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6439B1 -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구조 - Google Patents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6439B1
KR101376439B1 KR1020130035973A KR20130035973A KR101376439B1 KR 101376439 B1 KR101376439 B1 KR 101376439B1 KR 1020130035973 A KR1020130035973 A KR 1020130035973A KR 20130035973 A KR20130035973 A KR 20130035973A KR 101376439 B1 KR101376439 B1 KR 101376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ents
bubble generating
discharg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5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2776A (ko
Inventor
이권행
최정구
Original Assignee
최정구
이권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구, 이권행 filed Critical 최정구
Priority to PCT/KR2013/00275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3151320A1/ko
Publication of KR20130112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6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6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4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 B05B11/042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the spray being effected by a gas or vapour flow in the nozzle, spray head, outlet or dip tube
    • B05B11/045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the spray being effected by a gas or vapour flow in the nozzle, spray head, outlet or dip tube designed for spraying particulat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튜브형 용기의 토출부와 결합 되는 마개 구조에 있어서,
외주면으로 요철 형태를 이루며 돌기와 외기공이 교호 형성되며 상면은 막혀진 상태에서 토출공이 절개되고 하면은 개방되어지되, 상기 돌기가 마개의 내주면과 일체로 연결되는 내용물유출구와,
상기 내용물유출구 하방측으로부터 삽입되며 끼워지는 것으로, 중앙부의 상하단에 각각 망사체를 구비하고, 내주면으로 절개공을 갖는 구획판이 일체로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단 외주면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원판형태의 확장판이 이루어지고, 상기 확장판 끝단부로부터 경사지는 경사날개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버블발생부와, 상기 버블발생부의 하단측에 끼워지며 중앙의 토출관을 이루고 토출관 하단으로 관이 삽입되도록 하고, 토출관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구획리브의 단부측에 원판부재를 이루고, 상기 구획리브에 의해 공기유도로가 형성되고, 상기 원판부재 하면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삽입구를 구비하는 공기유도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여,
튜브형 용기를 거꾸로 들어 사용하거나 또는 바로 세워 사용하더라도 용기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액상 또는 겔상의 내용물 토출이 용이함은 물론, 용기내 내용물의 토출 후, 용기가 원상태로 복원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빠른시간내에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복원력을 증대시키게 되는 효과와, 버블발생부에 의해 액상 또는 겔상 내용물이 용기 외부로 토출되어질 때 버블의 발생 효율성을 증대시킴은 물론, 버블발생부 자체가 마개 내부에 수용되어 있어, 용기 내부로의 버블발생부를 제거하여 내용물의 수용 체적을 늘릴 수 있어 정량 충진이 가능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구조{BULLE GENERATOR TYPE PLUG}
본 발명은 액상 또는 겔상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튜브형 용기(이하 용기로 통칭하기로 함)의 마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개 내부에 버블발생부를 구비하되, 마개의 토출구 구조 내부에 내용물이 배출된 후, 용기를 누르는 힘이 배제되면 용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여 용기의 원상회복 시간을 단축시키고, 용기를 바로 세운 상태에서나 또는 용기를 뒤집은 상태에서도 내용물의 유출이 용이하도록 하고, 마개 내부의 버블발생부에 의해 내용물이 유출되면서 버블이 효과적으로 발생되도록 하기 위한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에 관한 것이다.
액상의 내용물을 수용한 용기로부터 마개를 통해 외부로 취출 시켜 사용할 때 버블 즉, 거품을 발생하며 사용하여야 하는 제품군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면도용 크림이나 거품용 비누 등과 같은 액상의 내용물은 그대로 용기 외부로 토출되어 사용되는 것 보다는 버블을 발생시켜 사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이러한 내용물을 버블을 발생시키며 사용하기 위해서는, 통상 알려진 바에 의하면 용기 내부와 마개부분을 연결하는 버블발생부를 구비하게 되는데, 그 버블발생부의 장착에 따른 작업이 번잡하고, 부품의 수가 많아 비용이 증가함은 물론 불량률이 증가하고, 누액 현상이 빈번하는 등의 파생되는 문제들이 존재한다.
또한, 버블발생부가 용기 내부에 수용되어야 하므로 정량 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이 버블발생부가 갖는 체적만큼 덜 충진되어지므로, 실소비자들의 제품 용량상 만족감을 충족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버블발생부를 용기 내부에 수용하여 장착할 경우,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용기 내부측으로 외기가 공급되어야 하는 등, 필요 이상의 구조적 복잡성이 존재하게 된다.
