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9462B1 - 화상 형성 장치의 봉투 급지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의 봉투 급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9462B1
KR101569462B1 KR1020140030172A KR20140030172A KR101569462B1 KR 101569462 B1 KR101569462 B1 KR 101569462B1 KR 1020140030172 A KR1020140030172 A KR 1020140030172A KR 20140030172 A KR20140030172 A KR 20140030172A KR 101569462 B1 KR101569462 B1 KR 101569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velope
feeding
pressing member
urging member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0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7365A (ko
Inventor
민관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신도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신도리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신도리코
Priority to KR1020140030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9462B1/ko
Publication of KR20150107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7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9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9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58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의 일측면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급지구; 상기 급지구의 하부에 설치되어 적재된 봉투의 양측면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펜스; 및 상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펜스의 폭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급지구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급지구의 내부로 급지되는 봉투의 덮개를 눌러주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봉투 급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장치 크기, 조립 공정 및 제조 비용을 증가시키지 않고, 덮개를 구비한 봉투의 급지시 덮개의 구김 없이 덮개를 봉투측으로 가압하여 급지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의 봉투 급지 장치{Apparatus for feeding envelope of image forming device}
본 발명은 복사기, 프린터, 복합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덮개를 구비한 봉투를 급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가압 기구를 설치하지 않고도 장치 크기, 조립 공정 및 제조 비용을 증가시키지 않고 수동 급지대의 봉투를 가압하여 안정적인 급지를 가능하게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봉투 급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사기, 프린터, 복합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는 다매의 용지가 적재되는 급지 트레이를 구비하고, 이 급지 트레이와는 별도로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의 측면에 마련된 수동 급지대를 구비한다. 수동 급지대는 낱장의 용지 또는 급지 트레이에 적재된 용지와는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특수 용지를 인쇄할 때 사용된다. 이러한 수동 급지대에는 라벨지, 봉투지 등의 특수 용지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봉투는 보통 일측에 덮개를 구비하기 때문에, 수동 급지대를 통해 급지될 때 상부로 들려있는 덮개로 인해 급지 불량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급지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봉투의 덮개를 눌러주는 부가적인 가압 기구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부가적인 가압 기구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55942호에 개시된다. 이 선행문헌에 개시된 프린터의 봉투 가압 장치는, 적재된 봉투의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 플레이트, 가압 플레이트가 회동되어 봉투를 가압하도록 설치된 레버축, 레버 플레이트 및 복수의 스프링들을 포함하여, 급지 카세트에 봉투가 적재된 상태로 본체의 장착부에 급지 카세트가 장착되면, 레버축, 레버 플레이트 및 복수의 스프링들에 의해 가압 플레이트가 봉투를 하방으로 가압하게 되고, 이로 인해 봉투가 덮개가 들리지 않게 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은 봉투를 가압하기 위해 복수의 부품들로 구성된 별도의 기구를 설치해야 하므로, 장치의 크기가 커지고 조립 공정이 복잡해지며, 이로 인해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장치 크기, 조립 공정 및 제조 비용을 증가시키지 않고 수동 급지대의 봉투를 가압하여 안정적인 급지를 가능하게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봉투 급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의 일측면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급지구; 상기 급지구의 하부에 설치되어 적재된 봉투의 양측면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펜스; 및 상기 본체의 측면 커버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펜스의 폭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급지구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급지구의 내부로 급지되는 봉투의 덮개를 눌러주는 가압 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급지구를 정면에서 볼 때, 상기 급지구의 양측 단부로부터 상기 급지구의 중심을 향해 돌출 길이가 증가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급지구를 측면에서 볼 때, 상기 본체의 내부를 향하여 구부러진 형상의 단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급지구를 정면에서 볼 때, 상기 급지구의 양측 단부와 상기 급지구의 중심 사이에 각각 하나의 변곡점을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변곡점을 중심으로, 상기 급지구의 측 단부 방향으로는 위로 볼록한 제1 만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급지구의 중심 방향으로는 아래로 볼록한 제2 만곡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급지구를 정면에서 볼 때, 급지구의 중심 부분에 평평하게 형성된 수평 누름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치 크기, 조립 공정 및 제조 비용을 증가시키지 않고, 덮개를 구비한 봉투의 급지시 덮개의 구김 없이 덮개를 봉투측으로 가압하여 급지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봉투 급지 장치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봉투 급지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봉투 급지 장치의 가압 부재만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봉투 급지 장치의 측면도,
도 5a 내지 5f는 본 발명에 따른 봉투 급지 장치에 봉투가 급지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봉투 급지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 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봉투 급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의 수동 급지대에 형성되어 덮개가 있는 봉투와 같은 특수 용지를 안정적으로 급지할 수 있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본체(100)의 일측면에 형성된 급지구(101), 급지구(101)의 하부에 설치된 가이드 펜스(102) 및 급지구(101)의 내부로 급지되는 봉투의 덮개를 눌러주는 가압 부재(110)를 포함한다.
