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6337B1 -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6337B1
KR102446337B1 KR1020210086539A KR20210086539A KR102446337B1 KR 102446337 B1 KR102446337 B1 KR 102446337B1 KR 1020210086539 A KR1020210086539 A KR 1020210086539A KR 20210086539 A KR20210086539 A KR 20210086539A KR 102446337 B1 KR102446337 B1 KR 102446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pin
rail
locking
cap
seat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준
임흥수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6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337B1/ko
Priority to EP22179170.0A priority patent/EP4112373A1/en
Priority to US17/808,433 priority patent/US2023000182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 B60N2/0727Stop members for limiting slid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 B60N2/0732Attachment of seat frame to the slide, e.g. eye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with pin alignment systems, e.g. with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locking pins always aligned w.r.t.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pin-receiv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 B60N2/0715C or U-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12Location of the latch
    • B60N2/0818Location of the latch inside the r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31Movement of the latch
    • B60N2/0862Movement of the latch sliding
    • B60N2/0875Movement of the latch sliding in a vertic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81Activation of the latches by the control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에 락핀이 직하방향으로 이동되어 플로어패널까지 관통되던 시트레일 락킹 방식에서 탈피하여, 락핀이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시트레일을 락킹시키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플로어패널과의 간섭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 플로어패널에 대한 배터리 탑재 구조가 유연하게 적용될 수 있고, 작업자가 락핀의 승강 안내용 락핀 가이드를 원터치 조작만으로 이동레일에 손쉽게 조립할 수 있는 등 그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락핀의 상단부에 캡을 장착하여 락핀의 파손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DEVICE FOR LOCKING SEAT RAIL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에 락핀이 직하방향으로 이동되어 플로어패널까지 관통되던 시트레일 락킹 방식에서 탈피하여, 락핀이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시트레일을 락킹시키는 방식으로 새롭게 개선시킨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자동차용 시트는 승객의 하체 착석을 위한 시트쿠션과, 승객의 상체를 기대는 시트백과, 승객의 목과 머리를 받쳐주는 헤드레스트 등을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자동차용 시트는 고정레일과 이동레일을 포함하는 시트레일에 의하여 차량 실내의 플로어 패널에 전후 위치 조절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플로어 패널에는 시트레일의 구성 중 고정레일(로워레일)이 마운팅 브라켓 및 볼트 등을 매개로 고정 장착되고, 상기 고정레일에는 시트쿠션과 조립되는 이동레일(어퍼레일)이 전후진 가능하게 체결된다.
또한, 상기 고정레일과 이동레일에 걸쳐 이동레일의 락킹 및 락킹해제를 위한 시트레일 락킹 장치가 장착된다.
여기서, 종래의 매뉴얼 타입 시트레일 락킹 장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매뉴얼 타입 시트레일 락킹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시트레일의 락킹 상태를 나타내고, 도 2는 시트레일의 락킹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레일(10)은 플로어패널(30)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레일(12)과, 이 고정레일(12)에 전후진 가능하게 체결되는 이동레일(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레일(12)과 이동레일(14)에 걸쳐 이동레일의 락킹 및 락킹해제를 위한 시트레일 락킹 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시트레일 락킹 장치는: 상부는 시트쿠션 프레임(미도시됨)과 연결되고 저부에는 이동레일(14)이 결합되는 서포트 플레이트(21)와; 서포트 플레이트(21) 및 이동레일(14)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락핀(22)과; 서포트 플레이트(21)의 저면과 락핀(22)의 둘레단(22-1) 간에 압축 가능하게 삽입되는 스프링(23)과; 일단부에는 락핀(22)의 둘레단(22-1) 저부에 위치되는 락킹해제용 젖힘단(24-1)이 형성되고, 타단부는 사용자가 젖힘 조작 가능한 손잡이단(24-2)으로 형성되며, 중간 부분은 서포트 플레이트(21)에 힌지(24-3)로 체결되는 트랙 레버(2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레일(12)에는 락핀(22)의 하단부가 락킹 가능하게 삽입되는 락킹홀(1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레일(12)과 이동레일(14) 사이에는 락핀(22)이 승강 가능하게 관통되는 구조로 구비되어 락핀(22)의 하강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 플레이트(25)가 더 배치되고, 상기 락핀(22)의 둘레부에는 스토퍼 플레이트(25)에 걸리는 스토퍼단(22-2)이 더 형성된다.
