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7249B1 - 마개구조에서의 버블발생장치 - Google Patents

마개구조에서의 버블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7249B1
KR101567249B1 KR1020140144036A KR20140144036A KR101567249B1 KR 101567249 B1 KR101567249 B1 KR 101567249B1 KR 1020140144036 A KR1020140144036 A KR 1020140144036A KR 20140144036 A KR20140144036 A KR 20140144036A KR 101567249 B1 KR101567249 B1 KR 101567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ylindrical body
bubble generator
contents
insertio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4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구
Original Assignee
최정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구 filed Critical 최정구
Priority to KR1020140144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72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1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freeze-dry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튜브형 용기의 토출구와 결합되는 마개(100)의 토출구(110) 내부측으로 삽입되는 버블발생부(200)를 구비하고, 상기 버블발생부(200) 하단부가 끼워지고 중앙이 관통되는 결합부(300)가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300) 하단부가 상단에 끼워지면서 용기(600) 내부의 관(500)이 하단에 끼워져 용기(600)내의 액상 내용물 또는 공기를 유도하며 액상 내용물과 공기의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혼합부(400)로 이루어지는 마개구조에서의 버블발생장치에서 상기 혼합부(400)의 제1원통형체(410)에 끼워지는 결합부(300)의 제2삽입관(330)에 혼합조절부(430)를 내입하되, 상기 혼합조절부(430)는 중앙에 통공(431)이 천공된 원판부재(432)가 혼합부(400)의 제1원통형체(410) 내부 하단면에 안착되고, 상기 원판부재(432) 상면으로 수직상으로 형성되는 유로를 갖되 하단부에는 원판지지부(434)가 구비되어 상기 결합부(300)의 제2삽입관(330) 단부에 의해 하방향으로 눌리며 지지 되는 지지부재(433)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433) 상면을 커버하되 상기 지지부재(433) 유로를 차단 또는 개방하도록 하는 차폐부재(440)가 구비되고, 상기 차폐부재(440) 상면으로 탄지되는 스프링(450)이 구비되어지되 스프링(450) 상단은 제2삽입관(330) 하단면에 탄지되어 상기 차폐부재(440)를 하방향으로 탄성 제어하도록 하여,
액상 또는 겔상의 내용물을 내부에 수용하는 용기를 짜낼 때 용기 토출구 측으로 버블발생장치에 의해 공기와 혼합되어 버블을 일으키며 외부로 배출되어질 때, 버블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액상의 내용물이 그대로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을 완벽하게 방지함과 동시에, 용기 내부의 내용물과 공기간 혼합 비율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최초 버블 발생 또는 재사용에 따른 재버블 발생시 내용물과 공기의 효율적 비율에 의한 혼합을 유지하여 최적 조건을 갖는 버블 발생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서, 제품 사용에 따른 신뢰성을 향상 시키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 마개구조에서의 버블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개구조에서의 버블발생장치{Bulle generator type plug}
본 발명은 액상 또는 겔상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튜브형 용기(이하 용기로 통칭함)의 마개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개 내부에 버블발생장치를 구비하여 마개의 토출구 내부에 내용물이 배출되어질 때 버블 발생이 용이하도록 하면서도, 용기를 누르는 힘이 배제되면 용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여 용기의 원상회복 시간이 단축되도록 함은 물론, 토출구측으로 액상 또는 겔상의 내용물과 공기의 혼합이 원할히 이루어지도록 하여 초기에 토출구측으로 내용물이 배출될 때 버블발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배출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여, 용기를 사용할 때 초기 사용시에도 버블이 원할히 효과적으로 발생되도록 하기 위한, 마개구조에서의 버블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화장품류에 사용되는 제품군들의 경우에서, 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 특히 그 내용물이 액상, 겔상을 이루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외부로 그 내용물을 배출시켜 사용할 때 거품 즉 버블이 발생되도록 하며 사용되는 제품군이 다수 존재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버블을 발생시키는 제품군들의 사용 용도와 제품이 증가되고 있다.
예를 들면 면도용 크림이나 거품용 비누 등과 같은 제품군들의 경우에는 액상의 내용물이 용기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용할 때 수용되어 있는 상태 즉 액상 그대로 사용하기 보다는 버블을 발생시켜 사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임은 주지된 바와 같다.
이러한 제품군들의 내용물을 사용할 때 버블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용기의 상단부측이나 또는 용기 상단 토출구에 체결되는 마개부분에 버블발생부를 구비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버블발생부를 구성하는데 따른 작업이 대단히 번잡하고 부품의 수가 많아 작업성의 저하는 물론이거니와 버블발생부를 구비하는데 따른 비용이 상당하게 증가하게 됨은 물론, 다수의 부품수 구성에 따른 조립에 의해 불량률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문제와 더불어 사용 과정 또는 보관 과정에서 누액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한편 전술한 문제점에 의해 지적되는 구성과 달리 버블발생부가 용기 내부에 구비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용기 내부의 일정 체적을 차지하는 버블발생부에 의해 그 체적만큼 용기 내부 내용물 충진 체적효율성이 떨어져 실소비자들의 제품 용량에 따른 만족감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도 있어 왔다.
