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1081B1 - 연료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연료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1081B1
KR101571081B1 KR1020147021677A KR20147021677A KR101571081B1 KR 101571081 B1 KR101571081 B1 KR 101571081B1 KR 1020147021677 A KR1020147021677 A KR 1020147021677A KR 20147021677 A KR20147021677 A KR 20147021677A KR 101571081 B1 KR101571081 B1 KR 101571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pipe
float
pump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1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0038A (ko
Inventor
치아키 가타오카
마사키 아카기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40110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0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1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1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18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main and auxiliary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9/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F02M37/0023Valves in the fuel supply and return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76Details of the fuel feeding system related to the fuel tank
    • F02M37/0088Multiple separate fuel tanks or tanks being at least partially partitioned
    • F02M37/0094Saddle tanks; Tanks having partition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2Feeding by means of suction apparatus, e.g. by air flow through carburettors
    • F02M37/025Feeding by means of a liquid fuel-driven jet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12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fluid-driven, e.g. by compressed combustion-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3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filters or filter arrangements
    • F02M37/50Filters arranged in or on 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118Multiple tanks, i.e. two or more separate tanks
    • B60K2015/03125Suction lines for dua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118Multiple tanks, i.e. two or more separate tanks
    • B60K2015/03138Pumping means between th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118Multiple tanks, i.e. two or more separate tanks
    • B60K2015/03144Fluid connections between the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36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filters, the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43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pumps, the mounting thereof
    • B60K2015/0325Jet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08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 F02M37/10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submerged in fuel, e.g. in reservo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287Liquid level responsive or maintaining systems
    • Y10T137/7358By float controlled valve
    • Y10T137/7423Rectilinearly traveling float
    • Y10T137/7426Float co-axial with valve or 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94With means for separating solid material from the fluid
    • Y10T137/7976Plural separating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5954Closed circulating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 Control Of The Air-Fuel Ratio Of Carburetor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Abstract

연료 펌프의 구동으로 외부로 송출되는 연료의 일부를 연료 펌프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수용부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한 구성에 있어서, 연료 펌프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연료 공급 장치를 얻는다. 연료 펌프 본체(42)로부터 제2 연료 수용부(38S)로 연료를 되돌리는 것이 가능한 베이퍼 배출관(64)에 제트 펌프(68)가 설치된다. 베이퍼 배출관(64)의 유로의 단면적은, 플로트 밸브(76)에 의해 변경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연료 공급 장치{FUEL SUPPLY DEVICE}
본 발명은, 연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연료 탱크 내의 연료를 기관 등에 공급하기 위한 연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료 탱크 내의 연료를 기관 등의 외부 장치에 공급하는 연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연료 탱크가, 연료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복수 설치한 구조의 것이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21454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제1 연료 저장부 및 제2 연료 저장부를 구비한 연료 공급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제1 연료 저장부에는, 연료 펌프를 포함하는 연료 공급부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탱크 내 연료 공급 통로로부터 분기된 리턴 통로 연료의 흐름을 이용하여 제트 펌프를 구동하고, 리턴 연료를 제1 연료 저장부로 되돌림과 함께, 제2 연료 저장부 내의 연료를 제1 연료 저장부로 이송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기재된 구조에서는, 고연압 시 또한 저전압 시에, 제어 밸브를 폐쇄하여 리턴 통로를 닫음으로써 제트 펌프를 정지하여, 연료 펌프의 소형화나 소비 전력의 저감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리턴 연료를 제1 연료 저장부(이하, 「메인측 수용부」라고 한다)가 아니라, 제2 연료 저장부(이하, 「서브측 수용부」라고 한다)로 되돌리는 구조를 채택한 경우에, 서브측 수용부의 연료량이 많아진다. 서브측 수용부에는 연료 펌프가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연료를 외부로 송출하는 점에서 불리해지고, 결과적으로 연료 펌프의 대형화나 소비 전력의 증대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연료 펌프의 구동으로 외부로 송출되는 연료의 일부를 연료 펌프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수용부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한 구성에 있어서, 연료 펌프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연료 공급 장치를 얻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서는, 연료를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부를 구비한 연료 탱크 본체와, 상기 수용부의 하나인 메인측 수용부로부터 외부로 연장 돌출된 송출 배관과, 당해 송출 배관에 설치된 연료 펌프를 구비하여 연료를 연료 탱크 본체의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송출 수단과, 상기 연료 펌프의 구동에 의해 상기 송출 수단에 흐르는 연료의 일부를 상기 송출 수단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서브측 수용부로 되돌리기 위한 리턴 배관과, 상기 서브측 수용부로부터 상기 메인측 수용부로 연료를 이송하기 위한 연료 이송 유로와, 상기 리턴 배관의 유로의 단면적을 변경 가능한 유로 단면적 변경 수단을 갖는다.
제1 태양의 연료 공급 장치에서는, 연료를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부 중 하나에, 송출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이 송출 수단이 구비된 수용부가, 메인측 수용부이며, 송출 수단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수용부가, 서브측 수용부이다. 메인측 수용부의 연료는, 송출 수단의 연료 펌프를 구동함으로써, 송출 배관을 통하여 외부(엔진 등)로 송출된다.
또, 이 연료 공급 장치에서는, 연료 이송 유로를 통하여, 서브측 수용부로부터 메인측 수용부로 연료를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메인측 수용부로 연료를 이송하지 않는 구성과 비교하여, 송출 수단이 설치된 메인측 수용부에 많은 연료가 수용되게 되므로, 연료 탱크 본체로부터 외부로의 연료의 송출이 유리해진다.
또한, 송출 수단을 흐르는 연료의 일부를, 리턴 배관에 의해 서브측 수용부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다. 리턴 배관의 유로의 단면적은, 유로 단면적 변경 수단에 의해 변경할 수 있다. 즉, 리턴 배관으로부터 서브측 수용부로 되돌아가는 리턴 연료의 양을, 유로 단면적 변경 수단에 의해 감소시키는 것(리턴 배관을 완전히 폐색(閉塞)하는 것을 포함한다)을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송출 수단으로부터 외부로 송출되는 연료량을 더 많이 확보할 수 있으므로, 연료 펌프의 소형화나, 소비 전력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유로 단면적 변경 수단에 의해 리턴 배관을 완전히 폐색한 경우에는, 리턴 연료의 양이 제로가 되기 때문에, 연료 펌프의 소형화나 소비 전력의 저감을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서는, 또한, 상기 연료 이송 유로와 상기 리턴 배관을 연통시킴으로써 연료 이송 유로 내의 유체의 일부를 리턴 배관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연통부를 갖는다.
이 연통부에 의해, 연료 이송 유로 중의 유체의 일부를 리턴 배관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연료 이송 유로 내에 기체가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 기체를, 연통부로부터 리턴 배관으로 보내고, 또한, 서브측 수용부로 보낼 수 있다. 즉, 기체가 메인측 수용부로 보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3 태양에서는, 제2 태양에 있어서, 상기 리턴 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연통부와 접속된 제트 펌프를 갖는다.
따라서, 리턴 배관에 흐르는 연료에 의해 제트 펌프로 부압(負壓)을 발생시키고, 이 부압을, 연통부를 통하여 연료 이송 유로 내에 작용시킴으로써, 연료 이송 유로 중의 유체의 일부(예를 들면 기체)를 효과적으로 리턴 배관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트 펌프의 구동시에 있어서, 연료 이송 유로에서 메인측 수용부로부터 서브측 수용부로 향하는 연료의 흐름이 생기는 것이 상정된다. 이 연료의 흐름은, 연료 이송 유로에 있어서의 본래적인 연료의 흐름과 역방향이며(이하에서는, 「역흐름」이라고 한다), 유로 단면적 변경 수단에 의해 리턴 배관의 유로의 단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제트 펌프의 구동력이 저하되므로, 이 역흐름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연료 송출 수단에 의한 효율적인 연료 송출이 가능해져, 연료 펌프의 소형화,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4 태양에서는, 제2 태양에 있어서, 상기 유로 단면적 변경 수단이, 상기 연료 이송 유로의 액위 상승에 의해 상기 단면적을 감소시킨다.
즉, 연료 이송 유로 내에 기체가 존재하여, 액위가 저하되어 있을 때에는, 유로의 단면적이 충분히 확보되므로, 연료 이송 유로 내의 기체를, 연통부로부터 리턴 배관으로 효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연료 이송 유로 내에 기체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또는 기체의 양이 적어진 상태)에서는, 유로 단면적 변경 수단이, 리턴 배관의 유로의 단면적을 감소시키므로, 연료 이송 유로로부터 리턴 배관으로의 연료 이동을 억제할 수 있어(바람직하게는 연료 이동을 제로로 할 수 있어), 메인측 수용부로 효율적으로 연료를 이송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연료 이송 유로로부터의 기체의 제거와, 연료 이송 유로를 통한 서브측 수용부로부터 메인측 수용부로의 효율적인 연료 이송을 양립시킬 수 있다.
