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3264B1 - 핀튜브의 핀 분리 수거 장치 - Google Patents

핀튜브의 핀 분리 수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3264B1
KR101563264B1 KR1020150098270A KR20150098270A KR101563264B1 KR 101563264 B1 KR101563264 B1 KR 101563264B1 KR 1020150098270 A KR1020150098270 A KR 1020150098270A KR 20150098270 A KR20150098270 A KR 20150098270A KR 101563264 B1 KR101563264 B1 KR 101563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in
base frame
chuck
gear shaf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8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승용
Original Assignee
조승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승용 filed Critical 조승용
Priority to KR1020150098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32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3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3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1/00Connecting or disconnecting metal parts or objects by metal-working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핀튜브의 핀 분리 수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핀튜브를 투입하면 핀튜브를 자동으로 이송시키면서 이송 및 절단부에서 튜브의 외측에 감아진 핀을 튜브의 길이 방향으로 1차 절단되어 배출되면 척부를 관통시키면서 핀을 튜브에서 분리시켜 튜브는 배출부를 통해 배출하고, 분리된 핀을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배출함으로써 자동으로 핀튜브의 핀과 튜브를 분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핀튜브의 핀 분리 수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핀튜브의 핀 분리 수거 장치{APPARATUS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PIN OF PIN-TUBE}
본 발명은 핀튜브의 핀 분리 수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핀튜브를 투입하면 핀튜브를 자동으로 이송시키면서 이송 및 절단부에서 튜브의 외측에 감아진 핀을 튜브의 길이 방향으로 1차 절단되어 배출되면 척부를 관통시키면서 핀을 튜브에서 분리시켜 튜브는 배출부를 통해 배출하고, 분리된 핀을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배출함으로써 자동으로 핀튜브의 핀과 튜브를 분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핀튜브의 핀 분리 수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증발기 또는 응축기와 같은 열교환기는, 온도가 서로 다른 유체를 직접 또는 간접으로 접촉시켜 열교환시키는 장치이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열교환기는 압축기에서 나온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를 상온의 물이나 외부공기와 열교환시켜 고온고압의 액체냉매로 응축되게하고 증발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기는 난방 또는 냉방을 목적으로 자동차, 냉장고, 건축물, 공기조화기, 석유화학공업, 일반화학공업 및 파워플랜트(Power Plant) 등에 널리 이용된다.
열교환기로는 핀 플레이트형, 와이어 콘덴서형 또는 핀 코어형 열교환기 등이 주로 채용되었다.
핀 플레이트형 열교환기는 구리 소재의 코어에 적층 방식으로 플레이트 핀을 끼움 결합하고 프레스 형태로 동관을 확관 결합하는 방식이며, 튜브 배열간 벤딩(bending)의 위치에는 U자형 관을 이용하여 용접하게 된다. 상기 핀 플레이트형 열교환기는 공정상의 복잡성, 제품의 내구성에 한계가 있고 작업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다단계의 공정을 거쳐 제작되는 바, 생산성이 저하되고, U자형 벤딩 용접부에 의한 냉매의 리크(leak) 한계점도 안고 있다. 냉매의 리크는 냉공조기기의 유지 보수에 있어 치명적이라고 할 수 있다.
와이어 콘덴서형 열교환기는 냉장고의 응축기에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튜브만을 벤딩하여 박스 형태로 만들되 표면에 전착도장을 한다. 그러나 와이어 콘덴서형 열교환기는 제조상의 장점은 있으나 전열면적이 타 열교환기에 비해 작아 방열 성능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고, 전착도장으로 인하여 환경을 오염시키며 재활용이 전혀 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핀 코어형 열교환기는 냉각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열매체가 유동되는 튜브의 외주면에 핀을 설치한 다양한 형상의 핀튜브로 만든 열교환기이다.
이러한 핀튜브는 최근 들어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 나선형 핀튜브(spiral finned tube)가 개발되었다.
