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4362B1 - 자외선에 의해서 유발된 피부 색소침착을 차단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외선에 의해서 유발된 피부 색소침착을 차단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4362B1
KR101574362B1 KR1020107016011A KR20107016011A KR101574362B1 KR 101574362 B1 KR101574362 B1 KR 101574362B1 KR 1020107016011 A KR1020107016011 A KR 1020107016011A KR 20107016011 A KR20107016011 A KR 20107016011A KR 101574362 B1 KR101574362 B1 KR 101574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uvb
derivatives
uva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6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5707A (ko
Inventor
장-노엘 또렐
Original Assignee
장-노엘 또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노엘 또렐 filed Critical 장-노엘 또렐
Publication of KR20100105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5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3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소용 화장료 조성물(topical cosmetic composition)에 관한 것으로서,
화장료 담체(cosmetic carrier)내에 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MC-1 수용체상에 α-MSH의 결합을 차단하는 1 이상의 제제,
- ET-1의 합성을 차단하는 1 이상의 제제,
- SCF의 합성을 저해하는 1 이상의 제제,
- 티로시나아제를 저해하는 1 이상의 제제.

Description

자외선에 의해서 유발된 피부 색소침착을 차단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BLOCKING SKIN PIGMENTATION INDUCED BY UV RADIATION}
본 발명은 자외선에 의해서 유발된 피부의 색소침착을 차단하기 위한 국소용 화장료 조성물(topical cosmetic composition)에 관한 것이다. 제1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색소침착 현상을 가능한 많이 제한하기를 원하는 경우 UVA 및 UVB 필터의 부재하에 밝은 색상의 피부에 사용된다. 상기 경우에, 조성물은 특히 아시아인에게 제공하려고 의도하고 있다. 제2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UVA 및 UVB 필터를 부가로 포함하며, 적어도 2개의 표시(indications)를 갖는다. 제1 표시는 태닝방지제(anti-tanning agent)로서 이의 용도이다. 여기서 다시, 주요 시장은 아시아 시장이지만, 북아프리카 및 중동 시장이 또한 관련된다. 제2 표시는 자외선 영향에 의해 과다색소침착 현상(hyperpigmentation phenomena)으로 발전하는 피부에 대한 것이다.
멜라닌은 피부 착색을 초래하는 색소이다. 이들은 두가지 타입의 색소인 페오멜라닌(phaeomelanin)과 유멜라닌(eumelanin)의 가변의 양들을 혼합하여 얻어진다. 유멜라닌[진정 멜라닌(true melanins)]은 검정색 또는 갈색 색소이며, 빛을 완전하게 흡수하여 실제 광보호(photoprotective) 기능을 갖는다. 페오멜라닌(레드 멜라닌)은 보호기능이 적게 제공되는 등황색(orange-yellow) 색소이다. 빨강-머리 사람들의 피부(포토타입 I)와 같은 매우 흰 피부는 주로 페오멜라닌을 포함한다.
멜라닌은 멜라노사이트(melanocyte) 내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의 존재하에 티로신으로부터 제조되며, 이는 표피의 기저층(basal layer)에서 일어난다. 상기는 멜라닌형성(melanogenesis) 과정이다. 멜라닌 합성은 특히 멜라노좀(melanosomes)에서 일어나며, 이는 멜라노사이트의 수상돌기(dendrites) 끝으로 운반되어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s)로 이동한다. 피부 표면의 멜라닌의 존재를 통하여, 가시광선 및 자외선의 일부가 흡수된다.
아시아인은 피부를 가능한 밝게 유지하려는 습관이 있다. 자외선의 영향 받기 전에도, 이들은 피부의 색소침착을 방지하길 원했고, 예를 들면 더 밝은 피부색을 만들기위해서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는 것을 원했다. 특히 히드로퀴논(hydroquinone)에 기초한 많은 조성물은 상기 목적을 위해서 제시되었으며, 히드로퀴논은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저해하여 멜라닌 합성을 중지시킴으로써 멜라닌형성에 직접 작용한다. 상기 분자는 내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과량으로 사용하면 염증을 일으킨다. 또한, 멜라노사이트를 파괴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하얗게 탈색되는 영역이 생긴다. 상기 변화는 비가역적이다. 2001년 1월부터 유럽에서는 히드로퀴논의 화장료 사용을 이의 독성 때문에 제한하였고, 오직 의료 처방(medical prescription)에만 사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인은 하기 직접적 방법뿐만 아니라 간접적 방법에 의해서, 멜라닌형성을 중단하는 물질을 포함함으로써, 종래 생성물과는 다른 신규한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 직접적으로는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저해하여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는 방법,
- 간접적으로는 케라티노사이트에 의한 매개물질(mediators)의 생성을 저해하는 방법(케라티노사이트에 의한 특정 매개물질의 생성은 자외선에 의해 자극되어 멜라닌형성에 역할을 함).