종래의 매뉴얼 레일 락 시스템 구조의 경우, 고객의 안전을 위해 여러 개의 락핀을 이용하여 적어도 1개 이상의 락핀이 락킹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락핀(22)이 스프링(23)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하방향으로 밀리면서 스토퍼 플레이트(24)를 관통한 락핀(22)의 하단부가 고정레일(12)의 락킹홀(12-1)에 잠금 삽입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핀(22)이 전후방향으로 구속되는 상태가 되고, 락핀(22)의 상단부가 서포트 플레이트(21) 및 이동레일(14)에 관통 삽입된 상태이므로, 결국 이동레일(14)이 고정레일(12)을 따라 전후로 움직일 수 없는 락킹 상태가 된다.
반면, 사용자가 상기 트랙 레버(24)의 손잡이단(24-2)을 잡고 락킹해제 방향으로 젖히면, 트랙 레버(24)가 힌지(24-3)를 중심으로 락킹해제 방향으로 회동하는 동시에 트랙 레버(24)의 락킹해제용 젖힘단(24-1)이 락핀(22)의 둘레단(22-1) 저부를 위로 밀어올리게 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핀(22)이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락핀(22)의 하단부가 고정레일(12)의 락킹홀(12-1)로부터 빠져나오게 되고, 결국 이동레일(14)이 고정레일(12)을 따라 전후로 움직일 수 있는 락킹해제 상태가 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트랙 레버(24)의 손잡이단(24-2)을 놓으면, 상기 스프링(23)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다시 락핀(22)이 하방향으로 밀리는 동시에 락핀(22)의 하단부가 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레일(12)의 락킹홀(12-1)에 잠금 삽입됨으로써, 이동레일(14)이 고정레일(12)을 따라 전후로 움직일 수 없는 락킹 상태가 된다.
참고로, 도 1 및 도 2의 단면도에는 락핀(22)이 하나인 것 처럼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전후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열되며, 복수개의 락핀(22) 중 하나만이 고정레일(12)의 락킹홀(12-1)에 삽입 체결되더라도 이동레일이 락킹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종래의 매뉴얼 타입 시트레일 락킹 장치는, 상기 락핀(22)이 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그 하단부가 고정레일(12)의 락킹홀(12-1)에 삽입 체결되어 락킹되는 구조이므로,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락핀(22)의 하단부가 고정레일(12)의 락킹홀(12-1)을 지나서 고정레일(12)이 장착된 플로어패널(30)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락핀(22)의 하단부가 플로어패널(30)의 산포 등에 의하여 눌려질 수 있고, 그에 따라 락핀(22)의 락킹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의 출시가 일반화됨에 따라 배터리 탑재 공간으로서 플로어패널(30)의 저부공간 등이 활용될 수 있는데, 상기 락핀(22)의 하단부가 고정레일(12)의 락킹홀(12-1)을 지나 플로어 패널(30)에 접촉하며 눌려지므로, 이는 플로어 패널에 대한 배터리 패키징시 간섭 요소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락핀이 직하방향으로 이동되어 락킹되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부품수 절감 및 조립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플로어패널과의 간섭이 전혀 발생하지 않도록 락핀이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락킹되는 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기존에 락핀이 직하방향으로 이동되어 플로어패널까지 관통되던 시트레일 락킹 방식에서 탈피하여, 락핀이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시트레일을 락킹시키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플로어패널과의 간섭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 플로어패널에 대한 배터리 탑재 구조가 유연하게 적용될 수 있고, 작업자가 락핀의 승강 안내용 락핀 가이드를 원터치 조작만으로 이동레일에 손쉽게 조립할 수 있는 등 