도 1은 일반적인 나선형 핀튜브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핀튜브(10)는 강관 또는 알루미늄 합금의 튜브(11) 외주면에 알루미늄 재질의 핀 스트립(fin strip)을 세워 나선형으로 감아 핀(13)을 형성한다. 이때, 핀튜브(10)의 튜브(11)에는 핀(13)을 고정하는 나선형의 홈(12)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열교환기는 그 수명이 다 하는 경우 자원 재활용을 위해 핀튜브를 재활용해야하는 데, 튜브와 핀이 이종 재질로 형성된 관계로 작업자가 고주파 절단기 등을 이용하여 수작업을 통해 일일이 분리해야만 하기 때문에 작업 시간과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핀튜브를 투입하면 핀튜브를 자동으로 이송시키면서 이송 및 절단부에서 튜브의 외측에 감아진 핀을 튜브의 길이 방향으로 1차 절단되어 배출되면 척부를 관통시키면서 핀을 튜브에서 분리시켜 튜브는 배출부를 통해 배출하고, 분리된 핀을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배출함으로써 자동으로 핀튜브의 핀과 튜브를 분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핀튜브의 핀 분리 수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2구동부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 1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핀튜브를 이송시키면서 핀을 절단하는 이송 및 절단부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 2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이송 및 절단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핀튜브의 핀만을 제거하는 척부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 1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척부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핀튜브의 핀을 견인하여 배출하는 배출부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척부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척부로부터 자유 낙하되는 상기 핀을 이송시키는 이송부;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2구동부와 이송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패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이송 및 절단부로 상기 핀튜브를 투입할 수 있도록 상기 핀튜브가 적재되는 핀튜브 적재 프레임; 및 상기 배출부에서 배출된 상기 튜브가 적재되는 튜브 적재 프레임이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제 1구동부는 유압 모터로서 유압 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제 2구동부는 전동 모터이다.
여기에서 또, 상기 이송 및 절단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고, 전후면에 제 1상하부 고정 브라켓이 구비되는 제 1케이스와; 상기 제 1케이스의 제 1상하부 고정 브라켓에 각각 고정 설치되되, 상하로 한쌍이 서로 치합되고, 상기 제 1구동부와 제 1구동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정역회전되는 제 1~4기어축과; 상기 제 1, 2기어축의 전단에 고정되어 상기 제 1케이스 전면 일측에 상하로 설치되는 인입 롤러; 및 상기 제 3, 4기어축의 전단에 고정되어 상기 제 1케이스 전면 타측에 상하로 설치되는 회전 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이송 및 절단부의 제 1케이스는 상기 제 2, 4기어축이 고정된 상기 제 1상부 고정 브라켓을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인입 롤러와 회전 커터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상단에 각각 제 1~4볼 스크류가 수직으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 1, 2볼 스크류에 제 1핸들이 설치되며, 서로 대응된 상기 제 1, 2볼 스크류와 제 3, 4볼 스크류가 제 1연결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 1핸들의 회전에 따라 동시 회전되어 상기 제 1상부 고정 브라켓을 상하로 이송시킨다.
여기에서 또, 상기 척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베어링 브라켓과; 상기 베어링 브라켓에 설치되되, 상기 핀튜브의 튜브가 관통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구동부와 구동 벨트에 의해 회전되는 관통 회전축과; 원판 형태로 형성되되, 중앙부에 상기 인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 회전축의 전단에 형성되고, 상기 인입홀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조가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핀튜브의 핀을 제거하는 척; 및 저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척을 내부에 수납하여 상기 척에 의해 제거된 핀을 수집하여 낙하시키는 수집통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또, 상기 배출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고, 전후면에 제 2상하부 고정 브라켓이 구비되는 제 2케이스와; 상기 제 2케이스의 제 2상하부 고정 브라켓에 각각 고정 설치되되, 상하로 한쌍이 서로 치합되고, 상기 제 2케이스의 제 2상하부 고정 브라켓에 각각 고정 설치되되, 상하로 한쌍이 서로 치합되고, 상기 이송 및 절단부와 제 2구동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정역회전되는 제 5~8기어축과; 상기 제 5, 6기어축의 전단에 고정되어 상기 제 2케이스 전면 일측에 상하로 설치되는 제 1견인 롤러; 및 상기 제 7, 8기어축의 전단에 고정되어 상기 제 2케이스 전면 타측에 상하로 설치되는 제 2견인 롤러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또, 상기 배출부의 제 2케이스는 상기 제 6, 8기어축이 고정된 상기 제 2상부 고정 브라켓을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제 1, 2견인 롤러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상단에 각각 제 5~8볼 스크류가 수직으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 5, 6볼 스크류에 제 2핸들이 설치되며, 서로 대응된 상기 제 5, 6볼 스크류와 제 7, 8볼 스크류가 제 2연결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 2핸들의 회전에 따라 동시 회전되어 상기 제 2상부 고정 브라켓을 상하로 이송시킨다.
