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9315B1 - 차량용 시트쿠션의 높이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쿠션의 높이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9315B1
KR101579315B1 KR1020090111208A KR20090111208A KR101579315B1 KR 101579315 B1 KR101579315 B1 KR 101579315B1 KR 1020090111208 A KR1020090111208 A KR 1020090111208A KR 20090111208 A KR20090111208 A KR 20090111208A KR 101579315 B1 KR101579315 B1 KR 101579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cam
wedge
seat cushion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4530A (ko
Inventor
강신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090111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9315B1/ko
Publication of KR20110054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쿠션의 높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작동레버(70)의 일회 조작으로 시트 착석자가 원하는 위치까지 시트쿠션을 상승(up) 및 하강(down)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작동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품에 대한 선호도를 높일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부품수의 간소화를 통해 원가 절감 및 중량 감소를 도모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시트쿠션, 높이, 조절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쿠션의 높이 조절 장치{Height adjust apparatus of seat cushion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쿠션의 높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수 감축을 통해 원가 절감 및 중량 감소를 도모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쿠션의 높이 조절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는 시트쿠션과 시트백 및 헤드레스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시트쿠션과 상기 시트백은 각각 시트쿠션프레임과 시트백프레임에 의해 골격을 이루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시트쿠션프레임은 시트레일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바, 이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바로 높이 조절 장치이다.
상기 높이 조절 장치는 작동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볼 때 시트 착석자의 일회 작동으로 원하는 위치까지 업(up) 또는 다운(down) 동작이 가능한 구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시트쿠션을 원하는 위치까지 업(up) 또는 다운(down)시키기 위해 높이 조절 장치의 레버를 반복 작동해야 하는 구성일 경우, 노약자나 또는 여성 운전자는 작동에 큰 불편함이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상품에 대한 선호도가 낮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 장치는 조립의 편의성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볼 때 부품수가 적은 것이 바람직한 바, 이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시트 착석자의 일회 작동으로 시트쿠션을 원하는 위치까지 업(up) 또는 다운(down)이 가능한 구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작동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부품수의 감축을 통해 원가 절감 및 중량 감소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시트쿠션의 높이 조절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시트쿠션의 높이 조절 장치는, 케이스커버와의 결합에 의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드럼케이스와; 상기 드럼케이스에 결합된 힌지샤프트에 일단이 동시에 끼워져서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힌지샤프트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벌어지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용공간내에 설치된 브레이크와; 상기 브레이크의 외측 둘레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브레이크가 피니언샤프트에 마찰력을 발생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브레이크의 작동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브레이크스프링과; 일단은 상기 브레이크의 내측 공간으로 관통하여서 상기 드럼케이스의 중심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커버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브레이크의 내측 공간으로 관통하는 일단의 바깥 둘레면은 상기 브레이크의 안쪽 둘레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커버를 관통한 타단에는 바깥 둘레면을 따라 피니언이 형성된 피니언샤프트와; 작동레버의 조작에 따라 상기 드럼케이스에 대해 회전 및 직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브레이크의 외측 벌어짐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브레이크 작동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시트쿠션의 높이 조절 장치는, 작동레버의 일회 조작으로 시트 착석자가 원하는 위치까지 시트쿠션을 상승(up) 및 하강(down)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작동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품에 대한 선호도를 높일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부품수의 간소화를 통해 원가 절감 및 중량 감소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쿠션의 높이 조절 장치에 대한 도면으로 피니언샤프트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구속된 록킹 상태의 도면이고, 도 12 내지 도 15는 피니언샤프트가 회전할 수 있는 언 록킹 상태의 도면이다.
차량의 시트는 시트쿠션과 시트백 및 헤드레스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시트쿠션과 상기 시트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시트쿠션프레 임(1)과 시트백프레임(2)에 의해 골격을 이루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은 시트레일(3)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바, 이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바로 높이 조절 장치이다.
