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2725B1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2725B1
KR101562725B1 KR1020137031037A KR20137031037A KR101562725B1 KR 101562725 B1 KR101562725 B1 KR 101562725B1 KR 1020137031037 A KR1020137031037 A KR 1020137031037A KR 20137031037 A KR20137031037 A KR 20137031037A KR 101562725 B1 KR101562725 B1 KR 101562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evacuation
elevator car
car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1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8344A (ko
Inventor
아쉬큐어 라만
데이비드 빌렘 로데비크 오페하우스
유지 후지하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18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8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2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2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7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o permit passengers to leave an elevator car in case of failure, e.g. moving the car to a reference floor or unlocking the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장인 지정층 승강장에, 피난시 엘리베이터 칸 호출 입력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피난시 엘리베이터 칸 호출 입력 수단에는 미리 지정된 엘리베이터 계원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칸을 지정층 승강장으로 호출하기 위한 지정층 이동 지령 신호가 입력된다. 엘리베이터 칸 내에는 피난 운전 입력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피난 운전 입력 수단에는 엘리베이터 계원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칸을 피난 운전시키기 위한 피난 운전 지령 신호가 입력된다. 긴급 피난시에, 피난 운전 입력 수단으로부터 피난 운전 지령 신호가 입력되면, 엘리베이터 컨트롤러는 엘리베이터 계원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조작 패널의 조작에 의하여 제어되어 엘리베이터 칸을 피난 운전시킨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SYSTEM}
이 발명은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화재 등의 긴급 피난시에 피난 운전을 실시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화재가 감지되면, 미리 지정된 층으로 엘리베이터 칸이 이동되고, 운전이 휴지된다. 이후, 소방관이 건물에 도착하면, 소방관은 화재의 상황을 확인한 다음 엘리베이터 칸에 탑승하고, 전용 구출 운전 엘리베이터 칸 내 스위치를 조작하여 엘리베이터 칸을 피난 운전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개 2005-112601호 공보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소방관이 건물에 도착하고 나서 소방관이 엘리베이터 칸에 탑승하여 피난 운전을 실시하므로, 피난 운전의 완료까지 시간이 걸린다.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긴급 피난시에 건물 내의 사람을 보다 효율적으로 피난시키는 것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컨트롤러, 및 엘리베이터 칸 내에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칸 조작 패널을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승강장인 지정층 승강장에는 미리 지정된 엘리베이터 계원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칸을 지정층 승강장으로 호출하기 위한 지정층 이동 지령 신호가 입력되는 피난시 엘리베이터 칸 호출 입력 수단이 마련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칸 내에는 엘리베이터 계원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칸을 피난 운전시키기 위한 피난 운전 지령 신호가 입력되는 피난 운전 입력 수단이 마련되어 있으며, 긴급 피난시에 피난 운전 입력 수단으로부터 피난 운전 지령 신호가 입력되면, 엘리베이터 컨트롤러는 엘리베이터 계원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조작 패널의 조작에 의하여 제어되어 엘리베이터 칸을 피난 운전시킨다.
이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긴급 피난시에 건물 내의 엘리베이터 계원에 의하여 지정층으로 엘리베이터 칸을 이동시킬 수 있는 것과 아울러, 엘리베이터 계원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컨트롤러를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칸을 피난 운전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피난 운전을 보다 조기에 개시시킴과 아울러, 피난 운전을 인적으로 제어하여 건물 내의 사람을 보다 효율적으로 피난시킬 수 있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지정층 승강장의 승강장 조작 패널을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칸 조작 패널을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이용한 긴급 사태시의 피난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5는 도 4의 후단의 피난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6은 도 5의 후단의 피난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7은 도 6의 도중에서 실시되는 피난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하, 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이 실시형태에서는 건물 화재와 같은 긴급 사태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건물의 피난 방법과, 엘리베이터 장치를 이용한 피난에 필요한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이 피난 방법은 미리 지정된 엘리베이터 계원(LA:Lift Attendant)에 의하여 제어된다. 건물 전체 또는 건물의 일부로부터의 피난이 필요한 화재 긴급 사태시에 엘리베이터 계원은 엘리베이터 칸 내에서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어하여 피난 운전을 실행한다.