또한 이와 같이 버블발생부(또는 장치)를 용기 내부에 구비하는 경우에,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될 때 용기 내부측으로 외기가 공급되어 용기의 원상회복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하므로,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필요 이상의 구조적 복잡성이 존재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버블발생부(또는 장치)를 구비하는데 있어서 용기에 수용되는 내용물이 액상 또는 겔상에 따라 채택되는 버블발생부의 구성을 달리 하고 있어 공용적 채택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용기와 마개간 결합 구조에서 용기 내용물이 외부로 자연 유출, 누수되는 누액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링이나 패킹 등의 구성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어 생산 원가가 상승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여러 문제점들 특히 버블발생부(또는 장치)를 내재하게 되는 용기 내부의 복잡한 구성들에 의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본원인에 의해 국내에 특허등록한 특허등록 제 10-1036398 호에 의한 버블발생장치를 갖는 마개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선행특허인 특허등록 제 10-1036398 호의 경우, 전술한 문제점 들을 해결하기 위해는 적합하나, 내용물을 용기에서 배출시켜 사용한 후 용기가 원상태로 복원되어질 때, 버블발생장치의 망사체가 공기의 유입 흐름을 방해하게 되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이에 따른 용기의 복원 시간이 다소 지연되는 문제점을 확인하게 되었다.
즉, 상기 선행특허인 특허등록 제 10-1036398 호를 이용하여서 되는 버블발생장치를 갖는 용기를 사용할 때에는 용기에서 내용물을 한 번 짜내어 사용한 후 시간적인 차이를 두지 않고 그 즉시 재사용하고자 할 때 용기가 다시 원 상태로 복원되는 시간이 다소 소요되어 기다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용기를 바로 세워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내용물의 토출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인지한 상태에서 그 해결방법을 찾고자 노력한 결과 본원인에 의해 개량하여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한 특허등록출원 제 10-2012-34414 호에 의한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구조를 개시하였다.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튜브형 용기를 사용 한 직후 재사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용기의 복원력이 증대되도록 하였으며 튜브형 용기를 거꾸로 사용하거나 바로 세워 사용하더라도 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액상 내용물이 버블 발생이 용이한 상태로의 토출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거니와, 용기내 내용물 토출 후 용기의 원상회복 시간을 단축하여 비교적 빠른 시간내에 재사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복원력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인 국내특허등록 출원 제 10-2012-34414 호의 경우, 용기를 거꾸로 사용하는 경우, 용기내 액상 내용물과 공기간 혼합비가 일정치 않아 균일한 버블 발생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견되었으며, 이러한 현상의 반복 발생에 따라 용기 내부로 버블이 발생되었다.
아울러 버블 발생을 시키며 토출구측으로 배출되어질 때 순수 내용물과 공기간 혼합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비순수한 내용물 즉 버블형태의 내용물과 공기간 혼합이 이루어져 내용물과 공기간 혼합비율의 비정상적 형태에 의해 버블 발생 효과를 크게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특허등록 제 10-1036398 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용기 내부 내용물과 공기간 혼합비를 일정하게 하여 버블 발생이 균일하게 배출되도록 함은 물론, 사용 후 용기의 원상 복구가 빠르게 진행되도록 하여 재사용을 위한 복원력을 증대시키도록 하고, 용기를 바로 세워 사용하거나 또는 거꾸로 사용할 경우에도 공기의 유입량 및 내용물의 혼합량의 비율이 균일할 수 있도록 하되 용기를 눌러 버블을 발생시킬 때 초기 버블 형태를 이루지 못하고 묽은 형태의 액상 내용물이 간간이 배출되는 현상을 완벽하게 방지하여, 사용자가 액상 화장품 등을 사용하려 용기를 눌렀을 때 액상의 내용물이 버블과 섞여 배출되는 현상을 완벽하게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튜브형 용기의 토출구와 결합되는 마개(100)의 토출구(110) 내부측으로 삽입되는 버블발생부(200)를 구비하고, 상기 버블발생부(200) 하단부가 끼워지고 중앙이 관통되는 결합부(300)가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300) 하단부가 상단에 끼워지면서 용기(600) 내부의 관(500)이 하단에 끼워져 용기(600)내의 액상 내용물 또는 공기를 유도하며 액상 내용물과 공기의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혼합부(400)로 이루어지는 마개구조에서의 버블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300)는 중공 형태로 상하가 개구되는 구성을 갖되 상방측 외주면으로 환형상의 리브홈(310)이 구비되고, 중앙으로는 버블발생부(200)의 하단부에 해당되는 제2몸체(203)가 끼워지기 위한 제1삽입관(320)이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관(320)과 연통되면서 하방측으로 연결되는 제2삽입관(330)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마개구조에서의 버블발생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혼합부(400)는 상기 결합부(300) 하단으로 이루어지는 제2삽입관(330)이 끼워져 삽입되기 위한 제1원통형체(410)가 구성되고 제1원통형체(410) 외주면과 일체로 연결되며 하단으로 연결되는 제2원통형체(420)가 이루어지되, 상기 제1원통형체(410) 내부 내주면측으로는 길이방향으로 요철 형태를 이루고, 그 하단은 막혀지도록 구성하고 하단 바닥면에는 상기 제2원통형체(420)와 연통되기 위한 구멍(411)이 천공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혼합부(400)의 제1원통형체(410)에 끼워지는 결합부(300)의 제2삽입관(330)에 혼합조절부(430)가 내입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혼합조절부(430)는 중앙에 통공(431)이 천공된 원판부재(432)가 혼합부(400)의 제1원통형체(410) 내부 하단면에 안착되고, 상기 원판부재(432) 상면으로 수직상으로 형성되는 유로를 갖되 하단부에는 원판지지부(434)가 구비되어 상기 결합부(300)의 제2삽입관(330) 단부에 의해 하방향으로 눌리며 지지 되는 지지부재(433)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433) 상면을 커버하되 상기 지지부재(433) 유로를 차단 또는 개방하도록 하는 차폐부재(440)가 구비되고, 상기 차폐부재(440) 상면으로 탄지되는 스프링(450)이 구비되어지되 스프링(450) 상단은 제2삽입관(330) 하단면에 탄지되어 상기 차폐부재(440)를 하방향으로 탄성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원통형체(410) 바닥면에 단턱(412)을 형성하여 상기 원판부재(432)가 상기 단턱(412)에 의해 지지 안착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부재(433)는 