또한, 버블발생부를 구비하는데 있어서 액상의 내용물에 채택되는 버블발생부와 겔상의 내용물에 채택되는 버블발생부의 구성을 달리하고 있어 내용물의 상태에 따라 버블발생부의 선택이 달라지도록 하고 있으므로, 이에 따른 불편함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마개와 용기간 결합 구조에서 필수적으로 용기 내용물이 외부로 자연 유출되는 누액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실링이나 패킹 등의 별도 구성을 필요로 하게 되어, 생산 원가가 상승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본원인은 특허등록 출원 제 10-2012-0018969 호에 의해 버블발생장치를 갖는 마개를 출원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원인에 의해 출원 개시된 특허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에는 적합하지만 내용물을 용기에서 짜낸 후 용기가 원상태로 복원되어질 때, 버블발생장치의 망사체에 의해 비교적 공기 유입의 흐름을 방해하는 경우가 발생되어 복원 시간이 다소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어, 용기에서 한 번 짜내어 사용한 후 그 즉시 재사용하고자 할 때 용기가 다시 원상태로 복원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용기를 바로 세워서 사용하게 되는 경우 내용물의 토출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등록 제 10-1036398 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를 거꾸로 들어 사용하거나 또는 바로 세워 사용하더라도 용기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액상의 내용물 토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내 내용물의 토출 후, 용기가 원상태로 복원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빠른시간내에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복원력을 증대시키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개내부의 버블발생부에 의해 액상의 내용물이 용기 외부로 토출되어질 때 버블의 발생 효율성을 증대시키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튜브형 용기의 토출부와 결합 되는 마개 구조에 있어서,
외주면으로 요철 형태를 이루며 돌기와 외기공이 교호 형성되며 상면은 막혀진 상태에서 토출공이 절개되고 하면은 개방되어지되, 상기 돌기가 마개의 내주면과 일체로 연결되는 내용물유출구와,
상기 내용물유출구 하방측으로부터 삽입되며 끼워지는 것으로, 중앙부의 상하단에 각각 망사체를 구비하고, 내주면으로 절개공을 갖는 구획판이 일체로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단 외주면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원판형태의 확장판이 이루어지고, 상기 확장판 끝단부로부터 경사지는 경사날개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버블발생부와,
상기 버블발생부의 하단측에 끼워지며 중앙의 토출관을 이루고 토출관 하단으로 관이 삽입되도록 하고, 토출관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구획리브의 단부측에 원판부재를 이루고, 상기 구획리브에 의해 공기유도로가 형성되고, 상기 원판부재 하면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삽입구를 구비하는 공기유도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튜브형 용기의 토출구와 결합 되는 마개 구조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 하단으로 결합 되는 것으로 중앙부위를 기점으로 상단측 제1몸체직경이 하단측 제2몸체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 상단과 제2몸체 하단측으로 각각 망사체를 이루며 중공 형태를 갖는 버블발생부와,
상기 버블발생부의 제1몸체와 제2몸체 사이의 단턱으로 끼워지는 연질의 원판형태를 이루되 외주연부의 끝단부로부터 상향 경사지는 경사날개가 일체로 이루어져 토출구 하단측을 단속하는 확장판과,
상기 버블발생부의 제2몸체 하단이 끼워지는 토출관 외주연으로부터 연장되는 구획리브에 의해 공기유도로가 형성되고 구획리브 단부로 연결되는 원판부재 상면으로 삽입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마개의 토출구 하측 삽입구가 삽입되어 결합 되도록 하는 공기유도부와,
상하부가 각각 중공형태를 갖으며 상기 공기 유도부의 토출관 하단이 상측으로 삽입되는 것으로 중앙에 구멍이 천공된 구획부재가 내부를 구획하고, 상기 구획부재 상측 내주면으로 요철부를 갖으며, 하측으로는 관이 삽입되도록 하는 연결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튜브형 용기를 거꾸로 들어 사용하거나 또는 바로 세워 사용하더라도 용기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액상의 내용물이 버블 발생이 용이한 상태로의 토출이 용이함은 물론, 용기내 내용물의 토출 후, 용기가 원상태로 복원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빠른시간내에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복원력을 증대시키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버블발생부 자체가 마개 내부에 수용되어 있어, 용기 내부로의 버블발생부를 제거하여 내용물의 수용 체적을 늘릴 수 있어 정량 충진이 가능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버블발생부를 구현하기 위한 구성에서 별도의 실링 또는 패킹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용기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액상 또는 겔상의 내용물이 용기 외부로 자연 유출 등의 누액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부품수의 획기적 감소로 인하여 제품 생산 단가의 현저한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마개 내부를 분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의한 마개를 결합한 상태에서의 개괄적 정단면도
도 3은 도 1에 의한 마개를 부분 절개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마개 내부에 결합되는 버블발생부와 공기유도부를 제외한 상태에서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버블발생부를 부분 절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공기유도부를 부분 절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마개와 튜브형 용기간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이 채택된 마개와 결합되는 용기를 거꾸로 하여 내용물을 토출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괄적 단면도
도 8은 내용물이 외부로 버블이 발생되며 토출된 후, 용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괄적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제 2 실시예에 의한 마개 내부 분리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의해 결합 된 상태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에 의해 채택되는 마개를 부분 절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제2실시예에 의한 버블발생부를 분리하여 부분 절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공기유도부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연결관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용기를 거꾸로 하여 내용물을 토출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서 버블 발생되며 토출 후, 용기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는 상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로 나누어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며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제 1 실시예
첨부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마개(100)와 상기 마개(100) 내부로 진입되며 결합 되는 버블발생부(200)와, 상기 버블발생부(200) 하단측으로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가 용기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면서 용기 내부의 관(400)이 결합 되는 공기유도부(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개(100)는 일반적인 통상의 마개를 의미하는 것으로 단캡 또는 이중캡 모두에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주로 단캡에 적용하여 설명하고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될 필요는 없음은 물론이며 이중캡으로의 적용도 가능하다.
이러한 마개(100)는 도 1,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마개(100)의 외주면 상단측 일부에 힌지 결합 되는 덮개(도면부호 미기재)에 의해 사용시에는 개방되고, 사용이 완료된 후에는 닫혀 지는 통상의 마개(100)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통상적 마개(100)의 일반적 구조에서 마개(100)의 정중앙 부분은 관통되어 용기(500) 내용물의 토출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상기한 마개(100) 정중앙부분으로 토출구(110)를 형성한다.
이러한 토출구(110)의 내주면으로는 일체로 형성되는 내용물유출구(120)를 구비한다.
