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0453B1 -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구조 - Google Patents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60453B1 KR101460453B1 KR20130125701A KR20130125701A KR101460453B1 KR 101460453 B1 KR101460453 B1 KR 101460453B1 KR 20130125701 A KR20130125701 A KR 20130125701A KR 20130125701 A KR20130125701 A KR 20130125701A KR 101460453 B1 KR101460453 B1 KR 1014604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ylindrical body
- container
- bubble generator
- insertion tube
- content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3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부의 상하단에 각각 망사체를 구비하는 본체 중앙 외주면으로 끼워지는 원판형태의 확장판이 이루어지고, 상기 확장판 끝단부로부터 경사지는 경사날개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버블발생부(200)와, 상기 버블발생부(200)의 하단부가 끼워지는 제1삽입관이 상방측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삽입관과 연통되는 하방측으로 제2삽입관이 형성되고 상방측 주연부측으로 마개 상측 저면으로 형성되는 돌출리브가 끼워지기 위한 리브홈을 갖는 결합부(300)와, 상기 결합부 하단의 제2삽입관이 끼워지는 것으로, 내주면으로 요철 형태를 이루며 상방이 개구되는 제1원통형체를 이루고, 상기 제1원통형체 외주연과 일체로 연결되면서 하단으로 관이 끼워지는 제2원통형체로 이루어지는 혼합부(400)로 이루어지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여, 튜브형 용기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액상의 내용물이 버블 발생이 용이한 상태로의 토출이 용이함은 물론, 용기내 내용물의 토출 후, 용기가 원상태로 복원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빠른시간내에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복원력을 증대시키게 되는 효과와, 용기내 내용물과 공기간 혼합비율이 일정하도록 하여 버블발생부로부터 발생되는 버블이 항상 일정하게 형성되며 지속적인 버블 배출 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제품 사용의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액상 또는 겔상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튜브형 용기(이하 용기로 통칭하기로 함)의 마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개 내부에 버블발생부를 구비하되, 마개의 토출구 구조 내부에 내용물이 배출된 후, 용기를 누르는 힘이 배제되면 용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여 용기의 원상회복 시간을 단축시키고, 용기를 바로 세운 상태에서나 또는 용기를 뒤집은 상태에서도 내용물의 유출이 용이하도록 하고, 마개 내부의 버블발생부에 의해 내용물이 유출되면서 버블이 효과적으로 발생되도록 하기 위한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에 관한 것이다.
액상의 내용물을 수용한 용기로부터 마개를 통해 외부로 취출 시켜 사용할 때 버블 즉, 거품을 발생하며 사용하여야 하는 제품군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면도용 크림이나 거품용 비누 등과 같은 액상의 내용물은 그대로 용기 외부로 토출되어 사용되는 것 보다는 버블을 발생시켜 사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이러한 내용물을 버블을 발생시키며 사용하기 위해서는, 통상 알려진 바에 의하면 용기 내부와 마개부분을 연결하는 버블발생부를 구비하게 되는데, 그 버블발생부의 장착에 따른 작업이 번잡하고, 부품의 수가 많아 비용이 증가함은 물론 불량률이 증가하고, 누액 현상이 빈번하는 등의 파생되는 문제들이 존재한다.
또한, 버블발생부가 용기 내부에 수용되어야 하므로 정량 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이 버블발생부가 갖는 체적만큼 덜 충진되어지므로, 실소비자들의 제품 용량상 만족감을 충족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버블발생부를 용기 내부에 수용하여 장착할 경우,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용기 내부측으로 외기가 공급되어야 하는 등, 필요 이상의 구조적 복잡성이 존재하게 된다.
