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7726A - 스퀴즈용기용 거품발생펌프 및 그의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스퀴즈용기용 거품발생펌프 및 그의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7726A
KR20160127726A KR1020167021382A KR20167021382A KR20160127726A KR 20160127726 A KR20160127726 A KR 20160127726A KR 1020167021382 A KR1020167021382 A KR 1020167021382A KR 20167021382 A KR20167021382 A KR 20167021382A KR 20160127726 A KR20160127726 A KR 20160127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gas
foam
air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1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얀홍 메이
Original Assignee
얀홍 메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홍 메이 filed Critical 얀홍 메이
Publication of KR20160127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77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4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 B05B11/3043
    • B05B11/3052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샴푸와 같은 액체가 담긴 용기와 별도로 이루어지는 거품발생펌프를 제공하되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필요 시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으며, 액체상태의 각종 세정제를 거품상태로 만들어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손으로 비비는 등의 번거로움 없이 세안이나 세수 또는 머리를 감을 수 있는 스퀴즈용기용 거품발생펌프와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스퀴즈용기 위에 설치된 거품발생체로 구성된 스퀴즈용기용 거품발생펌프에 있어서, 상기 거품발생체는, 거품이 토출되는 노즐헤드와, 상기 노즐헤드와 결합되는 노즐헤드연결부와, 스퀴즈용기의 입구와 결합되도록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퀴즈용기연결부로 구성된 캡과, 상기 캡 내에는 상기 스퀴즈용기 내의 액체와 공기가 모아져 혼합되는 기액혼합부와, 공기와 액체가 혼합되어 거품을 생성하는 거품생성부 및 스퀴즈용기에 외부력 제거시 공기가 노즐헤드를 통해 유입되는 회기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액혼합부의 하부에 기액분류기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회기통로 내의 하부에 공기 흐름의 방향에 따라 상기 회기통로를 개폐하는 기체진입 방지구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스퀴즈용기용 거품발생펌프 및 그의 작동방법{Squeezing type foam pump and method for generating foam by foam pump}
본 발명은 스퀴즈용기용 거품발생펌프 및 그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스퀴즈 용기를 세워둔 상태에서 스퀴즈용기를 누름으로서 용기 내의 샴푸나 세제 등의 각종 액체를 공기와 혼합시켜 거품상태로 배출시키기 위한 스퀴즈용기용 거품발생펌프 및 그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품발생펌프는 물비누나 샴푸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액상의 내용물에 적절한 양의 공기나 가스를 혼합 및 압출하여 거품을 발생시키는 구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거품발생펌프는 별도의 압축가스를 충전시켜야 하며, 거품발생펌프가 기울어져 있을 때에는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지 못하고 압축가스 만이 분사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압축가스의 사용은 환경문제를 야기하고, 화재 또는 폭발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거품발생펌프 내에 압축가스를 충전하여 저장하는 구조는 내구성 및 복잡한 부품 구성을 필요로 하여 거품발생펌프의 제조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액상의 내용물과 혼합시켜서 거품을 발생시키는 거품발생펌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그에 대한 관련 기술도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거품발생펌프는 통상 펌프의 외관을 구성하고 외부 공기와 액상 내용물을 각각 저장하는 하우징, 하우징을 용기에 장착하는데 사용되는 클로우져, 내용물과 공기를 혼합시키는 혼합부, 캡의 토출구와 연통되어 있고 하우징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스템, 상기 스템의 상하 운동을 안내하며 스템을 캡에 연결하는 샤프트, 상기 스템에 장착된 상태로 하우징의 내벽을 따라 상하 운동을 하는 피스톤, 하우징의 내면 하부에 장착되어 있는 스프링, 하우징 하단의 유입구를 개폐하는 볼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거품발생펌프는 일반적인 수동식 분사펌프와는 달리 내용물의 펌핑 구조 외에도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저장시키는 구조 및 펌핑 시 내용물과 공기를 혼합시키는 혼합부에 하우징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구조 등이 추가되므로, 부품의 수가 많아지고,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어서 사용 중에 고장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0632932호(2006.10.13.공고.)"거품 분출 펌프디스펜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샴푸와 같은 액체가 담긴 용기와 별도로 이루어지는 거품발생펌프를 제공하되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필요 시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으며, 액체상태의 각종 세정제를 거품상태로 만들어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손으로 비비는 등의 번거로움 없이 세안이나 세수 또는 머리를 감을 수 있는 스퀴즈용기용 거품발생펌프와 그 작동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구성하고 있는 기술적 구성은, 비닐 소재의 스퀴즈가 용이한 스퀴즈용기와 거품펌프체로 구성된 스퀴즈용기용 거품펌프로서, 상기 거품펌프체는 샴푸와 같은 액체가 담겨진 스퀴즈용기 안에 삽입되어 있다. 사용자는 비닐 소재의 스퀴즈가 용이한 상기 스퀴즈용기를 잡고 누르면 거품펌프체의 작동으로 스퀴즈용기용 거품발생펌프는 액체에 공기가 혼합된 거품을 발생시켜 토출구를 통해 배출시킨다.