상기 내용물유출구(120)는 중앙으로는 용기(50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이 유출되도록 하는 것과 동시에, 용기(500) 내부로 외부의 공기 즉 외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갖는다.
이러한 역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내용물유출구(120)는 평면상 보았을 때 외주면이 요철(凹凸)형태를 이루며 돌기(122)가 이격 구성되면서 상기 돌기(122)의 단부는 토출구(110)의 내주면과 일체로 형성되며 연결된다.
상기 돌기(122)는 내용물유출구(120)의 전체 길이에 걸쳐 길이방향으로 길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돌기(122)가 토출구(110)의 내주면과 일체로 연결되어져, 자연스럽게 돌기(122)와 돌기(122) 사이에는 외기공(121)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외기공(121)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용기(500) 내부측으로의 유입이 가능 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한 내용물유출구(120)는 상면이 막혀진 상태를 이루되 부분적으로 다수의 토출공(123)을 절개시켜, 용기(500)를 짤 때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이 상기 토출공(123)을 통해 토출되도록 하였으며, 이를 위해 내용물유출구(120) 하방은 개구된 상태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내용물유출구(120)의 상단 내측으로 단턱면(124)을 형성하여 후술하는 버블발생부(200)의 본체(210) 상단면과 접하도록 하였다.
상기 버블발생부(20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도 6의 결합 단면도에서 보듯이, 상기한 토출구(110) 내부에 구비되는 내용물유출구(12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면서, 토출구(110) 내부를 구획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버블발생부(200)는 용기(500)를 짤 때, 내용물이 버블발생부(200)를 통과하면서 버블이 형성되도록 하고, 내용물의 토출 과정이 완료되면 용기(500)의 원상회복을 위해 외기가 유입되어질 때 내부를 구획하는 확장판(230)이 젖혀지도록 하여 용기(500)의 원상 회복이 빠르게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버블발생부(200)는 중앙으로 상하가 개구되는 본체(210)를 이루고, 상기 본체(210) 상하단에 각각 버블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한 망사체(220)를 구비한다.
이러한 망사체(220)는 버블 발생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메시정도를 서로 다르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210) 내주면으로는 구획판(211)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본체(210) 내부를 구획하게 되는데, 상기 구획판(210)으로 방사형태로 등간격 이격되는 절개공(212)을 형성하여 본체(210) 하단의 망사체(220)를 통해 유입된 내용물이 상기 구획판(210)의 절개공(212)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 후, 재차 본체(210) 상단의 망사체(220)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상기 구획판(210)을 구성하고 구획판(210)으로 절개공(212)을 구성하는 것은, 본체(210) 하단의 망사체(220)를 통과한 액상의 내용물이 절개공(212)을 통과하며 압력이 제공된 상태에서 분출되도록 한 후, 본체(210) 상단의 망사체(220)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버블의 형성 속도 및 버블 생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본체(210)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확장판(230)을 구비하고, 상기 확장판(230) 단부측으로는 경사진 형태를 갖는 경사날개(231)를 구비한다.
상기 확장판(230) 및 경사날개(231)는 연질의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본체(210)와의 다른 재질에 의한 이중 인서트 사출이 어려울 경우에는 동일재질로 사출 성형하되 확장판(230) 및 경사날개(231)의 두께를 얇게 구성하여 탄력이 제공되도록 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경사날개(231)는 도 6에서 보는 것처럼 마개(100)의 토출구(110)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확장되는 확장단턱면(111)과 밀접하게 접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경사날개(231)가 마개(100) 토출구(110)의 확장단턱면(111)과 밀접하게 접한 상태에서, 용기(500)를 짜 내어 내부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될 때에는 외부의 공기가 토출구(110)의 외기공(121)을 통해 유입되지 않는 상태에 있게 되므로, 확장판(230)의 경사날개(231)는 확장단턱면(111)에 긴밀히 접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용기(500)의 내용물을 배출하여 사용이 완료된 상태에서 그대로 두게 되면, 용기(500)가 원상회복을 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한 외기공(121)을 통해 외기가 유입되어지고, 유입된 외기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확장판(230)의 경사날개(231)를 뒤로 젖혀지도록 하며 용기(500) 내부로 유입이 빠르게 이루어져, 용기(500)의 원상 회복을 촉진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경사날개(231)는 상방향으로 절곡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본체(210)의 하단부측은 돌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후술하는 공기유도부(300)의 토출관(310)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한 확장판(230)의 저부면은 용기(500)를 거꾸로 두었을 경우 또는 거꾸로 든 상태에서 내용물을 짜낼 때, 내용물이 접하는 상태를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도 확장판(230)의 단부측인 경사날개(231)와 확장판(230) 단부가 확장단턱면(111)에 충분한 면적으로 덮고 있어,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도부(300)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용기(500)를 짜내어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어질 때 상기 내용물의 배출을 가이딩 함과 동시에, 배출이 완료된 후 용기(500)가 원상태로 복원되는 과정에서, 용기(500)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공기유도부(300)는, 중앙으로 토출관(310)이 형성되고 토출관(310) 직하방측으로는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의 관삽입구(313)를 일체로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관삽입구(313)는 도 6의 단면도에서 보듯이 용기(500) 내부에 구비되는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가이드하기 위한 관(400)과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5에서 보듯이 관삽입구(313)의 상단측으로 마치 산모양과 같은 형태를 갖는 유출안내구(311)를 구비하고, 상기 유출안내구(311)의 중앙이 관통되는 유출공(312)을 천공한다.