중앙으로 관통공(H)이 관통 천공되는 제1원통부(437)의 외주면으로 등간격 이격되며 리브(439)에 의해 연결되는 제2원통부(438)가 형성되고, 제2원통부(438) 하단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판지지부(434)를 이루며, 상기 리브(439)의 하단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원판지지부(434) 저면측으로 이어지는 돌출지지리브(436)를 구비하고 상기 제1원통부(437) 하단부측으로 더욱 돌출되는 삽입구(435)가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재(440) 중앙에 미세구멍(441)이 천공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액상 또는 겔상의 내용물을 내부에 수용하는 용기를 짜낼 때 용기 토출구 측으로 버블발생장치에 의해 공기와 혼합되어 버블을 일으키며 외부로 배출되어질 때, 버블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액상의 내용물이 그대로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 내부의 내용물과 공기간 혼합 비율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최초 버블 발생 또는 재사용에 따른 재버블 발생시 내용물과 공기의 효율적 비율에 의한 혼합을 유지하여 최적 조건을 갖는 버블 발생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서, 제품 사용에 따른 신뢰성을 향상 시키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버블발생장치를 분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버블발생부를 일부 절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버블발생장치가 마개에 결합 된 상태에서의 개괄적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혼합조절부를 분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마개를 도시한 것으로 부분 절개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채택되는 결합부를 부분 절개하여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채택되는 혼합부를 부분 절개한 부분 절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사용에 따른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용기를 거꾸로 하여 액상 내용물과 공기가 혼합되며 버블 발생이 이루어지는 예를 도시한 개괄적 단면도
도 9는 도 8에 의해 버블이 발생되며 내용물을 사용한 후 용기가 복원될 때 공기의 역흐름에 의해 외기가 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괄적 단면도
도 10은 도 9에 의해 용기 내부로 외기가 유입된 후 재차 용기를 짜며 내용물을 사용하는 상태의 도면
도 11은 용기를 바로 세워서 사용할 때 사용 후 용기가 복원되는 시점에서의 공기 흐름을 도시한 개괄적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서 외기 유입을 유도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서 용기를 압착하여 내용물을 짜내어 사용한 후, 용기의 복원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하가 개구되는 복원보형물이 내재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괄적 용기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으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버블발생장치를 분리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마개(100)와 그 마개(100) 내부로 진입되며 결합 되는 버블발생부(200)와, 버블발생부(200) 하단측으로 결합 되는 결합부(300)와, 상기 결합부(300) 하단측에 결합되어 용기(600)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도록 하거나 또는 용기(600) 내부 공기를 내용물과 혼합되도록 하며 외부로 배출되어질 때 버블 발생이 가능하도록 내용물과 공기를 혼합하는 혼합부(400)와, 상기 혼합부(400)의 제2원통형체와 결합되는 용기 내부의 관(500)이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각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마개(100)는, 통상적인 마개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주로 단캡에 적용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중캡으로의 적용도 가능한바,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마개(100) 외주면 상단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덮개(도면상 도면부호 미기재)에 의해 사용시에는 개방되고 사용이 완료된 후에는 닫혀져 용기의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마개(100)의 중앙부위는 관통되어 용기(600) 내부 내용물이 토출될 수 있는 토출구(110)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토출구(110)의 하단측으로 이어져 직각 형태로 절곡되며 수평 형태를 유지하게 되는 확장단턱면(111)이 이루어져 후술하게 되는 버블발생부(200)의 확장판(230) 단부측 경사날개(231)와 접하도록 한다.
버블발생부(20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마개(100)의 토출구(110) 내부에 삽입되는 구성이며 버블발생부(200)의 하단측으로는 후술하는 결합부(300)와 결합 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버블발생부(200)는 도 2의 부분 단면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버블발생부(200)는 원통형체를 이루되 상방측과 하방측으로는 각각 그 외경을 달리하며 구성되도록 하고, 내부의 내경 또한 상방측 내경과 하방측 내경을 각각 달리하여 구성하게 된다.
도면상 보았을 때 버블발생부(200)는 외관상 마치 두 개의 직경이 다른 원기둥이 일체로 연결되는 듯한 형태를 취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의 버블발생부(200)에서 상방측 원통체와 하방측 원통체를 각각 제1몸체(201)과 제2몸체(203)로 구분하여 표기하고, 제1몸체(201)의 내부 내경을 제1내경(202)라 명명하고 제2몸체(202)의 내부 내경을 제2내경(204)라 칭한다.
제1몸체(201)의 외경은 상대적으로 제2몸체(203)의 외경보다 크도록 구성하여 버블발생부(200)의 외주면으로는 제1몸체(201) 하단으로부터 제2몸체(203) 상단측으로 연결되는 부분에는 자연스럽게 제1단턱(205)가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내주면측으로는 제2단턱(206)이 형성된다.
즉 제2단턱(206)의 상방측으로는 내경이 큰 제1내경(202)이 형성되고 그 하방측으로는 내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제2내경(204)이 형성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즉, 버블발생부(200)의 내부 중앙으로는 하나의 통로가 형성되는 통공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한 버블발생부(200)의 제1내경(202) 상단측 즉 버블발생부(200) 상단 내측과, 제2내경(202) 하단측 즉 버블발생부(200)의 하단 내측으로 각각 망사체(210,220)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망사체(210,220)는 공기와 혼합되는 액상의 내용물이 통과되면서 버블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버블발생부(200)의 외주면으로는 별도의 확장판(230)이 구비된다.