상기 매개물질은 하기와 같다:
첫번째, α-MSH: (알파-멜라노사이트 자극 호르몬), 조사된(irradiated) 케라티노사이트에 의해 생성된 뉴로펩티드 호르몬(neuropeptide hormone)이며, 광-유발 색소침착에 주요 역할을 한다. 멜라노사이트 표면에서 MC-1 수용체에 결합할 때, 멜라노사이트의 증식(proliferation)을 유도하고, 이들의 수상돌기(dendricity)를 강하게 하여,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증가시키고, 유멜라닌의 생성을 유발한다.
두번째, 강한 혈관수축신경(vasoconstrictor) 활성을 가지며 21개의 아미노산 펩티드인 엔도텔린-1(ET-1)이다. 이는 또한 멜라노사이트 수용체(ETA 및 ETB)에 작용하여, 증가된 멜라노사이트 증식 및 수상돌기를 유도하고, 멜라닌형성을 자극한다.
마지막으로, 케라티노사이트에 의해서 생성되고 멜라노사이트 표면에서 이의 c-키트 수용체에 결합하는 줄기세포인자(Stem Cell Factor, SCF)가 있다. SCF 발현은 UV 조사 중에 증가되어, 멜라노사이트 수 및 수상돌기의 증가를 유발하여 멜라닌 형성을 유도한다.
또한, ET-1 및 SCF는 멜라닌형성의 활성에서 상승작용을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출원인이 아는 한, 어느 누구도 티로시나아제 활성의 근본적 저해(직접 작용)와 함께 케라티노사이트 자극을 저해함으로써(간접 작용), 광-유발 색소침착의 문제에 접근하려는 생각을 하지 못했다.
그러므로, 제1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담체(cosmetic carrier)내에 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멜라노사이트 표면에 존재하는 MC-1 수용체에 α-MSH의 결합을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제,
- ET-1의 합성을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제,
- SCF의 합성을 저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제,
-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저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제.
당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적절한 시험을 실시함에 의해 고찰된 작용을 실현하는 가능한 후보물질을 결정하는 방법을 알 것이다. α-MSH에 있어서, 정상 사람의 멜라노사이트 배양액에서 멜라닌 합성의 자극에 있어서, 후보물질 분자의 저해 효과 측정의 문제일 수 있다. ET-1 및 SCF에 있어서, 정상 사람의 케라티노사이트에 의한 ET-1 및 SCF의 분비에 있어서, 후보물질 분자의 저해 효과 측정의 문제일 수 있다. 티로시나아제에 있어서, 근본적인 시험이 예를 들면 세포 없이 시험 튜브에서 실시되었으며: 티로시나아제는 기질이 존재하는 곳에 넣어서, 티로시나아제가 활성화될 때 기질의 색상이 변경된다. 저해 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색상 변화가 전혀(또는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상기 조성물은 특히 색소침착방지제(anti-pigmenting agent)로서 사용된다.
유익한 실시양태에서, MC-1 수용체에 α-MSH의 결합을 차단하는 제제는, 화학 합성에 의해서 수득되는 생체모방(biomimetic)의 헥사펩티드-2 및/또는 노나펩티드-1이며, 이는 α-MSH 수용체에 대해서 친화도(affinity)를 갖는다. 실제로, α-MSH 결합을 차단하는 제제, 특히 상술된 2개의 펩티드는 조성물에 대해 0.00001 중량% 내지 1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1 중량% 내지 0.0004 중량%를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ET-1 합성을 차단하는 제제는 안드로그라폴라이드(andrographolide)이며, 바람직하게는 안드로그라피스 파니큘라타(Andrographis paniculata)의 잎 추출물 형태의 안드로그라폴라이드이다. 실제로, 상기는 조성물에 대해 0.001 중량%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내지 0.1 중량%를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SCF 합성 및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저해하는 제제는 동일하며, 바람직하게는 건조 물질에 대해 5 중량%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팔마리아 팔마타(Palmaria palmata)로 불리는 조류(alga) 수성 추출물이다. 실제로,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에 대해 0.01 중량% 내지 25 중량%, 이상적으로는 1 중량% 내지 4 중량%를 나타낸다.