그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락핀의 상단부에 캡을 장착하여 락핀의 파손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플로어 패널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레일; 상기 고정레일에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이동레일; 시트쿠션과의 조립을 위하여 상기 이동레일 상에 장착되는 서포트 플레이트; 내부에 스프링 받침단이 형성된 중공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이동레일에 삽입 체결되는 락핀 가이드; 상기 락핀 가이드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락핀; 하단 둘레부에 스프링 지지단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락핀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캡; 상기 캡의 스프링 지지단과 상기 락핀 가이드의 스프링 받침단 사이에 압축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프링;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 힌지 체결되어 상기 캡과 연결되는 트랙 레버; 및 상기 락핀의 하단부에 체결되어, 락핀의 상승시 함께 상승하여 고정레일의 내측단부에 형성된 하부 개방형의 락킹홈에 삽입되어 락킹되고, 락핀의 하강시 함께 하강하여 고정레일의 락킹홈으로부터 분리되어 락킹해제되는 락킹 플레이트;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락핀 가이드는: 내부에 스프링 받침단이 형성된 중공의 가이드관; 상기 가이드관의 상단 둘레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레일에 형성된 조립홀의 외주면 상에 안착되는 거치판; 상기 거치판의 저부에 하방향으로 연장되며 형성된 체결지지판; 및 상기 체결지지판의 외경부에 돌출 형성되어 이동레일의 조립홀의 내주면에 걸리며 체결되는 락킹돌기;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캡은 저부가 개방된 구조로서 그 내경부에 락핀과의 체결을 위한 암나사부가 형성된 너트캡 구조로 구비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락핀의 상단부에는 상기 캡의 내경부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는 숫나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락킹 플레이트는: 상기 락핀의 하단부에 체결되는 몸체판; 및 상기 몸체판의 양측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이동레일을 지나서 고정레일의 락킹홈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는 복수개의 락킹단;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레일에는 락킹 플레이트의 락킹단의 관통 및 상하유동을 위한 복수개의 안내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랙 레버는: 사용자의 젖힘 조작을 위한 손잡이단; 상기 손잡이단의 양측단부로부터 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바; 및 전단부는 상기 연결바와 연결되고, 후단부에는 상기 캡과 연결되는 누름단이 절곡 형성되며, 중간 부분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 힌지 체결되는 레버 브라켓;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버 브라켓의 힌지에는 리턴 스프링의 코일부가 권취 고정되되, 리턴 스프링의 일단부는 이동레일의 스프링 고정단에 연결 고정되고, 리턴 스프링의 타단부는 레버 브라켓의 누름단에 연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는 상기 레버 브라켓의 누름단이 락핀 상의 위치로 절곡되며 위치되도록 누름단 안내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기존에 락핀이 직하방향으로 이동되어 플로어패널까지 관통되던 시트레일 락킹 방식에서 탈피하여, 락핀이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락킹되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플로어패널과의 간섭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 플로어패널에 대한 배터리 탑재 설계 구조가 유연하게 적용될 수 있고, 플로어 패널에 배터리 탑재공간을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다.