상기 확장판(230)은 중앙이 관통되는 원형부재 형태를 이루어 그 중앙의 관통부위로 버블발생부(200)가 끼워지게 되는데, 전술한 제1단턱(205)에 맞추어 끼워지게 된다.
이러한 확장판(230)의 외주면 끝단부는 일체로 경사지는 형태의 경사날개(231)가 구비되어 토출구(110)의 내측 하단면으로 연장되는 확장단턱면(111)과 긴밀하게 접하는 상태로 결합 된다.
여기서 상기 경사날개(231)의 경사방향은 상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였다.
상기 확장판(230) 및 경사날개(231)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확장판(230)과 버블발생부(200)가 서로 분리 및 결합되도록 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일체로 사출 성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버블발생부(200)와 확장판(230)을 일체로 형성할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확장판(230) 및 경사날개(231)는 탄력적인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반면에 버블발생부(200)는 이와는 상대적으로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인서트 사출을 통해 얻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확장판(230) 및 경사날개(231)는 그 두께를 얇게 구성하여 탄력성이 제공되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한 확장판(230)의 경사날개(231)는 용기(600)를 짜내어 내용물을 토출구(110)측을 통해 배출시킬 때 버블발생부(200)를 통과하는 내용물만 공기와의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그 이외에 토출구(110) 내주면과 버블발생부(200)의 상단 즉 제1몸체(201) 외주면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용기(600)의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하여야 한다.
즉, 경사날개(231)가 마개(100) 토출구(110)의 하단 내측방향으로 확장되는 확장단턱면(111)과 밀접하게 접하여져 있는 상태에서, 용기(600)를 짜내어 내용물이 공기와 혼합되며 버블 발생을 일으켜 배출되어질 때 외부의 공기가 토출구(110)를 통해 유입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는데, 이 때 전술한 것과 같이 토출구(110) 내측과 버블발생부(200)의 제1몸체(201) 외경간 이격 틈새를 통해 용기(600) 내부 내용물이 버블발생부(200) 내부를 통과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을 상기 경사날개(231)에 의해 완벽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버블이 발생 되도록 하며 용기(600) 내부 내용물의 토출에 의한 사용이 완료된 후에 용기(600)를 그대로 두면 용기(600)가 원상 회복을 하여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유입되는 외기는 확장판(230)의 경사날개(231)가 뒤로 젖혀지도록 하면서 용기(600) 내부로 유입이 빠르게 이루어져, 용기(600)의 원상 회복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확장판(230)의 경사날개(231)는 용기(600)를 거꾸로 들어 사용할 때 내용물이 확장판(230) 및 경사날개(231)의 저부면과 접하며 압박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바, 상부면 즉 확장판(230) 및 경사날개(231)의 상부면은 확장단턱면(111)을 충분히 커버하며 덮고 있어,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완벽하게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전술한 것과 같이 버블발생부(200)의 상단부측은 마개(100) 토출구(110) 내측에 삽입되고, 하단부측은 도 6에 의한 결합부(300)에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결합부(600)의 구성을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결합부(300)는 중공 형태로 상하가 개구되는 구성을 갖되 상방측 외주면으로 환형상의 리브홈(310)이 구비되고, 중앙으로는 버블발생부(200)의 하단부에 해당되는 제2몸체(203)가 끼워지기 위한 제1삽입관(320)이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관(320)과 연통되면서 하방측으로 연결되는 제2삽입관(330)이 형성된다.
상기 제1삽입관(320)과 제2삽입관(330) 사이에는 구획격판(340)이 형성되어 구획되도록 하되, 그 구획격판(340)에는 다수의 통공(341)이 천공된다.
한편 상기 결합부(300)의 몸체(301) 하단측 하단부재(302)의 하방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2삽입관(330) 외측으로 별도의 결합공(350)을 천공하여 후술하게 되는 혼합부(400)의 일부와 결합 되도록 하였다.
상기 구획격판(340)의 통공(341)을 통해 용기(600) 내용물과 외기가 혼합되어 마개(100)의 토출구(110) 측으로 배출되어질 때 버블발생부(200)를 통과하면서 외기와 내용물간 혼합에 의해 버블이 발생 될 수 있다.
이러한 역할 즉 내용물과 외기간 적정한 혼합에 의한 버블 발생을 유도하기 위한 구성이 혼합부(400)이다.
상기 혼합부(400)에 대한 구성을 도 3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혼합부(400)는 결합부(300)의 하단측 결합공(350)과 일부가 결합되어 용기(600)를 짜내어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어질 때 내용물의 배출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배출이 완료된 후에는 용기(600)가 원상태로 복원되는 과정에서 용기(600)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혼합부(400)는 결합부(300) 하단의 제2삽입관(330)이 끼워져 삽입되기 위한 제1원통형체(410)가 구성되고 제1원통형체(410) 외주면과 일체로 연결되며 하단으로 연결되는 제2원통형체(420)가 이루어진다.
상기 제1원통형체(410) 내부 내주면측으로는 길이방향으로 요철 형태를 이루고, 그 하단은 막혀지도록 구성하되 하단 바닥면에는 상기 제2원통형체(420)와 연통되기 위한 구멍(411)이 천공되도록 하였다.
상기 구멍(411)을 통하여 용기(600) 내용물이 유동되거나 또는 외기의 유동 경로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여기서 제2원통형체(420)는 도 7에서 보듯이, 제1원통형체(410) 외측면과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으로, 제2원통형체(420)는 상방향과 하방향으로 관통하게되는 관통공(421)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방향으로 관통되는 내경과 하방향으로 관통되는 내경의 직경을 달리하였다.
