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838B1 - 계단 구조의 전극 조립체 및 복합 전극 조립체 - Google Patents

계단 구조의 전극 조립체 및 복합 전극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2838B1
KR101572838B1 KR1020140023996A KR20140023996A KR101572838B1 KR 101572838 B1 KR101572838 B1 KR 101572838B1 KR 1020140023996 A KR1020140023996 A KR 1020140023996A KR 20140023996 A KR20140023996 A KR 20140023996A KR 101572838 B1 KR101572838 B1 KR 101572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late
electrode plate
stacked
electrod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3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1644A (ko
Inventor
권성진
김기웅
김동명
김영훈
박현
안순호
윤성한
장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40041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1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3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with folded construction elements except wound ones, i.e. folded positive or negative electrodes or separators, e.g. with "Z"-shaped electrodes or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59Cells or batteries with folded separator between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8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ouch or flexible bag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3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4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plate-like electrode stacks, e.g. electrode pole straps or brid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Cel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의 전지 케이스 내에 내장되는 전극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계단 구조의 전극 조립체 및 복합 전극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계단 구조는 디바이스의 곡률을 따라 형성되어, 종래의 전극 조립체와 달리 디바이스 내부의 사공간을 활용함으로써, 디바이스의 부피당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계단 구조의 전극 조립체 및 복합 전극 조립체 {Electrode Assembly and Composite Electrode Assembly of Stair-like Structure}
본 발명은 이차전지의 전지 케이스 내에 내장되는 전극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계단 구조의 전극 조립체 및 복합 전극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IT(Information Technology) 기술이 눈부시게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휴대형 정보통신 기기의 확산이 이뤄짐으로써, 21세기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고품질의 정보서비스가 가능한 ‘유비쿼터스 사회’로 발전되고 있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사회로의 발전 기반에는, 리튬 이차전지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충방전이 가능한 리튬 이차전지는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의 에너지원으로서도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리튬 이차전지가 적용되는 디바이스들이 다양화됨에 따라, 리튬 이차전지는, 적용되는 디바이스에 알맞은 출력과 용량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화되고 있다. 더불어, 소형 경박화가 강력히 요구되고 있다.
휴대폰, PDA,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소형 모바일 기기들에는 해당 제품들의 소형 경박화 경향에 따라 그에 상응하도록 디바이스 1 대당 하나 또는 두서너 개의 소형 경량의 전지셀들이 사용되고 있다.
전기자전거, 전기오토바이,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과 같은 중대형 디바이스들에는 고출력 대용량의 필요성으로 인해, 다수의 전지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중대형 전지모듈(중대형 전지팩)이 사용되고 있다.전지모듈의 크기와 중량은 당해 중대형 디바이스 등의 수용 공간 및 출력 등에 직접적인 관련성이 있으므로, 제조업체들은 가능한 한 소형이면서 경량의 전지모듈을 제조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전지모듈 또는 전지팩의 단위전지로는 그것의 형상에 따라 원통형 전지셀, 각형 전지셀, 파우치형 전지셀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높은 집적도로 적층될 수 있고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으며 저렴하고 변형이 용이한 파우치형 전지셀이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도 1a 및 1b에는 종래의 대표적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일반적인 구조가 분해 사시도로서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파우치형 이차전지(10)는, 다수의 전극 탭들(21, 22)이 돌출되어 있는 전극조립체(20), 전극 탭들(21, 22)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전극 리드(30, 31), 및 전극 리드(30, 31)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전극조립체(20)를 수납 및 밀봉하는 구조의 전지케이스(40)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지케이스(40)는 전극조립체(20)가 안착될 수 있는 오목한 형상의 수납부(41)를 포함하는 하부 케이스(42)와 그러한 하부 케이스(42)의 덮개로서 전극조립체(20)를 밀봉하는 상부 케이스(43)로 이루어져 있다. 상부 케이스(43)와 하부 케이스(42)는 전극조립체(20)를 내장한 상태에서 열융착되어, 상단 실링부(44)와 측면 실링부(45, 46), 및 하단 실링부(47)를 형성한다.
도 1a에서는 상부 케이스(43)와 하부 케이스(42)가 각각 별도의 부재로서 표시되어 있지만, 도 1b에서와 같이 일측 단부가 일체되어 연속되어 있는 경첩식 구조도 가능하다.
또한, 도 1a 및 1b는, 전극 탭과 전극 리드가 연결된 구조의 전극 단자가 일단에 함께 형성되어 있는 구조의 파우치형 전지셀을 도시하고 있으나, 전극 단자가 일단과 타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구조의 파우치형 전지셀 등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전극 조립체는, 도 1a 및 도 1b에서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러한 전극 조립체들이 전지 케이스 내에 내장되어 직육면체 형상의 파우치형 전지셀이 제작되며, 상기 파우치형 전지셀들이 적층되어 직육면체 형상의 전지팩이 완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직육면체 형상의 전지셀과 전지팩이 적용되는 디바이스의 디자인은 직육면체 형상으로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의 경우에는, 파지감이 우수하도록 측면이 곡선으로 처리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곡선 처리된 부분을 가지도록 디자인된 디바이스의 경우, 직육면체 형상의 전지셀 또는 전지팩은 디바이스 내부의 공간 활용도에 한계가 있다.
즉, 곡선 처리된 부분에는 전지셀 또는 전지팩이 장착될 수 없는 사공간(dead space)이 형성된다. 이러한 사공간은, 종국에는 디바이스 부피 당 용량이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디바이스의 부피 당 용량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는 계단 구조가 형성된 전극 조립체 및 복합 전극 조립체와 이들을 포함하는 전지셀을 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는,
전극 탭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 극판들 2 개 이상; 및
상기 극판들의 일면 및 대향면과 전극 탭 비형성 부위인 극판의 측면을 감싸고 있는 일 단위의 시트형 분리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극판들은 상기 분리 필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 극성을 갖는 극판들이 대면하도록 평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을 따라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극판들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극판들과 크기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극판을 하나 또는 둘 이상 포함하고, 서로 다른 크기의 극판들의 적층 구조는, 폭과 높이가 있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계단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계단 구조는 적층면의 면적이 서로 다른 n 개의 전극군들이 적층된 경우, 단의 개수는 n 단일 수 있다. 이 때, n은 2이상의 자연수이고, n은 디바이스의 용량 내지 디바이스의 외주면의 곡률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상세하게는, 상기 극판들은 2 개 이상의 극판들로 이루어져 있고, 이것들은 모두 크기가 상이할 수도 있고, 하나의 극판이 동일한 크기의 나머지 극판들과 크기가 상이할 수도 있으며, 동일한 크기의 극판(A) 2개 이상과 상기 극판(A)와 크기가 다른 동일한 크기의 극판(B) 2개 이상의 조합일 수도 있으며, 동일한 크기의 극판(A) 2개 이상과 상기 극판(A)와 크기가 다른 동일한 크기의 극판(B) 2개 이상 및 상기 극판(A) 및 극판(B)와 서로 크기가 다른 동일한 크기의 극판(C) 2개 이상의 조합일 수도 있다.
상기 극판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므로, 평행 육면체 형상일수도 있고, 평면상 다각형, 원형 등일 수 있다. 상기 극판은 평판상일 수도 있고, 곡면을 가진 판상일 수도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극판은, 전폭, 전장 및 전고를 갖는 평행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평행 육면체는 평면상 사각형 형상일 수 있고, 이 때, 상기 전폭은, 전극탭이 돌출되어 있는 변의 길이일 수 있으며, 상기 전장은, 전극탭이 돌출되지 않은 변의 길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고는, 상기 평행 육면체의 높이일 수 있다.
상기 계단 구조가 형성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는, 전장 및/또는 전폭이 서로 상이한 극판들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야 한다.
