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5986B1 - 에어튜브를 구비하는 버블발생 용기 - Google Patents

에어튜브를 구비하는 버블발생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5986B1
KR102535986B1 KR1020210098589A KR20210098589A KR102535986B1 KR 102535986 B1 KR102535986 B1 KR 102535986B1 KR 1020210098589 A KR1020210098589 A KR 1020210098589A KR 20210098589 A KR20210098589 A KR 20210098589A KR 102535986 B1 KR102535986 B1 KR 102535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air
contents
stopp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6956A (ko
Inventor
최정구
Original Assignee
최정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구 filed Critical 최정구
Priority to KR1020210098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5986B1/ko
Priority to PCT/KR2021/017278 priority patent/WO2023008658A1/ko
Publication of KR20230016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081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for shaving so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6Gas or vapour producing the flow, e.g. from a compressible bulb or air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6Gas or vapour producing the flow, e.g. from a compressible bulb or air pump
    • B05B11/061Gas or vapour producing the flow, e.g. from a compressible bulb or air pump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gas or vapou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23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opened by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piston relative to its actuating 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87Combination of liquid and air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 상기 용기의 용기토출구 외주면과 결합되는 것으로, 마개토출구 하단으로 다수의 외기공이 형성되는 마개; 상기 마개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에 버블이 발생되도록 하는 버블발생부; 상기 버블발생부와 하단으로 결합되어 공기의 유로을 제어하는 외기제어부; 상기 외기제어부 하단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용기의 내용물과 상기 외기제어부에 의해 공급되는 외기와의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 하는 혼합가이드부; 상기 혼합가이드부와 결합되어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공급부; 상기 에어공급부의 하단과 결합되는 에어튜브; 로 이루어져,
내기와 내용물의 혼합에 의해 발생된 버블이 마개의 토출구측으로 배출되어 사용된 후 잔량의 내용물이 잔존하며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마개 토출구 주변 위생 환경을 크게 개선하게 되는 효과와, 내용물의 사용 후 비버블화된 액상 내용물의 누액 현상을 완벽히 차단하게 되는 효과를 갖게 되는, 에어튜브를 구비하는 버블발생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어튜브를 구비하는 버블발생 용기{Bubble generating container equipped with air tubes}
본 발명은 액상 또는 겔상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튜브형 용기(이하 용기로 통칭하기로 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개 내부에 버블발생부를 구비하고 용기 내부에 에어튜브를 구비하여, 마개의 토출구 구조 내부에 내용물이 배출된 후 용기를 누르는 힘이 배제되면 용기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에어튜브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여 용기의 원상회복 시간을 단축시키고, 용기를 바로 세운 상태에서나 또는 용기를 뒤집은 상태에서도 내용물의 유출이 용이하고, 토출구 주변에 내용물이 잔존하여 오염되는 현상이 배제될 수 있도록 하고, 마개 내부의 버블발생부에 의해 내용물이 유출되면서 버블이 효과적으로 발생되도록 하되, 버블 발생 후 마개의 토출구를 통하여 잔량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을 막고, 용기의 원상 복귀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에어튜브를 구비하는 버블발생 용기에 관한 것이다.
액상의 내용물을 수용한 용기로부터 마개를 통해 외부로 취출 시켜 사용할 때 버블 즉, 거품을 발생하며 사용하여야 하는 제품군들 예를 들면, 면도용 크림이나 거품용 비누 등과 같은 액상의 내용물은 그대로 용기 외부로 토출되어 사용되는 것 보다는 버블을 발생시켜 사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이러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될 때 버블을 발생시키며 사용하기 위해서는, 통상 알려진 바에 의하면 용기 내부와 마개부분을 연결하는 버블발생부를 구비하게 된다.
이와 같은 버블발생부는 그 장착에 따른 작업이 번잡하고, 부품의 수가 많아 비용이 증가 및 부속품의 번잡함으로 인하여 제조과정에서 불량률이 증가하게 되고, 버블발생부를 거친 버블 형태의 내용물이 토출구를 통하여 완전히 배출되지 못하는 현상과 누액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들이 존재한다.