즉, 용기(500)의 내용물은 관(400)을 통해 유입된 후, 상기 유출공(312)을 통해 배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유출공(312)을 비교적 작은 직경으로 구성한 것은 버블발생부(200)에서의 버블 발생 효과를 극대화 시키기 위해, 내용물의 유동 속도 및 압력이 증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토출관(310) 외주면으로는 등간격 이격되며 일체로 형성되는 구획리브(320)를 갖으며, 상기 구획리브(320) 단부측으로는 원형태를 갖는 원판부재(340)가 일체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획리브(320) 및 원판부재(340)간 연결 구조에 의해 도면에서 보듯이 구획리브(320)와 구획리브(320) 사이에는 외기가 유동 될 수 있는 공기유도로(330)를 구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원판부재(340) 저부면으로는 일체로 연장되는 삽입구(341)를 구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삽입구(341)는 도 6의 결합 도면에서 보듯이 용기(500)의 토출부(510) 내측으로 강제적으로 삽입되도록 하였다.
상기한 원판부재(340)는 도 6에서 보듯이 그 단부측의 하면이 용기(500)의 토출부(510) 상면과 접하면서 동시에, 원판부재(340) 상면이 마개(100)의 확장단턱면(111)으로부터 이어지며 2차로 확장되는 제2확장단턱면(112)의 저면과 긴밀하게 접촉되도록 하였다.
즉, 이러한 구조에 의해 원판부재(340)는 마개(100)와 용기(500) 토출부(510)간 나사 결합이 이루어지면 자연스럽게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기유도부(300) 전체가 견고한 고정 상태를 항상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관삽입구(313)의 상단측으로, 즉 토출관(310)의 하단과 연결되는 부위에 해당되는 유출안내구(311)의 하단측으로는, 부분적으로 절개되는 유입로(314)를 다수개 구성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유입로(314)는 용기(500) 내부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될 때 공기가 내용물과 혼합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수단이다.
즉, 용기(500) 내부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될 때 버블발생부(200)를 지나기 전에 공기가 내용물과 혼합되어질 때 보다 효율적인 버블 발생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한 유입로(314)는 공기 유입은 물론 필요시에 용기(500)의 내용물이 유입될 수 있는 통로 역할도 하게 된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500)를 거꾸로 하여 내용물을 짜내고자 할 때에는 유입로(314)는 내용물이 토출관(310)측으로 유입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되고, 관(400) 단부는 상방향으로 향하게 되어 내용물이 유입되는 역할 보다는 용기(500)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이 경우에는 관(400)의 단부가 상방향으로 향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용기(500) 내부의 내용물은 마개(100)측 방향으로 쏠리게 되는 현상을 갖게 되고, 관(400)의 단부가 상방향으로 이루어지며 내용물이 마개(100)측으로 쏠리게 되는데, 관(400)을 통해 내용물이 용기(500)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므로 이때에는 상기 유입로(314)를 통해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 가능하게 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관(400)의 단부로부터는 용기(500)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토출관(310)측으로 유도되면서 액상 내용물과 혼합되어 버블발생부(200)로 유동되기 전에 액상의 내용물과 공기간 혼합 상태에 이르도록 한다.
한편 이와는 달리 용기(500)를 바로 세운 상태에서 내용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그 역할이 달라지는데, 용기(500) 내부에 구비되는 관(400)의 단부는 용기(500) 저면에 닿은 상태에서 충분히 용기(500) 내부의 내용물을 짜내어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상기 관삽입구(313) 상단측의 유입로(314)로는 용기(500)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역할을 하게 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내용물과 공기가 혼합된 상태에서 토출관(310)측으로 유도된 후, 버블발생부(200)측으로 유동 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50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액상 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용기(500)를 사용자가 손으로 눌러 짜내게 되는데,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용물이 관(4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때 관삽입구(313) 상단의 유입로(314)측으로 용기(500) 내부의 공기가 함께 유입되며, 관삽입구(313) 상단의 유출안내구(311)에 형성되어 있는 유출공(312)을 통해 배출되고, 이어서 토출관(310)으로 안내된 내용물은 상기 토출관(310)과 연결되어 있는 버블발생부(200)의 본체(210)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본체(210)로 유입된 내용물은 버블발생부(200)의 하단 망사체(220) 및 내부의 구획판(211)으로 방사형태로 천공되어 있는 절개공(212)을 통과한 후, 재차 본체(210)의 상단 망사체(220)를 거쳐 버블이 발생 된 상태에서, 마개(100)의 토출구(110) 상면에 방사형태로 천공되어 있는 토출공(123)을 통해 외부로 버블이 발생 된 상태에서 완전히 배출되므로서, 사용자에 의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용기(500)를 거꾸로 한 상태에서 내부 내용물을 사용할 경우 도 7에서 보듯이 관(400)이 끼워져 있는 관삽입구(313)의 단부측에 절개되어 있는 유입로(314)측으로 내용물이 배출되면서 동시에 관(400) 단부를 통해서는 용기(500)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며 혼합된 상태에서 상기한 토출관(310)측으로 유도된 후, 상기한 과정을 거쳐 마개(100)의 토출구(110)측으로 버블이 발생 되며 배출되도록 하여 사용자에 의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용기(500) 내부이 내용물이 외부로 버블발생부(200)에 의해 버블이 발생 되며 배출, 사용된 후 용기(500)는 빠르게 원상태로 복원될 필요가 있는데 토출구(110) 내부에 일체로 구비된 상기한 내용물유출구(120)의 외주면측 외기공(121)을 통해 외기가 유입된 후, 버블발생부(200)의 경사날개(231)를 하방향으로 도 8에서와 같이 젖혀지게 되며, 버블발생부(200)의 경사날개(231)를 뒤로 젖히며 통과된 외기는 공기유도부(300)의 공기유도로(330)를 통과한 후 용기(500) 내부로 진입되어, 용기(500)의 원상 복귀 시간을 상당히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제 2 실시예
상기한 제1실시예와 달리,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의 도 9 내지 도 16에 의해서도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첨부하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마개(100)와 상기 마개(100) 내부로 진입되며 결합 되는 버블발생부(200)와, 상기 버블발생부(200) 하단측으로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가 용기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면서 용기 내부의 관(400)이 결합 되는 공기유도부(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개(100)는 일반적인 통상의 마개를 의미하는 것으로 단캡 또는 이중캡 모두에 적용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주로 단캡에 적용하여 설명하고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될 필요는 없음은 물론이며 이중캡으로의 적용도 가능하다.