여기에서 또, 상기 제 1, 2견인 롤러는 회전 방향과 수직으로 등간격을 가지며 견인홈이 형성되어 상기 핀튜브의 튜브에 형성된 돌기가 삽입되어 견인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이송부는 컨베이어 벨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핀튜브의 핀 분리 수거 장치에 따르면, 핀튜브를 투입하면 핀튜브를 자동으로 이송시키면서 이송 및 절단부에서 튜브의 외측에 감아진 핀을 튜브의 길이 방향으로 1차 절단되어 배출되면 척부를 관통시키면서 핀을 튜브에서 분리시켜 튜브는 배출부를 통해 배출하고, 분리된 핀을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배출함으로써 자동으로 핀튜브의 핀과 튜브를 분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고, 작업 비용과 작업 시간을 절감하며, 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걸림 등에 의한 이상 발생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송 및 절단부, 척부 및 배출부를 역회전시켜 핀튜브를 역방향으로 이송하고, 다시 정방향으로 이송함으로써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핀튜브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핀튜브의 핀 분리 수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핀튜브의 핀 분리 수거 장치중 이송 및 절단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핀튜브의 핀 분리 수거 장치중 척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핀튜브의 핀 분리 수거 장치중 배출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핀튜브의 핀 분리 수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핀튜브의 핀 분리 수거 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핀튜브의 핀 분리 수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핀튜브의 핀 분리 수거 장치중 이송 및 절단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핀튜브의 핀 분리 수거 장치중 척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핀튜브의 핀 분리 수거 장치중 배출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핀튜브의 핀 분리 수거 장치(100)는 베이스 프레임(110)과, 제 1구동부(120)와, 제 2구동부(130)와, 이송 및 절단부(140)와, 척부(150)와, 배출부(160)와, 이송부(170) 및 제어 패널부(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베이스 프레임(110)은 각 구성부가 설치되도록 테이블 형태로 설치되고, 일측면에 이송 및 절단부(140)로 핀튜브(도 1참조, 10)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핀튜브(10)가 적재되는 핀튜브 적재 프레임(111)이 구비되고, 타측면에 배출부(160)에서 배출된 튜브(11)가 적재되는 튜브 적재 프레임(113)이 구비된다. 여기에서, 베이스 프레임(110)은 척부(150)가 설치되는 위치에 핀튜브(10)의 튜브(11)가 배출되는 배출홀(115)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1구동부(120)는 베이스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유압 모터이다. 이때, 베이스 프레임(110)의 인근에는 유압 모터와 연결되는 유압 펌프(121)가 설치된 테이블(123)이 구비된다. 또한, 제 1구동부(120)는 감속기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제 2구동부(130)는 베이스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전기 모터이다. 이때, 제 2구동부(130)는 감속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송 및 절단부(140)는 제 1케이스(141)와, 제 1~4기어축(X1~X4)과, 인입 롤러(R1)와, 회전 커터(R2)로 이루어진다.
제 1케이스(14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베이스 프레임(110)에 설치되고, 전후면에 제 1상하부 고정 브라켓(142, 143)이 볼트 결합되되, 볼트에서 상하로 이동되도록 유격을 갖는다. 이때, 제 1케이스(141)는 제 2, 4기어축(X2, X4)이 고정된 제 1상부 고정 브라켓(142)을 상하로 이동시켜 인입 롤러(R1)와 회전 커터(R2)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상단에 각각 제 1~4볼 스크류(BS1~BS4)가 수직으로 연결 설치되고, 제 1, 2볼 스크류(BS1, BS2)에 제 1핸들(H1)이 설치되며, 서로 대응된 제 1, 2볼 스크류(BS1, BS2)와 제 3, 4볼 스크류(BS3, BS4)가 제 1연결 체인(CH1)에 의해 연결되어 제 1핸들(H1)의 회전에 따라 동시 회전되어 제 1상부 고정 브라켓(142)을 상하로 이송시킨다.