또한, 버블발생부가 용기 내부에 수용되어야 하므로 정량 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이 버블발생부가 갖는 체적만큼 덜 충진되어지므로, 실소비자들의 제품 용량상 만족감을 충족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버블발생부를 용기 내부에 수용하여 장착할 경우,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용기 내부측으로 외기가 공급되어야 하는 등, 필요 이상의 구조적 복잡성이 존재하게 된다.
또한, 버블발생부를 구비하는데 있어서 액상의 내용물에 채택되는 버블발생부와 겔상의 내용물에 채택되는 버블발생부의 구성을 달리하고 있어 내용물의 상태에 따라 버블발생부의 선택이 달라지도록 하고 있으므로, 이에 따른 불편함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마개와 용기간 결합 구조에서 필수적으로 용기 내용물이 외부로 자연 유출되는 누액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실링이나 패킹 등의 별도 구성을 필요로 하게 되어, 생산 원가가 상승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본원인은 특허등록 출원 제 10-2012-0018969 호(특허등록 제 10-1036398 호)에 의해 버블발생장치를 갖는 마개를 등록받아 해당 기술을 개시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원인에 의해 개시된 특허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에는 적합하지만 내용물을 용기에서 짜낸 후 용기가 원상태로 복원되어질 때, 버블발생장치의 망사체에 의해 비교적 공기 유입의 흐름을 방해하는 경우가 발생되어 복원 시간이 다소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어, 용기에서 한 번 짜내어 사용한 후 그 즉시 재사용하고자 할 때 용기가 다시 원상태로 복원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용기를 바로 세워서 사용하게 되는 경우 내용물의 토출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원인은 전술한 선행특허를 개선하여 특허등록 제 10-1376439 호와, 특허등록 제 10-1460453 호 및 특허등록 제 국내 특허등록 제 10-1292895 호에 의한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구조를 출원하여 등록 받았는바, 튜브형 용기를 사용한 후 즉시 용기가 원상태로 복원 가능하도록 하여, 튜브형 용기를 사용한 직후 곧바로 재사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튜브형 용기를 거꾸로 들어 사용하거나 또는 바로 세워 사용하더라도 용기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액상의 내용물이 버블 발생이 용이한 상태로의 토출 가능함은 물론, 용기내 내용물의 토출 후, 용기가 원상태로 복원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빠른시간내에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복원력을 증대시키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특허들의 경우에도, 용기를 거꾸로 하여 사용할 때 용기내 액상 내용물과 공기간 혼합비가 일정하게 맞지 않아 버블의 발생이 일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즉, 용기 내용물이 공기와 혼합되며 버블 발생과 함께 배출된 후, 외기가 용기 내부로 유입되어질 때 용기 내부의 내용물과 혼합되면서 용기 내부에 버블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용기 내부에 버블이 충진되는 현상도 발생됨은 물론, 버블 발생을 시키며 토출구측으로 배출되도록 할 때 순수 내용물과 공기간 혼합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비순수한 내용물 즉 버블형태의 내용물과 공기간 혼합이 이루어져 내용물과 공기간 혼합비율의 비정상적 현상이 발생되어, 버블 발생 효과를 크게 저하시킬 수 있는 원인으로 지목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종래의 버블발생 구조를 갖는 마개의 경우 버블 발생에 의해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토출시킨 후 내용물의 배출이 완료되더라도 일부 잔량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용기를 거꾸로 들었을 때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토출구를 통하여 미세하게 배출되는 현상이 있어 외관상 깨끗하지 못하고 위생상 청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지적된다.