스퀴즈용기용 거품펌프는, 스퀴즈용기와 결합된 거품펌프체로서, 상기 거품펌프체는 샴푸등과 같은 액체가 담겨진 스퀴즈용기 입구 위에 결합되어 있다. 예를 들면 세정액, 샴푸 등을 사용시 사용자들은 비닐 소재의 유연한 스퀴즈용기를 누름과 동시에 거품펌프체의 작동으로 스퀴즈용기용 거품펌프는 공기와 액체가 혼합된 거품을 생산하여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거품펌프체는 거품을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노즐헤드와, 내부에 나선이 형성된 캡, 기액분류기 및 기체진입 방지구를 포함한다. 그 중 상기 캡은 상기 스퀴즈용기의 입구와 결합되어, 상기 거품펌프체가 스퀴즈 용기 위로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캡의 상부에 상기 노즐헤드와 결합되는 노즐헤드연결부와 그 하부에 스퀴즈용기의 입구와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스퀴즈용기 연결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노즐헤드는 거품통로와 양날개꽂이를 포함하고, 상기 양날개꽂이의 양 날개꽂이 사이에 상기 노즐헤드연결부가 삽입된다. 상기 노즐헤드를 사용자가 하부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양날개꽂이는 상기 노즐헤드연결부안에 깊이 삽입이 되면서 상기 거품펌프체는 밀봉상태가 되어 이때 거품은 상기 거품통로로 토출되지 않는다.
상기 노즐헤드를 사용자가 상부방향으로 상기 노즐헤드연결부 상단의 걸림턱까지 당기면 상기 캡으로부터 일정 간격 상부로 이동되어 상기 거품펌프체는 거품을 발생할 수 있는 작동상태가 된다. 상기 캡 내에는 스퀴즈용기내의 액체와 공기가 모아져 공기와 액체가 혼합되는 기액혼합부와, 공기와 액체가 혼합되어 거품을 생성하는 거품생성부 및 스퀴즈용기가 누름상태에서 외부력이 제거되어 복원시 공기가 노즐헤드를 통해 흡입되는 회기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액혼합부와 상기 거품생성부는 서로 연결되어 있고, 거품펌프체가 작동 시 상기 거품생성부와 거품통로는 서로 연결된다, 상기 거품생성부 내에 둥근 그물망이 설치되어 있어 기포 직경이 그물망보다 작은 고운 거품을 발생시킨다. 상기 기액혼합부의 하부에 상기 기액분류기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회기통로내의 하부에 공기 흐름의 방향에 따라 상기 회기통로를 개폐하는 상기 기체진입 방지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캡의 노즐헤드연결관 하단에 하방으로 길게 연결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관에 기액분류기가 설치되어, 상기 기액분류기의 상단 내측면과 상기 연결관의 외표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스퀴즈용기 안으로 통하는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통로는 스퀴즈용기의 입구와 기액혼합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액분류기의 하단에 스퀴즈용기내의 액체에 잠겨져 스퀴즈용가 내의 액체가 유입되는 진액관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기액분류기의 하단에 스퀴즈용기 내의 액체가 통과하는 진액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진액통로는 상기 진액관의 상단과 기액혼합부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기액분류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관과 상기 외부관에 설치된 윗덮개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외부관의 