따라서, 크기가 다른 극판들은, 전폭 및/또는 전장이 다른 극판들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극조립체가 포함하는 전폭 및/또는 전장이 서로 다른 극판들의 수는, 당업자가 전지셀이 장착되는 디바이스의 형상 및 필요한 용량에 따라 유연하게 그 수를 조정할 수 있다. 2개 내지 3개의 극판들로 구성된 전극조립체는 물론, 4개 이상의 극판들로 이루어진 전극조립체를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더욱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극판은,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극판은, 정육면체 형상일 수도 있다.
상기 극판의 모서리들은 모두 직각으로 처리되어 있을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가 곡선 처리되어 있을 수도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평면상 사각형 형상의 극판의 4개의 모서리들 중 적어도 하나는 곡선을 이루고 있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가 곡선 처리되어 있는 경우, 낙하 시 곡선 처리된 모서리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으므로, 낙하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전극탭들 각각의 크기는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전폭, 전장, 전고 중 하나 이상이 서로 상이할 수도 있고, 전폭, 전장, 전고가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전극탭들은, 전극리드와 결합하여 리튬 이차전지의 전극 단자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평면은 임의의 평면을 의미하므로, 지면일 수도 있고, 지면에 수직한 평면일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한 극판들은 지면에서 높이방향으로 적층되어 있을 수 있고, 지면에 수직한 평면에서 높이방향을 따라 적층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상기 평면은 지면을 지칭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평면으로부터의 높이 방향은 중력과 반대 방향을 지칭하고, 높이 방향과 반대 방향은 중력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평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을 따라 적층된다”는 것은, 극판들이 지면으로부터 중력 방향 및/또는 중력 반대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극판들의 적층 방향은 중력 방향 및/또는 중력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상기 극판들의 적층 구조에서, 서로 다른 크기의 극판들이 분리 필름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고 있는 경우,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극판은 음극판일 수 있다.
분리 필름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고 있는 극판들 중에서,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극판이 음극판인 경우에는, 상기 음극판은, 외부로부터 침상체 등의 물체가 전지를 압박하거나 관통하게 되는 경우, 안전 부재로 작용하여, 일차적으로 미세 단락을 유발하므로, 전지의 발화 및 폭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음극판의 안전 부재로서의 기능은, 전지모듈 또는 전지팩을 구성하는 하나의 전지의 발화 및 폭발이 전지모듈 및 전지팩 전체의 발화 및 폭발로 연결될 수 있는 전지모듈 및 전지팩에서 특히 중요하다.
또한, 분리 필름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고 있는 극판들 중에서,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극판이 음극판인 경우에는, 분리 필름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고 있는 극판들 중에서,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극판이 양극판인 경우에 비해, 충방전 시 수지상 성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극판이 양극판일 수도 있다.
또한, 적층된 극판들 중에서, 최하단에 적층되어 있는 극판은 음극판 또는 양극판일 수 있고, 상기 최하단에 적층된 극판이 양극판인 경우, 상기 양극판은, 분리 필름을 사이에 두고 음극판과 대면하는 일면에만 양극 슬러리가 도포되어 있을 수 있고, 상세하게는, 상기 양극판의 일면은, 분리 필름을 사이에 두고 적층되어 있는 음극판의 일면과 대면하는 부위에만 양극 슬러리가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에서, 전극탭이 돌출된 면을 전면 또는 후면으로 명명할 수 있고, 상기 전면에 대향하는 면을 후면으로 명명할 수 있으며, 상기 평면과 평행한 면을 일면과 대향면으로 각각 명명할 수 있고, 상기 일면과 대향면과 수직이고, 상기 높이 방향에 평행한 면을 일측면과 상기 일측면에 대향하는 면을 대향 측면으로 명명할 수 있다. 일측면 및/또는 대향 측면은 측면으로 통일하여 명명할 수 있다.
상기 극판들은, 전면, 후면, 측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동일 평면 상에 존재하지 않도록 적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극판들은, 전면만이 동일 평면 상에 존재하도록 적층될 수도 있고, 후면만이 동일 평면 상에 존재하도록 적층될 수도 있으며, 일측면 만이 또는 일측면과 대향 측면만이 동일 평면 상에 존재하도록 적층될 수도 있고, 전면, 후면, 일측면, 대향 측면이 모두 동일 평면 상에 존재하지 않도록 적층될 수도 있다. 전면, 후면, 일측면, 대향 측면이 모두 동일 평면 상에 존재하지 않도록 적층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는, 사각뿔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한 극판들의 적층 배열들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구체적인 예이므로, 극판들의 배열이 상기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극판들이 평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 및 그 반대 방향으로 양 방향 적층되는 경우, 평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으로 적층되는 극판들과 상기 높이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적층되는 극판들은, 서로 대칭을 이루면서 적층되거나 또는 비대칭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극판들이 대칭적으로 양 방향 적층되는 경우, 높이방향으로는 전면만이 동일 평면 상에 존재하도록 적층될 수 있고, 높이 반대 방향으로는, 후면만이 동일 평면 상에 존재하도록 적층될 수 있으며, 또한, 높이방향 및 높이 반대 방향으로, 적층되는 극판들의 일측면 및 대향 측면이 각각 동일 평면 상에 존재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배열들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구체적인 예이므로, 극판들의 배열이 상기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와 같이, 극판들이 높이방향으로는 전면만이 동일 평면 상에 존재하도록 적층되고, 높이 반대 방향으로는, 후면만이 동일 평면 상에 존재하도록 적층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는 높이 방향과 높이 반대 방향으로 양 방향 적층된 극판들이 서로 비대칭적으로 적층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극판들은, 양 방향으로, 전면, 후면, 일측면, 대향 측면이 모두 동일 평면 상에 존재하지 않도록 적층될 수 있고,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는, 대칭적인 팔각뿔대 형상일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비대칭적인 팔각뿔대 형상을 갖도록 극판들이 적층될 수 있음은 상기한 설명들로부터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극판들의 적층 구조에서, 동일한 극성을 가진 극판들의 각각의 전극탭들은 동일한 가상의 수직선을 공유하는 위치에 배열되도록 각각의 극판들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동일한 극성을 가진 극판들 중에서 가장 작은 크기의 극판의 전극탭이 형성된 위치를 기준으로, 나머지 전극탭들은 상기한 가장 작은 크기의 극판의 전극탭과 가상의 수직선을 공유하는 위치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양극탭들은, 가장 크기가 작은 양극판의 양극탭이형성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가장 작은 크기의 양극판의 양극탭과 가상의 수직선을 공유하는 위치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일 단위의 시트형 분리 필름은, 양극과 음극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서로 반대되는 극성을 가진 극판들의 일면 및 대향면과 일측면 또는 대향 측면, 또는 일측면 및 대향 측면을 감싸면서 극판들의 적층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일 단위의 시트형 분리 필름은, 서로 다른 단위셀들의 대면하는 양극과 음극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위셀들의 일면 및 대향면에 위치할 수 있고, 일측면 또는 대향 측면, 또는 일측면 및 대향 측면을 감쌈으로써, 반복되는 충방전으로 인해 극판과 분리 필름 간의 계면 접촉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리 필름을 권취할 때 발생하는 인장력은 극판과 분리 필름 간의 계면을 밀착하는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분리 필름은, 상기한 극판들의 일면 및 대향면들과 일측면 또는 대향 측면, 또는 일측면 및 대향 측면을 모두 감싸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 필름은, 상기한 길이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이 경우, 극판들의 일면 및 대향면들과 일측면 또는 대향 측면, 또는 일측면 및 대향 측면을 모두 감싸고 남은 분리 필름은, 적층된 극판들 전체를 감싸고 말단이 열융착되거나 테이프가 붙여져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분리 필름으로 극판들의 일면 및 대향면들과 일측면 또는 대향 측면, 또는 일측면 및 대향 측면을 모두 감싸는 경우, 