국내 특허등록 제 10-1376439 호 국내 특허등록 제 10-1460453 호 국내 특허등록 제 10-1292895 호 국내 특허등록 제 10-1036398 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버블 발생을 위한 마개를 구비하는 화장품 등의 용기에서, 용기 내부에 에어튜브 구조를 제공하여 용기 내부 내용물을 토출시키며 사용할 때 상기 에어튜브 내부의 공기와 혼합되며 버블이 발생된 상태로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상기 에어튜브의 공기와 혼합되며 버블 발생과 동시에 마개의 토출구측으로 배출되어 사용된 후 잔량의 내용물이 잔존하며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용물의 사용 후 비버블화된 액상 내용물이 마개토출구를 통하여 그대로 외부로 배출되는 누액 현상을 완벽히 차단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장품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
상기 용기의 용기토출구 외주면과 결합되는 것으로, 마개토출구 하단으로 다수의 외기공이 형성되는 마개;
상기 마개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에 버블이 발생되도록 하는 버블발생부;
상기 버블발생부와 하단으로 결합되어 공기의 유로을 제어하는 외기제어부;
상기 외기제어부 하단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용기의 내용물과 상기 외기제어부에 의해 공급되는 외기와의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 하는 혼합가이드부;
상기 혼합가이드부와 결합되어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공급부;
상기 에어공급부의 하단과 결합되는 에어튜브;
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 내부에 에어튜브 구조를 제공하여 용기 내부 내용물을 토출시키며 사용할 때 상기 에어튜브 내부의 공기와 혼합되며 버블이 발생된 상태로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되, 공기와 내용물의 혼합에 의해 발생된 버블 이 마개의 토출구측으로 배출되어 사용된 후 잔량의 내용물이 잔존하며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마개 토출구 주변 위생 환경을 크게 개선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용물의 사용 후 비버블화된 액상 내용물의 누액 현상을 완벽히 차단하게 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로부터 마개와 에어튜브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도면에서 마개와 에어튜브 및 버블발생부를 각각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외기제어부, 혼합가이드부, 에어공급부, 에어튜브 등을 분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외기제어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에어공급부의 사시도 및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도 7의 단면에서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확대단면도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 및 에어튜브를 활용하여 용기 내부 내용물이 사용되는 일예를 도시한 개괄적 도면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화장품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100), 상기 용기(100)의 용기토출구(110) 외주면과 결합되는 마개(200), 상기 마개(200) 내부에 수용되어 내용물에 버블이 발생되도록 하는 버블발생부(300), 상기 버블발생부(300)와 하단으로 결합되어 공기의 유로를 제어하는 외기제어부(400), 상기 외기제어부(400) 하단으로 결합되는 혼합가이드부(500), 상기 혼합가이드부(500) 하단으로 결합되는 에어공급부(600), 상기 에어공급부(600)의 하단으로 결합되는 에어튜브(7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100)는 통상의 화장품 용기를 지칭하며 튜브형태를 구성하게 되고, 용기(100)의 상단부측으로 연하여 결합되는 용기토출구(110)는 마개(200)의 내주면과 결합하기 위하여 숫나사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마개(200)는 일반적인 통상의 마개를 의미하는 것으로 단캡 또는 이중캡 모두에 적용가능하다.
한편 상기 마개(200) 중앙으로 용기(100)의 용기토출구(110)와 대응하기 위하여 중앙에 마개토출구(210)가 통상적으로 구성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마개토출구(210) 하단으로 다수의 외기공(220)이 천공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버블발생부(300)는 상기 마개(200)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용기(100)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과 본 발명의 에어튜브(70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와의 혼합 내용물에 버블이 발생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버블발생부(300)는 도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마개(200)의 마개토출구(210) 내측에 상단부가 삽입되고, 하단부는 외기제어부(400)의 중앙으로 돌출되는 버블발생부삽입관(430) 내부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외기제어부(400)와 마개토출구(210) 사이에 게재되는 구성을 갖게 된다.
상기 버블발생부(300)의 중앙은 통공 형태를 갖도록 하되 상하단은 각각 망사체(310)를 구비하게 된다.
한편 상기 버블발생부(300)의 중간 영역부위에 제1체크변(230)이 구비된다.