또한, 버블발생부를 구비하는데 있어서 액상의 내용물에 채택되는 버블발생부와 겔상의 내용물에 채택되는 버블발생부의 구성을 달리하고 있어 내용물의 상태에 따라 버블발생부의 선택이 달라지도록 하고 있으므로, 이에 따른 불편함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마개와 용기간 결합 구조에서 필수적으로 용기 내용물이 외부로 자연 유출되는 누액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실링이나 패킹 등의 별도 구성을 필요로 하게 되어, 생산 원가가 상승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본원인은 특허등록 출원 제 10-2012-0018969 호(특허등록 제 10-1036398 호)에 의해 버블발생장치를 갖는 마개를 출원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원인에 의해 출원 개시된 특허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에는 적합하지만 내용물을 용기에서 짜낸 후 용기가 원상태로 복원되어질 때, 버블발생장치의 망사체에 의해 비교적 공기 유입의 흐름을 방해하는 경우가 발생되어 복원 시간이 다소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어, 용기에서 한 번 짜내어 사용한 후 그 즉시 재사용하고자 할 때 용기가 다시 원상태로 복원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용기를 바로 세워서 사용하게 되는 경우 내용물의 토출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원인은 특허등록출원 제 10-2012-003414 호에 의한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구조를 출원하였는바, 튜브형 용기를 사용한 후 즉시 용기가 원상태로 복원 가능하도록 하여, 튜브형 용기를 사용한직후 재사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튜브형 용기를 거꾸로 들어 사용하거나 또는 바로 세워 사용하더라도 용기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액상의 내용물이 버블 발생이 용이한 상태로의 토출이 용이함은 물론, 용기내 내용물의 토출 후, 용기가 원상태로 복원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빠른시간내에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복원력을 증대시키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특허의 경우, 용기를 거꾸로 하여 사용할 때 용기내 액상 내용물과 공기간 혼합비가 일정하게 맞지 않아 버블의 발생이 일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즉, 용기 내용물이 공기와 혼합되며 버블 발생과 함께 배출된 후, 외기가 용기 내부로 유입되어질 때 용기 내부의 내용물과 혼합되면서 용기 내부에 버블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용기 내부에 버블이 충진되는 현상도 발생됨은 물론, 버블 발생을 시키며 토출구측으로 배출되도록 할 때 순수 내용물과 공기간 혼합이 이루어지지 않고 비순수한 내용물 즉 버블형태의 내용물과 공기간 혼합이 이루어져 내용물과 공기간 혼합비율의 비정상적 형태에 의해 버블 발생 효과를 크게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액상의 내용물 토출이 용이하도록 하되, 공기와 내용물간 혼합비가 비교적 항상 일정하도록 하여 버블 발생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며 배출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내 내용물의 토출 후, 용기가 원상태로 복원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빠른시간내에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복원력을 증대시키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내용물을 배출시킬 때 공기와의 혼합률이 항상 균일하도록 하여 마개 내부의 버블발생부에 의해 액상의 내용물이 용기 외부로 토출되어질 때 버블의 발생 효율성을 증대시키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튜브형 용기의 토출부와 결합 되는 마개(100) 구조에 있어서,
중앙부의 상하단에 각각 망사체를 구비하는 본체 중앙 외주면으로 끼워지는 원판형태의 확장판이 이루어지고, 상기 확장판 끝단부로부터 경사지는 경사날개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버블발생부(200)와,
상기 버블발생부(200)의 하단부가 끼워지는 제1삽입관이 상방측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삽입관과 연통되는 하방측으로 제2삽입관이 형성되고 상방측 주연부측으로 마개 상측 저면으로 형성되는 돌출리브가 끼워지기 위한 리브홈을 갖는 결합부(300)와,
상기 결합부 하단의 제2삽입관이 끼워지는 것으로, 내주면으로 요철 형태를 이루며 상방이 개구되는 제1원통형체를 이루고, 상기 제1원통형체 외주연과 일체로 연결되면서 하단으로 관이 끼워지는 제2원통형체로 이루어지는 혼합부(400)로 이루어지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튜브형 용기를 거꾸로 들어 사용하거나 또는 바로 세워 사용하더라도 용기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액상의 내용물이 버블 발생이 용이한 상태로의 토출이 용이함은 물론, 용기내 내용물의 토출 후, 용기가 원상태로 복원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빠른시간내에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복원력을 증대시키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 내부의 액상 내용물과 공기간 혼하비율이 항상 일정한 비율로 유지될 수 있는데 관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와 용기의 액상 내용물간 혼합에 의한 버블 발생과 배출이 완료된 후, 재차 버블 발생을 시도할 때 외기가 순간적으로 용기 내부로 유입되는데 기존과는 달리 유입되는 외기는 관을 통해 그 단부측으로 배출되어지고 용기 내부 내용물과는 접촉되는 현상이 없어 공기와 내용물간 불필요하게 용기 내부에서 접촉하여 버블이 발생 되는 현상을 완벽하게 제어할 수 있어, 내용물과 공기의 효율적 비율에 의한 혼합으로 버블 발생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제품 사용의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마개 내부를 분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의한 마개를 결합한 상태에서의 개괄적 정단면도
