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6791B1 - 길이방향 조정가능 차량 시트 - Google Patents

길이방향 조정가능 차량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6791B1
KR101576791B1 KR1020147012706A KR20147012706A KR101576791B1 KR 101576791 B1 KR101576791 B1 KR 101576791B1 KR 1020147012706 A KR1020147012706 A KR 1020147012706A KR 20147012706 A KR20147012706 A KR 20147012706A KR 101576791 B1 KR101576791 B1 KR 101576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all
vehicle seat
ridge
seat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2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5007A (ko
Inventor
잉고 디크
Original Assignee
존슨 컨트롤즈 컴포넌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컨트롤즈 컴포넌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존슨 컨트롤즈 컴포넌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40075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5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6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6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 B60N2/0705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omega-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 B60N2/0727Stop members for limiting slid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방향 조정가능 차량 시트(1)로서, 구조체에 고정되는 제1 시트 레일(12) 및 상기 제1 시트 레일(12)에서 안내되고 상기 차량 시트(1)에 연결되는 제2 시트 레일(13)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 레일 쌍(10), 볼 홀더(15) 내에 배열되고, 마찰을 줄이기 위해 상기 제1 시트 레일(12)과 제2 시트 레일(13) 사이에 배열되는 볼(14)로서, 상기 제1 시트 레일(12)은 상기 볼(14)이 구를 때 따르게 되는 볼 궤도를 형성하는, 상기 볼, 및 상기 시트 레일 쌍(10)의 이동성을 제한하는 제1 단부 멈춤부 및 제2 단부 멈춤부를 구비하는, 상기 차량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볼 궤도 내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융기부(12")가 제공되고, 적어도 하나의 볼(14) 및 볼 홀더(15)가 상기 융기부(12")를 타고 넘을 수 있다.

Description

길이방향 조정가능 차량 시트{LONGITUDINALLY ADJUSTABLE VEHICLE SEAT}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 서두의 특징들을 갖는 길이방향 조정가능 차량 시트에 관한 것이다.
DE 100 39 510 B4호에는, 하부 레일 및 시트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하부 레일에 대해 변위될 수 있도록 안내되는 상부 레일을 구비하고, 이들 레일이 그들의 프로파일로 서로 맞대어 결합되고, 하부 레일과 상부 레일 사이의 상호작용 영역에 배열되는 볼 및 하부 레일과 상부 레일을 로킹시키기 위한 로킹 장치를 구비하는, 길이방향 조정가능 차량 시트용 시트 레일 쌍이 개시되어 있다. 당해 문헌에서, 하부 레일과 상부 레일의 프로파일은 수직선 및 시트 레일의 길이 방향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대해 상기 상호작용 영역에서 대칭을 이룬다. 상기 볼은 볼 궤도와 접촉하며, 각 경우에 볼 궤도는 상부 레일의 경사 영역에 형성되고, 동일한 크기의 각도로 수평방향에 대해 경사진다.