더욱이, 이는 본 발명의 제2 측면이며, 출원인이 알고 있는 한 종래의 비(非)색소침착(non-pigmenting) 조성물은 자외선에 의해서 유발된 태닝 또는 과다색소침착 현상을 제한하거나 또는 중단하지 않는다. 상기 과다색소침착은 특히 흑색점(brown lentigo) 또는 "간반(liver spots)"으로 나타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UVB 필터, UVA 필터, 및/또는 UVA/UVB 필터(UVA 및 UVB 겸용필터) 및 가능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미네랄 스크린(mineral screen)을 부가로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은 UVA 및 UVB 필터, 또는 미네랄 스크린을 사용하여 UV 조사의 대부분의 투과를 차단하고, 피부를 통해 침투하는 UV 조사의 잔여 부분에 의해서 유발된 멜라닌의 생성 및 발현을 직접 저해(티로시나아제 활성의 자극의 저해) 및 간접 저해(케라티노사이트에 의해서 분비된 매개물질에 의한 멜라노사이트 자극의 저해)하는데 있다.
멜라닌형성에 관련된 주요 인자에 작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조성물은 거의 착색되지 않거나 또는 약간 착색된 피부, 특히 아시아 시장에 있어서 태닝-방지 생성물, 또는 UV 광-유발 과다색소침착에 대항하는 생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미네랄 스크린 및 UVB 필터 또는 UVA/UVB 필터(UVA 및 UVB 겸용필터)는, UVB선이 피부로 침투하는 것을 제한한다. 필터 특성에 따라서, UVA 조사의 70-98 %가 차단될 것이다. UVB 조사에 대한 피부 보호 역량(skin protection capacity)은 SPF 지수를 특징으로 한다. 주어진 UVB 조사에 있어서, UVB 필터 또는 UVB/UVA 필터(UVA 및 UVB 겸용필터)의 도포 이후에, 상기 지수는 보호된 피부에서 홍반을 야기하는 UV 조사량과 보호되지 않은 피부에서 홍반을 야기하는 UV 조사량 사이의 비율이다. 예로서, SPF 지수 20은 20배 이상의 UV 조사가 홍반을 야기하는데 요구되어, 예를 들면 95%의 UVB선이 차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수 50은 98%의 UVB선이 차단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UVB 필터 및/또는 UVA/UVB 필터(UVA 및 UVB 겸용필터)는 조성물에 SPF 지수 20 이상, 유익하게는 50 이상을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당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국제규범(Colipa, FDA)에 따라 상기 지수들을 수득하기 위한 적당한 성분들과 이들의 비율, 특히 하기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유기 UVB 또는 UVA 필터를 선택할 수 있다:
-파라-아미노벤조산 유도체:
- PABA,
- 에틸 PABA,
- 에틸 디히드록시프로필 PABA (Amerscreen
Figure 112010046333835-pct00001
P, Amerchol제),
- "ESCALOL
Figure 112010046333835-pct00002
507"로 시판되는 에틸헥실 디메틸 PABA,
- 글리세릴 PABA,
- "UVINUL
Figure 112010046333835-pct00003
P25"로 시판되는 PEG-25 PABA.
- 살리실산 유도체:
- "EUSOLEX
Figure 112010046333835-pct00004
HMS"로 시판되는 호모살레이트,
- "NEO HELIOPAN
Figure 112010046333835-pct00005
OS"로 시판되는 에틸헥실 살리실레이트,
- "DIPSAL
Figure 112010046333835-pct00006
"로 시판되는 디프로필렌글리콜 살리실레이트,
- "NEO HELIOPAN
Figure 112010046333835-pct00007
TS"로 시판되는 TEA 살리실레이트.