내부 표면상에 진액홈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윗덮개와의 외주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윗덮개의 외부표면에 형성된 진액홈을 따라 진액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비닐소재의 유연한 스퀴즈용기를 사용자가 누르면 상기 스퀴즈용기 내의 액체는 누른 힘에 의해 상기 진액관을 통해 상기 진액통로를 따라 올라와 상기 기액혼합부 내로 유입되고, 상기 스퀴즈용기 내에 있던 공기는 상기 공기통로를 따라 유입된 공기가 기체진입 방지구를 위로 밀어올려 상기 회기통로를 폐쇄하여 외부공기가 스퀴지용기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도 2에서 화살표의 방향과 같이 스퀴즈용기 내의 공기는 사용자가 누른 힘에 의해 상기 공기통로를 따라 기액혼합부로 들어간다. 상기 기액혼합부 내에서 스퀴즈용기 내의 공기와 액체는 혼합되어 상기 거품생성부로 유입되어 공기와 액체가 혼합된 거품을 만들어 상기 거품통로를 거쳐 노즐헤드를 통해 토출된다. 상기 스퀴즈용기에 외부력이 소멸되면 비닐소재의 유연한 스퀴즈용기는 탄력성이 회복되어 본래의 형상으로 돌아갈 때 기체진입 방지구는 중력에 의해 하부로 내려가면서 막고있던 회기통로가 열리고, 노즐헤드의 토출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스퀴즈용기 안으로 진입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이 순환 반복된다. 상기 기체진입 방지구는 구슬형태의 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퀴즈용기용 거품발생펌프의 작동방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비닐소재의 유연한 스퀴즈용기를 누르면 상기 스퀴즈용기 내의 액체는 누른 힘에 의해 상기 진액관을 따라 상승하여 상기 진액통로를 통해 기액혼합구 내로 유입되고, 한편 상기 스퀴즈용기 내의 공기는 공기통로를 따라 유입되어 구슬형태의 기체진입 방지구를 밀어올려 상기 회기통로를 막아 외부공기가 상기 스퀴즈용기 내로 유입될 수 없게 한다. 한편 스퀴즈용기 내에 있던 공기는 상기 공기통로를 따라 상기 기액혼합부로 들어간다. 상기 기액혼합부 내에서 스퀴즈용기 내의 공기와 액체는 혼합되어 상기 거품생성부로 유입되어 공기와 액체가 혼합된 거품을 만들어 상기 거품통로를 통해 노즐헤드를 통해 토출된다.
상기 스퀴즈용기에 외부력이 소멸되면 비닐소재의 유연한 스퀴즈용기는 탄력성이 회복되어 본래의 형상으로 돌아갈 때 기체진입 방지구는 중력에 의해 하부로 내려가면서 막고있던 회기통로가 열리고, 노즐헤드의 토출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스퀴즈용기 안으로 유입된다. 상기 거품펌프체 안에는 스퀴즈용기 내의 진액통로, 공기??로, 구슬형태의 기체진입 방지구, 기액혼합구, 거품생성부, 회기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품통로는 노즐헤드에 형성되어 있다.
상가 거품펌프체는 스퀴즈용기의 입구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거품펌프체는 거품을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노즐헤드와, 내부에 나선이 형성된 캡, 기액분류기 및 기체진입 방지구를 포함한다. 그 중 상기 캡은 상기 스퀴즈 용기의 입구와 결합되어, 상기 거품펌프체가 스퀴즈용기 위로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캡은 상부에 상기 노즐헤드와 결합되는 노즐헤드연결부와 그 하부에 스퀴즈용기의 입구와 결합되는 스퀴즈용기 연결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노즐헤드는 거품통로와 양날개꽂이를 포함하고, 상기 양날개꽂이의 양 날개 사이에 상기 스퀴즈용기 연결부가 삽입된다.