DE 10 2006 032 328 A1호에는, 전방 위치와 후방 위치 사이에서 길이 방향으로 활주 레일 상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고, 사용자의 언로킹 작동 후에 활주 레일을 언로킹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리칭-인(reaching-in) 부분을 갖는 시트, 및 시트면이 전방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경우, 시트면에 미리 정해진 값보다 큰 후방 지향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시트의 시트면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hold back)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DE 203 08 465 U1호에는,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용 시트 레일로서, 상기 시트 레일이 길이방향 조정기의 일부로서 구성되고 후방 단부의 영역에 제2 시트 레일용 단부 멈춤부를 구비하고, 시트 레일의 벽 내 후방 단부와 단부 멈춤부 사이에 비드가 제공되는 시트 레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DE 10 2008 056 969 B3호에는, 차량 시트용 길이방향 조정기가 개시되어 있다. 당해 문헌에서, 구조체에 고정되는 제1 시트 레일, 상기 제1 시트 레일에서 안내되고 차량 시트에 연결되는 제2 시트 레일, 제1 단부 멈춤부, 제2 단부 멈춤부, 및 제2 시트 레일에 대해 제1 시트 레일의 위치를 해제 가능하게 로킹하기 위한 해제가능 로킹 장치를 구비하는 길이방향 조정가능 차량 시트용 시트 레일 쌍에 있어서, 제1 단부 멈춤부와 상호작용하는 제1 멈춤면 및 제2 단부 멈춤부와 상호작용하는 제2 멈춤면이 제1 시트 레일에 대해 제2 시트 레일의 변위 이동을 제한한다. 또한, 작동 장치를 통해 작동될 수 있는 제3 단부 멈춤부가 제공되며, 제3 단부 멈춤부는 제1 멈춤면과의 상호작용으로 제3 단부 위치를 제한하고, 제1 시트 레일에 대한 제2 시트 레일의 상기 제3 단부 위치는 상기 제1 단부 위치와 상기 제2 단부 위치 사이에 배열된다. 상기 제3 분리가능 단부 멈춤부는 바람직하게는 정상 사용에 대해 후방 단부 멈춤부이며, 그 결과 필요한 경우 상기 변위 이동이 후방으로 갈수록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헌의 도 19는 각 경우에 있어 볼 홀더와 상호작용하는 중간 영역의 압입(pressed-in) 부분 및 2개의 평행 노치에 의해 형성되는 단부 멈춤부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서두에서 언급한 유형의 길이방향 조정가능 차량 시트의 개선이라고 하는 목적에 기초하고 있다. 특히, 안락함이 증가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을 갖는 차량 시트에 의해 달성된다. 유리한 개선예들이 하위 청구항들의 청구 대상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따라, 특히 바람직하게는 외측으로부터의 압입 부분에 의해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융기부가 시트 레일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고, 융기부는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볼 궤도 내로 아치 모양으로 돌출하며, 볼 또는 볼들 및 볼 홀더가 융기부를 타고 넘을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비절삭 가공에 의해 생성되는 융기부의 제공은 상기 융기부의 생성을 신속하고 간단하게 하며, 외측으로부터의 압입은 시트 레일의 소성 변형하에서 발생하고, 그 결과 시트 레일의 상기 영역은 특히 융기부가 시트 레일의 라운드형 코너 영역에 제공되는 경우에, 용이하게 접근 가능하다. 또한, 성형에 의해 생성되는 시트 레일의 경우에, (반복적인) 소성 변형은 이미 소성 변형된 영역에서 발생하는 것이 유리하다.
융기부에 더해, 적어도 하나의 단부 멈춤부가 추가적인 압입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그 결과 통상의 공구, 특히 반구형 단부를 갖는 램이 압입 부분 모두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차랑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용이-진입 기능을 가지며, 융기부는 적어도 최전방 볼, 적어도 최전방 볼이 융기부를 지난 경우에 적어도 최전방 볼, 및 이에 따라 차량 시트가 볼 홀더 및 제2 시트 레일을 통해 용이-진입 위치에 유지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여기서 융기부 및 전방 단부 멈춤부에 의해 제한되는 변위가능성이 제공될 수 있다. 융기부를 타고 넘기 위해서는 사용자에 의해 인가되어야 할 소정의 힘이 필요하다는 사실에 의해, 사용자는 차량 시트가 올바른 위치에 배열되어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차량 시트는 특히 적어도 최전방 볼이 융기부를 지난 경우에, 전방 단부 멈춤부와 융기부 사이의 제한된 영역에서 변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며, 그 결과 차량 시트를 뒤로 젖히는 것이 간단하게 된다.
융기부는 차량 시트가 전방 단부 멈춤부와 융기부 사이에서 볼의 최대 5개의 볼 직경 영역에서 변위될 수 있는 방식으로 레일에 배열된다.
특히, 융기부는 차량 시트가 전방 단부 멈춤부와 융기부 사이에서 볼의 적어도 1개, 특히 적어도 2개의 볼 직경 영역에서 변위될 수 있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융기부는 바람직하게는 시트 레일의 라운드형 코너 영역에 배열된다.
융기부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시트 레일의 측면과 바닥부 사이의 이등분선의 방향으로 배열된다.