상기 시트레일(3)은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플로어패널에 고정 설치된 고정레일(3a)과, 상기 고정레일(3a)을 따라 직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레일(3a)에 결합된 이동레일(3b)과, 상기 이동레일(3b)에 결합된 이동레일브라켓(3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시트쿠션의 높이 조절 장치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커버(10)와의 결합에 의해 내부에 수용공간(21)이 형성된 드럼케이스(20)와, 상기 드럼케이스(20)에 결합된 힌지샤프트(30)에 일단이 동시에 끼워져서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힌지샤프트(30)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벌어지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용공간(21)내에 설치된 브레이크(40)와, 상기 브레이크(40)의 외측 둘레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브레이크(40)가 피니언샤프트(60)에 마찰력을 발생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브레이크(40)의 작동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브레이크스프링(50)과, 일단은 상기 브레이크(40)의 내측 공간으로 관통하여서 상기 드럼케이스(20)의 중심축(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커버(10)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브레이크(40)의 내측 공간으로 관통하는 일단의 바깥 둘레면은 상기 브레이크(40)의 안쪽 둘레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커버(10)를 관통한 타단에는 바깥 둘레 면을 따라 피니언(61)이 형성된 피니언샤프트(60)와, 작동레버(70)의 조작에 따라 상기 드럼케이스(20)에 대해 회전 및 직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브레이크(40)의 외측 벌어짐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브레이크 작동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커버(10)에는 상기 힌지샤프트(30)의 일단이 끼워지는 샤프트구멍(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레버(70)의 일단에는 스플라인구멍(7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플라인구멍(71)은 상기 브레이크 작동기구를 구성하는 레버브라켓에 끼워져서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쿠션의 높이 조절 장치는 상기 케이스커버(10)가 결합된 시트쿠션프레임(1)과 상기 시트트랙(3)을 구성하는 이동레일브라켓(3c)에 양단이 힌지 결합되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전방링크(80) 및 후방링크(90)와, 상기 후방링크(90)의 하단 힌지축(91)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설치되면서 타단에는 상기 피니언(61)과 치합을 이루는 랙(101)이 형성된 랙바(100)와, 일단은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에 구비된 스토퍼핀(1a)에 걸려져서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후방링크(90)의 상단 힌지파이프(92)로 삽입되어서 상기 상단 힌지파이프(9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후 상기 상단 힌지파이프(92)에 고정 설치된 토션바(1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방링크(80)는 하단 힌지축(81)과 상단 힌지축(82)을 매개로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 및 상기 이동레일브라켓(3c)에 양단이 힌지 결합되어서 회 전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이다.
한편, 상기 브레이크(40)는 원형을 이루도록 조립된 상태에서 서로 중첩된 일단이 상기 힌지샤프트(30)에 동시에 끼워져 결합된 반원 모양의 제1브레이크(41) 및 제2브레이크(42)로 구성되는데, 서로 중첩을 이루는 상기 제1브레이크(41) 및 상기 제2브레이크(42)의 일단에는 상기 힌지샤프트(30)에 끼워지기 위한 샤프트구멍(43)이 일체로 관통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브레이크(41) 및 상기 제2브레이크(42)의 타단에는 바깥 둘레면과 안쪽 둘레면을 연결하는 캠구멍(41a,42a)이 서로 마주 대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캠구멍(41a,42a)은 상기 제1브레이크(41) 및 상기 제2브레이크(42)가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고 원형을 이룬 상태일 때 상기 브레이크(40)의 바깥 둘레면에서 안쪽 둘레면으로 갈수록 폭(D1)이 점차 좁아지는 사다리꼴 단면모양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브레이크(41)와 상기 제2브레이크(42)의 바깥 둘레면에는 상기 브레이크스프링(50)이 삽입 설치되는 스프링설치홈(44)이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설치홈(44)으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상기 브레이크스프링(50)은 원호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힌지샤프트(30)의 위치에 중간부위가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브레이크스프링(50)이 상기 스프링설치홈(44)으로 삽입되어 설치될 때 양단 사이의 중간부위가 상기 샤프트구멍(43)의 위치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 이다.
