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321A -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321A
KR20200002321A KR1020180075702A KR20180075702A KR20200002321A KR 20200002321 A KR20200002321 A KR 20200002321A KR 1020180075702 A KR1020180075702 A KR 1020180075702A KR 20180075702 A KR20180075702 A KR 20180075702A KR 20200002321 A KR20200002321 A KR 20200002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locking
release lever
locking pi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1504B1 (ko
Inventor
최영일
정해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180075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504B1/ko
Publication of KR20200002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with pin alignment systems, e.g. with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locking pins always aligned w.r.t.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pin-receiv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12Location of the latch
    • B60N2/0825Location of the latch outside the rail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로크 조립체를 구성하는 마운팅 브라켓트의 상부에 외측으로 부분 절곡되어 국부적으로 돌출되는 스프링 위치가이드부를 형성하여 록킹 핀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의 상단부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록킹 핀의 상승에 따른 스프링의 최대 압축시에도 스프링의 축방향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는 상부레일(10)에 고정되고 상부에 외부로 돌출된 스프링 위치가이드부(113)를 갖춘 마운팅 브라켓트(110),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1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릴리스 레버(120), 상기 릴리스 레버(120)의 회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 록킹 핀(140), 상기 록킹 핀(140)을 잠금위치로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상부레일(10)의 내측면과 상기 록킹 핀(140)의 스토퍼(142) 사이에 설치되면서 상단부가 상기 스프링 위치가이드부(113)에 의해 지지되는 압축스프링(160),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110)에 대해 릴리스 레버(120)를 잠금방향 위치로 탄성 지지하는 인장스프링(130), 상기 릴리스 레버(120)의 회전과 연동하여 록킹 핀(140)을 구속 또는 구속상태를 해제하는 블록킹 브라켓트(170), 및 상기 릴리스 레버(120)에 대해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170)를 잠금방향 위치로 탄성 지지하는 토션스프링(180)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Locking device for seat rail}
본 발명은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운팅 브라켓트에 대해 외측으로 부분 절곡되어 국부적으로 돌출되는 스프링 위치가이드부를 형성하여 록킹 핀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의 상단부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더불어 마운팅 브라켓트의 구조적 강성도 증대시킬 수 있는 시트 레일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릴리스 레버의 회전과 연동하여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는 블록킹 브라켓트를 매개로 록킹 핀의 잠금상태에 대한 해제를 방지할 수 있는 시트 레일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는 차실내에서 탑승자의 상체부위에 대한 하중을 지지하는 시트 백과, 엉덩이와 허벅지 등의 하체부위에 대한 하중을 지지하는 시트 쿠션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시트 백과 시트 쿠션의 배치는 탑승 자세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야 한다.
또한, 자동차의 시트는 탑승자의 체형 및 실내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구간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데, 이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시트 레일이다. 또한, 시트 레일은 통상 자동차의 실내 바닥면에 해당하는 플로워 패널에 대해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하부레일과, 하부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면서 시트쿠션의 하부에 고정되는 상부레일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부레일은 하부레일을 따라 일정구간 이동한 후 그 위치에서 고정위치를 규제받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시트레일은 하부레일에 대한 상부레일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록킹장치로서 레일로크 조립체를 구비하게 된다.
종래, 등록특허 제10-1671644호에 개시된 레일로크 조립체(100)는 상부 레일(10)에 고정되고 하부 레일(20)의 체결구멍과 교통 가능한 체결구멍을 갖춘 마운팅 브라켓트(110), 마운팅 브라켓트(110)에 대해 힌지 결합되는 릴리스 레버(140), 마운팅 브라켓트(110)에 대해 릴리스 레버(140)를 잠금위치로 탄발 지지하는 리턴스프링(130), 릴리스 레버(140)의 선회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강하고 마운팅 브라켓트(110)의 체결구멍을 거쳐 하부 레일(20)의 체결구멍에 삽입 가능한 록킹 핀(150), 및 록킹 핀(150)을 마운팅 브라켓트(110)의 체결구멍(112)을 지나 하부 레일(20)의 체결구멍(22)에 삽입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160)을 구비하고, 마운팅 브라켓트(110)는 릴리스 레버(140)의 요크부(148)에 대한 위치 규제를 위해 상방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걸림돌기(120)를 형성하며, 릴리스 레버(140)는 록킹 핀(150)의 승강과 회전위치를 각각 구속하여 규제하기 위한 릴리스 및 회전구속용 수용홈(146)을 갖춘 요크부(148)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 레일로크 조립체는 상부레일(10)과 하부레일(20) 사이에서 록킹 핀(150)에 대해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충분하게 압축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록킹 핀(150)의 복원시 필요한 탄성력을 원활하게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상부레일(10)과 하부레일(20)이 시트 하부의 한정된 공간에 위치하기 때문에 기인하는 것으로, 상부레일(10)과 하부레일(20)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경우에는 시트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되고, 이는 차량의 차고를 재설정해야 하므로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것이다.