제5 태양에서는, 제4 태양에 있어서, 상기 유로 단면적 변경 수단이, 상기 연료 이송 유로 내의 연료에 뜨는 플로트와, 상기 플로트의 상하동에 따라 상기 단면적을 변경하는 밸브체를 가지는 플로트 밸브이다.
즉, 플로트가 연료에 뜨는 성질을 이용하여, 연료 이송 유로 내의 연료 액위가 상승하면, 밸브체가 리턴 배관의 유로의 단면적을 감소시킨다. 플로트 및 밸브체를 사용한 간단한 구조로, 유로 단면적 변경 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
제6 태양에서는, 제4 또는 제5 태양에 있어서, 상기 연료 이송 유로가 상기 연료 펌프에 접속되어, 연료 펌프의 구동에 의해 상기 서브측 수용부로부터 상기 메인측 수용부로 연료가 이송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연료 이송 유로에 기체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연료펌프가 구동되면, 리턴 배관에 흐르는 연료에 의해 제트 펌프도 구동되어, 연료 이송 유로의 기체를 리턴 배관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연료 이송 유로 내의 연료의 액위 상승에 의해, 리턴 배관의 유로의 단면적이 감소된다. 이것에 의해, 연료 이송 유로 내에 기체가 존재하지 않는(또는 적어진) 상태에서는, 송출 수단으로부터 외부로 송출되는 연료량을 더 많이 확보할 수 있다.
제7 태양에서는, 제2∼제6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 자루 형상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수용부의 각각에 배치되어, 내부로 연료가 유입될 때 연료로부터 이물을 제거함과 함께, 일부 또는 전부가 연료에 침지된 상태로 표면에 연료에 의한 오일막이 형성되는 복수의 연료 필터를 가지고, 상기 이송 배관이, 복수의 상기 연료 필터의 사이에서 연료를 이송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송출 배관이, 복수의 상기 연료 필터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연료를 송출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연료가 연료 필터를 통과할 때, 이물이 제거된다. 그리고, 이송 배관에 의해, 복수의 연료 필터의 사이에서 연료를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송출 배관을 통하여, 연료 필터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외부로 연료를 송출할 수 있다.
연료 필터는,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연료에 침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표면에 연료의 오일막이 형성되므로, 연료 필터 내의 연료가 유출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연료 소비를 억제하여, 연료를 외부에 송출할 수 있다.
제8 태양에서는, 제1∼제7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유로 단면적 변경 수단이, 상기 연료 펌프의 구동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단면적을 감소시킨다.
연료 펌프의 구동 개시 직후는, 리턴 배관의 유로의 단면적을 큰 상태로 하여, 소정 시간 경과 후에, 단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연료 이송 유로 내의 기체를 리턴 배관으로 이동시킨 후, 리턴 배관으로부터 서브측 수용부로 되돌아가는 리턴 연료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처럼, 연료 이송 유로로부터의 기체의 배출과, 연료 펌프의 구동에 의한 연료의 송출을 간단한 구성으로 양립시킬 수 있다.
또한, 리턴 배관의 유로의 단면적의 변경을 위하여, 예를 들면 이송 배관 내의 액위 검출 등을 행하는 것이 불필요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리턴 배관의 유로의 단면적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연료 펌프의 구동으로 외부로 송출되는 연료의 일부를 연료 펌프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수용부로 되돌리는 구성에 있어서, 연료 펌프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연료 공급 장치를 연료 탱크 본체의 전체구성과 함께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연료 공급 장치를 도 1의 2A부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연료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제트 펌프 및 그 근방을 도 1의 2B부에 있어서 플로트 밸브의 개방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연료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제트 펌프 및 그 근방을 도 2b의 2C-2C 단면에 있어서 플로트 밸브의 개방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연료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제트 펌프 및 그 근방을 도 2b의 2D-2D 단면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e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연료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제트 펌프 및 그 근방을 플로트 밸브의 폐쇄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f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연료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제트 펌프 및 그 근방을 도 2e의 2F-2F 단면에 있어서 플로트 밸브의 폐쇄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연료 공급 장치의 제1 서브 컵을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연료 공급 장치의 제2 서브 컵을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연료 공급 장치의 제2 서브 컵에 설치되는 플로트 밸브를 수평 방향의 단면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연료 공급 장치를 제2 수용부 내의 연료가 적은 상태에서 연료 탱크 본체의 전체 구성과 함께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연료 공급 장치를 제2 수용부 내에 연료가 없는 상태에서 연료 탱크 본체의 전체 구성과 함께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연료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제트 펌프 및 그 근방을 플로트 밸브의 개방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내는 일부 파단 평면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연료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제트 펌프 및 그 근방을 플로트 밸브의 개방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 7a의 7B-7B선 단면도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연료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제트 펌프 및 그 근방을 플로트 밸브의 폐쇄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연료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제트 펌프 및 그 근방을 플로트 밸브의 개방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내는 일부 파단 평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연료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제트 펌프 및 그 근방을 플로트 밸브의 개방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 8a의 8B-8B선 단면도이다.
도 8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연료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제트 펌프 및 그 근방을 플로트 밸브의 폐쇄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연료 공급 장치를 연료 탱크 본체의 전체구성과 함께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연료 공급 장치(12)의 개략 구성이 나타내어져 있다. 또, 도 2a∼도 4b에는, 연료 공급 장치(12)가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내어져 있다. 도 2b∼도 4b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연료를 생략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연료 탱크 본체(14) 내에 연료(GS)가 적절히 존재하고 있다.
연료 공급 장치(12)는, 연료(GS)가 수용되는 연료 탱크 본체(14)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연료 탱크 본체(14)는, 폭 방향의 양측의 2개의 저(低)위치부(34A, 34B)와, 이 저위치부(34A, 34B)의 사이에 있어서, 저위치부(34A, 34B)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형성된 고위치부(36)를 가지고 있다. 즉 연료 탱크 본체(14)는, 단일의 고위치부(36)에 대하여, 그 양측에 저위치부(34A, 34B)가 형성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제1 연료 수용부(38M)와 제2 연료 수용부(38S)를 가지는 안장형 연료 탱크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연료 수용부(38M)가 제2 연료 수용부(38S)보다 대형으로 형성된 예를 제시하고 있으나, 이들의 상대적인 용적의 대소 관계는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연료 수용부(38M)와 제2 연료 수용부(38S)가 동일한 정도의 용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하에 있어서, 특히 제1 연료 수용부(38M)와 제2 연료 수용부(38S)를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간단히 연료 수용부(38)로서 설명한다.
제1 연료 수용부(38M) 측의 상부에는 도시 생략한 인렛 파이프가 구비되어 있어, 제1 연료 수용부(38M)에 급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 연료 수용부(38M)와 제2 연료 수용부(38S)의 사이[고위치부(36)의 하방]에는, 자동차를 구성하는 부재, 예를 들면 트랜스 액슬 등이 배치되어 있어,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이 의도되어 있다.
제1 연료 수용부(38M)에는 제1 서브 컵(15M)이 배치되고, 제2 연료 수용부(38S)에는 제2 서브 컵(15S)이 배치되어 있다. 제1 서브 컵(15M)과 제2 서브 컵(15S)은, 제1 연료 수용부(38M)와 제2 연료 수용부(38S)의 용량에 대응시켜 크기가 다르지만, 본질적인 구성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하, 특히 제1 서브 컵(15M)과 제2 서브 컵(15S)을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서브 컵(15)으로서 설명한다.
서브 컵(15)은, 연료 필터(16)를 가지고 있다. 이하에 있어서, 제1 서브 컵(15M)의 제1 연료 필터(16M)와, 제2 서브 컵(15S)의 제2 연료 필터(16S)를 필요에 따라 구별하지만, 구별의 필요가 없을 때에는, 간단히 연료 필터(16)로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a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 필터(16)는, 그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연료(GS)를 통과시키지만(화살표 F1 및 F2 참조), 그때 연료 중의 이물을 제거하고, 연료 필터(16)의 내부로의 이물의 유입을 억제하는 작용을 가지는 재료 (예를 들면 직포, 부직포, 다공질성 수지 등)로 대략 자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료 필터(16)를 통과한 연료(GS)를, 내부에 저류시킬 수 있다.
또한, 연료 필터(16)의 적어도 일부가 연료 수용부(38) 내의 연료에 침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연료 필터(16)의 표면에, 연료(GS)에 의한 오일막(LM)이 형성되어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특히, 2매의 동(同)형상(예를 들면 사각 형상 등의 다각 형상이여도 되고, 원형이나 타원형 등이어도 된다)의 부직포를 이들의 주위에서만 접합하고, 상면 여포(濾布)(16U)와 하면 여포(16L)가 각각 상하로 볼록하도록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면 여포(16U)와 하면 여포(16L)의 사이에, 연료(GS)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구성되어 있다.
