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9938A -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9938A
KR20220019938A KR1020200100249A KR20200100249A KR20220019938A KR 20220019938 A KR20220019938 A KR 20220019938A KR 1020200100249 A KR1020200100249 A KR 1020200100249A KR 20200100249 A KR20200100249 A KR 20200100249A KR 20220019938 A KR20220019938 A KR 20220019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eadrest
fastened
cover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0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태희
김상호
김병광
김석환
정해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우보테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0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9938A/ko
Priority to US17/142,126 priority patent/US11364830B2/en
Publication of KR20220019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99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15Release mechanisms, e.g. 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18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with stepwise pos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2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adjusting mechanisms, e.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94Head-rests with rods solidly attached to the back-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를 시트백에 스테이에 의하여 체결되는 리어 파트와, 리어 파트에 승강 가능하게 조립되어 승객의 머리 및 목 부분을 지지하는 프론트 파트로 등 2개의 파트로 분할 구성하여, 승객의 체형 및 취향에 따라 프론트 파트를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승객의 체형에 관계없이 승객의 머리 및 목 부분을 프론트 파트에 편안하게 지지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 장치{DEVICE FOR ADJUSTING HIGHT OF HEADRES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레스트를 시트백에 고정되는 리어 파트와, 리어 파트에 승강 가능하게 조립되는 프론트 파트로 분할 구성하여, 승객의 체형 및 취향에 따라 프론트 파트를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자동차용 시트는 승객의 하체 착석을 위한 시트쿠션과, 등을 기대는 시트백과, 목과 머리를 받쳐주는 헤드레스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헤드레스트의 저부에는 스테이(stay)가 돌출되어 있고, 이 스테이는 시트백 내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 체결된다.
이에, 상기 스테이를 원하는 위치로 승강시키면 헤드레스트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헤드레스트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종래의 헤드레스트는 체형이 작은 승객의 경우 머리 및 목 부분을 제대로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테이(20)를 시트백(30) 내에 최대로 삽입시켜서 헤드레스트(10)를 가장 낮은 높이로 조절한 상태라 하더라도, 체형 및 신장이 작은 승객의 경우 머리 부분이 헤드레스트(10)의 하부 영역에 지지됨에 따라, 목이 꺽이게 되는 등의 불편함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종래의 헤드레스트는 승객의 목 부분을 제대로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승객의 머리가 헤드레스트(10)에 지지된 상태라 하더라도, 승객의 목 부분이 헤드레스트(10)에 지지되지 못함에 따라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승객의 머리가 헤드레스트에 지지된 상태라 하더라도, 승객의 목 부분이 헤드레스트에 지지되지 못함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 받침대(40)를 별도로 구매하여 헤드레스트(10)에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별도의 구매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승객의 체형에 맞게 높이 조절시키면서 승객의 머리 및 목 부분을 편안하게 지지해줄 수 있는 헤드레스트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헤드레스트를 시트백에 스테이에 의하여 체결되는 리어 파트와, 리어 파트에 승강 가능하게 조립되어 승객의 머리 및 목 부분을 지지하는 프론트 파트로 분할 구성하여, 승객의 체형 및 취향에 따라 프론트 파트를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트백 내에 삽입 체결되는 스테이가 장착된 리어 커버; 전면부에 다단의 락킹홈이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리어 커버의 전면부에 장착되는 리어 플레이트; 출입홀이 관통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리어 플레이트에 승강 가능하게 체결되는 프론트 플레이트;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의 전면부에 체결되어 프론트 패드의 골격을 이루는 프론트 커버; 두 개 이상의 가이드 핀이 돌출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프론트 커버의 배면부에 장착되는 인서트 플레이트; 중앙부에 상기 가이드 핀이 삽입되는 두 개 이상의 가이드 홀이 전후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상기 출입홀을 통과하여 상기 락킹홈에 락킹 가능하게 삽입되는 락킹단이 형성되며, 전단부에는 상기 프론트 커버의 배면부에 탄성 지지되는 스프링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에 적층되는 락 플레이트; 상기 프론트 커버의 전면부에 장착되는 프론트 패드; 및 상기 프론트 패드의 일측면에 누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프론트 커버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락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버튼;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리어 