이러한 마개(100)는 도 9 내지 도 11 에서 볼 수 있듯이 마개(100)의 외주면 상단측 일부에 힌지 결합 되는 덮개(도면부호 미기재)에 의해 사용시에는 개방되고, 사용이 완료된 후에는 닫혀 지는 통상의 마개(100)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통상적 마개(100)의 일반적 구조에서 마개(100)의 정중앙 부분은 관통되어 용기(500) 내용물의 토출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상기한 마개(100) 정중앙부분으로 토출구(110)를 형성한다.
이러한 토출구(110)의 하단측으로는 후술하게 되는 공기유도부(300)의 원판부재(350) 상면으로 형성되는 삽입요홈(351)에 끼워져 고정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삽입구(113)가 형성된다.
상기 버블발생부(200)는 도 12 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중공형태의 원통형체를 이루는 것으로 상기 토출구(110) 하단으로부터 삽입 결합 되어, 토출구(110) 상면측과 동일 평면으로 위치되도록 하여 용기(500)에 충진되어 있는 내용물이 버블발생부(200)측을 통해 용기(500)에 충진된 내용물이 공급됨과 동시에 관(400) 하단측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와의 혼합에 의해 버블이 발생 되며, 토출구(110)를 통하여 공급되도록 한다.
이러한 버블발생부(200)는, 제1몸체(210a)와 제2몸체(210b)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원통형체를 이루게 되고, 제1몸체(210a)의 외경은 제2몸체(210b)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제2몸체(210b)와 제1몸체(210a) 경계부위에는 자연스럽게 단턱(도면부호 미기재)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제1몸체(210a)의 상단측 내주면과 상기 제2몸체(210b)의 하단측 내주면으로는 각각 망사체(220)를 형성한다.
이러한 망사체(220)는 버블발생부(200)측으로 유입되는 내용물과 공기를 적절하게 혼합하여 버블이 발생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버블 발생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메시정도를 서로 다르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제1몸체(210a)와 제2몸체(211) 경계부위를 이루는 단턱(도면부호 미기재)으로 밀착 되는 확장판(230)이 끼워지게 된다.
상기 확장판(230)은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외주연측은 상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날개(231)가 일체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토출구(110)의 하단측을 단속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확장판(230)은 그 두께를 얇게 구성하여 탄력이 제공되도록 하여야 하고, 도 10 및 도 15 내지 도 16 에서 보는 것처럼 마개(100)의 토출구(110)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확장되는 확장단턱면(111)과 상기 확장판(230)의 경사날개(231)가 밀접하게 접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경사날개(231)가 마개(100) 토출구(110)의 확장단턱면(111)과 밀접하게 접한 상태에서, 용기(500)를 짜 내어 내부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될 때에는 외부의 공기가 토출구(110)를 통해 유입되지 않는 상태에 있게 되므로, 확장판(230)의 경사날개(231)는 확장단턱면(111)에 긴밀히 접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용기(500)의 내용물을 배출하여 사용이 완료된 상태에서 그대로 두게 되면, 용기(500)가 원상회복을 하게 되는 과정에서 외기가 토출구(110)를 통해 유입되어지고, 유입된 외기는 확장판(230)의 경사날개(231)를 뒤로 젖혀지도록 하며 용기(500) 내부로 유입이 빠르게 이루어져, 용기(500)의 원상 회복을 촉진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경사날개(23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방향으로 절곡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함은 물론이다.
상기한 확장판(230)의 저부면은 용기(500)를 거꾸로 두었을 경우 또는 거꾸로 든 상태에서 내용물을 짜낼 때, 내용물이 접하는 상태를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도 확장판(230)의 경사날개(231)가 확장단턱면(111)에 충분한 면적으로 덮고 있어,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도부(300)는 도 1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500)를 짜내어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어질 때 상기 내용물의 배출을 가이딩 함과 동시에, 배출이 완료된 후 용기(500)가 원상태로 복원되는 과정에서, 용기(500)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공기유도부(300)는 상기 버블발생부(200)의 제2몸체(210b) 하단이 끼워지는 토출관(310) 외주연으로부터 연장되는 구획리브(320)에 의해 공기유도로(330)가 형성되고 구획리브(320) 단부로 연결되는 원판부재(350) 상면으로 삽입요홈(351)이 형성되어 상기 마개(100)의 토출구(110) 하측 삽입구가 삽입되어 결합 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토출관(310) 하단은 용기(500) 내부 저면까지 이어지는 관(400)과의 연결을 이어주기 위한 연결관(360)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였다.