아울러, 종래 레일로크 조립체에서는 상부레일(10)과 하부레일(20) 사이의 한정된 공간에 스프링이 설치되는 관계로, 록킹 핀(150)의 최대 압축시 스프링의 좌굴되면서 주변 부품과의 불필요한 접촉에 의해 이상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 레일로크 조립체는 하부레일(20)에 대한 상부레일(10)의 위치 구속이 전적으로 하부레일(20)의 체결구멍으로 삽입되는 록킹 핀(150)에 의한 체결작용에 의존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차량의 충돌사고 발생시 레일에 부가되는 하중을 록킹 핀(150)이 가진 강성만으로 흡수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충돌시 록킹 핀(15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레일(20)의 체결구멍으로 삽입이 이루어지는 록킹 핀(150)의 하단측 테이퍼진 부위에 대한 압력각을 작게 설정하였다.
즉, 종래 레일로크 조립체에서 록킹 핀(150)의 압력각은 크게 설정할수록 하부레일(20)의 체결구멍으로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반면에 충돌시 이탈 방지를 위한 록킹 핀(150)의 강성은 저하되는 구조이므로, 록킹 핀(150)의 압력각을 작게 설정하면 충돌을 대비한 적정 강성의 확보는 가능하지만, 하부레일(20)의 체결구멍으로 삽입될 때 빈번한 충돌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충돌은 레일로크 조립체의 작동 감성을 크게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록킹후 하부레일(20)의 체결구멍과의 끼임발생으로 인해 이탈을 어렵게 하는 부가적인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또한, 최근 들어 차량의 자율주행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차실내에서 탑승자의 착좌 방향이 보다 자유롭게 조정될 수 있는 시트의 개발이 수반되는 데, 이러한 경우에는 충돌사고의 발생시 시트레일의 록킹부위에 대해 다양한 방향으로 충격력이 전달된다.
이에 따라 록킹 핀(150)의 압력각을 작게 설정함에 따라 기인하는 작동 감성의 저하없이도 레일로크 조립체(100)에서 록킹 핀(150)의 이탈을 완벽하게 방지함으로써 자율주행 차량에도 함께 적용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시트레일 록킹장치에 대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10-1671644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레일로크 조립체를 구성하는 마운팅 브라켓트의 상부에 외측으로 부분 절곡되어 국부적으로 돌출되는 스프링 위치가이드부를 형성하여 록킹 핀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의 상단부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록킹 핀의 상승에 따른 스프링의 최대 압축시에도 스프링의 축방향 유동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접촉 소음의 발생을 배제함과 더불어 마운팅 브라켓트의 구조적 강성도 증대시킬 수 있는 시트 레일의 록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릴리스 레버의 회전과 연동하여 록킹 핀에 대한 잠금상태의 해제를 방지하도록 동작하는 블록킹 브라켓트를 추가함으로써 레일로크 조립체의 작동 감성의 저하를 방지함과 더불어 다양한 방향에서 제공되는 충격에도 레일로크 조립체의 정상적인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시트 레일의 록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의 쿠션부 하부에 고정되는 상부레일, 상기 상부레일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차실내의 플로워 패널에 고정되는 하부레일, 및 상기 상부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레일에 대한 상기 상부레일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는 레일로크 조립체를 포함하는 시트 레일의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로크 조립체는 상부레일에 고정되고 상부에 외부로 돌출된 스프링 위치가이드부를 갖춘 마운팅 브라켓트,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릴리스 레버, 상기 릴리스 레버의 회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 록킹 핀, 상기 록킹 핀을 잠금위치로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상부레일의 내측면과 상기 록킹 핀의 스토퍼 사이에 설치되면서 상단부가 상기 스프링 위치가이드부에 의해 지지되는 압축스프링,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에 대해 릴리스 레버를 잠금방향 위치로 탄성 지지하는 인장스프링, 상기 릴리스 레버의 회전과 연동하여 록킹 핀을 구속 또는 구속상태를 해제하는 블록킹 브라켓트, 및 상기 릴리스 레버에 대해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를 잠금방향 위치로 탄성 지지하는 토션스프링을 구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스프링 위치가이드부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의 메인 몸체부에서 상기 록킹 핀의 이동을 위한 관통구멍을 중심으로 가장자리에 위치한 경계부위에 대해 경사면을 사이에 두고 외부를 향해 국부적으로 돌출되고, 상기 스프링 위치가이드부는 상기 관통구멍을 중심으로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면서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지지돌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의 힌지조립부와 상기 릴리스 레버의 힌지부에 대해 힌지핀을 매개로 힌지지점을 공유하는 힌지부를 구비하되, 상기 힌지부는 상기 힌지핀에 대해 직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릴리스 레버는 해제방향 회전시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에 작용력을 제공하는 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는 상기 가압부와 접촉 가능한 연동 작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는 상기 릴리스 레버의 잠금방향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록킹 핀의 해제방향 변위를 구속하는 잠금 작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잠금 작용부는 상기 록킹 핀의 스토퍼의 상단부를 구속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는 