둘째, 작업자가 락핀의 승강 안내용 락핀 가이드를 원터치 조작만으로 이동레일에 손쉽게 조립할 수 있는 등 그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락핀의 상단부에 캡을 장착하여 락핀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락핀의 파손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매뉴얼 타입 시트레일 락킹 장치로서, 시트레일의 락킹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매뉴얼 타입 시트레일 락킹 장치로서, 시트레일의 락킹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의 구성 중 락핀과 락킹 플레이트 간의 조립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의 구성 중 이동레일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의 구성 중 서로 체결된 락핀과 락킹 플레이트를 이동레일에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의 구성 중 락핀 가이드와 캡을 조립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의 구성 중 트랙 레버와 캡 간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의 조립 완료 상태로서, 이동레일이 락킹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의 조립 완료 상태로서, 이동레일이 락킹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한 도 8,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자동차용 시트레일(100)은 플로어 패널(130)에 마운팅 브라켓 및 볼트 등을 매개로 고정 장착되는 고정레일(110)과, 상기 고정레일(110)에 전후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이동레일(120)을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자동차 등의 플로어패널에 대한 활용공간을 극대화시킴과 함께 시트레일의 구조적 단순화를 위하여 상기 고정레일(110)은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동시에 그 양측단부는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역"U"자 형상의 단면을 이루는 구조로 제작되고, 상기 이동레일(120)은 역"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동시에 그 양측단부가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U"자 형상의 단면을 이루는 구조로 제작된다.
이에, 상기 고정레일(110)에 이동레일(120)이 전후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면, 상기 고정레일(110)의 역"U"자 단면 형상을 갖는 양측단부와 상기 이동레일(120)의 "U"자 단면 형상을 갖는 양측단부가 서로 교차되며 겹쳐지는 배열을 이루게 된다.
또한, 시트쿠션 프레임과의 조립을 위하여 상기 이동레일(120) 상에 서포트 플레이트(140)가 장착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의 각 구성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의 구성 중 락핀과 락킹 플레이트 간의 조립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의 구성 중 이동레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락핀(160)은 상하로 길다란 소정 길이의 원형 봉 형상으로서, 그 상단부에는 캡의 체결을 위한 숫나사부(161)가 형성되고, 그 하단부에는 락킹 플레이트(170)와의 체결을 위한 리벳팅단(162)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락킹 플레이트(170)는 락핀(160)과 체결되어, 락핀(160)의 상승시 함께 상승하여 고정레일(110)의 내측단부에 형성된 하부 개방형의 락킹홈(111)에 삽입되어 락킹되고, 락핀(160)의 하강시 함께 하강하여 고정레일(110)의 락킹홈(111)으로부터 분리되어 락킹해제되는 구조로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락킹 플레이트(170)는, 상기 락핀(160)의 하단부에 형성된 리벳팅단(162)과 리벳팅으로 체결되는 몸체판(171)과, 이 몸체판(171)의 양측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이동레일(120)을 지나서 고정레일(110)의 하부 개방형의 락킹홈(111)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는 복수개의 락킹단(172)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리벳팅에 의하여 일체가 된 락핀(160)과 락킹 플레이트(170)가 이동레일(120)에 먼저 조립된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레일(120)의 상부에는 락핀(160)이 좌우로 유동 가능하게 진입되는 사각형의 조립홀(121)이 형성되고, 이동레일(120)의 양측면부에는 상기 락킹 플레이트(170)의 락킹단(172)의 관통 및 상하유동을 위한 복수개의 안내홀(124)이 형성된다.
첨부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의 구성 중 서로 체결된 락핀과 락킹 플레이트를 이동레일에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리벳팅에 의하여 일체가 된 상기 락핀(160)과 락킹 플레이트(170)를 상기 이동레일(120)의 저부에 위치시킨 후, 이동레일(120)의 내부로 진입시킴으로써, 상기 락핀(160)의 상단부가 이동레일(120)의 조립홀(121) 내에 좌우 유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락핀(160)과 락킹 플레이트(170)를 한쪽으로 기울여서 락킹 플레이트(170)의 일측쪽 락킹단(172)을 이동레일(120)의 일측쪽 안내홀(124)로 삽입시켜 거치시킨 다음, 상기 락핀(160)과 락킹 플레이트(170)를 반대쪽으로 기울여서 락킹 플레이트(170)의 타측쪽 락킹단(172)을 이동레일(120)의 타측쪽 안내홀(124)로 삽입시켜 거치시킴으로써, 상기와 같이 리벳팅에 의하여 일체가 된 락핀(160)과 락킹 플레이트(170)가 이동레일(120)에 먼저 조립 완료되는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의 구성 중 락핀 가이드(150)가 이동레일(120)에 조립되는 과정과, 락핀(160)에 캡(163)이 조립되는 과정이 진행된다.