제 1~4기어축(X1~X4)은 제 1케이스(141)의 제 1상하부 고정 브라켓(142, 143)에 각각 고정 설치되되, 상하로 한쌍이 기어(G)에 의해 서로 치합되고, 제 1구동부(120)와 제 1구동 체인(CH2)에 의해 연결되어 정역회전된다. 이때, 제 1기어축(X1)은 제 1구동부(120)와 제 1구동 체인(CH2)에 의해 연결되고, 제 3기어축(X3)은 제 1기어축(X1)과 제 1보조 구동 체인(CH3)에 의해 연결되어 동시 회전된다.
인입 롤러(R1)는 제 1, 2기어축(X1, X2)의 전단에 고정되어 제 1케이스(141) 전면 일측에 상하로 설치된다. 이때, 인입 롤러(R1)중 상부에 위치한 것이 상하로 이동되어 간격을 조정한다.
회전 커터(R2)는 제 3, 4기어축(X3, X4)의 전단에 고정되어 제 1케이스(141) 전면 타측에 상하로 설치된다. 이때, 회전 커터(R2)중 상부에 위치한 것이 상하로 이동되어 간격을 조정한다. 또, 회전 커터(R2)는 튜브(11)의 외측에 감아진 핀(13)을 튜브(11)의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도록 양측 테두리에 절단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척부(150)는 베어링 브라켓(151)과, 관통 회전축(153)과, 척(155) 및 수집통(157)으로 이루어진다.
베어링 브라켓(151)은 베이스 프레임(110)의 배출홀(115) 측면에 설치된다.
관통 회전축(153)은 베어링 브라켓(151)에 설치되되, 핀튜브(10)의 튜브(11)가 관통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제 2구동부(130)와 구동 벨트(BT1)로 연결되어 제 2구동부(130)의 회전에 의해 정역회전된다. 이때, 구동 벨트(BT1)를 대신하여 체인을 적용할 수도 있다.
척(155)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되, 중앙부에 인입홀(H)이 형성되어 관통 회전축(153)의 전단에 형성되고, 인입홀(H)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조(156)가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어 핀튜브(10)의 핀(13)을 제거한다.
수집통(157)은 저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베이스 프레임(110)의 배출홀(115)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척(155)을 내부에 수납하여 척(155)에 의해 제거된 핀(13)을 수집하여 낙하시킨다.
한편, 배출부(160)는 제 2케이스(161)와, 제 5~8기어축(X5~X8)과, 제 1견인 롤러(R3)와, 제 2견인 롤러(R4)로 이루어진다.
제 2케이스(16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베이스 프레임(110)에 설치되고, 전후면에 제 2상하부 고정 브라켓(162, 163)이 볼트 결합되되, 볼트에서 상하로 이동되도록 유격을 갖는다. 이때, 제 2케이스(161)는 제 6, 8기어축(X6, X8)이 고정된 제 2상부 고정 브라켓(162)을 상하로 이동시켜 제 1견인 롤러와 제 2견인 롤러(R4)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상단에 각각 제 5~8볼 스크류(BS5~BS8)가 수직으로 연결 설치되고, 제 5, 6볼 스크류(BS5, BS6)에 제 2핸들(H2)이 설치되며, 서로 대응된 제 5, 6볼 스크류(BS5, BS6)와 제 7, 8볼 스크류(BS7, BS8)가 제 2연결 체인(CH4)에 의해 연결되어 제 2핸들(H2)의 회전에 따라 동시 회전되어 제 2상부 고정 브라켓(162)을 상하로 이송시킨다.