상기 토션스프링과의 접촉을 위한 수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압부는 양측에 외부를 향해 돌출되는 돌기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는 상기 상부레일과 접촉하는 부위에 댐퍼를 설치하고,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는 상기 댐퍼의 장착을 위한 관통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댐퍼는 관통구멍으로의 삽입을 위한 돌출몸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인장스프링은 양단부가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의 조립구멍, 및 상기 릴리스 레버의 조립구멍에 각각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토션스프링은 일단부가 상기 릴리스 레버의 수용구멍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의 수압부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는 레일로크 조립체를 구성하는 마운팅 브라켓트의 상부에 외측으로 부분 절곡되어 국부적으로 돌출되는 스프링 위치가이드부를 형성하여 록킹 핀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이 최대로 압축될 수 있는 여유공간을 확보함으로써 록킹 핀의 상승에 따른 스프링의 최대 압축시에도 스프링의 상단부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본 발명은 록킹 핀의 상승에 따른 스프링의 최대 압축시에도 스프링의 축방향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마운팅 브라켓트의 스프링 위치가이드부와 압축스프링의 상단부 사이에서 발생하는 접촉에 의한 소음 발생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마운팅 브라켓트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부분 절곡되어 국부적으로 돌출되는 스프링 위치가이드부를 매개로 마운팅 브라켓트의 구조적 강성도 함께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는 릴리스 레버의 잠금방향 위치로의 회전과 연동하여 직선방향으로 이동하여 록킹 핀의 잠금상태를 구속하도록 동작되는 블록킹 브라켓트를 추가함으로써 록킹 핀의 압력각을 작게 설정하지 않고도 안정적인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레일로크 조립체의 작동 감성을 압력각의 설정과 무관하게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부연하자면, 본 발명은 릴리스 레버의 회전과 연동하여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는, 즉 릴리스 레버의 잠금방향 위치에서 록킹 핀을 구속하고 릴리스 레버의 해제방향 위치에서 록킹 핀의 구속을 해제할 수 있는 블록킹 브라켓트를 추가함으로써 록킹 핀의 잠금상태에 대한 해제를 더욱 견고하게 방지할 수 있고, 무엇보다도 충돌을 대비하여 록킹 핀의 압력각을 작게 설정하지 않아도 되므로, 이로 인해 레일로크 조립체에 대한 작동 감성의 저하를 보다 적극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릴리스 레버의 회전과 연동하여 록킹 핀의 해제를 보다 적극으로 방지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방향에서 발생될 수 있는 충격에 대해서도 레일로크 조립체의 정상적인 잠금상태를 보장할 수 있으므로, 시트의 착좌 방향이 보다 자유롭게 조정될 수 있는 자율주행 기술이 적용된 차량의 시트에도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에 대한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에서 상부레일과 하부레일을 각각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에 대한 조립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레일로크 조립체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으로, 마운팅 브라켓트의 저면부와 압축스프링 사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레일로크 조립체에 대한 구성부품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으로, 도 6에 도시된 릴리스 레버와 블록킹 브라켓트 사이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동작 상태로서, 상부레일의 개구부를 통해 릴리스 레버의 가압단부와 블록킹 브라켓트의 잠금 작용부가 상부레일의 내부로 진입하여 록킹 핀의 스토퍼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는 시트의 하부에 고정되는 상부레일(10), 차실내의 플로워패널에 고정되는 하부레일(20), 및 상기 상부레일(10)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레일(20)에 대한 상부레일(10)의 위치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고정 가능하게 하도록 트랙 레버(미도시)의 조작에 따라 연동하여 작동되는 레일로크 조립체(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레일(10)은 시트의 쿠션부 하부에 고정되는 것으로, 부재의 전장에 걸쳐 적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구멍(12)을 구비한다. 상기 하부레일(20)은 차실내의 플로워 패널에 고정되는 것으로, 부재의 전장에 걸쳐 적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구멍(22)을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상부레일(10)은 상기 하부레일(20)과의 슬라이딩 가능한 결합을 통해 상기 하부레일(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상부레일(10)과 상기 하부레일(20) 사이의 결합은 양측 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베어링부재(30)를 이용하는 구조로서, 상기 하부레일(20)에 대해 상기 상부레일(10)이 베어링부재(30)를 매개로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레일로크 조립체(100)는 상기 상부레일(10)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레일(20)에 대한 상기 상부레일(10)의 위치를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로 하면, 상기 레일로크 조립체(100)는 상기 상부레일(10)의 측부에 대해 고정되는 마운팅 브라켓트(110),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110)에 대해 힌지결합되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릴리스 