상기 제1체크변(230)은 연성재질 예컨데 실리콘 재질 등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체크변(230)은 상기 마개(200)의 외기공(220) 하단부측에 위치되어 상기 외기공(220)을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이하 '외기'라 통칭한다)가 내입되도록 개방될 수 있도록 하여 외기 유로를 통하여 후술하게 되는 에어튜브(700)측으로 유입됨으로써 상기 에어튜브(700)의 복원이 가능한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용기(100)의 내용물을 배출하고자 할 때 상기 용기(100)를 짜게 되면 상기 에어튜브(700)도 동시에 압력을 받게 되는데, 이러한 압력이 제공되더라도 에어튜브(700)로부터 공급되는 내부의 공기(이하 '내기'라 통칭한다)는 상기한 제1체크변(230)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상기 마개(200)의 외기공(220)을 통하여 내기가 배출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외기제어부(400)는 상기 버블발생부(300)의 하단과 결합되어 외기 또는 내기의 유로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5는 상기 외기제어부(400)만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외기제어부(400)는 상방이 개구되며 상단 외측방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접촉부(411)를 갖는 원통형체의 몸체(410)와, 상기 몸체(410)의 바닥부(412) 중심 상측으로 돌출되며 내부에 상기 버블발생부(300)의 하단이 안착되기 위한 버블발생부삽입관(430)과, 상기 버블발생부삽입관(430)과 대응되도록 상기 몸체(410)의 바닥부(412) 저면 중심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내부에 내기유출공(441)이 형성되는 하부관(440)과, 상기 몸체(410)의 바닥부(412) 중심으로부터 양측으로 각각 이격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외기유입공(460), 상기 몸체(410)의 바닥부(412) 저면으로 이어지는 상기 하부관(440)의 외주면에 간극(451)이 형성되도록 돌출되는 다수의 이격돌출부(450), 상기 바닥부(412)의 편심 위치에 구비되는 용기복원유도공(47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410)는 도면에서 보듯이 원통형체로 이루어지되 상방은 개방되는 형태를 이루고 몸체(410)의 외곽 상단부에서 수평하게 외측으로 연장되는 접촉부(411)를 구성하게 된다.
몸체(410)의 접촉부(411)는 마개(200)의 저면 내주면과 밀접하게 접촉되어 용기(100)의 내용물이 외기제어부(400)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거나 또는 마개(200)를 통하여 외기가 용기(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접촉부(411)의 상면에는 실링부재(도면부호 미기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용기토출구(110)와 마개(200)간 나사결합에 의해 체결되어질 때, 용기토출구(110) 상단부가 상기 접촉부(411)의 외측단 저면을 지지하는 결합 형태를 갖게 된다.
따라서 용기토출구(110)와 마개(200)가 결합되면 자연스럽게 외기제어부(400)는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버블발생부삽입관(430)은 전술한 버블발생부(300)의 하단부측이 삽입 고정되기 위한 구성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1체크변(230)은 버블발생부(300)의 중간 영역과 상기 버블발생부삽입관(430) 상단면 사이에 게재된다.
상기 하부관(440)은 상기 버블발생부삽입관(430)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즉 상기 몸체(410)의 바닥부(412) 저면의 중심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지되 내부에 내기유출공(441)이 형성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버블발생부삽입관(430)은 하부관(440)과 내기유출공(441)에 의해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내기유출공(441)을 통하여 에어튜브(700) 내부의 내기가 버블발생부삽입관(430)에 끼워져 있는 버블발생부(300)측으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내기유출공(441)의 내면은 하방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면을 형성한다.
즉 상기 내기유출공(441)은 하광상협(하측이 넓고 상측은 좁은) 형태의 유로를 형성하여 에어튜브(700) 내기가 내기유출공(441)을 통과할 때의 유속이 빨라지도록 하여, 용기(100) 내용물과의 혼합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버블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상기 이격돌출부(450)는 상기 몸체(410)의 바닥부(412) 저면으로부터 이어지는 상기 하부관(440)의 외주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돌출되는 구성을 갖는다.
즉 바닥부(412)의 중앙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이격돌출부(450)는 후술하게 되는 에어공급부(600) 상단측과 접하게 되어 자연스럽게 간극이 형성되도록 하는데, 이러한 간극을 통하여 용기(100)의 내용물이 후술하는 혼합가이드부(500)측의 안내를 받으며 내기와 혼합되어 버블발생부(300)측으로 유도된다.