적어도 하나의 볼이 타고 넘을 수 있는 융기부는 바람직하게는, 볼의 볼 직경의 최대 1/4의 높이를 갖는다.
홀더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사면(bevel)을 가지며, 융기부와 접촉한 상태로 용이하게 이동하게 되며, 상기 융기부를 타고 이동할 때, 홀더의 약한 순수 탄성 변형이 발생한다.
볼 홀더의 최대 조정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각 경우에 있어서 고정 단부 멈춤부에 의해 전방 및 후방에 대한 한계가 정해지며, 단부 멈춤부들 중 적어도 하나, 특히 전방 단부 멈춤부는 보다 큰 융기부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융기부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압입에 의해 생성된다.
단부 멈춤부를 형성하는 융기부는 바람직하게는, 볼/볼들의 볼 직경의 적어도 1/3의 높이를 가지며, 단부 멈춤부로서의 기능으로, 볼 홀더와 접촉하게 되고, 특히 최외측 볼과는 접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형의 차량 시트는 예를 들어, 승용차 또는 상용차에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반드시 운전자용 시트일 필요는 없다. 이러한 유형의 차량 시트는 예를 들어, 밴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전열 시트에 제공되지만, 중간 또는 후열 시트에도 제공될 수 있다.
이하의 문장에서, 본 발명은 부분적으로는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사용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제1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길이방향 조정가능 차량 시트용 시트 레일 쌍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시트 레일 쌍의 다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로부터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시트 레일 쌍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섹션을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시트 레일 쌍에 대한 단면을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레일 쌍을 갖는 차량 시트의 도식적 예시를 도시한다.
본 경우에 있어서, 3-도어 자동차용 길이방향 조정가능 차량 시트(1)는 시트면(2), 그 경사가 공지된 방식으로 피팅을 통해 조정될 수 있도록 시트면에 연결되는 등받이(3), 및 시트면(2)의 경사 및 높이 조정성을 위해 시트면(2) 아래에 배열되는 가위-형태 프레임(4)을 구비하며, 하나의 대안예로서 시트면(2)의 경사 및 높이 조정성이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 시트(1)는 2개의 시트 레일 쌍(10)을 통해 차량 구조체(11)에 연결되고, 각 경우에 있어서 2개의 시트 레일 쌍(10)은 서로 대응하도록 구성되며, 그 결과 이하의 문장에서는 하나의 시트 레일 쌍(10)만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차량 시트(1)는 길이방향 조정기용 작동 요소로서 후프(5)를 갖는 길이방향 조정기를 구비하고, 시트 레일 쌍(10)을 로킹하는 로킹 장치(6)가 후프(5)를 통해 언로킹되는 것이 가능하며, 그 결과 차량 시트(1)가 안락한 조정 영역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상기 후프(5)는 로킹 장치(6)를 작동시키기 위해 차량 시트(1)의 바닥부 상에 제공된다. 후프(5)를 통해 도입되는 토크는 (보다 상세하게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횡방향 로드를 통해 시트 레일 쌍(10) 둘 모두에 제공되는 로킹 장치(6)에 동시에 전달된다.
또한, 차량 시트(1)는 용이-진입 기능을 갖는다. 진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등받이(3)는 언로킹될 수 있고, 등받이 측 상에 배열되는 손잡이(8)의 작동에 의해 전방으로 선회될 수 있으며, 로킹 장치(6)는 또한, 본 경우에 등받이(3)의 선회 전방에 대해 다소 시간-지연 방식으로 언로킹되며, 그 결과 본 경우에 있어 차량 시트(1)가 안락한 조정 영역을 지나 전방으로 변위될 수 있다. 여기서, 등받이(3)의 손잡이(8)의 작동 및 관련 선회 전방에 의해 촉발될 때, 차량 시트(1)의 피팅을 언로킹하는 브레이크 케이블(보다 상세하게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이 작동된다. 등받이(3)의 선회 이동의 결과로서, 시트의 양측에 제공되는 2개의 추가 브레이크 케이블이 작동된다. 거울-대칭 설계에 의해, 이하의 문장에서는 하나의 시트 측만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공지된 방식으로 구성되는 과잉 이동 방지 수단을 갖는 브레이크 케이블은 등받이(3)가 전방으로 선회될 때 해제되는 로킹 장치(6)에 연결된다.