상면 여포(16U) 및 하면 여포(16L)의 재질은, 상기한 부직포에 한정되지 않으며, 직포나 스펀지 형상의 부재, 메시 형상의 부재 등이어도 문제없다.
연료 필터(16)[특히 하면 여포(16L)]는, 연료 탱크 본체(14)의 저벽(底壁)(14B)을 따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도 1, 도 3 및 도 4a에 화살표 F1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벽(14B)과의 간극을 통하여 연료(GS)를 연료 필터(16) 내에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연료 필터(16)를 저벽(14b)을 따라 연장 시키고 있어, 연료 수용부(38) 내의 연료(GS)가 적어졌을 때나, 치우쳤을 때 등에도, 더 확실하게 연료 필터(16)의 일부가 연료(GS)에 침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특히, 상면 여포(16U)와 하면 여포(16L)는 다른 재질로 되어 있고, 상면 여포(16U)의 압력 손실이 하면 여포(16L)의 압력 손실보다 커지도록, 이들 여포의 재질이 선택되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 「압력 손실」은, 상면 여포(16U) 또는 하면 여포(16L)를 연료(GS)가 통과할 때[예를 들면 후술하는 연료 펌프 본체(42)의 구동시]의, 통과 전후의 압력 차이이다. 따라서, 하면 여포(16L)는 상면 여포(16U)보다 상대적으로 연료(GS)를 통과시키기 쉽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처럼 압력 손실에 차이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면 여포(16U)는, 하면 여포(16L)보다 부직포의 공극의 총 면적이 작은 구조로 되어 있다. 단, 상면 여포(16U)와 하면 여포(16L)의 압력 손실은 동일한 정도여도 된다.
상면 여포(16U)와 하면 여포(16L)의 사이에는, 공간 구성 부재(46)가 배치되어 있다. 공간 구성 부재(46)는, 상하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골(上骨) 부재(46U)와 하골 부재(46L)를 가지고 있다. 이 공간 구성 부재(46)에 의해, 제1 서브 컵(15M)의 제1 연료 필터(16M)에서는 상면 여포(16U)가 위로 볼록하게 만곡하고, 하면 여포(16L)가 아래로 볼록하게 만곡하는 형상을 유지함으로써, 이들의 사이에, 연료(GS)를 저류하기 위한 공간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특히 제2 서브 컵(15S)의 제2 연료 필터(16S) 내에서는, 도 4a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골 부재(46U)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돌출된 지주(46P)에 의해, 상골 부재(46U)와 하골 부재(46L)의 사이가 넓게 뚫려 있다. 이것에 의해, 상면 여포(16U)와 하면 여포(16L)의 사이에는, 제1 서브 컵(15M)의 제1 연료 필터(16M)보다 큰 간격이 구성되어 있다.
연료 필터(16)의 상방에는, 저류 부재(18)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에 있어서, 제1 서브 컵(15M)의 제1 저류 부재(18M)와 제2 서브 컵(15S)의 제2 저류 부재(18S)를 필요에 따라 구별하지만, 구별의 필요가 없을 때에는, 간단히 저류 부재(18)로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저류 부재(18)는, 연료 필터(16)의 가장자리 부분부터 수직으로 세워 설치된 통 형상의 측벽통(20)을 가지고 있다. 측벽통(20)의 하면은, 연료 필터(16)의 외주 부분에 접합(예를 들면 용착)되어 있다. 서브 컵(15)은, 연료 필터(16)와 저류 부재(18)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측벽통(20)이 저류 부재(18)의 주연부가 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측벽통(20)의 하부에 접합편(26)이 형성되어 있다. 접합편(26)은, 측벽통(20)과 연료 필터(16)의 접합 면적을 증대시켜 접합 강도를 향상시킴과 함께, 하면 여포(16L)를 통하여 연료 필터(16) 내에 연료(GS)가 유입할 때의 연료 필터(16)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 접합편(26)은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측벽통(20)의 상단으로부터는, 평면에서 보아 중앙을 향하여, 덮개판부(22)가 연장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측벽통(20)과 덮개판부(22)에 더하여, 연료 필터(16)의 상면 여포(16U)에 의해, 저류 부재(18)가 구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저류 부재(18)의 바닥부가, 상면 여포(16U)에 의해 구성되어 있게 된다.
저류 부재(18) 내에는, 연료 필터(16)의 상방에 있어서 연료(GS)를 저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덮개판부(22)의 중앙부에는, 덮개판부(22)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유입 구멍(24)이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a에 화살표 F3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유입 구멍(24)을 통하여, 제1 연료 수용부(38M) 및 제2 연료 수용부(38S)의 연료(GS)가, 각각 제1 저류 부재(18M) 및 제2 저류 부재(18S)의 내부로 유입된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연료 수용부(38M)의 제1 서브 컵(15M)의 상방에는 연료 펌프 모듈(32)이 구비되어 있다. 연료 펌프 모듈(32)은, 연료 펌프 본체(42)를 가지고 있다. 연료 펌프 본체(42)로부터는 하방을 향하여 연료 흡인 배관(44A)이 연장 돌출되어 있다. 연료 흡인 배관(44A)의 하단은, 제1 저류 부재(18M)의 유입 구멍(24)에 삽입 통과되고, 또한 제1 연료 필터(16M)의 상면 여포(16U)를 관통하여, 연료 필터(16) 내에 개구되어 있다.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연료 수용부(38M)의 제1 서브 컵(15M)에서는 유입 구멍(24)의 내측 치수는, 연료 흡인 배관(44A)의 외경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유입 구멍(24)의 구멍 테두리는 연료 흡인 배관(44A)과는 비접촉으로 되어 있고, 이들의 간극(28)을 통하여, 화살표 F3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저류 부재(18M)의 내부에 연료(GS)가 유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연료 펌프 본체(42)로부터 상방에는 연료 토출 배관(44B)이 연장 돌출되어 있다. 연료 토출 배관(44B)은, 연료 탱크 본체(14)의 상벽(14T)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연료 펌프 본체(42)의 구동에 의해, 연료흡인 배관(44A)에서 연료를 흡인하고, 연료 토출 배관(44B)으로부터, 도시 생략한 엔진에 연료(GS)를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연료 송출 배관(44)은, 연료 흡인 배관(44A)과 연료 토출 배관(44B)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연료 토출 배관(44B)의 도중에는, 프레셔 레귤레이터(48)가 배치되어 있다. 프레셔 레귤레이터(48)는, 연료 펌프 본체(42)로부터 송출되는 연료(GS)의 압력이 소정 범위가 되도록 압력 조정하여, 연료(GS)를 외부(기관 등)으로 송출한다.
프레셔 레귤레이터(48)에는, 리턴 배관(50)의 상단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한 압력 조정시에 잉여가 된 연료(GS)를, 리턴 연료로서, 리턴 배관(50)을 통하여 연료 탱크 본체(14) 내로 되돌린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연료 수용부(38M)의 제1 저류 부재(18M) 내에 리턴 배관(50)의 하단이 위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리턴 연료를 제1 저류 부재(18M) 내로 되돌림으로써, 제1 저류 부재(18M) 내에 연료(GS)가 저류된 상태를 더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연료 흡인 배관(44A)의 중간 부분에는 합류부(44J)가 설정되어 있다. 합류부(44J)와 제2 연료 수용부(38S)의 제2 연료 필터(16S) 내는, 연료 이송 배관(52)과 접속되어 있다. 즉, 연료 펌프 본체(42)의 연료 흡입구(도시 생략)에, 연료 흡인 배관(44A)의 일부를 통하여, 연료 이송 배관(52)이 접속되어 있다. 실질적으로, 연료 흡인 배관(44A) 중 합류부(44J)보다 제1 연료 필터(16M)측(하측)의 부분과, 연료 이송 배관(52)으로, 본 발명의 연료 이송 유로가 구성되어 있다.