분리 필름은 극판들의 일면 및 대향면에 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상기 분리 필름으로 극판들의 일면 및 대향면들과 측면을 감싼 후 적층된 극판들 전체를 다시 감싸는 경우에는, 상기 분리 필름은 서로 다른 크기의 극판들의 일측면, 대향 측면, 또는 일측면 및 대향 측면에 밀착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상기 일측면, 대향 측면, 또는 일측면 및 대향 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분리 필름의 부위를 절단하거나 열처리하여 상기 분리 필름이 일측면, 대향 측면, 또는 일측면 및 대향 측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 필름으로 극판들의 일면 및 대향면들과 일측면, 대향 측면, 또는 일측면 및 대향 측면만을 감싸는 경우에도, 상기 분리 필름은 서로 다른 크기의 극판들의 일측면, 대향 측면, 또는 일측면 및 대향 측면에 밀착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상기 일측면, 대향 측면, 또는 일측면 및 대향 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분리 필름의 부위를 절단하거나 열처리하여 상기 분리 필름이 일측면, 대향 측면, 또는 일측면 및 대향 측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계단 구조는, 서로 다른 크기의 극판들의 적층 구조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계단 구조는 서로 다른 크기의 양극판과 음극판이 분리 필름이 개재된 상태에서 적층되고, 분리 필름으로 양극판 및 음극판의 일측면, 대향 측면, 또는 일측면 및 대향 측면을 감싸는 경우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계단 구조는, 서로 다른 크기의 3 개의 극판들이 분리 필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극판들이 적층되고, 분리 필름으로 각각의 극판들의 일측면, 대향 측면 또는 일측면 및 대향 측면을 감싸는 경우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으로 세 개 이상의 계단 구조가 형성되는 경우는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계단 구조가 형성되는 부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극판들이, 전면만이 동일 평면 상에 존재하도록 적층되는 경우, 계단 구조는 극판들의 후면 또는 일측면 또는 대향 측면에서 형성될 수 있고, 전면, 후면, 측면이 모두 동일 평면 상에 존재하지 않도록 적층되는 경우에는, 계단 구조는 극판들의 전면, 후면, 측면에서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으로 계단 구조가 형성되는 부위는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계단 구조는, 폭과 높이를 가지며, 상기 폭은 적층된 극판들의 전폭 또는 전장의 차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고, 상기 높이는 각각의 단의 높이의 합일 수 있으며, 상기 단의 높이는 적층된 각각의 극판들의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일 수 있다. 상기 폭 및/또는 단의 높이는 전극 조립체를 내장한 전지셀이 장착된 디바이스의 곡률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상기 계단 구조는, (i) 단의 높이는 동일하고 폭이 상이하거나, 또는 (ii) 폭과 단의 높이가 모두 상이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분리 필름이, 양극판 또는 음극판과 같은 극판들 사이의 적층면에 위치하면서 극판들 각각의 측면을 감싸고 있는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는, 상기 극판들 중 일부가 분리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되는 극성을 가진 극판들이 평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을 따라 교대로 적층된 단위셀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분리 필름은 극판과 분리판, 단위셀과 분리 필름 간의 계면 접촉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적층된 극판들 중에서, 최하단에 적층되어 있는 극판은 분리판을 사이에 두고 음극판과 대면하는 일면에만 양극 슬러리가 도포되어 있는 양극판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양극판의 일면은, 분리판을 사이에 두고 적층되어 있는 음극판의 일면에 대응하는 부위에만 양극 슬러리가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단위셀을 구성하는 극판들 중에서 동일한 극성을 가진 극판들의 크기는 동일할 수도 상이할 수도 있다.
상기 극판, 분리판은 평판상일 수도 있고, 곡면을 가진 판상일 수도 있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극판들과 크기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극판을 하나 또는 둘 이상 포함하고,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극판들과 크기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단위셀을 하나 또는 둘 이상 포함하며,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단위셀들과 크기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단위셀을 하나 또는 둘 이상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이 때, 서로 다른 크기의 극판들의 적층 구조, 서로 다른 크기의 극판과 단위셀의 적층 구조 또는 서로 다른 크기의 단위셀들의 적층 구조 등은 폭과 높이가 있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계단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단위셀들은 상기 극판들 중 일부 또는 전부에 분리판과 극판들을 더 부가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위셀은, 최상단과 최하단의 극판들의 극성이 상호 동일할 수도 있고, 최상단과 최하단의 극판들의 극성이 상호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최상단과 최하단의 극판들의 극성이 상호 동일한 단위셀은 최상단과 최하단의 극판들의 극성이 모두 양극인 단위셀일 수 있고, 최상단과 최하단의 극판들의 극성이 모두 음극인 단위셀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복합 전극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전극 조립체는,
전극 탭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 극판;
크기가 동일한 극판들 2 개 이상 및 상기 극판들의 적층면과 전극 탭 비형성 부위인 극판의 측면을 감싸고 있는 일 단위의 시트형 분리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극판들은 상기 분리 필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 극성을 갖는 극판들이 대면하도록 평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을 따라 적층되어 있는 스택 앤 폴딩형 전극 조립체; 및 분리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 극성을 가진 극판들이 평면을 기준으로 적층 높이 방향을 따라 적층되어 있는 적층형 전극 조립체;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극성체들이,
분리판 또는 시트형의 분리 필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되는 극성을 가진 극판들이 배열되도록 평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을 따라 적층되어 있고,
상기 극성체들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극성체들과 크기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극성체를 하나 또는 둘 이상 포함하고 있고, 서로 다른 크기의 극성체들의 적층 구조는, 폭과 높이가 있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계단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판 또는 분리 필름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고 있는 극판들 중에서,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극판은 음극판 또는 양극판일 수 있다.
또한, 적층된 극판들 중에서, 최하단에 적층되어 있는 극판은 음극판 또는 양극판일 수 있고, 이 경우, 최하단 양극판은, 분리 필름을 사이에 두고 음극판과 대면하는 일면에만 양극 슬러리가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계단 구조는, (i) 단의 높이는 동일하고 폭이 상이하거나, 또는 (ii) 폭과 단의 높이가 모두 상이할 수 있고, 상기 폭 및/또는 단의 높이는 복합 전극 조립체를 내장한 전지셀이 장착된 디바이스의 곡률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전극 조립체 또는 복합 전극 조립체가 전지 케이스 내에 내장되어 전해질로 함침되고 밀봉된 구조로 이루어진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상기 리튬 이차전지의 전극 단자는, 상기 전극 조립체 또는 복합 전극 조립체들의 각각의 전극 탭들 각각이 전극 리드에 결합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전극 리드들 각각은 전폭, 전장, 전고 중 하나 이상이 서로 상이하거나, 전폭, 전장, 전고가 모두 동일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적층형 전극조립체는 양극판과 음극판 중 어느 하나와 분리판이 최외각을 구성하도록, 양극판, 음극판, 분리판이 적층된 상태에서 접합(laminate)되어 있는 구조의 제 1 전극군을 포함할 수 있다.
두 번째 구체적인 예에서, 분리판들이 최외각을 구성하도록, 양극판, 음극판, 분리판이 적층된 상태에서 접합(laminate)되어 있는 제 2 전극군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전극군은, 양극판, 분리판, 음극판, 분리판이 순차적으로 스택된 상태로 접합(laminate)된 구조 또는 음극판, 분리판, 양극판, 분리판이 순차적으로 스택된 상태로 접합된 구조일 수 있다.
세 번째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적층형 전극조립체는, 양극판과 음극판이 최외각을 구성하고, 분리판이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개재되도록, 양극판, 음극판, 분리판이 적층된 상태에서 접합되어 있는 제 3 전극군을 포함할 수 있다.