통상, 건물에는 1인 또는 복수인의 엘리베이터 계원(LA)이 있다. 엘리베이터 계원은 건물 내에 근무 또는 거주하고 있는 인물이며(건물의 유형에 따라서 바뀐다), 긴급 사태에 관하여 어느 정도의 훈련을 받고 있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의 상부에는 권상기(1)가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1)는 구동 시브(2)와, 구동 시브(2)를 회전시키는 권상기 모터와, 구동 시브(2)의 회전을 제동하는 권상기 브레이크를 가지고 있다.
구동 시브(2)에는 현가 수단(3)이 감겨서 걸려 있다. 현가 수단(3)으로서는 복수개의 로프 또는 복수개의 벨트가 이용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4) 및 균형추(5)는 현가 수단(3)에 의하여 매달려 있으며, 권상기(1)에 의해 승강로 내를 승강한다.
권상기(1)의 운전은 엘리베이터 컨트롤러(6)에 의하여 제어된다. 즉, 엘리베이터 칸(4)의 운행은 엘리베이터 컨트롤러(6)에 의하여 제어된다. 엘리베이터 컨트롤러(6)에는 메모리(7)를 포함한 마이크로 컴퓨터가 이용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4)에는 엘리베이터 칸 조작 패널(COP)(9)과 엘리베이터 칸(4) 내의 이용률을 조사하는 이용률 검출 수단(10)이 마련되어 있다. 이용률 검출 수단(10)으로서는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칸(4) 내의 이용 상황을 광학적으로 검출하는 광 센서, 또는 엘리베이터 칸(4) 내의 이용 상황을 중량에 의하여 검출하는 저울 장치 등이 이용된다.
각 층의 승강장에는 승강장 도어 장치(11) 및 승강장 조작 패널(12)이 마련되어 있다. 건물에는 피난층과 하나 또는 복수의 지정층(DF:Designated Floor)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승강장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층 승강장과, 피난층 승강장과, 지정층 승강장 및 피난층 승강장을 제외한 승강장인 타층 승강장이 포함되어 있다. 도 1에서는 간략화를 위하여, 이것들을 하나씩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도 1의 지정층 승강장의 승강장 조작 패널(12)를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승강장 조작 패널(12)에는 상하 한 쌍의 승강장 버튼(13)과, 복수(여기서는 3개)의 신체 장애자 버튼(14)과, 승강장 마이크로폰 장착 스피커(15)와, 승강장 인터폰 조작 버튼(16)과, 승강장 감시 장치(모니터)(17)와, 승강장 카메라(18)와, 표시 장치(19)와, 피난시 엘리베이터 칸 호출 입력 수단으로서의 승강장 LA 제어 키 스위치(20)가 마련되어 있다.
승강장 버튼(13)은 호출을 등록하기 위하여 조작된다. 신체 장애자 버튼(14)은 신체 장애자에 의한 추가 정보를 등록하기 위하여 조작된다. 즉, 신체 장애자 버튼(14) 중 어느 것을 선택하여 조작함으로써, 장애에 관한 추가 정보가 등록된다. 이 예에서는 휠체어 이용자, 청각 장애자, 또는 시각 장애자 중 어느 것에 의한 호출인 것이 추가 정보로서 등록된다.
승강장 마이크로폰 장착 스피커(15) 및 승강장 인터폰 조작 버튼(16)을 이용함으로써 승강장에 있는 승객과 엘리베이터 칸(4) 내에 있는 엘리베이터 계원 사이에서의 통신이 확립된다.
승강장 LA 제어 키 스위치(20)는, 엘리베이터 칸(4)을 지정층 승강장으로 호출하기 위한 지정층 이동 지령 신호를 엘리베이터 계원만이 입력 가능하게 되어있다.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전 모드가 피난 모드로 전환되는 긴급 사태시에, 엘리베이터 계원은 지정층 승강장에 와서, 승강장 LA 제어 키 스위치(20)를 이용하여 지정층 승강장으로 엘리베이터 칸(4)을 이동시킨다.