- 디벤조일메탄 유도체:
-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
- 이소프로필 디벤조일메탄.
- 신남산 유도체:
- "ESCALOL 557", "NEOHELIOPAN TYPEAV", "UVINUL MC80"으로 시판되는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 이소프로필 메톡시신나메이트,
- "NEO HELIOPAN
Figure 112010046333835-pct00008
E 1000"으로 시판되는 이소아밀 메톡시신나메이트,
- 시녹세이트,
- DEA 메톡시신나메이트,
-글리세릴 에틸헥사노에이트 디메톡시신나메이트,
- 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 유도체:
- "UVINUL
Figure 112010046333835-pct00009
N539"로 시판되는 옥토크릴렌,
- "UVINUL
Figure 112010046333835-pct00010
N35"로 시판되는 에토크릴렌.
- 벤조페논 유도체:
- "UVINUL
Figure 112010046333835-pct00011
400"으로 시판되는 벤조페논-1,
- "UVINUL
Figure 112010046333835-pct00012
D50"으로 시판되는 벤조페논-2,
- "UVINUL
Figure 112010046333835-pct00013
M40"으로 시판되는 벤조페논-3 또는 옥시벤존,
- "UVINUL
Figure 112010046333835-pct00014
MS40"으로 시판되는 벤조페논-4,
- 벤조페논-5,
- "HELISORB
Figure 112010046333835-pct00015
11"로 시판되는 벤조페논-6,
- "SPECTRA-SORB
Figure 112010046333835-pct00016
UV24"로 시판되는 벤조페논-8,
- "UVINUL
Figure 112010046333835-pct00017
DS-49"로 시판되는 벤조페논-9,
- 벤조페논-12.
- 벤질리덴 캄퍼 유도체:
- "EUSOLEX
Figure 112010046333835-pct00018
6300"으로 시판되는 4-메틸벤질리덴 캄퍼.
-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 "EUSOLEX
Figure 112010046333835-pct00019
232"로 시판되는 페닐벤즈이미다졸 설폰산,
- "NEO HELIOPAN
Figure 112010046333835-pct00020
AP"로 시판되는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포네이트.
- 트리아진 유도체:
- "UVINUL
Figure 112010046333835-pct00021
T150"으로 시판되는 에틸헥실 트리아존,
- "UVASORB
Figure 112010046333835-pct00022
HEB"로 시판되는 디에틸헥실 부타미도 트리아존,
-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 티노소브 S
- 벤조트리아졸 유도체:
- "SILATRIZOLE
Figure 112010046333835-pct00023
"로 시판되는 드로메트리졸 트리실록산,
- "MIXXIM
Figure 112010046333835-pct00024
BB/100"의 고체 형태, 또는 "TINOSORB
Figure 112010046333835-pct00025
M"의 수성 분산액내 미세 형태(micronised form)로 시판되는 메틸렌 비스-벤조트리아졸 테트라메틸부틸페놀,
- 안트라닐산 유도체:
- "NEO HELIOPAN
Figure 112010046333835-pct00026
MA"로 시판되는 멘틸 안트라닐레이트.
- 이미다졸린 유도체:
- 에틸헥실 디메톡시벤질리덴 디옥소이미다졸린 프로피오네이트.
- 벤잘말로네이트 유도체:
- "PARSOL
Figure 112010046333835-pct00027
SLX"로 시판되는 벤잘말로네이트 관능기를 갖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
- 디에틸아미노 히드록시벤조일 헥실 벤조카인(Uvinul
Figure 112010046333835-pct00028
A+로 시판됨)
- 및 이들의 혼합물.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복(enrobe)되거나 또는 되지 않은, 금속 산화물의 펄(pearls), 색소, 또는 나노-색소(1차 입자의 평균 크기: 통상 5 nm 내지 100 nm, 바람직하게는 10 nm 내지 50 nm), 예를 들면 티타늄(루틸형 및/또는 아나타제형의 비정질 또는 정질), 철, 아연, 지르코늄 또는 세륨의 산화물의 나노-색소,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상기는 모두 개별적으로 UV 광보호제(photoprotective agents)로 알려져 있다. 더욱이, 전형적인 피복제(enrobing agent)는 알루미나 및/또는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이다.