그리고, 상기 제1브레이크(41)와 상기 제2브레이크(42)의 내측 공간을 관통하는 상기 피니언샤프트(60)의 일단에는 상기 제1브레이크(41) 및 상기 제2브레이크(42)가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고 원형을 이룬 상태일 때 상기 제1브레이크(41) 및 상기 제2브레이크(42)의 안쪽 둘레면과 접촉하는 작동면(62)이 바깥 둘레면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작동면(62)의 중간부위에는 상기 브레이크(40)의 캠구멍(41a,42a)과 연결되는 캠삽입홈(63)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며, 또한 상기 드럼케이스(20)의 중심축(22)에 끼워지는 축구멍(64)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브레이크 작동기구는, 상기 드럼케이스(20)의 외측에서 상기 작동레버(70)와 일체로 결합되는 레버브라켓(120)과, 상기 드럼케이스(20)의 수용공간(21)으로 삽입되어서 상기 드럼케이스(20)의 중심축(2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드럼케이스(20)를 관통한 후 상기 레버브라켓(120)과 결합되는 다수개의 웨지돌기(131b)를 구비한 캠웨지(130)와, 상기 캠구멍(41a,42a)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캠웨지(130)와 접촉하도록 설치됨은 물론 상기 캠웨지(1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캠구멍(41a,42a)을 따라 직선 이동하면서 상기 제1브레이크(41)와 상기 제2브레이크(42) 사이의 간격을 벌어지게 하는 캠(140)과, 상기 캠웨지(130)의 측면에 덧대여져 설치되면서 일단은 상기 드럼케이스(20)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캠웨지(130)에 지지되어 상기 캠웨지(130)의 회전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캠웨지스프링(150)으로 구성된다.
상기 레버브라켓(120)은 상기 드럼케이스(20)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캠웨 지(130)의 웨지돌기(131b)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돌기구멍(121a)을 구비한 평판부(121)와, 상기 평판부(121)의 중심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면서 바깥 둘레면을 따라 스플라인이 형성되어서 상기 작동레버(70)의 스플라인구멍(71)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레버결합부(122)로 구성된다.
상기 캠웨지(130)는 상기 드럼케이스(20)의 중심축(22)이 관통하는 축구멍(131a)이 형성되고 상기 드럼케이스(20)를 관통한 후 상기 레버브라켓(120)과 결합되는 상,하단의 상기 웨지돌기(131b)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캠웨지스프링(150)이 일면에 덧대여지고 상기 캠웨지스프링(150)의 타단이 일측면에 탄력적으로 걸려져 설치되는 평판부(131)와, 상기 평판부(131)로부터 상기 브레이크(40)를 향해 돌출 형성된 로드부(132)와, 상기 평판부(131)와 상기 로드부(312)가 연결되는 부위 및 상기 로드부(132)의 끝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윗면이 원호곡면(133a)으로 형성된 한 쌍의 웨지부(13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웨지부(133)에 형성된 상기 원호곡면(133a)은 상기 로드부(132)와 연결된 상기 웨지부(133)의 일단에서 상기 웨지부(133)의 타단으로 갈수록 점차 상승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캠(140)은 상기 캠웨지(130)의 로드부(132)상에 안착되면서 상기 캠구멍(41a,42a)을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캠구멍(41a,42a)으로 삽입되어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캠구멍(41a,42a)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위쪽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원형돔 단면으로 형성된 캠몸체(141)와, 상기 캠몸체(141)의 양측면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웨지부(133)의 원호곡면(133a)상에 얹혀 져 설치되는 한 쌍의 캠로드(14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케이스(20)에는 상기 힌지샤프트(30)의 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샤프트구멍(23)과 상기 캠웨지스프링(150)의 일단이 끼워져 결합되는 스프링구멍(24) 및 상기 캠웨지(130)의 웨지돌기(131b)가 관통하는 한 쌍의 돌기구멍(25)이 형성되는데, 상기 돌기구멍(25)은 상기 중심축(22)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면서 상기 중심축(22)을 중심으로 한 회전반경을 따라 원호 모양으로 형성된 구조이다.
이하, 본 발명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시트쿠션브라켓(1)이 시트레일(3)이 있는 아래쪽으로 최대로 하강하여 고정된 상태이고, 또한 높이 조절 장치의 피니언샤프트(60)는 브레이크(40)에 의해 회전하지 못하도록 구속된 록킹 상태이다.
도 1과 같이 시트쿠션브라켓(1)이 하강하여 고정된 상태가 되면, 토션바(110)는 전체적으로 비틀림 변형이 되어 탄성력을 축적한 상태가 된다.