제 5~8기어축(X5~X8)은 제 2케이스(161)의 제 2상하부 고정 브라켓(162, 163)에 각각 고정 설치되되, 상하로 한쌍이 기어(G)에 의해 서로 치합되고, 이송 및 절단부(140)의 제 1기어축(X1)과 제 2구동 체인(CH5)에 의해 연결되어 정역회전된다. 이때, 제 5기어축(X5)은 제 2구동부(130)의 회전에 따라 정역회전되도록 이송 및 절단부(140)의 제 1기어축(X1)과 제 2구동 체인(CH5)에 의해 연결되어 연동되고, 제 7기어축(X7)은 제 5기어축(X5)과 제 2보조 구동 체인(CH6)에 의해 연결되어 동시 회전된다.
제 1견인 롤러(R3)는 제 5, 6기어축(X5, X6)의 전단에 고정되어 제 2케이스(161) 전면 일측에 상하로 설치된다. 이때, 제 1견인 롤러(R3)중 상부에 위치한 것이 상하로 이동되어 간격을 조정한다.
제 2견인 롤러(R4)는 제 7, 8기어축(X7, X8)의 전단에 고정되어 제 2케이스(161) 전면 타측에 상하로 설치된다. 이때, 제 2견인 롤러(R4)중 상부에 위치한 것이 상하로 이동되어 간격을 조정한다.
이때, 제 1, 2견인 롤러(R3, R4)는 회전 방향과 수직으로 등간격을 가지며 견인홈(164)이 형성되어 핀튜브(10)의 홈(12)에 의해 형성된 돌기가 삽입되어 견인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송부(170)는 컨베이어 벨트로서 베이스 프레임(110)의 배출홀(115) 하단에 설치되어 척부(150)로부터 자유 낙하되는 핀(13)을 이송시킨다.
또한, 제어 패널부(180)는 함체 내부에 제어 및 전원 관련 부품이 구비되어 베이스 프레임(110)에 설치되고, 제 1, 2구동부(120, 130)와 이송부(17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핀튜브의 핀 분리 수거 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핀튜브의 핀 분리 수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제어 패널부(180)를 제어하여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제 1, 2구동부(120, 130)와 이송부(170)를 동작시킨다. 이때, 제 1, 2구동부(120, 130)는 정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핀튜브 적재 프레임(111)에 적재된 핀튜브(10)를 이송 및 절단부(140)의 인입 롤러(R1) 사이로 투입시키면 인입 롤러(R1)가 제 1구동부(120)에 의해 회전되기 때문에 핀튜브(10)를 동일 선상에 위치한 회전 커터(R2) 사이로 이송시킨다.
그러면, 제 1구동부(120)에 회전되는 회전 커터(R2) 사이를 핀튜브(10)가 지나면서 핀(13)의 일부가 튜브(11)의 길이 방향으로 절단되어 배출된다.
계속해서, 핀튜브(10)는 회전 커터(R2)에 의해 척부(150)의 척(155)에 형성된 인입홀(H)로 인입되면서 조(156)에 의해 핀튜브(10)의 핀(13)이 제거된다.
이어서, 핀(13)이 제거된 튜브(11)는 관통 회전축(153)을 관통하여 배출부(160)로 배출되어 제 1견인 롤러(R3) 사이로 인입되고, 튜브(11)의 홈(12)에 의해 형성된 돌기가 제 1견인 롤러(R3)에 형성된 견인홈(164)에 삽입되면서 견인되어 제 2견인 롤러(R4) 사이로 인입되고, 다시 제 2견인 롤러(R4)에 의해 견인되어 베이스 프레임(110)의 튜브 적재 프레임(113)에 적재된다.
또한, 조(156)에 의해 튜브(11)에서 분리된 핀(13)은 수집통(157)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110)의 배출홀(115)로 자유 낙하된 후 이송부(170)를 따라 이송되어 모아진다.