승강장 LA 제어 키 스위치(20)는 지정층 승강장의 승강장 조작 패널(12)에만 마련되어 있다. 피난층 승강장 및 타층 승강장의 승강장 조작 패널(12)의 구성은, 지정층 승강장의 승강장 조작 패널(12)에서 승강장 LA 제어 키 스위치(20)를 제거한 구성과 동일하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긴급 사태시에 신체 장애자를 우선하여 엘리베이터 장치로 피난시키는 피난 운전이 실시된다. 이 때문에, 운전 모드가 피난 모드로 전환되면, 표시 장치(19)에는 이 엘리베이터 장치가 신체 장애자 전용으로 되었다는 취지의 고지문이 표시된다.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칸 조작 패널(9)을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엘리베이터 칸 조작 패널(9)에는 복수의 행선층 버튼(21)과, 엘리베이터 칸 마이크로폰 장착 스피커(22)와, 엘리베이터 칸 인터폰 조작 버튼(23)과, 인터폰 선택 버튼(24)과, 엘리베이터 칸 감시 장치(모니터)(25)와, 엘리베이터 칸 카메라(26)와, 신체 장애자 호출 인디케이터(indicator)(27)와, 피난 운전 입력 수단으로서의 엘리베이터 칸 LA 제어 키 스위치(28)와, 피난층 버튼(피난층 스위치)(29)이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LA 제어 키 스위치(28)는, 엘리베이터 계원만이 피난 운전 지령 신호를 입력 가능하게 되어있다.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전 모드가 피난 모드로 전환되는 긴급 사태시에, 엘리베이터 계원은 엘리베이터 칸(4)에 탑승하고, 엘리베이터 칸 LA 제어 키 스위치(28)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한 피난 운전을 제어한다.
엘리베이터 칸 마이크로폰 장착 스피커(22) 및 엘리베이터 칸 인터폰 조작 버튼(23)을 이용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4) 내에 있는 엘리베이터 계원과 승강장에 있는 승객 사이에서의 통신이 확립된다. 또한, 인터폰 선택 버튼(24)을 조작함으로써 엘리베이터 계원이 통신하고자 하는 층을 선택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칸 감시 장치(25)에는 승강장 카메라(18)에 의하여 촬영된 승강장의 영상이 표시된다. 승강장 감시 장치(17)에는 엘리베이터 칸 카메라(26)에 의하여 촬영된 엘리베이터 칸(4) 내의 영상이 표시된다.
신체 장애자 호출 인디케이터(27)는 신체 장애자에 의한 호출의 추가 정보(신체 장애 유형)를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LED(신체 장애자 사인)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LED는 층 번호 및 추가 정보에 대응하여 매트릭스 형상으로 정렬되어 있다. 승강장에 있어서 신체 장애자 버튼(14)이 조작되면, 조작된 신체 장애자 버튼(14)에 대응하는 LED가 점등 또는 점멸된다.
도 4~7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이용한 긴급 사태시의 피난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4~7의 피난 순서는 2개의 부분을 가지고 있다. 즉, 도 4~6에 나타낸 부분은 엘리베이터 컨트롤러(6)의 피난 운전 알고리즘에 의한 자동 제어 부분이다. 또, 도 7에 나타낸 부분은 엘리베이터 계원이 엘리베이터 칸(4)에 탑승한 이후에 특별한 제어 수단으로 제어하는 수동 제어 부분이다.
먼저, 도 4에 있어서, 건물 내에 마련된 화재 감지기 또는 연기 감지기에 의하여 화재가 감지되면, 감지기에서 엘리베이터 컨트롤러(6)로 즉시 신호가 입력된다(스텝 S1). 건물 내의 화재의 존재에 관한 정보를 얻으면,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전 모드가 자동적으로 피난 모드로 전환된다(스텝 S2). 대체적으로, 건물이 24시간 감시 시스템을 가지는 경우, 피난 모드로의 전환은 건물 관리원이 수동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운전 모드가 피난 모드로 전환되면, 긴급 사태에 관한 음성 어나운스가 승강장 마이크로폰 장착 스피커(15)를 통하여 승강장에 있는 대기 승객에게 제공된다(스텝 S3). 또, 지정층 승강장에서는 ‘지정층’사인이 점등된다(스텝 S4). 이것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계원은 엘리베이터 칸(4)을 호출하여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지정층을 파악할 수 있다.
게다가, 운전 모드가 피난 모드로 전환되면, 모든 엘리베이터 칸 호출 및 승강장 호출이 소거되고(스텝 S5), 긴급 사태에 관한 음성 어나운스가 엘리베이터 칸 마이크로폰 장착 스피커(22)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칸(4) 내의 승객에게 제공된다(스텝 S6). 게다가, 또한, 엘리베이터 칸 조작 패널(COP)(9)의 모든 행선층 버튼(21)이 무효화되고(스텝 S7), 승강장으로부터의 모든 엘리베이터 칸 호출도 무시된다(스텝 S8).