도 3은 도 1에 의한 마개를 부분 절개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마개 내부에 결합되는 버블발생부와 공기유도부를 제외한 상태에서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버블발생부를 부분 절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결합부를 부분 절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채택되는 혼합부를 부분 절개 도시한 사시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용기 내부 내용물을 배출시키며 공기와 혼합하는 상태에서 버블이 발생되도록 하여 마개의 토출구를 통해 발생 된 버블이 배출되도록 하는 일련의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서의 추가적인 실시예로 본 발명에 채택되는 혼합부의 하단부측에 공기튜브를 장착하여 용기 내부에 내입되도록 하는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12는 도 11을 적용한 상태에서의 개괄적 단면도
도 13 내지 도 14는 도 12를 적용하여 용기 내부의 내용물과 공기튜브내의 공기가 혼합되며 마개 토출구를 통해 배출 및 용기가 복원될 때의 내용물과 공기간 흐름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의한 마개를 결합한 상태에서의 개괄적 정단면도
도 3은 도 1에 의한 마개를 부분 절개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마개 내부에 결합되는 버블발생부와 공기유도부를 제외한 상태에서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버블발생부를 부분 절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결합부를 부분 절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채택되는 혼합부를 부분 절개 도시한 사시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용기 내부 내용물을 배출시키며 공기와 혼합하는 상태에서 버블이 발생되도록 하여 마개의 토출구를 통해 발생 된 버블이 배출되도록 하는 일련의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서의 추가적인 실시예로 본 발명에 채택되는 혼합부의 하단부측에 공기튜브를 장착하여 용기 내부에 내입되도록 하는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12는 도 11을 적용한 상태에서의 개괄적 단면도
도 13 내지 도 14는 도 12를 적용하여 용기 내부의 내용물과 공기튜브내의 공기가 혼합되며 마개 토출구를 통해 배출 및 용기가 복원될 때의 내용물과 공기간 흐름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며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첨부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마개(100)와 상기 마개(100) 내부로 진입되며 결합 되는 버블발생부(200)와, 상기 버블발생부(200) 하단측으로 결합되는 결합부(300)와, 상기 결합부(300) 하단측에 결합되어 용기(600)내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거나 또는 용기(600) 내부 공기를 내용물과 혼합되며 외부로 배출되면서 버블 발생이 가능하도록 하는 혼합부(400)와, 상기 혼합부(400)의 제2원통형체와 결합되는 용기 내부의 관(500)이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마개(100)는 일반적인 통상의 마개를 의미하는 것으로 단캡 또는 이중캡 모두에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주로 단캡에 적용하여 설명하고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될 필요는 없음은 물론이며 이중캡으로의 적용도 가능하다.
이러한 마개(10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마개(100)의 외주면 상단측 일부에 힌지 결합 되는 덮개(도면부호 미기재)에 의해 사용시에는 개방되고, 사용이 완료된 후에는 닫혀 지는 통상의 마개(100)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통상적 마개(100)의 일반적 구조에서 마개(100)의 정중앙 부분은 관통되어 용기(600) 내용물의 토출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상기한 마개(100) 정중앙부분으로 토출구(110)를 형성한다.
상기 버블발생부(200)는 도 2 및 도 4,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에서 보듯이, 마개(100)의 토출구(110) 내부에 상단이 삽입되도록 구비하고 하단측으로는 후술하게 되는 결합부(300)와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버블발생부(200) 중앙은 통공 형태를 갖도록 하되 상하단은 각각 망사체(220)를 구비하며, 버블발생부(200) 중앙 외주면측에 끼워지는 확장판(230)을 구성하되 상기 확장판(230) 단부측인 끝단부로부터 일체로 경사지는 형태의 경사날개(231)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한편 여기서, 상기 확장판(230)이 버블발생부(200) 외주면에 끼워진 상태에서 확장판(230)의 단부측 경사날개(231)는 마개(100)의 토출구(110) 내측 하단면의 확장단턱면(111)과 밀접하게 접하도록 한다.
이러한 버블발생부(200)는 용기(600)를 짤 때, 내용물이 버블발생부(200)를 통과하면서 버블이 형성되도록 하고, 내용물의 토출 과정이 완료되면 용기(600)의 원상회복을 위해 외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용기(500)의 원상 회복이 빠르게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버블발생부(200)는 중앙으로 상하가 개구되도록 하되, 상하단에 각각 버블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한 망사체(220)를 구비한다.