실제로, 상기 필터는 조성물에 대해 2 중량%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에 대해 15 중량% 내지 30 중량%를 나타낸다.
모든 경우에, UVA/UVB 필터(UVA 및 UVB 겸용필터)는 하기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이다:
-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 Tinosorb S
- 메틸렌 비스-벤조트리아졸 테트라메틸부틸페놀: Tinosorb M
미네랄 스크린은 하기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이다:
- TiO2
- ZnO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국소 도포된다.
피부에 국소 도포되기 위해 통상 사용되는 모든 약학적 형태, 가령 수중유형(oil-in-water) 또는 유중수형(water-in-oil) 또는 다중 에멀젼(multiple emulsion), 실리콘화 에멀젼(siliconised emulsion), 마이크로에멀젼(microemulsion) 또는 나노에멀젼(nanoemulsion)의 형태로 나타낸다. 상기 조성물은 얼마간 액체일 수 있고, 백색 또는 유색 크림, 연고, 밀크(milk), 로션, 세럼 또는 겔의 비제한적인 외형을 갖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 및 피부용 제제의 분야에 통상 사용되는 담체, 가령, 지질(lipids), 유화제 및 보조-유화제(co-emulsifiers), 친수성 또는 친유성 겔화제(gelling agents), 친수성 또는 친유성 물질, 방부제(preservatives), 산화방지제, 용매, 향료(perfumes), 필러(fillers), 친수성 및 친유성 필터, 착색 물질, 중화제, 사전-침투제(pro-penetrating agents) 및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된 조성물의 국소 도포에 의해서 UV선에 의해 유발된 피부 탈색소화, 태닝 중단 또는 과다색소침착을 차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화장료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및 이로부터 얻어진 이점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서 잘 설명된다.
실시예 1: 살아있는 사람 피부 이식편에서 화장료 제제의 탈색소 활성의 증명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살아있는 사람 피부 이식편에서 장기간 UVA/B 조사(태양 시뮬레이터) 이후에, 본 발명에 따른 제제의 탈색소 활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시험될 생성물의 탈색소 효과는 분광비색계(spectrocolorimeter) 측정에 의해서 나타낸다.
시험된 제제
정제수 qs 100%
디프로필렌 글리콜 4
폴리아크릴아미드 0.8
C13-14 이소파라핀 0.4
라우레스-7 0.11
안드로그라피스 파니큘라타 0.05
헥사펩티드 2 0.0004
팔마리아 팔마타 2
방부제 qs
방법
1. 이식편의 제조
(중간 포토타입의) 15명의 사람 이식편이 준비되고, 특정 배지에서 살아있도록 유지시킨다. 상기 이식편은 하기와 같이 나눈다(조건당 3개의 이식편):
- 대조군 "C": 처리되지 않고, 조사(照射)되지 않음
- 제제 대조군 "F": 처리되고, 조사되지 않음
- 대조군 + UV "C UV": 처리되지 않고, 조사됨
- 제제 1 + UV "F UV": 처리되고, 조사됨
2. 처리
생성물(1.5 g/cm2)을 상기 이식편에 작은 스패튤라(spatula) 또는 필터 페이퍼 디스크(filter paper discs)를 사용하여 국소 도포한다. 상기 이식편에 이틀에 한 번씩 처리하였다.
3. 장기간 UVA /B 조사
8일동안 매일 "C UV", "F UV" 배치에 태양광 조사의 스펙트럼에 해당하는 1.125 J/cm2 (6-8%의 UVB)의 UVA 조사한다. 상기 조사는 가능한 필터 효과를 피하기위해서 생성물로 처리하고 30분 후에 실시한다.
