사용할 때에, 잭(1)의 양력(LF)을 감시할 수는 없다.
[실시예]
실시예 1~7 및 비교예에서는, 잭 본체(10)의 강판의 두께(t)를 다르게 하고 있다. 하기 표 1에는, 실시예 1~7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강판의 두께(t)를 나타낸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7
두께(t)[mm] 0.8 1.0 1.2 1.6 2.0 2.3 2.6 3.2
실시예 1~7 및 비교예의 잭(1)을 이용하여, 잭 본체(10)의 내부에 있어서의 압력(즉, 주입재의 주입 후의 압력)(P)을 1~20[MPa] 사이에서 바꾸면서, 잭(1)의 스트로크양(양정(揚程)량)을 15[mm]로 하였을 때의 잭(1)의 양력(하중)(LF)(단위:kN)을 측정하였다.
한편, 잭(1)의 스트로크양이란, 초기상태(도 2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는 잭(1)의 두께(도 2의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잭(1)의 치수)와, 주입재의 주입에 의하여 팽창된 후의 잭(1)의 두께와의 차이이다. 바꿔말하면, 도 2에 나타내는 잭(1)에 있어서, 한 쌍의 지압판(21)의 각각의 변위량(이동량)의 합계값이 잭(1)의 스트로크양이 된다.
각 압력(P)(1~20[MPa])에 있어서, 비교예의 양력(LF)을 기준값(=1.00)으로 하고, 각 실시예 1~7의 양력(LF)을 기준값인 양력(LF)으로 나눈 값(비율)(R)을 산출하였다. 이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비교예
(t=3.2)
1
(t=0.8)
2
(t=1.0)
3
(t=1.2)
4
(t=1.6)
5
(t=2.0)
6
(t=2.3)
7
(t=2.6)








압력
(P)
[MPa]