상기 토출관(310)의 직하방측으로는 관삽입구(3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전술한 연결관(360)에 삽입 결합 되도록 하였으며, 토출관(310)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판(315)이 형성되고, 상기 구획판(315) 중앙에는 통공(316)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상기 통공(316)으로는 용기(500)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가 토출구(110)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후술하게 되는 연결관(360)의 요철부(363)를 통해 유입되는 용기(500) 내부의 내용물과 통공(316)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가 혼합되며 상기한 버블발생부(200)를 통과하며 버블이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토출관(310)의 외측으로는 원판부재(350)가 구비되는데 그 원판부재(350)와 토출관(310)과는 일정 간격 이격 구성되도록 하기 위해 구획리브(320)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구획리브(320)와 구획리브(320) 사이에는 공기유도로(330)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상기 원판부재(350) 상면측으로는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삽입요홈(351)을 형성하여 마개(100)의 토출구(110) 저면측 주연부측으로 연하여 형성되어 있는 삽입구(113)가 삽입 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원판부재(350)의 삽입요홈(351)과 삽입구(113)간 결합에 의해 마개(100)측으로 버블발생부(200)와 공기유도부(300) 및 관(400)이 고정되는 형태를 갖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관(360)은, 상기한 공기유도부(300)의 토출관(310) 하단인 관삽입구(313)가 삽입되며 연결되고, 아울러 연결관(360)의 하단측으로는 관(400)이 연결되는 형태를 갖도록 하면서, 용기(500)를 뒤집어 토출구(110)측으로 내용물을 토출시키게 할 때 연결관(360)과 결합 되는 토출관(310) 하단의 관삽입구(313) 외주면 사이의 공간으로 용기(500)의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하여 토출관(310)을 통해 버블발생부(200)측으로 그 내용물이 유입, 유도되도록 하는 가이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즉 상기 연결관(360)의 관삽입구(313)와 토출관(310) 외주면간의 이격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연결관(360) 내주면으로 요철부(363)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연결관(360) 내부에 요철부(363)가 형성되는 위치는 연결관(360) 중앙부위를 기준으로 상방측 내주면에만 형성되도록 하였다. 아울러 연결관(360) 내부 중앙을 구획하는 구획부재(361)를 형성하고, 상기 구획부재(361) 중앙으로 구멍(362)을 형성한다.
상기한 구멍(362)은 용기(500)를 뒤집어서 사용자가 내용물을 짜낼 때 용기(500)의 내용물과 혼합되며 버블발생부(200)에서 버블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관(400)의 단부를 통해 용기(500)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를 유도하기 위한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관(360)의 하단측 즉 구획부재(36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기준으로 하방 내주면은 평평한 형태를 갖도록 하며 관(400)의 상단 외주면과 밀접하게 압착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화장품류 등 액상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튜브 형태의 용기(50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버블 발생을 일으키며 사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사용 형태를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마개(100)를 개방하게 되는데 그 마개(100)는 전술한 내용과, 첨부하는 도면 등에 의해 확인할 수 있듯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개폐 가능한 마개(100)를 사용하여 윗마개를 개방하게 되면 토출구(110)의 육안 확인이 가능한 개방 상태에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용기(500)를 뒤집어 용기(500)를 짜게 되는데 이때에는 용기(50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은 마개(100)측으로 모두 쏠리는 현상을 갖게 되면서, 동시에 관(400)의 단부측으로는 내용물이 접하지 않는 상태에 있게 된다.
용기(500)를 뒤집어 짜게 되면, 내용물은 관(400)의 하단측을 통해 유입되는 것이 아니라 공기유도부(300)의 토출관(310)의 관삽입구(313)와 관(400)을 연결하는 연결관(360)에서, 전술한 것처럼 연결관(360)과 토출관(310)의 관삽입구(313) 외주면간 이격 되는 공간을 통해 내용물이 유입된다.
즉, 전술한 것과 같이 내용물은 연결관(360) 내주면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요철부(363)의 공간을 통해 유입된 후 관삽입구(313) 단부측으로 유입되어져 공기유도부(300)의 토출관(310)을 따라 유도되어져, 전술한 버블발생부(200)측으로 유입되는 경로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내용물이 마개(100)의 직하방측에 위치하고 있는 버블발생부(200)측까지 유입되는 과정을 거치는 동안, 공기도 버블발생부(200)측으로 동시에 유입되며 내용물과 혼합된 후 버블을 발생시켜야 한다.
이를 위한, 즉 공기가 버블발생부(200)측으로 유도되는 과정은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용기(500)의 저면까지 이르는 관(400)의 단부를 통해 용기(500)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가 유입되는데, 관(400)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연결관(360)의 구획부재(361) 중앙에 천공되어 있는 구멍(362)을 통해 공기유도부(300)의 토출관(310) 중앙을 가로지르는 구획판(315)의 통공(316)을 지나 버블발생부(200)로 유입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따라서, 용기(500)의 내용물은 연결관(360)의 상단측 내주면 요철부(363)를 통해 토출관(310)의 관삽입구(313)측으로 유입됨과 동시에, 용기(500) 내부의 공기는 관(400)의 단부측으로 유입되면서 연결관(360)의 내부 구멍(362)을 통해 유입되어 토출관(310)의 구획판(315) 중앙에 천공되어 있는 통공(316)으로 공급되어져 토출관(310) 내부에서 용기(500)의 내용물과 관(400)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가 혼합되며 1차 버블을 발생시키게 된다.