네 번째 구체적인 예에서, 양극판과 음극판 중 어느 하나와 하나의 분리판이 적층된 상태에서 접합되어 있는 제 4 전극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기 적층형 전극조립체는, 상기 제 1 전극군만이 적층된 구조일 수도 있고, 제 2 전극군만이 적층된 구조일 수도 있으며, 제 3 전극군들만이 적층된 구조일 수도 있고, 제 4 전극군들만이 적층된 구조일 수도 있으며, 이들의 조합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층형 전극조립체는, 상기 제 1 전극군들만이 스택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군의 최상단 또는 최하단에는 제 2 전극군이 스택되어 있을 수 있다.
제 2 전극군들만이 적층되어 있는 구조는 제 2 전극군들 사이에 양극판 또는 음극판 중 어느 하나가 개재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분리판의 말단은 양극판과 음극판의 크기, 즉, 가로길이 또는 세로길이에 비해 길게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연장된 분리판의 말단은 서로 열융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전극군 내지 제 4 전극군에는 양극판, 분리판, 음극판의 스택 구조를 더욱 견고히 유지하는 고정 부재가 더 부가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제 1 전극군 또는 제 2 전극군과는 별개의 외부 부재로서, 제 1 전극군의 외주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감싸고 있는 점착 테이프 또는 접착 테이프일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군의 외주면은, 제 1 전극군의 측면, 평면, 전면, 후면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제 1 전극군 또는 제 2 전극군을 구성하는 분리판의 일부일 수 있고, 이 경우, 분리판의 말단을 열융착시킴으로써 제 1 전극군 또는 제 2 전극군을 고정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정부재는, 제 1 전극군 또는 제 2 전극군을 고정시킬 수 있는 기능을 할 수 있는 부재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한 제 1 전극군과 제 2 전극군을 포함하여 적층형 전극조립체를 구성하는 경우, 양극판, 음극판, 분리판이 단순히 스택되어 있는 구조의 적층형 전극조립체에 비해 양산성 내지 양품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전극군 단위로 양극판, 분리판, 음극판이 서로 접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스웰링으로 인한 부피팽창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제 1 전극군과 제 2 전극군을 포함하여 적층형 전극조립체를 구성하는 경우, 폴딩 공정으로 구현되는 전극조립체의 어라인 불량이나 공정설비를 제거하고, 하나의 라미네이터만을 가지고 제 1 전극군 또는 제 2 전극군의 형성을 완료하고, 단순 스택으로 적층형 전극조립체를 구현할 수 있게 되는 바, 폴딩 공정시 발생하는 전극 손상이 감소되며, 전해액 젖음성이 향상될 수 있고, 외부로 노출되는 분리판을 단면 유무기 복합 분리막(SRS 분리막)을 적용할 수 있게 되어 셀의 두께가 감소함과 동시에 공정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지 케이스는,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전지케이스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계단 구조의 전극 조립체 또는 복합 전극 조립체가 내장되는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수납부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 구조의 전극 조립체 또는 복합 전극 조립체의 형상에 대응하는 계단 구조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리튬 이차전지는, 휴대폰, 휴대용 컴퓨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넷북, LEV(Light Electronic Vehicle),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전력저장장치 등의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 및 복합 전극 조립체는, 디바이스의 곡률에 따라 변화하는 계단 구조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종래의 전극 조립체와 달리 디바이스 내부의 사공간을 활용하여 디바이스의 부피당 용량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1b는 종래의 대표적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구성하는 극판과 분리판의 사시도와 수직 단면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최상단 극판과 최하단 극판의 극성이 상이한 단위셀의 수직 단면도의 모식도이다;
도 6은 최상단 극판과 최하단 극판의 극성이 동일한 단위셀의 수직 단면도의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수직 단면도의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전극 조립체의 전개도의 모식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전극 조립체의 수직 단면도의 모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전극군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전극군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전극조립체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7은 도 14의 제 1 전극군의 고정구조의 모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전극군의 제조공정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구성하는 양극판(130), 음극판(170) 및 분리판(150)이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양극판(130)은 양극 집전체(136)상에 양극 슬러리(132)가 도포되어 있는 구조이고, 음극판(170)은 음극 집전체(172)에 음극 슬러리(176)가 도포되어 있는 구조이다.
도 2의 양극판(130)은 양극 슬러리(132)가 양극 집전체(136)의 상하 양면에 도포되어 있고, 음극판(170)은 음극 슬러리(172)가 음극 집전체(176)의 상하 양면에 도포되어 있다. 도 2의 내지 도 3의 양극판(130) 및 음극판(170)은 전장(L1), 전폭(S1), 전고(H)를 가진 평행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4 내지 도 6에는 도 3의 양극판(130)과 음극판(170)이 분리판(150)을 사이에 두고 적층면과 평행한 평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을 따라 교대로 적층되어 있는 적층형 전극 조립체들(300, 400)의 수직 단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의 적층형 전극 조립체들(210, 220, 230, 240, 250)은 적층된 극판들 중에서 최상단의 극판과 최하단의 극판의 극성이 서로 상이하다. 도 6의 적층형 전극 조립체들(310, 320, 330)은 적층된 극판들 중에서 최상단의 극판과 최하단의 극판의 극성이 서로 동일하다.
적층형 전극 조립체(220, 250,330)은 최하단에 적층되어 있는 양극판은, 상단에 적층된 분리판과 직접 접촉하는 일면에만 양극 슬러리가 도포되어 있다.
도 7에는 도 4 및 도 5의 적층형 적극 조립체들로만 구성한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수직 단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최하단에는, 동일한 전폭을 가지고 적층형 전극 조립체들(300B, 300D, 300F, 300H)에 비해 가장 전폭이 긴 적층형 전극 조립체들(300I, 300G, 300E, 300C, 300A)가 평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고, 적층형 전극 조립체(300A)의 상단에는, 적층형 전극 조립체들(300I, 300G, 300E, 300C, 300A)에 비해 전폭이 짧고, 동일한 크기의 전폭을 갖는 적층형 전극 조립체들(300B, 300D)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으며, 적층형 전극 조립체(300D)의 상단에는, 전극 조립체들(300B, 300D)에 비해 전폭이 짧고 동일한 전폭을 갖는 적층형 전극 조립체들(300F, 300H)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다.
이 때, 최하단의 전극 조립체(300I)는 도 4 및 도 5의 적층형 전극 조립체들(220, 250)일 수 있다.
전극 조립체들(300I, 300G, 300E, 300C, 300A, 300B, 300D, 300F, 300H)의 일측면 또는 대향면이 일치 또는 동일 평면 상에 존재하도록 적층되어 있다.
전극 조립체들(300I, 300G, 300E, 300C, 300A, 300B, 300D, 300F, 300H)의 일면 및 대향면과 일측면 및 대향 측면은 분리 필름(450)으로 감싸여 있고, 전극 조립체들(300I, 300G, 300E, 300C, 300A, 300B, 300D, 300F, 300H)이 적층되어 있는 구조물의 외주면 또한 분리 필름(450)으로 감싸여 있다.
분리 필름(450)은 전극 조립체들(300I, 300G, 300E, 300C, 300A, 300B, 300D, 300F, 300H)이 적층되어 있는 구조물의 외주면을 감싼 후, 열 융착으로 고정되거나, 테이프로 고정될 수 있다. 도 7에서, 분리 필름(450)은 전극 조립체들(300I, 300G, 300E, 300C, 300A, 300B, 300D, 300F, 300H)이 적층되어 있는 구조물의 외주면을 감싼 후, 테이프로 고정되어 있다.