한편, 핀튜브(10)가 걸리거나 핀(13)에 의해 척(155)이 걸려 미회전되는 경우 사용자는 제어 패널부(180)를 조작하여 제 1, 2구동부(120, 130)를 역회전시켜 핀튜브(10), 튜브(11), 핀(13) 등의 걸림을 제거한 후 다시 제 1, 2구동부(120, 13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이송 및 절단부(140)의 인입 롤러(R1) 간의 간격, 회전 커터(R2) 간의 간격, 배출부(160)의 제 1견인 롤러(R3) 간의 간격 및 제 2견인 롤러(R4)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음으로서 서로 지름이 다른 핀튜브(10)의 튜브(11)와 핀(13)을 모두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핀튜브 11 : 튜브
13 : 핀 110 : 베이스 프레임
12, 130 : 제 1, 2구동부 140 : 이송 및 절단부
150 : 척부 160 : 배출부
170 : 이송부 180 : 제어 패널부

Claims (10)

  1.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2구동부와;
    상기 제 1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핀튜브를 이송시키면서 핀을 절단하도록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고, 전후면에 제 1상하부 고정 브라켓이 구비되는 제 1케이스와, 상기 제 1케이스의 제 1상하부 고정 브라켓에 각각 고정 설치되되, 상하로 한쌍이 서로 치합되고, 상기 제 1구동부와 제 1구동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정역회전되는 제 1~4기어축과, 상기 제 1, 2기어축의 전단에 고정되어 상기 제 1케이스 전면 일측에 상하로 설치되는 인입 롤러 및 상기 제 3, 4기어축의 전단에 고정되어 상기 제 1케이스 전면 타측에 상하로 설치되되, 양측 테두리에 절단날이 형성되어 있어 튜브의 외측에 감아진 핀을 튜브의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는 회전 커터로 이루어지는 이송 및 절단부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 2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이송 및 절단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핀튜브의 핀만을 제거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베어링 브라켓과, 상기 베어링 브라켓에 설치되되, 상기 핀튜브의 튜브가 관통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구동부와 구동 벨트에 의해 회전되는 관통 회전축과, 원판 형태로 형성되되, 중앙부에 인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 회전축의 전단에 형성되고, 상기 인입홀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조가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핀튜브의 핀을 제거하는 척 및 저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척을 내부에 수납하여 상기 척에 의해 제거된 핀을 수집하여 낙하시키는 수집통으로 이루어지는 척부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 1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척부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핀튜브의 핀을 견인하여 배출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고, 전후면에 제 2상하부 고정 브라켓이 구비되는 제 2케이스와, 상기 제 2케이스의 제 2상하부 고정 브라켓에 각각 고정 설치되되, 상하로 한쌍이 서로 치합되고, 상기 이송 및 절단부와 제 2구동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정역회전되는 제 5~8기어축과, 상기 제 5, 6기어축의 전단에 고정되어 상기 제 2케이스 전면 일측에 상하로 설치되는 제 1견인 롤러 및 상기 제 7, 8기어축의 전단에 고정되어 상기 제 2케이스 전면 타측에 상하로 설치되는 제 2견인 롤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2견인 롤러에 회전 방향과 수직으로 등간격을 가지며 견인홈이 형성되어 상기 핀튜브의 튜브에 형성된 돌기가 삽입되어 견인되도록 하는 배출부와;
    컨베이어 벨트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척부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척부로부터 자유 낙하되는 상기 핀을 이송시키는 이송부;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2구동부와 이송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패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튜브의 핀 분리 수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이송 및 절단부로 상기 핀튜브를 투입할 수 있도록 상기 핀튜브가 적재되는 핀튜브 적재 프레임; 및
    상기 배출부에서 배출된 상기 튜브가 적재되는 튜브 적재 프레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튜브의 핀 분리 수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구동부는,
    유압 모터로서 유압 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제 2구동부는,
    전동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튜브의 핀 분리 수거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및 절단부의 제 1케이스는,