첨부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의 구성 중 락핀 가이드와 캡을 조립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락핀 가이드(150)는 내부에 스프링 받침단(151)이 형성된 중공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이동레일(120)의 조립홀(121)에 원터치 방식으로 삽입 체결되는 구조로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락핀 가이드(150)는, 내부에 스프링 받침단(151)이 형성된 중공의 가이드관(152)과, 상기 가이드관(152)의 상단 둘레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레일(120)의 조립홀(121)의 외주면 상에 안착되는 거치판(153)과, 상기 거치판(153)의 저부에 하방향으로 연장되며 형성된 체결지지판(154)과, 상기 체결지지판(154)의 외경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이동레일(120)의 조립홀(121)의 내주면에 걸리며 체결되는 락킹돌기(1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상기 락핀 가이드(150)의 가이드관(152) 내에 상기 락킹 플레이트(170)와 결합된 락핀(160)이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게 하면서 락핀 가이드(150)의 체결지지판(154)을 이동레일(120)의 조립홀(121) 내에 삽입시키면, 상기 체결지지판(154)에 형성된 락킹돌기(155)가 이동레일(120)의 조립홀(121)의 내주면에 걸리게 됨으로써, 이동레일(120)의 조립홀(121)에 락핀 가이드(150)가 원터치 방식으로 쉽게 조립 고정되는 상태가 된다.
연이어, 상기 락핀 가이드(150)의 가이드관(152)에 삽입된 락핀(160)에 스프링(166)을 삽입한 다음, 락핀(160)의 상단부에 캡(163)을 체결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캡(163)은 저부가 개방된 구조로서 그 내경부에 락핀(160)과의 체결을 위한 암나사부(164)가 형성된 너트캡 구조로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락핀(160)의 상단부에는 상기 캡(163)의 내경부에 형성된 암나사부(164)와 나사 체결되는 숫나사부(161)가 형성되고, 상기 캡(163)의 하단 둘레부에는 스프링 지지단(165)이 더 돌출 형성된다.
이에, 상기 락핀 가이드(150)의 가이드관(152)에 삽입된 락핀(160)에 스프링(166)을 삽입한 다음, 캡(163)을 돌려서 락핀(160)의 숫나사부(161)에 캡(163)의 암나사부(164)가 나사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락핀(160)에 캡(163)이 조립 고정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166)은 상기 캡(163)의 스프링 지지단(165)과 상기 락핀 가이드(150)의 가이드관(152) 내의 스프링 받침단(151) 사이에 압축 가능하게 배치되는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이동레일(120)을 고정레일(110)에 전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체결하면, 도 9 및 도 10에서 보듯이 상기 이동레일(120)의 안내홀(124)을 통과한 상기 락킹 플레이트(170)의 락킹단(172)이 상기 고정레일(110)의 내측단부에 형성된 하부 개방형의 락킹홈(111)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상태가 된다.
첨부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의 구성 중 트랙 레버와 캡 간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락핀(160)의 상단부에 체결된 캡(163)을 잠금해제 방향(하방향)으로 누르기 위하여, 사용자가 조작하는 트랙 러버(180)가 캡(163)의 상면부와 연결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트랙 레버(180)는 상기 이동레일(120) 상에 장착된 서포트 플레이트(140)에 힌지 체결되어 상기 캡(163)의 상면부와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트랙 레버(180)는, 사용자의 젖힘 조작을 위한 손잡이단(181)과, 이 손잡이단(181)의 양측단부로부터 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바(182)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40)의 내측면에 힌지 체결되어 연결바(182)와 연결되는 레버 브라켓(183)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레버 브라켓(183)의 전단부는 상기 연결바(182)와 연결되고, 후단부에는 상기 캡(163)의 상면부와 연결되는 누름단(184)이 절곡 형성되며, 중간 부분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40)에 힌지(185)로 체결된다.