이러한 망사체(220)는 버블 발생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메시정도를 서로 다르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버블발생부(200)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전술한 확장판(230)을 구비하고, 상기 확장판(230) 단부측으로는 경사진 형태를 갖는 경사날개(231)가 구비된다.
상기 확장판(230) 및 경사날개(231)는 연질의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버블발생부(200)와의 다른 재질에 의한 일체화된 이중 인서트 사출을 이용하여 구성하거나 또는 확장판(230)과 버블발생부(200)간 분리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확장판(230) 및 경사날개(231)의 두께를 얇게 구성하여 탄력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경사날개(231)는 전술한 것과 같이 도 2 등에서 보는 것처럼 마개(100)의 토출구(110)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확장되는 확장단턱면(111)과 밀접하게 접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경사날개(231)가 마개(100) 토출구(110)의 확장단턱면(111)과 밀접하게 접한 상태에서, 용기(600)를 짜내어 내부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될 때에는 외부의 공기가 토출구(110)를 통해 유입되지 않는 상태에 있게 되므로, 확장판(230)의 경사날개(231)는 확장단턱면(111)에 긴밀히 접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용기(600)의 내용물을 배출하여 사용이 완료된 상태에서 그대로 두게 되면, 용기(600)가 원상회복을 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유입된 외기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확장판(230)의 경사날개(231)가 뒤로 젖혀지도록 하면서, 용기(600) 내부로 유입이 빠르게 이루어져, 용기(600)의 원상 회복을 촉진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경사날개(231)는 전술한 것과 같이 상방향으로 테이퍼지는 상태로 절곡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함은 물론이다.
상기한 확장판(230)의 저부면은 용기(600)를 거꾸로 두었을 경우 또는 거꾸로 든 상태에서 내용물을 짜낼 때, 내용물이 접하는 상태를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도 확장판(230)의 단부측인 경사날개(231)와 확장판(230) 단부가 확장단턱면(111)에 충분한 면적으로 덮고 있어,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것과 같이 버블발생부(200)의 상단부측은 마개(100)의 토출구(110) 내측에 삽입되고, 하단부측은 후술하게 되는 결합부(300)에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결합부(300)는, 도 2와 도 5 등에서 보듯이 결합부(300)의 상측으로는 마개(100)의 확장단턱면(111)으로부터 이어지며 2차로 확장되는 제2확장단턱면(112)의 저면과 긴밀하게 접촉되도록 하면서도 상기 제2확장단턱면(112)으로부터 수직하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리브(113)와 결합되는 리브홈(310)이 구비되고 중앙으로 버블발생부(200)의 하단부가 끼워지기 위한 제1삽입관(320)이 구비되고, 상기 제1삽입관(320)과 연통되면서 하방측으로 연결되는 제2삽입관(330)이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삽입관(320)과 제2삽입관(330)은 연통되는 구조를 갖되 중앙부위에 구획격판(340)을 형성하여 구획 되도록 하고, 상기 구획격판(340)에는 다수의 통공(341)이 천공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 구획격판(340)의 통공(341)을 통해 용기(600)의 내용물과 외기가 혼합되면서 마개(100)의 토출구(110)측으로 배출되어질 때 버블발생부(200)를 통과하며 외기와 내용물간 혼합에 의한 버블이 발생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결합부(300)의 하단측 제2삽입관(330) 외측으로 별도의 결합공(350)을 천공하여 후술하는 혼합부(400)의 일부와 결합되도록 하였다.
상기 혼합부(400)와 결합되어 용기(600) 내부 내용물과 외기 혼합 과정 및 그 배출에 의해 버블이 발생 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혼합부(400)는 전술한 것과 같이 결합부(300)의 하단측 결합공(350)과 일부가 결합되면서, 용기(600)를 짜내어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어질 때 상기 내용물의 배출을 가이딩 함과 동시에, 배출이 완료된 후 용기(600)가 원상태로 복원되는 과정에서, 용기(600)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한 혼합부(400)는 도 6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기 결합부(300) 하단의 제2삽입관(330)이 끼워지며 삽입되기 위한 제1원통형체(410)가 구성되고 상기 제1원통형체(410) 외주연과 일체로 연결되며 하단으로 연결되는 제2원통형체(4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원통형체(410) 내부의 내주면으로는 길이방향으로 요철형태를 이루고 그 하단은 막혀지는 형태를 구성하되 상기 제2원통형체(420)와 연통되는 구멍(411)이 천공된다.