그러나, 신규 호출 및 승강장으로부터의 승객의 신체 장애 유형에 관한 입력과 같은 추가 정보는 등록되어 메모리(7)에 보존된다(스텝 S9). 승강장에 있어서 신체 장애자 버튼(14)이 조작된 경우, 엘리베이터 칸(4) 내의 신체 장애자 호출 인디케이터(27)의 대응하는 부분이 점등 또는 점멸을 개시한다.
또한, 신체 장애자 버튼(14)을 조작한 대기 승객에게는 호출에 관한 피드백이 제공된다(스텝 S10). 피드백으로서는 음성(예를 들면 클릭 음)의 발생, LED의 점등,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계원은 화재 경보를 들으면, 지정층 승강장에 와서, 승강장 LA 제어 키 스위치(20)에 키를 삽입하고, 엘리베이터 칸(4)을 지정층 승강장으로 호출하기 위한 지정층 이동 지령 신호를 입력한다.
또한, 피난시 엘리베이터 칸 호출 입력 수단은 승강장 LA 제어 키 스위치(20)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ID 카드의 정보를 판독하는 카드 리더, 코드를 판독하는 코드 리더, 또는 다른 식별 수단이어도 좋다.
지정층 이동 지령 신호가 입력되면, 엘리베이터 컨트롤러(6)는 이용률 검출 수단(10)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칸(4) 내의 승객의 유무를 조사한다(스텝 S11).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4) 내에 적어도 1인의 승객이 있는 경우, 엘리베이터 칸(4)은 다른 어느 층에도 정지되지 않고, 미리 지정된 피난층(예를 들어 건물의 현관층)으로 이동된다(스텝 S12).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4)이 피난층의 상방에서 위쪽으로 이동하고 있었을 경우, 엘리베이터 칸(4)은 일단 감속되고, 도어를 닫은 채로 정지된 후, 이번에는 아래쪽으로의 주행이 개시되어 피난층까지 이동된다.
엘리베이터 칸(4)이 피난층에 도착하면, 엘리베이터 칸(4)에서 나오도록 승객에게 음성 어나운스가 제공된다(스텝 S13). 이와 같은 음성 지시는 엘리베이터 칸 마이크로폰 장착 스피커(22)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칸(4) 내의 승객에게 제공된다.
이후,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 및 승강장 도어 장치(11)가 개방되고(스텝 S14), 엘리베이터 칸(4) 내가 무인(無人)이 될 때까지 피난층에서 대기한다(스텝 S15, S16).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4) 내가 무인이 되면, 엘리베이터 칸(4)이 지정층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2 이상의 지정층이 설정되어 있는 건물에서는 이들 가운데 하나가 제1 지정층(DF1)으로서 미리 설정되어 있고, 다른 지정층은 제2 지정층(DF2)으로 한다.
엘리베이터 컨트롤러(6)는 엘리베이터 칸(4) 내가 무인이고, 어느 지정층으로부터의 호출도 없는 경우, 엘리베이터 칸(4)을 제1 지정층으로 자동적으로 이동시킨다(스텝 S18). 또, 엘리베이터 컨트롤러(6)는 엘리베이터 칸(4) 내가 무인이고, 제2 지정층(DF2)으로부터의 호출이 있는 경우, 엘리베이터 칸(4)을 제2 지정층으로 이동시킨다(스텝 S19). 게다가 엘리베이터 컨트롤러(6)는 운전 모드가 피난 모드로 전환된 시점에, 엘리베이터 칸(4) 내가 무인이고, 어느 지정층으로부터의 호출도 없는 경우, 스텝 S12~스텝 S17을 바이패스(bypass)하여 엘리베이터 칸(4)을 제1 지정층으로 이동시킨다(스텝 S18).