도 8에는, 도 7의 전극 조립체의 전개도가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전극 조립체들(300A, 300B, 300C, 300D, 300E, 300F, 300G, 300H, 300I)는, 가장 큰 전장(L1)을 가진 전극 조립체들(300A, 300C, 300E, 300I)에 대응하는 폭(L2)를 가진 분리 필름 상에 분리 필름(450)의 길이(S2) 방향을 따라,
전극 조립체(300A)가 그것의 전폭(S1) 및 전극 조립체(300B)의 높이를 합한 거리만큼, 전극 조립체(300B)와 이격되고, 전극 조립체(300C)가 전극 조립체들(300A, 300B)의 높이와 분리 필름의 두께를 합한 거리만큼 전극 조립체(300B)와 이격되는 방식으로, 전극 조립체들(300A, 300B, 300C, 300D, 300E, 300F, 300G, 300H, 300I)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된 상태로, 순서대로 분리 필름(450)에 배열되어 있고, 전극 조립체(300A)가 권취 개시점에 위치하며, 전극 조립체(300I)가 권취 종료점에 위치되어 있다.
이렇게 전극 조립체들(300A, 300B, 300C, 300D, 300E, 300F, 300G, 300H, 300I)가 배열되어 있는 분리 필름을 권취함으로써, 도 7의 전극 조립체를 제작할 수 있다.
도 8에서 전극 조립체들(300A, 300B, 300C, 300D, 300E, 300F, 300G, 300H, 300I)는, 평면 상, 모서리들 중 하나가 곡선을 이루고 있다. 물론, 평면 상 모서리들이 직각을 이루고 있는 경우에도 도 8과 같이 전극 조립체들(300A, 300B, 300C, 300D, 300E, 300F, 300G, 300H, 300I)를 배열하여 도 7의 전극 조립체를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에서, 적층형 전극 조립체들(300A, 300C, 300E, 300G, 300I)의 전극탭들의 전폭은, 적층형 전극 조립체들(300B, 300D)의 전극탭들의 전폭에 비해 크다. 마찬가지로, 적층형 전극 조립체들(300B, 300D)의 전극탭들의 전폭은 적층형 전극 조립체들(300F, 300H)의 전극탭들의 전폭에 비해 크다.
구체적으로, 적층형 전극 조립체(300E)와 적층형 전극 조립체(300F)의 각각의 양극탭들(138E, 138F)의 전폭은 서로 상이하다. 다만, 전극 조립체들(300A, 300B, 300C, 300D, 300E, 300F, 300G, 300H, 300I)의 전극탭들의 전폭은 동일할 수도 있다.
도 8에는 분리 시트(450)가 전극 조립체들(300I, 300G, 300E, 300C, 300A, 300B, 300D, 300F, 300H)의 일면 및 대향면과 일측면 및 대향 측면을 감싸는 길이(S2)를 갖는 것처럼 표현되어 있으나, 전극 조립체들(300I, 300G, 300E, 300C, 300A, 300B, 300D, 300F, 300H)이 적층되어 있는 구조물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는 길이를 가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7에서, 전극 조립체(300A)와 전극 조립체(300B)의 적층면에는, 전극 조립체(300A)와 전극 조립체(300B)의 전폭의 차이만큼의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전극 조립체(300D)와 전극 조립체(300F)의 적층면에도, 전극 조립체(300D)와 전극 조립체(300F)의 전폭의 차이만큼의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전극 조립체들(300A, 300B, 300F)의 적층면에는, 폭과 높이가 있는 계단 구조가 형성된다. 폭은 전극 조립체들(300A, 300B, 300F)의 전폭의 차이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이러한 계단 구조의 폭을 구성하는 극판은 음극판이다. 다만, 도 13의 복합 전극 조립체의 양극판(130)과 같이, 계단 구조의 폭을 구성하는 극판은 양극판(130)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7의 전극 조립체는, 도 4 및 도 5의 적층형 적극 조립체들을 사용한 경우이므로, 전폭이 다른 경우로 설명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전폭이 상이한 경우뿐만 아니라, 전장이 상이한 경우에도 전장의 차이만큼의 폭이 형성될 수 있음은 상기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7에서, 전극 조립체들(300I, 300G, 300E, 300C, 300A, 300B, 300D, 300F, 300H)의 높이가 모두 동일하므로, 2개의 전극 조립체들(300B, 300D)의 높이의 합은, 4개의 전극 조립체들(300I, 300G, 300C, 300A)의 높이의 합보다 작다. 그 결과, 도 7의 전극 조립체는 높이 차이가 있는 계단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폭과 높이는, 곡선 처리된 디바이스의 곡률에 따라 변화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와 관련하여,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에는 도 4 내지 도 6의 적층형 적극 조립체들로 구성한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수직 단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7의 전극 조립체와의 차이점은, 최하단에는, 동일한 전폭을 가지고 적층형 전극 조립체들(300A, 400B, 400D)에 비해 가장 전폭이 긴 적층형 전극 조립체들(300E, 400C)가 평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고, 적층형 전극 조립체(400C)의 상단에는, 적층형 전극 조립체들(300E, 400C)에 비해 전폭이 짧은 적층형 전극 조립체(300A)가 적층되어 있으며, 적층형 전극 조립체(300A)의 상단에는, 전극 조립체(300A)에 비해 전폭이 짧고 동일한 전폭을 갖는 적층형 전극 조립체들(400B, 400D)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다는 점이다.
또한, 분리 필름(450)이 전극 조립체들(300E, 400C, 300A, 400B, 400D)의 일면 및 대향면과 일측면 및 대향 측면에 밀착되어 있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점선으로 표시된 원 영역(II)들을 참조하면, 분리 필름(450)은 전극 조립체들(300E, 400C, 300A, 400B, 400D)의 계단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일측면 또는 대향면에 밀착하기 위해, 절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극 조립체들(300E, 400C)의 적층 구조물과 전극 조립체(300A)의 꼭지점에 모두 접하는 직선(Y)와 가장 큰 전폭을 갖는 전극 조립체들(300E, 400C)의 일측면 또는 대향 측면에 접하는 임의의 수직선( X) 사이의 각도는, 전극 조립체들(400B, 400D)의 적층 구조물과 전극 조립체(300A)의 꼭지점에 모두 접하는 직선(Z)와 수직선(X) 사이의 각도에 비해 작다. 그러나, 이러한 각도는, 디바이스의 곡률에 따라 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평면을 기준으로, 최상단과 최하단의 극판의 극성이 동일한 전극 조립체들(400A, 400B, 400C, 400D, 400E, 400F, 400G, 400H, 400I)이 높이 방향 및 높이 반대 방향의 양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는 점에서 도 7의 전극 조립체와 차이가 있다. 이 때, 전극 조립체들(400A, 400B, 400C, 400D, 400E, 400F, 400G, 400H, 400I)은 각각, 양극판, 음극판일 수도 있다.
또한, 전극 조립체들(400A, 400B, 400C, 400D, 400E, 400F, 400G, 400H, 400I)은 일측면 및 대향 측면이 불일치 또는 동일 평면 상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10은, 평면의 전극 조립체는, 최상단과 최하단의 극판의 극성이 동일한 전극 조립체들(400A, 400B, 400C, 400D, 400E, 400F, 400G, 400H)이 평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 또는 높이 반대 방향으로만 적층되어 있는 점에서 도 9와 차이가 있다.
또한, 분리 필름(450)이 전극 조립체들(400A, 400B, 400C, 400D, 400E, 400F, 400G, 400H)의 일측면 또는 대향 측면만을 감싸고 있는 점에서 도 9의 전극 조립체와 차이가 있다.