즉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제2원통형체(420)의 하방향 내경(D)은 제2원통형체(420)의 상방향으로 이어지는 내경(d) 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도록 형성(D>d)하여, 직경이 서로 다른 형태를 이루며 상하단이 연통되도록 하는데 상단측 즉 직경이 작은(d) 상기 제2원통체(420) 상방측으로 더욱 연장되며 돌출되는 연결원통체(422)를 형성한다.
상기 연결원통체(422)는 상기 결합부(300)의 결합공(350)에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하였다.(도 3 참조)
또한 상기 구멍(411)은 제2원통형체(420)의 관통공(421)과 연통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혼합부(400)와 결합부(300)간의 결합상태를 설명하면, 상기한 제1원통형체(410)로 결합부(300)의 하단측 제2삽입관(330)이 삽입되고 제2원통형체(420)의 상단측 연결원통체(422)는 결합부(300)의 결합공(350)에 끼워져 연결되는데, 상기 제2원통형체(420) 하단측으로 이어지는 관통공(421)으로는 관(500)이 삽입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한편 상기한 구성에서, 전술한 혼합부(400)의 제1원통형체(410)에 결합부(300)의 제2삽입관(330)이 끼워지게 되는데 그 사이 즉 도 3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제1원통형체(410)에 끼워진 제2삽입관(330) 사이에 공기와 용기(600) 내용물간의 혼합비를 조절하면서도 초기 사용시 액상의 내용물이 제대로 외기와 혼합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혼합조절부(430)를 구성한다.
이러한 혼합조절부(430)는 도 4에 도시되는 구성에 의해 실현 가능하다.
즉 혼합조절부(430)는 도 4에서 보듯이, 크게 하단에 구비되는 원판부재(432)와 상기 원판부재(432) 상면에 지지되는 지지부재(433)와 상기 지지부재(433) 상단면을 차폐 가능하도록 하는 차폐부재(440)와, 상기 차폐부재(440) 상면에 탄지되는 스프링(450)으로 구성된다.
이를 좀더 세부적으로 설명하면, 혼합조절부(430)는 중앙에 통공(431)이 천공된 원판부재(432)가 혼합부(400)의 제1원통형체(410) 내부 하단면에 안착되고, 상기 원판부재(432) 상면으로 수직상으로 형성되는 유로를 갖되 하단부에는 원판지지부(434)가 구비되어 상기 결합부(300)의 제2삽입관(330) 단부에 의해 하방향으로 눌리며 지지 되는 지지부재(433)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433) 상면을 커버하되 상기 지지부재(433) 유로를 차단 또는 개방하도록 하는 차폐부재(440)가 구비되고, 상기 차폐부재(440) 상면으로 탄지되는 스프링(450)이 구비되어지되 스프링(450) 상단은 제2삽입관(330) 하단면에 탄지되어 상기 차폐부재(440)를 하방향으로 탄성 제어하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원판부재(432)는 제1원통형체(410)에 안착되는데, 원판부재(432)와 제1원통형체(410) 상면간 밀착 안착 되면 제1원통형체(410) 바닥면에 편심 천공되며 제2원통형체(420)와 연통되도록 하는 구멍(411)을 막게 되므로, 상기 제1원통형체(410) 바닥면에 단턱(412)을 형성하여 상기 원판부재(432)가 상기 단턱(412)에 의해 지지 안착되도록 하므로서, 원판부재(432)와 제1원통형체(410) 바닥면간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433)는 전술한 원판부재(432) 상면에 안착되는 구성으로, 용기(600)를 짜낼 때 내용물이 유동 될 수 있는 유로를 확보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433)는 도 4에서 보는 것과 같이, 중앙으로 관통공(H)이 관통 천공되는 제1원통부(437)의 외주면으로 등간격 이격되며 리브(439)에 의해 연결되는 제2원통부(438)가 형성되고, 제2원통부(438) 하단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판지지부(434)를 이루며, 상기 리브(439)의 하단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원판지지부(434) 저면측으로 이어지는 돌출지지리브(436)를 구비하고 상기 제1원통부(437) 하단부측으로 더욱 돌출되는 삽입구(435)가 구성된다.
상기 제1원통부(437)와 제2원통부(438) 사이에 리브(439)에 의해 이격 되는 공간으로는 용기(600)의 내용물이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이다.
또한 상기 원판지지부(434)의 저면으로 리브(439) 하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며 형성되는 돌출지지리브(436)는 상기한 원판부재(434)의 상면측과 접촉되는데 그 돌출지지리브(436)에 의해 원판지지부(434)와 원판부재(432)간 이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상기 삽입구(435)는 원판부재(432)의 통공(431)측으로 삽입되어 지지부재(433)가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한 구성의 지지부재(433) 상면으로는 원판형태의 차폐부재(440)를 구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차폐부재(440)는 용기(600)의 내용물이 제1원통부(437)의 관통공(H) 및 제2원통부(438) 사이의 리브(439)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배출 될 때 차폐부재(440)가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지는 현상에 의해 내용물의 유로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차폐부재(440) 상면으로는 스프링(450)에 의해 탄지되어 있어 내용물의 배출이 일정정도 완료된 후 즉 내용물을 다 사용한 후에 용기(600)를 더 이상 짜내지 않을 때에는 스프링(450)의 탄발력에 의해 차폐부재(440)를 하방향으로 밀어 전술한 유로 즉 제1원통부(437)의 관통공(H) 및 제2원통부(438) 사이의 리브(439)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차단하므로서, 더 이상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차폐부재(440) 중앙으로 직경이 매우 작은 구멍인 미세구멍(441)을 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미세구멍(441)은 용기(600)를 짤 때 액상 내용물이 차폐부재(440)를 밀 때 액상 내용물이 먼저 차폐부재(440) 하단측을 밀어올리며 외주연으로 배출되어 결합부(300)의 제2삽입관(330)으로 유동되는 것과 동시에 또는 그 보다 먼저 관(500)을 통하여 용기(600) 내부의 공기가 유동된 후 혼합조절부(430)의 중앙을 이루는 제1원통부(437)의 관통공(H)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된 후 이어서 차폐부재(440)의 저면 중앙을 밀게 될 때 차폐부재(440) 정중앙의 미세구멍(441)측으로 공기가 빠져 나가도록 한다.