아울러 토출관(310)으로 유입되는 내용물과 공기의 1차 혼합물은 버블발생부(200)의 본체(210)측으로 유입되면서 상기한 제2몸체(210b) 하단의 망사체(220)를 통과하며 버블이 발생되고 이어서 제1몸체(210a)의 상단측 망사체(220)를 통과하면서 최종적인 버블이 발생되어져, 마개(100)의 토출구(110)를 통해 사용자가 사용 가능한 양질의 버블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용기(500) 내부의 내용물은 마개(100) 방향으로 쏠리게 되는데, 이러한 내용물은 버블발생부(200)의 외주면으로 띠 형태로 결합 되어 있는 확장판(230)의 외주면 경사날개(231)가 마개(100) 내주면의 확장단턱면(111)에 밀접하게 접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내용물이 마개(100)측으로 토출 되는 현상은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용기(500) 내부의 내용물을 버블을 발생시키며 사용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용기(500)를 바로 세우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용기(500)의 찌그러진 형태는 원상 복귀를 위해, 용기(500)측으로 외기가 유입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이 외기가 용기(500)측으로 유입되는 과정은, 토출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는 버블발생부(200)의 확장판(230) 외주면으로 구비된 경사날개(231)를 젖히면서 공기유도부(300)의 공기유도로(330)를 통하여 용기(500) 내부측으로 유입되어 빠르게 용기(500)의 원형이 복구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에는 외기는 관(400)을 통하여 유입되는 경로가 아니라, 공기유도부(300)의 공기유도로(330)를 통하여 유입되는 경로를 거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용기(500)를 세운 상태에서도 내부 내용물이 버블을 발생시키며 토출 가능하게 되는데, 즉 이 경우에는 전술한 것과 같이 관(400)을 통하여 공기가 유도되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상기 관(400)을 통해 용기(500) 내용물이 유입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고, 아울러 용기(500) 내부의 공기는 전술한 것과는 반대로 연결관(360)의 내부로 유입된 후 요철부(363)를 통하여 토출관(310)의 관삽입구(313)를 거쳐 버블발생부(200)측으로 유입된다.
이와 동시에 내용물은 관(400)을 따라 공기유도부(300)의 토출관(310)을 거친 후 버블발생부(200)를 통해 마개(100)의 토출구(110)측으로 버블이 발생되며 토출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용기(500)를 바로 세운 상태에서도 용기(500) 내부의 내용물을 공기와 혼합하며 버블 발생이 가능하게 되고, 용기(500)를 거꾸로 세운 상태에서도 동일한 작용을 얻게 되므로, 본 발명을 이용할 경우 용기(500) 내부의 내용물을 모두 소진할 때 까지 사용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 버블 발생은 3차레에 걸친 과정을 거쳐 이루어지므로, 소비자가 만족할 수 있는 수준의 버블 발생에 의한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등,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마개 110; 토출구
111; 확장단턱면 112; 제2확장단턱면
113; 삽입구 120; 내용물유출구
121; 외기공 122; 돌기
123; 토출공 200; 버블발생부
210; 본체 210a; 제1몸체
210b; 제2몸체 211; 구획판
212; 절개공 220; 망사체
230; 확장판 231; 경사날개
300; 공기유도부 310; 토출관
311; 유출안내구 312; 유출공
313; 관삽입구 314; 유입로
315; 구획관 316; 통공
320; 구획리브 330; 공기유도로
340; 원판부재 341; 삽입구
350; 원판부재 351; 삽입요홈
360; 연결관 361; 구획부재
362; 구멍 363; 요철부
400; 관 500; 용기

Claims (7)

  1. 삭제
  2. 외주면으로 요철 형태를 이루며 돌기(122)와 외기공(121)이 교호 형성되며 상면은 막혀진 상태에서 토출공(123)이 절개되고 하면은 개방되어지되, 상기 돌기(122)가 마개(100)의 내주면과 일체로 연결되는 내용물유출구(120)와,
    상기 내용물유출구(120) 하방측으로부터 삽입되며 끼워지는 것으로, 중앙부의 상하단에 각각 망사체(220)를 구비하고, 내주면으로 절개공(212)을 갖는 구획판(211)이 일체로 구비되는 본체(210)와,
    상기 본체(210)의 하단 외주면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원판형태의 확장판(230)이 이루어지고, 상기 확장판(230) 끝단부로부터 경사지는 경사날개(231)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버블발생부(200)와,
    상기 버블발생부(200)의 하단측에 끼워지며 중앙의 토출관(310)을 이루고 토출관(310) 하단으로 관(400)이 삽입되도록 하고, 토출관(310)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구획리브(320)의 단부측에 원판부재(340)를 이루고, 상기 구획리브(320)에 의해 공기유도로(330)가 형성되고, 상기 원판부재(340) 하면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삽입구(341)를 구비하는 공기유도부(300)로 이루어지는 튜브형 용기의 토출부와 결합되는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구조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310)의 하방측으로 일체로 연장되어지되 외경이 상대적으로 상기 토출관(310)과 작은 직경을 갖는 관삽입구(313)를 구비하여 상기 관삽입구(313)에 용기(500) 내부에 수용되어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관(400)이 끼워지는 것을 포함하는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310)과 관삽입구(313)의 경계부위에서 토출관(310) 내측으로 유출안내구(311)가 산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산모양을 갖는 유출안내구(311)의 단부측에 용기(500)의 내용물이 배출되기 위한 유출공(312)이 천공되는 것을 포함하는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310)과 관삽입구(313)의 경계부위에서 상기 관삽입구(313)의 상단측에 다수의 유입로(314)를 절개하여, 용기(500) 내부 내용물이 상기 유입로(314)를 통해 배출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는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구조.