엘리베이터 칸(4)이 지정층에 도착하면,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 및 승강장 도어 장치(11)가 개방되고(스텝 S20), 엘리베이터 계원이 엘리베이터 칸(4)에 탑승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 S21). 또, 지정층에서의 대기중에는 제2 지정층으로부터의 호출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감시한다(스텝 S22). 어느 지정층으로부터의 호출도 없고, 제1 지정층에서 대기하고 있을 때에 제2 지정층으로부터의 호출이 발생한 경우, 엘리베이터 컨트롤러(6)는 호출이 발생한 제2 지정층으로 엘리베이터 칸(4)을 이동시킨다(스텝 S19).
엘리베이터 계원은 엘리베이터 칸(4)에 탑승한 후에 엘리베이터 칸 LA 제어 키 스위치(28)에 키를 삽입하고, 엘리베이터 칸(4)을 피난 운전시키기 위한 피난 운전 지령 신호를 입력한다(스텝 S23). 이것에 의하여, 피난 운전의 제어가 액티브화되고, 엘리베이터 칸(4)의 운전은 엘리베이터 계원에 의하여 완전히 제어된다. 이 제어는 피난 프로세스의 마지막에 엘리베이터 계원이 동일한 엘리베이터 칸 LA 제어 키 스위치(28)로 제어 기능을 비액티브화할 때(스텝 S30)까지 액티브이다.
또한, 피난 운전 입력 수단은 피난시 엘리베이터 칸 호출 입력 수단과 마찬가지로, 엘리베이터 칸 LA 제어 키 스위치(28)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ID 카드의 정보를 판독하는 카드 리더, 코드를 판독하는 코드 리더, 또는 다른 식별 수단이어도 좋다.
다음으로, 도 6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계원이 엘리베이터 칸(4)의 운전을 완전히 제어한 후, 메모리(7)에 보존되어 있는 모든 호출 및 추가 정보가 엘리베이터 칸 조작 패널(9)에 표시된다(스텝 S24). 또, 승강장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4)의 상태가 승객에게 보고된다(스텝 S25). 게다가 엘리베이터 칸 조작 패널(9)의 행선층 버튼(21), 피난층 버튼(29), 및 계원 통신 시스템(인터폰 시스템)이 유효화 된다(스텝 S26~S28).
계원 통신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칸 마이크로폰 장착 스피커(22), 엘리베이터 칸 인터폰 조작 버튼(23), 인터폰 선택 버튼(24), 승강장 마이크로폰 장착 스피커(15), 및 승강장 인터폰 조작 버튼(16)으로 이루어져있다. 피난층 버튼(29) 및 계원 통신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계원이 엘리베이터 칸(4)의 운전을 완전히 제어한 이후에 액티브가 된다.
다음으로, 도 7에 있어서, 승강장에 있는 승객이 엘리베이터 칸(4)을 호출하면, 대응하는 행선층 버튼(21)이 점등하거나 또는 점멸을 개시한다(스텝 S33). 이것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계원이 호출을 알아차린다. 또, 승강장에 있는 승객이 신체 장애자인 경우, 신체 장애자 버튼(14)이 눌려진다. 그러면, 엘리베이터 칸 조작 패널(9)의 신체 장애자 호출 인디케이터(27)의 대응하는 LED가 점등하거나 또는 점멸을 개시한다.
이 시점에서, 엘리베이터 계원은 계원 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승강장에 있는 승객과 통신할 수 있다(스텝 S34). 신체 장애자 호출 인디케이터(27)의 상태, 및 승객과의 통신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계원은 승객이 신체 장애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5).
이 엘리베이터 장치는 신체 장애자의 피난 전용이기 때문에, 신체 장애자가 아닌 계단을 사용 가능한 승객에게는, 엘리베이터 계원이 계단을 이용하여 피난하도록 지시한다(스텝 S36). 이것에 의하여, 건강한 승객은 계단을 이용하여 피난한다.
호출을 등록한 승객이 신체 장애자인 경우, 엘리베이터 계원은 계획을 세워서 엘리베이터 칸(4)을 호출층으로 이동시켜서 승객을 마중하러 간다(스텝 S37). 이때, 엘리베이터 칸(4)이 만원이거나, 또는 엘리베이터 칸(4) 내에 여지가 없는 경우, 엘리베이터 계원은 피난층 버튼(29)을 이용하여 다른 어느 층에도 불필요하게 정지하지 않고 엘리베이터 칸(4)을 피난층으로 직접 보낸다(스텝 S39).