상기 구멍(411)을 통하여 용기(600) 내용물이 유동되거나 또는 외기와 용기(600) 내부 공기가 유동 되는 경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원통형체(420)는 도 6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제1원통형체(410) 외주면과 일체로 연결되어지되 하방향으로는 직경이 큰 형태의 내경을 갖게 되고 상방향으로는 직경이 작은 형태의 내경을 갖게 되는 관통공(421)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2원통형체(420)는 직경이 서로 다른 형태를 이루는 상하단이 형성되는데 상단측으로는 도면에서 보듯이 제1원통형체(410)와 연결되어지되, 제2원통형체(420) 상단측으로는 더욱 돌출되는 연결원통체(422)를 형성하여, 상기 연결원통체(422)가 상기한 결합부(300)의 결합공(350)에 삽입되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상기 구멍(411)은 상기 제2원통형체(420)의 관통공(411)과 연통된다.
이와 같은 형태와 구성을 갖는 혼합부(400)는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제1원통형체(410)으로 결합부(300)의 제2삽입관(330)이 삽입되고 제2원통형체(420)의 상단측 연결원통체(422)는 결합부(300)의 결합공(350)에 끼워지며 연결되는 상태를 이루게 되고, 제2원통형체(420)의 하단측으로 이어지는 관통공(421)으로는 관(500)이 연결되는 구성을 갖게 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용기(600)내의 내용물을 공기와 혼합되며 버블이 발생 되는 상태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서 용기(600)를 외부에서 사용자에 의해 짜내며 사용하게 된다.
먼저 용기(600)를 거꾸로 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 관(500)의 단부측에는 내용물이 접하지 않는 상태에 있게 되고 용기(600) 내부 공기만 접하는 상태에 있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기(600)를 짜게 되면 용기(600) 내용물이 혼합부(400)의 제1원통체(410) 내주면의 요철부위로 유입된 후, 상기 제1원통체(410)에 삽입 체결되어 있는 결합부(300)의 제2삽입관(330)측으로 유동되면서 통공(321)을 통과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관(500) 단부측으로는 용기(600)의 내부 공기가 유입되는데 도 7에서 보는 것과 같이 내부 공기는 관(500)을 따라 유입되면서 혼합부(400)의 제2원통형체(420)의 관통공(421)측으로 유도된 후, 제1원통형체(410)의 바닥면에 천공되어 있으면서 제2원통형체(420)와 연통되는 구멍(411)측으로 유입된다.
상기 구멍(411)측으로 유입된 용기(600) 내부 공기는 혼합부(400)의 제1원통형체(410) 내부로 유입된 내용물과 혼합되면서 동시에 결합부(300)의 제2삽입관(330)측으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용기(600) 내용물과 내부 공기가 결합부(300)의 제2삽입관(330) 내부에서 일차 혼합됨과 동시에 결합부(300)의 통공(321)측으로 배출되는데, 그 배출된 혼합형태의 내용물과 공기는 버블발생부(200)의 하단측 망사체(220)를 통과하며 1차 버블이 발생되고 이어서 버블발생부(200) 상단측 망사체(220)를 통과하며 완전한 버블이 형성된 상태에서, 용기(600)의 토출구(110)측으로 배출되어 사용자에 의한 사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용기(600)가 복원되면 즉 짜낸 상태의 용기(600)가 복원하게 되면 도 8에서 보듯이 외부의 공기가 토출구(110)측으로 유입되면서 버블발생부(200)내부로도 외기가 유동되고, 버블발생부(200) 외주연으로 형성되는 확장판(230)의 경사날개(231)를 하방향으로 젖히게 되어 외기가 빠르게 용기(600) 내부로 유입되어, 용기(600)를 단시간내에 원상태로 복원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으며 용기(600)를 짜내게 되면 용기(600) 내부 내용물을 공기와 지속적으로 혼합하며 버블이 발생되어지는데, 용기(600)를 짜낸 후 순간적으로 외기는 용기(600) 내부로 진입된 후 재차 용기(600)를 통해 내용물을 짜내는 반복 작용을 하는 경우에도, 용기(600) 내부로 기진입되어 있는 외기와 액상 내용물은 항상 균일한 비율로 혼합되면서 버블 발생이 연속 이루어지며 마개의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4에서 보는 것과 같이, 용기(600) 내부에 별도의 공기튜브(70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1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공기튜브(700)의 상단측은 혼합부(400)의 제2원통형체(420)와 결합되도록 하는 구성을 이룰 수 있다.