또한, 분리가능 단부 멈춤부의 작동은 원칙적으로 DE 10 2008 056 969 B3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 케이블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어떠한 분리가능 단부 멈춤부도 제공되지 않는다.
본 경우에, 시트 레일 쌍(10)은 서로 대응하도록 구성되며, 그 결과 이하의 문장에서 시트 레일 쌍(10)들 중 하나만이 설명될 것이다. 시트 레일 쌍(10)은, 바닥부에 배열되고 차량 구조체(11)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본 경우에 차량 구조체와의 사이에 2개의 어댑터가 위치되는 제1 시트 레일(12), 및 시트 하위구조체, 즉 본 경우에 가위-형태 프레임(4)에 연결되는 제2 시트 레일(13)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1 시트 레일(12)은, 차량 구조체(11)에 맞닿고 부착용 개구가 제공되는 바닥부(12a), 및 내측으로 180°만큼 만곡되는 에지 영역(12c)을 구비하는 2개의 상향 만곡 측면(12b)으로 구성된다. 제2 시트 레일(13)은 제1 시트 레일(12) 내측에 배열되고, 상기 제2 시트 레일(13)은 가위-형태 프레임(4)에의 연결을 위해 상단에 배열되는 평탄 영역(13a), 2개의 하향 만곡 측면(13b), 및 외측으로 만곡되고 제1 시트 레일(12)의 에지 영역(12c)과 측면(12b) 사이에 배열되며 그 결과 제1 시트 레일(12)이 제2 시트 레일(13) 주위에 이르게 되는 에지 영역(13c)을 구비한다. 2개의 시트 레일(12 및 13) 사이의 마찰을 낮게 유지하기 위해, 복수의 볼(14)이 외측으로 만곡된 에지 영역의 양 측 위 및 아래에, 즉 각 경우에 볼 케이지 또는 홀더(15)의 삽입 시 시트 레일의 중간 공간의 측면 영역에 배열된다. 본 경우에, 2개의 볼(14)이 바닥부 전방에 제공되고, 3개의 볼(14)이 바닥부 후방에 제공된다. 다소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3개의 볼(14)이 상단 전방에 제공되는 반면, 다소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단 2개의 볼(14)이 상단 후방에 제공된다. 그러나, 볼(14)의 수는 변동될 수 있으며,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바닥부 전방에 2개의 볼(14)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시트 레일(13)은 단부 멈춤부들에 의해 제한되는 단부 위치들 사이에서 차량 시트(1)의 정상 사용에 대한 조정 영역 내에서 변위될 수 있으며, 원칙적으로 DE 10 2008 056 683 A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상기 로킹 장치(6), 또는 대안예로서 예를 들어, EP 1 389 557 B1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로킹 장치의 도움으로 차량 시트(1)의 다양한 시트 길이방향 위치에 해제 가능하게 로킹될 수 있다. 조정 영역을 제한하기 위한 단부 멈춤부가 제공된다. 전방 단부 멈춤부(12')는 이하의 문장에서 단부 멈춤 융기부로 불리는 압입 부분에 의해 형성되며, 이는 제1 시트 레일(12)의 시트 레일 내측면 상에서, 제2 시트 레일(13)이 최전방 위치(도 4 참조)에 위치되는 경우, 하부 볼(14)의 볼 홀더(15)의 전방 단부가 접촉하게 되는 범위로 라운드형 코너 영역으로 연장되는 하부 볼(14)의 볼 궤도 내로 돌출하는 융기부를 형성한다. 단부 멈춤 융기부는 대략 볼 직경의 1/3 내지 1/2의 높이로 볼 궤도 내로 돌출한다. 후방 단부 멈춤부는 대응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예로서, 단부 멈춤부는 또한, DE 10 2008 056 969 B3호에 개시되어 있는 단부 멈춤부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각 경우에, 하나의 보다 작은 아치형 융기부(12")가 구동 방향의 역방향으로 하부 볼 궤도에 제공되어, 단부 멈춤 융기부로부터 다소 이격되어 배열되며, 본 경우에 있어 보다 작은 융기부(12")는 제1 시트 레일(12)의 바닥부(12a)와 측면(12b) 사이의 라운드형 코너 영역에 바로 배열되고, 볼 궤도에 대해 45° 각도로 배향된다. 본 경우에, 보다 작은 융기부(12")의 높이는 볼 직경의 대략 1/5이다. 대체로, 보다 작은 융기부(12")의 높이는 볼/볼들(14)을 포함하는 볼 홀더(15)가 보다 작은 융기부(12")를 타고 이동될 수 있음을 보장할 수 있도록, 볼 직경의 최대 1/4이다.