플레이트의 전면부에서 상부 및 하부 위치에는 락 플레이트의 승강 거리를 제한하기 위하여 락 플레이트의 락킹단이 걸리게 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어 플레이트의 전면부에서 양측 위치에는 슬라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의 후면부에서 양측 위치에는 상기 슬라이드 돌기와 상하 이송 가능하게 체결되는 슬라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어 플레이트의 테두리 부분에는 스크류 삽입을 위한 제1장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리어 커버에는 상기 제1장착홀을 통하여 삽입된 스크류가 체결되는 제1장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론트 커버의 테두리 부분에는 스크류 삽입을 위한 제2장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의 전면부에는 상기 제2장착홀을 통하여 삽입된 스크류가 체결되는 제2장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핀은 인서트 플레이트의 저면 중앙 영역에 하방향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상기 락 플레이트의 가이드 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의 양측부에는 탄성 락킹다리가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커버의 배면 양측부에는 상기 탄성 락킹다리가 삽입 체결되는 락킹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의 상하면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커버의 배면부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락 플레이트의 일측부에는 상기 버튼과 연결축을 매개로 연결되는 수평판 형태의 버튼 연결판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은 상기 락 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되는 코일부와, 이 코일부로부터 자유단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프론트 커버의 배면부에 탄성 지지되는 지지다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론트 패드의 일측면에는 버튼을 누름 가능하게 수용하는 버튼 베젤이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헤드레스트를 시트백에 고정되는 리어 파트와, 리어 파트에 승강 가능하게 조립되는 프론트 파트 등 2개의 파트로 분할 구성하여, 승객의 체형 및 취향에 따라 프론트 파트를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승객의 체형에 관계없이 승객의 머리 및 목 부분을 프론트 파트에 편안하게 지지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를 릴렉션 시트 등에 적용하여, 승객이 릴렉션 자세를 취할 때 승객의 머리 및 목 부분까지 헤드레스트에 안락하게 지지될 수 있으므로, 시트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헤드레스트에 별도의 목 받침대를 장착하지 않고도, 승객의 목 부분을 지지시킬 수 있으므로, 목 받침대를 구매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헤드레스트에 승객의 머리 부분이 지지되는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종래의 헤드레스트에 별도의 목 받침대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 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 장치의 프론트 커버에 인서트 플레이트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 장치의 리어 커버에 리어 플레이트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 장치의 인서트 플레이트 및 락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 장치의 프론트 플레이트가 리어 플레이트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체결된 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 장치의 락킹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 장치의 락킹 해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 장치의 락킹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 장치의 락킹 해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각 도면에서 도면부호 100은 리어 커버를 지시한다.
상기 리어 커버(100) 내에 스테이(20)의 상단부가 결속되고, 이 스테이(20)의 하부는 한 쌍의 바 형상으로 구비되어 시트백 내에 삽입 체결된다.
이에, 상기 리어 커버(100)는 스테이(20)에 의하여 시트백(30)에 고정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리어 커버(100)의 전면에서 테두리 소정 위치에는 리어 플레이트(110)와의 조립을 위한 제1장착홈(101)이 형성된다.
상기 리어 플레이트(110)는 상기 리어 커버(100)의 전면 개방부를 밀폐시키며 장착되는 판체 구조로서, 그 전면부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다단의 락킹홈(112)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단의 락킹홈(112)은 리어 플레이트(110)의 전면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2열로 배열되고, 각각의 락킹홈(112)들은 상하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리어 플레이트(110)의 전면부에서 상부 및 하부 위치에는 락 플레이트(150)의 승강 거리를 제한하기 위하여 락 플레이트(150)의 락킹단(154)이 걸리게 되는 걸림턱(11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리어 플레이트(110)의 전면부에서 양측 위치에는 프론트 플레이트(120)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슬라이드 돌기(11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리어 플레이트(110)의 전면 테두리 소정 위치에는 상기 리어 커버(100)의 제1장착홈(101)과 일치하는 제1장착홀(118)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리어 플레이트(110)의 제1장착홀(118)에 스크류(119)를 삽입하는 동시에 상기 리어 커버(100)의 제1장착홈(101)에 스크류(119)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리어 커버(100)에 대한 리어 플레이트(110)의 조립이 이루어진다.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120)는 리어 플레이트(110)의 전면부에 승강 가능하게 체결된다.