또한, 상기 레버 브라켓(182)의 힌지(185)에는 리턴 스프링(186)의 코일부가 권취 고정되되, 리턴 스프링(186)의 일단부는 상기 이동레일(120)의 스프링 고정단(125)에 연결 고정되고, 리턴 스프링(186)의 타단부는 상기 레버 브라켓(183)의 누름단(184)에 연결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40)의 수평판 및 수직판부에 걸쳐 상기 레버 브라켓(183)의 누름단(184)이 락핀(160) 상의 위치로 절곡되며 위치되도록 한 누름단 안내홀(141)이 관통 형성된다.
이에, 상기 레버 브라켓(183)이 서포트 플레이트(140)의 수직판부의 내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체결된 상태이지만, 상기 레버 브라켓(183)의 누름단(184)이 누름단 안내홀(141)을 통과하여 캡(163) 상에 누름 가능하게 용이하게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시트레일 락킹 장치에 대한 작동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의 조립 완료 상태로서 이동레일이 락킹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의 조립 완료 상태로서 이동레일이 락킹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이동레일(120)의 락킹 상태에서, 상기 캡(163)의 스프링 지지단(165)과 상기 락핀 가이드(150)의 스프링 받침단(151) 사이에 압축 가능하게 배치된 스프링(166)이 락핀(160)을 밀어올리는 탄성복원력을 발휘하게 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스프링(166)의 탄성복원력이 캡(163)의 스프링 지지단(165)에 작용하더라도, 캡(163)이 락핀(160)과 나사 체결된 상태이므로, 상기 스프링(166)의 탄성복원력이 락핀(160)을 밀어올리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163)이 눌려지지 않은 채 락핀 가이드(150)의 위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락핀(160)의 하단부에 체결된 락킹 플레이트(170)도 위로 상승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이동레일(120)의 안내홀(124)을 통과한 상기 락킹 플레이트(170)의 락킹단(172)이 상기 고정레일(110)의 내측단부에 형성된 하부 개방형의 락킹홈(111)에 삽입됨으로써, 이동레일(120)이 전후로 움직이지 않게 락킹된 상태로 유지된다.
반면, 사용자가 시트 전후 위치 조절을 위하여 상기 트랙 레버(181)의 손잡이(181)를 잡고 위로 젖히면, 트랙 레버(180)의 연결바(182)와 연결된 레버 브라켓(183)이 힌지(185)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레버 브라켓(183)의 누름단(184)이 하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캡(163)을 누르게 된다.
이에, 상기 캡(163)이 눌리면서 락핀(160)이 하강하게 되고, 락핀(160)과 체결된 락킹 플레이트(170)도 함께 하강하게 된다.