따라서 이러한 작용에 의해 용기(600)의 액상 내용물이 먼저 결합부(300)의 제2삽입관(330)측을 통하여 공기와 혼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버블발생부(200)측으로 유도되는 것을 방지하므로서, 마개(100)의 토출구(110)측으로 액상 내용물이 초기에 배출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용기(600)내 내용물을 공기와 혼합되며 버블이 발생 되는 상태로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는 용기(600)를 짜내며 사용하게 된다.
용기(600)를 사용하는 형태는 바로 세워서 사용하는 경우와, 거꾸로 하여 사용하는 경우로 나누어질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용기(600)를 거꾸로 하여 사용하는 경우, 관(500)의 단부측에는 내용물이 접하지 않는 상태에 있게 되며, 용기(600) 내부 공기만 접하는 상태에 있게 된다.(도 8 참조)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기(600)를 짜게 되면 용기(600) 내용물은 관(500)을 통해 유입되지 않고, 혼합부(400)의 제1원통체(410) 내주면의 요철부위로 유입된다.
즉, 내용물은 혼합부(400)의 제1원통형체(410) 내주면과 결합부(300)의 제2삽입관(330)이 삽입된 상태에서 제2삽입관(330) 외면은 제1원통형체(410) 내주면에 접하긴 하되, 제1원통형체(410) 내주면의 요철 형태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내용물이 유입된다.
이와 같이 유입되는 용기(600)내 액상 내용물은, 혼합조절부(430)의 원판부재(432) 상면에 돌출지지리브(436)에 의해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으로 유동된 후, 혼합조절부(430)의 제1원통부(437)와 제2원통부(438)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되면서 지지부재(433)의 상면을 커버링하고 있는 차페부재(440)를 그 상면에 탄지되어 있는 스프링(450)의 탄발력을 이기며 밀어 올리게 된다.
한편 이와 동시에, 관(500)을 통해 용기(600) 내부의 공기도 함께 용기(600)를 짜내게 되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되는데, 그 공기는 관(500)으로 유입된 후 혼합부(400)측으로 유동된다.
혼합부(400)측으로 유입되는 용기(600) 내부의 공기는 유로가 두 군데 즉 제2원통체(420)의 관통공(421)과 제1원통형체(410) 바닥에 편심 천공되는 구멍(411)인데, 상기 관통공(421)측으로는 공기가 충진되어 있어 유동력이 약화되므로 주로 구멍(411)을 통해 공기가 배출되려 한다.
이와 같이 공기는 구멍(411)을 통해 유동되고(도 8 참조) 그 유동되는 공기는 혼합부(400)의 제1원통형체(410) 바닥면 단턱(412)에 의해 일정간격 이격되며 안착되어 있는 혼합조절부(430)의 원판부재(432) 중앙 통공(431)측으로 유도된 후, 지지부재(433)의 정중앙인 제1원통부(437)의 관통공(H)으로 유동되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433)의 제1원통부(437)와 제2원통부(438)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액상 내용물과 함께 차폐부재(440)를 들어 올리며 제2삽입관(330) 내부로 유입됨과 동시에 액상 내용물과 공기가 1차 혼합되는 현상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공기와 액상 내용물이 결합부(300)의 제2삽입관(330)에서 1차 혼합되어 버블을 발생시킨 상태에서, 제2삽입관(330)과 그 상방으로 이어지는 제1삽입관(320) 사이의 구획격판(340)에 다수 천공되어 있는 통공(341)으로 배출된 후 그 배출된 버블 형태의 혼합물은 버블발생부(200)의 하단측 망사체(220)를 통과하여 2차 버블을 발생시키고 이어서 버블발생부(200)이 상단측 망사체(210)를 통과하면서 버블 발생의 완성도를 높인 상태에서 용기(600) 토출구(110)측으로 배출되어 사용자에 의한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즉 용기(600) 내부의 내용물과 공기가 혼합되며 버블을 발생시켜 사용자에 의한 1차 사용이 끝난 후에 용기(600)를 짜고 있던 손을 놓게 되면 용기(600)는 내부 체적을 확장하며 복원하려 한다.
이 과정은 도 9에서와 같은데 용기(600)를 거꾸로 들고 있는 상태에서 짜내고 있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마개(100)의 토출구(110)측으로 공기 즉 외기가 유입되면서 버블발생부(200) 내부로도 외기가 유동되어 버블발생부(200) 외주연으로 형성된 확장판(230)의 경사날개(231)를 하방향으로 젖히게 되고 그 경사날개(231)가 하방향으로 젖혀지며 형성된 틈으로 외기가 빠르게 용기(600) 내부로 유입되어 용기(600)를 단시간에 원상태로 복원하게 된다.
