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0855B1 - 유화형 모발용 화장료 - Google Patents

유화형 모발용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0855B1
KR101560855B1 KR1020110094620A KR20110094620A KR101560855B1 KR 101560855 B1 KR101560855 B1 KR 101560855B1 KR 1020110094620 A KR1020110094620 A KR 1020110094620A KR 20110094620 A KR20110094620 A KR 20110094620A KR 101560855 B1 KR101560855 B1 KR 101560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fatty acid
acid ester
cosmetic
sucr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4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9122A (ko
Inventor
히로시 가와고에
아리히토 스가나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미르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미르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미르본
Publication of KR20120049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9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0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08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과제) 모발에 대한 도포성이 양호하고, 모발의 수분량을 높여 잘 가라앉힐 수 있는 유화형 모발용 화장료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지방족 알코올,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자당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지방산에스테르가 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형 모발용 화장료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의 유화형 모발용 화장료에서는, 자당지방산에스테르 및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의 배합량의 합계 A(질량%)와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지방산에스테르의 배합량 B(질량%)의 비가 1:1∼8:1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 히알루론산 유도체가 더 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유화형 모발용 화장료{EMULSIFIED HAIR COSMETICS}
본 발명은, 모발에 대한 도포성이 양호하고, 모발의 수분량을 높여 잘 가라앉힐 수 있는 유화형 모발용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샴푸 후의 모발에 도포하는 트리트먼트제 등의 모발용 화장료에는, 지방족 알코올(고급 알코올),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자당지방산에스테르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이 배합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3).
일본 특허 공개 평 11-7994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3221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20917호 공보
그런데, 곱슬머리에 의한 모발의 퍼짐 때문에, 원하는(희망하는) 헤어스타일을 형성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모발의 퍼짐을 억제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모발의 퍼짐 등의 상태는, 모발의 수분량에 영향을 받고, 그것이 적은 경우에는 모발의 퍼짐이 생기기 쉽다. 따라서, 모발용 화장료에는, 마무리 후의 모발의 수분량을 높이는 기능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또, 모발용 화장료에는, 도포했을 때 모발에 충분히 배어들어, 마무리 후의 모발에 충분히 작용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모발용 화장료에는, 유화물의 제형이 채용되는 경우가 많지만, 이러한 모발용 화장료는, 예를 들어, 모발에 적량을 도포하고 그 후에 모발을 비빔으로써, 모발용 화장료를 모발 속으로 골고루 침투시키는 방법으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정치 상태에서는, 손에 덜어 모발에 도포하기에 적합한 점도의 모발용 화장료라 하더라도, 도포한 모발을 비빌 때 점도가 저하되는, 도포성이 뒤떨어지는 것도 있다. 이러한 모발용 화장료는 모발 속에 양호하게 침투시키는 것이 어려워, 그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모발용 화장료에는, 도포한 모발을 비빌 때에도 점도의 저하가 생기기 어려운 양호한 도포성을 확보하는 것도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모발에 대한 도포성이 양호하고, 모발의 수분량을 높여 잘 가라앉힐 수 있는 유화형 모발용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유화형 모발용 화장료는, 지방족 알코올,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자당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지방산에스테르가 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발에 대한 도포성이 양호하고, 모발의 수분량을 높여 잘 가라앉힐 수 있는 유화형 모발용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형 모발용 화장료(이하, 「모발용 화장료」로 약칭)는, 크림형의 제형을 취한다. 그리고, 유성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을 배합한다. 지방족 알코올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등의 직쇄형의 포화 알코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옥틸도데칸올 등의 분기형의 포화 알코올; 올레일알코올 등의 불포화 알코올 등의 탄소수가 12∼22인 알코올(소위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만을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모발용 화장료에서의 지방족 알코올의 배합량은, 도포성을 보다 양호하게 하고, 마무리 시의 모발의 감촉을 보다 높이는 관점에서, 5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지방족 알코올의 양이 지나치게 많으면, 모발에 배어들기 어려워져, 마무리 시에 모발에 딱딱함을 느끼게 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모발용 화장료에서의 지방족 알코올의 배합량은 7.5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발용 화장료에 따른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모발용 화장료의 유화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과, 모발에 흡착하여 모발을 유연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지방산아미드아민염, 모노알킬형 4급 암모늄염, 디알킬형 4급 암모늄염, 벤잘코늄형 4급 암모늄, 에틸황산라놀린지방산아미노프로필에틸디메틸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산아미드아민염으로는, 예를 들어,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모노알킬형 4급 암모늄염으로는, 예를 들어, 염화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디알킬형 4급 암모늄염으로는, 예를 들어,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디코코일디메틸암모늄, 염화디세틸디메틸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벤잘코늄형 4급 암모늄으로는, 예를 들어, 염화벤잘코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용 화장료에는, 이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중 1종만을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모발용 화장료에서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은, 모발용 화장료의 유화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또 모발에 흡착하여 모발의 유연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2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이 지나치게 많으면, 마무리 시의 모발의 유연성 향상 효과가 작아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모발용 화장료에서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은 4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발용 화장료에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자당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지방산에스테르를 사용한다. 이에 따라, 모발용 화장료의 도포성을 높이고, 또 마무리 후의 모발의 수분량을 높여, 곱슬머리의 굴곡에 의한 퍼짐을 억제하여, 양호하게 가라앉힐 수 있다.