상기 외기유입공(460)은 마개(200)의 외기공(220)을 통하여 유입되는 외기가 에어공급부(600)측을 통하여 에어튜브(700)로 유입 유도되어 복원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용기복원유도공(470)은 상기 바닥부(412)의 편심 위치에 구비되는 것으로, 튜브 형태의 용기(100)에 압력을 가하며 내용물과 에어튜브(700)의 내기간 혼합 및 버블발생부(300)를 통하여 발생된 버블 형태의 내용물이 마개토출구(210) 외측으로 배출되며 사용된 후, 용기(100)에 가해지는 압력이 제거되면 외기가 상기 용기복원유도공(470)을 통하여 유입되어 용기(100)를 복원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이러한 용기복원유도공(470)은 버블발생부(300)를 통하여 용기(100) 내부 내용물과 에어튜브(700)의 내기간 혼합에 의해 버블이 발생되며 마개토출구(210)를 통하여 배출, 사용된 후 잔량의 버블이 외기제어부(400)의 몸체(410) 내부에 남아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잔량의 버블을 외기제어부(400)의 몸체(410) 내부에서 용기(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안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혼합가이드부(500)는 상기 외기제어부(400) 하단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용기(100)의 내용물과 상기 외기제어부(400)에 의해 공급되는 외기와의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 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혼합가이드부(500) 도 4에서 보듯이, 상하로 개구되는 중공 형태의 원통형체로 이루어지되 내주면으로 등간격 이격되는 요홈(510)을 형성하여 요철면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이와같이 내주면에 요홈(510)을 갖는 요철면이 형성되며 원통형체로 이루어지는 혼합가이드부(500)의 내주면으로 도 8에서 보듯이 외기제어부(400)의 하부관(440)이 끼워지는 형태를 이루고, 혼합가이드부(500)의 내주면으로는 에어공급부(600)의 상단측 내주면과 접하는 구성을 갖게 된다.
한편 상기한 혼합가이드부(500)의 하단부에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체크변(420)을 구성한다.
튜브 형태의 용기(100)에 압력을 가하게 되면 에어튜브(700)도 동시에 압력이 가해지며 상기 에어튜브(700) 내기가 외기제어부(400)의 하부관(440) 내부의 내기유출공(441)을 통하여 버블발생부(300)측으로 유도되어질 때, 상기한 구성을 갖는 혼합가이드부(500)의 상단측과 상기한 외기제어부(400)의 바닥부(412) 중앙 저면상으로 돌출되는 이격돌출부(450)에 의하여 형성된 간극을 통하여 용기(100) 내용물이 유입되면서, 혼합가이드부(500)의 요홈(510)측으로 유입되는 경로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요홈(510)측으로 유입되는 용기(100)의 내용물은 제2체크변(420)을 개방시킨 후 외기제어부(400)의 하부관(440) 내측으로 유입되어 에어튜브(700)의 내기와 혼합되며 버블발생부(300)를 통하여 버블을 발생시키면서 마개(200)의 마개토출구(210)측으로 배출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제2체크변(420)을 개방시키며 유입되는 용기(100)의 내용물이 상기 하부관(440) 내부로 유입되는 경로는 에어공급부(600)의 구성에 의해 가능한바, 이하 상기 에어공급부(600)의 구성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에어공급부(600)는 상기 혼합가이드부(500)와 결합되어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6에서 에어공급부(600)의 구성을 도시하였는바, 중앙에 내기배출공(631)을 갖는 구획패널(630)을 중심으로 상방측으로 연결되는 상부몸체(610), 상기 상부몸체(610)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으며 상기 구획패널(630) 하방측으로 연결되는 하부몸체(620), 상기 내기배출공(631) 상면 외주면으로 등간격 돌출되는 다수개의 돌출턱(640), 상기 돌출턱(640)과 돌출턱(640) 사이에 구성되는 내용물유입로(641), 상기 구획패널(630)의 중심으로부터 외주연측으로 이격되며 상기 하부몸체(620)와 연통되는 외기유입관(6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기유입관(650)은 상기 내기배출공(631)을 중심으로 대향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구획패널(630)의 중앙에는 내기배출공(631)이 천공되어 에어튜브(700)의 내기가 외기제어부(400)의 하부관(440) 내기유출공(441)측으로 유도된 후 버블발생부(300)를 통하여 마개(200)의 마개토출구(210)측으로 배출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용기(100)의 내용물도 함께 내기와 혼합된 상태에서 버블발생부(300)측으로 유입되며 버블을 발생시키며 마개토출구(210)측으로 배출된다.
즉, 용기(100) 내용물이 내기와 혼합되기 위해서 상기 구획패널(630)의 중앙 내기배출공(631) 상면측 외주연으로 등간격 이격 위치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턱(640)에 의해 가능하다.
돌출턱(640)과 돌출턱(640) 사이에는 자연스럽게 공간이 형성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를 내용물유입로(641)라 칭하기로 한다.