이때에 즉 용기(600)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어질 때에는 혼합조절부(430)측으로도 외기가 유입되면서 그 외기의 유입력과 스프링(450)의 복원력에 의해 혼합조절부(430)의 차폐부재(440)를 밀어 지지부재(433)의 상단측을 차폐하게 되어 유입되는 외기가 용기(600)이 내용물과 혼합되는 현상을 완벽하게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외기의 유입에 따라 용기(600) 내부에서 액상 내용물과 외기간 혼합현상을 방지하게 되므로, 용기(600) 내부에서의 버블 발생 현상은 억제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외기의 유입으로 인하여 용기(600)의 복원이 원상태로 빠르게 이루어진 상태에서 재차 용기(600)를 짜내어 액상 내용물의 버블 발생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아울러 전술한 사용방법은 용기(600)를 거꾸로 들어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하였는데, 예컨데 용기(600)를 바로 세워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설명에서 공기의 흐름과 액상 내용물의 흐름 방향이 반대로 형성되는 상태에서 사용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12에서와 같은 실시형태가 가능하다.
예컨데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용기(600)를 짜내어 내용물을 공기와 혼합하여 버블 발생을 일으키며 사용한 후, 용기(600)의 복원이 이루어질 때 외기는 마개(100)의 토출구(110) 내측으로 끼워지는 버블발생부(200) 외측간 틈새를 통해 유입되는데, 도 12의 실시예에서는 외기가 확장판(230)의 경사날개(231)측으로 직접 유입 되도록 마개(100) 토출구(110) 하단측으로 수평상 연장되는 외기유입부(114)를 구성하고 상기 외기유입부(114)를 수직상 관통하는 외기유입공(115)을 등간격 이격 천공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외기유입공(115)의 하단측은 상기 경사날개(231)와 접하는 위치에 해당되어 내용물을 사용한 후 용기(600)가 복원되며 외기가 상기 외기유입공(115)을 통해 다량 유입되어 확장판(230)의 경사날개(231)를 순간적으로 밀게 되며 용기(600)의 복원력이 더욱 증대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에는 상기 토출구(110)의 내측으로 끼워지는 버블발생부(200) 외측간 틈새로 유입되는 공기는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서 도 12의 확대도에서 보듯이 토출구(110) 하단측으로 언더컷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버블발생부(200)의 외측으로도 언더컷을 형성하여 상기 틈새를 통하여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오직 상기한 외기유입부(114)의 외기유입공(115)으로 유입되도록 하였다.
이와같이 하는 이유는, 마개(100)를 닫은 상태에서는 내용물이 차단되어지는데 외기는 외기유입공(115)으로만 유입되도록 구성하고, 차폐부재(440)에 의해 내용물은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되어 있는 상태에 있게 되는데, 화장품의 조성물을 이루는 성분 중 용기내부의 산소를 소멸 시키는 반응을 일으켜 용기 내부 공기의 체적이 감소되는 현상이 발생되는바 이러한 현상에 의해 용기(600)가 찌그러지는 현상을 유발할 수 있어, 이 경우 외기가 외기유입공(115)을 통해 유입되므로서 용기(600)의 찌그러짐 현상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마개(100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내용물은 용기 외부로 언더컷에 의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외기 또한 버블발생부(200)와 토출구(110)간 틈새를 따라 유입되는 것은 방지하되, 내용물과 용기(600)내 공기의 반응에 의한 체적 감소 현상이 발생될 때에는 상기 외기유입공(115)을 통한 외기의 간헐적 유입으로 용기(600)가 찌그러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각 실시예에서 용기(600) 내부 내용물을 짜내어 버블 발생을 일으키며 사용한 후 용기(600)가 복원되어질 때 외기에 의해서만 복원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통상적으로 용기(600)의 재질은 연질의 수지로 이루어지고 있어서, 내용물을 짠 상태에서 외기가 유입되면서 용기(600)의 복원이 완전하게 이루어질 때까지는 다소 시간이 지연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즉, 용기(600)의 복원력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13에서와 같이 용기(600) 내주면으로 밀착되도록 삽입되는 것으로 상하가 개방되는 경질의 복원보형물(610)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복원보형물(610)에 의할 경우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탄성 복원력이 연질의 용기(600) 보다는 우수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용기(600)를 눌러 내용물을 짜낸 후, 용기(600)를 누르는 힘이 제거되었을 때 외기의 유입 압력과 복원보형물(610)의 탄성적 복원력에 의해 용기(600)는 빠르게 복원되어 용기(600)의 내용물을 재사용하기 위한 대기 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마개 110; 토출구
111; 확장단턱면 112; 제2확장단턱면
113; 돌출리브 200; 버블발생부
201; 제1몸체 202; 제1내경
203; 제2몸체 204; 제2내경
205; 제1단턱 206; 제2단턱
210, 220; 망사체 230; 확장판
231; 경사날개 300; 결합부
310; 리브홈 320; 제1삽입관
330; 제2삽입관 340; 구획격판
341; 통공 350; 결합공
400; 혼합부 410; 제1원통형체
411; 구멍 412; 단턱
420; 제2원통체 421; 관통공
422; 연결원통체 430; 혼합조절부
431; 통공 432; 원판부재
433; 지지부재 434; 원판지지부
435; 삽입구 436; 돌출지지리브
437; 제1원통부 438; 제2원통부
439; 리브 H; 관통공
440; 차폐부재 450; 스프링
500; 관 600; 용기

Claims (9)

  1. 삭제