자당지방산에스테르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자당베헨산에스테르, 자당스테아르산에스테르(스테아르산수크로오스, 디스테아르산수크로오스, 트리스테아르산수크로오스, 폴리스테아르산수크로오스 등), 자당팔미트산에스테르(팔미트산수크로오스, 헥사팔미트산수크로오스 등), 자당미리스트산에스테르(미리스트산수크로오스 등), 자당라우르산에스테르(라우르산수크로오스, 디라우르산수크로오스, 폴리라우르산수크로오스 등), 자당에루크산에스테르(펜타에루크산수크로오스, 헥사에루크산수크로오스 등), 자당올레산에스테르(올레산수크로오스, 폴리올레산수크로오스 등)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만을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또한, 자당지방산에스테르에는, 다양한 HLB(Hydrophile-Lipophile Balance) 값을 갖는 것이 존재하지만, 본 발명의 모발용 화장료에서는, HLB가 3∼7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당지방산에스테르의 HLB는, 통상, 자당지방산에스테르의 메이커에 의해 공표되어 있고,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하는 자당지방산에스테르의 HLB를 선택할 수 있다.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로는, 글리세린을 평균 10개 축중합한 폴리글리세린과 지방산과의 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글리세린을 평균 10개 축중합한 폴리글리세린과, 올레산과의 모노에스테르(모노올레산데카글리세릴)가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는, 1종만을 사용해도 좋고, 복수종을 병용해도 좋다.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지방산에스테르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가 6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또 60 이하의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지방산에스테르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모노라우르산 POE(6)소르비트, 테트라스테아르산 POE(60)소르비트, 테트라올레산 POE(6)소르비트, 테트라올레산 POE(30)소르비트, 테트라올레산 POE(40)소르비트, 테트라올레산 POE(60)소르비트 등을 들 수 있다[상기 각 화합물 중 「POE」는 「폴리옥시에틸렌」의 대략이며, 그 뒤의 괄호내의 수치는 에틸렌옥사이드의 부가 몰수를 의미한다].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지방산에스테르는, 1종만을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모발용 화장료에서는, 자당지방산에스테르의 배합량과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의 배합량과의 합계와,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지방산에스테르의 배합량과의 밸런스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모발용 화장료의 도포성의 향상 효과와, 마무리 후의 모발의 수분량을 높여, 곱슬머리의 굴곡에 의한 퍼짐을 억제하여, 양호하게 가라앉히는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당지방산에스테르의 배합량과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의 배합량의 합계를 A(질량%),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지방산에스테르의 배합량을 B(질량%)로 했을 때, A:B를 1:1∼8:1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지방산에스테르의 배합량 B에 대하여, 자당지방산에스테르의 배합량과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의 배합량의 합계 A가 지나치게 작은 모발용 화장료에서는, 모발에 대한 도포성의 향상 효과가 작아질 우려가 있고, 또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지방산에스테르의 작용에 의해, 마무리 후의 모발은 양호하게 가라앉더라도, 모발에 끈적임이 생길 우려도 있다. 한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지방산에스테르의 배합량 B에 대하여, 자당지방산에스테르의 배합량과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의 배합량의 합계 A가 지나치게 큰 모발용 화장료에서는,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지방산에스테르의 작용이 작아져, 마무리 후의 모발을 양호하게 가라앉히는 효과가 작아질 우려가 있다.
