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2932B1 - 거품 분출 펌프디스펜서 - Google Patents

거품 분출 펌프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2932B1
KR100632932B1 KR1020050052143A KR20050052143A KR100632932B1 KR 100632932 B1 KR100632932 B1 KR 100632932B1 KR 1020050052143 A KR1020050052143 A KR 1020050052143A KR 20050052143 A KR20050052143 A KR 20050052143A KR 100632932 B1 KR100632932 B1 KR 100632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nozzle head
liquid
valv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2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희진
오유광
Original Assignee
최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희진 filed Critical 최희진
Priority to KR1020050052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29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2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2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18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6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 B05B11/1047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the pump being preassembled as an independent unit before being mounted o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87Combination of liquid and air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60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 B65D83/64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by piston
    • B65D83/646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by piston the piston being provided with a dispensing opening through which the contents are dispen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25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25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t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2583/04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or tablets
    • B65D2583/0472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or tablets characterised by the dispens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밍클렌져, 헤어무스나 쉐이브폼과 같이 액체와 에어가 혼합되어 내용물이 거품형태로 분출되도록 하는 거품 분출 펌프디스펜서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 거품 분출 펌프디스펜서는 액체 수용용기의 입구에 씌워지는 캡상면에 에어챔버를 캡과 일체로 구성하고 에어는 노즐헤드와 에어챔버의 결합부를 통해 에어챔버로 유입되어 기액 혼합실로 공급되게 하며 액체 수용용기의 찌그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어챔버 내의 에어가 액체 수용용기 내로 유입되는 구성이며 액체 피스톤샤프트에 직접 일체로 액체 피스톤을 구성한 것이다.
펌프디스펜서

Description

거품 분출 펌프디스펜서{Foaming pump dispenser}
도 1은 본 발명의 노즐헤드가 상승되어 있는 상태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노즐헤드가 하강하는 상태로서 거품이 토출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노즐헤드와 에어피스톤 및 액체피스톤이 완전히 하강되어 거품이 분출되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노즐헤드가 상승되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액체 수용용기의 찌그러짐 방지를 위한 부압 기능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에어피스톤고정부 110: 에어유입홈
200: 에어챔버 250: 노즐헤드받침면
260: 에어통로 300: 에어피스톤
310: 에어개폐부 400: 액체피스톤
500: 에어개폐판 600: 오링
700: 1차에어유입구 710: 2차에어유입공
본 발명은 포밍클렌져, 헤어무스나 쉐이브폼 등 액체와 에어가 적당히 혼합되어 내용물이 거품 형태로 분출되게 하는 펌프디스펜서에 있어서 에어챔버의 구조와 기액혼합실과 액체용기로의 에어공급 구조의 개선 및 액체피스톤의 구성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헤어무스나 쉐이브폼 등 액체와 에어를 혼합시켜 사용하는 제품들은 일반적인 에어의 이용 보다는 프레온 가스와 같은 압축가스를 이용하게 되는 것으로 폭발이나 화재의 위험과 인체에 유해하고 오존층 파괴 등의 환경공해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유해가스의 이용을 배제하기 위하여 유해가스 대신 에어를 이용하기 위한 거품 분출 펌프디스펜서에 관한 선행기술도 많이 알려지고 있는 것이다.
종래에도 국내 특허등록 제10-0311592호 '거품 분출 펌프 부착용기'(이하 선행기술1 이라 함)의 구조가 알려지고 있다.
또한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에 게재된 공고번호 20-0187138호 '거품 분출 펌프'(이하 선행기술2라 함)의 구조가 알려지고 있는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1을 보면 액체 수용용기 입구에 씌워지는 캡의 내측 하부에 캡과 별도로 구성되는 에어챔버가 캡과 조립되어 있으며 캡 하부로 연장되는 에어챔버가 캡을 액체 수용기에 씌웠을 때 액체 수용용기의 상부 공간, 즉 내부체적을 상 당 부분 잠식하게 됨으로 정해진 용량 보다 필요 이상으로 액체 수용용기가 커져야 하며 에어챔버의 별도 구성과 캡과의 조립구조로 인하여 제조금형의 추가는 물론 조립공정의 불편과 밀폐기능의 저하 등 많은 문제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액체 수용용기 내의 액체가 피스톤 실린더를 통해 기액 혼합실로 유출될 때 액체의 유출량 만큼 액체 수용용기에 부압에 의한 찌그러짐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으로 액체의 유출양 만큼 외부공기가 액체 수용용기 내로 유입되어야 하나 액체 수용용기의 찌그러진 상태가 빠르게 복원되지 못하는 문제점과 펌핑동작이 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언제나 외부공기가 유입될 수 있고 또 내용물의 누액의 원인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선행기술2 역시 별도로 구성된 에어실린더를 캡의 내면 하부로 돌출되도록 조립함으로서 에어실린더의 외적 부피가 액체 수용용기의 내부 체적을 크게 차지하게 됨으로 정해진 용량 보다 필요이상으로 액체 수용용기가 커져야 하며 에어피스톤의 수개소에 에어유입공과 개폐밸브를 장치하여 에어실린더 내로 에어가 유입되도록 하고 있으나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제작상의 어려움과 생산원가의 상승 요인이 되었던 것이다.