즉 도 5 및 도 8의 단면에서 보듯이 상기 돌출턱(640) 상면으로는 외기제어부(400)의 하부관(440) 단부가 접하며 안착되는 상태에 있다.
아울러 상기 돌출턱(640) 상면으로는 상기 혼합가이드부(500) 하단부를 개폐하는 제2체크변(420)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혼합가이드부(500)의 내주면 요홈(510)을 통하여 용기(100) 내부의 내용물이 유입되어 상기 제2체크변(420)을 개방시키게 된다.
여기서, 먼저 설명한 바와 같이 혼합가이드부(500)의 요홈(510)으로 용기(100)의 내용물이 유입되는 과정은 상기한 외기제어부(400)의 이격돌출부(450)와 이격돌출부(450)의 간극(451)을 통하여 혼합가이드부(500)의 내주면 요홈(510)을 통해 유입된 후, 혼합가이드부(500) 하방의 제2체크변(420)을 개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체크변(420)이 개방되며 유입되는 용기의 내용물은 전술한 에어공급부(600)의 구획패널(630) 중앙에서 다수 이격되며 돌출되는 돌출턱(640)과 돌출턱(640) 사이의 내용물유입로(641)를 통하여 상기 외기제어부(400)의 하부관(440) 내측인 하광상협 형상으로 테이퍼진 내기유출공(441)측으로 유입되는 과정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사용자가 용기(100)에 압력을 가하게 되면 용기(100)의 내용물은 외기제어부(400) 하단면측의 이격돌출부(450)에 의해 형성된 간극(451)을 통하여 혼합가이드부(500)의 내주면측 요홈(510)으로 유입된 후, 제2체크변(420)을 강제 개방시킨 다음 에어공급부(600)의 구획패널(630)구획패널(630)에 형성된 돌출턱(640)간의 내용물유입로(641)를 통하여 상기 외기제어부(400)의 하부관(440) 내부인 내기유출공(441)으로 유도되면서 버블발생부(300) 내부를 통과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사용자가 용기(100)에 가해지는 압력은 용기(100) 내부의 에어튜브(700)를 가압하게 되므로, 상기 에어튜브(700)의 내기는 상기 외기제어부(400)의 내기유출공(441)을 통하여 버블발생부(300)측으로 유도된다.
이와 같이 용기(100)의 내용물과 에어튜브(700)의 내기는 각각의 유로를 통하여 외기제어부(400)의 내기유출공(441)측으로 모여지며 혼합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내기유출공(441)은 전술한 것처럼 하광상협 형태인 아래측 내경은 넓고 위측 내경은 좁은 형태로 테이퍼지는 구성을 갖고 있어, 유체의 유속은 빨라지며 내용물과 내기가 혼합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이 혼합된 내용물과 내기는 버블발생부(300)를 통과하며 망사체(310)에 의해 버블이 형성된 상태에서 마개(200)의 마개토출구(210)를 통하여 배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사용 가능하게 된다.
용기(100) 내부 내용물과 에어튜브(700)의 내기간 혼합 및 버블 발생에 의한 배출 과정에서는 제1체크변(230)은 개방되지 않는다.
즉, 에어튜브(700)의 가압력에 의해 내부 내기는 압력을 받으면서 에어공급부(600)의 내기유출공(441)과 동시에 에어공급부(600)의 외기유입관(650)을 통하여 유동되는데, 상기 외기유입관(650)을 통과한 내기는 외기제어부(400)의 몸체(410) 내부로 유입되는 흐름을 갖게 된다.
외기제어부(400)의 몸체(410) 내부로 유입된 에어튜브(700)의 내기는 마개(200)의 외기공(220)측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겠지만, 제1체크변(230)에 의해 그 유로가 폐쇄된 상태에 있게 되므로, 에어튜브(700)에서 외기유입관(650)을 통해 외기제어부(400)의 몸체(4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내기는 더 이상의 유동 흐름이 허락되지 않게 된다.
결국, 에어튜브(700)에 압력이 가해지는 때 즉 사용자가 용기(100) 내부의 내용물을 버블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 용기(100)에 압력을 가하는 때에는 에어튜브(700)의 내기는 오로지 외기제어부(400)의 중앙 통로라 할 수 있는 내기유출공(441)측으로만 유동된다.