급지구(101)는 일반적으로 본체(100)의 전면에 가로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고 봉투와 같은 특수 용지를 수동으로 적재하도록 구성된 수동 급지대의 용지 입구이다.
가이드 펜스(101)는 급지구(101)의 하부에 마련된 급지대(103)에 설치되고 급지대(103)에 적재된 용지의 양측면과 접촉하여 급지구(101)로 이송되는 용지가 급지구(101) 방향으로 정확하게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 펜스(102)는 급지대(103)의 좌우 양측에 서로 대칭으로 설치되고, 서로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가압 부재(110)는 급지구(101)의 상부 측에서 본체(100)와 일체로 형성되고, 가이드 펜스(102)의 폭 사이에 위치된다. 이 가압 부재(110)는 급지구(101)의 상부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급지구(101)의 내부로 급지되는 봉투의 덮개를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가압 부재(110)는 급지구(101)를 정면에서 볼 때(도 2 및 3 참조), 급지구(101)의 양측 단부로부터 급지구(101)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길이(수직방향 길이)가 증가되어 전체적으로 아래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형상의 가압 부재(110)에 의해, 덮개를 구비한 봉투가 급지될 때, 상방으로 들려있는 봉투의 덮개가 가압 부재(110)의 돌출 부분과 접촉되어 봉투의 급지 불량이 방지된다.
바람직하게는, 가압 부재(110)는 급지구(101)를 측면에서 볼 때(도 4 참조), 본체(100)의 내부를 향하여 구부러진 형상의 단부(111)를 구비한다. 이러한 가압 부재(110)의 구부러진 단부(111)는 본체(100) 내부로 급지되는 봉투의 덮개가 가압 부재(110)와 부드럽게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덮개의 구겨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가압 부재(110)의 단부(111)는 급지 방향으로의 구부러진 각도가 클수록 봉투의 급지 불량 방지에 유리하지만, 가압 부재(110)의 단부(111)는 본체(100) 내부의 급지 롤러(104)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대략 급지 롤러(104)의 외면과 유사한 형상으로 구부러진 각도가 결정된다.
한편, 가압 부재(110)는 급지구(101)를 정면에서 볼 때(도 2 및 3 참조), 급지구(101)의 양측 단부와 급지구(101)의 중심 사이에 각각 하나의 변곡점(P)을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가압 부재(110)는 이 변곡점(P)을 중심으로, 급지구(101)의 측 단부 방향으로는 위로 볼록한 제1 만곡부(112)를 구비하고, 급지구(101)의 중심 방향으로는 아래로 볼록한 제2 만곡부(113)를 구비한다. 이러한 제1 만곡부(112)와 제2 만곡부(113)는 봉투의 덮개가 삼각형으로 되어 있는 경우(도 5a 내지 5f에 도시된 봉투 참조)에 유리하다.
여기서, 가압 부재(110)의 제1 만곡부(112)는 위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봉투의 덮개의 초기 접촉시에 덮개가 급격하게 가압 부재(110)와 접촉되지 않고 완만하게 부드럽게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덮개의 구김 등의 불량을 방지한다. 그리고, 가압 부재(110)의 제2 만곡부(113)는 아래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덮개의 중심 부분이 확실하게 가압되도록 한다.