레버(120),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110)에 대해 상기 릴리스 레버(120)를 잠금방향 위치로 탄성 지지하는 인장스프링(130), 상기 릴리스 레버(120)의 회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강하여 상기 하부레일(20)의 체결구멍(22)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하부레일(20)에 대한 상기 상부레일(10)의 위치를 해제 또는 구속하는 록킹 핀(140),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110)의 내부 일측면에서 길이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록킹 핀(140)의 승강이동을 안내하는 로크 가이드(150), 상기 상부레일(10)에 대해 상기 록킹 핀(140)을 잠금위치로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록킹 핀(140)의 외주면에 상기 상부레일(10)의 내측면과 상기 록킹 핀(140)의 스토퍼(142) 사이에 설치되는 압축스프링(160), 상기 릴리스 레버(120)의 해제방향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록킹 핀(140)의 구속을 해제하는 블록킹 브라켓트(170), 및 상기 릴리스 레버(120)에 대해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170)를 잠금방향 위치로 탄성 지지하는 토션스프링(1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110)는 상기 상부레일(10)의 상측부에 대해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힌지결합을 통해 상기 릴리스 레버(120)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110)는 상기 상부레일(10)과의 결합을 위한 메인 몸체부(112), 상기 메인 몸체부(112)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서브 몸체부(114), 및 상기 릴리스 레버(120)와의 힌지결합을 위해 상기 서브 몸체부(114)의 좌우 양측의 이격된 부위에서 상호 대향되도록 절곡되는 힌지조립부(116)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110)의 메인 몸체부(112)는 상기 록킹 핀(140)의 상하방향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구멍(112a)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구멍(112a)의 양측에는 상기 상부레일(10)과의 리벳팅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한 결합을 위해 체결구멍(112b)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메인 몸체부(112)는 상기 관통구멍(112a)을 중심으로 가장자리부위에 외측으로 부분 절곡되어 국부적으로 돌출되는 스프링 위치가이드부(113)를 형성하는 데, 상기 스프링 위치가이드부(113)는 상기 록킹 핀(140)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상기 압축스프링(160)이 최대로 압축될 수 있는 여유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상기 스프링 위치가이드부(113)는 상기 메인 몸체부(112)에 대해 비드 형태의 구조로서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므로,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110)에 대한 구조적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부수적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스프링 위치가이드부(113)는 상기 메인 몸체부(112)와의 경계부위에 외부를 향해 돌출되는 경사면(113a)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상부레일(10)과 상기 하부레일(20) 및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110) 사이에서 형성되는 동일한 크기의 공간 내에서 상기 록킹 핀(140)을 탄성 지지하는 상기 압축스프링(160)이 보다 확장된 공간에 걸쳐 최대로 압축될 수 있는 여유공간이 확보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프링 위치가이드부(113)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110)의 메인 몸체부(112)에 있어, 상기 록킹 핀(140)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상기 관통구멍(112a)의 전 영역을 커버할 수 있는 전체 부위에 걸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스프링 위치가이드부(113)는 저면에 상기 관통구멍(112a)을 중심으로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다수의 지지돌기(113b)를 구비하고 있어, 상기 지지돌기(113b)를 매개로 상기 압축스프링(160)의 상단부는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압축스프링(160)의 상단부는 상기 지지돌기(113b)에 의해 내주면이 지지될 수 있으므로, 상기 록킹 핀(140)의 상승에 따른 최대 스트로크의 변위로 압축될 때 좌굴되지 않고 축방향으로의 정상적인 수축 변형이 상기 압축스프링(160)에서 발생하게 되므로, 주변 부품과의 불필요한 접촉에 따른 소음 발생을 배제할 수 있고, 다음 번 록킹 핀(140)의 복원이 이루어질 때 정상적인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지지돌기(113b)는 상기 관통구멍(112a)을 중심으로 동심원상으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압축스프링(160)의 상단부 내주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110)의 서브 몸체부(114)는 중앙부위에 상기 인장스프링(130)의 일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조립구멍(114a)을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힌지조립부(116)는 힌지핀(118)의 설치를 위한 조립홀(116a)을 형성하는 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조립홀(116a)은 상기 힌지핀(118)의 설치를 돕기 위해 일측에 개구되는 개구형 슬롯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조립홀(116a)은 이에 한정되는 형상이 아니라 상기 힌지핀(118)의 지지가 가능한 것이라면 어떤 형태라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상기 조립홀(116a)은 상기 힌지핀(118)의 장착후 외력을 가해 입구부위를 좁게 함으로써 힌지핀(118)의 이탈을 억제함은 물론이다.