  5. 튜브형 용기의 토출부와 결합 되는 마개 구조에 있어서,
    상기 마개(100)의 토출구(110) 하단으로 결합 되는 것으로 상하단으로 각각 망사체(220)를 이루며 중공 형태를 갖는 버블발생부(200)와,
    상기 버블발생부(200)의 외주면으로 끼워지는 연질의 원판형태를 이루되 외주연부의 끝단부로부터 상향 경사지는 경사날개(231)가 일체로 이루어져 토출구(110) 하단측을 단속하는 확장판(230)과,
    상기 버블발생부(200)의 제2몸체(210b) 하단이 끼워지는 토출관(310) 외주연으로부터 연장되는 구획리브(320)에 의해 공기유도로(330)가 형성되고 구획리브(320) 단부로 연결되는 원판부재(350) 상면으로 삽입요홈(351)이 형성되어 상기 마개(100)의 토출구(110) 하측 삽입구(113)가 삽입되어 결합 되도록 하는 공기유도부(300)와,
    상하부가 각각 중공형태를 갖으며 상기 공기유도부(300)의 토출관(310) 하단이 상측으로 삽입되는 것으로 중앙에 구멍이 천공된 구획부재(361)가 내부를 구획하고, 상기 구획부재(361) 상측 내주면으로 요철부(363)를 갖으며, 하측으로는 관(400)이 삽입되도록 하는 연결관(36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는,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 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버블발생부(200)는 중앙부위를 기점으로 상단측 제1몸체(210a) 직경이 하단측 제2몸체(210b)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210a) 상단과 제2몸체(210b) 하단측으로 망사체(220)가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는,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 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210a)와 제2몸체(210b) 사이에 단턱이 형성되어, 확장판(230)이 단턱에 걸리며 착탈 가능하게 결합 되는 것을 포함하는,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 구조.


KR1020130035973A 2012-04-03 2013-04-02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구조 KR101376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2754 WO2013151320A1 (ko) 2012-04-03 2013-04-03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414 2012-04-03
KR20120034414 2012-04-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776A KR20130112776A (ko) 2013-10-14
KR101376439B1 true KR101376439B1 (ko) 2014-03-19

Family

ID=49633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5973A KR101376439B1 (ko) 2012-04-03 2013-04-02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64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8475A (ko) 2021-01-27 2022-08-03 최정구 버블 발생구조에서 역류 발생 방지구조를 갖는 용기
WO2023008658A1 (ko) * 2021-07-27 2023-02-02 최정구 에어튜브를 갖는 버블발생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453B1 (ko) * 2013-10-22 2014-11-10 최정구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구조
CN105873832A (zh) * 2013-12-26 2016-08-17 衍宇株式会社 泡沫喷出管容器
KR101514811B1 (ko) * 2014-06-02 2015-04-23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압착용기용 거품발생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5907A (ja) * 1997-10-09 1999-04-20 Kao Corp 泡吐出容器
JP2011084320A (ja) * 2009-10-16 2011-04-28 Kao Corp 泡吐出容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5907A (ja) * 1997-10-09 1999-04-20 Kao Corp 泡吐出容器
JP2011084320A (ja) * 2009-10-16 2011-04-28 Kao Corp 泡吐出容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8475A (ko) 2021-01-27 2022-08-03 최정구 버블 발생구조에서 역류 발생 방지구조를 갖는 용기
WO2023008658A1 (ko) * 2021-07-27 2023-02-02 최정구 에어튜브를 갖는 버블발생 용기
KR20230016956A (ko) 2021-07-27 2023-02-03 최정구 에어튜브를 구비하는 버블발생 용기
KR102535986B1 (ko) * 2021-07-27 2023-05-26 최정구 에어튜브를 구비하는 버블발생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776A (ko) 2013-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6439B1 (ko)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구조
KR101569413B1 (ko) 배출 용기
JP7337895B2 (ja) 単一ポーションパック、使用および調製機
KR101765026B1 (ko) 스퀴즈 용기용 거품발생펌프 및 그의 작동방법
KR20170132256A (ko) 인쇄 유체 용기
JP5960037B2 (ja) 泡吐出容器
KR101517825B1 (ko) 도립형 압착용기 거품발생기
RU2495681C2 (ru) Одноразовый аппликатор
JP2005272013A (ja) 分配水栓を有する可撓性パッケー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8532659A (ja) 泡噴出チューブ容器
US11198551B2 (en) Shampoo bottle with replaceable color cartridges
KR20160127726A (ko) 스퀴즈용기용 거품발생펌프 및 그의 작동방법
KR101460453B1 (ko)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구조
WO2013151320A1 (ko)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구조
JP6437275B2 (ja) 泡噴出容器
JP5695499B2 (ja) 泡噴出容器
CN105564829B (zh) 单口出液双软管容器及混合器
JP6012947B2 (ja) 泡噴出容器
JP6429708B2 (ja) スクイズフォーマー容器
KR102281825B1 (ko)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KR101567249B1 (ko) 마개구조에서의 버블발생장치
KR102525464B1 (ko) 버블 발생구조에서 역류 발생 방지구조를 갖는 용기
CN205240114U (zh) 能够选择性地吐出多种液态化妆品的化妆品吐出装置
JP5710402B2 (ja) 泡噴出容器
CN108367305B (zh) 分配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