이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락킹 플레이트(170)의 락킹단(172)이 상기 고정레일(110)의 내측단부에 형성된 하부 개방형의 락킹홈(111)으로부터 빠져나오면서 분리됨으로써, 이동레일(120)이 고정레일(110)을 따라 전후로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시트를 전후로 움직이면 시트쿠션 프레임과 연결된 이동레일(120)이 고정레일(110)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시트 전후 위치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시트 전후 위치 조절을 완료한 후, 상기 트랙 레버(181)의 손잡이(181)를 그대로 놓게 되면, 상기 스프링(16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락핀(160)이 잠금방향인 위로 상승하게 되고, 상기 락킹 플레이트(170)의 락킹단(172)이 상기 고정레일(110)의 내측단부에 형성된 하부 개방형의 락킹홈(111)으로 다시 삽입됨으로써, 다시 이동레일(120)이 전후로 움직이지 않는 락킹 상태가 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에 락핀이 직하방향으로 이동되어 플로어패널까지 관통되던 시트레일 락킹 방식에서 탈피하여, 락핀(160)이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락킹되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플로어패널(130)과의 간섭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 플로어패널에 대한 배터리 탑재 설계 구조가 유연하게 적용될 수 있고, 플로어 패널에 배터리 탑재공간을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레일(110)에 이동레일(120)을 실질적으로 락킹시키는 락핀(160)의 승강 안내를 위한 락핀 가이드(150)를 이동레일(120)의 조립홀(121)에 원터치 체결 방식으로 손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핀(160)의 상단부에 캡(163)을 장착하여 락핀(160)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락핀(160)의 파손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하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0 : 시트레일 110 : 고정레일
111 : 락킹홈 120 : 이동레일
121 : 조립홀 124 : 안내홀
130 : 플로어패널 140 : 서포트 플레이트
141 : 누름단 안내홀 150 : 락핀 가이드
151 : 스프링 받침단 152 : 가이드관
153 : 거치판 154 : 체결지지판
155 : 락킹돌기 160 : 락핀
161 : 숫나사부 162 : 리벳팅단
163 : 캡 164 : 암나사부
165 : 스프링 지지단 166 : 스프링
170 : 락킹 플레이트 171 : 몸체판
172 : 락킹단 180 : 트랙 러버
181 : 손잡이단 182 : 연결바
183 : 레버 브라켓 184 : 누름단
185 : 힌지 186 : 리턴 스프링

Claims (9)

  1. 플로어 패널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레일;
    상기 고정레일에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이동레일;
    시트쿠션과의 조립을 위하여 상기 이동레일 상에 장착되는 서포트 플레이트;
    내부에 스프링 받침단이 형성된 중공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이동레일에 삽입 체결되는 락핀 가이드;
    상기 락핀 가이드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락핀;
    하단 둘레부에 스프링 지지단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락핀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캡;
    상기 캡의 스프링 지지단과 상기 락핀 가이드의 스프링 받침단 사이에 압축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프링;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 힌지 체결되어 상기 캡과 연결되는 트랙 레버; 및
    상기 락핀의 하단부에 체결되어, 락핀의 상승시 함께 상승하여 고정레일의 내측단부에 형성된 하부 개방형의 락킹홈에 삽입되어 락킹되고, 락핀의 하강시 함께 하강하여 고정레일의 락킹홈으로부터 분리되어 락킹해제되는 락킹 플레이트;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락핀 가이드는:
    내부에 스프링 받침단이 형성된 중공의 가이드관;
    상기 가이드관의 상단 둘레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레일에 형성된 조립홀의 외주면 상에 안착되는 거치판;
    상기 거치판의 저부에 하방향으로 연장되며 형성된 체결지지판; 및
    상기 체결지지판의 외경부에 돌출 형성되어 이동레일의 조립홀의 내주면에 걸리며 체결되는 락킹돌기;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은 저부가 개방된 구조로서 그 내경부에 락핀과의 체결을 위한 암나사부가 형성된 너트캡 구조로 구비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락핀의 상단부에는 상기 캡의 내경부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는 숫나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락킹 플레이트는:
    상기 락핀의 하단부에 체결되는 몸체판; 및
    상기 몸체판의 양측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이동레일을 지나서 고정레일의 락킹홈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는 복수개의 락킹단;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일에는 락킹 플레이트의 락킹단의 관통 및 상하유동을 위한 복수개의 안내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랙 레버는:
    사용자의 젖힘 조작을 위한 손잡이단;
    상기 손잡이단의 양측단부로부터 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바; 및
    전단부는 상기 연결바와 연결되고, 후단부에는 상기 캡과 연결되는 누름단이 절곡 형성되며, 중간 부분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힌지 체결되는 레버 브라켓;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레버 브라켓의 힌지에는 리턴 스프링의 코일부가 권취 고정되되, 리턴 스프링의 일단부는 이동레일의 스프링 고정단에 연결 고정되고, 리턴 스프링의 타단부는 레버 브라켓의 누름단에 연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는 상기 레버 브라켓의 누름단이 캡 상의 위치로 절곡되며 위치되도록 안내하는 누름단 안내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