이처럼, 연료 펌프 본체(42)의 연료 흡입구에 연료 이송 배관(52)(연료 이송 유로)이 접속되어 있으므로, 연료 펌프 본체(42)의 구동에 의해, 제2 연료 필터(16S) 내의 연료(GS)를 연료 이송 배관(52)을 통하여 흡인할 수 있다. 그리고, 흡인한 연료(GS)를, 합류부(44J)로부터 연료 흡인 배관(44A)에 합류시킨다. 따라서, 제2 연료 수용부(38S)의 제2 연료 필터(16S) 내의 연료(GS)를, 제1 연료 수용부(38M)의 제1 연료 필터(16M) 내에 이송하거나, 연료 토출 배관(44B)으로부터 외부로 송출할 수 있다.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연료 수용부(38S)의 제2 저류 부재(18S)에도, 유입 구멍(24)이 형성되어 있다. 유입 구멍(24)의 내측 치수는, 연료 이송 배관(52)의 외경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유입 구멍(24)의 구멍 테두리는 연료 이송 배관(52)은 비접촉이 되어 있고, 화살표 F3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의 간극(28)을 통하여 제2 저류 부재(18S)의 내부에 연료(GS)가 유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연료 흡인 배관(44A)[특히, 연료 흡인 배관(44A)의 하단으로부터 합류부(44J)까지의 부분]의 압력 손실은, 연료 이송 배관(52)의 압력 손실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연료 흡인 배관(44A)에 있어서의 연료(GS)의 유동 저항이, 연료 이송 배관(52)에 있어서의 연료의 유동 저항보다 커져 있다. 따라서, 연료 펌프 본체(42)의 구동에 의해, 제1 연료 필터(16M)와 제2 연료 필터(16S)의 쌍방으로부터 연료(GS)를 흡인 가능한 경우에, 먼저, 제2 연료 필터(16S) 내로부터 우선적으로 연료(GS)가 흡인된다.
연료 이송 배관(52)에는, 제2 연료 필터(16S) 내의 부분에, 플로트 밸브(54)가 배치되어 있다. 플로트 밸브(54)는, 도 2a에도 상세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연료 필터(16S) 내의 연료(GS)에 뜨는 비중으로 된 플로트부(54F)와, 이 플로트부(54F)의 상부에 배치된 원판 형상의 밸브부(54B)를 가지고 있다. 밸브부(54B)와 플로트부(54F)는 연결부(54C)로 연결되어 있다.
연료 이송 배관(52)에는 밸브 시트(58)가 형성되고, 밸브 시트(58)의 중앙에 관통 구멍(56)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56)에는 연결부(54C)가 삽입 통과되어 있고, 밸브 시트(58)의 상방에 밸브부(54B)가 위치하고 있다.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연료 필터(16S) 내에 소정량을 초과하는 연료(GS)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플로트부(54F)가 연료(GS)에 뜨기 때문에, 밸브부(54B)는 밸브 시트(58)로부터 멀어진다. 플로트 밸브(54)는 개방되므로, 제2 연료 필터(16S) 내로부터 연료 이송 배관(52)으로 연료가 이동 가능해진다.
또한, 도 4a 및 도 4b에 상세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로트부(54F)의 상면에는 복수의 리브(60)가 형성되어 있다. 리브(60)는, 플로트부(54F)가 부유해도 당해 플로트부(54F)가 밸브 시트(58)의 하면에 밀착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플로트부(54F)와 밸브 시트(58)의 사이에, 연료(GS)가 통과 가능한 간극이 생긴다. 복수의 리브(60)는 서로 이간되어 있고, 플로트부(54F)가 상승한 상태에서는, 리브(60)의 간극을 연료(GS)가 이동한다.
이에 대하여, 제2 연료 필터(16S) 내의 연료(GS)가 소정량 이하의 경우[연료(GS)가 존재하고 있지 않은 경우도 포함한다]에는, 플로트부(54F)가 강하하기 때문에, 밸브부(54B)가 밸브 시트(58)의 상면에 밀착한다. 플로트 밸브(54)가 폐쇄되므로, 제2 연료 필터(16S) 내의 기체 성분은, 연료 이송 배관(52)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또한, 이 「소정량」이란, 제2 연료 필터(16S) 내에 기체 성분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이 기체 성분이 연료 이송 배관(52)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있는 문턱값을 말한다.
제2 연료 수용부(38S)의 공간 구성 부재(46)에는, 통 형상의 안내 부재(62)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 부재(62)는, 플로트부(54F)를 주위에서 둘러싸고 있어, 플로트부(54F)가 상하동할 때, 부주의하게 가로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상하로 안내하고 있다. 안내 부재(62)는 연통 구멍(62H)이 형성되어 있고, 안내 부재(62)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의 연료(GS)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 펌프 본체(42)에는, 연료 펌프 본체(42) 내의 연료(GS)의 일부를[감압 비등 등으로 생긴 베이퍼(기체 성분)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베이퍼와 함께] 배출하는 베이퍼 배출구(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이 베이퍼 배출구에는, 베이퍼 배출관(64)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베이퍼 배출관(64)의 타단은, 도 4a에 상세히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저류 부재(18S) 내[상면 여포(16U)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연료 펌프 본체(42) 내의 연료의 일부는, 제2 저류 부재(18S) 내로 배출된다. 이처럼, 본 실시형태의 베이퍼 배출관(64)은, 연료 펌프 본체(42) 내의 연료의 일부를 제2 연료 수용부(38S)로 되돌리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배관이며, 본 발명의 리턴 배관의 일례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베이퍼 배출관(64)은, 고위치부(36)의 상방에 있어서, 연료 이송 배관(52)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연료 이송 배관(52)의 중간 부분과 베이퍼 배출관(64)의 중간 부분은 접근하여 배치되어 있고, 이 접근 부분(66)[연료 이송 배관(52)의 가장 높은 위치]에 있어서, 연료 이송 배관(52)과 베이퍼 배출관(64)이 연통부(74)로 연통되어 있다.
베이퍼 배출관(64)에는, 연통부(74)의 상방의 위치에 제트 펌프(68)가 설치되어 있다. 도 2b에 상세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트 펌프(68)는, 베이퍼 배출관(64)을 접근 부분(66)에 있어서 국소적으로 지름 확대한 확경부(70)를 구비하고 있다. 확경부(70) 내에서는, 이 확경부(70)보다 연료 펌프 본체(42) 측의 베이퍼배출관(64)이 연장 돌출되고, 연출단에는 스로틀부(72)가 형성되어 있다.
도 2b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퍼 배출관(64)을 화살표 F5 방향으로 흐르는 유체(베이퍼 및 연료)가, 스로틀부(72)의 스로틀 개구(72H)로부터 확경부(70)에 도달하면, 확경부(70) 내에 부압이 생긴다. 이 부압이, 연통부(74)를 통하여 연료 이송 배관(52)에 작용한다. 이 때문에, 제2 연료 필터(16S) 내의 연료(GS)를 연료 이송 배관(52)에 의해 흡인하는데 있어서, 연료 펌프 본체(42)의 흡인력뿐만 아니라, 제트 펌프(68)의 부압에 의한 흡인력도 제2 연료 필터(16S) 내의 연료(GS)에 작용한다.
또, 연통부(74)를 통하여, 연료 이송 배관(52) 내의 유체의 일부가, 베이퍼 배출관(64)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특히, 연료 이송 배관(52) 내에 기체가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 기체를, 제트 펌프(68)의 부압에 의한 흡인으로 베이퍼 배출관(64) 내로 이동시키는 작용을 가지고 있다.
또, 연료 이송 배관(52) 내를 화살표 F6 방향으로 이송되는 연료(GS)에 기포 등의 기체 성분이 존재하고 있어도, 베이퍼 배출관(64)이 연료 이송 배관(52)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기포 등을 연통부(74)를 통하여 베이퍼 배출관(64)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베이퍼 배출관(64)으로 이동한 기체는, 베이퍼 배출관(64)을 통하여, 제2 저류 부재(18S) 내로 배출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료 이송 배관(52)과 베이퍼 배출관(64)의 접근 부분을, 연료 이송 배관(52)의 가장 높은 위치에 설치하고, 이 접근 부분에 연통부(74)를 배치하고 있다. 즉, 제트 펌프(68)가, 연료 이송 배관(52)의 가장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연료 이송 배관(52) 내의 기체를, 효과적으로 베이퍼 배출관(64)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b∼도 2f에 상세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통부(74) 내에는, 플로트 밸브(76)가 수용되어 있다. 플로트 밸브(76)는, 연료(GS)에 뜨는 비중을 가지는 플로트(76F)와, 이 플로트(76F)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밸브체(76B)를 가지고 있다.
도 2b 및 도 2c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연통부(74)에 연료(GS)가 존재하고 있지 않고, 플로트(76F)가 하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밸브체(76B)가 스로틀부(72)의 스로틀 개구(72H)를 개방한다. 이 상태에서는, 베이퍼 배출관(64)에 있어서 화살표 F5 방향으로 유체[연료(GS)]의 흐름이 생기므로, 제트 펌프(68)는 본래적인 작용을 갖는다.
이에 대하여, 도 2e 및 도 2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통부(74)와 연료(GS)의 액위가 상승하여, 플로트(76F)가 상방으로 이동한[연료(GS)에 뜬) 상태에서는, 밸브체(76B)가 스로틀부(72)의 스로틀 개구(72H)를 폐색한다. 이것에 의해, 베이퍼 배출관(64)에 있어서의 화살표 F5 방향의 유체[연료(GS)]의 흐름을 멈출 수 있으므로, 제트 펌프(68)는 기능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플로트 밸브(76)는, 베이퍼 배출관(64)의 유로의 단면적을 변경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유로 단면적 변경 수단」의 일례이다.