1 1.84 1.84 1.69 1.42 1.33 1.28 1.24 1.00
2 1.63 1.62 1.59 1.47 1.33 1.26 1.18 1.00
3 1.53 1.50 1.48 1.40 1.28 1.22 1.16 1.00
4 1.41 1.40 1.38 1.32 1.24 1.19 1.15 1.00
5 1.33 1.32 1.31 1.27 1.16 1.14 1.13 1.00
6 1.28 1.28 1.27 1.22 1.17 1.15 1.12 1.00
7 1.22 1.22 1.21 1.18 1.14 1.12 1.10 1.00
8 1.19 1.19 1.18 1.15 1.12 1.10 1.08 1.00
9 1.18 1.17 1.16 1.14 1.11 1.09 1.08 1.00
10 1.14 1.15 1.14 1.12 1.08 1.07 1.06 1.00
11 1.13 1.13 1.13 1.11 1.08 1.07 1.06 1.00
12 1.12 1.13 1.12 1.10 1.08 1.07 1.06 1.00
13 1.11 1.12 1.11 1.09 1.07 1.06 1.05 1.00
14 1.11 1.10 1.10 1.09 1.06 1.05 1.04 1.00
15 1.10 1.09 1.09 1.08 1.06 1.05 1.04 1.00
16 - 1.09 1.09 1.07 1.05 1.05 1.04 1.00
17 - 1.09 1.08 1.07 1.05 1.05 1.04 1.00
18 - 1.09 1.08 1.07 1.05 1.05 1.04 1.00
19 - 1.08 1.07 1.06 1.05 1.04 1.04 1.00
20 - - 1.07 1.07 1.05 1.04 1.04 1.00
상기 표 2로부터 알 수 있듯이, 압력(P)이 일정값일 때, 실시예 1~7에서는, 비율(R)이 1.00보다 높아진다. 여기에서, 두께(t)가 얇을수록 비율(R)을 높일 수 있다.
비율(R)은 각 실시예 1~7의 양력(LF)을 비교예의 양력(LF)으로 나눈 값이 되므로, 압력(P)이 일정값일 때, 각 실시예 1~7의 양력(LF)은 비교예의 양력(LF)보다 커진다. 이에 따라, 실시예 1~7에서는, 비교예와 비교하여, 압력(P)을 [MPa]에서 일정값[MPa]까지 상승시킬 때, 압력(P)의 상승에 추종하여 양력(LF)을 상승시키기 쉬워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압력(P)의 상승에 추종하여, 양력(LF)을 상승시키기 쉽게 함으로써, 잭(1)의 양력(LF)을 목표값(예를 들어, 15[MPa])에 도달시킬 때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잭(1)의 양력(LF)을 감시하기 쉬워진다.
비율(R)이 낮을수록 양력(LF)의 상승은, 압력(P)의 상승에 추종하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잭(1)의 양력(LF)을 목표값에 도달시킬 때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잭(1)의 양력(LF)을 감시하기 어려워진다. 두께(t)에 상관없이, 압력(P)을 상승시킴으로써, 잭(1)의 양력(LF)을 목표값에 도달시킬 수는 있는데, 양력(LF)을 목표값에 도달시킬 때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양력(LF)을 감시하기 위해서는, 두께(t)를 0.8[mm] 이상이며, 2.6[mm]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실시예 1~7에서는, 비교예보다 두께(t)가 얇아진다. 여기에서, 종래의 프레스 드로잉 가공에서는, 두께(t)가 얇을수록 잭 본체(10)의 피로강도를 담보하면서, 잭 본체(10)를 제조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한편, 스피닝 가공에서는, 두께(t)가 얇을수록 잭 본체(10)를 제조하기 쉬워진다. 그래서, 두께(t)를 0.8[mm] 이상이며, 2.6[mm] 이하로 함으로써, 스피닝 가공에 의하여 잭 본체(10)를 제조하기 쉽게 하면서, 잭(1)의 양력(LF)을 감시하기 쉬워진다.
한편, 실시예 1~7 및 비교예의 잭(1)을 이용하여, 팽창 및 수축을 반복하여, 잭 본체(10)가 피로파괴할 때까지의 횟수(Na)를 측정하였다. 잭 본체(10)의 피로파괴란, 잭 본체(10)로부터 주입재(예를 들어, 시험용 물 또는 기름)가 누출된 상태로 한다.
여기에서는, 압력(P)을 0[MPa]에서 15[MPa]로 변화시켜서, 잭(1)을 팽창시킨 후에, 압력(P)을 15[MPa]에서 0[MPa]로 변화시켜서, 잭(1)을 수축시켰다. 이때, 잭(1)의 스트로크양은 압력(P)이 0[MPa]일 때의 값(즉, 제로)에서 압력(P)이 15[MPa]일 때의 값 사이에서 변화시킨다. 이러한 처리를 1회로 하여, 잭 본체(10)가 피로파괴할 때까지의 횟수(Na)를 측정하였다. 이 측정결과를 도 4에 나타낸다. 도 4에 있어서, 가로축은 두께(t)이고, 세로축은 횟수(Na)이다.
도 4로부터 알 수 있듯이, 두께(t)가 2.0[mm]일 때에, 횟수(Na)가 가장 많다. 또한, 두께(t)가 2.0[mm]보다 얇을수록 횟수(Na)가 저하하는 동시에, 두께(t)가 2.0[mm]보다 두꺼울수록 횟수(Na)가 저하한다. 두께(t)가 1.2[mm] 이상이며, 2.6[mm] 이하이면, 횟수(Na)를 늘릴 수 있다. 이 때문에, 두께(t)는 1.2[mm] 이상이며, 2.6[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실시예 1~7 및 비교예의 잭(1)을 이용하여, 스트로크양을 소정값으로 유지하면서, 압력(P)을 8~12[MPa] 사이에서 변화시켜, 잭 본체(10)가 피로파괴할 때까지의 횟수(Nb)를 측정하였다.
여기에서는, 압력(P)을 10[MPa]에서 12[MPa]로 상승시킨 후에, 압력(P)을 10[MPa]로 되돌렸다. 다음으로, 압력(P)을 10[MPa]에서 8[MPa]로 저하시킨 후에, 압력(P)을 10[MPa]로 되돌렸다. 이러한 처리를 1회로 하여, 잭 본체(10)가 피로파괴할 때까지의 횟수(Nb)를 측정하였다. 이러한 측정결과를 도 5에 나타낸다. 도 5에 있어서, 가로축은 두께(t)이고, 세로축은 횟수(Nb)이다.
도 5로부터 알 수 있듯이, 두께(t)가 2.0[mm]일 때에, 횟수(Nb)가 가장 많다. 또한, 두께(t)가 2.0[mm]보다 얇을수록 횟수(Nb)가 저하하는 동시에, 두께(t)가 2.0[mm]보다 두꺼울수록, 횟수(Nb)가 저하한다. 두께(t)가 1.2[mm] 이상이며, 2.6[mm] 이하이면, 횟수(Nb)를 늘릴 수 있다. 이 때문에, 두께(t)는 1.2[mm] 이상이며, 2.6[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잭
10: 잭 본체
11: 곡면부
12: 평탄부
21: 지압판
31: 주입관
32: 배출관

Claims (3)

  1. 한 쌍의 지압판에 의하여 사이에 끼워지고, 주입재의 주입상태에 따라서 팽창 및 수축하는 잭 본체의 제조방법으로서,
    평판형상의 강판에 대하여 스피닝 가공을 행함으로써, 한 쌍의 가공품을 성형하는 공정과,
    상기 한 쌍의 가공품의 끝면을 서로 접촉시켜 용접함으로써, 상기 잭 본체를 가공하는 공정을 가지고,
    상기 강판의 두께가, 0.8mm 이상이며, 2.6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본체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두께가 1.2mm 이상이며, 2.6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본체의 제조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잭 본체의 제조방법과,
    상기 지압판을 제조하고, 상기 잭 본체에 대하여 상기 한 쌍의 지압판을 배치하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의 제조방법.
KR1020150112514A 2015-03-11 2015-08-10 잭 본체의 제조방법 및 잭의 제조방법 KR1015798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48892 2015-03-11
JP2015048892A JP5770401B1 (ja) 2015-03-11 2015-03-11 ジャッキ本体の製造方法およびジャッキ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9863B1 true KR101579863B1 (ko) 2015-12-23