상기 노즐헤드를 사용자가 하부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양날개꽂이는 상기 노즐헤드연결부 안에 깊이 삽입이 되면서 상기 거품펌프체는 밀봉상태가 되어 이때 거품은 상기 거품통로로 토출되지 않는다. 상기 노즐헤드를 사용자가 상부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캡으로부터 일정 간격 상부로 이동되어 상기 거품펌프체는 거품을 발생할 수 있는 작동상태가 된다. 상기 캡은 기체와 액체가 혼합되는 기액혼합부와 거품생성부 및 스퀴즈용기가 누름상태에서 복원시 공기가 노즐헤드를 통해 유입되는 회기통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액혼합부와 상기 거품생성부는 서로 연결되어 있고, 거품펌프체가 작동시 상기 거품생성부와 거품통로는 서로 연결된다, 상기 거품생성부 내에 둥근 그물망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액혼합부 하부에 상기 기액분류기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회기통로 내의 하부에 상기 기체진입 방지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캡에 연결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관 외부에 기액분류기가 설치되어, 상기 기액분류기의 내측면과 상기 연결관의 외표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용기 안으로 통하는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통로는 스퀴즈용기의 입구와 기액혼합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액분류기의 하단에 스퀴즈용기 내의 액체에 잠기도록 액체가 유입되는 진액관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기액분류기의 내에는 용기내의 액체가 통과하는 진액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진액통로는 진액관의 상단과 기액혼합부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기액분류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관과 상기 외부관에 설치된 윗덮개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외부관의 내부 표면상에 진액홈이 상하로 형성되어 있고, 윗덮개와의 외주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윗덮개의 외부표면에 형성된 진액홈을 따라 진액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체진입 방지구는 구슬형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거품이 풍부하게 생산이 되고, 생성되는 거품의 양은 스퀴즈 용기의 스퀴즈하는 사용자의 압력과 시간에 따라 거품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거품을 발생시키는 거품발생체의 구조가 단순하고, 거품을 발생시키는 기능이 안정적으로 누구나 손쉽게 거품을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액체가 통과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공기가 통과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퀴즈용기용 거품펌프는, 스퀴즈용기(100)와 거품펌프체(200)를 포함한다. 상기 거품펌프체(200)는 샴푸등과 같은 액체가 담겨진 스퀴즈용기(100) 안에 삽입되어 있다. 예를 들면 세정액, 샴푸 등을 사용시 사용자들은 비닐 소재의 유연한 스퀴즈용기(100)를 누름과 동시에 거품펌프체(200)의 작동으로 스퀴즈용기용 거품펌프는 기체와 액체가 혼합된 거품을 생산하여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거품펌프체(200)는 거품을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노즐헤드(10)과, 내부에 나선이 형성된 캡(20), 기액분류기(30) 및 기체진입 방지구(40)를 포함한다. 그 중 상기 캡(20)은 상기 스퀴즈용기(100)의 입구에 결합되어, 상기 거품펌프체(200)가 스퀴즈 용기(100) 위로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캡(20)은 상부에 상기 노즐헤드와 결합되는 노즐헤드연결부(21)와 그 하부에 스퀴즈용기의 입구와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스퀴즈용기 연결부(2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노즐헤드(10)는 거품통로(11)와 양날개꽂이(12)를 포함하고, 상기 양날개꽂이(12) 사이에 상기 노즐헤드 연결부(21)가 삽입된다.
상기 노즐헤드(10)를 사용자가 하부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양날개꽂이(12)는 상기 노즐헤드연결부(21) 안에 깊이 삽입이 되면서 상기 거품펌프체는 밀봉상태가 되어, 이때 거품은 상기 거품통로(11)로 토출되지 않는다. 상기 노즐헤드(10)를 사용자가 상부방향으로 상기 노즐헤드연결부(21)의 끝단에 형성된 걸림턱까지 당기면 상기 캡(20)으로부터 일정 간격 상부로 이동되어 상기 거품펌프체는 거품을 발생할 수 있는 작동상태가 된다.