엘리베이터 칸(4)을 피난층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승강장에 있는 대기 승객에게는 엘리베이터 칸(4)이 피난층으로 직접 향하고 있고, 피난층에서 무인으로 한 후에 이용 가능해진다는 것이 보고된다(스텝 S40).
피난층에서 승객을 하차시킨 후(스텝 S41), 엘리베이터 계원은 신규의 호출이 표시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42). 그리고, 호출 표시되어 있는 경우, 엘리베이터 칸(4)을 다음의 호출층으로 이동시켜, 그 층의 승객을 회수한다(스텝 S37).
건물 전체 또는 건물의 일부(부분적 피난의 경우)로부터의 피난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의 프로세스가 반복된다. 모든 승객을 피난시켜서 대기중인 엘리베이터 칸 호출이 없어지면, 엘리베이터 계원은 엘리베이터 칸 LA 제어 키 스위치(28)를 조작하여 피난을 종료시킨다(스텝 S43).
도 6으로 되돌아가서, 엘리베이터 계원에 의한 피난 운전의 제어가 비액티브화 되면(스텝 S30), 엘리베이터 칸(4)은 피난층에 있어서 도어가 열린 채로 사용 중지 상태가 된다(스텝 S31). 그리고, 모든 승강장에서 엘리베이터 칸(4)의 상태가 표시된다(스텝 S32).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긴급 피난시에 건물 내의 엘리베이터 계원에 의하여 지정층으로 엘리베이터 칸을 이동시킬 수 있는 것과 아울러, 엘리베이터 계원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컨트롤러(6)를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칸(4)을 피난 운전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피난 운전을 보다 조기에 개시시킴과 아울러, 피난 운전을 인적으로 제어하여 건물 내의 사람을 보다 효율적으로 피난시킬 수 있다.
또한, 피난 운전이 엘리베이터 계원에 의하여 제어됨으로써 피난 운전에 더욱 융통성이 부여되어, 승객의 신뢰를 높이고, 긴급 사태에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패닉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계원의 판단에 의하여 어린이나 고령자를 엘리베이터 장치로 피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게다가, 승강장 LA 제어 키 스위치(20) 및 엘리베이터 칸 LA 제어 키 스위치(28)는 어느 것도 엘리베이터 계원만이 조작 가능하기 때문에, 긴급 사태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오용이 방지된다.
게다가, 또한, 피난 운전이 엘리베이터 계원에 의하여 완전하게 제어됨으로써, 승객의 신뢰가 얻어짐과 아울러, 패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4) 내에 신체 장애자 호출 인디케이터(27)을 마련하였으므로, 엘리베이터 계원이 신체 장애자가 있는 층을 용이하게 파악하여 신체 장애자의 피난을 효율적으로 실시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신체 장애자 호출 인디케이터(27)에는 추가 정보가 표시되므로, 엘리베이터 계원이 신체 장애자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파악하여, 보다 적절한 피난의 계획을 세워서 스무드한 피난 운전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또한, 추가 정보로서 신체 장애 유형을 표시함으로써, 엘리베이터 계원이 승강장에서 대기하는 승객의 신체 장애 유형에 따라서, 보다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계원 통신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엘리베이터 계원으로부터 승강장의 승객에 대하여, 피난의 계획에 따른 적절한 피난 지시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승객의 신뢰를 높이고 패닉을 줄일 수 있다.
게다가, 엘리베이터 칸 조작 패널(9)에 행선층 버튼(21)과는 별도로 피난층 버튼(29)을 마련하였으므로, 엘리베이터 계원이 필요에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4)을 용이하게 피난층으로 직행시킬 수 있어, 피난 운전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또한, 미리 지정된 피난층이 화재 발생층인 경우에, 엘리베이터 컨트롤러(6)에 의하여 피난층을 자동적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라 하더라도, 엘리베이터 계원은 피난층 버튼(29)을 누름으로써 엘리베이터 칸(4)을 망설임 없이 피난층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이 경우, 엘리베이터 칸(4) 내의 승객 및 엘리베이터 계원에 대하여, 음성 어나운스로 피난층의 변경에 대하여 보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시형태 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제어는 긴급 피난의 사용에만 제한되지 않고, 병원의 엘리베이터와 같이 긴급용 엘리베이터 칸(4)의 우선이 필요로 되는 다른 용도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신체 장애자 호출 인디케이터(27)는 배열된 LED 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 등이어도 좋다.