연통부(74)에는, 플로트(76F)를 수용하는 플로트 수용실(78)이 형성되어 있다. 플로트 수용실(78)의 측벽(78S)은 플로트(76F)를 측면측에서 포위하고 있어,플로트(76F)가 가로 방향으로 어긋나지 않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이드의 역할을 가지고 있다. 플로트 수용실(78)의 저벽(78B)은, 하방으로 이동한 플로트(76F)를 지지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다.
플로트(76F)의 상면(76T)에는, 밸브체(76B)를 둘러싸는 고리형의 시일부(80)가 형성되어 있다. 도 2e 및 도 2f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시일부(80)는, 플로트(76F)의 상승에 의해 밸브체(76B)가 스로틀 개구(72H)를 폐색한 상태에서, 연통부(74)의 상벽(74T)에 밀착된다. 이것에 의해, 연료 이송 배관(52)으로부터,플로트(76F)의 상면(76T)과 연통부(74)의 상벽(74T)과의 간극을 통과하는 유체[연료(GS)]의 흐름이 저지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연료 공급 장치(12)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 탱크 본체(14) 내에 충분한 양의 연료(GS)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예를 들면, 연료 액면(LS)가 고위치부(36)보다 높은 상태]에서는, 제1 연료 수용부(38M) 및 제2 연료 수용부(38S)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간극(28)을 통하여 연료(GS)가 저류 부재(18) 내에 유입하기 때문에, 저류 부재(18) 내에는 연료(GS)가 저류되어 있다. 또, 이 상태에서는, 도 2a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서브 컵(15S)의 제2 연료 필터(16S) 내에도 소정량을 넘는 연료(GS)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플로트 밸브(54)가 상승하여 있다. 이것에 의해, 화살표 F7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 필터(16) 내로부터 연료 이송 배관(52)으로의 연료(GS)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연료 펌프 본체(42)가 구동되면, 제1 연료 필터(16M) 내의 연료(GS)가, 도 3에 화살표 F0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 흡인 배관(44A)을 통하여 빨아올릴 수 있다. 이것과 함께, 도 2a에 화살표 F6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연료 필터(16S) 내의 연료(GS)가, 연료 이송 배관(52)으로부터 빨아올려져, 합류부(44J) 및 연료 흡인 배관(44A)을 거쳐 이송된다. 그리고, 연료 토출 배관(44B)으로부터, 도시 생략한 기관 등에 연료(GS)가 공급된다. 이때, 제1 서브 컵(15M) 및 제2 서브 컵(15S)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연료 필터(16)에 의해, 연료 중의 이물이 제거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특히, 하면 여포(16L)의 압력 손실이 상면 여포(16U)의 압력 손실보다 낮아져(작아져)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하면 여포(16L)에 더 많은 연료(GS)가 통과하여, 화살표 F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 필터(16) 내로 유입된다. 또, 저류 부재(18) 내에는, 화살표 F3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간극(28)을 통하여 연료 탱크 본체(14) 내의 연료(GS)가 유입된다.
이때, 연료 필터(16)의 적어도 일부가 연료 중에 침지되어 있으면, 표면의 오일막(LM)이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연료의 송출에 필요한 에너지는, 오일막의 표면 장력에 의해, (기상으로부터의 기체 흡인) > (액상으로부터의 연료 흡인)의 관계가 되기 때문에, 연료 필터(16) 내에는 액체 성분의 연료(GS)만이 흡인되어 유입된다. 그리고, 이들의 상태에서는, 연료 펌프 모듈(32)의 구동에 의해, 연료 필터(16) 내의 연료(GS)를 외부로 송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료 흡인 배관(44A)의 압력 손실이, 연료 이송 배관(52)의 압력 손실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연료 펌프 본체(42)의 구동에 의해, 제1 연료 필터(16M) 내보다, 제2 연료 필터(16S) 내로부터 우선적으로 연료(GS)가 흡인된다. 이처럼, 제2 서브 컵(15S) 내의 연료(GS)를 제1 서브 컵(15M) 내의 연료(GS)보다 우선적으로 외부로 송출함으로써, 제2 연료 수용부(38S) 내보다, 제1 연료 수용부(38M) 내에 더 확실하게 연료(GS)를 유지할 수 있다.
차량의 언덕길 주행이나 가감속, 선회 등으로, 연료 탱크 본체(14)의 연료(GS)가 일방으로 치우침과 함께 연료 액면(LS)이 경사진 경우에는, 제1 연료 수용부(38M)에, 상대적으로 많은 연료(GS)가 남아 있으므로, 연료 액면 경사 시에 있어서 연료 소비의 발생을 방지하는데 효과가 더 높아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연료 수용부(38S)로부터 연료(GS)가 우선적으로 송출되면,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연료 수용부(38S)의 연료량이 제1 연료 수용부(38M)의 연료량보다 적어지는 것이 상정된다. 그러나, 제2 연료 필터(16S)의 적어도 일부[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면 여포(16L)]가 연료(GS)에 침지되어 있으면, 제2 연료 필터(16S)의 표면에, 연료에 의한 오일막(LM)이 형성되어 유지되어 있다.
또, 제2 저류 부재(18S)의 바닥부는, 연료 필터(16)의 상면 여포(16U)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저류 부재(18S) 내에 연료가 존재하고 있으면, 제2 연료 필터(16S)의 일부가 연료(GS)에 침지된 상태가 유지되어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제2 연료 필터(16S)의 표면에 형성된 오일막(LM)이, 계속해서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서브 컵(15S)에 있어서, 제2 연료 필터(16S) 내의 오일막(LM)이 끊어지는 것이 억제되어, 저류 부재(18) 내의 연료(GS)가 유입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연료 공급 장치(12)에서는, 제2 서브 컵(15S)의 제2 연료 필터(16S)의 오일막(LM)을 더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제2 연료 필터(16S) 내에 부주의하게 기체가 유입되는 것이 억제된다. 즉, 연료 펌프 본체(42)의 구동에 의해, 제2 연료 수용부(38S)의 연료(GS)를 더 많이(바람직하게는 모두)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연료 액면 경사시에 연료(GS)가 제1 연료 수용부(38M)로부터 제2 연료 수용부(38S)로 이동한 경우에도, 제2 연료 수용부(38S)의 제2 연료 필터(16S)로부터 연료 펌프 본체(42)까지의 경로를 액밀(液密) 상태(기체 성분이 존재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기체 성분이 존재하고 있으면, 연료 펌프 본체(42)의 구동시에 기체 성분을 배출할 필요가 생기기 때문에, 연료의 송출에 긴 시간을 요할(응답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료 펌프 본체(42)의 구동으로부터 단시간에 연료(GS)를 외부로 송출할 수 있다(연료 송출의 응답성이 높다).
여기서, 예를 들면, 이 연료 공급 장치(12)가 탑재된 자동차의 초기 상태(공장 출하시 등)를 상정한다. 이 상태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연료 수용부(38M)에만 연료(GS)가 존재하고, 제2 연료 수용부(38S){제2 서브 컵(15S)의 내부[연료 필터(16)를 포함한다]} 및 연료 이송 배관(52)에는 연료(GS)가 존재하고 있지 않은 상태가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도 2b 및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로트 밸브(76)는 하방으로 이동하고, 밸브체(76B)는 스로틀 개구(72H)를 개방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연료 펌프 본체(42)가 구동되면, 제1 연료 필터(16M) 내에는 연료(GS)가 존재하고 있으므로, 이 연료(GS)를 외부로 송출할 수 있다. 그리고, 연료 펌프 본체(42)로부터는, 연료의 일부가 베이퍼 배출관(64)을 화살표 F5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흘러 제2 저류 부재(18S) 내로 유출된다. 이것에 의해, 제2 연료 필터(16S) 내에도 단시간에 연료(GS)가 저류되어, 제2 연료 필터(16S)의 표면에 단시간에 오일막(LM)이 형성된다. 이 때문에, 제2 연료 필터(16S)로부터 연료 이송 배관(52)을 통한 기체 성분의 흡입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료 이송 배관(52)에는, 제2 연료 필터(16S) 내의 부분에, 플로트 밸브(54)가 배치되어 있다. 제2 연료 필터(16S) 내에 소정량을 초과하는 연료(GS)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플로트 밸브(54)는 개방되어 있지만 (도 2a 참조), 제2 연료 필터(16S) 내의 연료(GS)가 소정량 이하의 상태에서는,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로트 밸브(54)는 강하되어 있고, 연료 이송 배관(52)의 하단 부분은 닫힌다. 이 때문에, 상기한 초기 상태 등에 있어서, 제2 연료 필터(16S)로부터 연료 이송 배관(52)을 통하여 기체 성분을 흡인하는 것을, 더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또, 플로트 밸브(54)는, 연료 이송 배관(52)에 있어서, 제2 연료 필터(16S) 내의 최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플로트 밸브(54)가 최하단부 이외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면, 최하단부와 플로트 밸브(54)의 사이의 부분[연료 이송 배관(52)의 일부]에 기체 성분이 존재하고, 이것이 소위 사(死)가스가 되어 연료 펌프 본체(42)로 보내질 우려가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러한 사가스의 발생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처럼 연료 이송 배관(52) 내에 기체 성분이 유입하는 것을 억제하고 있어도, 상기한 초기 상태(공장 출하시)나, 제2 연료 수용부(38S)의 연료가 매우 적어진 경우에는, 기체 성분이 연료 이송 배관(52)에 존재하고 있다고 상정된다.