또한 상기한 선행기술1~2는 캡과 그 중앙에 조립되어 있는 노즐헤드 사이에 작동 유격이 발생하는데 그 사이 틈으로 물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펌프 작동 불량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선행기술들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에어챔버를 캡과 일체로 캡 상면에 구성시킴으로서 제작이 손쉽고 액체 수용용기의 내부 면적을 전혀 차지하지 않아서 액체 수용용기의 부피가 필요이상으로 커지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선행기술과 같이 노즐헤드와 캡 중앙 사이의 작동 유격이 존재하지 않아 물 등의 이물질 침투에 의한 펌프 작동 불량을 예방할 수 있으며 노즐헤드의 상승이 완료되기 전 순간적으로 용기 외부의 에어가 에어챔버를 지나 액체피스톤 하우징 내로 유입되고 유입된 에어는 다시 하우징에 천공된 에어유입공을 통해 액체 수용용기로 유입되어 부압에 의한 찌그러짐을 방지할 수 있게 하고 펌핑동작이 멈춘 상태에서는 액체 수용용기로 외부공기가 유입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이다.
거품분출공(11)과 원통부(12)를 구비한 노즐헤드(10)와 상기 노즐헤드(10)에 끼워지는 노즐헤드받침부재(20)와 상기 노즐헤드받침부재(20)에 내장되는 거품개폐밸브(21)와 상기 거품개폐밸브(21) 상부에 설치되는 매쉬(22)와 액체 수용용기(30)의 입구에 결합되는 캡(40)과 상기 캡(40)의 내면에 결합되며 하부에 퍼스트밸브(51)를 구비한 액체피스톤하우징(50)과 상기 노즐헤드받침부재(20)에 결합되며 상부에는 기액혼합실(61)과 내부에는 상기 기액혼합실(61)을 개폐하도록 상부에 세컨밸브(63)를 구비한 밸브샤프트(62)가 내장된 액체피스톤샤프트(60)와 상기 밸브샤프트(62)의 하부에 결합된 밸브샤프트가이드(70)를 구비한 공지의 거품배출 펌프디 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노즐헤드(10)의 내부 중심부에 노즐헤드(10)와 일체로 구성되는 에어피스톤고정부(100)와 그 외곽으로 구성되는 에어유입홈(110)과 상기 캡(40) 상면에 구성되는 에어챔버(200)와 상기 에어챔버(200)에 내장되며 상기 에어피스톤고정부(100)에 고정되는 에어피스톤(300)과 상기 에어피스톤 상면에 구성되며 상기 에어유입홈(110)을 개폐하는 에어개폐부(310)와 상기 노즐헤드받침부재(20)에 구성되는 노즐헤드받침면(250)과 상기 노즐헤드받침면(250)과 상기 에어피스톤고정부(100) 하단 사이에 구성되는 에어통로(260)와 상기 액체피스톤샤프트(60)의 하단에 형성되는 액체피스톤(400)과 상기 액체피스톤샤프트(60)의 중간에 형성되며 오링(600)을 구비한 에어개폐판(500)과 상기 캡(40) 중앙부에 형성되는 1차에어개폐면(410)과 상기 액체피스톤하우징(50)의 내주벽에 구성되는 1차에어유입구(700)와 상기 액체피스톤하우징(50)의 벽면에 천공되는 2차에어유입공(710)이 구비된다.