상기 릴리스 레버(120)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110)의 힌지조립부(116)에 대해 힌지핀(118)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트랙 레버의 조작시 연동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으로, 일단부에 위치한 조작단부(122)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110)의 일측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조작단부(122)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가압단부(124)는 상기 록킹 핀(140)의 승강을 위해 포크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레일(10)의 개구부(14)를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록킹 핀(140)의 스토퍼(142)의 하단부와 접촉 가능한 상태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도 7 참조)
또한, 상기 릴리스 레버(120)는 부재의 중앙측 양단부에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110)의 힌지조립부(116)와의 힌지결합을 위해 절곡된 형태의 힌지부(126)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부(126)에는 상기 힌지핀(118)의 삽입을 위한 관통구멍(126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릴리스 레버(120)는 중앙부위에 상기 인장스프링(130)의 타단부를 고정하기 위해 부재를 관통하는 형태의 조립구멍(120a)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릴리스 레버(120)는 상기 조립구멍(120a)과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토션스프링(180)의 일단부를 고정시켜 지지하기 위해 부재를 관통하는 형태의 수용구멍(120b)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릴리스 레버(120)는 회전시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170)에 대해 이동을 위한 작용력을 제공하기 위한 가압부(128)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부(128)는 상기 힌지부(126)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가압부(128)는 이에 한정되는 형상이 아니라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170)의 이동에 필요로 하는 작용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인장스프링(130)은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110)에 대해 상기 릴리스 레버(120)를 잠금방향 위치로 탄력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일단부가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110)의 서브 몸체부(114)에 형성되는 조립구멍(114a)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릴리스 레버(120)의 중앙부위에 형성되는 조립구멍(120a)에 고정된다.
즉, 상기 인장스프링(130)은 상기 록킹 핀(140)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때 팽창 변형된 다음, 상기 릴리스 레버(120)의 조작단부(122)에 가해진 작동력의 해제시 상기 릴리스 레버(120)를 원래의 복원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상기 조작단부(122)에 대해 선회방향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릴리스 레버(120)를 원래의 복원위치로 선회될 수 있게 해 준다.
상기 록킹 핀(140)은 상기 압축스프링(160)으로부터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부레일(20)의 체결구멍(22)으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가압받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핀부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록킹 핀(140)은 상기 압축스프링(160)의 설치에 따른 복원력을 제공받기 위해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의 스토퍼(142)를 일체로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스토퍼(142)의 하단부는 상기 릴리스 레버(120)의 가압단부(124)와의 접촉을 통해 제공되는 작용력을 매개로 상기 록킹 핀(140)을 상방향으로 밀어 올리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록킹 핀(140)은 상기 릴리스 레버(120)의 회전에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레일(10)과 상기 하부레일(20) 사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게 되고, 상기 릴리스 레버(120)의 복원 회전시 상기 압축스프링(160)에 의한 복원력을 매개로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하부레일(20)의 체결구멍(22)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상부레일(10)과 상기 하부레일(20) 사이의 위치를 잠금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록킹 핀(140)은 상기 하부레일(20)에 대한 상기 상부레일(10)의 위치를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로크 가이드(150)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110)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판 형상의 절곡된 부재로서, 상기 록킹 핀(140)의 승강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복수의 삽입구멍(152)을 갖추도록 구성된다.
상기 압축스프링(160)은 상기 록킹 핀(140)의 외주에 끼워지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의 일단부가 상기 상부레일(10)의 관통구멍(12)을 지나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110)의 관통구멍(112a)의 내측면 가장자리 부위에 안착되어 지지되고, 하측의 일단부가 상기 록킹 핀(140)의 스토퍼(142)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코일 스프링(160)은 상기 록킹 핀(140)에 대해 잠금위치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170)는 상기 릴리스 레버(120)의 잠금방향 위치에서 상기 록킹 핀(140)의 스토퍼(142)의 상단부 위치를 규제함으로써 상기 록킹 핀(140)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릴리스 레버(120)의 해제방향 위치에서 상기 록킹 핀(140)의 스토퍼(142)의 상단부에 대한 위치를 규제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록킹 핀(140)의 잠금상태를 해제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170)는 상기 릴리스 레버(120)의 잠금방향과 해제방향으로의 회전과 각각 연동하여 상기 록킹 핀(140)에 대한 구속 또는 구속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170)는 상기 토션스프링(180)과의 접촉을 통해 탄성력을 제공받는 메인 몸체부(171), 상기 메인 몸체부(171)의 양측에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110)의 힌지조립부(116)와의 힌지결합을 위해 절곡되는 힌지부(172)를 갖춘 서브 몸체부(173), 상기 서브 몸체부(173)의 일측에서 상기 릴리스 레버(120)의 가압단부(124)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록킹 핀(140)의 잠금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하는 연동 작용부(174), 및 상기 메인 몸체부(171)의 일측에서 상기 록킹 핀(140)을 향해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록킹 핀(140)의 스토퍼(142)에 대한 잠금상태를 구속하기 위해 상기 릴리스 레버(120)의 잠금방향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록킹 핀(140)의 해제방향 변위를 구속함으로써 잠금작용을 수행하는 잠금 작용부(175)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메인 몸체부(171)는 일측에 상기 토션스프링(180)과의 접촉을 통해 탄성력을 제공받는 수압부(176)를 구비하는 바, 상기 수압부(176)는 상기 토션스프링(180)의 일단부에 대한 외부 이탈을 억제하기 위해 양측부위에 외측을 향해 돌출된 구조의 이탈방지용 돌기부(176a)를 형성한다.