상기 토션바(110)의 비틀림 탄성력에 의해 시트쿠션프레임(1)은 도 1과 같이 하강한 상태에서 전,후방링크(80,90)의 하단 힌지축(81,91)을 중심으로 도시된 화살표 M1과 같이 회전하면서 전방쪽으로 상승하려는 힘을 갖게 되지만, 피니언샤프트(60)가 브레이크(40)에 의해 회전하지 못하도록 구속된 록킹 상태이고, 또한 피니언(61)이 상기 하단 힌지축(91)에 결합된 랙바(100)의 랙(101)과 치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은 도시된 화살표 M1의 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승하지 못하고 하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시트 착석자가 도 3에 도시된 작동레버(70)를 화살표 M2 방향과 같이 들어올려 주게 되면, 레버브라켓(120)이 레버결합부(122)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고, 도 8에 도시된 캠웨지(13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캠웨지(1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면, 캠웨지스프링(150)은 직경이 더욱 축소되면서 탄성력을 축적하게 되는데, 상기 캠웨지스프링(150)의 탄성력은 이후 상기 캠웨지(130)를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캠웨지(1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기 전에는 도 9 및 도 10과 같이 캠로드(142)가 웨지부(133)의 원호곡면(133a) 중 좌측 끝에 위치하여 하강한 상태이고, 이에 따라 캠몸체(141)는 도 11과 같이 제1,2브레이크(41,42)의 캠구멍(41a,42a)내에 단순히 삽입되어 위치한 상태였기에, 상기 제1,2브레이크(41,42)는 브레이크스프링(50)의 초기 탄성력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고 안쪽 둘레면이 피니언샤프트(60)의 작동면(62)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바, 이로 인해 상기 피니언샤프트(60)는 상기 제1,2브레이크(41,42)에 의해 회전하지 못하도록 구속된 록킹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의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캠웨지(1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면 캠로드(142)는 도 12 및 도 13과 같이 웨지부(133)의 원호곡면(133a)을 따라 이동하여 우측 끝에 위치한 상승된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캠몸체(141)는 도 14와 같이 캠구멍(41a,42a)을 따라 직선 이동하여 상단부가 피니언샤 프트(60)의 캠삽입홈(62)속으로 삽입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캠몸체(141)가 캠삽입홈(62)속으로 삽입된 상태가 되면, 제1,2브레이크(41,42)는 힌지샤프트(30)를 중심으로 회전을 하여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2브레이크(41,42)의 안쪽 둘레면은 피니언샤프트(60)의 작동면(62)으로부터 떨어져서 이격된 상태가 되며, 이때부터 상기 피니언샤프트(60)는 상기 제1,2브레이크(41,42)에 의해 구속되지 못하고 외력 작용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는 언 록킹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제1,2브레이크(41,42)가 힌지샤프트(30)를 중심으로 회전을 하여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가 되면, 브레이크스프링(50)은 직경이 커지도록 탄성 변형되고, 상기 브레이크스프링(50)의 탄성력은 외측으로 벌어진 상기 제1,2브레이크(41,42)를 원형의 상태로 오므라들게 복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피니언샤프트(60)가 제1,2브레이크(41,42)에 의해 구속되지 못하고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는 언 록킹 상태가 되었을 때, 도 1과 같이 하강한 상태의 시트쿠션브라켓(1)으로부터 시트 착석자의 하중을 제거하게 되면, 토션바(110)의 비틀림 탄성력에 의해 시트쿠션프레임(1)은 전,후방링크(80,90)의 하단 힌지축(81,91)을 중심으로 도시된 화살표 M1과 같이 회전하면서 전방쪽으로 상승하여 도 15와 같이 상승된 상태로 전환되고, 동시에 피니언샤프트(60)는 자유로이 회전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피니언(61)과 치합된 랙(101)에 의해 랙바(100)는 상기 하단 힌지축(91)을 중심으로 도 1의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여 도 15와 같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차량의 시트쿠션은 도 1과 같은 하강 상태에서 도 15와 같은 상승 상태로 높이 조절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높이 조절 완료 후 상측으로 들어올려 주고 있던 작동레버(70)를 놓아주게 되면, 외측으로 벌어진 제1,2브레이크(41,42)는 브레이크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오므라들면서 피니언샤프트(60)의 작동면(62)과 접촉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피니언샤프트(60)는 회전하지 못하는 록킹 상태로 전환되며, 캠웨지(130)는 캠웨지스프링(150)의 탄성력에 의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복귀하게 되고, 상기 캠웨지(130)의 복귀에 의해 레버브라켓(120) 및 상기 작동레버(70)도 복귀하여, 다음 번의 동작을 준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15와 같이 시트쿠션브라켓(1)이 상승된 상태에서 작동레버(70)를 놓아줌으로 인해 피니언샤프트(60)가 회전하지 못하는 록킹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시트쿠션브라켓(1)은 상승된 상태의 위치에서 움직임이 구속된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시트 착석자의 하중이 상기 시트쿠션브라켓(1)에 가해지게 되더라도 상기 시트쿠션브라켓(1)은 스스로 하강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도 15와 같이 상승된 상태의 시트쿠션브라켓(1)을 도 1과 같이 하강한 상태로 변환시키고자 할 때에는 작동레버(70)를 다시 조작하여 피니언샤프트(60)를 언 록킹 상태로 전환시키고, 상기 시트쿠션브라켓(1)에 하중을 가하여 하강시킨 다음, 상기 작동레버(70)로부터 조작력을 해제하여 상기 피니언샤프트(60)를 록킹 상태로 전환시키면 된다.