한편, 가압 부재(110)는 급지구(101)를 정면에서 볼 때(도 2 및 3 참조), 급지구(101)의 중심 부분에 평평하게 형성된 수평 누름부(104)를 구비한다. 이 수평 누름부(104)는 봉투 덮개의 중심 부분을 하방으로 확실하게 가압하여 봉투의 급지 불량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도 1 내지 4, 도 5a 내지 5f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봉투 급지 장치에서 봉투의 작동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도 5a에 도시된 것처럼, 덮개(210)가 개방되어 있는 봉투(200)를 급지대의 사이드 펜스(102) 사이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화상 형성 장치가 작동되면, 급지대의 저판(미도시)이 상승되어 봉투(200)의 덮개(210)가 가압 부재(110)의 제1 만곡부(112)와 접촉한다.
그리고, 도 5c에 도시된 것처럼, 급지 초기에는 봉투(200)의 덮개(210)의 단부가 제1 만곡부(112)와 접촉하면서 본체(100) 내부로 급지되기 시작한다. 여기서, 덮개(210)의 경사진 단부가 가압 부재(110)의 제1 만곡부(112)와 접촉할 때, 제1 만곡부(112)의 위로 볼록한 형상에 의해, 봉투의 덮개(210)는 완만하게 하방으로 가압되면서 아래로 눌리게 된다. 이와 동시에 급지되는 봉투(200)의 덮개(210)는 가압 부재(110)의 구부러진 단부(111)의 형상으로 인해 구김없이 원활하게 본체(100) 내부로 급지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5d 내지 5f에 도시된 것처럼, 봉투의 중심 부분이 가압 부재(110)와 접촉할 때는, 가압 부재(110)의 제2 만곡부(113)가 덮개(210)와 접촉하면서 덮개를 강하게 눌러주고, 이와 동시에 가압 부재(110)의 수평 누름부(114)가 봉투(200)의 덮개(210)를 더욱 강하게 가압하여 덮개(210)가 봉투(200)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봉투 급지 장치는 급지되는 봉투(200)의 덮개(210)를 급지 초기에는 부드럽게 가압하고 그 이후에는 덮개(210)를 강하게 가압하여 개방된 덮개(210)가 봉투(200)에 밀착된 상태로 급지될 수 있게 한다. 또한, 가압 부재(110)에 의해 봉투(200)의 덮개(210)가 가압되는 중에도 제1 만곡부(112), 제2 만곡부(113) 및 구부러진 단부(111)의 형상에 의해 덮개(210)가 구겨지지 않고 정확하게 접힐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봉투 급지 장치를 적용된 프린터와 본 발명에 따른 봉투 급지 장치가 적용되지 않은 프린터를 통해 봉투를 급지했을 때, 용지 종류별로 급지 불량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다.