이와 같은 흐름에 의해 에어튜브(700)의 내기와 용기(100) 내부 내용물은 버블발생부(300)를 통과하며 버블을 발생시키면서 마개(200)의 마개토출구(210)를 통하여 사용 가능한 버블 형태로 공급된다.
아울러 사용이 완료되는 시점, 즉 사용자에게 버블 내용물을 공급하는 시점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용기(100)에 가해지는 압력을 해제하게 된다.
용기(100)에 제공되는 압력이 제거되면, 연질의 특성상 용기(100)는 복원하려고 하며, 에어튜브(700) 또한 복원하려는 성질을 발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용기(100)에 가해지는 압력이 제거되는 순간, 마개(200)의 외기공(220)을 통하여 제1체크변(230)을 강제 개방시키며 외기가 유입된다.
유입된 외기는 외기제어부(400)의 외기유입공(460)과 연결되는 에어공급부(600)의 외기유입관(650)을 통하여 에어튜브(700)측으로 유입되어져, 상기 에어튜브(700)의 복원이 가능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버블발생부(300)에 잔존하는 버블이 외기의 유입으로 역행하며 에어공급부(600) 내부로 역진입될 수 있는데, 에어공급부(600)의 외기유입관(650)을 통하여 유입되는 외기가 에어튜브(700)에 충진되어 에어튜브(700) 내부의 압력에 의해 상기 에어공급부(600) 내부로 역진입 될 수 있는 외기제어부(400)의 내기유출공(441)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마개토출구(210)를 통하여 직접 에어튜브(700)측으로 유입, 충진되는 경우를 차단하게 되고, 용기(100)의 내용물이 섞여 있는 버블 형태의 혼합물은 에어공급부(600)의 내용물유입로(641)를 통하여 제2체크변(420) 하단측에 포집된 상태에 있게 되고, 용기(100)는 용기복원유도공(470)에 의해 복원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버블은 배출되어 사용된 후 미세한 잔여량은 버블발생부(300)에 남겨지지 않게 되어 누액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용기 110; 용기토출구
200; 마개 210; 마개토출구
220; 외기공 230; 제1체크변
300; 버블발생부 310; 망사체
400; 외기제어부 410; 몸체
411; 접촉부 412; 바닥부
420; 제2체크변 430; 버블발생부삽입관
440; 하부관 441; 내기유출공
450; 이격돌출부 451; 간극
460; 외기유입공 470; 용기복원유도공
500; 혼합가이드부 510; 요홈
600; 에어공급부 610; 상부몸체
620; 하부몸체 630; 구획패널
631; 내기배출공 640; 돌출턱
641; 내용물유입로 650; 외기유입관
700; 에어튜브

Claims (8)

  1. 화장품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
    상기 용기의 용기토출구 외주면과 결합되는 것으로, 마개토출구 하단으로 다수의 외기공이 형성되는 마개;
    상기 마개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에 버블이 발생되도록 하되, 중간 영역 부위에 구비되는 제1체크변을 갖는 버블발생부;
    상기 버블발생부와 하단으로 결합되어 공기의 유로을 제어하는 외기제어부;
    상기 외기제어부 하단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용기의 내용물과 상기 외기제어부에 의해 공급되는 외기와의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상하로 개구되는 중공 형태의 원통형체 내주면으로 등간격 이격되는 요홈을 형성하여 요철면이 구비되는 혼합가이드부;
    상기 혼합가이드부 하단부에 구비되는 제2체크변;
    상기 혼합가이드부와 결합되어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공급부;
    상기 에어공급부의 하단과 결합되는 에어튜브;
    를 포함하되,
    상기 외기제어부는,
    상방이 개구되며 상단 외측방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접촉부를 갖는 원통형체의 몸체;
    상기 몸체의 바닥부 중심 상측으로 돌출되며 내부에 상기 버블발생부의 하단이 안착되기 위한 버블발생부삽입관;
    상기 버블발생부삽입관과 대응되도록 상기 바닥부 저면 중심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내부에 하방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내면이 형성되는 내기유출공을 구비하는 하부관;
    상기 바닥부 중심으로부터 양측으로 각각 이격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외기유입공;
    상기 하부관의 외주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돌출되는 다수의 이격돌출부;
    상기 바닥부의 편심 위치에 구비되는 용기복원유도공; 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에어공급부는,
    중앙에 내기배출공을 갖는 구획패널을 중심으로 상방측으로 연결되는 상부몸체;
    상기 상부몸체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으며 상기 구획패널 하방측으로 연결되는 하부몸체;
    상기 내기배출공 상면 외주면으로 등간격 돌출되는 다수개의 돌출턱;
    상기 돌출턱과 돌출턱 사이에 구성되는 내용물유입로;