또, 모발용 화장료에서의 자당지방산에스테르의 배합량은, 그 사용에 의한 효과를 양호하게 확보하는 관점에서, 0.1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자당지방산에스테르의 양이 지나치게 많으면, 마무리 시에 모발에 딱딱함을 느끼게 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모발용 화장료에서의 자당지방산에스테르의 배합량은 1.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발용 화장료에서의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의 배합량은, 그 사용에 의한 효과를 양호하게 확보하는 관점에서, 0.1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의 양이 지나치게 많으면, 마무리 시에 모발에 딱딱함을 느끼게 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모발용 화장료에서의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의 배합량은 1.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모발용 화장료에서의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지방산에스테르의 배합량은, 그 사용에 의한 효과를 양호하게 확보하는 관점에서, 0.1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지방산에스테르의 양이 지나치게 많으면, 마무리 후의 모발에 끈적임이 생길 우려가 있기 때문에,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지방산에스테르의 배합량은 0.5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발용 화장료는 유화물이며, 물을 주요 매체로 한다. 매체로는, 물만을 이용해도 좋고, 필요에 따라서,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저급 알코올(탄소수가 6 이하인 알코올) 등의 유기 용매를, 매체 전체량 중 5 질량% 이하 정도의 양으로 물과 병용해도 좋다. 모발용 화장료에서의 매체의 배합량은, 예를 들어 50∼9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모발용 화장료에는, 히알루론산 유도체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모발에 대한 도포성을 높이는 효과, 및 마무리 후의 모발의 수분량을 높여, 곱슬머리의 퍼짐을 억제하여 양호하게 가라앉히는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히알루론산 유도체로는, 예를 들어, 히알루론산염(나트륨염, 칼륨염 등), 아세틸히알루론산염, 양이온화 히알루론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만을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모발용 화장료에서의 히알루론산 유도체의 배합량은, 그 사용에 의한 효과를 양호하게 확보하는 관점에서, 0.005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히알루론산 유도체의 양이 지나치게 많으면, 털끝의 정돈이 저하되기 쉬운 경향이 있기 때문에, 모발용 화장료에서의 히알루론산 유도체의 배합량은 0.1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발용 화장료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의 모발용 화장료에 배합되어 있는 각종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동식물 유지, 납, 탄화수소, 지방산, 에테르, 에스테르, 자당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지방산에스테르 이외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히알루론산 유도체 이외의 수용성 고분자, 실리콘, 보습제,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산화 방지제, 킬레이트제, 향료 등을 들 수 있고, 이러한 성분 중에서 바람직한 것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배합할 수 있다.
자당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지방산에스테르 이외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놀린, 폴리옥시에틸렌라놀린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밀랍, 폴리옥시에틸렌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스테롤, 폴리에틸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레시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각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서의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는 2∼50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발용 화장료에는, 예를 들어,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컨디셔너, 스타일링제 등이 포함된다. 또, 본 발명의 모발용 화장료는, 축모 교정 처리, 퍼머넌트 웨이브 처리, 염모 처리와 같은 화학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의 전처리제나 후처리제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용 화장료는, 모발에 도포후에 씻어내어 사용하는 용도, 씻어내지 않고 사용하는 용도 모두 적용할 수 있지만, 씻어내어 사용하는 용도에 적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발용 화장료는, 예를 들어, 적량을 손에 덜어, 젖은 상태의 모발 또는 건조된 상태의 모발에 적량 도포하는 방법으로 사용되지만, 모발에 도포할 때에는, 모발용 화장료의 성분이 모발 속으로 양호하게 침투하도록 모발에 비비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이하의 표 1∼표 3에서는 모발용 화장료 전체로 100%가 되도록, 또 표 4에서는 샴푸 전체로 100%가 되도록, 각 성분의 배합량을 %로 나타내는데 그 %는 모두 질량%이고, 또 표 1∼표 4 중에서는 그 %의 표시를 생략하고, 배합량을 나타내는 수치만으로 표시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표 1∼표 4 이외에서 이용하는 %도,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질량%를 의미한다.
실시예 1∼7 및 비교예 1∼4
실시예 1∼7 및 비교예 1∼4의 모발용 화장료를, 표 1∼표 3에 나타내는 조성으로 조제했다. 실시예 1∼7 및 비교예 1∼4의 모발용 화장료는, 이들의 조제 후에 모두 양호하게 유화되었다.
Figure 112011073089429-pat00001
Figure 112011073089429-pat00002
Figure 112011073089429-pat00003
표 1∼표 3에서, 물의 란의 「합계 100으로 한다」란, 모발용 화장료를 구성하는 물 이외의 각 성분의 합계량에, 물의 양을 첨가하여 100%가 되도록 한 것을 의미한다. 또, 표 1∼표 3에서의 「히알루론산나트륨 수용액」은, 히알루론산나트륨의 농도가 0.25%인 것이다. 또한, 표 1∼표 3에서의 「킬레이트제」는,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이나트륨이수화염이다. 또, 표 1∼표 3에서의 「A:B」는, 모발용 화장료에서의 자당지방산에스테르 및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의 배합량의 합계 A와,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지방산에스테르의 배합량 B의 비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모발용 화장료를 이용하여, 모발에 대한 도포성 및 처리 후(마무리 후)의 모발의 가라앉음의 정도를 평가하고, 처리 전후에서의 모발의 수분량의 차이를 측정했다.