4. 분광비색계 측정
피부 색상의 진하기(intensity)를 비색계에 의해서 D0 및 D8에 측정한다. 결과는 ITA 지수에서 편차를 계산함으로써 표현된다:
ITA °= [ArcTan((L * - 50) / b * )] x 180 / 3.1415
여기서: - L*: 명도를 나타냄(어두움에서 연함까지)
- b*: 청색에서 황색까지의 범위를 나타냄
상기 값은 상이한 피부 색상이 분류되도록 한다(ITA가 높아지면, 피부는 밝아짐):
- 밝은 색상의 피부: 55 > ITA > 41
- 중간 색상 피부: 41 > ITA > 28
- 올리브색상 피부: 28 > ITA > 10
결과
하기 표 1은 수득된 결과를 나타낸다:
색소침착 D0 색소침착 D8 편차(%)
대조군 C 36.8±1.3 36.7±1.3 -0.4%
제제 F 34.0±1.6 37.6±1.2 +11% (A)
조사된 대조군 CUV 38.1±1.4 21.2±1.2 -44%
조사된 제제 FUV 36.9±1.6 37.3±1.8 +1% (B)
·대조군 이식편의 색상은 변화되지 않음.
·본 발명에 따른 제제에 의해 처리되어, 이들의 색조는 상당히 밝음(+11%) (A).
·장기간의 UV 조사는 태닝의 외관을 자극하므로, 8일 후에 색소침착이 상당히 커짐(피부는 중간 색상에서 올리브 색상으로 변경됨). 본 발명에 의해 처리된 이식편은 이들의 원래 색조를 유지함(B).
멜라닌형성 과정을 "업세팅(upsetting)"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태양에 노출됨으로써 유발된 이식편의 색소침착이 차단되고(B), 색소침착된 영역이 탈색된다(가역적 효과)(A).
실시예 2: 약학적 제제
1: 라이트닝 선 크림( Lightening sun cream )
정제수 qs 100%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Parsol
Figure 112010046333835-pct00029
MCX) 7.00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 (Eusolex
Figure 112010046333835-pct00030
9020) 3.00
미세화 TiO2 (MT100 TZ) 5.00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 (Tinosorb
Figure 112010046333835-pct00031
S) 2.00
메틸렌 비스-벤조트리아졸 테트라메틸부틸페놀(Tinosorb
Figure 112010046333835-pct00032
M) 4.00
안드로그라피스 파니큘라타 0.10
헥사펩티드 2 0.0004
팔마리아 팔마타 1.50
액체 파라핀 16.00
세토스테아릴 에틸헥사노에이트 4.00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에이트 1.00
스테아르산 3.00
스테아릭 알콜 1.70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 1.50
밀랍 1.00
트리에탄올아민 0.88
아크릴릭 폴리머 0.20
방부제 qs
향료 qs
2: 라이트닝 세럼( Lightening serum )
정제수 qs 100%
카프릴 글리세라이드/에톡실화 카프릭 알콜 6몰 3.50
크산탄검 0.50
폴리소르베이트 20 1.20
안드로그라피스 파니큘라타 0.10
헥사펩티드 2 0.002
팔마리아 팔마타 1.00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0.10
방부제 qs
향료 qs
3: 탈색 크림( Depigmenting cream )
정제수 qs 100%
변형 옥수수 전분 5.50
안드로그라피스 파니큘라타 0.10
노나펩티드-1 0.005
팔마리아 팔마타 1.20
이소도데칸 5.00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머 1.925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1.52
이소데실 네오펜타노에이트 1.50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 1.30
에톡시화 PEG 스테아레이트 100몰 1.00
스테아르산 1.00
피리독신 HCl 0.50
징크 글루코네이트 0.50
소듐 히드록사이드 0.32
방부제 qs
향료 qs

Claims (16)

  1. 화장료 담체(cosmetic carrier)내에 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용 화장료 조성물(topical cosmetic composition):
    헥사펩티드 2;
    안드로그라폴라이드(andrographolide); 및
    팔마리아 팔마타(Palmaria palmata)의 수성 추출물.
  2. 제 1 항에 있어서,
    헥사펩티드 2는 조성물에 대해 0.00001 중량% 내지 1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헥사펩티드 2는 조성물에 대해 0.0001 중량% 내지 0.0004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안드로그라폴라이드는 안드로그라피스 파니큘라타(Andrographis paniculata)의 잎 추출물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안드로그라피스 파니큘라타의 잎 추출물은, 조성물에 대해 0.001 중량% 내지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팔마리아 팔마타의 수성 추출물은, 조성물에 대해 0.01 중량% 내지 2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UVA 필터, UVB 필터, 및 UVA 및 UVB 겸용필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용 화장료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미네랄 스크린(mineral screen)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용 화장료 조성물.