융기부(12")는, 본 경우에, 대략 반구형 헤드를 갖고 상당한 힘으로 외측으로부터 시트 레일(12) 상에 가압되며, 그 결과 시트 레일(12)의 소성 변형이 일어나고 내측벽 또한 라운드형 코너 영역에서 내측으로 가압되어, 볼 궤도 내로 돌출하는, 즉 직선 연장면을 아치부로 가로막는 아치형 융기부를 생성하는 램에 의해 생성된다.
길이방향 조정기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후방열로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등받이(3)가 언로킹되고 손잡이(8)에 의해 전방으로 선회되는 경우, 로킹 장치(6) 또한 (본 경우에는 등받이(3)의 선회 전방에 대해 다소 시간-지연 방식으로) 언로킹되며, 그 결과 차량 시트(1)가 전방으로 변위될 수 있다. 볼(14)의 최전방이 보다 작은 융기부(12")에 도달할 때, 차량 시트(1)를 전방으로 더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약간의 저항이 극복되어야 한다. 이는 후속하여 제2 볼(14)이 보다 작은 융기부(12")에 도달할 때 대응적으로 적용된다. 본 경우에, 단부 멈춤 융기부로부터 보다 작은 융기부(12")의 이격은 2개의 볼(14)의 간격보다 다소 크며, 그 결과 최전방 위치에서 차량 시트(1)에 대한 약간의 유극이 제공되어, 결과적으로 후방으로의 가압이 용이하게 된다.
볼 홀더(15)의 적합한 탄성 구성의 경우에, 상기 볼 홀더(15)의 탄성 변형이 일어난 상태에서 보다 작은 융기부(12")와 볼 홀더(15)의 소정의 접촉은 또한, 보다 작은 융기부(12")의 기능을 저해함이 없이 제공될 수 있다. 본 경우에, 볼 홀더(15)는 보다 작은 융기부(12") 위를 보다 용이하게 지나도록, 전방 단부에 사면(15')을 갖지만, 상기 볼 홀더(15)는 최전방 볼(14)이 단부 멈춤부(12')(도 4 참조)와 접촉하지 않고서, 전방 단부 멈춤부(12')에 직접 맞닿게 된다.
본 경우에서, 바닥부 전방에서 2개의 볼(14)만이 볼 홀더(15)에 제공되는 반면, 3개의 볼(14)이 상단에 제공되지만, 볼(14)의 개수는 변동될 수 있으며, 특히 단지 하나의 볼 또는 3개의 볼 그리고 선택적으로는 더 많은 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예시적 실시예의 일 변형예(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따르면, 전방 단부 멈춤부 및 보다 작은 융기부는 서로 현저히 더 근접하여, 즉 볼 홀더가 전방 단부 멈춤부와 접촉하고 차량 시트의 전방 이동을 멈추기 전에 제1 볼만이 보다 작은 융기부 위를 지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개선예는 또한, 차량 시트의 제한 단부 위치가 용이-진입 위치에 대해 가능하게 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제2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보다 작은 융기부가 조정 영역의 후방 단부 영역 상에 제공되고, 차량 시트가 후방 위치, 예를 들어 어린이용 시트 또는 유아용 캐리어가 시트에 부착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하는 역할을 한다. 본 경우에, 보다 작은 융기부는 후방 볼 홀더의 후방 볼과 상호작용한다. 보다 작은 융기부의 설계는 전술한 설계에 대응한다.