상기 힌지부(172)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110)의 힌지조립부(116)에 대해 상기 릴리스 레버(120)의 힌지부(126)와 함께 힌지결합되면서 상기 릴리스 레버(120)의 힌지부(126)에 대해 직선방향으로 여유공간을 두고 힌지결합되도록 슬롯 형태의 장공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힌지부(172)는 상기 릴리스 레버(120)의 회전시 상기 힌지핀(118)을 중심으로 장공의 길이만큼 자유롭게 직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됨으로써 상기 록킹 핀(140)의 스토퍼(142)에 대해 잠금상태의 유지 또는 잠금상태의 해제 작용을 위한 이동 스트로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동 작용부(174)는 상기 릴리스 레버(120)의 해제방향 회전에 따른 연동을 통해 상기 록킹 핀(140)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연동 작용부(174)는 상기 릴리스 레버(120)의 가압부(128)와의 접촉을 통해 작용력을 전달받도록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잠금 작용부(175)는 상기 릴리스 레버(120)의 잠금방향 회전에 따른 연동을 통해 상기 록킹 핀(140)의 스토퍼(142)의 상단부에 대해 잠금상태의 구속력을 제공하기 위해 외부를 향해 분지되는 포크 형태로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레일(10)의 개구부(14)를 통해 내부로 삽입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잠금 작용부(175)는 상기 릴리스 레버(120)의 해제방향 회전시 상기 상부레일(10)의 내부를 향해 진입한 다음 상기 록킹 핀(140)의 스토퍼(142)의 상단부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록킹 핀(140)의 스토퍼(142)에 대해 잠금작용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도 7 참조)
상기 수압부(176)는 상기 토션스프링(180)의 일단부와 접촉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잠금 작용부(175)에 의한 상기 록킹 핀(140)의 스토퍼(142)에 대한 구속력이 지속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이탈방지용 돌기부(176a)는 상기 토션스프링(180)의 일단부에 대한 외부 이탈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상기 토션스프링(180)에 의한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170)의 안정적인 탄성지지를 가능하게 해 준다.
또한,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170)는 상기 상부레일(10)의 외측면과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충격 흡수를 위해 완충성 소재로 이루어진 댐퍼(177)를 구비하는 바, 상기 댐퍼(177)는 상기 메인 몸체부(171)의 전면에 대해 착탈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토션스프링(180)에 의한 탄성력을 매개로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170)의 잠금 작용부(175)가 상기 상부레일(10)의 내부로 진입할 때 발생하는 상기 메인 몸체부(171)와 상기 상부레일(10)의 외측면 사이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완충시킴과 동시에 충격에 의한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170)의 메인 몸체부(171)는 상기 댐퍼(177)의 장착을 위한 관통구멍(171a)을 구비하고, 상기 댐퍼(177)는 상기 관통구멍(171a)으로의 삽입을 위한 돌출몸체부(177a)를 구비한다.
상기 토션스프링(180)은 상기 릴리스 레버(120)에 대해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170)를 잠금방향 위치로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힌지핀(118)의 외주면에 끼워진 상태에서 일단부가 상기 릴리스 레버(120)의 수용구멍(120b)에 삽입되어 지지됨과 동시에, 타단부가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170)의 수압부(176)에 접촉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부(176a)에 의해 외부로의 이탈이 억제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토션스프링(180)은 상기 릴리스 레버(120)의 해제방향 회전시 수축 변형되었다가 상기 릴리스 레버(120)의 잠금방향으로의 복원 회전시 팽창함으로써,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170)의 잠금 작용부(175)에 의한 상기 록킹 핀(140)의 스토퍼(142)의 상단부가 잠금상태의 구속력을 제공받을 수 있게 해 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는 마운팅 브라켓트(110)의 메인 몸체부(112)에서 관통구멍(112a)을 중심으로 가장자리부위의 외측에 경사면(113a)을 사이에 두고 외측으로 부분 절곡되어 국부적으로 돌출되는 스프링 위치가이드부(113)를 형성함으로써 록킹 핀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160)이 최대로 압축될 수 있게 하는 여유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스프링 위치가이드부(113)를 매개로 압축스프링(160)의 압축에 필요한 여유공간이 최대로 확보되면, 상부레일(10)과 하부레일(20) 사이의 공간에서 수직방향 거리를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한 상태에서도 동일한 강성의 스프링이 최대의 거리로 압축 변형될 수 있으므로, 록킹 핀(140)의 복원 이동에 필요로 하는 탄성력을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이와 반대로 상부레일(10)과 하부레일(20) 사이의 수직방향 거리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을 경우에 있어, 압축스프링(160)이 최대로 압축될 수 있는 여유공간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에는 적정의 탄성력을 제공할 수 없게 되고, 이는 록킹 핀(140)에 대한 복원성능의 저하로 귀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마운팅 브라켓트(110)의 메인 몸체부(112)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는 스프링 위치가이드부(113)는 압축스프링(160)의 강성을 낮게 설정하지 않아도 최대로 압축될 수 있는 여유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므로, 록킹 핀(140)의 복원 이동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는 릴리스 레버(120)의 회전과 