상기 캡(20) 내에는 스퀴즈용기(100)내의 액체와 공기가 모아져 공기와 액체가 혼합되는 기액혼합부(51)와, 공기와 액체가 혼합되어 거품을 생성하는 거품생성부(52) 및 스퀴즈용기(100)가 누름상태에서 외부력이 제거되어 복원시 공기가 노즐헤드를 통해 흡입되는 회기통로(5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액혼합부(51)와 상기 거품생성부(52)는 서로 연결되어 있고, 거품펌프체가 작동시 상기 거품생성부(52)와 거품통로(11)는 서로 연결된다, 상기 거품생성부(52) 내에 둥근 그물망(521)이 설치되어 있어 기포 직경이 그물망보다 작은 고운 거품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상기 기액혼합부(51)의 하부에 상기 기액분류기(30)와 연결이 되어 있다. 상기 회기통로(53)내의 하부에 공기 흐름의 방향에 따라 상기 회기통로(53)를 개폐하는 상기 기체진입 방지구(4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캡(20)의 노즐헤드연결부(21) 하단에 하방으로 길게 연결부(2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23)에 기액분류기(30)가 설치되어, 상기 기액분류기(30)의 상단 내측면과 상기 연결부(23)의 외표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스퀴즈용기 안으로 통하는 공기통로(30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통로(300)는 스퀴즈용기(100)의 입구와 기액혼합부(51)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액분류기(30)의 하단에 스퀴즈용기(100)내의 액체에 잠겨져 스퀴즈용기 내의 액체가 유입되는 진액관(60)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기액분류기(30)의 하단에 상기 진액관(60)을 통해 유입된 액체가 통과하는 진액통로(40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진액통로(400)는 진액관(60)의 상단과 기액혼합부(51)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기액분류기(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관(31)과 상기 외부관(31)에 설치된 윗덮개(32)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외부관(31)의 내부 표면상에 진액홈(33)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윗덮개(32)의 외주 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외부관(31)과 윗덮개(32) 사이에 형성된 진액홈(33)을 따라 진액통로(400)가 형성되어 있다.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비닐소재의 유연한 스퀴즈용기(100)를 사용자가 누르면 상기 스퀴즈용기(100) 내의 액체는 누른 힘에 의해 상기 진액관(60)을 통해 상기 진액통로(400)을 따라 올라와 상기 기액혼합부(51) 내로 들어가고, 스퀴즈용기(100) 내에 있던 공기는 상기 공기통로(300)을 따라 진입된 공기가 기체진입 방지구(40)를 위로 밀어올려 상기 회기통로(53)을 폐쇄하여 외부공기가 스퀴지용기(100) 내에 흡입이 되지 않도록 한다.
도 2에서 화살표의 방향과 같이 스퀴즈용기(100) 내의 공기는 사용자가 누른 힘에 의해 상기 공기통로(300)을 따라 기액혼합부(51)로 들어간다. 상기 기액혼합부(51) 내에서 스퀴즈용기(100)내의 공기와 액체는 혼합되어 상기 거품생성부(52)로 유입되어 공기와 액체가 혼합된 거품을 만들어 상기 거품통로(11)를 통해 노즐헤드(10)를 통해 토출된다. 상기 스퀴즈용기(100)에 외부력이 소멸되면 비닐소재의 유연한 스퀴즈용기(100)은 탄력성이 회복되어 본래의 형상으로 돌아갈 때 기체진입 방지구(40)은 중력에 의해 하부로 내려가면서 막고 있던 회기통로(53)가 열리고, 외부공기는 노즐헤드의 토출구를 통해 스퀴즈용기(100)안으로 유입된다, 이와 같은 과정이 순환 반복된다. 상기 기체진입 방지구(40)은 구슬형태의 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퀴즈용기용 거품발생펌프의 작동방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비닐소재의 유연한 스퀴즈용기(100)를 누르면 상기 스퀴즈용기(100)내의 액체는 누른 힘에 의해 상기 진액관(60)을 따라 상승하여 상기 진액통로(400)을 통해 기액혼합부(51) 내로 유입되고, 상기 스퀴즈용기(100) 내의 공기는 공기통로(300)를 따라 유입되어 구슬형태의 기체진입 방지구(40)을 밀어올려 상기 회기통로(53)를 막아 외부공기가 상기 스퀴즈용기(100) 내로 유입될 수 없게 한다. 한편 스퀴즈용기(100) 내에 있던 공기는 상기 공기통로(300)을 따라 상기 기액혼합부(51)로 들어간다. 상기 기액혼합부(51)내에서 스퀴즈용기(100)내의 공기와 액체는 혼합되어 상기 거품생성부(52)로 유입되어 공기와 액체가 혼합된 거품을 만들어 상기 거품통로(11)를 통해 노즐헤드를 통해 토출된다.