상기 에어챔버(200)에 씌워지는 상기 노즐헤드(10)의 원통부(12) 직경이 상기 에어챔버(200)의 직경 보다 크게 구성되어 있어서 노즐헤드(10)가 완전히 상승된 상태에서도 상기 노즐헤드(10)의 원통부(10) 하단과 상기 에어챔버(200)의 상단 사이에 유격이 생기지 않는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800)은 액체피스톤 복귀스프링을 보인 것이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워진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도1은 액체피스톤 복귀스프링(800)의 탄발력에 의하여 노즐헤드(10)가 최대한으로 상승되어 있는 상태이며 이와같은 상태에서 거품개폐밸브(21)가 닫혀 있는 상태이며 퍼스트밸브(51)는 자중에 의해 안착되어 있고, 세컨밸브(63)는 닫혀 있는 상태가 되고 에어챔버(200) 내에는 에어가 충만되어 있고 상기 노즐헤드(10)의 에어유입홈(110)과 상기 에어개폐부(310) 사이에는 에어가 유입될 수 있도록 간격이 생긴 상태로 열려 있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기액을 혼합시켜 거품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노즐헤드(10)를 누르면 노즐헤드(10)는 하강되고 에어피스톤(300)은 에어챔버(200) 내벽에 밀착되는 마찰력이 에어피스톤(300)과 에어피스톤고정부(100)와의 밀착되는 마찰력에 비해 크기때문에 하강되는 노즐헤드(10)의 에어유입홈(110)에 에어피스톤(300)의 에어개폐부(310)가 밀착되어 에어의 유입이 차단되고, 도2의 상태와 같이 에어피스톤(300)의 하강 압력으로 에어챔버(200) 내의 에어가 상기 에어통로(260)로 유입되어 상기 기액혼합실(61)로 유입되고,
상기 퍼스트밸브(51)는 닫히고 세컨밸브(63)가 열리면서 액체피스톤하우징(50) 내에 수용되어 있는 액체가 기액혼합실(61)로 유입되어 에어와 혼합되면서 매쉬(22)를 통과할 때 거품으로 변해서 토출되는 것이다.
도3은 노즐헤드(10)와 에어피스톤(200) 및 밸브샤프트(62)가 완전히 하강된 상태로서 거품 토출이 완료된 상태이다.
도4는 눌려 있던 노즐헤드(10)를 놓으면 액체피스톤 복귀스프링(800)의 탄발력에 의하여 노즐헤드(10)와 에어피스톤(200) 및 액체피스톤(400)이 상승하면서 노즐헤드(10)의 에어유입홈(110)과 에어피스톤(300)의 에어개폐부(310)간 간격으로 에어챔버(200) 내로 다시 에어가 유입되고 노즐헤드받침면(250)과 에어피스톤(300) 이 밀착되어 에어통로(260)가 차단되어 진다.
세컨밸브(63)와 액체피스톤(400)이 밀폐가 되어 상승한다.
따라서 액체피스톤하우징(50) 내는 압력 강하가 되어 퍼스트밸브(51)가 열리게 되고, 노즐헤드(10)가 상승함에 따라 액체수용용기(30) 내의 내용물이 튜브를 통해 열려진 퍼스트밸브(51)를 통해 액체피스톤하우징(50) 내로 유입이 된다.
도5는 노즐헤드(10)가 상승되어 1차에어유입규(700)가 열리는 순간 함께 2차에어유입공(710)이 열리게 되며 에어챔버(200) 내벽과 에어피스톤(300)과의 마찰에 의해 열려진 에어유입홈(110)을 통해 액체수용용기(30) 내부와 외부가 통하게 되어 용기 내부의 감압상태를 신속하게 해소시킨다.
또한 상기 노즐헤드(10)의 원통부(12) 직경이 상기 에어챔버(200)의 직경 보다 크게 구성되어 씌워짐으로서 상기 노즐헤드(10)가 완전히 상승된 상태에서도 노즐헤드(10)의 원통부(12) 하단과 에어챔버(200)의 상단 사이에 유격이 생기지 않으므로 물이나 기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 및 작용 효과를 가지게 되는 본 발명은 캡(40)의 상부에 캡(40)과 일체로 에어챔버(200)를 구성시키므로서 종래 에어챔버가 캡의 하부에 별도로 구성됨으로서 액체 수용용기의 내부체적을 필요 이상으로 잠식하는 문제점과 에어챔버를 별도로 구성해야 되는 문제점이 없게 되고 캡(40) 내면에 구성되던 에어유입홈(110)이 에어피스톤(300)의 상면 개폐부(310)에 의해 개폐됨으로서 별도의 개 폐밸브 구성이 생략됨으로 구성을 간소화 시킬수가 있고 외기에어, 에어챔버(200), 1차에어유입구(700), 2차에어유입공(710) 간의 에어통로가 순간적으로 모두 개방이 되어 액체 수용용기 내의 감압상태를 신속하게 해소시켜서 액체 수용용기의 찌그러짐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액체피스톤(400)을 액체피스톤샤프트(60)와 일체로 구성시키므로서 제작 및 부품의 간소화를 기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선행기술과 같이 노즐헤드와 캡 중앙 사이에 작동 유격이 존재하지 않아 물 등의 이물질 침투에 의한 펌프 작동 불량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7)