이를 위해, 도 9에서 보듯이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120)의 후면부에서 양측 위치에는 상기 리어 플레이트(110)의 슬라이드 돌기(116)와 상하 이송 가능하게 체결되는 슬라이드 홈(12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120)에는 좌우 방향을 따라 길다란 출입홀(122)이 형성되는 바, 이 출입홀(122)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락 플레이트(150)의 락킹단(154)이 다단의 락킹홈(112)에 잠금 삽입될 때 출입하는 통로가 된다.
또한,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120)의 전면부에서 테두리 소정 위치에는 프론트 커버(130)와의 조립을 위한 제2장착홈(124)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120)의 전면부에는 프론트 패드(160)의 골격체를 이루는 프론트 커버(130)가 장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프론트 커버(130)의 테두리 부분에는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120)의 제2장착홈(124)과 일치하는 제2장착홀(132)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제2장착홀(132)을 통하여 스크류(123)를 삽입하는 동시에 제2장착홈(124)에 스크류(123)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120)에 대한 프론트 커버(130)의 조립이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프론트 커버(130)의 배면부에는 두 개 이상의 가이드 핀(142)이 저면에 하방향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판체 구조의 인서트 플레이트(140)가 장착된다.
이를 위해, 도 7 및 도 8에서 잘 볼 수 있듯이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140)의 양측부에는 탄성 락킹다리(144)가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커버(130)의 배면 양측부에는 상기 탄성 락킹다리(144)가 삽입 체결되는 락킹홀(13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프론트 커버(130)에 대한 인서트 플레이트(140)의 장착 위치를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140)의 상하면에는 가이드돌기(146)가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커버(130)의 배면부에는 상기 가이드돌기(146)가 삽입되는 가이드홈(136)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가이드돌기(146)가 가이드홈(136)으로 삽입시키면서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140)를 상기 프론트 커버(130)의 배면부로 밀어주면, 상기 탄성 락킹다리(144)가 압축되었다가 락킹홀(134) 위치에서 압축 해제되어 락킹홀(134)내로 삽입 체결됨으로써, 상기 프론트 커버(130)에 대한 인서트 플레이트(140)의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돌기(146)가 가이드홈(136) 내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인서트 플레이트(140)의 좌우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락 플레이트(150)는 인서트 플레이트(140)의 저면부에 적층 배열된 상태에서 버튼(170)의 누름시 인서트 플레이트(140)의 가이드 핀(142)의 안내에 의하여 차체 전방을 향하여 후진하고, 버튼(170)의 누름 해제시 스프링의 탄성복원력 및 인서트 플레이트(140)의 안내에 의하여 차체 후방을 향하여 전진하는 구조로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락 플레이트(150)는 그 중앙부에 상기 가이드 핀(142)이 삽입되는 두 개 이상의 가이드 홀(152)이 전후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120)의 출입홀(122)을 통과하여 상기 리어 플레이트(110)의 락킹홈(112)에 락킹 가능하게 삽입되는 락킹단(154)이 돌출 형성되며, 전단부에는 상기 프론트 커버(130)의 배면부에 탄성 지지되는 스프링(156)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140)의 저부에 적층 배열된다.
이때, 상기 락 플레이트(150)가 인서트 플레이트(140)의 저부에 적층 배열되면, 상기 가이드 핀(142)이 가이드 홀(15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상태가 되고, 상기 락킹단(154)은 프론트 플레이트(120)의 출입홀(122)에 삽입되어 거치되는 상태가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프링(156)은 락 플레이트(150)에 일체로 형성되는 코일부(156-1)와, 이 코일부(156-1)로부터 자유단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프론트 커버(130)의 배면부에 탄성 지지되는 지지다리부(156-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락 플레이트(150)의 일측부에는 수평판 형태의 버튼 연결판(158)이 일체로 형성되며, 이 버튼 연결판(158)에는 연결축(172)을 매개로 버튼(170)이 누름 가능하게 연결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버튼(170)은 상기 프론트 커버(130)를 커버하는 프론트 패드(160)의 일측면에 누름 가능하게 위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축(172)이 프론트 커버(130)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배열되고, 상기 버튼(170)이 상기 프론트 패드(160)의 일측면에 누름 가능하게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론트 패드(160)의 일측면에는 버튼(170)을 누름 가능하게 수용하는 버튼 베젤(174)이 장착된다.