본 실시 형태의 연료 공급 장치(12)에서는, 연통부(74)에 플로트 밸브(76)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2b 및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 이송 배관(52)[연통부(74)]에 연료(GS)가 존재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플로트 밸브(76)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밸브체(76B)가 스로틀 개구(72H)를 개방하고 있다(리턴 배관(50)에 있어서의 유로의 단면적이 충분히 확보되어 있다).
따라서, 베이퍼 배출관(64)을 화살표 F5 방향으로 흐르는 연료(GS)에 의해, 제트 펌프(68)가 기능하기 때문에, 연료 이송 배관(52) 내의 기체를, 연통부(74)를 통하여 베이퍼 배출관(64)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연료 수용부(38S)로부터 기체 성분이 연료 펌프 본체(42)로 보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연료를 외부로 송출할 때의 응답성이 높아진다.
특히, 연통부(74)는, 연료 이송 배관(52)의 가장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연료 이송 배관(52) 내의 기체를, 효과적으로 베이퍼 배출관(64)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하여, 통상 상태에서는, 도 2e 및 도 2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 이송 배관(52) 내에 충분한 양의 연료(GS)가 존재하고 있어, 플로트 밸브(76)는 상승하여 밸브체(76B)가 스로틀 개구(72H)를 폐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트 펌프(68)로서는 기능하지 않는다. 즉, 스로틀 개구(72H)를 통과하는 연료가 없어지므로, 제트 펌프(68)를 구동하기 위한 연료 펌프 본체(42)의 능력이 불필요해져, 연료 펌프 본체(42)의 소형화, 전력 절약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처럼 밸브체(76B)가 스로틀 개구(72H)를 폐색함으로써, 베이퍼 배출관(64)에 있어서의 화살표 F5 방향의 연료의 흐름이 멈추어져 있다. 연료 펌프 본체(42)의 구동에 의해 제2 연료 수용부(38S) 측으로 되돌려지는 연료가 없어지고, 그 몫을 외부로의 송출 연료로서 추가하여 송출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소형의 연료 펌프 본체(42)여도, 송출 연료의 양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연료 공급 장치(12)에서는, 플로트(76F)가 상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고리형의 시일부(80)가 연통부(74)의 상벽(74T)에 밀착된다. 이것에 의해, 연료 이송 배관(52)으로부터 연통부(74)를 통하여 베이퍼 배출관(64)을 향하는 연료의 이동(화살표 F8 참조)이 저지된다. 예를 들면, 제1 연료 필터(16M) 내의 연료가, 연료 이송 배관(52)을 화살표 F6 방향과 반대로 역류하는 것을 저지하고, 제2 연료 필터(16S)로부터 제1 연료 필터(16M)로의 화살표 F6으로 나타내는 연료의 흐름(본체적인 연료의 이송)을 효과적으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플로트(76F)의 상승에 의해 스로틀 개구(72H)가 폐색[또는 개구(72H)의 단면적이 감소]되어 있으면, 연료 펌프 본체(42)의 소형화, 전력 절약화를 도모하면서, 송출 연료의 양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시일부(80)를 형성하지 않고, 플로트(76F)의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해도 된다.
도 7a∼도 7c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연료 공급 장치(112)가 부분적으로 확대되어 나타내어져 있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연통부 및 플로트 밸브의 구조가 제1 실시 형태와 다르지만, 연료 공급 장치의 전체적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의 연료 공급 장치(12)와 대략 동일하므로, 도시를 생략한다.
도 7b 및 도 7c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연료 이송 배관(52)과 베이퍼 배출관(64)의 교차 부분에 있어서, 베이퍼 배출관(64)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연료 펌프 본체(42)로부터 배출된 연료(GS)는, 제2 실시 형태에서는 교차 부분에 있어서, 화살표 F5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에서 아래로 흐르게 되어 있다.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퍼 배출관(64)을 둘러싸는 원통 형상의 플로트 수용실(114)이, 연료 이송 배관(52)의 상부에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퍼 배출관(64)을 둘러싸는 고리형의 플로트(116F)가 플로트 수용실(114)에 배치되어 있다.
플로트(116F)의 상면에는, 밸브체(116B)가 고정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밸브체(116B)는, 스로틀부(72)의 스로틀 개구(72H)에 하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스로틀 개구(72H)를 폐색 가능한 중앙 줄기부(116T)와, 이 중앙 줄기부(116T)의 하단으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분기하고, 또한 하방으로 굴곡된 복수(도 7a의 예에서는 3개)의 가지부(116S)를 가지고 있다. 가지부(116S)의 선단(하단)은, 플로트(116F)의 상면에 고착되어 있다. 따라서, 밸브체(116B)는, 복수 지점에서 플로트(116F)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플로트(116F)와 밸브체(116B)로 플로트 밸브(116)가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2 실시 형태의 연료 공급 장치(112)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의 연료 공급 장치(12)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는다. 특히, 연료 이송 배관(52)에 기체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로트 밸브(116)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스로틀 개구(72H)를 개방하므로, 연료 이송 배관(52) 내의 기체를, 연통부(74)를 통하여 베이퍼 배출관(64)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베이퍼 배출관(64)으로 이동한 기체는 제2 연료 필터(16S) 내로 배출된다].
이에 대하여, 연료 이송 배관(52)에 연료(GS)가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로트 밸브(116)는 상승하여 밸브체(116B)가 스로틀 개구(72H)를 폐색하고 있기 때문에, 스로틀 개구(72H)를 연료(GS)가 통과하지 않는다. 제트 펌프(68)를 구동하기 위한 연료 펌프 본체(42)의 능력이 불필요해져, 연료 펌프 본체(42)의 소형화, 전력 절약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밸브체(116B)가 스로틀 개구(72H)를 폐색함으로써, 베이퍼 배출관(64)에 있어서의 화살표 F5 방향의 연료(GS)의 흐름이 멈춰지므로, 소형의 연료 펌프 본체(42)여도, 송출 연료의 양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플로트(116F)가 상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고리형의 시일부(80)가 연통부(74)의 상벽(74T)에 밀착함으로써, 연료 이송 배관(52)으로부터 연통부(74)를 통하여 베이퍼 배출관(64)을 향하는 연료의 이동이 저지된다. 제2 연료 필터(16S)로부터 제1 연료 필터(16M)로의 화살표 F6으로 나타내는 연료의 흐름(본체적인 연료의 이송)을 효과적으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a∼도 8c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연료 공급 장치(132)가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내어져 있다.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연통부 및 플로트 밸브의 구조가 제1 실시 형태와 다르지만, 연료 공급 장치의 전체적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의 연료 공급 장치(12)와 대략 동일하므로, 도시를 생략한다.