또한, 차량 시트의 조정 영역에 걸쳐 동등하게 분포되는 방식으로 또는 임의의 다른 원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중간 위치를 알려주는 복수의 보다 작은 융기부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추가적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시트 레일 쌍은 제1 예시적 실시예의 배열에 대해 길이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90°만큼 회전되어 배열되며, 즉 제1 시트 레일이 예를 들어, 차량 구조체의 수직 연장 벽에 부착되는 반면, 제2 시트 레일은 내측으로부터 (또는 선택적으로, 또한 외측으로부터) 가위-형태 프레임 (또는 선택적으로, 또한 다른 시트 하위구조체)에 부착된다. 이러한 측면 구성에서, 보다 작은 융기부는 바람직하게는 제1 시트 레일의 하부 측면의 2개의 라운드형 코너 영역 상에 형성된다.
1 차량 시트
2 시트면
3 등받이
4 가위-형태 프레임
5 후프 (로킹 장치)
6 로킹 장치
8 손잡이
10 시트 레일 쌍
11 차량 구조체
12 제1 시트 레일
12' 전방 단부 멈춤부
12" (보다 작은) 융기부
12a 바닥부
12b 측면
12c 에지 영역
13 제2 시트 레일
13a 평탄 영역
13b 측면
13c 에지 영역
14 볼
15 볼 홀더
15' 사면

Claims (10)

  1. 구조체에 고정되는 제1 시트 레일(12) 및 상기 제1 시트 레일(12)에서 안내되고 차량 시트(1)에 연결되는 제2 시트 레일(13)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시트 레일 쌍(10),
    볼 홀더(15) 내에 배열되고, 마찰을 줄이기 위해 상기 제1 시트 레일(12)과 제2 시트 레일(13) 사이에 배열되는 볼(14)로서, 상기 제1 시트 레일(12)은 상기 볼(14)이 구를 때 따르게 되는 볼 궤도(raceway)를 형성하는, 볼(14),
    상기 시트 레일 쌍(10)의 이동성을 제한하는 전방 단부 멈춤부(12') 및 후방 단부 멈춤부를 구비하는, 길이방향 조정가능 차량 시트(1)로서,
    상기 볼 궤도 내로 돌출하는(protrude) 하나 이상의 융기부(elevation,12")가 제공되고, 하나 이상의 볼(14) 및 볼 홀더(15)가 상기 융기부(12")를 타고 넘는 것이 가능하며,
    적어도 최전방 볼(14)이 상기 융기부(12")를 지난 경우, 차량 시트(1)는 상기 전방 단부 멈춤부(12')와 상기 융기부(12") 사이의 제한 영역에서 변위(displace)될 수 있는,
    길이방향 조정가능 차량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12")는 외측으로부터의 압입 부분(pressed-in portion)으로 인한 상기 시트 레일(12)의 소성 변형(plastic deformation)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방향 조정가능 차량 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시트는 용이-진입 기능(easy-entry function)을 가지며, 상기 융기부(12")는 적어도 최전방 볼(14)이 상기 융기부(12")를 지날 수 있는 방식으로 배열되고, 그 결과 차량 시트(1)가 용이-진입 위치에 유지되는(held)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방향 조정가능 차량 시트.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12")는 상기 제1 시트 레일(12)의 라운드형 코너 영역(rounded corner region)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방향 조정가능 차량 시트.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12")는 시트 레일(12)의 바닥부(12a)와 측면(12b) 사이의 이등분선의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방향 조정가능 차량 시트.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12")는 볼/볼들(14)의 볼 직경의 최대 1/4의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방향 조정가능 차량 시트.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부 멈춤부(12')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융기부가 제공되고, 상기 융기부는 볼/볼들(14)의 볼 직경의 적어도 1/3의 높이를 가지며, 단부 멈춤부(12')로서의 기능으로, 상기 볼 홀더(15)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방향 조정가능 차량 시트.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시트는 용이-진입 기능을 가지며, 상기 융기부(12")는 상기 차량 시트(1)가 전방 단부 멈춤부(12')와 융기부(12") 사이에서 상기 볼(14)의 최대 5개의 볼 직경 영역에서 변위될 수 있는 방식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방향 조정가능 차량 시트.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 홀더(15)는 사면(bevel,15')을 가지며, 상기 융기부(12")와 접촉한 상태로 용이하게 이동하게 되고, 상기 융기부(12")를 타고 이동할 때 상기 볼 홀더(15)의 탄성 변형(elastic deformation)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방향 조정가능 차량 시트.