게다가, 지정층 승강장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게다가, 또한, 신체 장애자 호출의 추가 정보는 신체 장애 유형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어, 신체 장애자의 인원수 정보 또는 신체 장애의 정도에 관한 정보 등이어도 좋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승강장의 대기 승객을 정상인과 신체 장애자로 나누어 엘리베이터 계원이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예를 들면, 어린이나 고령자를 구별하여 표시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게다가, 상기의 예에서는 승강장 조작 패널(12)에 승강장 LA 제어 키 스위치(20)를 마련하였으나, 승강장 조작 패널(12)과는 별개의 장소에 마련하여도 좋다.
게다가,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조작 패널(9)에 엘리베이터 칸 LA 제어 키 스위치(28)를 마련하였으나, 엘리베이터 칸 조작 패널(9)과는 별개의 장소에 마련하여도 좋다.
또, 도 1에서는 1:1 로핑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었으나, 로핑 방식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어 2:1 로핑의 엘리베이터 장치에도 이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게다가 엘리베이터 기기의 레이아웃(권상기(1)나 균형추(5)의 개수나 위치 등)도 도 1의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게다가, 또한, 이 발명은 기계실을 가지지 않는 기계실 리스 엘리베이터나, 다양한 유형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8)

  1. 승강로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컨트롤러,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칸 내에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칸 조작 패널
    을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승강장인 지정층 승강장에는, 미리 지정된 엘리베이터 계원에 의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상기 지정층 승강장으로 호출하기 위한 지정층 이동 지령 신호가 입력되는 피난시 엘리베이터 칸 호출 입력 수단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내에는, 신체 장애자에 의한 각 층의 승강장으로부터의 호출 등록의 유무를 표시하는 신체 장애자 호출 인디케이터와, 상기 엘리베이터 계원에 의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피난 운전시키기 위한 피난 운전 지령 신호가 입력되는 피난 운전 입력 수단이 마련되어 있으며,
    긴급 피난시에 상기 피난 운전 입력 수단으로부터 상기 피난 운전 지령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엘리베이터 컨트롤러는 엘리베이터 계원에 의한 상기 엘리베이터 칸 조작 패널의 조작에 의하여 제어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피난 운전시키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층의 승강장에는, 신체 장애자의 장애에 관한 추가 정보를 등록하는 복수의 신체 장애자 버튼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신체 장애자 호출 인디케이터는, 상기 추가 정보를 표시 가능한 엘리베이터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추가 정보는, 신체 장애 유형인 엘리베이터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컨트롤러는, 상기 신체 장애자 버튼을 조작한 승객에 대하여 피드백을 제공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내 및 각 층의 승강장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 내의 엘리베이터 계원이 승강장의 승객과 통신하기 위한 계원 통신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계원 통신 시스템은, 상기 피난 운전 입력 수단으로부터 상기 피난 운전 지령 신호가 입력되면 액티브화되는 엘리베이터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내에는, 엘리베이터 계원이 통신하고자 하는 층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버튼이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8. 승강로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컨트롤러,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칸 내에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칸 조작 패널
    을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승강장인 지정층 승강장에는, 미리 지정된 엘리베이터 계원에 의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상기 지정층 승강장으로 호출하기 위한 지정층 이동 지령 신호가 입력되는 피난시 엘리베이터 칸 호출 입력 수단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내에는, 미리 지정된 피난층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직행시키기 위한 피난층 스위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계원에 의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피난 운전시키기 위한 피난 운전 지령 신호가 입력되는 피난 운전 입력 수단이 마련되어 있으며,
    긴급 피난시에 상기 피난 운전 입력 수단으로부터 상기 피난 운전 지령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엘리베이터 컨트롤러는 엘리베이터 계원에 의한 상기 엘리베이터 칸 조작 패널의 조작에 의하여 제어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피난 운전시키고,
    상기 피난층 스위치는, 상기 피난 운전 입력 수단으로부터 상기 피난 운전 지령 신호가 입력되면 액티브화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137031037A 2011-06-30 2011-06-30 엘리베이터 장치 KR1015627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65048 WO2013001638A1 (ja) 2011-06-30 2011-06-30 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8344A KR20140018344A (ko) 2014-02-12
KR101562725B1 true KR101562725B1 (ko) 2015-10-22

Family

ID=47423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1037A KR101562725B1 (ko) 2011-06-30 2011-06-30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744201B2 (ko)
KR (1) KR101562725B1 (ko)
CN (1) CN103534190B (ko)