  1. 거품분출공(11)과 원통부(12)를 구비한 노즐헤드(10)와 상기 노즐헤드(10)에 끼워지는 노즐헤드받침부재(20)와 상기 노즐헤드받침부재(20)에 내장되는 거품개폐밸브(21)와 상기 거품개폐밸브(21) 상부에 설치되는 매쉬(22)와 액체 수용용기(30)의 입구에 결합되는 캡(40)과 상기 캡(40)의 내면에 결합되며 하부에 퍼스트밸브(51)를 구비한 액체피스톤하우징(50)과 결합되며 상기 노즐헤드받침부재(20)와 상부의 기액혼합실(61)과 내부에는 상기 기액혼합실(61)을 개폐하도록 상부에 세컨밸브(63)를 구비한 밸브샤프트(62)가 내장된 액체피스톤샤프트(60)가 결합되며 상기 밸브샤프트(60)의 하부에 결합된 밸브샤프트가이드(70)를 구비한 공지의 거품배출 펌프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노즐헤드(10)의 내부 중심부에 노즐헤드(10)와 일체로 구성되는 에어피스톤고정부(100)와 그 외곽으로 구성되는 에어유입홈(110)과 상기 캡(40) 상면에 구성되는 에어챔버(200)와 상기 에어챔버(200)에 내장되며 상기 에어피스톤고정부(100)에 고정되는 에어피스톤(300)과 상기 에어피스톤 상면에 구성되며 상기 에어유입홈(110)을 개폐하는 에어개폐부(310)와 상기 노즐헤드받침부재(20)에 구성되는 노즐헤드받침면(250)과 상기 노즐헤드받침면(250)과 상기 에어피스톤고정부(100) 하단 사이에 구성되는 에어통로(260)와 상기 액체피스톤샤프트(60)의 하단에 형성되는 액체피스톤(400)과 상기 액체피스톤샤프트(60)의 중간에 형성되며 오링(600)을 구비한 에어개폐판(500)과 상기 캡(40) 중앙부에 형성되는 1차에어개폐면(410) 과 상기 액체피스톤하우징(50)의 내주벽에 구성되는 1차에어유입구(700)와 상기 액체피스톤하우징(50)의 벽면에 천공되는 2차에어유입공(71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분출 펌프디스펜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챔버(200)는 캡(40)의 상면에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분출 펌프디스펜서.
  3. 제1항에 있어서 노즐헤드(10) 외곽으로 구성되어 있는 에어유입홈(110)과 에어피스톤(300)의 상면 개폐부(310)에 의해 에어가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분출 펌프디스펜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피스톤(400)은 상기 액체피스톤샤프트(60)의 하단에 액체피스톤샤프트(60)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분출 펌프디스펜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개폐판(500)은 상기 액체피스톤샤프트(60)의 상부에 액체피스톤샤프트(60)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분출 펌프디스펜서.
  6. 제1항에 있어서 내용물 토출 후 노즐헤드 복귀시 외기에어, 에어챔버(200), 1차에어유입구(700), 2차에어유입공(710) 간의 에어통로가 순간적으로 모두 개방되어 액체수용용기(30)의 찌그러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분출 펌프디스펜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헤드(10)의 원통부(12)가 상기 에어챔버(200)에 씌워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분출 펌프디스펜서.