KR1020147012706A 2011-10-12 2012-08-23 길이방향 조정가능 차량 시트 KR1015767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1110115948 DE102011115948B3 (de) 2011-10-12 2011-10-12 Längseinstellbarer Fahrzeugsitz
DE102011115948.0 2011-10-12
PCT/EP2012/066439 WO2013053526A1 (de) 2011-10-12 2012-08-23 Längseinstellbarer fahrzeugsitz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5007A KR20140075007A (ko) 2014-06-18
KR101576791B1 true KR101576791B1 (ko) 2015-12-11

Family

ID=46724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2706A KR101576791B1 (ko) 2011-10-12 2012-08-23 길이방향 조정가능 차량 시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126506B2 (ko)
EP (1) EP2766217B1 (ko)
JP (1) JP5982491B2 (ko)
KR (1) KR101576791B1 (ko)
CN (1) CN103874602B (ko)
DE (1) DE102011115948B3 (ko)
WO (1) WO20130535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14970B4 (de) 2015-09-07 2020-07-16 Faurecia Autositze Gmbh Schienensystem für einen Fahrzeugsitz und Fahrzeugsitz
DE102015226266B4 (de) 2015-12-21 2019-07-11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Lagerkäfig und Sitzschienenpaar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016208364B4 (de) 2016-05-17 2021-11-18 Lear Corporation Sitzschienenanordn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itzschienenanordnung
DE102016217945B3 (de) * 2016-08-08 2017-10-19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r.l. Schienensystem für einen Fahrzeugsitz und Gleitblock für das Schienensystem
DE102016225839B4 (de) * 2016-09-21 2021-05-06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Sitzschienenpaar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016225822A1 (de) * 2016-09-21 2018-03-22 Adient Luxembourg Holding S.a.r.l. Sitzschienenpaar für einen Fahrzeugsitz
CN109552209B (zh) * 2019-01-02 2020-05-05 延锋安道拓座椅有限公司 滑轨内线束快速装配和保护机构
IT201900000313A1 (it) * 2019-01-09 2020-07-09 Martur Italy Srl Dispositivo di scorrimento per un sedile di veicolo con una configurazione migliorata delle rotaie
JP7387137B2 (ja) * 2019-07-31 2023-11-28 デルタ工業株式会社 シートスライドアジャス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8117A (ja) * 2006-05-22 2007-11-29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シート
JP2008179265A (ja) * 2007-01-25 2008-08-07 Fuji Kiko Co Ltd 車両のシートスライ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7249U (ja) 1981-09-24 1983-03-30 日本アキユライド株式会社 抽斗等のレ−ルのはね返り防止装置
JPS60115732U (ja) 1984-01-14 1985-08-05 日産車体株式会社 折り畳み格納式シ−ト
JPS60191235U (ja) * 1984-05-30 1985-12-18 日本アキユライド株式会社 抽斗等のレ−ルのはね返り防止装置
JPH0230990Y2 (ko) 1985-02-19 1990-08-21
US4588234A (en) * 1985-03-08 1986-05-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Bearing assembly for seat slide structures
JPS6343953U (ko) * 1986-09-09 1988-03-24
JPH0545233Y2 (ko) 1987-09-10 1993-11-18
JP2984177B2 (ja) * 1994-02-02 1999-11-29 日野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運転席の後退装置
FR2755653B1 (fr) * 1996-11-14 1999-01-08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Glissiere pour siege de vehicule, et siege equipe d'une telle glissiere
DE69832435T2 (de) 1997-05-13 2006-08-17 Delta Kogyo Co. Ltd. Fahrzeugsitzverstellschienen
DE10039510B4 (de) * 2000-08-12 2004-07-29 Keiper Gmbh & Co. Kg Sitzschienenpaar für einen Fahrzeugsitz