도 12는 도 4 내지 도 6의 적층형 적극 조립체들로 전극 조립체를 구성한 점에서는, 도 11과 동일하지만, 분리 필름(450)에 열을 가하여 전극 조립체들(300A, 400B, 300C, 400D, 400E)의 계단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일측면 또는 대향 측면에 밀착시킨 점에서 차이가 있다(점선 원(I) 참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들 중 하나(500)와 최상단과 최하단의 극판의 극성이 사이한 적층형 전극 조립체(310)을 적층하면서 그 사이에 양극판(130)과 분리판(150)을 개재시켜 계단 구조를 형성시킨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전극 조립체(600)의 모식도이다.
복합 전극 조립체(600)은 양극판 또는 음극판의 극판, 및/또는 도 3 내지 도 5의 적층형 전극 조립체들과 전극 조립체(500)를 조합하여 계단 구조를 형성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전극 조립체(500)에 대한 설명들로부터 당업자는 그 구조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분리판(150)을 사이에 두고 적층형 전극 조립체(310)의 최하단 음극과 대면하는 양극판(150)이 최하단 음극에 비해 긴 전폭을 가지므로, 전해질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앙극판(150)과 적층형 전극 조립체(310)의 전폭의 차이에 해당하는 계단 구조의 공간에는, 상기한 전폭의 차이만큼의 공간의 면적에 해당하는 음극판이 놓여질 수 있다.
제 1 전극군은 도 14에 도시된 구조와 같이 분리판(310), 양극판(320), 분리판(330), 음극판(34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태로 접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제 2 전극군은, 도 15에 도시되는 구조와 같이, 분리판(410), 음극판(420), 분리판(43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태로 접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 16은 도 14의 제 1 전극군들이 적층된 제 1 전극군 적층체의 최상단에 도 15의 제 2 전극군이 적층된 구조의 적층형 전극조립체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에는, 도 14의 제 1 전극군에 고정부재가 더 부가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전극군(300)의 측면 또는 전면에는 고정부재(T1)가 더 부가되어 있다.
단순 적층구조로 인해 적층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적층된 구조의 측면에 별개의 부재를 이용하여 고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부재는 도 16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전극군(300)의 전면을 테이핑하는 방식으로 구현하거나, 16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전극군(300)의 측면만을 고정하는 고정부재(T2)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전극군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공정 모식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분리판(310), 양극판(320), 분리판(330), 음극판(340)의 재료(시트형 구조로 로딩되는 로딩유닛을 이용)를 동시에 로딩하며, 중간층으로 이용되는 양극판(320)을 설계된 크기로 절단하여 로딩하며, 이후 상부와 하부에 배치된 분리판(310, 330)이 동시에 로딩됨과 동시에 음극판(340) 재료가 함께 라미네이터(L1, L2)로 로딩되게 된다.
이후 라미네이터에서는 열과 압력으로 2개의 전극판과 2개의 분리판이 접착된 구조체 즉 제 1 전극군으로 구현하게 되며, 이후 절단기(C3)를 통해 절단하여 제 1 전극군을 완성 후, 두께검사(a), 비전검사(b), 쇼트검사(c) 등의 검사 공정이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이렇게 형성된 제 1 전극군은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하거나, 적층을 통해 다수의 제 1 전극군이 적층된 구조물로 형성한 후, 도 15의 제 2 전극군을 적층하고,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하는 공정을 통해 적층형 전극조립체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의 평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전극조립체(700)는 제 1 전극군(710) 및 제 2 전극군(720)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전극조립체(400)를 구성하는 전극군들의 수를 제외한 나머지 구조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이에 관한 기타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1)

  1. 전극 탭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 극판;
    크기가 동일한 극판들 2 개 이상 및 상기 극판들의 일면 및 대향면과 전극 탭 비형성 부위인 극판의 측면을 감싸고 있는 일 단위의 시트형 분리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극판들은 상기 분리 필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 극성을 갖는 극판들이 대면하도록 평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을 따라 적층되어 있는 스택 앤 폴딩형 전극 조립체; 및
    분리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 극성을 가진 극판들이 평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을 따라 적층되어 있는 적층형 전극 조립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극성체들이,
    분리판 또는 시트형의 분리 필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되는 극성을 가진 극판들이 배열되도록 평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을 따라 적층되어 있고,
    상기 극성체들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극성체들과 크기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극성체를 하나 또는 둘 이상 포함하고 있고, 서로 다른 크기의 극성체들의 적층 구조는, 폭과 높이가 있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계단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적층형 전극조립체는 양극판과 음극판 중 어느 하나와 분리판이 최외각을 구성하도록, 양극판, 음극판, 분리판이 적층된 상태에서 접합(laminate)되어 있는 구조의 제 1 전극군; 분리판들이 최외각을 구성하도록, 양극판, 음극판, 분리판이 적층된 상태에서 접합(laminate)되어 있는 제 2 전극군; 양극판과 음극판이 최외각을 구성하고, 분리판이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개재되도록, 양극판, 음극판, 분리판이 적층된 상태에서 접합되어 있는 제 3 전극군; 및 양극판과 음극판 중 어느 하나와 하나의 분리판이 적층된 상태에서 접합되어 있는 제 4 전극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전극군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극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평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으로 적층된 극성체들과 대칭 또는 비대칭적으로 상기 높이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분리판 또는 분리 필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되는 극성을 가진 극판들이 위치하도록 극성체들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극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 구조는, 전극 탭 비 형성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극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 구조는, 전극 탭 형성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극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 또는 분리 필름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고 있는 극판들 중에서,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극판은 음극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극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된 극판들 중에서, 최하단에 적층되어 있는 극판은 음극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극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적층된 극판들 중에서, 최하단에 적층되어 있는 극판은 분리판 또는 분리 필름을 사이에 두고 음극판과 대면하는 일면에만 양극 슬러리가 도포되어 있는 양극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극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된 극판들 중에서, 최하단에 적층되어 있는 극판은 분리판 또는 분리 필름을 사이에 두고 음극판과 대면하는 일면에만 양극 슬러리가 도포되어 있는 양극판이고, 상기 양극판의 일면은, 분리판 또는 분리 필름을 사이에 두고 적층되어 있는 음극판의 일면에 대응하는 부위에만 양극 슬러리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극 조립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극판은, 전극탭 형성부위의 길이인 전폭, 전극탭 비형성 부위의 길이인 전장, 및 극판의 높이인 전고를 갖는 평행 육면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극 조립체.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극판은, 직육면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극 조립체.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극판은, 정육면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극 조립체.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극판은 모서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가 곡선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극 조립체.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 구조는, (i) 단의 높이는 동일하고 폭이 상이하거나, 또는 (ii) 폭과 단의 높이가 모두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극 조립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폭 및/또는 단의 높이는 복합 전극 조립체를 내장한 전지셀이 장착된 디바이스의 곡률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극 조립체.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폭은 적층된 극성체들의 전폭 또는 전장의 차이에 대응하고, 상기 단의 높이는 적층된 극성체들의 높이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극 조립체.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필름은, 상기 극성체들의 적층면과 전극 탭 비형성 부위인 극성체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극 조립체.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필름은 적층된 극성체들 전체를 감싸고 말단이 열융착되거나 테이프가 붙여져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극 조립체.