<모발에 대한 도포성 및 처리 후의 모발의 가라앉음의 정도의 평가>
피험자 5명의 두발을, 각각 다른 전문 평가자 5명이 세발하고, 계속해서 실시예 및 비교예의 모발용 화장료를 도포하여 마무리하고, 그 때의 모발용 화장료의 모발에 대한 도포성과, 처리 후의 모발의 가라앉음의 정도를, 상기 전문 평가자 5명이 평가했다. 우선, 피험자의 두발을 표 4에 나타내는 조성의 샴푸 6 g을 이용하여 세발하고, 그 후에 실시예 및 비교예의 모발용 화장료 각 6 g을 모발에 도포하여, 모발을 골고루 비빈 후에 온수로 씻어내고 건조시켰다. 그리고, 상기 전문 평가자 5명이 각각, 피험자의 모발에 모발용 화장료를 도포하여 비볐을 때의 모발용 화장료의 도포성과, 처리 후(건조 후)의 모발의 가라앉음의 정도를, 하기의 평가 기준에 따라서 채점했다.
좋다 2점,
약간 좋다 1점,
보통 0점,
약간 나쁘다 -1점,
나쁘다 -2점.
Figure 112011073089429-pat00004
표 4에서의 물의 란의 「합계 100으로 한다」란, 샴푸를 구성하는 물 이외의 각 성분의 합계량에, 물의 양을 첨가하여 100%가 되도록 한 것을 의미한다. 또, 표 4에서의 「POE(10)라우릴에테르아세트산나트륨」의 「POE」는 「폴리옥시에틸렌」의 약칭이고, 그 뒤의 괄호내의 수치는 에틸렌옥사이드의 부가 몰수를 의미하고, 「양이온화 셀룰로오스」는, 염화 O-[2-히드록시-3-(트리메티오암모니오)프로필]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Amerchol사 제조 「UCARE Polymer JR-30M(상품명)」]이고, 「방부제」는,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과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의 혼합물[롬ㆍ앤드ㆍ하스ㆍ재팬사 제조 「케손 CG(상품명)」]이고, 「킬레이트제」는,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이나트륨이수화염이다. 또한, 표 4에서의 시트르산의 란의 「적량」은, 샴푸의 pH가 6이 되는 양으로 사용한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전체 평가자의 점수를 합계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모발용 화장료의 각각에 관해, 모발에 대한 도포성과 처리 후의 모발의 가라앉음의 정도를 평가했다.
<모발용 화장료에 의한 처리 전후에서의 수분량의 차이의 측정>
상기 피험자 중, 가장 모발의 곱슬거림이 심한 사람 1명으로부터, 상기 모발에 대한 도포성 및 처리 후의 모발의 가라앉음의 정도를 평가하기 전(세발 전)의 모발(즉, 모발용 화장료로 처리하기 전의 모발) 0.5 g과, 각 모발용 화장료로 처리한 후(건조 후)의 모발 각 0.5 g을 채취했다. 다음으로, 이들 모발을 25℃, 상대 습도 50%의 환경 하에 24시간 이상 보관한 후에, 각 모발 약 0.01 g을 채취하여 알루미늄 호일에 정칭하고, 칼피셔 수분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각 모발 중의 수분량을 측정했다. 그리고, 각 모발용 화장료로 처리한 후의 모발의 수분량에서 모발용 화장료로 처리하기 전의 모발의 수분량을 빼어서 이들의 차를 구했다.
상기 각 평가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Figure 112011073089429-pat00005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방족 알코올,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자당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지방산에스테르를 배합한 실시예 1∼7의 모발용 화장료는, 모발에 대한 도포성이 양호하다. 또, 이들 모발용 화장료로 처리한 모발은, 처리전의 모발에 비해 수분량이 많아, 가라앉음의 정도가 양호하다. 상기 성분에 더하여 히알루론산 유도체를 더 배합한 실시예 7의 모발용 화장료는, 모발에 대한 도포성, 처리 후의 모발의 수분량 및 가라앉음의 정도가 특히 우수하다.
또한, A:B의 값이 적합하지 않은 실시예 5 및 실시예 6의 모발용 화장료 중, B의 비율이 큰 실시예 6의 모발용 화장료에서는, 처리 후의 모발의 가라앉음은 비교적 양호하지만, 모발에 끈적임이 생겼다.