10회당 jam 발생 건수
용지 종류 용지 크기 가압 부재 미 적용품 가압 부재 적용품
덮개 개방각 45° 덮개 개방각
45° ~ 90°
덮개 개방각 45° 덮개 개방각
45° ~ 90°
1매 10매 1매 10매 1매 10매 1매 10매
初芝洋6 190 × 98 9 0 10 1 0 0 0 0
Domtar 3 7/8 × 7/8 2 3 4 4 0 0 0 0
Columbian Co125 4 1/8 × 9 1/2 0 0 2 1 0 0 0 0
Neenah 3 7/8 × 7 1/2 0 0 6 4 0 0 0 0
위 테스트 결과표를 참조하면, 가압 부재 미적용 프린터의 경우, 덮개의 개방 각도가 클수록, 봉투의 적재 매수가 작을수록 급지 불량이 빈번하게 나타나는 반면, 본 발명의 가압 부재가 적용된 프린터의 경우, 덮개의 개방 각도와 적재 매수와 상관없이 급지 불량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준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인 바, 본 발명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본체 101: 급지구
102: 사이드 펜스 103: 급지대
104: 급지 롤러 110: 가압 부재
111: 단부 112: 제1 만곡부
113: 제2 만곡부 114: 수평 누름부
P: 변곡점
200: 봉투 210: 덮개

Claims (5)

  1.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의 일측면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급지구;
    상기 급지구의 하부에 설치되어 적재된 봉투의 양측면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펜스; 및
    상기 본체의 측면 커버에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펜스의 폭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급지구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급지구의 내부로 급지되는 봉투의 덮개를 눌러주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급지구를 정면에서 볼 때, 상기 급지구의 양측 단부로부터 상기 급지구의 중심을 향해 돌출 길이가 증가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급지구를 정면에서 볼 때, 상기 급지구의 양측 단부와 상기 급지구의 중심 사이에 각각 하나의 변곡점을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변곡점을 중심으로, 상기 급지구의 측 단부 방향으로는 위로 볼록한 제1 만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급지구의 중심 방향으로는 아래로 볼록한 제2 만곡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봉투 급지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급지구를 측면에서 볼 때, 상기 본체의 내부를 향하여 구부러진 형상의 단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봉투 급지 장치.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급지구를 정면에서 볼 때, 급지구의 중심 부분에 평평하게 형성된 수평 누름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봉투 급지 장치.
KR1020140030172A 2014-03-14 2014-03-14 화상 형성 장치의 봉투 급지 장치 KR101569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172A KR101569462B1 (ko) 2014-03-14 2014-03-14 화상 형성 장치의 봉투 급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172A KR101569462B1 (ko) 2014-03-14 2014-03-14 화상 형성 장치의 봉투 급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365A KR20150107365A (ko) 2015-09-23
KR101569462B1 true KR101569462B1 (ko) 2015-11-16

Family

ID=54245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0172A KR101569462B1 (ko) 2014-03-14 2014-03-14 화상 형성 장치의 봉투 급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94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7372B2 (ja) 1987-09-16 1996-09-25 株式会社エヌ・エー・シー 自動封緘装置
JP2000219366A (ja) * 1999-02-01 2000-08-08 Canon Inc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137763A (ja) * 2006-11-30 2008-06-19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1057501B1 (ko) 2009-05-11 2011-08-17 지영욱 봉함 엽서 용지를 동시에 제트자 형태로 접지 및 봉함할 수 있는 봉함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7372B2 (ja) 1987-09-16 1996-09-25 株式会社エヌ・エー・シー 自動封緘装置
JP2000219366A (ja) * 1999-02-01 2000-08-08 Canon Inc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137763A (ja) * 2006-11-30 2008-06-19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1057501B1 (ko) 2009-05-11 2011-08-17 지영욱 봉함 엽서 용지를 동시에 제트자 형태로 접지 및 봉함할 수 있는 봉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365A (ko) 201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73897A1 (en) Recording apparatus
US9561923B2 (en) Sheet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same
JP2010202287A (ja) 給紙装置、画像形成装置
TWI457243B (zh) 紙張處理裝置
KR101569462B1 (ko) 화상 형성 장치의 봉투 급지 장치
JP5750647B2 (ja) 紙折装置
EP3124412B1 (en) Sheet conveyance device and image formation device
US2016035535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9783386B2 (en) Sheet conveying apparatus
JP5978189B2 (ja) シート搬送装置
JP2015074519A (ja) 給紙装置及び給紙方法
JP2004345848A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053645A (ja) 給紙トレイおよびこれを備えた給紙装置
JP2012126495A (ja) 用紙後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8019063A (ja) 給送装置、画像形成装置
JPH06247566A (ja) 給紙装置
JPH0739899Y2 (ja) 給紙装置の用紙ガイド装置
JP4516701B2 (ja) 給紙装置
JP2001106361A (ja) 給紙装置
JPH0558463A (ja) シート搬送装置
JP201213157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115168A (ja) 給紙装置
JP3671985B2 (ja) 折り丁仕分け装置
JP2008239302A (ja) シート給送装置と画像形成装置
JP2012166881A (ja) 給紙カ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