DE (1) DE112011105394B4 (ko)
WO (1) WO20130016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81586B1 (ja) * 2015-02-24 2016-08-31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
CN107835779B (zh) * 2015-07-09 2019-05-07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控制装置以及灾害发生时的电梯避难运转方法
JP2017141090A (ja) * 2016-02-10 2017-08-17 クマリフト株式会社 小荷物専用昇降機
US10294075B2 (en) * 2016-09-30 2019-05-21 Otis Elevator Company Re-dispatching unoccupied elevator car for occupant evacuation operation
US20180162690A1 (en) * 2016-12-13 2018-06-14 Otis Elevator Company Information preview for elevator passengers
CN113401743B (zh) * 2021-06-18 2023-02-21 日立电梯(天津)有限公司 一种厅外紧急召梯系统及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2293A (ja) * 2003-09-05 2005-03-3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火災時救出運転装置
JP2005112608A (ja) * 2003-10-10 2005-04-2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
JP2008189413A (ja) * 2007-02-02 2008-08-21 Nippon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の非常通話装置
WO2009141901A1 (ja) * 2008-05-21 2009-11-2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及び群管理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3092A (ja) * 2000-06-27 2002-01-0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EP1433735B1 (en) 2002-12-23 2013-10-02 Inventio AG Method and system for emergency evacuation of building occupants
JP4266010B2 (ja) * 2003-05-14 2009-05-2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火災管制システム
JP2005112601A (ja) * 2003-10-10 2005-04-2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運転装置
NZ539156A (en) * 2004-04-08 2005-07-29 Inventio Ag Generic operating panel for elevator car
JP2007112559A (ja) * 2005-10-19 2007-05-10 Hitachi Ltd エレベータ装置
DE102007010432A1 (de) 2007-03-01 2008-09-04 Stadt Dortmund Stadtbahnbauamt Ausrüstung und Steuerung zur Nutzung von Aufzügen für die Selbstrettung im Gefahrenfall
JP2011046494A (ja) * 2009-08-27 2011-03-10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5550302B2 (ja) 2009-10-19 2014-07-1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救出運転システム
US8230980B2 (en) 2009-12-31 2012-07-31 Inventio Ag Method of operating elevators during emergency situatio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2293A (ja) * 2003-09-05 2005-03-3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火災時救出運転装置
JP2005112608A (ja) * 2003-10-10 2005-04-2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
JP2008189413A (ja) * 2007-02-02 2008-08-21 Nippon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の非常通話装置
WO2009141901A1 (ja) * 2008-05-21 2009-11-2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及び群管理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8344A (ko) 2014-02-12
CN103534190B (zh) 2015-11-25
JP5744201B2 (ja) 2015-07-08
WO2013001638A1 (ja) 2013-01-03
JPWO2013001638A1 (ja) 2015-02-23
CN103534190A (zh) 2014-01-22
DE112011105394T5 (de) 2014-03-13
DE112011105394B4 (de) 2022-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1378B2 (en) System for controlled operation of elevator in case of fire and method of controlled operation of elevator in case of fire
KR101562725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896872B1 (ko)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및 엘리베이터의 운전 방법
KR101436768B1 (ko) 엘리베이터의 모니터 제어 장치
JP5452505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WO2012026016A1 (ja) モニター制御装置
JP2013154978A (ja) 災害発生時に乗場情報を乗りかご内に伝達するエレベータ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3180880A (ja) エレベータの救出運転支援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5586785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3103774A (ja) エレベータ
JP2007084238A (ja) エレベータ
JP2010275102A (ja) エレベータの戸開制御装置
JP2011148591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8156017A (ja) エレベータ付き建物
JP2013159428A (ja) 避難弱者優先救出機能付きエレベータ
KR101935639B1 (ko) 엘리베이터의 자동 구출운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WO2019106778A1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エレベーター、およびエレベーター制御方法
JP2003335460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08247505A (ja) エレベータの救出制御装置
JP2019142698A (ja) エレベータ
WO2022059096A1 (ja) エレベーターの非常連絡システム
JP2019142700A (ja) エレベータ
JPH0395078A (ja) 車椅子兼用エレベ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