  9. 제 7 항에 있어서,
    유기 UVB 필터, 또는 UVA 및 UVB 겸용필터의 특성 및 이들 비율이, 조성물에 SPF 20 이상을 제공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 7 항에 있어서,
    유기 UVB 필터, 또는 UVA 및 UVB 겸용필터의 특성 및 이들 비율이, 조성물에 SPF 50 이상을 제공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용 화장료 조성물.
  11. 제 7 항에 있어서,
    유기 UVA 필터 또는 UVB 필터는 파라-아미노벤조산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디벤조일메탄 유도체, 신남산 유도체, 벤조페논 유도체, 벤질리덴 캄퍼 유도체,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트리아진 유도체, 벤조트리아졸 유도체, 안트라닐산 유도체, 이미다졸린 유도체, 디에틸아미노 히드록시벤조일 헥실 벤조에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들 필터는 조성물에 대해 2 중량% 내지 4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용 화장료 조성물.
  12. 제 8 항에 있어서,
    미네랄 스크린은 TiO2 및 ZnO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용 화장료 조성물.
  13.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색소침착방지제(anti-pigmenting agent)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용 화장료 조성물.
  14. 제 7 항에 있어서,
    태닝방지제(anti-tanning agent)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용 화장료 조성물.
  15. 제 7 항에 있어서,
    UV 유발 과다색소침착 방지제(agent preventing UV induced hyperpigmentation)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용 화장료 조성물.
  16. 삭제
KR1020107016011A 2008-01-24 2009-01-16 자외선에 의해서 유발된 피부 색소침착을 차단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 KR1015743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850454A FR2926720B1 (fr) 2008-01-24 2008-01-24 Composition cosmetique destinee a bloquer la pigmentation de la peau induite par les rayonnements uv
FR0850454 2008-0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5707A KR20100105707A (ko) 2010-09-29
KR101574362B1 true KR101574362B1 (ko) 2015-12-07

Family

ID=39720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6011A KR101574362B1 (ko) 2008-01-24 2009-01-16 자외선에 의해서 유발된 피부 색소침착을 차단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5536670B2 (ko)
KR (1) KR101574362B1 (ko)
CN (1) CN101917961B (ko)
FR (1) FR2926720B1 (ko)
HK (1) HK1148494A1 (ko)
WO (1) WO200909297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91963A (zh) * 2011-11-23 2012-06-13 常州亚当生物技术有限公司 化合物i和ii及其其制备治疗抑制黑色素形成药物中的应用与制备方法
FR2986154B1 (fr) * 2012-01-31 2017-08-04 Pierre Fabre Dermo-Cosmetique Nouveau systeme photoprotecteur
KR101694958B1 (ko) * 2014-04-08 2017-01-10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천심련추출물 또는 안드로그라폴라이드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US10533992B2 (en) * 2015-03-19 2020-01-14 Amorepacific Corporation Method for screening for sunlight protection functional material and method for evaluating sunlight protection effect
FR3034662B1 (fr) * 2015-04-10 2020-08-28 Isp Investments Inc Nouvelles utilisations du peptide de sequence his-d-trp-ala-trp-d-phe-lys-nh2 pour diminuer ou retarder l'apparition de la senescence cellulaire et des signes du vieillissement cutane
CN105168110A (zh) * 2015-10-14 2015-12-23 广东三九军大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九肽美白祛斑精华乳
FR3042974B1 (fr) * 2015-11-04 2017-12-08 Isp Investments Inc Extrait synergique de palmaria palmata et de jasmin, compositions le comprenant et utilisations
CN105362088B (zh) * 2015-12-22 2019-05-17 深圳市维琪医药研发有限公司 一种用于美白亮肤淡斑的多肽组合物
CN107049880A (zh) * 2017-06-16 2017-08-18 湖南御家化妆品制造有限公司 美白组合物及其应用
CN107233223B (zh) * 2017-06-16 2019-01-25 湖南御家化妆品制造有限公司 控制诱导黑色素靶向组合物及其应用
CN108158866A (zh) * 2018-02-02 2018-06-15 广州赛莱拉干细胞科技股份有限公司 含有掌状红皮藻提取物的组合物
CN109010108A (zh) * 2018-08-31 2018-12-18 广州中医药大学(广州中医药研究院) 亚硫酸氢钠穿心莲内酯抗皮肤光老化的应用及防晒霜
WO2022112476A1 (en) * 2020-11-27 2022-06-02 Dsm Ip Assets B.V. Topical composition