상기 스퀴즈용기(100)에 외부력이 소멸되면 비닐소재의 유연한 스퀴즈용기(100)은 탄력성이 회복되어 본래의 형상으로 돌아갈 때 기체진입 방지구(40)은 중력에 의해 하부로 내려가면서 막고 있던 회기통로(53)가 열리고, 노즐헤드의 토출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스퀴즈용기(100)안으로 진입하게 된다. 상기 거품펌프체(200)안에는 스퀴즈용기 내의 진액통로(400), 공기??로(300), 구슬형태의 기체진입 방지구(40), 기액혼합부(51), 거품생성부(52), 회기통로(5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품통로(11)은 노즐헤드(10)에 형성되어 있다.
상가 거품펌프체(200)은 스퀴즈용기(100)의 입구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거품펌프체(200)는 거품을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노즐헤드(10)와, 내부에 나선이 형성된 캡(20), 기액분류기(30) 및 기체진입 방지구(40)를 포함한다. 그 중 상기 캡(20)은 상기 스퀴즈 용기(100)의 입구와 결합되어, 상기 거품펌프체(200)가 스퀴즈용기(100) 위로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캡(20)은 상부에 상기 노즐헤드와 결합되는 노즐헤드연결부(21)와 그 하부에 스퀴즈용기의 입구와 결합되는 스퀴즈용기연결부(2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노즐헤드(10)는 거품통로(11)와 양날개꽂이(12)를 포함하고, 상기 양날개꽂이(12)의 양 날개 사이에 상기 스퀴즈용기 연결부(22)가 삽입된다. 상기 노즐헤드(10)를 사용자가 하부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양날개꽂이(12)는 상기 노즐헤드연결부(21)안에 깊이 삽입이 되면서 상기 거품펌프체는 밀봉상태가 되어 이때 거품은 상기 거품통로(11)로 토출되지 않는다. 상기 노즐헤드(10)를 사용자가 상부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캡(20)으로부터 일정 간격 상부로 이동되어 상기 거품펌프체는 거품을 발생할 수 있는 작동상태가 된다. 상기 캡(20)은 기체와 액체가 혼합되는 기액혼합부(51)와 거품생성부(52) 및 스퀴즈용기가 누름상태에서 복원시 공기가 노즐헤드를 통해 흡입되는 회기통로(5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액혼합부(51)와 상기 거품생성부(52)는 서로 연결되어 있고, 거품펌프체가 작동시 상기 거품생성부(52)와 거품통로(11)은 서로 연결된다, 상기 거품생성부(52) 내에 둥근 그물망(52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액혼합부(51) 하부에 상기 기액분류기(30)와 연결이 되어 있다. 상기 회기통로(53)내의 하부에 상기 기체진입 방지구(4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캡(20)에 연결관(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관(23) 외부에 기액분류기(30)가 설치되어, 상기 기액분류기(30)의 내측면과 상기 연결관(23)의 외표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용기 안으로 통하는 공기통로(30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통로(300)는 스퀴즈용기(100)의 입구와 기액혼합부(51)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액분류기(30)의 하단에 스퀴즈용기(100)내의 액체에 잠기고, 액체가 유입되는 진액관(60)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기액분류기(30)의 내에는 용기내의 액체가 통과하는 진액통로(40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진액통로(400)는 진액관(60)의 상단과 기액혼합부(51)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기액분류기(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관(31)과 상기 외부관(31)에 설치된 윗덮개(32)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외부관(31)의 내부 표면상에 진액홈(33)이 상하로 형성되어 있고, 윗덮개(32)와의 외주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윗덮개(32)의 외부표면에 형성된 진액홈(33)을 따라 진액통로(40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체진입 방지구(40)은 구슬형태가 바람직하다.