도 8b 및 도 8c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연료 이송 배관(52)과 베이퍼 배출관(64)의 교차 부분에 있어서, 베이퍼 배출관(64)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제2 실시 형태와 달리, 연료 펌프 본체(42)로부터 배출된 연료(GS)는, 제3 실시 형태에서는 교차 부분에 있어서, 화살표 F5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밑에서부터 위로 흐르게 되어 있다.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플로트 수용실(114)에는,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플로트(136F)가 배치되어 있다. 플로트(136F)의 상면에는 밸브체(136B)가 고정되어 있다. 제3 실시 형태의 밸브체(136B)는, 스로틀부(72)의 스로틀 개구(72H)에 상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스로틀 개구(72H)를 폐색 가능한 중앙줄기부(136T)와, 이 중앙 줄기부(136T)의 상단으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분기되고, 또한 하방으로 굴곡된 복수(도 8a의 예에서는 3개)의 가지부(136S)를 가지고 있다. 가지부(136S)의 선단(하단)은,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플로트(136F)의 상면에 고착되어 있다. 따라서, 밸브체(136B)는, 복수 지점에서 플로트(136F)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중앙 줄기부(136T)의 선단 부분에는 직경이 점증(漸增)된 콘 형상의 확경부(136W)가 형성됨과 함께, 항상 스로틀부(72) 내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플로트(136F)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확경부(136W)의 외주면이 스로틀부(72)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간된다. 이에 대하여, 플로트(136F)가 상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확경부(136W)의 외주면이 스로틀부(72)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플로트(136F)와 밸브체(136B)로 플로트 밸브(136)가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3 실시 형태의 연료 공급 장치(132)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의 연료 공급 장치(12)나 제2 실시 형태의 연료 공급 장치(112)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는다. 특히, 연료 이송 배관(52)에 기체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로트 밸브(136)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스로틀 개구(72H)를 개방하므로, 연료 이송 배관(52) 내의 기체를, 연통부(74)를 통하여 베이퍼 배출관(64)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연료 이송 배관(52)에 연료(GS)가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로트 밸브(136)가 상승하여 밸브체(136B)가 스로틀 개구(72H)를 폐색하기 때문에, 스로틀 개구(72H)를 연료(GS)가 통과하지 않는다. 제트 펌프(68)를 구동하기 위한 연료 펌프 본체(42)의 능력이 불필요하여, 연료 펌프 본체(42)의 소형화, 전력 절약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밸브체(136B)가 스로틀 개구(72H)를 폐색함으로써, 베이퍼 배출관(64)에 있어서의 화살표 F5 방향의 연료의 흐름을 멈출 수 있으므로, 소형의 연료 펌프 본체(42)이어도, 송출 연료의 양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플로트(136F)가 상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고리형의 시일부(80)가 연통부(74)의 상벽(74T)에 밀착함으로써, 연료 이송 배관(52)으로부터 연통부(74)를 통하여 베이퍼 배출관(64)을 향하는 연료의 이동이 저지된다. 제2 연료 필터(16S)로부터 제1 연료 필터(16M)로의 화살표 F6으로 나타내는 연료의 흐름(본체적인 연료의 이송)을 효과적으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연료 펌프 본체(42)로부터 연료(GS)를 배출하는 베이퍼 배출관(64)을, 제2 연료 필터(16S) 내로 배출하는 구성, 즉, 베이퍼 배출관(64)이, 본 발명의 리턴 배관을 구성하고 있는 예를 제시하고 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제4 실시 형태의 연료 공급 장치(152)와 같이, 프레셔 레귤레이터(48)로부터의 리턴 연료를 배출하기 위한 리턴 배관(50)의 선단을 제2 저류 부재(18S) 내에 위치시켜도 된다. 이 구성에서는, 리턴 연료가 제2 저류 부재(18S) 내에 저류되어, 연료 펌프 본체(42)로부터의 연료(GS)가, 베이퍼 배출관(64)에 의해, 제1 저류 부재(18M) 내로 배출된다. 즉, 리턴 배관(50)이, 본 발명의 리턴 배관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 연통부 및 플로트 밸브의 구성은, 제1∼제3 실시 형태의 어느 것의 구성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베이퍼 배출관(64)에 제트 펌프(68)를 설치하고, 연료 이송 배관(52)에 기체가 존재하고 있을 때에는, 제트 펌프(68)의 구동에 의해 기체를 베이퍼 배출관(64)으로 배출함과 함께, 연료 이송 배관(52)에 기체가 존재하지 않을 때(소정량보다 적을 때)에는, 제트 펌프(68)를 정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본질적 구성에 대하여, 상기한 각종 구성{예를 들면, 연료 이송 배관(52)에 개폐 밸브[플로트 밸브(54)]를 설치하는 구성, 연료 흡인 배관(44A)의 압력 손실을, 연료 이송 배관(52)의 압력 손실보다 크게 설정하는 구성, 연료 이송 배관(52)에, 베이퍼 배출관(64)으로부터의 부압이 작용하는 제트 펌프(68)를 설치하는 구성 등}을 적절히(전부일 필요는 없음) 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연료 이송 배관(52)에 연료(GS)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에서 플로트 밸브가 상승하면, 베이퍼 배출관을 완전히 폐색하는 예를 들고 있지만, 베이퍼 배출관의 유로의 단면적을 감소시키는(완전히는 폐색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된다. 베이퍼 배출관을 완전히 폐색하면, 리턴 연료의 양이 제로가 되기 때문에, 연료 펌프 본체(42)의 새로운 소형화, 전력 절약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플로트 밸브 대신, 예를 들면, 베이퍼 배출관(64)의 유로를 개폐하는(또는, 유로의 단면적을 변경하는) 전자 밸브를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전자 밸브로 베이퍼 배출관(64)의 유로를 개폐한(또는 유로의 단면적을 변경하는) 구성에서는, 연료 이송 배관(52) 중의 연료량을 연료량 센서로 검지하고, 이 검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자 밸브를 제어해도 된다. 이 대신, 예를 들면, 제트 펌프(68)[즉 연료 펌프 본체(42)]의 구동 시에는 전자 밸브를 개방 상태로 하고, 구동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연료 이송 배관(52)으로부터 기체가 배출되었다고 상정하고 전자 밸브를 폐쇄하도록 시간 제어하면, 상기한 연료량 센서는 불필요해진다. 제1∼제4 실시 형태의 각 구성은, 결과적으로, 제트 펌프(68)[연료 펌프 본체(42)]의 구동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에 폐쇄 상태로 이행하고 있고, 연료량 센서가 불필요한 구성을 실현하고 있다.
또,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연료 탱크 본체(14)의 수용부의 각각 연료 필터(16)가 구비된 구성을 예를 들고 있지만, 연료 필터(16)가 없는 구성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연료 흡인 배관(44A)의 단부가 제1 연료 수용부(38M)의 바닥부에서 개구하고, 연료 이송 배관(52)의 단부가 제2 연료 수용부(38S)의 바닥부에서 개구하는 배치로 하면 된다.
연료 탱크 본체(14)의 수용부에 연료 필터(16)가 설치되지 않는 구성에서는, 예를 들면, 연료 흡인 배관(44A)이나 연료 이송 배관(52)의 적절한 위치에, 연료 중의 이물을 제거하는 부재를 필요에 따라 설치하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연료 탱크 본체로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연료 수용부(38M)와 제2 연료 수용부(38S)를 가지는 안장형 연료 탱크에 한정되지 않는다. 요컨대, 연료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복수 구비한 구성에 있어서, 수용부의 적어도 하나가 「메인측 수용부」로 되어 있고, 다른 수용부가 「서브측 수용부」로 되어 있으면 된다. 이 「메인측 수용부」는, 내부에 연료 펌프 및 송출 배관을 포함하는 송출 수단이 설치된 수용부이며, 「서브측 수용부」는, 내부에 송출 수단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수용부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수용부가 각각 독립한 별체의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송출 수단에 흐르는 연료의 일부를 리턴 배관에 의해 서브측 수용부로 되돌리는 구성에 있어서, 리턴 배관에 제트 펌프가 설치되어 있으면,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연료 이송 배관(52)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구성이어도, 베이퍼 배출관(64)에 의해 서브측 수용부로 연료가 되돌려지는 구성이면,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하다. 이 구성에서는, 예를 들면, 서브측 수용부에도 연료 송출 수단을 설치하면, 서브측 수용부의 연료를 이 연료 송출 수단으로 송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저류 부재(18)와 연료 흡인 배관(44A)이나 연료 이송 배관(52)의 관계도, 상기한 관계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연료 수용부(38M)에 있어서, 연료 흡인 배관(44A)이, 덮개판부(22)의 유입 구멍(24)과 다른 위치에서 덮개판부 (22)를 관통하는 구조여도 된다. 마찬가지로, 제2 연료 수용부(38S)에 있어서, 연료 이송 배관(52)이, 덮개판부(22)의 유입 구멍(24)과 다른 위치에서 덮개판부(22)를 관통하는 구조여도 된다.