예컨데, 상기 공기튜브(700) 상단측 외주면으로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튜브(700) 상단측과 체결되는 혼합부(400)의 제2원통형체(420) 내주면으로 나사부를 형성하여 공기튜브(700)와 나사 결합 되도록 하고, 상기 제2원통형체(420) 상면으로, 내주면에 길이방향의 요철 형태를 갖으면서 제2원통형체(420)와 연통되는 구멍(411)을 천공하여서 되는 제1원통형체(410)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1원통형체(410)와 인접되며 제2원통형체(420) 상면측으로 연장되며 연통되는 연결원통체(422)를 형성하여, 상기 연결원통체(422)가 상기 결합부(300)의 결합공(350)에 삽입되는 것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즉 상기 구성에서, 용기(100)를 짜서 내용물을 배출시킬 때 내부 공기는 공기튜브(700)를 통하여 혼합부(400)의 제1원통형체(410) 바닥면에 천공되어 있는 구멍(411)으로 배출되는 과정을 거치고, 동시에 용기(600) 내부 액상 내용물은 제1원통형체(410) 내주면의 요철부위를 통하여 결합부(300)의 제2삽입관(330)측으로 유입되어져 공기와 액상 내용물이 혼합된 상태에서 버블발생부(200)를 통과하며 1,2차에 걸친 버블이 발생된 후 최종적으로 마개(100)의 토출구(110)를 통해 버블이 배출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버블 발생 및 사용이 완료되어 용기(600)를 누르고 있는 사용자의 힘을 제거하게 되면, 외기는 역순으로 상기 공기튜브(700)측으로의 유입과 동시에 혼합부(400)의 제1원통형체(410) 내주면의 요철부위측을 통하여 외기가 유입되는 과정을 거쳐 용기(600)와 공기튜브(700)의 복원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100; 마개 110; 토출구
111; 확장단턱면 112; 제2확장단턱면
113; 돌출리브 200; 버블발생부
220; 망사체 230; 확장판
231; 경사날개 300; 결합부
310; 리브홈 320; 제1삽입관
321; 통공 330; 제2삽입관
340; 구획격판 350; 결합공
400; 혼합부 410; 제1원통형체
411; 구멍 420; 제2원통형체
421; 관통공 422; 연결원통체
500; 관 600; 용기
700; 공기튜브
111; 확장단턱면 112; 제2확장단턱면
113; 돌출리브 200; 버블발생부
220; 망사체 230; 확장판
231; 경사날개 300; 결합부
310; 리브홈 320; 제1삽입관
321; 통공 330; 제2삽입관
340; 구획격판 350; 결합공
400; 혼합부 410; 제1원통형체
411; 구멍 420; 제2원통형체
421; 관통공 422; 연결원통체
500; 관 600; 용기
700; 공기튜브
Claims (5)
- 삭제
- 삭제
- 삭제
- 튜브형 용기의 토출부와 결합 되는 마개(100)에서, 중앙부의 상하단에 각각 망사체를 구비하는 본체 중앙 외주면으로 끼워지는 원판형태의 확장판이 이루어지고, 상기 확장판 끝단부로부터 경사지는 경사날개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버블발생부(200)와, 상기 버블발생부(200)의 하단부가 끼워지는 제1삽입관이 상방측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삽입관과 연통되는 하방측으로 제2삽입관이 형성되고 상방측 주연부측으로 마개 상측 저면으로 형성되는 돌출리브가 끼워지기 위한 리브홈을 갖는 결합부(300)를 이루고, 상기 결합부 하단의 제2삽입관이 끼워지는 것으로, 내주면으로 요철 형태를 이루며 상방이 개구되는 제1원통형체를 이루고, 상기 제1원통형체 외주연과 일체로 연결되면서 하단으로 관이 끼워지는 제2원통형체로 이루어지는 혼합부(400)로 이루어지는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구조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400)의 제1원통형체(410) 내주면으로는 길이방향으로 요철형태를 이루고 그 하단은 막혀지는 형태를 구성하되 상기 제2원통형체(420)와 연통되는 구멍(411)이 천공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원통형체(420)는 상기 제1원통형체(410) 외주면과 일체로 연결되어지되 하방향으로는 직경이 큰 형태의 내경을 갖게 되고 상방향으로는 직경이 작은 형태의 내경을 갖게 되는 관통공(421)이 형성되어지되, 제2원통형체(420) 상단측으로는 더욱 돌출되는 연결원통체(422)를 형성하여, 상기 연결원통체(422)가 상기 결합부(300)의 결합공(350)에 삽입되는 것을 포함하는,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구조.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25701A KR101460453B1 (ko) | 2013-10-22 | 2013-10-22 |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25701A KR101460453B1 (ko) | 2013-10-22 | 2013-10-22 |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60453B1 true KR101460453B1 (ko) | 2014-11-10 |