KR1020050052143A 2005-06-17 2005-06-17 거품 분출 펌프디스펜서 KR100632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143A KR100632932B1 (ko) 2005-06-17 2005-06-17 거품 분출 펌프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143A KR100632932B1 (ko) 2005-06-17 2005-06-17 거품 분출 펌프디스펜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17903U Division KR200396474Y1 (ko) 2005-06-21 2005-06-21 거품 분출 펌프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2932B1 true KR100632932B1 (ko) 2006-10-13

Family

ID=37626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2143A KR100632932B1 (ko) 2005-06-17 2005-06-17 거품 분출 펌프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2932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57919A3 (en) * 2007-11-01 2009-07-23 Chong Woo Co Ltd Foam production pump not causing contamination of contents
CN104210745A (zh) * 2014-07-29 2014-12-17 余姚市特力喷雾器有限公司 泡沫泵
KR20150047625A (ko) * 2012-09-03 2015-05-04 미노베이션 비.브이. 거품 분배기
KR20160127726A (ko) 2015-03-03 2016-11-04 얀홍 메이 스퀴즈용기용 거품발생펌프 및 그의 작동방법
KR20160128302A (ko) 2014-10-24 2016-11-07 얀홍 메이 스퀴즈 용기용 거품발생펌프 및 그의 작동방법
CN106073593A (zh) * 2016-08-09 2016-11-09 江门市爱威特电器有限公司 一种泡沫式皂液泵
CN106904364A (zh) * 2015-12-23 2017-06-30 丁要武 按压泵
CN111565857A (zh) * 2017-11-09 2020-08-21 里克包装系统有限公司 泵式分配器、尤其是泡沫分配器
CN112779733A (zh) * 2019-11-04 2021-05-11 合肥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
KR102303475B1 (ko) * 2020-07-29 2021-09-23 주식회사 아이플 액체 저장 용기용 펌프 뚜껑
CN115210001A (zh) * 2019-12-31 2022-10-18 里克包装系统有限公司 低温往复泵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6029A (ja) 2000-09-13 2002-03-26 Daiwa Can Co Ltd ポンプ式泡出し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6029A (ja) 2000-09-13 2002-03-26 Daiwa Can Co Ltd ポンプ式泡出し容器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57919A3 (en) * 2007-11-01 2009-07-23 Chong Woo Co Ltd Foam production pump not causing contamination of contents
CN101842297B (zh) * 2007-11-01 2013-01-30 (株)钟宇实业 不会引起内容物污染的泡沫产生泵
US8602264B2 (en) 2007-11-01 2013-12-10 Chong Woo Co., Ltd. Foam production pump not causing contamination of contents
KR20150047625A (ko) * 2012-09-03 2015-05-04 미노베이션 비.브이. 거품 분배기
KR102161238B1 (ko) 2012-09-03 2020-10-05 미노베이션 비.브이. 거품 분배기
CN104210745A (zh) * 2014-07-29 2014-12-17 余姚市特力喷雾器有限公司 泡沫泵
KR20160128302A (ko) 2014-10-24 2016-11-07 얀홍 메이 스퀴즈 용기용 거품발생펌프 및 그의 작동방법
KR20160127726A (ko) 2015-03-03 2016-11-04 얀홍 메이 스퀴즈용기용 거품발생펌프 및 그의 작동방법
CN106904364A (zh) * 2015-12-23 2017-06-30 丁要武 按压泵
CN106073593A (zh) * 2016-08-09 2016-11-09 江门市爱威特电器有限公司 一种泡沫式皂液泵
CN111565857A (zh) * 2017-11-09 2020-08-21 里克包装系统有限公司 泵式分配器、尤其是泡沫分配器
CN112779733A (zh) * 2019-11-04 2021-05-11 合肥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
CN115210001A (zh) * 2019-12-31 2022-10-18 里克包装系统有限公司 低温往复泵
KR102303475B1 (ko) * 2020-07-29 2021-09-23 주식회사 아이플 액체 저장 용기용 펌프 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2932B1 (ko) 거품 분출 펌프디스펜서
JP6423806B2 (ja) 多孔性発泡要素を有する泡ディスペンサ
EP2195261B1 (en) Foam production pump not causing contamination of contents
TWI744158B (zh) 泵容器
KR20090082151A (ko) 피스톤 구조가 개선된 포옴 펌프
KR920700779A (ko) 액체 분출기
KR101492934B1 (ko) 벨로우 포밍 펌프
KR100858366B1 (ko) 거품 분출 펌핑장치
KR200408922Y1 (ko) 거품분출 펌프디스펜서
KR200396474Y1 (ko) 거품 분출 펌프디스펜서
JPH0811921A (ja) 泡噴出容器
JPH08133318A (ja) 泡噴出ポンプ
JP2012202207A (ja) 泡ポンプの空気弁構造
JP2016140811A (ja) ノズル部材
JP3836312B2 (ja) 液体噴出ポンプ
KR20200001048A (ko) 펌프 용기
JP3213249B2 (ja) 泡噴出ポンプ容器
JPH07315400A (ja) 泡噴出容器
KR100593781B1 (ko) 펌프디스펜서에 있어서 실액 유입 차단으로 인한 누액방지구조
KR200312903Y1 (ko) 화장품용기의 펌프구조
JP4222806B2 (ja) 発泡ポンプを備えた液体容器
JP6412700B2 (ja) 泡吐出器
JPH09220502A (ja) 樹脂製ポンプにおける逆止弁構造
JPH0647577Y2 (ja) 泡噴出器
JP2010172865A (ja) 液体噴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