  18. 삭제
  19.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복합 전극 조립체가 전지 케이스 내에 내장되어 전해질로 함침되고 밀봉된 구조로 이루어진 리튬 이차전지.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전극 조립체들의 각각의 전극 탭들 각각에는 전극 리드가 결합되어 전극 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탭들 각각은 전폭, 전장, 전고 중 하나이상이 서로 상이하거나, 전폭, 전장, 전고가 모두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0140023996A 2012-03-20 2014-02-28 계단 구조의 전극 조립체 및 복합 전극 조립체 KR1015728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28368 2012-03-20
KR1020120028368 2012-03-20
KR1020120125768A KR20130106755A (ko) 2012-03-20 2012-11-08 계단 구조의 전극 조립체 및 복합 전극 조립체
KR1020120125768 2012-11-08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8135A Division KR20130106781A (ko) 2012-03-20 2013-03-15 계단 구조의 전극 조립체 및 복합 전극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1644A KR20140041644A (ko) 2014-04-04
KR101572838B1 true KR101572838B1 (ko) 2015-12-01

Family

ID=49454536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5768A KR20130106755A (ko) 2012-03-20 2012-11-08 계단 구조의 전극 조립체 및 복합 전극 조립체
KR1020130028135A KR20130106781A (ko) 2012-03-20 2013-03-15 계단 구조의 전극 조립체 및 복합 전극 조립체
KR1020140023996A KR101572838B1 (ko) 2012-03-20 2014-02-28 계단 구조의 전극 조립체 및 복합 전극 조립체
KR1020140050661A KR101596273B1 (ko) 2012-03-20 2014-04-28 계단 구조의 전극 조립체 및 복합 전극 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5768A KR20130106755A (ko) 2012-03-20 2012-11-08 계단 구조의 전극 조립체 및 복합 전극 조립체
KR1020130028135A KR20130106781A (ko) 2012-03-20 2013-03-15 계단 구조의 전극 조립체 및 복합 전극 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0661A KR101596273B1 (ko) 2012-03-20 2014-04-28 계단 구조의 전극 조립체 및 복합 전극 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52452B2 (ko)
EP (1) EP2802034B1 (ko)
JP (2) JP6266539B2 (ko)
KR (4) KR20130106755A (ko)
CN (1) CN104272515B (ko)
WO (1) WO20131415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96431B1 (en) * 2011-04-07 2019-01-16 Nissan Motor Co., Ltd Electrode stacking device and electrode stacking method
KR20130106755A (ko) * 2012-03-20 2013-09-30 주식회사 엘지화학 계단 구조의 전극 조립체 및 복합 전극 조립체
JP6027228B2 (ja) * 2012-05-07 2016-11-16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電極積層体及びそ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KR101414092B1 (ko) * 2013-02-08 2014-07-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단차가 형성된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전지팩 및 디바이스, 상기 전극 조립체 제조방법
KR101483505B1 (ko) 2012-11-13 2015-01-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단차 구조가 형성된 전극조립체
KR101482837B1 (ko) * 2013-02-08 2015-01-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텝 유닛셀을 포함하는 단차를 갖는 전극 조립체
US9954203B2 (en) * 2013-03-08 2018-04-24 Lg Chem, Ltd. Stepped electrode group stack
KR102018256B1 (ko) * 2013-04-18 2019-10-14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 전지용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1595337B1 (ko) * 2013-11-22 2016-02-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정형 구조의 캐패시터
JP6115459B2 (ja) * 2013-12-09 2017-04-1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極組立体の製造方法、蓄電装置及び電極組立体の製造装置
KR101617423B1 (ko) * 2014-01-06 2016-05-03 주식회사 엘지화학 계단 구조의 하이브리드 전극조립체
EP2913865B1 (en) 2014-01-06 2017-08-30 Lg Chem, Ltd. Stepped battery,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ame
KR101538272B1 (ko) * 2014-01-06 2015-07-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텝드 배터리와 이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CN104051793B (zh) 2014-07-03 2016-01-06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叠片电芯的制备方法
KR102288544B1 (ko) 2015-06-29 2021-08-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1826142B1 (ko) * 2015-08-27 2018-02-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과 이차 전지
US9882185B2 (en) * 2015-10-22 2018-01-30 Lg Chem, Ltd. Battery cell assembly
KR102016643B1 (ko) 2016-09-19 2019-08-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KR102256302B1 (ko) 2017-03-09 2021-05-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
JP6685983B2 (ja) * 2017-09-21 2020-04-22 株式会社東芝 電極群、二次電池、電池パック、及び車両
KR102278998B1 (ko) 2017-12-26 2021-07-2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의 제조시스템 및 제조방법
CN110021779A (zh) * 2018-01-08 2019-07-1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池单元、电池模组及汽车
CN109193022A (zh) * 2018-08-21 2019-01-11 中国电力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异型锂离子电池
KR20200058173A (ko) * 2018-11-19 2020-05-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20210150924A (ko) 2020-06-04 2021-12-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에너지 밀도가 증가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30083571A1 (en) * 2021-09-14 2023-03-16 Apple Inc. Battery with an asymmetric design and electronic devices with an asymmetric battery desig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0797B2 (ja) * 2002-02-08 2005-08-10 日本電池株式会社 非水電解質電池
US20120015236A1 (en) * 2010-07-16 2012-01-19 Apple Inc. Design and construction of non-rectangular batteries

Family Cites Families (7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52292B (de) 1964-10-02 1967-10-19 VARTA AKTIENGESELLSCHAFT, Frankfurt/M Vorrichtung zum Belegen von Elektroden fur Akkumulatoren mit Scheidermarenal
US4092464A (en) 1976-07-19 1978-05-30 P. R. Mallory & Co. Inc. Flexible cells and batteries formed therefrom
US4964877A (en) 1986-01-14 1990-10-23 Wilson Greatbatch Ltd. Non-aqueous lithium battery
JP2783811B2 (ja) 1988-08-20 1998-08-06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及びその極板の製造方法
JPH06260209A (ja) 1993-03-01 1994-09-16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鉛蓄電池
WO1994023465A1 (en) 1993-04-07 1994-10-13 William Brown Miller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ochemical cells
JPH0982361A (ja) 1995-09-08 1997-03-28 Sony Corp 角形非水電解液二次電池
US5652074A (en) 1996-01-11 1997-07-29 Gnb Technologies, Inc. Battery grids, a method for making such battery grids and lead-acid batteries using such battery grids
US6224995B1 (en) 1997-03-06 2001-05-01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Three dimensional free form battery apparatus
JP3637408B2 (ja) 1997-03-27 2005-04-13 宇部興産株式会社 シート状電極とこれを用いた電池
JP3737600B2 (ja) 1997-04-28 2006-01-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包装体製造装置
KR200207948Y1 (ko) 1998-09-03 2001-01-15 김순택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JP2000133317A (ja) 1998-10-26 2000-05-12 Mitsubishi Chemicals Corp 自由形状電池装置
JP2000311717A (ja) * 1999-02-25 2000-11-07 Mitsubishi Chemicals Corp 電池要素及び電池
US6300002B1 (en) 1999-05-13 2001-10-09 Moltech Power Systems, Inc. Notched electrode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1028275A (ja) 1999-06-25 2001-01-30 Mitsubishi Chemicals Corp 立体自由形状バッテリー装置
JP3611765B2 (ja) * 1999-12-09 2005-01-19 シャープ株式会社 二次電池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0404883B1 (ko) 1999-12-13 2003-11-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 화학 소자를 위한 고분자 전해질
KR100515572B1 (ko) 2000-02-08 2005-09-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첩 전기화학 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515571B1 (ko) * 2000-02-08 2005-09-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첩 전기 화학 셀
KR100365824B1 (ko) 2000-05-13 2002-12-26 한국 파워셀 주식회사 리튬이온 이차전지
US6498951B1 (en) 2000-10-13 2002-12-24 Medtronic, Inc. Implantable medical device employing integral housing for a formable flat battery