  2. 튜브형 용기의 토출구와 결합되는 마개(100)의 토출구(110) 내부측으로 삽입되는 버블발생부(200)를 구비하고, 상기 버블발생부(200) 하단부가 끼워지고 중앙이 관통되는 결합부(300)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결합부(300)는 중공 형태로 상하가 개구되는 구성을 갖되 상방측 외주면으로 환형상의 리브홈(310)이 구비되고, 중앙으로는 버블발생부(200)의 하단부에 해당되는 제2몸체(203)가 끼워지기 위한 제1삽입관(320)이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관(320)과 연통되면서 하방측으로 연결되는 제2삽입관(330)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300) 하단부가 상단에 끼워지면서 용기(600) 내부의 관(500)이 하단에 끼워져 용기(600)내의 액상 내용물 또는 공기를 유도하며 액상 내용물과 공기의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혼합부(400)로 이루어지는 마개구조에서의 버블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400)는 상기 결합부(300) 하단으로 이루어지는 제2삽입관(330)이 끼워져 삽입되기 위한 제1원통형체(410)가 구성되고 제1원통형체(410) 외주면과 일체로 연결되며 하단으로 연결되는 제2원통형체(420)가 이루어지되, 상기 제1원통형체(410) 내부 내주면측으로는 길이방향으로 요철 형태를 이루고, 그 하단은 막혀지도록 구성하고 하단 바닥면에는 상기 제2원통형체(420)와 연통되기 위한 구멍(411)이 천공되는 것을 포함하는, 마개구조에서의 버블발생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400)의 제1원통형체(410)에 끼워지는 결합부(300)의 제2삽입관(330)에 혼합조절부(430)가 내입되는 것을 포함하는, 마개구조에서의 버블발생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조절부(430)는 중앙에 통공(431)이 천공된 원판부재(432)가 혼합부(400)의 제1원통형체(410) 내부 하단면에 안착되고, 상기 원판부재(432) 상면으로 수직상으로 형성되는 유로를 갖되 하단부에는 원판지지부(434)가 구비되어 상기 결합부(300)의 제2삽입관(330) 단부에 의해 하방향으로 눌리며 지지 되는 지지부재(433)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433) 상면을 커버하되 상기 지지부재(433) 유로를 차단 또는 개방하도록 하는 차폐부재(440)가 구비되고, 상기 차폐부재(440) 상면으로 탄지되는 스프링(450)이 구비되어지되 스프링(450) 상단은 제2삽입관(330) 하단면에 탄지되어 상기 차폐부재(440)를 하방향으로 탄성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마개구조에서의 버블발생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통형체(410) 바닥면에 단턱(412)을 형성하여 상기 원판부재(432)가 상기 단턱(412)에 의해 지지 안착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마개구조에서의 버블발생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433)는 중앙으로 관통공(H)이 관통 천공되는 제1원통부(437)의 외주면으로 등간격 이격되며 리브(439)에 의해 연결되는 제2원통부(438)가 형성되고, 제2원통부(438) 하단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판지지부(434)를 이루며, 상기 리브(439)의 하단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원판지지부(434) 저면측으로 이어지는 돌출지지리브(436)를 구비하고 상기 제1원통부(437) 하단부측으로 더욱 돌출되는 삽입구(435)가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마개구조에서의 버블발생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440) 중앙에 미세구멍(441)이 천공되는 것을 포함하는, 마개구조에서의 버블발생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100) 토출구(110) 하단측으로 수평상 연장되는 외기유입부(114)를 구성하고 상기 외기유입부(114)를 수직상 관통하는 외기유입공(115)을 등간격 이격 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마개구조에서의 버블발생장치.

  9. 삭제
KR1020140144036A 2014-10-23 2014-10-23 마개구조에서의 버블발생장치 KR101567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036A KR101567249B1 (ko) 2014-10-23 2014-10-23 마개구조에서의 버블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036A KR101567249B1 (ko) 2014-10-23 2014-10-23 마개구조에서의 버블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7249B1 true KR101567249B1 (ko) 2015-11-06

Family

ID=54601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4036A KR101567249B1 (ko) 2014-10-23 2014-10-23 마개구조에서의 버블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72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8128A1 (ko) * 2021-08-09 2023-02-16 플러스웰주식회사 미세 버블 생성 유닛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8128A1 (ko) * 2021-08-09 2023-02-16 플러스웰주식회사 미세 버블 생성 유닛
KR20230023599A (ko) * 2021-08-09 2023-02-17 플러스웰주식회사 미세 버블 생성 유닛
KR102640710B1 (ko) 2021-08-09 2024-02-28 플러스웰주식회사 미세 버블 생성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31136A1 (ja) 注出容器
KR101514811B1 (ko) 압착용기용 거품발생기
KR101517825B1 (ko) 도립형 압착용기 거품발생기
KR101765026B1 (ko) 스퀴즈 용기용 거품발생펌프 및 그의 작동방법
KR101483652B1 (ko) 드로퍼
KR101567249B1 (ko) 마개구조에서의 버블발생장치
KR101376439B1 (ko)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구조
JP2018532659A (ja) 泡噴出チューブ容器
JP2009149323A (ja) 二重容器
KR20160127726A (ko) 스퀴즈용기용 거품발생펌프 및 그의 작동방법
JP2009149322A (ja) スクイズボトル
JP2009149326A (ja) 二重容器
JP2018140801A (ja) 泡噴出容器
KR101460453B1 (ko)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구조
JP2014046938A (ja) 泡噴出容器
JP4991512B2 (ja) スクイズ式泡吐出容器
JP6437275B2 (ja) 泡噴出容器
JP6219240B2 (ja) 泡噴出容器
JP5695499B2 (ja) 泡噴出容器
JP2018104054A (ja) スクイズフォーマー容器
JP6012947B2 (ja) 泡噴出容器
JP6416043B2 (ja) 泡噴出容器
JP2013052880A (ja) 泡噴出容器
JP6904879B2 (ja) スクイズフォーマー容器
KR102535986B1 (ko) 에어튜브를 구비하는 버블발생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