또한, 시트쿠션브라켓(1)의 상승 및 하강 높이는 상기 시트쿠션브라켓(1)에 가해지는 시트 착석자의 하중에 의해 결정되므로, 상기 시트쿠션브라켓(1)의 상승 및 하강 높이는 시트 착석자의 의지대로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시트쿠션의 높이 조절 장치는 작동레버(70)의 일회 조작으로 시트 착석자가 원하는 위치까지 상승(up) 및 하강(down)이 가능한 구성으로, 레버를 반복 작동해야 하는 종래의 장치에 비해 작동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고, 이로 인해 노약자나 또는 여성 운전자들에게 있어 상품에 대한 선호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 장치는 드럼케이스(20)내에 수용되는 부품수가 대폭 간소화된 구성으로, 이에 따라 원가 절감 및 중량 감소를 도모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 장치가 장착된 시트쿠션프레임에 대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 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로서, 피니언샤프트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구속된 록킹 상태의 도면,
도 4는 도 3의 배면 사사도,
도 5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배면 사사도,
도 7은 도 3에서 드럼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의 측면도,
도 8은 도 7에서 레버브라켓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제2브레이크와 브레이크스프링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10과 도 11은 도 3의 Ⅰ-Ⅰ선 및 Ⅱ-Ⅱ선 단면도,
도 12는 피니언샤프트가 회전할 수 있는 언 록킹 상태의 도면으로, 도 9의 작동 상태 도면,
도 13과 도 14는 도 10과 도 11의 작동상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 장치에 의해 시트쿠션프레임이 상승된 작동상태의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시트쿠션프레임 10 - 케이스커버
20 - 드럼케이스 30 - 힌지샤프트
40 - 브레이크 50 -브레이크스프링
60 - 피니언샤프트 70 - 작동레버
80 - 전방링크 90 - 후방링크
100 - 랙바 110 - 토션바
120 - 레버브라켓 130 - 캠웨지
140 - 캠 150 - 캠웨지스프링

Claims (11)

  1. 케이스커버(10)와의 결합에 의해 내부에 수용공간(21)이 형성된 드럼케이스(20)와;
    상기 드럼케이스(20)에 결합된 힌지샤프트(30)에 일단이 동시에 끼워져서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힌지샤프트(30)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벌어지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용공간(21)내에 설치된 브레이크(40)와;
    상기 브레이크(40)의 외측 둘레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브레이크(40)가 피니언샤프트(60)에 마찰력을 발생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브레이크(40)의 작동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브레이크스프링(50)과;
    일단은 상기 브레이크(40)의 내측 공간으로 관통하여서 상기 드럼케이스(20)의 중심축(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커버(10)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브레이크(40)의 내측 공간으로 관통하는 일단의 바깥 둘레면은 상기 브레이크(40)의 안쪽 둘레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커버(10)를 관통한 타단에는 바깥 둘레면을 따라 피니언(61)이 형성된 피니언샤프트(60)와;
    작동레버(70)의 조작에 따라 상기 드럼케이스(20)에 대해 회전 및 직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브레이크(40)의 외측 벌어짐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브레이크 작동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40)는 원형을 이루도록 조립된 상태에서 서로 중첩된 일단이 상기 힌지샤프트(30)에 동시에 끼워져 결합된 반원 모양의 제1브레이크(41) 및 제2브레이크(42)로 구성되고;
    상기 제1브레이크(41) 및 상기 제2브레이크(42)의 타단에는 바깥 둘레면과 안쪽 둘레면을 연결하는 캠구멍(41a,42a)이 서로 마주 대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브레이크(41)와 상기 제2브레이크(42)의 바깥 둘레면에는 상기 브레이크스프링(50)이 삽입 설치되는 스프링설치홈(44)이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쿠션의 높이 조절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커버(10)가 결합된 시트쿠션프레임(1)과 시트트랙(3)을 구성하는 이동레일브라켓(3c)에 양단이 힌지 결합되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전방링크(80) 및 후방링크(90)와;
    상기 후방링크(90)의 하단 힌지축(91)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설치되면서 타단에는 상기 피니언(61)과 치합을 이루는 랙(101)이 형성된 랙바(100)와;