Claims (7)

  1. 스퀴즈용기 위에 설치된 거품발생체로 구성된 스퀴즈용기용 거품발생펌프에 있어서,
    상기 거품발생체는,
    거품이 토출되는 노즐헤드와
    상기 노즐헤드와 결합되는 노즐헤드연결부와, 스퀴즈용기의 입구와 결합되도록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퀴즈용기연결부로 구성된 캡과,
    상기 캡 내에는 상기 스퀴즈용기 내의 액체와 공기가 모아져 혼합되는 기액혼합부와, 공기와 액체가 혼합되어 거품을 생성하는 거품생성부 및 스퀴즈용기에 외부력 제거시 공기가 노즐헤드를 통해 유입되는 회기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액혼합부의 하부에 기액분류기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회기통로 내의 하부에 공기 흐름의 방향에 따라 상기 회기통로를 개폐하는 기체진입 방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퀴즈용기용 거품발생펌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노즐헤드연결부 하단에 하방으로 길게 형성된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에 상기 기액분류기가 설치되어, 상기 기액분류기의 상단 내측면과 상기 연결부의 외표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스퀴즈용기 안으로 통하는 공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통로는 스퀴즈용기의 입구와 상기 기액혼합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퀴즈용기용 거품발생펌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분류기의 하단에 스퀴즈 용기로부터 액체가 유입되는 진액관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기액분류기는 상기 진액관의 상단과 연결되어 스퀴즈용기 내의 액체가 통과하는 진액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진액통로를 통해 액체가 상기 기액혼합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퀴즈용기용 거품발생펌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분류기는 외부관과 상기 외부관에 설치된 윗덮개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외부관의 내부 표면상에 진액홈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윗덮개와의 외주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윗덮개의 외부표면에 형성된 진액홈을 따라 진액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진액통로를 따라 유입된 액체는 상기 기액혼합부 내로 유입되고, 상기 공기통로를 따라 진입된 공기는 기체진입 방지구를 위로 밀어올려 상기 회기통로를 폐쇄하여 외부공기가 스퀴지용기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공기통로를 따라 기액혼합부로 유입되어, 상기 기액혼합부 내에서 스퀴즈용기 내의 공기와 액체는 혼합되어 상기 거품생성부로 유입되어 공기와 액체가 혼합된 거품을 만들어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퀴즈용기용 거품발생펌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퀴즈용기에 외부력이 소멸되면 상기 기체진입 방지구는 중력에 의해 하부로 내려가면서 상기 회기통로가 열리고, 상기 노즐헤드의 토출구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며,
    상기 기체진입 방지구는 구슬형태의 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퀴즈용기용 거품발생펌프.
  6. 스퀴즈용기 내의 액체가 누른 힘에 의해 진액관을 따라 상승하여 진액통로을 통해 기액혼합구 내로 액체가 유입되는 단계,
    상기 스퀴즈용기 내의 공기는 공기통로를 따라 유입되어 구슬형태의 기체진입 방지구를 밀어올려 회기통로를 막아 외부공기가 상기 스퀴즈용기 내로 유입될 수 없게 하고, 상기 공기통로을 따라 상기 기액혼합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단계,
    상기 기액혼합부 내에서 공기와 액체는 혼합되어 거품생성부로 유입되어 공기와 액체가 혼합된 거품을 만들어 거품통로를 거쳐 노즐헤드를 통해 거품을 토출하는 거품토출단계를 포함하는 스퀴즈용기용 거품발생펌프 작동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토출단계 이후,
    상기 스퀴즈용기에 외부력이 소멸되면 상기 기체진입 방지구는 중력에 의해 하부로 내려가면서 회기통로가 열리고, 노즐헤드의 토출구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스퀴즈용기 복원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퀴즈용기용 거품발생펌프의 작동방법.