KR1020210086539A 2021-07-01 2021-07-01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 KR102446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539A KR102446337B1 (ko) 2021-07-01 2021-07-01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
EP22179170.0A EP4112373A1 (en) 2021-07-01 2022-06-15 Seat rail locking device for vehicle
US17/808,433 US20230001827A1 (en) 2021-07-01 2022-06-23 Seat rail locking device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539A KR102446337B1 (ko) 2021-07-01 2021-07-01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6337B1 true KR102446337B1 (ko) 2022-09-22

Family

ID=82067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539A KR102446337B1 (ko) 2021-07-01 2021-07-01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001827A1 (ko)
EP (1) EP4112373A1 (ko)
KR (1) KR1024463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7702A (ko) * 2013-12-30 2015-07-08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레일 록킹장치
KR20190078362A (ko) * 2017-12-26 2019-07-04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KR20190078360A (ko) * 2017-12-26 2019-07-04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KR20200002321A (ko) * 2018-06-29 2020-01-08 주식회사다스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10392B1 (fr) * 2006-12-20 2009-08-28 Faurecia Sieges Automobile Mecanisme de reglage pour vehicule automobile et systeme comprenant un tel mecanisme
US8215602B2 (en) * 2008-05-23 2012-07-10 Lear Corporation Longitudinal adjustment apparatus for a vehicle seat
KR101330025B1 (ko) * 2013-05-23 2013-11-18 대원정밀공업(주) 개선된 조립 구조의 시트 트랙 록킹장치
DE102016212168B4 (de) * 2016-07-04 2020-08-06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Längseinsteller sowie fahrzeugsitz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7702A (ko) * 2013-12-30 2015-07-08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레일 록킹장치
KR20190078362A (ko) * 2017-12-26 2019-07-04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KR20190078360A (ko) * 2017-12-26 2019-07-04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KR20200002321A (ko) * 2018-06-29 2020-01-08 주식회사다스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01827A1 (en) 2023-01-05
EP4112373A1 (en) 2023-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0431B1 (ko)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드 장치
KR100982796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US4923250A (en) Headrest apparatus
JP4719677B2 (ja) 自動車シート用のレール長手方向ガイドに対するメモリ装置
US20060220434A1 (en) Headrest system for a vehicle seat
DE102009034970A1 (de) Aktive Kopfstützen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und Betätigungseinrichtung hierfür
JP3040714B2 (ja) オートバイのための高さ調節可能なシート
KR101676596B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 결속 기구
KR102446337B1 (ko)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
US7753424B2 (en) Armrest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door
KR101837428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2142225B1 (ko) 자동차 주유구 조절 지그장치
KR102446336B1 (ko)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
KR102125978B1 (ko) 시트쿠션 길이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
EP1762423B1 (de) Kraftfahrzeug mit einem Sitz
CN113647769A (zh) 一种带有腰靠的椅子
CN109130969B (zh) 车辆座椅导轨的锁闭装置
KR100979273B1 (ko) 헤드레스트
KR100422713B1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시트쿠션 고정장치
EP3213959B1 (en) Headrest retraction member, and vehicle seat
CN212171994U (zh) 多向调节式座椅
KR200150416Y1 (ko) 시트 슬라이드 로킹장치
JPH09104267A (ja) リヤシートバックのロック機構
KR20220019938A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 장치
DE102021128409A1 (de) Freizeitfahrzeug, Sitzeinrichtung für ein Freizeitfahrzeug und Sitzpolsterbefestig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