한편, 상기 프론트 패드(160)는 승객의 머리 및 목 부분이 접촉할 때 쿠션감을 제공하는 내부 쿠션패드와, 승객의 머리 및 목 부분이 직접 접촉하는 외부 스킨커버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에 대한 작동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0 및 12를 참조하면, 상기 버튼(170)을 누르기 전에는 상기 락 플레이트(150)의 락킹단(154)이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120)의 출입홀(122)을 통과하여 상기 리어 플레이트(110)의 락킹홈(112) 중 하나에 락킹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버튼(170)을 누르기 전에는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140)의 가이드 핀(142)이 상기 락 플레이트(150)의 경사진 가이드 홀(152)의 뒤쪽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버튼(170)을 누르기 전에는 상기 스프링(156)의 지지다리부(156-2)가 상기 프론트 커버(130)의 배면부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버튼(170)을 누르기 전에는 상기 락 플레이트(150)의 락킹단(154)이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120)의 출입홀(122)을 통과하여 상기 리어 플레이트(110)의 락킹홈(112) 중 하나에 락킹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가 됨으로써, 프론트 플레이트(120)를 비롯하여 프론트 커버(130) 및 프론트 패드(160)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반면, 승객의 체형 및 취향에 따라 프론트 패드(160)의 높이를 높이거나 줄이기 위해서 상기 버튼(170)을 누르면, 버튼(170)과 연결축(172)을 매개로 연결된 버튼 연결판(158)에 누르는 힘이 전달됨으로써, 버튼 연결판(158)과 일체로 된 락 플레이트(150)가 측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연이어, 상기 락 플레이트(150)의 경사진 가이드 홀(152)에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140)의 가이드 핀(142)이 삽입된 상태이므로, 상기 락 플레이트(150)가 측방향으로 밀리는 동시에 가이드 핀(142)의 안내에 의하여 후방향(차체 앞쪽방향)으로 당겨지게 되어, 도 11 및 도 13에서 보듯이 락 플레이트(150)의 락킹단(154)이 상기 리어 플레이트(110)의 락킹홈(112)으로부터 빠져나오는 락킹 해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140)의 가이드 핀(142)이 상기 락 플레이트(150)의 경사진 가이드 홀(152)의 앞쪽 구간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락 플레이트(150)가 후방향(차체 앞쪽방향)으로 당겨지게 됨에 따라, 상기 스프링(156)의 지지다리부(156-2)가 상기 프론트 커버(130)의 배면부에 밀착되며 압축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버튼(170)을 누른 상태에서 상기 락 플레이트(150)의 락킹단(154)이 상기 리어 플레이트(110)의 락킹홈(112)으로부터 빠져나온 락킹 해제 상태가 됨으로써, 프론트 플레이트(120)를 비롯하여 프론트 커버(130) 및 프론트 패드(160)가 상하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120)의 슬라이드 홈(126)에 상기 리어 플레이트(110)의 슬라이드 돌기(116)가 체결된 상태이므로,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120)를 비롯하여 프론트 플레이트(120)와 장착된 프론트 커버(130), 그리고 프론트 커버(130)에 커버링된 프론트 패드(160)가 원하는 높이로 승강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드(160)가 승객이 원하는 높이로 승강 조절된 후, 상기 버튼(170)의 누름을 해제하면 상기 스프링(156)의 지지다리부(156-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락 플레이트(150)의 락킹단(154)이 다시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120)의 출입홀(122)을 통과하여 상기 리어 플레이트(110)의 락킹홈(112) 중 하나에 락킹 가능하게 삽입됨으로써, 프론트 패드(160)가 승객이 원하는 높이에서 고정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의 체형 및 취향에 따라 프론트 패드(160)를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승객의 체형에 관계없이 승객의 머리 및 목 부분을 프론트 패드(160)에 편안하게 지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를 시트백에 고정되는 리어 파트와, 리어 파트에 승강 가능하게 조립되는 프론트 파트 등 2개의 파트로 분할 구성하여, 승객의 체형 및 취향에 따라 프론트 파트를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승객의 체형에 관계없이 승객의 머리 및 목 부분을 프론트 파트에 편안하게 지지시킬 수 있다.