    상기 제 2, 4기어축이 고정된 상기 제 1상부 고정 브라켓을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인입 롤러와 회전 커터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상단에 각각 제 1~4볼 스크류가 수직으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 1, 2볼 스크류에 제 1핸들이 설치되며, 서로 대응된 상기 제 1, 2볼 스크류와 제 3, 4볼 스크류가 제 1연결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 1핸들의 회전에 따라 동시 회전되어 상기 제 1상부 고정 브라켓을 상하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튜브의 핀 분리 수거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의 제 2케이스는,
    상기 제 6, 8기어축이 고정된 상기 제 2상부 고정 브라켓을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제 1, 2견인 롤러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상단에 각각 제 5~8볼 스크류가 수직으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 5, 6볼 스크류에 제 2핸들이 설치되며, 서로 대응된 상기 제 5, 6볼 스크류와 제 7, 8볼 스크류가 제 2연결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 2핸들의 회전에 따라 동시 회전되어 상기 제 2상부 고정 브라켓을 상하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튜브의 핀 분리 수거 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150098270A 2015-07-10 2015-07-10 핀튜브의 핀 분리 수거 장치 KR101563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270A KR101563264B1 (ko) 2015-07-10 2015-07-10 핀튜브의 핀 분리 수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270A KR101563264B1 (ko) 2015-07-10 2015-07-10 핀튜브의 핀 분리 수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3264B1 true KR101563264B1 (ko) 2015-10-26

Family

ID=54428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8270A KR101563264B1 (ko) 2015-07-10 2015-07-10 핀튜브의 핀 분리 수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32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45513A (zh) * 2020-12-30 2021-05-28 淄博昱鑫商贸有限公司 一次性输液器批量毁形甩干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3615A (ja) 2006-07-18 2008-02-07 Hikari Systems Corp 熱交換器の解体方法及び解体装置
KR101014649B1 (ko) * 2010-05-17 2011-02-16 (주)모성 열교환기용 코어의 파쇄 및 분리장치
KR101185441B1 (ko) * 2012-02-29 2012-10-02 윤기봉 폐라디에이터 분리수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3615A (ja) 2006-07-18 2008-02-07 Hikari Systems Corp 熱交換器の解体方法及び解体装置
KR101014649B1 (ko) * 2010-05-17 2011-02-16 (주)모성 열교환기용 코어의 파쇄 및 분리장치
KR101185441B1 (ko) * 2012-02-29 2012-10-02 윤기봉 폐라디에이터 분리수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45513A (zh) * 2020-12-30 2021-05-28 淄博昱鑫商贸有限公司 一次性输液器批量毁形甩干机
CN112845513B (zh) * 2020-12-30 2022-07-29 姜润铎 一次性输液器批量毁形甩干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6827B1 (ko) 열교환기 제조장치 및 열교환기 제조방법
CN116475282B (zh) 自动盘管机及其操作方法
KR101563264B1 (ko) 핀튜브의 핀 분리 수거 장치
KR100860092B1 (ko)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의 자동 절단 및 삽입장치
KR100830724B1 (ko) 나선형 핀튜브의 제조장치
KR100612624B1 (ko) 핀튜브 제조장치
CN106322729B (zh) 一种空调、翅片管换热器及其组装方法
CN112547945A (zh) 一种特种空调铜管加工处理方法
CN102350467B (zh) 蒸发器散热片自动上料排片装置
CN115430767B (zh) 除湿机冷凝器集流管固定冲压设备
CN109622675B (zh) 一种冷凝器散热片折弯机系统
CN102319832B (zh) 蒸发器散热片自动上料排片装置的工作方法
KR101471127B1 (ko) 핀튜브용 방열핀 제조장치
CN102847846A (zh) 椭圆孔或近似椭圆孔冲压装置
CN104057280B (zh) 换热器芯体集成机组的翅片悬臂输送装置
CN116213607A (zh) 一种矩形弹簧绕制设备
CN115922264A (zh) 一种空调用散热片盘管组装装置
CN116809781A (zh) 一种汽车零部件冲压件的冲压设备及冲压方法
CN220311899U (zh) 一种冷轧钢带分条机构
CN202304512U (zh) 一种高温物料余热回收装置的冷却结构
KR101120560B1 (ko) 스파이럴핀을 지닌 다중냉각관의 제조방법
CN220073664U (zh) 空调螺纹铝管高频焊接装置
CN104493885A (zh) 一种用于承接冲压后散热翅片的工作台
CN219025441U (zh) 一种挤出铝型材散热装置
CN201105299Y (zh) 一种新型简易整体螺旋翅片管滚压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