또, 저류 부재(18)가, 연료 필터(16)의 일부를 덮지 않는[상방으로부터 보아, 연료 필터(16)의 일부가 저류 부재(18)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연료 흡인 배관(44A)이나 연료 이송 배관(52)을, 연료 필터(16)의 돌출 부분[저류 부재(18)의 외부]에 접속하면, 덮개판부(22)를 관통하지 않는 구조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12: 연료 공급 장치 14: 연료 탱크 본체
16: 연료 필터 38: 연료 수용부
42: 연료 펌프 본체(송출 수단) 44: 연료 송출 배관(송출 수단)
48: 프레셔 레귤레이터(송출 수단) 52: 연료 이송 배관(연료 이송 유로)
68: 제트 펌프 74: 연통부
76: 플로트 밸브 76F: 플로트
76B: 밸브체 112: 연료 공급 장치
116: 플로트 밸브 116F: 플로트
116B: 밸브체 132: 연료 공급 장치
136: 플로트 밸브 136B: 밸브체

Claims (8)

  1. 연료를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부(38)를 구비한 연료 탱크 본체(14)와,
    상기 수용부의 하나인 메인측 수용부로부터 외부로 연장 돌출된 송출 배관(44)과, 당해 송출 배관에 설치된 연료 펌프(42)를 구비하여 연료를 연료 탱크 본체의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송출 수단(42, 44, 48)과,
    상기 연료 펌프의 구동에 의해 상기 송출 수단에 흐르는 연료의 일부를 상기 송출 수단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서브측 수용부로 되돌리기 위한 리턴 배관(64)과,
    상기 서브측 수용부로부터 상기 메인측 수용부로 연료를 이송하기 위한 연료 이송 유로(52)와,
    상기 리턴 배관의 유로의 단면적을 변경 가능한 유로 단면적 변경 수단(76)과,
    상기 연료 이송 유로와 상기 리턴 배관을 연통시킴으로써 연료 이송 유로 내의 유체의 일부를 리턴 배관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연통부(7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배관에 설치되며 상기 연통부와 접속된 제트 펌프(68)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단면적 변경 수단이, 상기 연료 이송 유로의 액위 상승에 의해 상기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단면적 변경 수단이,
    상기 연료 이송 유로 내의 연료에 뜨는 플로트(76F)와,
    상기 플로트의 상하동에 따라 상기 단면적을 변경하는 밸브체(76B)를 가지는 플로트 밸브(7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이송 유로가 상기 연료 펌프에 접속되고, 연료 펌프의 구동에 의해 상기 서브측 수용부로부터 상기 메인측 수용부로 연료가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루 형상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수용부의 각각에 배치되고, 내부로 연료가 유입할 때 연료로부터 이물을 제거함과 함께, 일부 또는 전부가 연료에 침지된 상태에서 표면에 연료에 의한 오일막이 형성되는 복수의 연료 필터(16)를 가지고,
    상기 연료 이송 유로가, 복수의 상기 연료 필터의 사이에서 연료를 이송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송출 배관이, 복수의 상기 연료 필터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연료를 송출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단면적 변경 수단이,
    상기 연료 펌프의 구동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장치.
  8. 삭제
KR1020147021677A 2012-02-02 2012-02-02 연료 공급 장치 KR1015710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52406 WO2013114606A1 (ja) 2012-02-02 2012-02-02 燃料供給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038A KR20140110038A (ko) 2014-09-16
KR101571081B1 true KR101571081B1 (ko) 2015-11-23

Family

ID=48904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1677A KR101571081B1 (ko) 2012-02-02 2012-02-02 연료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40366963A1 (ko)
EP (1) EP2811145B1 (ko)
JP (1) JP5673864B2 (ko)
KR (1) KR101571081B1 (ko)
CN (1) CN104081036B (ko)
IN (1) IN2014DN06497A (ko)
RU (1) RU2582374C2 (ko)
WO (1) WO20131146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40145B2 (en) * 2014-08-25 2017-12-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uel tank with stiffening ribs in a pocket for the fuel filter
GB201511665D0 (en) * 2015-07-03 2015-08-19 Delphi Int Operations Lux Srl Valve
EP3386793B1 (en) * 2015-12-08 2019-11-13 Turk Traktor Ve Ziraat Makinalari Anonim Vehicle fuel tank
JP6608328B2 (ja) * 2016-04-20 2019-11-20 愛三工業株式会社 燃料供給装置
RU2633090C1 (ru) * 2016-11-21 2017-10-1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Центральный ордена Трудового Красного Знамени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автомобильный и автомоторный институт "НАМИ" (ФГУП "НАМИ") Двухкамерный топливный бак
RU190796U1 (ru) * 2019-04-03 2019-07-12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Центральный ордена Трудового Красного Знамени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автомобильный и автомоторный институт "НАМИ" (ФГУП "НАМИ") Двухкамерный топливный бак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11618068B (zh) * 2020-05-19 2022-02-11 南京信息职业技术学院 电动螺旋锥杆挤拉油箱放油孔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1584A (ja) 2006-05-30 2007-12-13 Toyota Motor Corp 燃料タンク
JP2008121454A (ja) 2006-11-09 2008-05-29 Aisan Ind Co Ltd 燃料供給装置
JP2008128068A (ja) 2006-11-20 2008-06-05 Honda Motor Co Ltd 燃料供給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1699A (en) * 1989-11-06 1990-08-28 Chrysler Corporation Fuel transfer system with aspirator
JPH07103834B2 (ja) * 1993-09-20 1995-11-08 日本電装株式会社 燃料供給装置
DE4400919A1 (de) * 1994-01-14 1995-07-20 Pierburg Gmbh & Co Kg Vorrichtung zur Brennstoffabsaugung
US5979485A (en) * 1996-07-01 1999-11-09 Walbro Corporation Fuel tank level equalizer system
JP3765170B2 (ja) * 1997-10-14 2006-04-12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供給装置
CA2301030C (en) * 1998-03-26 2003-08-19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Fuel reservoir
US6505644B2 (en) * 2000-06-09 2003-01-14 Delphi Technologies, Inc. Dual barrel jet fuel pump assembly for a fuel tank
DE10143819B4 (de) * 2001-09-06 2005-12-01 Siemens Ag Kraftstoffmodul
JP2004232513A (ja) * 2003-01-29 2004-08-19 Hitachi Unisia Automotive Ltd 内燃機関の燃料供給システム及び燃料移送チューブ
US6871640B2 (en) * 2003-03-18 2005-03-29 Ti Group Automotive Systems, Inc. Saddle tank siphon primer
JP4287298B2 (ja) * 2004-02-02 2009-07-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燃料タンク
DE102004047071A1 (de) * 2004-09-28 2006-04-13 Siemens Ag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zum Prüfen des Messwerts eines oder mehrerer in einem Kraftstofftank angeordneter Füllstandsensoren
JP2008546944A (ja) * 2005-06-21 2008-12-25 ダイムラー・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燃料供給装置
US7234451B2 (en) * 2005-07-27 2007-06-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ual fuel pump configuration for saddle fuel tanks
US7069913B1 (en) * 2005-08-18 2006-07-04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Fuel delivery system for a combustion engine
DE102006024456A1 (de) * 2006-05-24 2007-11-29 Siemens Ag Saugstrahlpumpe
DE102007007918A1 (de) * 2007-02-14 2008-08-21 Siemens Ag Fördereinheit
JP4575464B2 (ja) * 2007-03-26 2010-11-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燃料供給装置
US8944268B2 (en) * 2009-02-05 2015-02-03 Honda Motor Co., Ltd. Fuel tank
DE102009046104A1 (de) * 2009-10-28 2011-05-05 Robert Bosch Gmbh Saugstrahlpumpe
KR101222021B1 (ko) * 2010-01-15 2013-02-08 주식회사 코아비스 연료송출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1584A (ja) 2006-05-30 2007-12-13 Toyota Motor Corp 燃料タンク
JP2008121454A (ja) 2006-11-09 2008-05-29 Aisan Ind Co Ltd 燃料供給装置
JP2008128068A (ja) 2006-11-20 2008-06-05 Honda Motor Co Ltd 燃料供給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11145A4 (en) 2016-02-17
KR20140110038A (ko) 2014-09-16
CN104081036A (zh) 2014-10-01
EP2811145A1 (en) 2014-12-10
CN104081036B (zh) 2017-02-22
JP5673864B2 (ja) 2015-02-18
IN2014DN06497A (ko) 2015-06-12
JPWO2013114606A1 (ja) 2015-05-11
RU2014131890A (ru) 2016-03-27
RU2582374C2 (ru) 2016-04-27
WO2013114606A1 (ja) 2013-08-08
EP2811145B1 (en) 2017-06-14
US20140366963A1 (en) 2014-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1081B1 (ko) 연료 공급 장치
KR101454725B1 (ko) 연료 공급 장치
US7513243B2 (en) Fuel supply apparatus for motor cycle
KR101236064B1 (ko) 연료 공급 장치
JP4912259B2 (ja) 燃料供給装置
JP2013174236A (ja) 水分捕集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燃料フィルタ装置
KR101476052B1 (ko) 연료 공급 장치
CN111278525B (zh) 过滤器组件的排水机构
JP5407617B2 (ja) セジメンタ
JP5760963B2 (ja) 燃料供給装置
JP2011153599A (ja) 燃料供給装置
JP2010174731A (ja) 燃料フィルタ構造
JP2008155890A (ja) 燃料タンク構造
JP6098317B2 (ja) 水分捕集装置
JP2011122562A (ja) 燃料供給装置
JP7317740B2 (ja) 燃料供給装置
JPH09268956A (ja) 燃料供給装置
JP6290636B2 (ja) 燃料タンク
JP2021139303A (ja) 燃料供給装置
JP2011122561A (ja) 燃料供給装置
JP2009107526A (ja) 燃料タン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