DE20308465U1 (de) * 2002-06-21 2003-08-28 Keiper Gmbh & Co Kg Sitzschiene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36067B4 (de) 2002-08-07 2006-03-30 Keiper Gmbh & Co.Kg Längseinsteller für einen Fahrzeugsitz
KR100512888B1 (ko) * 2003-04-17 2005-09-07 주식회사 오스템 차량용 시이트이송트랙
FR2888539B1 (fr) * 2005-07-12 2008-11-07 Faurecia Sieges Automobile Siege de vehicule coulissant et glissiere pour un tel siege
JP4355963B2 (ja) * 2007-01-30 2009-11-04 株式会社今仙電機製作所 スライドレール装置
JP5186997B2 (ja) * 2007-11-15 2013-04-24 株式会社今仙電機製作所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09241919A (ja) * 2007-11-15 2009-10-22 Imasen Electric Ind Co Ltd シートスライド装置
CN101249807A (zh) * 2008-04-10 2008-08-27 邹耀忠 一种汽车座椅用滑轨
DE102008056683B4 (de) 2008-11-07 2012-09-13 Keiper Gmbh & Co. Kg Längseinsteller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008056969B3 (de) * 2008-11-10 2009-10-01 Keiper Gmbh & Co. Kg Schienenpaar für einen längseinstellbaren Fahrzeugsitz
JP4947123B2 (ja) * 2009-11-04 2012-06-0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スライド装置
JP5545835B2 (ja) * 2010-04-28 2014-07-09 シロキ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JP2011245956A (ja) * 2010-05-26 2011-12-08 Imasen Electric Ind Co Ltd シートスライド装置
DE102012201274A1 (de) * 2012-01-30 2013-08-01 Lear Corporation Sitzschienenmechanism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8117A (ja) * 2006-05-22 2007-11-29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シート
JP2008179265A (ja) * 2007-01-25 2008-08-07 Fuji Kiko Co Ltd 車両のシートスライ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532008A (ja) 2014-12-04
EP2766217A1 (de) 2014-08-20
WO2013053526A1 (de) 2013-04-18
US20140263921A1 (en) 2014-09-18
CN103874602B (zh) 2016-06-08
JP5982491B2 (ja) 2016-08-31
EP2766217B1 (de) 2015-05-20
CN103874602A (zh) 2014-06-18
DE102011115948B3 (de) 2013-01-24
US9126506B2 (en) 2015-09-08
KR20140075007A (ko) 201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6791B1 (ko) 길이방향 조정가능 차량 시트
JP5694547B2 (ja) 前後調整可能車両座席
US9340125B2 (en) Easy entry adjustable end stop
US7070236B2 (en) Automobile seat
EP2497682B1 (en) Seat slide device for vehicle
CN204736738U (zh) 车辆扶手组件、车辆扶手和用于车门的竖直可操作的扶手
US20070108817A1 (en) Thigh extension system for a vehicle seat
US20100244478A1 (en) Vehicle console with movable armrest
US20150291062A1 (en) Seat slide device for vehicle
US20140203615A1 (en) Head restraint assembly for a vehicle
JP6051288B2 (ja) イージーエントリー機能を備えた車両シート用のロック解除装置とロック解除装置動作方法
CN109715438A (zh) 导轨及车辆座椅
CN109070774A (zh) 可变更位置的幼儿用汽车座椅
US20200207242A1 (en) Rail for vehicle seat and vehicle seat comprising such a rail
US20140284985A1 (en) Height- and/or inclination-adjustable head restraint for a vehicle seat
US10640016B2 (en) Seat adjuster for vehicle seat
KR20140007474A (ko) 메모리 장치를 갖춘 길이방향으로 조절가능한 차량 시트
WO2014192422A1 (ja) 車両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JP6466095B2 (ja) 車両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US8162401B2 (en) Bracket system adapted for use in a raising and lowering mechanism of an adjustable headrest of a vehicle seat
KR101586946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CN215042281U (zh) 一种儿童座椅头托调节结构
US20170291509A1 (en) Passenger support
JPH09249055A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17217958A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