FR3128230A1 (fr) * 2021-10-15 2023-04-21 Naos Institute Of Life Science Methode d’evaluation du taux de protection d’un principe actif et principe actif possedant le taux de protection ainsi evalue contre la pigmentation induite par la lumiere visib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1631A (ja) * 2005-10-24 2006-04-27 Shiseido Co Ltd 幹細胞因子の産生・放出の抑制による掻痒、肌荒れ、敏感肌及び美白用薬剤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946A (ja) * 1995-07-21 1997-02-04 Shiseido Co Ltd 美白用皮膚外用剤
JPH10330219A (ja) * 1997-05-30 1998-12-15 Noevir Co Ltd メラニン生成抑制剤及び美白剤
JP2001316241A (ja) * 2000-03-02 2001-11-13 Noevir Co Ltd 皮膚外用剤
US20030129259A1 (en) * 2001-12-28 2003-07-10 Avon Products, Inc. Topical lightening compostitions and methods of use
US7429391B2 (en) * 2004-01-30 2008-09-30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Holistic composition and method for reducing skin pigmentation
JP2008007442A (ja) * 2006-06-28 2008-01-17 Univ Kanagawa 化粧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1631A (ja) * 2005-10-24 2006-04-27 Shiseido Co Ltd 幹細胞因子の産生・放出の抑制による掻痒、肌荒れ、敏感肌及び美白用薬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926720A1 (fr) 2009-07-31
JP2011510053A (ja) 2011-03-31
CN101917961B (zh) 2013-06-12
HK1148494A1 (en) 2011-09-09
WO2009092972A3 (fr) 2009-10-01
JP5536670B2 (ja) 2014-07-02
WO2009092972A2 (fr) 2009-07-30
FR2926720B1 (fr) 2011-09-09
CN101917961A (zh) 2010-12-15
KR20100105707A (ko)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4362B1 (ko) 자외선에 의해서 유발된 피부 색소침착을 차단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
US11964039B2 (en) Compositions that brighten skin, provide sun protection, and permit vitamin D production
US20090028969A1 (en) Compostion for treating skin
US9241893B2 (en) Topical cosmetic skin lightening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1510857B2 (en) Cosmetic compositions having antioxidant properties
DE60105504T2 (de) Zusammensetzung zum Färben der Haut, die mindestens ein UV-Filter und ein in 3-Stellung unsubstituiertes Flavyliumsalz enthält
FR2816836A1 (fr) Compositions autobronzantes colorees comportant du carmin de cochenille
WO2004073675A1 (de) Kosmetische zusammensetzung mit whitening-effekt,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KR100905388B1 (ko) 엘라직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활성을 갖는 재배딸기류의 잎 추출물
AU2008364312B2 (en) Topical cosmetic skin lightening compositions
KR100406124B1 (ko) 자외선에 의해 증가하는 프로스타글란딘을 억제하는성분과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는 성분을 동시에 함유하는미백 화장료 조성물
FR3091652A1 (fr) Composition topique solaire protectrice de la peau exposee a l’irradiation de la lumiere visible a haute energie
KR100821482B1 (ko)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90023651A (ko)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0935329B1 (ko) 엘라직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활성을 갖는 장딸기의 열매 추출물
Al-Roujayee et al. Tahreem Arshad1, Haji Muhammad Shoaib Khan1*, Kashif-ur-Rehman Khan2, Abdulaziz S. Al-Roujayee3, Mohamed Mohany4, Maqsood Ahmad2*, Sana Maryam5, Muhammad Bilal Akram6, 7, Hasnain Shaukat1, Umair Khursheed2 and Mourad AM Aboul-Soud8
KR20210062218A (ko) 정향 및 미역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효과가 증가된 화장료 조성물
KR20090131737A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Couteau et al. About suncare products
FR2834456A1 (fr) Composition pour la coloration de la peau comprenant au moins un filtre uv et un extrait de sorgho et utilisations
KR20150000668A (ko) 등골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