Family
ID=52287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25701A KR101460453B1 (ko) | 2013-10-22 | 2013-10-22 |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60453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08475A (ko) | 2021-01-27 | 2022-08-03 | 최정구 | 버블 발생구조에서 역류 발생 방지구조를 갖는 용기 |
WO2023008658A1 (ko) * | 2021-07-27 | 2023-02-02 | 최정구 | 에어튜브를 갖는 버블발생 용기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02508Y2 (ja) * | 1989-07-12 | 1996-06-26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泡沫スプレ―装置 |
JP2011084320A (ja) * | 2009-10-16 | 2011-04-28 | Kao Corp | 泡吐出容器 |
KR20130112776A (ko) * | 2012-04-03 | 2013-10-14 | 이권행 |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구조 |
-
2013
- 2013-10-22 KR KR20130125701A patent/KR10146045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02508Y2 (ja) * | 1989-07-12 | 1996-06-26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泡沫スプレ―装置 |
JP2011084320A (ja) * | 2009-10-16 | 2011-04-28 | Kao Corp | 泡吐出容器 |
KR20130112776A (ko) * | 2012-04-03 | 2013-10-14 | 이권행 |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구조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08475A (ko) | 2021-01-27 | 2022-08-03 | 최정구 | 버블 발생구조에서 역류 발생 방지구조를 갖는 용기 |
KR102525464B1 (ko) * | 2021-01-27 | 2023-04-24 | 최정구 | 버블 발생구조에서 역류 발생 방지구조를 갖는 용기 |
WO2023008658A1 (ko) * | 2021-07-27 | 2023-02-02 | 최정구 | 에어튜브를 갖는 버블발생 용기 |
KR20230016956A (ko) | 2021-07-27 | 2023-02-03 | 최정구 | 에어튜브를 구비하는 버블발생 용기 |
KR102535986B1 (ko) * | 2021-07-27 | 2023-05-26 | 최정구 | 에어튜브를 구비하는 버블발생 용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13031136A1 (ja) | 注出容器 | |
KR101376439B1 (ko) |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구조 | |
KR101765026B1 (ko) | 스퀴즈 용기용 거품발생펌프 및 그의 작동방법 | |
KR101517825B1 (ko) | 도립형 압착용기 거품발생기 | |
KR101514811B1 (ko) | 압착용기용 거품발생기 | |
KR101460453B1 (ko) |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구조 | |
US10414572B2 (en) | Fresh-keeping bottle | |
JP2018532659A (ja) | 泡噴出チューブ容器 | |
JP2009149326A (ja) | 二重容器 | |
KR20160127726A (ko) | 스퀴즈용기용 거품발생펌프 및 그의 작동방법 | |
JP2000072185A (ja) | 二液混合容器 | |
KR101890655B1 (ko) | 주사기 방식의 이종 물질 혼합기 및 그 조립방법 | |
KR101567249B1 (ko) | 마개구조에서의 버블발생장치 | |
JP2018140801A (ja) | 泡噴出容器 | |
JP4991512B2 (ja) | スクイズ式泡吐出容器 | |
JP5844141B2 (ja) | 泡噴出容器 | |
JP2017114554A (ja) | 注出容器 | |
KR102281825B1 (ko) |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 |
US2330774A (en) | Mixing device | |
CN208499195U (zh) | 一种容器盖 | |
CN108729143A (zh) | 一种洗涤添加剂盒安装结构 | |
CN204813975U (zh) | 收集保存体液的装置 | |
KR102535986B1 (ko) | 에어튜브를 구비하는 버블발생 용기 | |
WO2013151320A1 (ko) |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구조 | |
CN108729131A (zh) | 一种洗涤添加剂盒及洗衣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