10 : 헤드레스트 20 : 스테이
30 : 시트백 40 : 목 받침대
100 : 리어 커버 101 : 제1장착홈
110 : 리어 플레이트 112 : 락킹홈
114 : 걸림턱 116 : 슬라이드 돌기
118 : 제1장착홀 119 : 스크류
120 : 프론트 플레이트 122 : 출입홀
123 : 스크류 124 : 제2장착홈
126 : 슬라이드 홈 130 : 프론트 커버
132 : 제2장착홀 134 : 락킹홀
136 : 가이드홈 140 : 인서트 플레이트
142 : 가이드 핀 144 : 탄성 락킹다리
146 : 가이드돌기 150 : 락 플레이트
152 : 가이드 홀 154 : 락킹단
156 : 스프링 156-1 : 코일부
156-2 : 지지다리부 158 : 버튼 연결판
160 : 프론트 패드 170 : 버튼
172 : 연결축 174 : 버튼 베젤

Claims (12)

  1. 시트백 내에 삽입 체결되는 스테이가 장착된 리어 커버;
    전면부에 다단의 락킹홈이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리어 커버의 전면부에 장착되는 리어 플레이트;
    출입홀이 관통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리어 플레이트에 승강 가능하게 체결되는 프론트 플레이트;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의 전면부에 체결되어 프론트 패드의 골격을 이루는 프론트 커버;
    두 개 이상의 가이드 핀이 돌출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프론트 커버의 배면부에 장착되는 인서트 플레이트;
    중앙부에 상기 가이드 핀이 삽입되는 두 개 이상의 가이드 홀이 전후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상기 출입홀을 통과하여 상기 락킹홈에 락킹 가능하게 삽입되는 락킹단이 형성되며, 전단부에는 상기 프론트 커버의 배면부에 탄성 지지되는 스프링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에 적층되는 락 플레이트;
    상기 프론트 커버의 전면부에 장착되는 프론트 패드; 및
    상기 프론트 커버의 일측면에 누름 가능하게 관통 장착되어, 상기 락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버튼;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레이트의 전면부에서 상부 및 하부 위치에는 락 플레이트의 승강 거리를 제한하기 위하여 락 플레이트의 락킹단이 걸리게 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레이트의 전면부에서 양측 위치에는 슬라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의 후면부에서 양측 위치에는 상기 슬라이드 돌기와 상하 이송 가능하게 체결되는 슬라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레이트의 테두리 부분에는 스크류 삽입을 위한 제1장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리어 커버에는 상기 제1장착홀을 통하여 삽입된 스크류가 체결되는 제1장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의 테두리 부분에는 스크류 삽입을 위한 제2장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의 전면부에는 상기 제2장착홀을 통하여 삽입된 스크류가 체결되는 제2장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핀은 인서트 플레이트의 저면 중앙 영역에 하방향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상기 락 플레이트의 가이드 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의 양측부에는 탄성 락킹다리가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커버의 배면 양측부에는 상기 탄성 락킹다리가 삽입 체결되는 락킹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의 상하면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커버의 배면부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락 플레이트의 일측부에는 상기 버튼과 연결축을 매개로 연결되는 수평판 형태의 버튼 연결판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락 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되는 코일부와, 이 코일부로부터 자유단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프론트 커버의 배면부에 탄성 지지되는 지지다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패드의 일측면에는 버튼을 누름 가능하게 수용하는 버튼 베젤이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 장치.