JP2002199910A (ja) 2000-12-18 2002-07-16 Reynolds Consumer Products Inc 横断配置された咬合子およびスライダーの供給具を使用する再封止可能な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
JP4951168B2 (ja) * 2000-12-25 2012-06-13 トータル ワイヤレス ソリューショオンズ リミテッド シート状リチウム二次電池
US6610443B2 (en) 2001-03-19 2003-08-26 Wilson Greatbatch Ltd. One-piece header assembly for hermetic battery terminal feedthrough, fill and closure designs
US6946220B2 (en) 2001-10-19 2005-09-20 Wilson Greatbatch Technologies, Inc. Electrochemical cell having a multiplate electrode assembly housed in an irregularly shaped casing
KR100440934B1 (ko) * 2002-02-06 2004-07-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JP2004111219A (ja) * 2002-09-18 2004-04-08 Nissan Motor Co Ltd ラミネート二次電池、複数のラミネート二次電池からなる組電池モジュール、複数の組電池モジュールからなる組電池ならびにこれらいずれかの電池を搭載した電気自動車
US7479349B2 (en) 2002-12-31 2009-01-20 Cardiac Pacemakers, Inc. Batteries including a flat plate design
US7083878B2 (en) 2003-02-27 2006-08-01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Nonaqueous electrolytic solution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KR20050020357A (ko) 2003-08-22 2005-03-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한 파우치형 이차 전지
KR100553753B1 (ko) 2003-10-16 2006-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이차전지
JP2005169728A (ja) 2003-12-09 2005-06-30 Murata Mfg Co Ltd 成形品のゲート処理方法及びゲート処理装置
BRPI0418424B8 (pt) 2004-01-30 2023-01-17 Lg Chemical Ltd Bateria possuindo estrutura de pacote específico
CN1681146A (zh) 2004-03-29 2005-10-12 三星Sdi株式会社 电极封装及使用该电极封装的二次电池
JP2006040545A (ja) * 2004-07-22 2006-02-09 Yuasa Corp 電池
JP2006127882A (ja) 2004-10-28 2006-05-18 Nissan Motor Co Ltd 薄型電池および組電池
JP2006134604A (ja) 2004-11-02 2006-05-25 Ngk Spark Plug Co Ltd 蓄電装置の製造方法
KR100670492B1 (ko) 2004-11-29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용 캔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JP2008529208A (ja) 2005-01-20 2008-07-31 オティコン アクティーセルスカプ 再充電可能なバッテリーを備えた補聴器及び再充電可能なバッテリー
CN101111957B (zh) 2005-02-10 2010-05-12 日立化成工业株式会社 能源装置电极用粘合剂树脂乳液、使用其的能源装置电极和能源装置
US7682735B2 (en) 2005-03-28 2010-03-23 Samsung Sdi Co., Ltd. Pouch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7935442B2 (en) 2005-05-17 2011-05-03 Lg Chem, Ltd. Polymer binder for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multiply stacked electrochemical cells
US20060286456A1 (en) 2005-06-20 2006-12-21 Zhiguo Fu Nano-lithium-ion batteries and methos for manufacturing nano-lithium-ion batteries
JP4561542B2 (ja) 2005-09-02 2010-10-13 ソニー株式会社 二次電池
KR100825207B1 (ko) 2005-12-22 2008-04-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KR100896133B1 (ko) 2006-01-17 2009-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향상된 안전성의 이차전지
KR100884945B1 (ko) 2006-04-03 2009-02-23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0861705B1 (ko) * 2006-05-29 2008-10-06 주식회사 엘지화학 구조적 안정성과 전해액의 젖음성이 우수한 전극조립체 및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0866767B1 (ko) 2006-07-10 2008-11-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안전부재
WO2008044683A1 (fr) 2006-10-10 2008-04-17 Panasonic Corporation Électrode négative pour accumulateur secondaire à électrolyte non aqueux
KR100829553B1 (ko) 2006-11-22 2008-05-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전지의 스택 구조체
KR20080058772A (ko) 2006-12-22 2008-06-26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
KR101209010B1 (ko) * 2007-04-26 2012-12-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택형 전극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87300B1 (ko) 2007-07-04 2010-10-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 및 그것의 제조방법
KR100917736B1 (ko) 2007-09-14 2009-09-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용 파우치 및 파우치형 전지
KR100964017B1 (ko) 2007-12-13 2010-06-15 지에스나노텍 주식회사 전극의 표면적 및 전극과 전해질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킨박막형 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FR2925768B1 (fr) 2007-12-21 2012-06-08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Batterie multipolaire a etancheite interplaque amelioree
JP5408686B2 (ja) 2008-03-11 2014-02-05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積層型電池
KR20100137290A (ko) * 2009-06-22 2010-12-30 에너원코리아 주식회사 와인딩 방식의 전극적층체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전극적층체
KR101065883B1 (ko) * 2009-10-15 2011-09-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용 전극조립체, 그 제조방법 및 그 전극조립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US20110183183A1 (en) 2010-01-26 2011-07-28 Grady Steven C Battery arrays, constructions and method
JP5732687B2 (ja) 2010-03-19 2015-06-10 エルジー ケム. エルティーディ. ポーチ型ケース及びこれを含む電池パック
CN102884665B (zh) 2010-04-06 2015-09-30 株式会社Lg化学 改进的堆叠型电池胞或者双电池胞、用于使用该电池胞的二次电池的电极组件及其制造方法
JP5579497B2 (ja) * 2010-05-17 2014-08-27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扁平形非水電池
KR101191635B1 (ko) 2010-05-24 2012-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용 파우치, 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파우치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US9040187B2 (en) 2010-07-13 2015-05-26 Apple, Inc. Battery pack with cells of different capacities electrically coupled in parallel
KR101217780B1 (ko) 2010-10-19 2013-0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형 이차전지
KR101326630B1 (ko) 2010-12-02 2013-1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노칭 장치 및 이를 사용하여 생산되는 이차전지
KR101223729B1 (ko) 2010-12-16 2013-01-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용 케이스, 이를 구비한 이차 전지 및 상기 이차전지 제조방법
KR20130062153A (ko) 2011-12-02 2013-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병변 주변 정보를 이용한 병변 진단 장치 및 방법
KR20130106755A (ko) * 2012-03-20 2013-09-30 주식회사 엘지화학 계단 구조의 전극 조립체 및 복합 전극 조립체
KR20130133640A (ko) 2012-05-29 2013-12-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코너부 형상이 다양한 단차를 갖는 전극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전지팩 및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0797B2 (ja) * 2002-02-08 2005-08-10 日本電池株式会社 非水電解質電池
US20120015236A1 (en) * 2010-07-16 2012-01-19 Apple Inc. Design and construction of non-rectangular batter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90030B2 (ja) 2019-03-27
EP2802034B1 (en) 2017-04-19
KR20140062445A (ko) 2014-05-23
CN104272515B (zh) 2017-06-23
KR20140041644A (ko) 2014-04-04
KR101596273B1 (ko) 2016-02-22
WO2013141528A1 (ko) 2013-09-26
KR20130106781A (ko) 2013-09-30
US9252452B2 (en) 2016-02-02
KR20130106755A (ko) 2013-09-30
EP2802034A1 (en) 2014-11-12
CN104272515A (zh) 2015-01-07
JP2016184593A (ja) 2016-10-20
US20130295436A1 (en) 2013-11-07
JP6266539B2 (ja) 2018-01-24
EP2802034A4 (en) 2015-10-21
JP2015510678A (ja) 2015-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6273B1 (ko) 계단 구조의 전극 조립체 및 복합 전극 조립체
KR101502763B1 (ko) 계단 구조의 전극 조립체
US9905891B2 (en) Battery cell provided with cut portion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US9620789B2 (en) Battery pack of the stair-like structure
KR101431714B1 (ko) 계단 구조의 전지팩
KR20150134304A (ko) 라운드 코너를 포함하는 전지셀
US9318733B2 (en) Electrode assembly of stair-like structure
KR101483505B1 (ko) 단차 구조가 형성된 전극조립체
JP2015519691A (ja) 非定型構造の電池パック
KR101572832B1 (ko) 계단 구조의 전극군 적층체
KR101507013B1 (ko) 계단 구조의 전극군 적층체
KR102060679B1 (ko) 시트 구조의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US9954203B2 (en) Stepped electrode group st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