    일단은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에 구비된 스토퍼핀(1a)에 걸려져서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후방링크(90)의 상단 힌지파이프(92)로 삽입되어서 상기 상단 힌지파이프(9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후 상기 상단 힌지파이프(92)에 고정 설치된 토션바(11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쿠션의 높이 조절 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캠구멍(41a,42a)은 상기 제1브레이크(41) 및 상기 제2브레이크(42)가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고 원형을 이룬 상태일 때 상기 브레이크(40)의 바깥 둘레면에서 안쪽 둘레면으로 갈수록 폭(D1)이 점차 좁아지는 사다리꼴 단면모양으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쿠션의 높이 조절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설치홈(44)으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상기 브레이크스프링(50)은 원호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힌지샤프트(30)의 위치에 중간부위가 위치하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쿠션의 높이 조절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브레이크(41)와 상기 제2브레이크(42)의 내측 공간을 관통하는 상기 피니언샤프트(60)의 일단에는 상기 제1브레이크(41) 및 상기 제2브레이크(42)가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고 원형을 이룬 상태일 때 상기 제1브레이크(41) 및 상기 제2브레이크(42)의 안쪽 둘레면과 접촉하는 작동면(62)이 바깥 둘레면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작동면(62)의 중간부위에는 상기 캠구멍(41a,42a)과 연결되는 캠삽입홈(63)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쿠션의 높이 조절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작동기구는,
    상기 드럼케이스(20)의 외측에서 상기 작동레버(70)와 일체로 결합되는 레버브라켓(120)과;
    상기 드럼케이스(20)의 수용공간(21)으로 삽입되어서 상기 드럼케이스(20)의 중심축(2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드럼케이스(20)를 관통한 후 상기 레버브라켓(120)과 결합되는 다수개의 웨지돌기(131b)를 구비한 캠웨지(130)와;
    상기 캠구멍(41a,42a)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캠웨지(130)와 접촉하도록 설치됨은 물론 상기 캠웨지(1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캠구멍(41a,42a)을 따라 직선 이동하면서 상기 제1브레이크(41)와 상기 제2브레이크(42) 사이의 간격을 벌어지게 하는 캠(140)과;
    상기 캠웨지(130)의 측면에 덧대여져 설치되면서 일단은 상기 드럼케이스(20)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캠웨지(130)에 지지되어 상기 캠웨지(130)의 회전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캠웨지스프링(150);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쿠션의 높이 조절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캠웨지(130)는,
    상기 드럼케이스(20)의 중심축(22)이 관통하는 축구멍(131a)이 형성되고, 상 기 드럼케이스(20)를 관통한 후 상기 레버브라켓(120)과 결합되는 상,하단의 웨지돌기(131b)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캠웨지스프링(150)이 일면에 덧대여지고, 상기 캠웨지스프링(150)의 타단이 일측면에 탄력적으로 걸려져 설치되는 평판부(131)와;
    상기 평판부(131)로부터 상기 브레이크(40)를 향해 돌출 형성된 로드부(132)와;
    상기 평판부(131)와 상기 로드부(132)가 연결되는 부위 및 상기 로드부(132)의 끝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윗면이 원호곡면(133a)으로 형성된 한 쌍의 웨지부(133);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쿠션의 높이 조절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원호곡면(133a)은 상기 로드부(132)와 연결된 상기 웨지부(133)의 일단에서 상기 웨지부(133)의 타단으로 갈수록 점차 상승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쿠션의 높이 조절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캠(140)은,
    상기 캠웨지(130)의 로드부(132)상에 안착되면서 상기 캠구멍(41a,42a)을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캠구멍(41a,42a)으로 삽입되어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캠구멍(41a,42a)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위쪽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 는 원형돔 단면으로 형성된 캠몸체(141)와;
    상기 캠몸체(141)의 양측면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웨지부(133)의 원호곡면(133a)상에 얹혀져 설치되는 한 쌍의 캠로드(142);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쿠션의 높이 조절 장치.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드럼케이스(20)에는 상기 힌지샤프트(30)의 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샤프트구멍(23)과 상기 캠웨지스프링(150)의 일단이 끼워져 결합되는 스프링구멍(24) 및 상기 캠웨지(130)의 웨지돌기(131b)가 관통하는 한 쌍의 돌기구멍(25)이 형성되는데;
    상기 돌기구멍(25)은 상기 중심축(22)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면서 상기 중심축(22)을 중심으로 한 회전반경을 따라 원호 모양으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쿠션의 높이 조절 장치.