KR1020167021382A 2015-03-03 2015-03-20 스퀴즈용기용 거품발생펌프 및 그의 작동방법 KR201601277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093869.XA CN104691928B (zh) 2015-03-03 2015-03-03 一种玻珠挤压式泡沫泵及泡沫泵产生泡沫的方法
CN201510093869.X 2015-03-03
PCT/CN2015/000189 WO2016138603A1 (zh) 2015-03-03 2015-03-20 一种玻珠挤压式泡沫泵及泡沫泵产生泡沫的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726A true KR20160127726A (ko) 2016-11-04

Family

ID=53339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1382A KR20160127726A (ko) 2015-03-03 2015-03-20 스퀴즈용기용 거품발생펌프 및 그의 작동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60127726A (ko)
CN (1) CN104691928B (ko)
WO (1) WO20161386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5242A1 (zh) * 2016-04-26 2017-11-02 深圳瀚星翔科技有限公司 注液装置
CN108378744B (zh) * 2018-05-28 2024-03-26 张楚怡 一种挤压式泡沫泵
CN109911396B (zh) * 2019-02-26 2024-05-10 张子豪 一种挤压式泡沬泵及包装容器
WO2020220387A1 (zh) * 2019-04-29 2020-11-05 张子豪 一种挤压式泡沬泵及包装容器
CN112779733A (zh) * 2019-11-04 2021-05-11 合肥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2932B1 (ko) 2005-06-17 2006-10-13 최희진 거품 분출 펌프디스펜서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6053B2 (ja) * 1994-10-31 2004-12-02 東洋製罐株式会社 泡噴出ポンプ
CN2692081Y (zh) * 2004-02-20 2005-04-13 林添大 泡沫瓶
KR200408922Y1 (ko) * 2005-10-17 2006-02-15 주식회사 다린 거품분출 펌프디스펜서
US20090008412A1 (en) * 2007-04-10 2009-01-08 Choi Hee Jin Foam pump dispenser having leakage prevention function against reverse flow
JP5261249B2 (ja) * 2009-03-27 2013-08-14 花王株式会社 泡吐出器
JP2013514993A (ja) * 2009-12-18 2013-05-02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泡状パーソナルケア組成物製品
WO2011152375A1 (ja) * 2010-05-31 2011-12-08 花王株式会社 泡吐出容器
CN201721750U (zh) * 2010-08-03 2011-01-26 黄瑞娟 新型泡沫泵
JP5924734B2 (ja) * 2012-03-30 2016-05-2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泡吐出器
CN104210745B (zh) * 2014-07-29 2016-07-06 余姚市特力喷雾器有限公司 泡沫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2932B1 (ko) 2005-06-17 2006-10-13 최희진 거품 분출 펌프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691928B (zh) 2017-05-03
CN104691928A (zh) 2015-06-10
WO2016138603A1 (zh) 2016-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5026B1 (ko) 스퀴즈 용기용 거품발생펌프 및 그의 작동방법
KR20160127726A (ko) 스퀴즈용기용 거품발생펌프 및 그의 작동방법
KR101408641B1 (ko) 내용물을 변질시키지 않는 거품발생 펌프
TWI457105B (zh) Pumped foam spit out the container
US4162749A (en) Squeezable dispenser with outlet closure
CN101284591A (zh) 具有防止内容物逆流功能的泡沫吐出泵分配器
KR101517825B1 (ko) 도립형 압착용기 거품발생기
CN106458392B (zh) 挤压容器用泡沫发生器
KR101701773B1 (ko) 도립형 압착용기 거품발생기
KR101832848B1 (ko) 샤워기용 화장수 공급 장치
KR20100137407A (ko) 액체용기용 포밍펌프 어셈블리
KR200467835Y1 (ko) 거품 발생 펌프
CN215400420U (zh) 一种环保型按压液体泡沫泵体
JP5141880B2 (ja) 二重容器
CN108025842A (zh) 挤压容器用泡沫发生器
KR20160098115A (ko) 포밍펌프 디스펜서용 푸시헤드
JP5695499B2 (ja) 泡噴出容器
JP5844141B2 (ja) 泡噴出容器
KR100945653B1 (ko) 거품 발생용 펌프
KR20230008426A (ko) 폼 펌프 용기
JP5781404B2 (ja) 泡噴出容器
CN220997537U (en) Foam pump
KR102535986B1 (ko) 에어튜브를 구비하는 버블발생 용기
WO2020220387A1 (zh) 一种挤压式泡沬泵及包装容器
KR101681838B1 (ko) 거품 생성 펌프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