이에 비해, 자당지방산에스테르를 배합하지 않은 비교예 1의 모발용 화장료는, 모발에 대한 도포성이 뒤떨어지고, 처리 후의 모발의 수분량도 낮다. 또,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를 배합하지 않은 비교예 2 및 비교예 4의 모발용 화장료, 및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지방산에스테르를 배합하지 않은 비교예 3의 모발용 화장료는, 모발에 대한 도포성이 뒤떨어지고, 또 처리 후의 모발의 수분량이 낮아, 가라앉음의 정도가 뒤떨어졌다.

Claims (3)

  1. 지방족 알코올,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배합되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자당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지방산에스테르가 배합되어 있고, 모발에 도포 후에 씻어내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형 모발용 화장료.
  2. 제1항에 있어서, 자당지방산에스테르의 배합량과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의 배합량의 합계를 A 질량%,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지방산에스테르의 배합량을 B 질량%로 했을 때, A:B가 1:1∼8:1인 유화형 모발용 화장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히알루론산 유도체가 더 배합되어 있는 유화형 모발용 화장료.
KR1020110094620A 2010-11-08 2011-09-20 유화형 모발용 화장료 KR1015608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49388A JP5709475B2 (ja) 2010-11-08 2010-11-08 乳化型毛髪用化粧料
JPJP-P-2010-249388 2010-1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122A KR20120049122A (ko) 2012-05-16
KR101560855B1 true KR101560855B1 (ko) 2015-10-15

Family

ID=46267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4620A KR101560855B1 (ko) 2010-11-08 2011-09-20 유화형 모발용 화장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709475B2 (ko)
KR (1) KR1015608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15572B2 (ja) * 2015-03-20 2020-07-01 株式会社ミルボン シャンプー組成物
FR3125420A1 (fr) * 2021-07-21 2023-01-27 L'oreal Compositions et procédés de coiffage des cheveux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0530A (ja) 2008-05-23 2009-12-03 Milbon Co Ltd 乳化型毛髪化粧料
JP2009292732A (ja) 2008-05-02 2009-12-17 Milbon Co Ltd 乳化型毛髪化粧料
JP2009292733A (ja) 2008-05-08 2009-12-17 Milbon Co Ltd 乳化型毛髪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011696D0 (en) * 1990-05-24 1990-07-11 Unilever Plc Cosmetic composition
JP3328173B2 (ja) * 1997-09-04 2002-09-24 株式会社ミルボン 毛髪保護剤
JP5491054B2 (ja) * 2009-03-31 2014-05-14 株式会社コーセー 水中油乳化型毛髪化粧料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2732A (ja) 2008-05-02 2009-12-17 Milbon Co Ltd 乳化型毛髪化粧料
JP2009292733A (ja) 2008-05-08 2009-12-17 Milbon Co Ltd 乳化型毛髪化粧料
JP2009280530A (ja) 2008-05-23 2009-12-03 Milbon Co Ltd 乳化型毛髪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122A (ko) 2012-05-16
JP5709475B2 (ja) 2015-04-30
JP2012102025A (ja) 201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84312B2 (ja) 毛髪化粧料
WO2017096154A1 (en) Hair care regimen using compositions comprising moisture control materials
KR100929956B1 (ko) 지속성을 갖는 이제식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JPWO2010116940A1 (ja) 毛髪化粧料
KR20200138775A (ko) 폴리갈락토만난을 포함하는 모발 스타일링 조성물, 및 그를 사용하는 방법
EP3244970A1 (en) Translucent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US10912723B2 (en)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comprising monoalkyl glyceryl ether
CN105530914B (zh) 使用吡啶二羧酸化合物处理角蛋白纤维的方法
KR101560855B1 (ko) 유화형 모발용 화장료
JP5354957B2 (ja) 乳化型毛髪化粧料
JP5907608B2 (ja) 多剤式毛髪処理剤
JP2015013855A (ja) 毛髪化粧料
EP3171942B1 (en)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s
JPWO2007029590A1 (ja) ケラチン繊維処理剤
JP5582735B2 (ja) 毛髪用化粧料
JP2014058492A (ja) スタイリング剤
JP6107066B2 (ja) 毛髪化粧料
JP3499063B2 (ja) 溶剤含有乳化型頭髪処理剤
JP6108597B2 (ja) 毛髪化粧料および多剤式毛髪化粧料
JP6943426B2 (ja) 毛髪化粧料
JP5693133B2 (ja) 毛髪化粧料
JP5567789B2 (ja) ヘアコンディショニング組成物
JP7138911B2 (ja) 毛髪化粧料
JP2008273905A (ja) 毛髪化粧料
JPH04230615A (ja) 毛髪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4