KR1020090111208A 2009-11-18 2009-11-18 차량용 시트쿠션의 높이 조절 장치 KR101579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208A KR101579315B1 (ko) 2009-11-18 2009-11-18 차량용 시트쿠션의 높이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208A KR101579315B1 (ko) 2009-11-18 2009-11-18 차량용 시트쿠션의 높이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530A KR20110054530A (ko) 2011-05-25
KR101579315B1 true KR101579315B1 (ko) 2015-12-22

Family

ID=44363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208A KR101579315B1 (ko) 2009-11-18 2009-11-18 차량용 시트쿠션의 높이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93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933B1 (ko) 2011-12-09 2013-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높이조절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의 안전장치
KR101361912B1 (ko) * 2013-02-15 2014-02-13 계양전기 주식회사 편심동력전달장치 및 이를 구비한 시트 높이조절장치
KR200484200Y1 (ko) 2015-12-24 2017-08-14 현대다이모스(주) 시트 쿠션 높낮이 조절 장치
KR102350611B1 (ko) 2017-09-14 2022-01-14 주식회사 다스 자동차 시트의 하이트링크 록킹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7954A (ja) * 2000-01-18 2001-07-24 Shiroki Corp シートリフタ
JP2004338426A (ja) 2003-05-13 2004-12-02 Fuji Kiko Co Ltd 車両用シートのハイト調整装置
KR100784620B1 (ko) * 2006-12-29 2007-12-11 주식회사다스 차량 시트쿠션용 펌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220B1 (ko) * 2006-12-06 2012-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드럼 타입 시트 백 리클라이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7954A (ja) * 2000-01-18 2001-07-24 Shiroki Corp シートリフタ
JP2004338426A (ja) 2003-05-13 2004-12-02 Fuji Kiko Co Ltd 車両用シートのハイト調整装置
KR100784620B1 (ko) * 2006-12-29 2007-12-11 주식회사다스 차량 시트쿠션용 펌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530A (ko) 201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7509B2 (en) Vehicle seat apparatus
JP3616225B2 (ja) 乗物シートに取付けるロック機構およびその機構を取付けた乗物シート
EP0921033B1 (en) Vehicle seat with suspension mechanism
KR101579315B1 (ko) 차량용 시트쿠션의 높이 조절 장치
EP2415630B1 (en) Lifting mechanism of vehicle seat
JP6028614B2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6217501B2 (ja) スライドレール
JP2016516639A (ja) 長手方向に調節可能な車両座席
KR101274451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JP5087962B2 (ja) 車両用シート
KR101330996B1 (ko) 리어시트백 어셈블리의 조립장치
JP5225610B2 (ja) 車両用シート
JP6149848B2 (ja) シートリフタ構造
JP6745080B2 (ja) 車両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KR101518649B1 (ko) 차량용 시트레일 록킹장치
KR100980830B1 (ko) 액티브 헤드레스트
JP2015003592A (ja) 乗物用シート
JP2018052401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1956264B1 (ko) 자동차 시트의 쿠션부 확장장치
JP5866630B2 (ja) シートクッション跳ね上げ式の車両用シート
JP5611670B2 (ja) 椅子のロッキング機構用ロック装置及びこれを組み込んだ椅子
JP2004210258A (ja) 車両の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20200002321A (ko)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JP5434641B2 (ja) 車両用シート
KR101995345B1 (ko) 헤드레스트 틸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