연동하여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는 블록킹 브라켓트(170)를 매개로 록킹 핀(140)에 대한 잠금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보장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충돌을 대비하여 록킹 핀(140)의 압력각을 작게 설정하지 않아도 되므로, 하부레일(20)의 체결구멍(22)에 대한 록킹 핀(14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레일로크 조립체(100)에 대한 작동 감성의 저하를 보다 적극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릴리스 레버(120)의 잠금방향 위치에서 토션스프링(180)에 의한 탄성력을 매개로 상부레일(10)의 개구부(14)를 통해 내부로 진입하는 블록킹 브라켓트(170)를 매개로 록킹 핀(140)의 스토퍼(142)의 상단부가 잠금 작용부(175)에 의해 견고하게 구속될 수 있으므로, 록킹 핀(140)의 압력각을 작게 설정하지 않고도 시트레일에 대한 안정적인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블록킹 브라켓트(170)의 서브 몸체부(173)에 위치한 장공 형태의 힌지부(172)는 힌지핀(118)에 대해 그 위치를 직선방향 전방으로 전이될 수 있으므로, 마운팅 브라켓트(110)에 대한 블록킹 브라켓트(170)의 직선방향 전진이동을 허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블록킹 브라켓트(170)의 메인 몸체부(171)의 전면에 부착된 댐퍼(177)는 상부레일(10)의 외측면과의 접촉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으므로, 동작 소음의 발생을 보다 적극적으로 배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릴리스 레버(120)의 잠금방향 위치에서 해제방향 위치로 전환될 때, 릴리스 레버(120)의 가압단부(124)와 접촉되는 연동 작용부(174)를 매개로 블록킹 브라켓트(170)의 직선방향 후진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블록킹 브라켓트(170)의 잠금 작용부(175)에 의한 록킹 핀(140)의 스토퍼(142)에 대한 구속작용이 자연스럽게 해제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시트레일의 전후방향 위치는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도 블록킹 브라켓트(170)의 서브 몸체부(173)에 위치한 장공 형태의 힌지부(172)는 힌지핀(118)에 대해 그 위치를 직선방향 후방으로 전이될 수 있으므로, 마운팅 브라켓트(110)에 대한 블록킹 브라켓트(170)의 직선방향 후진이동을 허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릴리스 레버(120)의 회전과 연동하는 블록킹 브라켓트(170)를 매개로 록킹 핀(140)의 해제를 보다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특히 다양한 방향에서 발생될 수 있는 충격에 대해서도 레일로크 조립체의 정상적인 잠금상태를 보장할 수 있으므로, 시트의 착좌 방향이 보다 자유롭게 조정될 수 있는 자율주행 기술이 적용된 차량의 시트에도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상부레일 12-관통구멍
14-개구부 20-하부레일
22-체결구멍 30-베어링부재
100-레일로크 조립체 110-마운팅 브라켓트
112-메인 몸체부 112a-관통구멍
112b-체결구멍 113-스프링 위치가이드부
113a-경사면 113b-지지돌기
114-서브 몸체부 114a-조립구멍
116-힌지조립부 118-힌지핀
120-릴리스 레버 122-조작단부
124-가압단부 126-힌지부
128-가압부
130-인장스프링
140-록킹핀 142-스토퍼
150-로크 가이드 152-삽입구멍
160-압축스프링
170-블록킹 브라켓트 171-메인 몸체부
172-힌지부 173-서브 몸체부
174-연동 작용부 175-잠금 작용부
176-수압부 177-댐퍼
180-토션스프링

Claims (10)

  1. 시트의 쿠션부 하부에 고정되는 상부레일, 상기 상부레일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차실내의 플로워 패널에 고정되는 하부레일, 및 상기 상부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레일에 대한 상기 상부레일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는 레일로크 조립체를 포함하는 시트 레일의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로크 조립체는
    상부레일에 고정되고 상부에 외부로 돌출된 스프링 위치가이드부를 갖춘 마운팅 브라켓트;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릴리스 레버;
    상기 릴리스 레버의 회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 록킹 핀;
    상기 록킹 핀을 잠금위치로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상부레일의 내측면과 상기 록킹 핀의 스토퍼 사이에 설치되면서 상단부가 상기 스프링 위치가이드부에 의해 지지되는 압축스프링;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에 대해 릴리스 레버를 잠금방향 위치로 탄성 지지하는 인장스프링;
    상기 릴리스 레버의 회전과 연동하여 록킹 핀을 구속 또는 구속상태를 해제하는 블록킹 브라켓트; 및
    상기 릴리스 레버에 대해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를 잠금방향 위치로 탄성 지지하는 토션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위치가이드부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의 메인 몸체부에서 상기 록킹 핀의 이동을 위한 관통구멍을 중심으로 가장자리에 위치한 경계부위에 대해 경사면을 사이에 두고 외부를 향해 국부적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위치가이드부는 상기 관통구멍을 중심으로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면서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지지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의 힌지조립부와 상기 릴리스 레버의 힌지부에 대해 힌지핀을 매개로 힌지지점을 공유하는 힌지부를 구비하되, 상기 힌지부는 상기 힌지핀에 대해 직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 레버는 해제방향 회전시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에 작용력을 제공하는 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는 상기 가압부와 접촉 가능한 연동 작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는 상기 릴리스 레버의 잠금방향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록킹 핀의 해제방향 변위를 구속하는 잠금 작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잠금 