    상기 구획패널의 중심으로부터 외주연측으로 이격되며 상기 하부몸체와 연통되어지되, 상기 내기배출공을 중심으로 대향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외기유입관;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에어튜브를 구비하는 버블발생 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10098589A 2021-07-27 2021-07-27 에어튜브를 구비하는 버블발생 용기 KR102535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589A KR102535986B1 (ko) 2021-07-27 2021-07-27 에어튜브를 구비하는 버블발생 용기
PCT/KR2021/017278 WO2023008658A1 (ko) 2021-07-27 2021-11-23 에어튜브를 갖는 버블발생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589A KR102535986B1 (ko) 2021-07-27 2021-07-27 에어튜브를 구비하는 버블발생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956A KR20230016956A (ko) 2023-02-03
KR102535986B1 true KR102535986B1 (ko) 2023-05-26

Family

ID=85087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589A KR102535986B1 (ko) 2021-07-27 2021-07-27 에어튜브를 구비하는 버블발생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35986B1 (ko)
WO (1) WO2023008658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439B1 (ko) * 2012-04-03 2014-03-19 최정구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구조
KR101460453B1 (ko) * 2013-10-22 2014-11-10 최정구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구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87066B2 (en) 2003-01-24 2005-05-03 Alcoa Closure Systems International Apparatus for molding a plastic closure with air-assisted ejection
KR101067748B1 (ko) * 2009-10-09 2011-09-28 (주)연우 거품분출 튜브용기
JP5493682B2 (ja) * 2009-10-16 2014-05-14 花王株式会社 泡吐出容器
KR101292895B1 (ko) 2012-02-24 2013-08-02 최정구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
KR101387624B1 (ko) * 2012-04-13 2014-04-21 김길수 실리콘재 펌프로 작동되는 버튼식 립글로스 화장품 용기
KR101769700B1 (ko) * 2016-01-28 2017-08-18 이상민 두피 및 모발 종합 관리장치
JP7343994B2 (ja) * 2018-05-07 2023-09-13 大和製罐株式会社 下向きスクイズフォーマ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439B1 (ko) * 2012-04-03 2014-03-19 최정구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구조
KR101460453B1 (ko) * 2013-10-22 2014-11-10 최정구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956A (ko) 2023-02-03
WO2023008658A1 (ko) 2023-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36843B2 (ja) 泡噴出容器
RU2445173C2 (ru) Пенообразующий узел, сжимаемый пенообразователь и выда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765026B1 (ko) 스퀴즈 용기용 거품발생펌프 및 그의 작동방법
US3581940A (en) Multiple compartment dispenser container with check valves
JP5851236B2 (ja) スクイズフォーマー容器
WO2013031136A1 (ja) 注出容器
KR101517825B1 (ko) 도립형 압착용기 거품발생기
KR101408641B1 (ko) 내용물을 변질시키지 않는 거품발생 펌프
KR101514811B1 (ko) 압착용기용 거품발생기
TWI690370B (zh) 補膠罐構造
KR101701773B1 (ko) 도립형 압착용기 거품발생기
US6209757B1 (en) Squeezable mixing and dispensing container having removable attachable supply vessels
KR200467835Y1 (ko) 거품 발생 펌프
JP2020183286A (ja) 異種内容物混合容器
KR102535986B1 (ko) 에어튜브를 구비하는 버블발생 용기
JP2018532659A (ja) 泡噴出チューブ容器
KR20160127726A (ko) 스퀴즈용기용 거품발생펌프 및 그의 작동방법
KR101376439B1 (ko)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구조
JP2006062700A (ja) 流動体貯留容器
JP2009149323A (ja) 二重容器
KR20120140459A (ko) 화장품 용기
JP2009149326A (ja) 二重容器
EA014095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и очистки жидкого продукта
KR101460453B1 (ko)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구조
RU2695386C1 (ru) Портативный контейне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