Family

ID=54187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2514A KR101579863B1 (ko) 2015-03-11 2015-08-10 잭 본체의 제조방법 및 잭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770401B1 (ko)
KR (1) KR101579863B1 (ko)
CN (1) CN105057980B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8595A (ja) * 1995-08-09 1997-02-18 Noriji Kaeba 薄型ジャッキの製造方法及び薄型ジャッキ
JP2005053675A (ja) * 2003-08-06 2005-03-03 Kuraimu:Kk 板ジャッキの製造方法及び板ジャッキ
JP2005126230A (ja) * 2003-10-27 2005-05-19 Noriji Kaeba 薄型ジャッキの製造方法及び薄型ジャッキ
JP5425291B1 (ja) * 2012-11-13 2014-02-26 極東鋼弦コンクリート振興株式会社 ジャッキ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83653A1 (en) * 2008-05-16 2009-11-19 Larin Corporation Jack stand and method for forming same
CN101608698A (zh) * 2009-07-08 2009-12-23 谭仲禧 一种空心球形阀塞及其制造方法
CN102234080A (zh) * 2010-05-01 2011-11-09 伊恩·梅赛森 千斤顶框架及其制造方法
CN102774791A (zh) * 2012-04-28 2012-11-14 浙江鸿牛工贸有限公司 一种农用千斤顶升降器及爬杆制造工艺
CN103896178B (zh) * 2014-03-24 2017-02-15 江苏江北液压机械制造有限公司 千斤顶双向液压装置及其制造方法
CN104099525B (zh) * 2014-07-10 2016-08-24 安徽通润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千斤顶机架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8595A (ja) * 1995-08-09 1997-02-18 Noriji Kaeba 薄型ジャッキの製造方法及び薄型ジャッキ
JP2005053675A (ja) * 2003-08-06 2005-03-03 Kuraimu:Kk 板ジャッキの製造方法及び板ジャッキ
JP2005126230A (ja) * 2003-10-27 2005-05-19 Noriji Kaeba 薄型ジャッキの製造方法及び薄型ジャッキ
JP5425291B1 (ja) * 2012-11-13 2014-02-26 極東鋼弦コンクリート振興株式会社 ジャッ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169069A (ja) 2016-09-23
JP5770401B1 (ja) 2015-08-26
CN105057980B (zh) 2017-04-12
CN105057980A (zh) 2015-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15539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orsion beam and torsion beam
KR102105653B1 (ko) 서로 다른 두께 편차를 갖는 테일러 레이어드 튜브 및 그 제조 방법
KR102004617B1 (ko) 차량용 도어빔 용접 지그와 이를 이용한 용접방법
KR20130086084A (ko) 씰 장치
KR101579863B1 (ko) 잭 본체의 제조방법 및 잭의 제조방법
CN102164690A (zh) 成形为异形断面的方法及点焊性优异的四边形断面成形品
US11112063B2 (en) Sensor for a high-pressure lin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0393676B1 (ko) 상하 분할식 튜브 하이드로포밍성 평가 장치 및 이에적합한 평가 방법
KR102180825B1 (ko) 중공 스태빌라이저와, 스태빌라이저 제조 장치와, 중공 스태빌라이저의 제조 방법
JP6699207B2 (ja) プレス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プレス成形品の製造方法ならびにダイ
KR20210118907A (ko) 금속관 및 금속관의 제조 방법
US20130340634A1 (en) Pressure vessel sealing
KR102121481B1 (ko) 하이퍼 압축기용 패킹 컵, 이를 포함하는 하이퍼 압축기 및 하이퍼 압축기용 패킹 컵의 제조 방법
JP6685530B2 (ja) タイヤ加硫機及びタイヤ加硫方法
JP5609749B2 (ja) 金属板からなる液圧バルジ成形品の製造方法、液圧バルジ成形用金型、及び液圧バルジ成形品
JP2007075844A (ja) 液圧バルジ加工製品およびその液圧バルジ成形方法
US10518312B1 (en) Products manufactured by autofrettage
JP4631541B2 (ja) 金属板のハイドロフォーム装置およびそのハイドロフォーム方法、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成型品
KR101972664B1 (ko) 실링 유닛 및 상기 실링 유닛을 포함하는 액압성형장치
JP2014097856A (ja) ジャッキ
KR102303863B1 (ko) 타이어 가류를 위한 컨테이너용 가압식 프리로드 측정기
JP4630218B2 (ja) ハイドロフォーム加工における金型の割れ検知方法および装置
JP5018861B2 (ja) 液圧バルジ加工装置および液圧バルジ加工方法
KR102437526B1 (ko) 지능형 단조 시스템 및 이의 정밀 진단 방법
JP4502110B2 (ja) 金属板の液圧バルジ加工装置および液圧バルジ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