작용부는 상기 록킹 핀의 스토퍼의 상단부를 구속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는 상기 토션스프링과의 접촉을 위한 수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압부는 양측에 외부를 향해 돌출되는 돌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는 상기 상부레일과 접촉하는 부위에 댐퍼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는 상기 댐퍼의 장착을 위한 관통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댐퍼는 관통구멍으로의 삽입을 위한 돌출몸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장스프링은 양단부가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의 조립구멍, 및 상기 릴리스 레버의 조립구멍에 각각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토션스프링은 일단부가 상기 릴리스 레버의 수용구멍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의 수압부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KR1020180075702A 2018-06-29 2018-06-29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KR102071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702A KR102071504B1 (ko) 2018-06-29 2018-06-29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702A KR102071504B1 (ko) 2018-06-29 2018-06-29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321A true KR20200002321A (ko) 2020-01-08
KR102071504B1 KR102071504B1 (ko) 2020-01-30

Family

ID=69154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702A KR102071504B1 (ko) 2018-06-29 2018-06-29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5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6337B1 (ko) * 2021-07-01 2022-09-22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
KR102446336B1 (ko) * 2021-06-25 2022-09-22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123B1 (ko) * 2012-02-10 2012-11-12 대원정밀공업(주)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
KR101299015B1 (ko) * 2012-07-20 2013-08-23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장치
KR101518650B1 (ko) * 2013-12-30 2015-05-11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레일 록킹장치
KR20160083211A (ko) * 2014-12-30 2016-07-12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레일 록킹장치
KR101671644B1 (ko) 2015-08-25 2016-11-01 주식회사다스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123B1 (ko) * 2012-02-10 2012-11-12 대원정밀공업(주)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
KR101299015B1 (ko) * 2012-07-20 2013-08-23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장치
KR101518650B1 (ko) * 2013-12-30 2015-05-11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레일 록킹장치
KR20160083211A (ko) * 2014-12-30 2016-07-12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레일 록킹장치
KR101671644B1 (ko) 2015-08-25 2016-11-01 주식회사다스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6336B1 (ko) * 2021-06-25 2022-09-22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
KR102446337B1 (ko) * 2021-07-01 2022-09-22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1504B1 (ko)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6824B1 (ko) 차량용 시트트랙 로킹 시스템
US9475407B2 (en) Folding vehicle seat
US6279982B1 (en) Vehicle seat storing device
US20130119723A1 (en) Vehicle seat
JP6217501B2 (ja) スライドレール
US9789789B2 (en) Vehicular seat
US20110089706A1 (en) Absorber element for a motor vehicle lock
US11667219B2 (en) Child safety seat
KR101671644B1 (ko)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KR102071504B1 (ko)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WO2013146774A1 (ja) スライドレール機構
KR102071488B1 (ko)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JP2003252086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2184744B1 (ko) 차량 충돌 시 하이트 링크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서브락 장치
KR101165221B1 (ko) 이지 엔트리 미드 메모리 시스템
CN215904355U (zh) 一种汽车座椅滑轨锁止装置
US20230211708A1 (en) Seat slide device
KR101956264B1 (ko) 자동차 시트의 쿠션부 확장장치
KR101283388B1 (ko) 차량용 시트의 시트 트랙 로크구조
KR102402993B1 (ko)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록킹 구조
JP3942084B2 (ja) 車両用シート
KR102242928B1 (ko) 차량용 시트 리클라이너 장치
KR101986137B1 (ko)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CN108569171B (zh) 用于座椅靠背的铰接锁定机构
KR101585265B1 (ko) 차량용 시트레일의 로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