  12. 시트백 내에 삽입 체결되는 스테이가 장착된 리어 커버;
    전면부에 다단의 락킹홈이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리어 커버의 전면부에 장착되는 리어 플레이트;
    출입홀이 관통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리어 플레이트에 승강 가능하게 체결되는 프론트 플레이트;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의 전면부에 체결되어 프론트 패드의 골격을 이루는 프론트 커버;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핀이 돌출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프론트 커버의 배면부에 장착되는 인서트 플레이트;
    중앙부에 상기 가이드 핀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홀이 전후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상기 출입홀을 통과하여 상기 락킹홈에 락킹 가능하게 삽입되는 락킹단이 형성되며, 전단부에는 탄성 지지되는 스프링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에 적층되는 락 플레이트; 및
    상기 프론트 커버의 일측면에 누름 가능하게 관통 장착되어, 상기 락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버튼;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 장치.
KR1020200100249A 2020-08-11 2020-08-11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 장치 KR2022001993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249A KR20220019938A (ko) 2020-08-11 2020-08-11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 장치
US17/142,126 US11364830B2 (en) 2020-08-11 2021-01-05 Apparatus for adjusting height of headrest for mot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249A KR20220019938A (ko) 2020-08-11 2020-08-11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9938A true KR20220019938A (ko) 2022-02-18

Family

ID=80223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249A KR20220019938A (ko) 2020-08-11 2020-08-11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364830B2 (ko)
KR (1) KR20220019938A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6341A (en) * 1978-08-19 1981-03-17 Recaro Gmbh & Co. Head support for vehicle seats
US6464294B1 (en) * 2001-06-08 2002-10-15 Cosco Management, Inc. Headrest for juvenile vehicle seat
WO2007055201A1 (ja) * 2005-11-14 2007-05-18 Okamura Corporation 椅子のヘッドレスト装置
KR100811005B1 (ko) * 2006-08-29 2008-03-07 최은혁 자동차용 슬라이드형 헤드레스트
KR101103560B1 (ko) * 2009-09-10 2012-01-11 (주)제일씨텍 각도 조절이 가능한 헤드레스트 장치
DE102010044932B4 (de) * 2010-09-10 2022-12-22 Grammer Aktiengesellschaft Kopfstütze für Fahrzeugsitze
US10238215B2 (en) * 2012-09-20 2019-03-26 Steelcase Inc. Seating arrangement with headrest assembly
US10829019B2 (en) * 2016-12-28 2020-11-10 Faurecia Automotive Seating, Llc Headrest for a vehicle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48420A1 (en) 2022-02-17
US11364830B2 (en) 202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7547B1 (ko) 차일드 시트
US6045184A (en) Child seat
US7429079B2 (en) Child's booster seat
KR200357471Y1 (ko) 자동차용 시트로킹장치의 로크가이드
US10052989B2 (en) Headrest device
US10377285B2 (en) Headrest assembly for vehicle seat and vehicle seat comprising such an assembly
KR101560986B1 (ko) 차량용 시트
EP0931691A1 (en) Child seat
JP5508790B2 (ja) 自動車のチャイルドシート用の安全装置
KR20220019938A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 장치
KR101837428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1301070B1 (ko) 자동차 시트 헤드레스트의 무단 높이 조절 장치
WO2018076230A1 (en) Headrest assembly
KR101547275B1 (ko) 의자용 팔걸이
KR102390126B1 (ko) 의자용 요추지지장치와 이를 구비한 의자
US10786935B2 (en) Headrest assembly for vehicle seat and vehicle seat comprising such an assembly
CN112638705A (zh) 具有带锁扣槽的车辆座椅,尤其是后排长椅
KR102446337B1 (ko)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
US11192482B2 (en) Headrest assembly including locking arrangement reducing BSR
KR102446336B1 (ko) 자동차용 시트레일 락킹 장치
KR870000683Y1 (ko) 승용차용 의자
KR0114457Y1 (ko) 팔걸이가 장착된 시트
KR0138786Y1 (ko) 차량용 시트의 헤드 레스트 고정장치
KR100229383B1 (ko) 자동차 시트벨트의 버클조립구조
KR100324948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